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872A -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872A
KR20070053872A KR1020050111642A KR20050111642A KR20070053872A KR 20070053872 A KR20070053872 A KR 20070053872A KR 1020050111642 A KR1020050111642 A KR 1020050111642A KR 20050111642 A KR20050111642 A KR 20050111642A KR 20070053872 A KR20070053872 A KR 20070053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inforcing member
region
electron emission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해수
하근동
임종훈
지현철
이원복
오혁근
정승희
히데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3872A/en
Priority to US11/291,527 priority patent/US20060145595A1/en
Publication of KR2007005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8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01J29/862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of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05Front or back plates
    • H01J2329/861Front or back pl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진공 용기를 형성하며, 방폭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와, 제1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한다. 제1 기판은 진공 용기 내부에서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보강 부재는 제1 기판과의 대향면에 오목부와 측벽을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forms a stable vacuum container without embedding a spacer and has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explosion protec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rst region together with a first substrate and a first substrate, and forms a second region together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region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vacuum container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positioned rearward, an electron emission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The first substrate forms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 communicating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ith each other in the vacuum cha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substantially flat, forming recesses and sidewalls on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substrate. It is formed to have an appearance.

전자방출부, 형광층, 표시장치, 진공구조체, 보강기판, 밀봉부재, 프릿 Electron emission unit, fluorescent layer, display device, vacuum structure, reinforcing board, sealing member, frit

Description

화상 표시장치 {IMAGE DISPLAY DEVICE}Image display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도 3은 제2 기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substrate.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강 부재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reinforcing member shown in FIG. 1.

도 5는 보강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를 전계 방출 어레이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applied to a field emission array typ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를 전계 방출 어레이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부분 단면도이다.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showing a case where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ield emission array typ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전자 방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을 균일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진공 용기를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vacuum container capable of maintaining an area where an electron emission portion is located at a uniform interval without embedding a spacer.

형광층 발광에 전자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는 통상적으로 그 내부에 전자 방출부와 형광층이 구비된 진공 용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전자 방출부로부터 방출된 전자들로 형광층을 여기시켜 소정의 발광 또는 표시 작용을 하게 된다.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electrons for emitting a fluorescent layer typically has a basic configuration of a vacuum container having an electron emitting portion and a fluorescent layer therein, and excites a fluorescent layer with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n emitting portion to emit a predetermined light. Or it acts as a marker.

이러한 화상 표시장치는 전자원의 종류에 따라 열음극(hot cathode)을 이용하는 방식과 냉음극(cold cathode)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용기의 형상에 따라 음극선관(CRT)과 같이 벌브형 용기를 이용하는 방식과, 형광 표시관(VFD) 및 전계 방출 어레이(Field Emitter Array;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와 같이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및 밀봉 부재로 이루어진 평판형 용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Such image display apparatuses may be classified into a method using a hot cathode and a cold cathode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n sourc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vacuum vessel, a bulb-type vessel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is used, and a front substrate and a rear side such as a fluorescent display tube (VFD) and a field emitter array (FEA) type 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It can be classified in such a manner as to use a flat container made of a substrate and a sealing member.

상기에서 평판형 용기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화면 크기가 커지고 내부 진공도가 높아질수록 진공 용기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진공 용기 내부에 다수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진공 용기의 변형과 파손을 억제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스페이서는 형광층을 침범하지 않도록 형광층 사이의 흑색층에 대응하여 위치한다.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flat plate container, as the screen size increases and the internal vacuum degree increases,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vacuum container increases. Therefore, a structure that suppresses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vacuum container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pacers inside the vacuum container has been proposed and used. In this case, the spacers ar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black layers between the fluorescent layers so as not to invade the fluorescent layers.

그런데 최근의 화상 표시장치가 고해상도화 하면서 스페이서가 위치할 흑색층의 폭이 좁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미세한 크기와 높은 종횡비를 갖는 스 페이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 조건을 만족하는 스페이서는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천개의 미세 스페이서를 전면 기판 또는 후면 기판 위에 부착해야 하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image display device becomes higher resolution, the width of the black layer on which the spacer is to be located becomes narrower. Accordingly, a spacer having a fine size and a high aspect ratio is required. However, spacers satisfying this condition are not onl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have difficulty in attaching thousands of micro spacers onto a front substrate or a rear substrate.

