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189A -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부품 수용 안경 프레임 코걸이 - Google Patents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부품 수용 안경 프레임 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189A
KR20070053189A KR1020070042876A KR20070042876A KR20070053189A KR 20070053189 A KR20070053189 A KR 20070053189A KR 1020070042876 A KR1020070042876 A KR 1020070042876A KR 20070042876 A KR20070042876 A KR 20070042876A KR 20070053189 A KR20070053189 A KR 20070053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electro
lens
nose pad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날드 디 블럼
조슈아 엔 해드덕
윌리암 코코나스키
드와이트 피 더스톤
벤카트라마니 에스 아이어
Original Assignee
이-비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비젼 엘엘씨 filed Critical 이-비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5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3Electroopt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1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an electro-optical light val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활성 렌즈를 수용하도록 개조된 패션 안경 렌즈 프레임용 코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전자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한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전기-활성 렌즈의 시력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전자 구성요소를 전기-활성 렌즈와 연결시키는 연결 요소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렌즈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레임 크기, 형태 및 스타일에 적합하도록 개조된다.
Figure 112007033154580-PAT00001
전기-활성, 렌즈, 패션, 안경, 프레임, 코걸이, 본체

Description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부품 수용 안경 프레임 코걸이{Spectacle frame bridge housing electronics for electro-active spectacle lenses}
도 1은 전기-활성 렌즈용 패션 안경 렌즈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의 실시태양을 포함한 완전한 한 쌍의 안경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전기-활성 렌즈용 패션 안경 렌즈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의 첫 번째 실시태양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전기-활성 렌즈용 패션 안경 렌즈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의 두 번째 실시태양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전기-활성 렌즈용 패션 안경 렌즈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의 세 번째 실시태양의 확대도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고사항
본 출원은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부품 수용 안경 프레임 코걸이"의 명칭으로 2006년 5월 3일 출원된 미국 잠정 출원번호 제60/796,876호의 우선권을 청구하고 그 전체를 참고사항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은 "대안으로 다른 초점 길이를 지닌 전기-활성 렌즈를 지닌 시각 렌즈 시스템"의 명칭으로 2000년 6월 23일 출원되고 하기 미국 잠정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하는 미국 특허출원 제09/602,013호의 부분연속출원인 "전기-활성 렌즈를 이용한 시력 교정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명칭으로 2003년 7월 25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0/626,973호의 부분연속출원인 전기-활성 렌즈를 이용한 시력 교정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명칭으로 2005년 3월 28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1/091,104호의 부분연속출원이고 그 전체가 참고사항으로 포함된 "비-통상적 굴절 오류 교정용 안과 렌즈"의 명칭으로 2005년 12월 29일 출원된 동시-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제11/321,324호의 부분연속출원이다:
"전기-활성 안경"의 명칭으로 1999년 7월 2일 출원된 제60/142,053호;
"전기-활성 안경"의 명칭으로 1999년 7월 14일 출원된 제60/143,626호;
"전기-활성 굴절, 조제 및 안경"의 명칭으로 1999년 8월 10일 출원된 제60/147,813호;
"진보된 전기-활성 안경"의 명칭으로 1999년 8월 25일 출원된 제60/150,545호;
"전기-활성 굴절, 조제 및 안경"의 명칭으로 1999년 8월 25일 출원된 제60/150,564호; 및
"포괄적 전기-활성 굴절, 조제 및 안경"의 명칭으로 1999년 10월 26일 출원된 제60/161,363호.
또한 본 출원은 하기 미국 잠정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하고 그 전체가 참고사항으로 포함된 "전기-활성 안경 및 그의 제조 방법"의 명칭으로 2005년 10월 31일 출원된 동시-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제11/263,049호의 부분연속출원이다:
"전기-활성 안경 및 그의 제조 방법"의 명칭으로 2004년 11월 2일 출원된 제60/623,947호;
"전기-활성 프리즘을 지닌 안경"의 명칭으로 2005년 3월 9일 출원된 제60/659,431호;
"전자 안경 프레임 해결사"의 명칭으로 2005년 3월 1일 출원된 제60/661,925호;
"전자 안경"의 명칭으로 2005년 3월 30일 출원된 제60/666,167호;
"진보된 전자 안경"의 명칭으로 2005년 4월 1일 출원된 제60/667,094호;
"진보된 전자 안경"의 명칭으로 2005년 4월 8일 출원된 제60/669,403호;
"진보된 전자 안경"의 명칭으로 2005년 4월 22일 출원된 제60/673,758호;
"진보된 전자 안경"의 명칭으로 2005년 4월 26일 출원된 제60/674,702호;
"동적 렌즈 및 고정 시력 렌즈 안경의 결합"의 명칭으로 2005년 5월 10일 출원된 제60/679,241호;
"점진적 추가 및 또는 높은 수차 교정 렌즈 및 고정 시력 렌즈 안경의 결합 렌즈 시스템"의 명칭으로 2005년 5월 31일 출원된 제60/685,407호;
"점진적 렌즈 및 전기-활성 렌즈로 구성된 결합 렌즈 시스템"의 명칭으로 2005년 6월 6일 출원된 제60/687,341호;
"4개의 개별적인 얇은 렌즈 및 프레임으로 구성된 일상적인 패션 안경"의 명칭으로 2005년 6월 6일 출원된 제60/687,342호; 및
"전기-활성 안경 및 그의 제조방법"의 명칭으로 2005년 6월 21일 출원된 제60/692,270호.
