KR20070055607A -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607A
KR20070055607A KR1020077008941A KR20077008941A KR20070055607A KR 20070055607 A KR20070055607 A KR 20070055607A KR 1020077008941 A KR1020077008941 A KR 1020077008941A KR 20077008941 A KR20077008941 A KR 20077008941A KR 20070055607 A KR20070055607 A KR 2007005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terminal
data
additional data
deli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르꼬 넥트
자리 조켈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700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5607A/ko
Publication of KR2007005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접근점과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서, 제1접근점으로부터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전달 정보에 기초하여 제1접근점으로부터 제2접근점으로의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게다가, 통신 시스템용 접근점 및 통신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단말이 이 방법을 시행하도록 구성되게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hange of an access point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국(station)들이라고도 하는 둘 이상의 엔티티들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시설이라 할 수 있다. 국들의 예들은 통신 기기 또는 단말, 예컨대 이동국들(MS) 또는 사용자 장비(UE) 및/또는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노드들이라고 불리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 예컨대 노드 B 또는 송수신 기지국(BTS) 또는 접근점(AP)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신 시스템은 전형적으로는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각종 엔티티들이 하기로 허락된 것 및 그것이 달성되어야 하는 방법을 설정하는 주어진 표준 또는 규격에 따라서 동작한다. 전형적으로 국은 정확한 엔티티에의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주소를 가진다. 다른 주소지정 체계들이 다른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로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예컨대 전역 이동 통신 시스템(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및 3세대(3G) 이동 통신 시스템, 이를테면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을 포함하지만 그 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통신 시스템들은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무선 LAN(WAN), 이를테면 이더넷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들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전송 네트워크 및 다른 패킷 교환 데이터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종 통신 시스템들은 접속에 동시에 관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단말이라고도 불리는 적당한 통신 기기를 사용하여 통신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통신 기기들의 예들은 사용자 장비(UE), 이동국(MS), 셀룰러 전화기, 개인정보단말(PDA) 등 또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다른 기기들을 포함하지만 그것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통신 시스템의 기능들을 각 층이 정해진 서비스들을 다음 상위 층에 제공하는 7개 층(레이어)들로 분할한다. 예를 들면, 레이어 2는 서비스들을 레이어 3에 제공하는 반면 레이어 3는 서비스들을 레이어 4에 제공한다. OSI 모델의 레이어 2는 또한 데이터 링크 층(DLL)이라고도 한다. DLL의 목적은 OSI 모델의 물리층이라고도 불리는 레이어 1로 가거나 레이어 1로부터 오는 데이터 비트 스트림들을 동기화하는 것이다. 게다가, 잡음 및 간섭과 같은 전송 오류들의 검출은 DLL에 의해 제공되기도 한다. DLL은 2개의 서브층들로 나뉘는데 그것들 중의 상위 서브층은 링크 접근 제어(LAC)이고 하위 서브층은 매체 접근 제어(MAC)이다. MAC은 GPRS, UMTS 및 이더넷과 같은 각종 기술들에서 공유된 매체에의 접근을 다루기 위해 이용된다.
매체 접근 제어(MAC)와 무선 근거리 통신망들(LAN들)을 위한 물리적 특성들은 표준인 IEEE Std 802.110-1999 (Reaff 2003), "Information technology -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 Specific requirements - Part 11 :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에서 명기되어 있다. 상기 표준의 단락 7은 전송을 위해 국들에 의해 구성되고 수신 하에 국들에 의해 복호화되는 MAC 프레임들 또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들의 포맷을 명기한다. 이 표준에 따르면, 각 프레임은 모든 프레임들에서 고정된 순서로 발생하는 일단의 필드들로서 MAC 헤더, 가변 길이 프레임 몸체(body) 및 프레임 점검 시퀀스(FCS)로 구성된다. MAC 헤더는 프레임 제어, 지속기간, 주소 및 시퀀스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는 다음 서브 필드들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버전, 유형, 서브유형, To DS, From DS, 추가 단편들(More Fragments), 재시도(Retry), 전력관리, 추가 데이터(More Data), WEP, 및 순서(Order).