또한 종래의 화상 표시장치는 스페이서들로 인해 초기 진공도를 높일 수 없으며, 배기 과정에서 스페이서의 장착 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화상 표시장치가 초기에 고진공을 확보하지 못하면, 진공 용기 내부에 제공된 부재들의 가스 방출(outgassing)로 인해 진공도가 점차 낮아져 표시 특성이 저하되고, 장착 불량이 일어난 스페이서는 전자빔 경로를 막아 화면 품질을 저하시킨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may not increase the initial vacuum degree due to the spacers, and a bad mounting of the spacer may occur in the exhaust process. If the image display device cannot initially secure a high vacuum, the vacuum degree gradually decreases due to the outgassing of the members provided inside the vacuum container, and thus the display characteristics are degraded, and the poorly mounted spacers block the electron beam path and degrade the screen quality. Let's do it.

더욱이 글래스 또는 세라믹과 같은 유전체로 제작되는 스페이서는 표시장치 작용시 그 표면에 전자들이 부딪히면서 표면이 양 또는 음의 전위로 대전될 수 있다. 대전된 스페이서는 그 주위를 지나는 전자들을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등 전자빔 경로를 왜곡시켜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Furthermore, a spacer made of a dielectric such as glass or ceramic may have the surface charged to a positive or negative potential as electrons strike the surfa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acting. The charged spacer distorts the electron beam path, such as by drawing or pushing out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surrounding, thereby degrading display quality.

이와 같이 스페이서는 평판형 진공 용기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부재이나, 화상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화면 품질을 개선하는데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pacer is an effective member for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flat plate type vacuum container, but reduces the productiv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acts as a deterrent to improving the screen qua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이서를 내장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진공 용기를 형성하고, 초기 진공도를 높여 아웃개싱에 의한 진공도 열화를 보상할 수 있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can form a stable vacuum container without a built-in spacer and increase the initial vacuum degree to compensate for the deterioration of vacuum degree due to outgassing. It 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제1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와, 제1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며, 제1 기판이 진공 용기 내부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보강 부재가 제1 기판과의 대향면에 오목부와 측벽을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형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orming a first region together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reinforcing member forming a second region together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positioned behind the first substrate. A vacuum container, an electron emission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first substrat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ithin the vacuum container. To provide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the reinforcing member to form a concave portion and a side wall on an opposite surface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to have a substantially flat appearance.

상기 측벽은 보강 부재 중 제1 기판과의 대향면 면적의 대략 50 내지 90%를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wall may be formed to occupy approximately 50 to 90% of the area of the facing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with the first substrate.

상기 측벽은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변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측벽은 보강 부재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보강 부재의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가질 수 있다.The side wall may have a variable width along the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For example, the side wall may have a maximum width at the center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may have a minimum width at the diagonal corner of the reinforcing member.

상기 제1 기판의 관통홀은 보강 부재의 측벽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측벽이 관통홀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오목부를 향해 연장된 연통홈을 형성한다.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ubstrate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ide wall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communication hole extends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to the recess.