본 발명은 전기-활성 렌즈를 수용하도록 개조된 패션 안경 렌즈 프레임용 코걸이에 관한 것이다.
전기-활성 안경 렌즈는 전자 구성요소를 사용하고 이는 렌즈의 시력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전자 회로를 포함한다. 이들 렌즈는 최신 유행의 안경 렌즈 프레임 내에 전자부품을 심미적으로 포장시키고 포함시키는 신규한 도전을 제공한다. 여기서 개시된 본 발명은 전체 프레임 디자인의 미학을 방해함이 없이 패션 안경 렌즈의 코걸이 부분 내에 전술된 전자부품을 포함시키는 실용적이고 비용-효과적인 방법을 기술한다. 또한 여기서 개시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 및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레임 크기, 형태 및 스타일로 동일한 코걸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활성 렌즈를 수용하도록 개조된 패션 안경 렌즈 프레임용 코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전자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한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전기-활성 렌즈의 시력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전자 구성요소를 전기-활성 렌즈와 연결시키는 연결 요소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렌즈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레임 크기, 형태 및 스타일에 적합하도록 개조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전기-활성 렌즈를 수용하도록 개조된 안경 프레임용 코걸이는 전자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한 본체를 포함한다. 코걸이는 전기-활성 렌즈의 시력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전자 구성요소를 전기-활성 렌즈에 연결시키는 연결 요소를 더욱 포함한다. 코걸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기에 적합하도록 개조된다: 다수의 프레임 크기, 다수의 프레임 형태, 다수의 프레임 스타일, 다수의 렌즈 크기 및 다수의 렌즈 형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참고 번호가 상응하거나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충분히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완전한 한 쌍의 안경 100은 2개의 렌즈 101, 2개의 안경다리 102 및 2개의 렌즈를 함께 연결하는 코걸이 103을 포함한다. 또한 코걸이 103은 착용자 코 위에서 안경을 지지하는 코 패드 104의 배치를 제공한다. 코걸이 103은 렌즈 형태 및 크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레임 형태 및 스타일에 적합하도록 개조된다. 전기-활성 안경은 렌즈 부분 105의 시력 특성이 적당한 전기 신호의 적용에 의해 역동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에서 통상의 안경과 다르다. 예를 들어 렌즈의 초점길이 또는 광투과가 변화된다. 이들 전기 신호는 일반적으로 전자 구성요소에 의해 생성되고, 이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렌즈의 전기-활성 부분 1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전기 회로 및 전자 구성요소는 예들 들어 하나 이상의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전선, 드라이버 및 제어기와 같은 집적 회로 등. 또한 전기 회로 및 전자 구성요소는 전기-활성 안경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추가 하드웨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하기가 포함된다: 광전지, 경 사 스위치, 광 센서, 수동 거리측정 장치, 비행-시간차 거리측정 장치, 안구 추적기(eye tracker), 사용자가 조망하는 위치를 탐지하는 조망 탐지기, 가속도계, 근접 스위치, 물리적 스위치, 수동 무효화 제어기, 사용자가 코걸이에 접촉할 때 스위치가 켜지는 전기용량 스위치.
이들 전기 신호를 렌즈의 전기-활성 부분 105에 전달하는 한가지 방법은 코걸이 103 내에 전자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후 전기 연결은 코걸이 103이 렌즈 105에 연결되는 지점에서 코걸이 103 내 내의 전자부품과 전기 접촉 사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전기 접촉 107로부터 전기 연결이 렌즈 내 전기 도선에 의해 렌즈의 전기-활성 부분 105로 확장된다. 전기 도선 106은 투명하고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제조된다.
