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919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919A
KR20070053919A KR1020050111742A KR20050111742A KR20070053919A KR 20070053919 A KR20070053919 A KR 20070053919A KR 1020050111742 A KR1020050111742 A KR 1020050111742A KR 20050111742 A KR20050111742 A KR 20050111742A KR 20070053919 A KR20070053919 A KR 2007005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yback
notification clock
clock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승재
이락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111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3919A/ko
Publication of KR2007005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대기화면 상태 하에서, 만약, 하위 컴포넌트 측 사정으로 인해,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이 늦어져,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의 발생시점 간격이 적정 수준(예컨대, 타겟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시간간격 수준) 보다 넓어질 경우,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적절히 보정하여,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의 발생시점 간격을 예컨대, <타겟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시간간격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를 통해, C/S를 이루는 각 프레임의 출력·재생이 하위 컴포넌트의 클럭발생 지연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타겟 C/S의 고유 속성에 맞추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단말(사용자) 측에서, 컨텐츠 프레임의 업-데이트가 누락 또는 아예 중단되는 등의 각종 피해를 융통성 있게 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for playing a contents for a standby scree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C/S 프레임의 순차적 출력·재생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S 재생 관리모듈의 세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S 프레임의 순차적 출력·재생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S 재생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대기화면(Standby mode) 상태 하에서, 만약, 하위 컴포넌트(Low level component) 측 사정으로 인해,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Frame playing notice clock)의 발생시점이 늦 어질 경우,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적절히 보정하여,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의 발생시점 간격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를 통해, 대기화면용 컨텐츠(C/S:Contents for a Standby screen; 이하, "C/S"라 칭함)를 이루는 각 프레임의 출력·재생이 하위 컴포넌트의 클럭발생 지연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타겟 C/S의 고유 속성에 맞추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단말(사용자) 측에서, 컨텐츠 프레임의 업-데이트가 누락 또는 아예 중단되는 등의 각종 피해를 융통성 있게 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C/S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및 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또한 빠른 보급속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통적인 유선통신 단말기와 달리, 일련의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간 이동 통신 인프라를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체제 하에서, 사용자는 위치에 관계없이 자신이 원하는 상대방과 자유롭게 통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체제 하에서, 단말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화면 상태에 놓이게 되면, C/S 재생 관리모듈 측에서는 단말 제어모듈과의 교신 하에, 플래시 에니메이션, 동영상, 각종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 설정 C/S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출력·재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 재생 관리모듈(100) 측에서는 <우선, 단말 제어모듈의 하위 컴포넌트(예컨대, 타이머) 측으로부터 첫 번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s가 발생하면, 해당 발생시점 T1에서, 타겟 C/S의 첫 번째 프레임 F1(101)을 출력·재생시키게 되며, 두 번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이 추가 발생하면, 해당 발생시점 T2에서, 타겟 C/S의 두 번째 프레임 F2(102)를 출력·재생시키게 되고, 세 번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가 추가 발생하면, 해당 발생시점 T3에서, 타겟 C/S의 세 번째 프레임 F3(103)을 출력·재생시키게 되며, 나아가, 네 번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4가 추가 발생하면, 타겟 C/S의 네 번째 프레임 F4(104)를 출력·재생시키게 되는 등>의 동작 메커니즘을 통해, 일련의 C/S 재생 관리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C/S 재생 관리절차 하에서, C/S 재생 관리모듈(100)의 첫 번째 프레임 F1(101)의 출력·재생 후, 하위 컴포넌트가 적정 시점 T2에 후속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을 발생시켜, 전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간 발생시점 T2 및 T1 사이의 간격 Ta가 적절한 범위에 속할 경우, C/S 재생 관리모듈(100)은 별다른 문제점 없이, 두 번째 프레임 F2(102)를 출력·재생하는 절차를 후속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예컨대, C/S 재생 관리모듈(100)의 두 번째 프레임 F2(102)의 출력·재생 후, 하위 컴포넌트가 기준 시점보다 늦어진 T3에 후속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를 