상기 측벽은 보강 부재의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측벽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시키는 분할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할홈에 의해 분할된 측벽 부위들 가운데 최외곽에 위치하는 측벽 부위는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 형태를 가진다.The side wall may form a dividing groove for dividing the side wall into two or more portions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Also, the outermost sidewall portion among the sidewall portions divided by the dividing groove has a closed curve shape along the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화상 표시장치는 제1 영역(100)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 제1 기판(10)의 후방에 부착되어 제1 기판(10)과 함께 제2 영역(200)을 형성하는 보강 부재(14)로 이루어진 진공 용기(2)를 구비한다.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은 진공 용기(2) 내부에서 제1 기판(10)에 의해 나뉘어진 영역을 의미하며, 제1 기판(10)에는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홀(16)이 형성된다.1 and 2,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 and a second substrate 12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region 1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behind the first substrate 10. And a vacuum container 2 made of a reinforcing member 14 attached to form a second region 200 with the first substrate 10.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mean an area divided by the first substrate 10 in the vacuum container 2, and the first substrate 10 may be formed of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first region 100. Through-holes 16 are formed to allow the second region 2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0) 중 제2 기판(12)과의 대향면에는 제2 기판(12)을 향해 전자들을 방출하는 전자 방출 유닛(18)이 제공되고, 제2 기판(12) 중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에는 전자들에 의해 가시광을 방출하는 발광 유닛(20)이 제공된다. 이로써 제1 기판(10)이 전자 방출 유닛(18)과 함께 캐소드 기판으로 기능하고, 제2 기판(12)이 발광 유닛(20)과 함께 애노드 기판으로 기능한다.More specifically, an electron emission unit 18 for emitting electrons toward the second substrate 12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to the second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2 is provided. The light emitting unit 20 that emits visible light by electrons is provid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As a result, the first substrate 10 functions as a cathode substrate together with the electron emission unit 18, and the second substrate 12 functions as an anode substrate together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20.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가장자리에는 두 기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서포트 프레임(24)이 위치하고, 서포트 프레임(24) 중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의 대향면에 제1 접착층(26)이 위치하여 제1 기판(10)과 서포트 프레임(24) 및 제2 기판(12)을 일체로 접합시킨다.At the edges of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 a support frame 24 for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two substrates is positioned. Among the support frames 24,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 The first adhesive layer 26 is position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12, and the first substrate 10, the support frame 24, and the second substrate 12 are integrally bonded to each other.

이로써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및 서포트 프레임(24)으로 둘러싸인 제1 영역(100)이 형성되고, 서포트 프레임(24)의 높이에 따라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간격이 정해진다. 이때 서포트 프레임(24)은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12)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두 기판과 유사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 result, a first region 100 surrounded by the first substrate 10, the second substrate 12, and the support frame 24 is formed, a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frame 24,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100 are formed. The spacing of the substrates 12 is determined. In this case, the support frame 24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similar to that of the two substrates.

다른 한편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12')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제1 기판(10)을 향해 연장된 측벽(28)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기판(12')은 제1 기판(10)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판부(30)와, 평판부(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벽(2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벽(28)과 제1 기판(10) 사이에는 제1 접착층(26)이 제공되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을 상호 접합시킨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substrate 12 ′ may integrally form sidewalls 28 extending toward the first substrate 10 along its edge. That is, the second substrate 12 ′ may be formed of a flat plate portion 30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strate 10 and a side wall 28 positioned at an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30. A first adhesive layer 26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wall 28 and the first substrate 10 to bond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 'to each other.

여기서, 제2 기판(12) 또는 제2 기판(12')의 평판부(30)는 진공 압축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두께, 일례로 10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진공 용기(2) 내부를 가로지르며 위치하는 제1 기판(10)에는 진공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제1 기판(10)은 제2 기판(12)보다 작은 두께, 일례로 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Here, the flat plate portion 30 of the second substrate 12 or the second substrate 12 'is preferably formed to a sufficient thickness to withstand the vacuum compression force, for example, a thickness of 10 mm or mor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vacuum compressiv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first substrate 10 positioned across the inside of the vacuum container 2, the first substrate 1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ubstrate 12, for example, 5 mm or less. It may be.

제1 기판(10)은 전자 방출부와 더불어 전자 방출의 온/오프와 전자 방출량 및 전자빔 경로를 제어하는 각종 전극들이 마련되는 기판이며, 전자 방출부와 전극들 및 전극들간 절연을 위한 절연층 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여러번의 고온 열처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제1 기판(10)은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작은 열 응력을 갖게 되어 깨짐이 방지될 뿐만 아니 라 전자 방출 유닛(18)의 성막 특성을 높이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The first substrate 10 is a substrate in which various electrodes for controlling on / off of electron emission, electron emission amount, and electron beam path are provided together with an electron emission part, and an insulating layer for insulating between the electron emission part and the electrodes and the electrodes.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lurality of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first substrate 10 having a thickness of 5 mm or less as described above has a small thermal stress in spite of a sudden temperature change, thereby preventing cracking, and advantageously increasing the film form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 emission unit 18. Works.