도 2에 나타난 코걸이 103의 첫 번째 실시태양에서 코걸이 200은 많은 다른 형태의 안경 프레임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된 자가-제어성 유니트이다. 예를 들어 코걸이 200은 전면 아이-와이어(eye-wire) 스타일 안경 프레임으로 사용된다. 전자 구성요소 및 회로의 적어도 일부는 코걸이 200의 본체 202 내에 은폐된다. 렌즈의 전기-활성 부분 105로의 전기 연결은 연결 요소 207에 의해 생성된다. 연결 요소 207은 코걸이가 렌즈 101에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전기 접촉 지점 201을 포함한다.
전기-활성 렌즈는 적당하게 작동하기 위해 착용자 주변으로부터의 입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거리 측정기 또는 조망 탐지 장치에 의해 초점이 조절되는 거리를 탐지하고 따라서 렌즈의 전기-활성 부분 105의 시력을 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렌즈의 광투과는 렌즈의 착색 또는 렌즈의 다른 색채 변화에 의해 변화된다. 이러한 첫 번째 실시태양에서 발신기 203 및 수신기 204는 코걸이 202의 본체에 고정된다. 발신기 203 및 수신기 204는 비행-시간차 거리 측정 또는 수동 거리 측정과 같은 거리 측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다수의 발신기 203 및/또는 수신기 204도 사용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발신기 203만이 코걸이에 위치하고 수신기 204는 예를 들어 안경다리와 같은 또다른 프레임 구성요소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이는 주변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만 하는데 적당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목적 자극에 민감한 수신기 204가 요구된다.
발신기 203 및 수신기 204는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를 발신하고 수신한다. 예를 들어 거리 측정에 사용되는 발신기 및 수신기는 전기-자기 또는 음향 에너지를 발신하고 수신한다. 이러한 에너지는 인간 감각 기관으로 일반적으로 탐지 가능한 주파 또는 파장 범위 내에 존재하거나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초음파 잡음이 사용된다.
전력은 콕컬이 본체 202에 연결된 코 패드 104 내에 포함된 전원 205에 의해 공급된다. 전원 205는 예를 들어 배터리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한다. 전원 205는 재충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코걸이 200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전원 205는 일회용이고, 이러한 경우 용이하게 제거되고 필요시 교체된다. 더욱이 전원 205를 포함한 코 패드 104는 일회용이고, 이러한 경우 전원 205가 소모되면 코 패드 204를 간단히 교체함으로서 교체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태양에서 전원 205는 재충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코 패드 104를 더이상 처분될 필요가 없다. 원위치에서 전원 205의 전자 또는 재충전 작동을 위한 보충 전기 에너지는 코걸이 202의 주 본체의 외부에 위치한 작은 광전지 배열 206에 의해 제공된다.
도 3에 나타난 코걸이 103의 두 번째 실시태양에서 코걸이 300은 전자 구성요소 및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본체 302로 주로 구성된다. 본체 302는 유기 수지(들)로 성형된다. 렌즈의 전기-활성 부분으로의 전기 연결은 연결 요소 307에 의해 생성된다. 연결 요소 307은 코걸이 300의 본체 302를 렌즈 101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작용을 한다. 연결 요소 307은 전기 접촉 지점 301을 포함하고, 이는 코걸이가 렌즈 101에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다. 전원 205는 코걸이 본체 302 내에 캡슐화되고, 이러한 경우 재충전 가능하다. 대안으로 본체 302는 전원 205의 제거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하도록 개방된다. 성형 본체 302는 착용자의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발신기 203 및/또는 수신기 204를 포함한다. 또한 성형 본체 302는 원위치에서 여분의 전력을 제공하거나 전원 205를 재충전하기 위한 광전지 배열 206을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난 코걸이 103의 세 번째 실시태양에서 코걸이 400은 2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연결 요소 407은 전기-활성 렌즈 101 및 프레임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 두 번째 구성요소인 본체 402는 두 번째 실시태양의 성형 본체 302와 유사하고 적어도 일부의 전자 구성요소 및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성형 본체 402는 적당한 물리적 및 전기 연결기(나타내지 않음)를 사용하여 연결 요소 407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제거될 수 있다.