발생시켜, 전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간 발생시점 T3 및 T2 사이의 간격 Tb가 적절한 범위보다 넓어질 경우, C/S 재생 관리모듈(100)은 자체 판단에 따라, 세 번 째 프레임 F3(103)의 출력을 누락시킨 상태로, 단말 하위 컴포넌트와 다시 연락을 취하여, 차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추가 발생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하위 컴포넌트 측 사정으로 인해, 후속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3마저, 기준 시점보다 늦어진 T4에 발생되고, 그 여파로, 전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간 발생시점 T4 및 T3 사이의 간격 Tc 마저 적절한 범위보다 넓어지게 되는 경우, C/S 재생 관리모듈(100)은 자체 판단에 따라, 네 번째 프레임 F4(104)의 출력 마저 연이어, 누락시킨 체, 단말 하위 컴포넌트와 또 다시 연락을 취하여, 차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또 다른 추가 발생을 대기하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C/S를 이루는 각 프레임의 누락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다 보면, 단말(사용자) 측에서는 C/S의 각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출력·운영할 수 없게 되며, 심하게는 각 컨텐츠 프레임의 업-데이트(Up-date)가 아예 중단되는 등의 피해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하위 컴포넌트(예컨대, 타이머) 측에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을 기준시점 이내에 발생시킨다면, C/S 재생 관리모듈(100) 역시, 별다른 문제점 없이, C/S의 각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출력·재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상, 전원의 공급이 필수 컴포넌트에게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대기화면 환경 하에서, 하위 컴포넌트는 불가피하게, 그 동작속도가 일정 수준 느려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을 정상적으로 발생시킬 수 없게 되며, 결국,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C/S 재생 관리모듈 역시, 각 프레임의 출력을 번번이 누락시킬 수밖에 없게 되고, 그 여파로, 컨텐츠 프레임의 업데이트가 아예 멈춰지 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빈번하게 일으킬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화면 상태 하에서, 만약, 하위 컴포넌트 측 사정으로 인해,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이 늦어져,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의 발생시점 간격이 적정 수준(예컨대, 타겟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시간간격 수준) 보다 넓어질 경우,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적절히 보정하여,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의 발생시점 간격을 예컨대, <타겟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시간간격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를 통해, C/S를 이루는 각 프레임의 출력·재생이 하위 컴포넌트의 클럭발생 지연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타겟 C/S의 고유 속성에 맞추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단말(사용자) 측에서, 컨텐츠 프레임의 업-데이트가 누락 또는 아예 중단되는 등의 각종 피해를 융통성 있게 피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C/S를 저장 관리하면서, 단말이 처한 상황에 따라, 대기화면을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단말 제어모듈과, 상기 단말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대기화면 상태 하에서, 소정의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을 차례로 발생시켜, 상기 각 프레임의 순 차적 재생을 유도하는 하위 컴포넌트와, 상기 단말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하위 컴포넌트와 교신하면서,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에 맞추어, 상기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하며, 상기 하위 컴포넌트 측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 지연에 의해, 현 프레임(Present frame)의 재생·출력이 늦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보정하여, 상기 현 프레임이 직전 프레임(Just before frame)에 이어,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C/S 재생 관리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C/S 및 하위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단말 제어모듈과 교신하면서, 단말이 대기화면 상태에 놓이게 되면, 상기 하위 컴포넌트 측의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순서에 맞추어, 상기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하는 C/S 재생 관리모듈의 주도로 진행되며, 상기 하위 컴포넌트 측으로부터 현 프레임의 재생을 위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이 발생하면, 해당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간 차이가 기준 시간간격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간 차이가 기준 시간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상기 기준 시간간격을 기초로 하여,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시간 값에 따라, 상기 현 프레임을 직전 프레임에 이어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C/S 재생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C/S 재생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 체제 하에서, 단말 제어모듈(1)은 자신의 전산 제어체제 하에 놓인 각 전산 컴포넌트들, 예컨대, 메모리(3), 단말기능 보조모듈(4:예컨대, 백라이트, 키패드 구동모듈, 배터리 인터페이스모듈 등), 통신관련 회로모듈(5:예컨대, 신호 송신기, 신호 수신기, 안테나, 듀플랙서, 주파수 합성기 등), 표시 구동모듈(2) 등을 총괄적으로 컨트롤함으로써, 단말기(10)가 자신에게 주어진 무선통화 연결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메모리(3)는 