통신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접근점(AP)은 라디오 인터페이스와 같은 무선 매체를 통해 동일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또는 다른 네트워크, 이를테면 인터넷으로부터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배포에의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데이터 트래픽이 AP에 도착할 때, 그 AP는 가능한 한 빨리 단말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AP는 전달하려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한 저장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버퍼링은 데이터 트래픽을 단말에 전송할 기회를 위해 접근점에서 어떤 량의 데이터 트래픽이 대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말이 데이터 수신을 위해 이용 가능할 때, 버퍼링된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순서로 단말에 전송된다.
IEEE Std 802.11® 1999 (Reaff 2003), 단락 7.1.3.1.8에 따라서, 전원절약 을 사용하는 단말들을 위해, MAC 헤더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 있는 추가의 데이터 비트는 AP가 전원절약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데이터를 가지는지의 정보를 주기 위해 이용된다. 실시간 진행형(ongoing) 데이터 스트림들을 가지지 않는 전원절약 단말들은, AP가 단말에 전달하려는 어떤 트래픽이라도 가지는지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비컨(beacon) 프레임들만을 주기적으로 청취하고 있다. 단말이 버퍼링된 데이터를 가짐을 표시하는 정보는 정상적인 데이터 (지향성) 프레임에서보다는 비컨 프레임들에서 다르다. 비컨 프레임에서, AP는 버퍼링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트래픽 표시 맵(TIM) 필드를 이용하는 반면 데이터 프레임들에서는 추가의 데이터 비트가 사용된다. 전원절약을 사용하지 않는 단말들의 경우, 추가의 데이터 정보는 주어지지 않는데, 비 전원절약 단말들이 언제나 청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IEEE Std 802.11® 1999 (Reaff 2003), 단락 7.1.3.1.7은 단말과 같은 비-AP 국의 전력관리 모드를 표시하는 전력관리 필드를 정의한다. 이 표준에 따라서, 이 한 비트의 전력관리 필드의 1의 값은 국이 프레임 교환 시퀀스의 성공적인 완료 후에 전원절약(PS) 모드에 있을 것임을 나타낸다. 각각, 값 0은 국이 능동 모드에 있을 것임을 나타낸다.
강화된(enhanced) 서비스 품질(QoS) 및 전원절약 체계들은 "IEEE P802.11e/D8.0, February 2004, (Draft Amendment to IEEE Std 802.11 , 1999 Edition (Reaff 2003))"에 명기되어 있다. 802.11e 표준은 QoS에 관하여 추가 데이터 비트의 사용을 조정한다. 그러나, 전원절약 단말들을 위해서만 추가 데이터 비트를 사용하는 것의 정의는 유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추가 데이터 비트가 단말의 전력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모든 단말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전원절약 모드에 있는 단말들뿐만 아니라 총(full) 전력 모드에 있는 단말들은 추가 데이터 비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접근점과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서, 제1접근점으로부터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이 방법은 전달 정보에 기초하여 제1접근점으로부터 제2접근점으로의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접근점으로부터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접근점과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용 접근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단말로서, 제1접근점으로부터 제1접근점과는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들이 제1접근점에 존재하지 않음을 전달 정보가 표시할 때까지 제1접근점으로부터 제2접근점으로의 변경을 단말이 지연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전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매체접근제어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 있는 추가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단위가 제1접근점에 남아 있음을 표시하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들이 제1접근점에는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는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액세스 카테고리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접근점에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전달 정보가 표시할 때까지 단말이 접근점의 변경을 지연할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단말에, 제1접근점으로부터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단말의 전력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접근점으로부터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용 접근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단말의 전력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접근점으로부터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해석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단말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전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전원절약 모드에 있는 단말에 대한 것과 유사한 규칙들에 따라서 언제라도 데이터를 수신할 능력이 있는 단말에 매체 접근 제어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단위가 제1접근점에 남아 있음을 표시하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가 제1접근점에는 남아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는,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액세스 카테고리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라서, 위에서 정해진 바와 같은 접근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도 제공된다. 게다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제 본 발명이 다음의 예들과 다음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써만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행될 수 있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보이며;
도 2는 IEEE Std 802.110-1999 (Reaff 2003), 단락 7.1.2에 정의된 바와 같은 MAC 프레임 포맷을 개략적으로 보이며;
도 3은 IEEE Std 802.11® 1999 (Reaff 2003), 단락 7.1.3.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프레임 제어 필드를 개략적으로 보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행될 수 있는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보인다. 단말(12)은 통신망(10)에 제1접근점(AP; 14)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제2접근점(16)이 보이고 있다. 단말(12)은 통신망(10)에 접근하기 위해, 예를 들면 단말(12)이 제2접근점(16)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으로 이동할 때 제2접근점(16)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이 단지 하나의 단말과 2개의 접근점들을 보이는 간략화된 통신 시스템의 일 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여기서는 단말들 또는 비 접근점 국들(비-AP STA들)이라고도 불리는 다수의 통신 기기들이 통신망을 통해 동시에 통신하고 있다. 통신망(10)은 적당한 통신망 또는 통신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망(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인터넷과 같은 IP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전형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각종 추가 스위칭과 다른 제어 엔티티들 및 게이트웨이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게 하고 또 단일 통신 시스템을 하나 이상의 통신 시스템들과 인터페이싱한다.