제1 기판(10)을 대신하여 진공 용기(2)의 외형을 이루는 보강 부재(14)는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에 오목부(32)를 형성하여 제1 기판(10)과 보강 부재(14)로 둘러싸인 제2 영역(200)을 제공한다. 상기 보강 부재(14)에서 오목부(32)를 제외하고 제1 기판(10)에 대향하는 부위를 측벽(34)이라 하면, 제1 기판(10)을 향한 측벽(34)의 일면에는 그 전체 또는 일부에 제2 접착층(36)이 제공되어 제1 기판(10)과 보강 부재(14)를 접합시킨다.The reinforcing member 14, which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vacuum container 2 in place of the first substrate 10, forms a concave portion 32 on the opposite surface to the first substrate 10 to form the first substrate 10. A second area 200 surrounded by the reinforcing member 14 is provided. When the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that faces the first substrate 10 except for the concave portion 32 is referred to as the side wall 34, the entire surface of the side wall 34 facing the first substrate 10 may be formed. Alternatively, a port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36 is provided to bond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reinforcing member 14 to each other.

보강 부재(14)는 진공 압축력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제1 기판(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며, 일례로 제2 기판(12)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부재(14)에는 용기 내부를 배기시키는데 사용되는 배기구(38) 및 배기관(40)과, 배기 후 잔류 가스를 흡착하여 진공도를 높이는 게터(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된다. 배기구(38)와 배기관(40)은 일례로 보강 부재(14)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14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substrate 10 in consideration of the vacuum compression force, and may be, for example, the same thickness as that of the second substrate 12. The reinforcing member 14 includes an exhaust port 38 and an exhaust pipe 40 used to exhaus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a getter (not shown) for adsorbing residual gas after exhaust to increase the degree of vacuum. The exhaust port 38 and the exhaust pipe 4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for example.

보다 구체적으로, 측벽(34)은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 사이에 위치하는 서포트 프레임(24)보다 큰 폭을 가지며, 보강 부재(14) 중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 면적을 100으로 가정할 때 측벽(34)이 대향면 면적의 대략 50 내지 90%를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부(32)의 깊이는 보강 부재(14)가 제1 기판(10)보다 큰 두께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side wall 34 has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support frame 24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 and the first substrate 10 of the reinforcing members 14 may be formed. Assuming the opposite surface area of is 100, the side wall 34 may be formed to occupy approximately 50 to 90% of the opposite surface area. And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32 is formed so that the reinforcement member 14 can maintain thickness larger than the 1st board | substrate 10. FIG.

또한, 측벽(34)은 보강 부재(14)에 가해지는 응력 분포를 고려하여 비교적 큰 응력이 가해지는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면서 비교적 작 은 응력이 가해지는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보강 부재(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접착층(36)의 도포 면적을 변화시켜 보강 부재(14)의 위치별 응력 차이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wall 34 has a maximum width in the center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which the relatively large stress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ss distribution applied to the reinforcing member 14, and at the diagonal corner portion of which the relatively small stress is applied. It is formed to have a minimum width. For this reason, the application area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36 may be changed along the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to reduce the stress difference for each posi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특히 측벽(34)은 보강 부재(14)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대각 코너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폭을 가진다. 이러한 완만한 폭 변화는 제1 기판(10)과 보강 부재(14)의 가장자리를 따라 급격한 강도 변화를 억제하여 제1 기판(10)과 보강 부재(14)의 응력 분포를 균일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side wall 34 has a width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diagonal corner at the center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Such a gentle width change serves to suppress a sudden change in strength along the edges of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reinforcing member 14 to make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reinforcing member 14 uniform. .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강 부재의 평면도로서, 도 4를 참고하면 보강 부재(14)의 단변부 중앙에서 측정되는 측벽(34)의 폭(W1)은 보강 부재(14) 장변부 길이(L1)의 대략 0.2 내지 0.4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강 부재(14)의 장변부 중앙에서 측정되는 측벽(34)의 폭(W2) 또한 보강 부재(14) 단변부 길이(L2)의 대략 0.2 내지 0.4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FIG. 4 is a plan view of the reinforcing member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4, the width W1 of the sidewall 34 measured at the center of the shor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is defined as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It may be approximately 0.2 to 0.4 times L1, and the width W2 of the side wall 34 measured at the center of the long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is also about 0.2 to 0.4 of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It can be done by ship.