단말 제어모듈(1)과의 신호 연결 하에, 각종 데이터들(예컨대, 프로그램 데이터, 단말 운영 데이터 등)은 물론, 예를 들어, 플래시 에니메이션, 동영상, 각종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 설정 C/S 또한 안정적으로 보관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 제어모듈(1)은 표시창(6)에 표시된 화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일련의 업데이트 정보를 표시 구동모듈(2)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표시창(6)에 표시되어 있던 화면이 새로운 화면으로 신속하게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단말(10)이 자신이 처한 상황(예컨대, 닫혀있던 폴더가 막 열린 상황 등)에 따라, 대기화면 상태에 놓이게 되면, 단말 제어모듈(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하위 컴포넌트(7), 예컨대, 타이머는 소정의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을 차례로 발생시켜, C/S를 이루는 각 프레임이 순차적으 로 재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C/S 재생 관리모듈(20) 측에서는 단말 제어모듈(1)과의 교신 하에, 메모리(3)에 접근하여, 기 설정되어 있던 타겟 C/S의 프레임을 추출 한 후, 추출 완료된 프레임을 하위 컴포넌트 측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에 맞추어, 표시창(6)을 통해 출력·재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전원의 공급이 필수 컴포넌트에게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대기화면 환경 하에서, 하위 컴포넌트(7)는 불가피하게, 그 동작속도가 일정 수준 느려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을 정상적으로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C/S 재생 관리모듈(20) 역시, C/S를 이루는 각 프레임의 출력을 번번이 누락시킬 수밖에 없게 되며, 그 여파로, 단말(사용자) 측에서는 컨텐츠 프레임의 업데이트가 아예 멈춰지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빈번하게 일으킬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C/S 재생 관리모듈(20)은 만약, 하위 컴포넌트(7) 측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 지연에 의해, 현 프레임(Present frame)의 재생·출력이 늦어지는 경우,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보정하여, 현 프레임이 직전 프레임(Just before frame)에 이어,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추가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C/S 재생 관리모듈(20)의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보정 동작>을 통해,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의 발생시점 간격이 적정 수준으로 조절되는 경우, C/S를 이루는 현 프레임은 하위 컴포넌 트(7)의 클럭발생 지연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직전 프레임에 이어,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단말(사용자) 측에서는 컨텐츠 프레임의 업-데이트가 누락 또는 아예 중단되는 등의 각종 피해를 융통성 있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S 재생 관리모듈(20)은 C/S 재생 컨트롤러(21)와, 이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26), C/S 프레임 로딩부(24), C/S 프레임 재생부(25),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획득부(23),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저장부(27),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저장부(28)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C/S 재생 컨트롤러(21)는 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단말 제어모듈(1)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단말(10)이 일련의 대기화면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경우, 그 즉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여부 체크절차, C/S(200)를 이루는 각 프레임(201,202,203,204)의 재생·출력절차,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지연여부 판단절차,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보정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26)는 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하위 컴포넌트(7)와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단말 제어모듈(1)에 의해 일련의 대기화면이 가동되는 경우, 그 즉시, 하위 컴포넌트(7) 측으로부터 일련의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이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C/S 재생 컨트롤러(21)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C/S 프레임 로딩부(24)는 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메모리(3)와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26)에 의해, 하위 컴포넌트(7) 측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그 즉시, 메모리(3)에 저장되어 있던 기 설정 타겟 C/S(200)에 접근하여, 해당 C/S(200)를 이루는 각 프레임(201,202,203,204)을 순차적으로 로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C/S 프레임 재생부(25)는 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표시 구동모듈(2)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26)에 의해, 하위 컴포넌트(7) 측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C/S 로딩부(24)와의 교신 하에, C/S(200)를 이루는 각 프레임(201,202,203,204)을 순차적으로 확보한 후, 해당 프레임(201,202,203,204)을 표시 구동모듈(2)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200)를 이루는 각 프레임(201,202,203,204)이 하위 컴포넌트(7) 측 프레임재생 통지클럭(Cs,C1,C2,C3)의 발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출력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C/S 프레임 재생부(25)는 