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206A -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 - Google Patents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206A
KR20070055206A KR1020050113650A KR20050113650A KR20070055206A KR 20070055206 A KR20070055206 A KR 20070055206A KR 1020050113650 A KR1020050113650 A KR 1020050113650A KR 20050113650 A KR20050113650 A KR 20050113650A KR 20070055206 A KR20070055206 A KR 2007005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ice
ice maker
suppl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5206A/en
Publication of KR2007005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2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는 급수할 물을 저장하는 급수용기(51)와 상기 급수용기(51)로부터 제빙기(3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61)과 상기 급수용기(51)와 제빙기(31)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용기(51)는 급수공으로 물이 급수되도록 그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급수용기(51)는 그 후벽에 천공된 다수개의 급수공(57)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공(57)에는 급수관(61)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61)의 소정지점에는 결착환 안착부(63)가 형성되어 결착환(65)이 구비되며, 상기 결착환(65)의 소정지점에 결착고리(67)가 구비되어 상기 결착고리(67)에 의해 상기 급수관(61)과 상기 급수용기(51)가 결착된다. 상기 체결수단(71)은 상기 급수용기(5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2개의 체결편(73)과 상기 체결편(73)의 사이에 요입되어 형성된 체결홈(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외부로 제빙기(31)를 분리하지 않고 아이스트레이에 급수를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n ice tray of the refrigerator.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upply container 51 for storing the water to be watered and a water supply pipe 61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to the ice maker 31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and the ice maker 3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means 71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formed to be inclined at its bottom surface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hol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supply holes (57) perforated in the rear wall and the water supply hole (57) The water supply pipe 61 is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water supply pipe 61, a binding ring seating portion 63 is formed to provide a binding ring 65, and a binding ring 67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binding ring 65 to provide the binding ring ( 67, the water supply pipe 61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bound. The fastening means 71 is composed of two fastening pieces 7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and a fastening groove 75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pieces 7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ce tray can supply water to the ice tray without removing the ice maker 31.

급수용기, 체결수단, 급수공, 급수관 Water supply container, fastening means, water supply hole, water supply pipe

Description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Water supply device for ice tray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space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아이스트레이를 보인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tray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제빙기용 급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 maker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장치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low.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3.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급수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6 is a use state showing the use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51: 급수용기 55: 수량눈금  51: water supply container 55: quantity scale

57: 급수공 59: 결착홈  57: water supply 59: binding groove

61: 급수관 65: 결착환  61: water supply pipe 65: binding ring

67: 결착고리 71: 체결수단   67: fastening ring 71: fastening means

73: 체결편 75: 체결홈  73: fastening piece 75: fastening groove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n ice tray of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n ice tray that can supply water to the ice tray of the refrigerator.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빙기가 구비되어 있는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의 내부에는 냉동실(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동실(10)의 안쪽에는 제빙박스(21)가 상기 냉동실(10)의 안쪽 양 측면과 밀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빙박스(21)는 대략 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며 그 내부는 제빙기(31)와 얼음 저장 용기(41)가 안착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1 and 2 illustrate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the drawing, a freezer compartment 10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body 1, and an ice box 21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inner sides of the freezer compartment 10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10. . The ice making box 21 is opened in an approximately hexahedral box shape,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ice making box 31 and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상기 제빙박스(21)의 안쪽 측면에는 상기 제빙기(31) 및 얼음저장용기(41)의 바깥쪽 측판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33,43)를 안내하도록 가이드 레일(23,23')이 소정거리가 이격되어 각각 상측과 하측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guide rails 23 and 23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inner side of the ice box 21 to guide the guide ribs 33 and 43 formed on the outer side plates of the ice maker 31 and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It is spaced apart and formed long forward and backwar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 레일(23,23') 중 상측에 형성된 것이 상기 제빙기(31)의 가이드 리브(33)를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레일(23)이며, 하측에 형성된 것이 상기 얼음저장용기(41)의 가이드 리브(43)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레일(23')이다.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s 23 and 23 'is a first guide rail 23 for guiding the guide ribs 33 of the ice maker 31, and the lower side is a guid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It is the 2nd guide rail 23 'which guides the rib 43. As shown in FIG.

상기 가이드 리브(33,43) 중 상기 제빙기(31)의 양 바깥쪽 측판에 형성된 것이 제 1 가이드 리브(33)이며, 상기 얼음저장용기(41)의 양 바깥쪽 측판에 형성된 것이 제 2가이드 리브(43)이다.The guide ribs 33 and 43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 plates of the ice maker 31, and the first guide ribs 33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 plate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and the second guide ribs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 plate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43).