상기 측벽(34)이 보강 부재(14) 중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과 전술한 폭 조건을 만족할 때, 스페이서 배제에 필요한 제2 영역(200)의 체적을 확보하면서 제1 기판(10)과의 접합 면적을 확대시켜 제1 기판(10)과 보강 부재(14)의 접합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ide wall 34 satisfies the area ratio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to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above-described width condition, while ensuring the volume of the second region 200 required for the spacer removal.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can be enlarge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reinforcing member 14 can be maintained excellent.

한편 제1 기판(10)에는 전자 방출 유닛(18)의 외측, 일례로 제1 기판(10)의 대각 코너부에 관통홀(16)이 위치하는데, 이 관통홀들(16)은 전술한 보강 부재(14)의 측벽(34) 형상에 의해 오목부(32)가 아닌 측벽(34)에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14)의 측벽(34)은 관통홀(16)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오목부(32)를 향해 연장된 연통홈(42)을 형성하며, 관통홀(16)과 연통홈(42)을 통해 제1 영역(100)과 제2 영역(200)을 서로 연통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through hole 16 is located in the first substrate 10 outside the electron emission unit 18, for example, at the diagonal corner of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through holes 16 are the reinforcement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sidewalls 34 of the member 14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sidewalls 34 rather than the recesses 3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wall 34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forms a communication groove 42 extending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6 toward the recess 32, and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16.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groove 42.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 용기(2)는 제1 기판(10) 후방에 제1 영역(100)과 연통되는 제2 영역(200)을 형성하여 내부 체적을 확대함에 따라, 제1 영역(100)에 스페이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제1 기판(10)과 제2 기판(1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안정된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용기(2)는 확대된 내부 체적에 의해 초기 진공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아웃개싱에 의한 진공도 저하를 보상하여 제품 특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chamb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orms the second region 200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region 100 behind the first substrate 10 to enlarge the internal volume. The gap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second substrate 12 may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without providing a spacer in the 100, thereby ensuring a stable structure. In addition, the vacuum vessel 2 may increase the initial vacuum degree by the enlarged internal volume, and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the vacuum degree due to the outgassing, thereby ensuring excellent product characteristics.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14)는 기본적으로 평판의 외형을 유지함에 따라, 진공 용기(2)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 파손이 일어날 때 유리 파편들이 진공 용기(2) 외부로 날라가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유리 파편으로 인한 사용자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진공 용기(2)의 전장(depth)을 줄여 박형화에 유리하며, 제1 기판(10)과 보강 부재(14)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member 14 basically maintains the shape of the flat plate, thereby minimizing the phenomenon that the glass fragments are blown out of the vacuum container 2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vacuum container 2 and breakage occurs. This can reduce user damage due to glass fragments.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vacuum container 2 is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inning,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reinforcing member 14 can be increased.

이때 제2 영역(200)은 제1 영역(100)보다 작은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부(32)의 폭과 깊이를 조절하여 제2 영역(200)을 제1 영역(100)보다 큰 체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region 200 may be formed in a smaller volume than the first reg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200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region 100 by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recess 32. It can also form by volume.

도 5는 보강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5.

도면을 참고하면, 보강 부재(14')의 측벽(34')은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에 전술한 연통홈(42)과 더불어 보강 부재(14')의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측벽(34')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시키는 분할홈(44)을 형성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ide wall 34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along with the aforementioned communication groove 42 on the opposite surface to the first substrate 10, face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 Accordingly, the dividing groove 44 for dividing the side wall 34 'into two or more portions is formed.