도 2는 IEEE Std 802.11® 1999 (Reaff 2003), 단락 7.1.2에 정의된 바와 같은 MAC 프레임 포맷을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고정된 순서의 필드들 중의 처음은 위에서 설명되었고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프레임 제어 필드(200)이다.
도 3은 IEEE Std 802.11® 1999 (Reaff 2003), 단락 7.1.3.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도 2의 프레임 제어 필드(200)를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번호 213으로 참조되는 추가 데이터 비트에 관련된다. 추가 데이터 필드는 1비트 길이이고 전원절약 모드에 있는 국에 추가의 MAC 서비스 데이터 단위들(MSDU) 또는 MSC 관리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들(MMPDU)이 AP에서 당해 국을 위해 버퍼링됨 을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단말의 전력관리 모드, 즉 전원절약 또는 능동 모드는 전력관리 비트(212)로 표시된다. IEEE Std 802.11® 1999 (Reaff 2003), 단락 11.2.1.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능동 모드에서는, 단말이 언제나 깨어 있는 상태에 있다. 전원절약 모드에서는, 단말은 졸고 있는(doze) 상태와 깨어 있는 상태 둘 다에 있을 수 있다. 졸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은 어떠한 트래픽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없고 단말의 수신부는 스위치 오프 된다. 깨어 있는 상태에서 단말은 매체를 청취하고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전원절약 모드에서, 단말은 선택된 비컨 프레임을 청취하기 위해 깨어 있는 상태로 전환한다.
IEEE Std 802.11® 1999 (Reaff 2003), 단락 7.1.3.1.8에 따라서, AP에 의해 전원절약 모드의 국에 전송되는 지시된 데이터 또는 관리 유형 프레임들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는 유효하다.
1(일)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버퍼링된 MSDU 또는 MMPDU가 동일한 국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추가 데이터 필드는 CF 폴 신호에 응답하여 비경쟁(contention free; CF) 폴링 가능(pollable) 국에 의해 포인트 조정기(point coordinator)에 전송되는 지정된 데이터 유형 프레임들에서 1로 설정되어 이 국이 후속하는 CF-폴에 응답하여 전송을 위해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버퍼링된 MSDU를 가짐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필드는 IEEE Std 802.11® 1999 (Reaff 2003), 단락 7.1.3.1.8에 따라서 모든 다른 지시된 프레임들에서 0(영)으로 설정된다. 게다가, 부가적인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MSDU들 또는 MMPDU들이 동일한 비컨 간격 동안 AP에 의해 전송되려고 남아 있을 때 AP에 의해 전송된 브로드캐 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들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는 1로 설정된다. 동일한 비컨 간격 동안 AP에 의해 전송되려고 남아 있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MSDU들 또는 MMPDU들이 더 이상 없을 때 AP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들에서 그리고 비-AP 국들에 의해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들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는 0으로 설정된다.