상기 제빙박스(21)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3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빙기(31)는 실질적으로 얼음이 만들어지는 한쌍의 아이스트레이(35)와 상기 아이스트레이(35)가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37)으로 구성된다.An ice maker 31 for making ice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ce box 21. The ice maker 31 is composed of a pair of ice trays 35 substantially made of ice and a support frame 37 on which the ice trays 35 are rotatably supported in one direction.

도 2에 따르면 상기 아이스트레이(35)에는 얼음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빙홈(39)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홈(39)은 구획판(35')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구획판(35')의 상단에는 각각의 제빙홈(39)을 연결시키는 연결홈(39')이 형성된다. 2, the ice tray 35 includes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39 in which ice is formed. The ice making groove 39 is divided by a partition plate 35 ', and a connection groove 39'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35 'to connect the respective ice making grooves 39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35)는 그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도 1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 그 후단에 대하여 전단이 비틀어질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37)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7)은 그 양측판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리브(33)가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23)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The ice tray 3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37 so that the front end thereof can be twisted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thereof while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 about its longitudinal axis. do. 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37 slid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23 in a state where the first guide ribs 33 formed on both side plates thereof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rail 23.

상기 제빙기(31)의 하방에는 얼음저장용기(41)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얼음저장용기(41)에는 상기 제빙기(31)에서 형성된 얼음이 저장된다. 상기 얼음저장용기(41)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제빙기(31)에서 형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45)이 구비된다. Below the ice maker 31,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is installed to be withdrawn. Ice formed in the ice maker 31 is stor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45 for storing ice formed in the ice maker 31 is provided therein.

그리고 상기 얼음저장용기(41)의 양측판에 구비된 제 2 가이드 리브(43)는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23')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43)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ribs 43 provided on both side plate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41 slide along the second guide rails 4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rails 23 ', respectively.

이와 같이 구성된 제빙기(31)를 이용하여 제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기존의 제빙기(31)에 급수를 하기 위해서는 냉장고의 도어를 연후에 제빙박스(21)로부터 제빙기(31)를 탈거하여 제빙기(31)의 아이스트레이(35)에 직접 급수를 한 후 다시 냉장고의 도어를 열고 제빙박스(21)에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Referring to the process of making ice using the ice maker 3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existing ice maker 31, the user first removes the ice maker 31 from the ice maker 21 after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fter the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ce tray 35 of the ice maker 31,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again, and the sliding is coupled to the ice box 21.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제빙기(31)에 급수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빙기(31)를 냉장고로부터 분리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분리된 제빙기(31)의 아이스트레이(35)에 급수를 한 후, 냉장고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아이스트레이(35) 내부에 급수된 물이 이동중의 진동에 의해 상기 아이스트레이 (35) 밖으로 유출된다. 또한 급수된 제빙기(31)를 냉장고 내부의 제빙박스(21)에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진동에 의해 아이스트레이(35) 내부에 급수된 물이 아이스트레이(35) 밖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ice maker 31, the user needs to separate the ice maker 31 from the refrigerator,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Then, after the user supplies water to the ice tray 35 of the separated ice maker 31, the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ce tray 35 moves to the position where the refrigerator is located. Spill out).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water supply ice maker 31 to the ice making box 21 inside the refrig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supplied into the ice tray 35 is leaked out of the ice tray 35 by vibration.

이와 같이 유출된 물은 가이드 리브(33)와 가이드 레일(23) 사이에 잔존하여 제빙되므로 제빙기(31)의 탈거를 어렵게 만들고, 제빙기(31)의 탈거를 위해 과도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제빙기(31)를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outflowed water remains between the guide ribs 33 and the guide rails 23 to make ice, making it difficult to remove the ice maker 31, and in case of applying excessive external force to remove the ice maker 31, the ice maker 31 There is a problem that will be broke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빙기를 냉장고의 외부로 분리하지 않고 아이스트레이에 직접 급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configured to directly supply water to the ice tray without separating the ice maker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물이 담겨지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된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용기로부터 제빙기의 아이스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급수관과,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제빙기를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upply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to the ice tray of the ice maker, It comprises a faste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ice maker.

상기 급수용기는 그 바닥면이 후벽방향으로 물이 급수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후벽의 상단부에는 내부로 요입된 결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용기의 내부에는 아이스트레이에 급수될 물의 양을 표시한 수량눈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in the rear wall direction, and an upper end of the rear wal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binding groove recessed therein,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may be supplied with an ice tray. A quantity scale indicating the amount of water is provided.