일례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분할홈(44)이 보강 부재(14)의 장변부에서 이 장변부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장변부에 위치하는 측벽(34')을 3개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역시 한 쌍의 분할홈(44)이 보강 부재(14')의 단변부에서 이 단변부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단변부에 위치하는 측벽(34')을 3개의 부분으로 분할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a pair of split grooves 44 are formed in the long side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in parallel with the long side portion to divide the side wall 34 'positioned at the long side portion into three parts. Also, a pair of dividing grooves 44 may be formed at the shor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in parallel with the short side to divide the side wall 34' positioned at the short side into three parts. have.

이때 분할홈(44)에 의해 나뉘어진 측벽(34') 부위를 보강 부재(14')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부위부터 순차적으로 제1 측벽(46), 제2 측벽(48) 및 제3 측벽(50)이라 명칭하면, 제1 내지 제3 측벽(46, 48, 50)의 윗면, 즉 제1 기판(10)과의 대향면에 각각의 프릿층(36)이 위치하고, 제1 측벽(46)은 보강 부재(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된 폐곡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진공 누설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ide wall 46, the second side wall 48, and the third side wall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portion of the side wall 34 'divided by the dividing groove 44 from the portion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Named 50, each frit layer 36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sidewalls 46, 48, and 50,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substrate 10, and the first sidewalls 46 are formed. ) Is formed to have a continuous closed curve shape along the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14 'to prevent vacuum leakage.

분할홈들(44)은 제2 접착층(36)을 이용한 소성 봉착시 제2 접착층(36)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진공 용기가 고진공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한다. 상기 구성에서 제2 측벽(48)과 제3 측벽(5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벽(46)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벽(46)이 제1 기판(10)과 틈새 없이 밀착 결합하여 진공 누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dividing grooves 44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adhesive layer 36 during plastic sealing us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36, thereby effectively contributing to ensuring a high vacuum in the vacuum container.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sidewall 48 and the third sidewall 50 may be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sidewall 46 as shown in FIG. 6. In this case, the first sidewall 46 may be tightly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10 without a gap to more effectively prevent vacuum leakage.

전술한 진공 용기는 냉음극(cold cathode)을 전자원으로 사용하는 화상 표시장치, 예를 들어 전계 방출 어레이(Field Emitter Array; FEA)형 또는 표면 전도 에미션(Surface-Conduction Emission; SCE)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 등에 적합하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전술한 화상 표시장치가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vacuum vessel is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cold cathode as an electron source, for example, a field emitter array (FEA) type or a surface-conduction emission (SCE) type electron. Suitable for emission display devices. A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image display device is applied to an FEA typ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제1 기판(10)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52)은 구동 전극인 캐소드 전극들(54) 및 게이트 전극들(56)과, 캐소드 전극들(54)과 게이트 전극들(56) 사이에 위치하여 두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1 절연층(58)과, 캐소드 전극들(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방출부들(60)과, 게이트 전극들(56) 상부에 위치하는 집속 전극(62)과, 게이트 전극들(56)과 집속 전극(62) 사이에 위치하여 두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2 절연층(6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electron emission unit 52 provided on the first substrate 10 may include cathode electrodes 54 and gate electrodes 56, which are driving electrodes, and cathode electrodes 54. A first insulating layer 58 positioned between the gate electrodes 56 to insulate the two electrodes, electron emission portions 6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thode electrodes 54, and upper portions of the gate electrodes 56.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64 positioned between the gate electrodes 56 and the focusing electrode 62 to insulate the two electrodes.

제1 절연층(58)과 게이트 전극들(56)은 각 전자 방출부(60)에 대응하여 이를 노출시키는 개구부(581, 561)를 형성하며, 제2 절연층(64)과 집속 전극(62)은 캐소드 전극(54)과 게이트 전극(56)의 교차 영역마다 하나의 개구부(641, 621)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58 and the gate electrodes 56 form openings 581 and 561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 emission portions 60 and expose the openings 581 and 561,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64 and the focusing electrode 62. ) May form one opening 641 and 621 at each intersection region of the cathode electrode 54 and the gate electrode 56.