렌즈의 전기-활성 부분 105로의 전기 연결은 연결 요소 407에 의해 생성된다. 연결 요소 407은 코걸이 400의 본체 402를 렌즈 101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용을 한다. 연결 요소 407은 전기 접촉 지점 401을 포함하고, 이는 코걸이가 렌즈에 접촉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본체 402는 재충전 가능하지 않은 전원 205를 포함하고 이는 일회용이고 전원 205가 소모시 교체된다. 대안으로 전원 205는 재충전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본체 402는 연결 요소 407에서 제거되고 필요시 적당한 충전 유니트 내에 놓인다. 성형 단편 402는 착용자 주변을 감지하기 위한 발신기 203 및/또는 수신기 204를 포함한다. 또한 성형 본체 402는 원위치에서 여분의 전력을 제공하고 전원 205를 재충전하기 위한 광전지 배열 206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근은 이러한 디자인에 필요한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기가 더욱 용이하게 포함되고 은폐될 수 있는 자일(zyle) 수지의 플라스틱에 적합하게 된다.
코걸이 103의 네 번째 실시태양(나타내지 않음)에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접근은 전원 205를 포함한 성형 본체 구성요소의 일부만이 제거될 수 있는 경우 이용된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전원 205는 세 번째 실시태양에서 논의된 바와 같인 일회용이거나 재충전 가능하다.
상기 실시태양은 전기 회로 및/또는 구성요소 전부가 프레임의 코걸이 부분 내에 포함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안경다리, 안경다리 경첩 및 아이-와이어와 같은 또다른 프레임 구성요소가 전자 구성요소 및/또는 회로를 고정시키고 은폐하는데 사용된다.
코걸이 103의 상기 실시태양은 다양한 프레임 및 렌즈에 대한 일반적인 플랫폼이 되도록 개조된다. 코걸이 103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 프레임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 크기 및 스타일의 패션 안경 프레임으로 개조된다. 코걸이 103은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 렌즈뿐만 아니라 다른 크기 및 형태의 다양한 렌즈에 적합하도록 개조된다. 이는 코걸이 103을 프레임 내에 포함시키거나 코걸이 103을 존재하는 프레임 일부에 부착시킴으로서 달성된다.
전원 205가 재충전 가능한 실시태양의 경우 전원 205는 코걸이 103 내에서 재충전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전원 205는 코걸이 103에서 탈착되어 코걸이 103의 외부에서 재충전된다. 전원 205가 코걸이 103 내에서 충전되는 실시태양의 경우 코걸이 103은 충전 위치에 적합하도록 개조된 전기 접촉 지점(나타내지 않음)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전원 205는 코걸이 103 내에서 유도적으로 충전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에서 안경 케이스는 코걸이 103 내에서 전원 205를 재충전시키기에 적당한 유도성 충전기가 되도록 개조된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안경 100은 안경 케이스 내에 놓이고 전원 205가 재충전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기-활성 렌즈를 수용하도록 개조된 패션 안경 렌즈 프레임용 코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전자 구성요소를 더욱 포함한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전기-활성 렌즈의 시력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전자 구성요소를 전기-활성 렌즈와 연결시키는 연결 요소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걸이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렌즈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레임 크기, 형태 및 스타일에 적합하도록 개조된다.

Claims (14)

  1.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 본체; 및
    시력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전자 구성요소를 전기-활성 렌즈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요소를 포함한
    전기-활성 렌즈를 수용하도록 개조된 안경 프레임용 코걸이에 있어서,
    상기 코걸이는 다수의 프레임 크기, 다수의 프레임 형태, 다수의 프레임 스타일, 다수의 렌즈 크기 및 다수의 렌즈 형태로 구성된 군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적합하도록 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 요소의 필수요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 요소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 특성은 광투과 특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 특성은 초점길이 특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성요소는 전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성요소는 집적 회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성요소는 경사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성요소는 광전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성요소는 인체 안구에 보이는 파장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전기-자기 에너지의 발신기 및 상기 전지-자기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성요소는 인체 귀에 들리는 주파수 범위에 존재하지 않는 음향 에너지의 발신기 및 상기 음향 에너지의 적어도 일부의 반사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구성요소는 안경 착용자와 상기 안경을 사용하는 착용자에 의해 초점조절된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원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코 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재충전 가능한 전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걸이
KR1020070042876A 2006-05-03 2007-05-03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부품 수용 안경 프레임 코걸이 KR200700531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687606P 2006-05-03 2006-05-03