상기 급수관은 소정지점에 상기 급수관의 중심방향으로 요입되어 결착환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착환 안착부에는 링형상의 결착환이 구비되며, 상기 결착환의 소정지점에는 상기 결착홈에 결착되어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관을 결착하는 결착고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ter supply pipe is recess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binding ring seating portion, the binding ring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binding ring, the predetermined point of the binding ring is bound to the binding groove and the water supply vessel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ring for binding the water supply pipe is formed.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급수용기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급수장치와 체결될 상기 제빙기의 전면판의 상단부를 전후 양측에서 지지할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 사이에 요입되어 상기 제빙기의 전면판의 상단부가 안착할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means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astening piece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to be fasten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from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fastening pie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groove to be mounted on the upper en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장치에 의하면, 제빙기에 급수를 하기 위하여 제빙기를 냉장고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제빙기에 직접 급수를 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도모되고, 직접 급수시에 발생하는 누수에 의한 결빙현상이 없으므로 제빙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ice maker, the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ce maker without separating the ice maker from the refrigerator,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facilitated, and the phenomenon of freezing caused by water leakage during direct water supply is achieved. As a result, breakage of the ice maker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빙기와 관련된 구성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3 to 5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 tray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ice maker refer to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용기(51)는 대략 다면체의 형상으로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안쪽에 급수할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53)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급수용기(51)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되어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has an upper surface in the shape of a polyhedron and a storage space 53 for storing water to be watered is formed therein. As shown, the water container 51 is in the shape of a cube.

상기 저장공간(53)의 바닥면은 상기 저장공간(53)의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53)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저장공간(53)의 후벽방향으로 급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공간(53)의 하면에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수단(71)이 위치한 지점이 상기 가변용기(51)의 무게중심선이 되도록 상기 저장공간(53)의 바닥면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저장공간(53)에 의하면 상기 저장공간(53)에 저장된 물이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공(57)으로 보다 원할하게 급수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53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storage space 53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53 can be supplied to the rear wall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53. Make s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53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point where the fastening means 71 to be described below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53 becom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riable container 51. Do. According to such a storage space 53,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53 is more smoothly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hole 57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급수용기(51)의 전벽, 후벽, 측벽의 안쪽면에는 아이스트레이(35)에 급수될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수량눈금(55)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수량눈금(55)은 물을 급수할 아이스트레이(35)의 수에 따라 상하로 다수개가 표시될 수 있 다.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the side wal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indicated by a quantity scale 55 so that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tray 35. The number of scales 55 may be displayed in a plurality of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ice tray 35 to supply water.

상기 급수용기(51)의 후벽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급수공(57)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급수공(57)들은 소정거리만큼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공(57)은 저장공간(53)내에 저장된 물이 잔존하지 않고 모두 아이스트레이(35)로 급수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용기(51)의 바닥면과 하벽이 접하는 모서리에 상기 급수공(57)의 하단부가 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급수공(57)은 아이스트레이(35)의 수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도시된 바에 따르면 2개의 급수공(57)이 구비된다. A plurality of water supply holes 57 are dri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wal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The water supply holes 57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water supply hole 57 is a water supply hole 57 in the corner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wal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53 does not remain all the water to the ice tray 35. The lower end of the cover) is formed in contact. The water supply hole 57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ce trays 35, and as shown, two water supply holes 57 may be provided.

상기 급수용기(51)의 후벽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결착고리(67)가 결착되는 결착홈(59)이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결착홈(59)은 2개가 구비된다. The upper end of the rear wal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59 to which the binding ring 67 to be described below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two binding grooves 59 are provided.

상기 급수공(57)과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61)은 유연성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하방으로 드리워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61)도 아이스트레이(35)의 수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급수관(61)이 구비된다. The water supply pipe 6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le 57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formed to be lowered downward. The water supply pipe 61 may also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ce trays 35.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water supply pipes 61 are provided.

상기 급수관(61)의 소정지점에는 상기 급수관(61)의 내부중심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결착환 안착부(63)가 구비된다. 상기 결착환 안착부(63)에는 결착환(65)이 구비되고, 상기 결착환(65)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결착고리(67)가 구비된다. 상기 결착환 안착부(63)의 형상에 의해 상기 결착환 안착부(63)에서는 상기 결착환(65)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water supply pipe 61 is provided with a binding ring seat 63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inner center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61. The binding ring seating portion 63 is provided with a binding ring 65, the binding ring 65 is provided with a binding ring 67 to be described below. Due to the shape of the binding ring seating portion 63, the binding ring 65 can be freely moved in the binding ring seating portion 63.