전자 방출부(60)는 진공 중에서 전계가 가해지면 전자를 방출하는 물질들, 가령 탄소계 물질 또는 나노미터 사이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방출부(60)는 일례로 탄소 나노튜브, 흑연, 흑연 나노파이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 C60,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 방출부는 몰리브덴(Mo) 또는 실리콘(Si) 등을 주 재질로 하는 선단이 뾰족한 팁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n emission unit 60 may be made of materials that emit electrons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in a vacuum, such as a carbon-based material or a nanometer-sized material. The electron emission unit 60 may include, for example, carbon nanotubes, graphite, graphite nanofibers, diamonds, diamond-like carbons, C 60 , silicon nanowires, and combinations thereof.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 emission unit may be formed of a tip structure having a pointed tip mainly made of molybdenum (Mo) or silicon (Si).

그리고 제2 기판(12)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66)은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형 광층들(68R, 68G, 68B)과, 각 형광층(68) 사이에 위치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흑색층(70)과, 형광층(68)과 흑색층(70) 위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72)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7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광층(68)에서 방사된 가시광 중 제1 기판(10)을 향해 방사된 가시광을 제2 기판(12) 측으로 반사시켜 화면의 휘도를 높인다.The light emitting unit 66 provided on the second substrate 12 is positioned between the red, green, and blue fluorescent layers 68R, 68G, and 68B, and each of the fluorescent layers 68 to increase the contrast of the screen. A layer 70 and an anode electrode 72 formed on the fluorescent layer 68 and the black layer 70 are included. The anode electrode 72 may be formed of a metal film, such as aluminum, and reflects the visible light emitted toward the first substrate 10 among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fluorescent layer 68 to the second substrate 12 to display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ncrease

전술한 구성의 화상 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캐소드 전극들(54), 게이트 전극들(56), 집속 전극(62) 및 애노드 전극(72)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여 구동한다.The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driven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cathode electrodes 54, the gate electrodes 56, the focusing electrode 62, and the anode electrode 72 from the outside.

일례로 캐소드 전극들(54)과 게이트 전극들(56) 중 어느 한 전극들이 주사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주사 전극들로 기능하고, 다른 한 전극들이 데이터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데이터 전극들로 기능한다. 그리고 집속 전극(62)이 전자빔 집속에 필요한 전압, 일례로 0V 또는 수 내지 수십 볼트의 음의 직류 전압을 인가받으며, 애노드 전극(72)이 전자빔 가속에 필요한 전압, 일례로 수백 내지 수천 볼트의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받는다.For example, any one of the cathode electrodes 54 and the gate electrodes 56 receives a scan driving voltage to serve as scan electrodes, and the other electrodes receive a data driving voltage to serve as data electrodes. The focusing electrode 62 receives a voltage required for electron beam focusing, for example, 0 V or a negative DC voltage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volts, and the anode electrode 72 is required for accelerating the electron beam, for example, several hundred to several thousand volts. DC voltage of is applied.

그러면 캐소드 전극(54)과 게이트 전극(56)간 전압 차가 임계치 이상인 화소들에서 전자 방출부(60)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이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된다. 방출된 전자들은 집속 전극(62)의 개구부(621)를 통과하면서 전자빔 다발의 중심부로 집속되고, 애노드 전극(72)에 인가된 고전압에 이끌려 대응하는 화소의 형광층(68)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킨다.As a result, an electr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electron emission unit 60 in the pixels in which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54 and the gate electrode 56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and electrons are emitted therefrom. The emitted electrons are focused to the center of the electron beam bundle whil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621 of the focusing electrode 62, and are attracted by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72 to impinge on the fluorescent layer 68 of the corresponding pixel to emit light. Let's do it.