IEEE P802.11e/D8.0, 단락 6.1.1.3은 사용자 우선순위들로 도출되는 액세스 카테고리들을 정의한다. 게다가, IEEE P802.11e/D8.0, 단락 7.1.3.1.8은 자신의 QoS 능력 정보 요소에 설정된 "More Data Ack" 서브필드를 가지며 자동 전원절약 전달(APSD)이 인에이블되는 비-AP QoS 국(QSTA)의 경우, QoS 접근점(QAP)은 이 비-AP QSTA에 대한 ACK 프레임들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를 1로 설정하여 QAP가 비-AP QSTA를 위해 전송을 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추가한다.
"IEEE P802.11e/D9.0, August 2004, (Amendment to ANSI/IEEE Std 802.11-1999 (Reaff 2003) edition as amended by IEEE Std 802.11g-2003, IEEE Stad 802.11h-2003 and IEEE 902.11i-2004)"은, 예컨대, 단락 11.2.1.4 및 단락 11.2.1.5을 보면, 3가지 다른 전원절약 메커니즘들, 즉 PS-POLL 프레임들에 기반한 레거시(legacy), 비스케줄식(unscheduled) APSD (U-APSD) 및 스케줄식 APSD (S-APSD)를 포함한다. 하나의 액세스 카테고리는 한 유형만의 전원절약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의 사용을 위한 규칙들은 레거시 및 U-APSD 사용에 의존한다.
PS-POLL 프레임들은, CP 폴링 가능하지 않고 전원절약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단말에 의해, 이 단말이 단말을 위한 AP에 버퍼링된 단위들이 없다는 정보를 비컨 신호의 트래픽 표시 맵(TIM)으로 수신할 때 AP에 송신된다. 단말은 데이터 단위들을 수신하기 위해 깨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AP는 데이터 단위들을 즉시 또는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모든 데이터 단위들을 수신하였음을 데이터 단위들의 추가 데이터 비트가 표시한 후, 단말은 졸고 있는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CF 폴링 가능 단말에는 CF기간 동안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가 있을 수 있음이 비컨 프레임의 TIM으로 알려진다. CF 폴링 가능 단말은 CF기간 동안 깨어 있는 상태로 유지한다.
U-APSD 및 S-APSD는 다운링크 프레임들의 전원절약형 국들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메커니즘들이다. U-APSD에서, 프레임들은 비스케줄식 서비스 기간 동안 전달될 수 있고, S-APSD에서는, 프레임들은 스케줄식 서비스 기간 동안 전달될 수 있다. 스케줄식 서비스 기간들은 고정된 시간간격들로 시작하고 비스케줄식 서비스 기간들은 단말들에 의해 트리거될 때 시작한다.
만일 모든 액세스 카테고리들이 APSD를 이용하면, 개별 AP가 트래픽, 즉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데이터 비트들을 가질 때 추가 데이터 비트 및 TIM 비트는 설정된다. 만일 레거시 PS-POLL 기반 전원절약이 하나 이상의 액세스 카테고리들을 위해 이용되면, 개별 AP가 레거시 PS-POLL 액세스 카테고리들에서 버퍼링된 트래픽을 가질 때 추가 데이터 비트와 TIM 비트는 설정된다. AP의 APSD 버퍼들에서의 버퍼링된 트래픽은 레거시 PS-POLL 기반 전원절약이 하나 이상의 액세스 카테고리를 위해 사용될 때 추가 데이터 비트에서 보이지 않는다.