US60/796,876 2006-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189A true KR20070053189A (ko) 2007-05-23

Family

ID=3827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876A KR20070053189A (ko) 2006-05-03 2007-05-03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부품 수용 안경 프레임 코걸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013656A4 (ko)
JP (1) JP2007304587A (ko)
KR (1) KR20070053189A (ko)
CN (1) CN101067684A (ko)
AR (1) AR060987A1 (ko)
BR (1) BRPI0705959A (ko)
CA (1) CA2651541A1 (ko)
MX (1) MX2007005286A (ko)
SG (1) SG136935A1 (ko)
TW (1) TW200745652A (ko)
WO (1) WO20080451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73B1 (ko) * 2012-05-11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KR101449986B1 (ko) * 2006-06-23 2014-10-13 픽셀옵틱스, 인크.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9484B2 (ja) * 2010-02-04 2015-08-05 エシロール アンテルナシオナル (コンパニー ジェネラル ドプティック) 光学ディスプレイを提供するレンズの製造方法
JP5490626B2 (ja) * 2010-06-15 2014-05-14 東光株式会社 充電装置
KR101091783B1 (ko) * 2011-09-16 2011-12-12 최진원 전기 반응형 편광 필름을 이용한 3차원 안경
CN104317067B (zh) * 2014-09-23 2016-09-07 陈刚 一种防丢眼镜以及眼镜防丢搜寻方法
FR3041230B1 (fr) * 2015-09-18 2022-04-15 Suricog Procede de determination de parametres anatomiques
JP7058400B2 (ja) * 2019-12-30 2022-04-22 有限会社むらも 自動感応スイッチ式スマート偏光サングラス
WO2023036414A1 (en) * 2021-09-09 2023-03-16 Viewpointsystem Gmbh Nose pad eye/gaze tracking module applicable to smart glasses
EP4303652A1 (en) * 2022-07-07 2024-01-10 Pupil Labs GmbH Camera module, head-wearable eye track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1935A (en) * 1976-02-20 1977-05-10 Frank Witt Flight training hood
FR2684770B1 (fr) * 1991-12-05 1994-09-16 Essilor Int Monture de lunettes equipee de verres a cristaux liquides.
US6097450A (en) * 1996-09-20 2000-08-01 Humphrey Engi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high-speed perception (EHP) of a moving object using an optical shutter spectacle
CN1216120A (zh) * 1997-02-06 1999-05-05 博士伦公司 电光装置的电连接结构
DE10106650B4 (de) * 2001-02-12 2006-11-02 Klaus Hoffmann Binokulare optische Vorrichtung, insbesondere elektronische Brille, mit einer elektronischen Kamera zur automatischen Scharfeinstellung einschließlich Korrektur verschiedener Sehfehler
WO2002089714A2 (en) * 2001-05-07 2002-11-14 Reveo, Inc. Glare block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986B1 (ko) * 2006-06-23 2014-10-13 픽셀옵틱스, 인크.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 어댑터
KR101339973B1 (ko) * 2012-05-11 2013-12-10 주식회사 이랜텍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304587A (ja) 2007-11-22
BRPI0705959A (pt) 2008-07-15
MX2007005286A (es) 2008-12-02
EP2013656A1 (en) 2009-01-14
TW200745652A (en) 2007-12-16
WO2008045137A1 (en) 2008-04-17
CA2651541A1 (en) 2008-04-17
SG136935A1 (en) 2007-11-29
AR060987A1 (es) 2008-07-30
EP2013656A4 (en) 2009-11-04
CN101067684A (zh)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8039A1 (en) Spectacle frame bridge housing electronics for electro-active spectacle lenses
US20090103044A1 (en) Spectacle frame bridge housing electronics for electro-active spectacle lenses
KR20070053189A (ko) 전기-활성 안경 렌즈용 전자부품 수용 안경 프레임 코걸이
US7527375B2 (en) Electronic adapter for electro-active spectacle lenses
US11042045B2 (en) Electronic eyewear and display
US8678581B2 (en) Attachable electro-active lens systems
US20200271960A1 (en) Modularized temple of spectacles and smart eyewear
US20140204021A1 (en) Eyeglasses type operation device, eyeglasses type operat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s
US20130201439A1 (en) Electronic eyeglass frame
JP2013541730A (ja) 電子活性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824136A (zh) 眼镜架和眼镜
CN209821541U (zh) 一种智能眼镜
CN210038369U (zh) 一种防近视眼镜
CN113168026A (zh) 电子眼镜
CN114296259B (zh) 眼镜
AU2012245171B2 (en) Electronic adapter for electro-active spectacle lenses
CN211698488U (zh) 一种近视预防眼镜
AU2022323297A1 (en) Electronic eye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