상기에서는 화상 표시장치의 일례로 전계 방출 어레이(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에 한정되지 않 으며, FEA형 전자 방출 표시장치 이외의 다른 화상 표시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field emission array (FEA) typ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EA typ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It is also easily applicable to the device.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전술한 보강 부재 형상에 의해 제1 기판과 보강 부재의 접합력을 강화하여 진공 응력을 감소시키고, 보강 부재의 중량과 진공 용기의 전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는 진공 용기의 내부 체적을 줄여 방폭에 유리한 구조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vacuum stress by strengthen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reinforcing member by the above-described reinforcing member shape, and can effectively reduce the weight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vacuum container.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in explosion prevention by reducing the internal volume of the vacuum container.

Claims (13)

제1 기판과, 제1 기판과 함께 제1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함께 제2 영역을 형성하며 제1 기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와;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orming a first region together with the first substrate,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ubstrate; and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behind the first substrate, forming a second region together with the first substrate. A vacuum container comprising a;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전자 방출 유닛; 및An electron emission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nd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제공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며,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상기 제1 기판이 상기 진공 용기 내부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형성하고,The first substrate forms at least one through hole in the vacuum container to communicate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ith each other,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제1 기판과의 대향면에 오목부와 측벽을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외형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And the reinforcing member has a substantially flat appearance while forming recesses and sidewalls on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벽이 상기 보강 부재 중 상기 제1 기판과의 대향면 면적의 대략 50 내지 90%를 차지하도록 형성되는 화상 표시장치.And the side wall is formed so as to occupy approximately 50 to 90% of the area of the facing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with the first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벽이 상기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변되는 폭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And a sidewall having a width varying along an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측벽이 상기 보강 부재의 장변부 중앙과 단변부 중앙에서 최대 폭을 가지며, 보강 부재의 대각 코너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And the side wall has a maximum width at the center of the long side and shor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has a minimum width at the diagonal corners of the reinforcing memb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보강 부재의 단변부 중앙과 장변부 중앙에서 측정되는 측벽의 폭이 각각 보강 부재의 장변부 길이와 단변부 길이의 0.2 내지 0.4배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장치.And a width of the side wall measured at the center of the short side and the long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0.2 to 0.4 times the length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기판의 관통홀이 상기 보강 부재의 측벽에 대응하여 위치하고,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ubstrate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of the reinforcing member, 상기 측벽이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향해 연장된 연통홈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장치.And a communication groove extending from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toward the rece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벽이 상기 보강 부재의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측벽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시키는 분할홈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장치.And a dividing groove for dividing the sidewall into two or more por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분할홈이 상기 보강 부재의 장변부와 단변부에서 각각 이 장변부 및 단 변부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화상 표시장치.And the division grooves are located in parallel with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at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respectivel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분할홈에 의해 분할된 측벽 부위들 가운데 최외곽에 위치하는 측벽 부위가 상기 보강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 형태를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And an outermost sidewall portion of the sidewall portions divided by the division grooves having a closed curve along an edge of the reinforcing membe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최외곽 측벽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측벽 부위가 최외곽 측벽 부위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And the remaining sidewall portions except for the outermost sidewall portion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outermost sidewal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서포트 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보강 부재의 측벽이 서포트 프레임보다 큰 폭을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And a support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herein the sidewall of the reinforcing member has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support fr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제1 기판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화상 표시장치.And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reinforcing member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 방출 유닛이 냉음극 전자원으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 는 화상 표시장치.And the electron emission unit includes electron emission portions made of a cold cathode electron source.
KR1020050111642A 2004-11-30 2005-11-22 Image display device KR2007005387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642A KR20070053872A (en) 2005-11-22 2005-11-22 Image display device
US11/291,527 US20060145595A1 (en) 2004-11-30 2005-11-30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642A KR20070053872A (en) 2005-11-22 2005-11-22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872A true KR20070053872A (en) 2007-05-28

Family

ID=3827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642A KR20070053872A (en) 2004-11-30 2005-11-22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38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1871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a light source
US20060145595A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90066881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KR20070106106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70053872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0717987B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90015130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a light source
KR20070056683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70056685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70056682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70056681A (en) Image display device
EP1848021B1 (en) Vacuum envelop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vacuum envelope
KR20060073864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470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88216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473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478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113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479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471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472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73863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60480A (en) Image display device
EP1780753B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KR101135469B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