예컨대, <단말 제어모듈(1)의 하위 컴포넌트(7) 측으로부터 첫 번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s가 발생하면, 해당 발생시점 T1에서, 타겟 C/S의 첫 번째 프레임 F1(201)을 출력·재생시키게 되며, 두 번째 프 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이 추가 발생하면, 해당 발생시점 T2에서, 타겟 C/S의 두 번째 프레임 F2(202)을 출력·재생시키게 되고, 세 번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가 추가 발생하면, 해당 발생시점 T3에서, 타겟 C/S의 세 번째 프레임 F3(203)을 출력·재생시키게 되며, 나아가, 네 번째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3가 추가 발생하면, 타겟 C/S의 네 번째 프레임 F4(204)를 출력·재생시키게 되는 등>의 동작 메커니즘을 통해, 일련의 C/S 프레임 재생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획득부(23)는 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메모리(3)와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26)에 의해, 하위 컴포넌트(7) 측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그 즉시, 메모리(3)에 접근하여, 타겟 C/S(200)의 고유한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타겟 C/S(200)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201,202,203,204) 간 고유 시간간격>을 획득한 후, 이를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추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가 자연스럽게 <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지연여부 확인 및 보정 절차>를 <타겟 C/S에 미리 설정된 프레임 간 고유 시간간격>을 기준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저장부(27)는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획득부(23)의 기능 수행에 의해,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고유 시간간격 데이터>가 확보되면, 해당 데이터를 자가 정보저장 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획득부(23)의 기능 수행에 의해, 타겟 C/S(200)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201,202,203,204) 간 고유 시간간격이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지연여부 확인 및 보정, 그리고, 재생절차>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경우, 단말 표시창(6)을 통해 최종 출력되는 각 프레임 F1,F2,F3,F4(201,202,203,204)는 자연스럽게 자가 귀속된 타겟 C/S(200)의 고유 속성을 매우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는 상술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26),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저장부(27) 등과의 교신 하에,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C2,C3 등의 발생시점 T2,T3,T4 등의 지연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C2,C3 등의 발생시점 T2,T3,T4 등이 지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발생시점 T2,T3,T4 등을 보정한 후, 보정된 시간 값을 C/S 프레임 재생부(25)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C/S 프레임 재생부(25)가 하위 컴포넌트(7)의 클럭발생 지연 하에서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현 프레임을 직전 프레임에 이어,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는 예컨대, C/S 프레임 재생부(25)가 첫 번째 프레임 F1(201)을 출력·재생시킨 다음, 하위 컴포넌트(7)가 현 프레임(F2:즉, 두 번째 프레임)의 재생을 위한 특정 시점 T2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을 발생시킨 경우, 해당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s의 발생시점 T2 및 T1 간 차이 Ta가 기준 시간간격, 바람직하게,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1/F2(201,202) 간 고유 시간간격 t1 보다 큰 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T2 및 T1 간 차이 Ta가 t1 보다 적은 경우, C/S 프레임 재생부(25)와 교신을 취하여, C/S 프레임 재생부(25)가 현 프레임을 직전 프레임 F1(201)에 이어, 순차적으로 정상 출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현 프레임 F1은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고유 시간간격 t1을 반영한 상태로 재생·출력되므로, 자가 귀속된 타겟 C/S(200)의 고유 속성을 매우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저장부(28)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와의 교신 하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의 발생시점 T2를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추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가 <후속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의 보정 절차>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의 발생시점 T2>를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C/S 프레임 재생부(25)가 두 번째 프레임 F2(202)를 출력·재생시킨 다음, 하위 컴포넌트(7)가 현 프레임(F3:즉, 세 번째 프레임)의 재생을 위한 특정 시점 T3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를 발생시킨 상황에서, 앞의 경우와 달리,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의 발생시점 T3 및 T2 간 차이 Tb가 C/S(200)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2/F3(202,203) 간 고유 시간간격 t2 보다 커,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의 발생시점이 지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는 해당 발생시점 T3을 T5로 앞당겨 보정 하여, T2와의 시차가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2/F3(202,203) 간 고유 시간간격 t2에 속하는 Tb1로 바뀔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이 경우, T5는 예컨대, (T2+t2)의 값을 가지게 됨).