상기 결착환(65)의 소정지점에는 상기 급수관(61)과 급수용기(51)를 결착하 는 결착고리(67)가 구비된다. 상기 결착고리(67)는 상기 결착홈(59)에 결착되어 상기 급수관(61)을 통한 급수를 제어한다.A predetermined point of the binding ring 65 is provided with a binding ring 67 for binding the water supply pipe 61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The binding ring 67 is bound to the binding groove 59 to control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1.

상기 급수용기(51)의 하면에는 제빙기(31)와 급수장치를 결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71)은 상기 급수용기(51)의 후단부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급수용기(51)의 외측 하면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수단(71)은 급수장치가 체결되는 상기 제빙기(31)의 전면판의 상단부를 전후 양쪽에서 지지할 체결편(73)과 상기 제빙기(31)의 전면판의 상단부가 안착될 체결홈(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71)에 의해 급수용기(51)는 제빙기(31)의 전면판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formed with a fastening means 71 for binding the ice maker 31 and the water supply device. The fastening means 71 is provided at an outer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The fastening means 71 is a fastening piece 73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31 to which the water supply device is fastened, and a fastening groove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31 is mounted. 75).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31 by the fastening means 71.

상기 체결편(73)은 상기 급수용기(5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나란히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체결홈(75)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75)의 폭은 급수장치가 체결될 상기 제빙기(31)의 전면판의 상단부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fastening piece 73 is formed to protrude side by si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and the fastening groove 75 is formed therebetween. The width of the fastening groove 75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31 to which the water supply device is fasten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ice tr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냉장고의 도어를 연 후, 제빙기(31)를 제빙박스(21)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빙기(31)가 제빙박스(21)로부터 완전히 탈거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First, after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ice maker 31 is withdraw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ce making box 21 to the fron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ce maker 31 is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ice making box 21.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급수장치의 급수관(61)에 구비된 결착고리(67)를 급수용기(51)의 후벽에 구비된 결착홈(59)에 결착시킨후 급수원에서 상기 급수용기 (51)에 급수를 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용기(51)의 내부에 표시된 수량눈금(57)에 의해 급수할 아이스트레이(35)의 수에 따라 적정량의 물을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고리(67)가 결착된 상태에서는 낙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급수용기(51)의 내부에 급수된 물이 급수관(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And after binding the binding ring 67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61 of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inding groove 59 provided in the rear wal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n the water supply source. Give wat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A, water may be supplied in an appropriate amou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ice trays 35 to be watered by the quantity scale 57 displayed inside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n addition, since the drop does not occur in a state where the binding ring 67 is bound, wat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1.

그리고 상기 급수용기(51)를 냉장고로 이동시켜 상기 제빙기(31)의 전면판의 상단부에 급수용기(51)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수단(71)을 위치시킨후 하방으로 눌러 결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빙기(31)의 전면판의 상단부가 체결홈(75)에 안착되고, 체결편(73)이 상기 제빙기(31)의 전면판의 상단부를 전후 양쪽에서 지지하여 상기 제빙기(31)와 급수장치가 결착되게 되고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체결수단(71)에 의해 상기 제빙기(31)에 지지된다.Then,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moved to the refrigerator, and the fastening means 7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31 to be pressed downward. Then,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31 is seated in the fastening groove 75, and the fastening piece 73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31 from both front and rear, so that the ice maker 31 and the water supply The device is bound and the water supply device is supported by the ice maker 31 by the fastening means 71.

상기 급수용기(51)의 장착이 완료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고리(67)를 결착홈(59)으로부터 탈거시킨후 상기 급수관(61)을 아이스트레이(35)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저장공간(53)의 경사진 바닥면 및 상기 저장공간(53)과 상기 아이스트레이(35)사이의 낙차에 의해 급수용기(51)에 급수된 물은 급수공(57)을 통과하여 급수관(61)을 따라 아이스트레이(35)에 급수된다. When the mounting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6B, the binding ring 67 is removed from the binding groove 59, and then the water supply pipe 61 is positioned on the ice tray 35. T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51 by the inclined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53 and the drop between the storage space 53 and the ice tray 35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57 to supply the water supply pipe ( Water is supplied to the icetray 35 along 61).