단말은, 예를 들면, 핸드오버 또는 로밍 상황에서 또는 다른 이유로 하나의 접근점(AP)에서 다른 접근점으로 이전(transition)을 해야만 하거나 그렇게 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제1 AP에서 제2 AP로의 이전이 수행될 때, 제1 AP에서 단말에의 전송 기회를 기다리고 있던 버퍼링된 데이터는 제2 AP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능동모드 뿐 아니라 전원절약 모드에 있는 단말은 제1 AP에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정의되었던 바와 같이, 능동 모드에 있는 단말은 항상 미디어를 청취하고 있고 언제라도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버퍼링된 데이터의 상기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단말이 제2 AP로 변경하기 전에 수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추가 데이터는 IEEE P802.11e, 단락 6.1.1.3에 명기된 모든 다른 액세스 카테고리들(AC)을 커버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추가 데이터 비트(213)의 사용을 위한 규칙들은 능동 단말들 및 전원절약 단말들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전력관리 비트(212)의 상태에 무관하게, 추가 데이터 비트(21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AP가 단말을 위한 버퍼링된 데이터를 가지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게다가, 전원절약을 위해 사용된 메커니즘은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데이터 비트 정보로써, 제1접근점(14)에서 제2접근점(14)으로 변경하려고 하는 단말(12)은 먼저 제1 AP(14)로부터 모든 버퍼링된 데이터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그 후에 제2 AP(16)에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데이터 지연 및 소거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 또는 단말의 사용자 또 는 클라이언트는, 제2 AP로의 변경 전에 제1 AP로부터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원하는지 또는 필요로 하는지를 선택할 기회가 주어진다. 만일 단말이 제1 AP로부터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기로 선택하면, 단말은 나머지 데이터가 제2 AP에 보내어지고 제2 AP를 통해 단말에 전달되어야 함을 제1 AP에 표시할 수 있다.
접근점은 AP에 의해 서비스되는 모든 단말들을 위해 AP에서의 버퍼들의 상태를 알고 있다. AP는 버퍼링된 데이터의 레코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AP는 단말들의 전력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버퍼링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개별 단말들에 제공할 수 있다. 능동 모드에 있는 단말들은, 전원절약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버퍼링된 데이터의 정보, 또는 "추가 데이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를 보인다. 단계 400에서, 단말은 제1접근점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데이터는 MAC 헤더에 있는 프레임 제어 필드의 추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프레임을 포함한다. 추가 데이터 필드는 제1접근점이 여전히 단말에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가질 때 1로 설정된다. 추가 데이터 필드는 제1접근점에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추가 데이터가 없을 때 0으로 설정된다. 단계 402에서, 단말은 접근점의 변경이 필요한지를, 예를 들면 제2접근점으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를 결정한다. 단계 404에서, 단말은 추가 데이터 필드에 설정된 값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그 값이 단계 404에서 1로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은, 단계 406에서, 남아있는 데이터가 수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단말이 남아있는 데이터가 수신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면, 단계 408에서, 단말은 접근점의 변경을 지연한다. 단계들인 404, 406 및 408은 추가 데이터 필드가 0으로 설정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단계 406에서, 남아있는 데이터가 수신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다면 또는 그 값이, 단계 404에서, 0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단계 410에서, 핸드오버와 같은 접근점의 변경을 적당한 방식으로 진행한다.
접근점 변경 상황에서, 단말과 제1접근점 사이의 연결은 매우 열악하다. 제1접근점에의 연결이 손실되고 단말이 제2 AP만을 청취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만일 제1접근점이 단말에의 연결이 손실되었다고 판단하면, 제1접근점은 남아있는 데이터를 제2접근점을 통해 단말에 전달하기 위해 제2접근점에 남아있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추가 데이터 필드는 IEEE P802.11e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은 모든 액세스 카테고리들(AC)을 커버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현재 4개의 AC들이 정의되어 있다. 추가 데이터 필드는 버퍼링된 프레임들이 속한 AC가 무엇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단말 알고리즘 구현에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비트에 의해 제공된 정보는 정상정인 동작에서 유용할 수 있는데 단말이 추가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전원절약 상태들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총(full) 전력 동작모드에 있는 단말이 이 단말을 위한 버퍼링된 데이터를 AP가 가짐을 알게 할 수 있다. 단말은 AP로부터 버퍼링된 데 이터를 이전할 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의 견지에서 설명되었지만, 각종 변형예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은 접근점이 전달하려는 트래픽을 저장하거나 버퍼링할 수 있는 어떠한 통신 시스템이라도 가능하다.