물론, 이처럼,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에 의해,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의 발생시점이 T3에서 T5로 앞당겨지고, 이를 통해, T2와의 시차가 C/S(200)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2/F3(202.203) 간 고유 시간간격 t2에 속하는 Tb1로 바뀌게 되는 경우, 이를 통지 받은 C/S 프레임 재생부(25)는 하위 컴포넌트(7) 측 클럭 C2의 지연 상황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직전 프레임 F2(202)에 이어, 현 프레임 F3(203)을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단말(사용자) 측에서는 C/S의 업-데이트가 누락 또는 아예 중단되는 등의 각종 피해를 융통성 있게 피할 수 있게 된다(물론, 이 경우에도, 현 프레임 F3(203)은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2F3(202,203) 간 고유 시간간격 t2를 반영한 상태로 재생·출력되므로, 자가 귀속된 타겟 C/S(200)의 고유 속성을 매우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저장부(28)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와의 교신 하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의 발생시점 보정 값 T5>를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추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가 <후속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의 체크(또는, 보정) 절차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보정 값 T5>를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나아가, C/S 프레임 재생부(25)가 세 번째 프레임 F3을 출력·재생시킨 다음, 하위 컴포넌트(7)가 현 프레임(F4:즉, 네 번째 프레임)의 재생을 위한 특정 시점 T4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3를 발생시킨 상황에서,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3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의 발생시점 보정 값> T4 및 T5 간 차이 Tc1이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3/F4(203,204) 간 고유 시간간격 t3 보다 커,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3의 발생시점 T4가 기준보다 지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는 해당 발생시점 T4를 T6으로 앞당겨 보정하여, T5와의 시차가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3/F4(203,204) 간 고유 시간간격 t3에 속하는 Tc3으로 바뀔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이 경우, T6은 예컨대, (T5+t3)의 값을 가지게 됨).
물론, 이처럼,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에 의해,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3의 발생시점이 T4에서 T6으로 앞당겨지고, 이를 통해, T5와의 시차가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3/F4(203,204) 간 고유 시간간격 t3에 속하는 Tc3으로 바뀌게 되는 경우에도, 이를 통지 받은 C/S 프레임 재생부(25)는 하위 컴포넌트(7) 측 클럭 C3의 지연 상황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직전 프레임 F3(203)에 이어, 현 프레임 F4(204)를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단말(사용자) 측에서는 C/S의 업-데이트가 누락 또는 아예 중단되는 등의 각종 피해를 융통성 있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C/S 재생 컨트롤러(21)에 의해 제어되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저장부(28)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와의 교신 하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3의 발생시점 보정 값 T6>를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추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29)가 <후속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의 보정 절차>에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의 보정 값 T6>를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한 본 발명 고유의 C/S 재생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 재생 컨트롤러(1)는 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단말 제어모듈(1) 측과 교신을 취하여, 단말(10)이 대기화면 상태에 놓였는가를 체크한다(단계 S1).
이때, 단말(10)이 대기화면 상태에 놓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C/S 재생 컨트롤러(1)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26)를 활용하여, 하위 컴포넌트(7) 측으로부터 일련의 <최초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s>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2), 만약, 하위 컴포넌트(7) 측으로부터 최초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s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C/S 프레임 로딩부(24), C/S 프레임 시간간격 획득부(23) 등을 활용하여, 타겟 CS(200)에 설정되어 있던 C/S 프레임 간 고유 시간간격을 획득하고, 획득 완료된 C/S 프레임 간 고유 시간간격 데이터를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저장부(27)에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3)(도 4 참조).
이후, C/S 재생 컨트롤러(1)는 C/S 프레임 로딩부(24), C/S 프레임 재생부(25) 등을 활용하여, 하위 컴포넌트(7) 측 최초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s에 대응되는 <타겟 C/S(200)의 첫 번째 프레임 F1(201)>을 단말 측 표시창(6)을 출력·재생 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고(단계 S4), 이어, 단말 제어모듈(1) 측과 교신을 재차 취하여, 단말(10)이 아직도 대기화면 상태에 머물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이때, 단말(10)이 아직도 대기화면에 머물고 있는 경우, C/S 재생 컨트롤러(1)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26)를 활용하여, 하위 컴포넌트(7) 측으로부터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이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도 4 참조).