이때 사용자는 상기 급수관(61)을 상기 아이스트레이(35)에 구비된 다수의 제빙홈(39)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급수관(70)을 별도로 위치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아이스트레이(35)의 구획판(35')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홈(39')에 의해 급수되지 않은 모든 제빙홈(39)에 급수를 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user may position the water supply pipe 61 in the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39 provided in the ice tray 35.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position the water supply pipe 70 separately, all the ice making grooves 39 which are not supplied by the connection grooves 39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35' of the ice tray 35. You will be able to wat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device for an ice tray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제빙기를 냉장고의 외부로 분리하여 급수를 하지 않고 제빙기에 직접 급수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도모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빙기에 급수를 하여 이동하거나 급수된 제빙기를 제빙박스에 결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급수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ice maker can be separated in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water can be fed directly to the ice maker, the convenience of use is promoted.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move the water supply to the ice maker or bind the water supply ice maker to the ice maker box,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overflow that occurs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따라서 상기 물넘침 현상으로 인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리브 사이의 결빙현상도 방지되어 제빙기를 탈거하기 위해 과도한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아이스트레이의 수에 따라 구비된 다수의 급수관에 의해 동시에 급수가 되므로 급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아이스트레이의 효용성이 증대된다. Therefore, the freezing phenomenon between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rib due to the water overflow phenomenon is also prevent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excessive external force to remove the ice maker. In addition, since water is simultaneously supplied by a plurality of water pipes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ce trays, the water supply time can be shortened, thereby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ice trays.

Claims (4)

물이 담겨지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된 급수용기와, A water supply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for containing water, 상기 급수용기로부터 제빙기의 아이스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급수관과, A plurality of water pipes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to the ice tray of the ice maker;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제빙기를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And a faste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the ice mak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급수용기는 그 바닥면이 후벽방향으로 물이 급수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급수용기의 후벽의 상단부에는 내부로 요입된 결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용기의 내부에는 아이스트레이에 급수될 물의 양을 표시한 수량눈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in the rear wall direction, and an upper end of the rear wall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binding groove recessed therein,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may be supplied with an ice tray. A water supply device for an ice tray of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quantity scale indicating the amount of water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급수관은 소정지점에 상기 급수관의 중심방향으로 요입되어 결착환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착환 안착부에는 링형상의 결착환이 구비되며, 상기 결착환의 소정지점에는 상기 결착홈에 결착되어 상기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관을 결착하는 결착고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       The water supply pipe is recess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with a binding ring seating portion, the binding ring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binding ring, the predetermined point of the binding ring is bound to the binding groove and the water supply vessel And a binding ring for binding the water supply pipe with the ice tray.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급수용기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빙기의 전면판의 상단부를 전후 양측에서 지지하는 체결편과, The fastening means is a fastening piec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from front and rear sides, 상기 체결편 사이에 요입되어 상기 제빙기의 전면판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아이스트레이용 급수장치.And a fastening groove recessed between the fastening pieces and seat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of the ice maker.
KR1020050113650A 2005-11-25 2005-11-25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 KR200700552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650A KR20070055206A (en) 2005-11-25 2005-11-25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650A KR20070055206A (en) 2005-11-25 2005-11-25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206A true KR20070055206A (en) 2007-05-30

Family

ID=3827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650A KR20070055206A (en) 2005-11-25 2005-11-25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520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090A (en) * 2013-10-04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ing unit
CN106560667A (en) * 2015-10-06 2017-04-12 日立空调·家用电器株式会社 Refrigerator
US9727686B2 (en) 2013-01-03 2017-08-08 B.G. Negev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Ltd. Method for finding non-essential flip flops in a VLSI design that do not require retention in standby mod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7686B2 (en) 2013-01-03 2017-08-08 B.G. Negev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Ltd. Method for finding non-essential flip flops in a VLSI design that do not require retention in standby mode
KR20150040090A (en) * 2013-10-04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ing unit
CN106560667A (en) * 2015-10-06 2017-04-12 日立空调·家用电器株式会社 Refrigerator
CN106560667B (en) * 2015-10-06 2019-08-16 日立空调·家用电器株式会社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513B1 (en) Refrigerator
EP2059734B1 (en)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tray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EP2419683B1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US20070012611A1 (en) Water purification filter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0714559B1 (en) Ice tray assembly used in a refrigerator
EP3295099B1 (en) Refrigerator
US20070012061A1 (en) Ice mold supply system for refrigeration appliances
KR200471492Y1 (en) Computer desk
KR100797481B1 (en) Refrigerator
CN104329843B (en) Ice-discharging apparatus, ice-making machine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EP2405219B1 (en) Refrigerator
KR20110138777A (en) Refrigerator
KR20070055206A (en)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icetray
KR20110103523A (en) Refrigerator
KR102640857B1 (en) Refrigrator
KR20080064558A (en) Refrigerator
CN101375116A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RU2006106207A (en) ICE GENERATOR
KR101136244B1 (en) Guide-rail of container for refrigerator
KR101053849B1 (en) Refrigerator
KR200232034Y1 (en) Refrigerator Ice Maker
KR101038344B1 (en) Ice manufacture case
KR101259526B1 (en) Ice maker
KR20070003395A (en) Home bar of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