Claims (26)

  1.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접근점과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서, 제1접근점으로부터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전달 정보에 기초하여 제1접근점으로부터 제2접근점으로의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매체 접근 제어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추가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단위가 제1접근점에 남아 있음을 표시하는 '1'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들이 제1접근점에는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는 단 계는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액세스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추가 데이터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경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1접근점에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전달 정보가 표시할 때까지 단말이 접근점의 변경을 지연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전력 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단말에, 제1접근점으로부터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전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전원절약 모드에 있는 단말에 대한 것들과 유사한 규칙들에 따라서 언제라도 데이터를 수신할 능력이 있는 단말에 매체 접근 제어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단위가 제1접근점에 남아 있음을 표시하는 '1'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가 제1접근점에는 남아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액세스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프로그램이 컴퓨터 수단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계들 중의 어느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프로그램이 컴퓨터 수단에서 실행될 때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계들 중의 어느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4. 접근점으로부터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접근점과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용 접근점.
  15. 제14항에 있어서, 전달 정보는 매체 접근 제어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 있는 추가 데이터 비트를 포함하는 접근점.
  16. 제15항에 있어서, '1'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단위가 제1접근점에 남아 있음을 표시하는 접근점.
  17. 제15항에 있어서,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비트는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가 제1접근점에는 남아 있지 않음을 표시하는 접근점.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비트는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액세스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접근점.
  19. 통신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단말로서, 제1접근점으로부터 제1접근점과는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 단위들이 제1접근점에 존재하지 않음을 전달 정보가 표시할 때까지 제1접근점으로부터 제2접근점으로의 변경을 단말이 지연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단말.
  20. 접근점으로부터 접근점과는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접근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1. 접근점으로부터 접근점과는 접속 진행 중인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
  22. 단말의 전력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접근점으로부터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용 접근점.
  23. 제22항에 있어서, 전원절약 모드에 있는 단말에 대한 것들과 유사한 규칙들에 따라서 언제라도 데이터를 수신할 능력이 있는 단말에 매체 접근 제어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에 있는 추가 데이터 비트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접근점.
  24. 단말의 전력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접근점으로부터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해석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단말.
  25. 단말의 전력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접근점으로부터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접근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6. 단말의 전력관리 모드에 무관하게 접근점으로부터 단말에 전달하려는 데이터의 량에 관련한 전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신 시스템.
KR1020077008941A 2007-04-19 2004-09-20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556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8941A KR20070055607A (ko) 2007-04-19 2004-09-20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8941A KR20070055607A (ko) 2007-04-19 2004-09-20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607A true KR20070055607A (ko) 2007-05-30

Family

ID=3827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941A KR20070055607A (ko) 2007-04-19 2004-09-20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56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781B2 (en) Power saving mechanism for wireless LANs via schedule information vector
US7085595B2 (en) Power 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2218236B1 (en) Procedure for a power save mode in a direct link setup wireless network
US8259632B2 (en) Peer power save mode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wireless network
CA2716353C (en) Wireless network including post groupcast time
RU262581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нергосбережения в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и
US7245946B2 (en) Optimal power saving scheduler for 802.11e APSD
US8295216B2 (en) Broad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techniques for powersave devices in wireless networks
US7257095B2 (en) Power saving via physical layer address filtering in WLANs
EP2346208B1 (en) Access control to a wireless network
RU2480957C2 (ru) Способ экономии потребляемой мощности для устройст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EP1730885B1 (en) Multicasting in wireless networks
US7860043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US20100184443A1 (en) Explicit layer two signaling for discontinuous reception
US20070211745A1 (en) Standby time improvements
US200500095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process of an access point (AP) supporting power management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lients, and AP for performing the same
US20090253470A1 (en) Control of user equipment discontinuous reception setting via mac lcid
KR20080066689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집합 프레임을 핸들링하기 위한 타이밍정보의 사용
WO2008005689A2 (en) Sleep mode optimization for increasing battery lif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9521187A (ja) より節電するためのマルチポール指示
US20080151835A1 (en) Controlling Change of an Access Poi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953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stations on a CSMA/CA-based wireless LAN
US8553703B2 (en) IEEE 802.11e MAC signaling to support schedule QoS
Li et al. DLI: A dynamic listen interval scheme for infrastructure-based IEEE 802.11 WLANs
KR20070055607A (ko) 통신 시스템에서 접근점의 변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