여기서, 하위 컴포넌트(7) 측으로부터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이 발생한 경우, C/S 재생 컨트롤러(1)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를 활용하여,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s의 발생시점 T2 및 T1 간 차이 Ta가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1/F2(201,202) 간 고유 시간간격 t1 보다 큰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도 4 참조).
이때, T2 및 T1 간 차이 Ta가 t1 보다 적은 경우, C/S 재생 컨트롤러(1)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저장부(28)를 활용하여,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의 발생시점 T2를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한 후(단계 S8), C/S 프레임 재생부(25)를 활용하여, 현 프레임을 직전 프레임 F1(201)에 이어, 순차적으로 정상 출력시킨다(단계 S11).
한편, 상술한 두 번째 프레임 F2(202)의 재생·출력 후, 앞의 단계 S5, S6이 반복 진행되고, 이어, 하위 컴포넌트(7) 측으로부터 현 프레임(F3:예컨대, 세 번째 프레임)의 재생을 위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가 발생한 경우, C/S 재생 컨트롤러 (1)는 그 즉시,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를 재차 활용하여,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의 발생시점 T3 및 T2 간 차이 Tb가 C/S(200)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2/F3(202,203) 간 고유 시간간격 t2 보다 큰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도 4 참조).
이때,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1의 발생시점 T3 및 T2 간 차이 Tb가 C/S(200)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2/F3(202,203) 간 고유 시간간격 t2 보다 커,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의 발생시점이 지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C/S 재생 컨트롤러(1)는 그 즉시,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를 통해, 해당 발생시점 T3을 T5로 앞당겨 보정하고, 결국, 이를 통해, T3 및 T2의 시차가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2/F3(202,203) 간 고유 시간간격 t2에 속하는 Tb1로 바뀔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9)(도 4 참조)(이 경우, T5는 예컨대, (T2+t2)의 값을 가지게 됨).
이어, C/S 재생 컨트롤러(1)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저장부(28)를 활용하여,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의 발생시점 보정 값 T5>를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한 후(단계 S10), C/S 프레임 재생부(25)를 활용하여, 현 프레임 F3(203)을 직전 프레임 F2(202)에 이어,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시킨다(단계 S11)(물론, 이처럼, C/S 프레임 재생부(25)가 하위 컴포넌트(7) 측 클럭 C2의 지연 상황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직전 프레임 F2(202)에 이어, 현 프레임 F3(203)을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시킬 수 있는 이유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록 발생시점 조절부(29)에 의해,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C2의 발생시점이 T3에서 T5로 앞당겨지고, 이를 통해, T2와의 시차가 C/S(200)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F2/F3(202.203) 간 고유 시간간격 t2에 속하는 Tb1로 바뀌었기 때문임).
이후, C/S 재생 컨트롤러(21)는 상술한 각 단계의 반복 진행을 통해, 타겟 C/S(200)를 이루는 각 프레임(201,202,203,204)의 출력·재생이 하위 컴포넌트의 클럭 발생 지연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타겟 C/S(200)의 고유 속성에 맞추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대기화면 상태 하에서, 만약, 하위 컴포넌트 측 사정으로 인해,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이 늦어져,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의 발생시점 간격이 적정 수준(예컨대, 타겟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시간간격 수준) 보다 넓어질 경우,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적절히 보정하여, 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과의 발생시점 간격을 예컨대, <타겟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시간간격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를 통해, C/S를 이루는 각 프레임의 출력·재생이 하위 컴포넌트의 클럭발생 지연 하에서도, 별도의 누락 없이, 타겟 C/S의 고유 속성에 맞추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단말(사용자) 측에서, C/S의 업-데이트가 누락 또는 아예 중단되는 등의 각종 피해를 융통성 있게 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대기화면 기능을 갖춘 다양한 기종의 전자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대기화면용 컨텐츠(C/S:Contents for a Standby screen)를 저장 관리하면서, 단말이 처한 상황에 따라, 대기화면(Standby screen)을 선택적으로 운용하는 단말 제어모듈과;
    상기 단말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대기화면 상태 하에서, 소정의 프레임재생 통지클럭(Frame playing notice clock)을 차례로 발생시켜, 상기 각 프레임의 순차적 재생을 유도하는 하위 컴포넌트(Low level component)와;
    상기 단말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하위 컴포넌트와 교신하면서,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에 맞추어, 상기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하며, 상기 하위 컴포넌트 측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 지연에 의해, 현 프레임(Present frame)의 재생·출력이 늦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보정하여, 상기 현 프레임이 직전 프레임(Just before frame)에 이어, 순차적으로 정상 재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C/S 재생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S 재생 관리모듈은 상기 단말 제어모듈과의 교신 하에,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여부 체크절차, 상기 각 프레임의 재생·출력절차,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지연여부 판단절차 및 발생시점 보정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C/S 재생 컨트롤러와;
    상기 C/S 재생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하위 컴포넌트와 교신을 취하여,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와;
    상기 C/S 재생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C/S에 접근하여, 해당 C/S를 이루는 각 프레임을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하는 C/S 프레임 재생부와;
    상기 C/S 재생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체크부와의 교신 하에,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지연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이 지연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발생시점을 보정한 후, 보정된 시간 값을 상기 C/S 프레임 재생부 측으로 전달하여, C/S 프레임 재생부가 현 프레임을 직전 프레임에 이어,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S 재생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고유 시간간격을 획득·관리하여,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시점 조절부가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지연여부 확인 및 보정을 상기 프레임 간 고유 시간간격을 기준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C/S 프레임 간 시간간격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 C/S 및 하위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단말 제어모듈과 교신하면서, 단말이 대기화면 상태에 놓이게 되면, 상기 하위 컴포넌트 측의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발생 순서에 맞추어, 상기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하는 C/S 재생 관리모듈의 주도로 진행되며,
    상기 하위 컴포넌트 측으로부터 현 프레임의 재생을 위한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이 발생하면, 해당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간 차이가 기준 시간간격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 및 직전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 간 차이가 기준 시간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프레임재생 통지클럭의 발생시점을 상기 기준 시간간격을 기초로 하여,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시간 값에 따라, 상기 현 프레임을 직전 프레임에 이어 순차적으로 재생·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C/S 재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간격은 상기 C/S에 고유하게 정해진 프레임 간 고유 시간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C/S 재생방법.
KR1020050111742A 2005-11-22 2005-11-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 KR20070053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742A KR20070053919A (ko) 2005-11-22 2005-11-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742A KR20070053919A (ko) 2005-11-22 2005-11-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919A true KR20070053919A (ko) 2007-05-28

Family

ID=3827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742A KR20070053919A (ko) 2005-11-22 2005-11-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39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07013B (zh) Vbo信号传输的控制方法、装置和显示终端
US108416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o, play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549027B2 (en) Network-synchronized media playback
CN110324689B (zh) 音视频同步播放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3804471B1 (en) Selecting one or more light effects in dependence on a variation in delay
CN104202614B (zh) 一种基于网络环境调整视频画质的方法及装置
CN105577947B (zh) 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220103880A (ko) 오디오 재생 방법, 장치 및 저장매체
CN111343477B (zh)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452643B (zh) 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及播放系统
CN112910592B (zh) 时钟同步方法及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0023646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circuit
TW201421929A (zh) 應用近場通訊的資訊快速同步方法
US20080076469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US8413254B2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of the same
US20110087894A1 (en) Method of managing multimedia data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function of managing multimedia data
KR20070053919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대기화면용 컨텐츠 재생방법
KR101062855B1 (ko) 대기화면 표시정보의 변경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JP2012239087A (ja) 撮像装置
CN111556198A (zh) 音效控制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71730A (ko) 휴대단말기의 음악재생 종료장치 및 방법
CN113301254A (zh) 视频录制方法、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586152A (zh) 蓝牙传输数据的播放方法及装置、蓝牙传输数据的发送方法及装置
US20240040065A1 (en) Video device, wireless audio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udio and video synchronization between video device and wireless audio device
CN115273763B (zh) 画面合成帧率调整方法及装置、显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