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052A -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052A
KR20070053052A KR1020050111002A KR20050111002A KR20070053052A KR 20070053052 A KR20070053052 A KR 20070053052A KR 1020050111002 A KR1020050111002 A KR 1020050111002A KR 20050111002 A KR20050111002 A KR 20050111002A KR 20070053052 A KR20070053052 A KR 2007005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message
base station
map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837B1 (ko
Inventor
이병하
황인석
정중호
윤순영
조재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837B1/ko
Priority to US11/602,122 priority patent/US7715361B2/en
Publication of KR2007005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해야만 하는 제1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제2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제2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 MAP 메시지, 공통 제어 메시지, 전용 제어 메시지, short-term CQI, long-term CQI, 주파수 재사용 계수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OWNLINK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여 송신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제어 메시지를 분할하여 송신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쥴링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프레임에서 NULL: No Tx 방식을 사용하여 MAP 영역을 통해 MAP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프레임에서 O padding 방식을 사용하여 MAP 영역을 통해 MAP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운링크(downlink)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라(cellular) 구조를 가지는 통신 시스템(이하 '셀룰라 통신 시스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은 한정된 자원, 즉 주파수(frequency) 자원과, 코드(code) 자원과, 타임 슬럿(time slot) 자원 등을 상기 셀룰라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셀들이 분할하여 사용함으로 인해 셀간 간섭(ICI: Inter Cell Interference, 이하 'ICI'라 칭하기로 한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상기 다수의 셀들이 분할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ICI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전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비율을 '주파수 재사용 계수(frequency reuse factor)'이라고 칭하기로 하며, 상기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 셀들의 개수에 의해 정의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은 일반적인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셀룰라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3개의 셀들, 즉, 제1셀(110)과, 제2셀(120) 및 제3셀(130) 각각은 3-섹터(sector) 구조를 가진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제1셀(110)은 제1섹터(111)와, 제2섹터(113)와, 제3섹터(115)의 3-섹터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셀(120)은 제1섹터(121)와, 제2섹터(123)와, 제3섹터(125)의 3-섹터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셀(130)은 제1섹터(131)와, 제2섹터(133)와, 제3섹터(135)의 3-섹터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셀룰라 통신 시스템이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므로, 상기 제1셀(110) 내지 제3셀(130)의 모든 섹터들은 동일한 주파수 자원, 즉 동일한 FA(Frequency Allocation) F1을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각 셀 및 섹터에서 동일한 FA F1을 사용하기 때문에 셀 경계 지역에서의 채널 상태는 열악해져서, 일 예로 캐리어대 간섭 잡음비(CINR: Carrier-to-Interference-and Noise Ratio, 이하 'CINR'이라 칭하기로 한다)가 굉장히 작아져서 해당 셀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강인한(robust, 이하 'robust'라 칭하기로 한다)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칭하기로 한다) 레벨을 적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수신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상기 도 1에서는 일반적인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frame)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다운링크 프레임은 프리앰블(preamble) 영역(210)과, 프레임 제어 헤더(FCH: Frame Control Header) 영역(220)과, 맵(MAP, 이하 'MAP'이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230)과, 버스트(burst) 영역(2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리앰블 영역(210)을 통해서는 송신 장치, 일 예로 기지국(BS: Base Station)과 수신 장치, 일 예로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간의 동기 획득과, 기지국 구분을 위해 사용되는 프리앰블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220)을 통해서는 프레임 제어 헤더가 송신되며,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는 상기 MAP 영역(230)에 적용된 변조 방식 및 상기 MAP 영역(230)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220)의 크기는 고정적인 크기, 일 예로 24비트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220)에는 또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고정적인 MCS 레벨, 일 예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16 레벨이 적용된다.
상기 MAP 영역(230)을 통해서는 MAP 메시지가 송신되며, 상기 MAP 메시지는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 및 업링크(uplink) 버스트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와, 변조 방식 정보와, 상기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 및 업링크 버스트 영역의 할당 정보, 즉 상기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 및 업링크 버스트 영역이 특정한 이동 단말기에게 전용으로 할당되었는지 혹은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공통으로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트 영역(240)은 특정 이동 단말기에게 전용으로 할당되는 전용 버 스트 영역들(243,245,247,249)과,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공통으로 할당되는 공통 버스트 영역(24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들(243,245,247,249)을 통해서는 특정 이동 단말기를 타겟으로 하는 전용 버스트 데이터, 일 예로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 및 전용 제어 메시지(dedicated control message)가 송신되고, 상기 공통 버스트 영역(241)을 통해서는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타겟으로 하는 공용 버스트 데이터, 일 예로 공통 제어 메시지(common control message)가 송신된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247)을 통해서만 전용 제어 메시지가 송신되고, 상기 나머지 전용 버스트 영역들(243,245,249)을 통해서는 트래픽 데이터가 송신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MAP 영역(230)을 통해서 송신되는 MAP 메시지와, 공통 버스트 영역(241)을 통해 송신되는 공통 제어 메시지 및 전용 버스트 영역(247)을 통해서 송신되는 전용 제어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들간의 통신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이므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MAP 영역(230)과, 공통 버스트 영역(241) 및 전용 버스트 영역(247)에는 상기 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 일 예로 QPSK 1/12 레벨을 적용한다. 이렇게, 상기 MAP 영역(230)과, 공통 버스트 영역(241) 및 전용 버스트 영역(247)에 상기 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기지국내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상기 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 및 전용 제어 메시지를 에러없이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들(243,245,249)에는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들 (243,245,249) 각각이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들의 채널 상태에 상응하는 MCS 레벨이 적용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들(243,245,249) 각각이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들이 피드백한 채널 상태, 즉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 이하 'CQI'라 칭하기로 한다)에 상응하게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들(243,245,249) 각각에 적용할 MCS 레벨들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CQI에 상응하게 MCS 레벨을 결정함에 있어 순시 CQI(short-term CQI)를 사용한 링크 곡선을 사용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평균을 취한 평균 CQI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MAP 영역과, 공통 버스트 영역 및 전용 버스트 영역들중 전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용 버스트 영역에는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상기 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 및 전용 제어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이 적용된다. 이렇게, 상기 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 및 전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가장 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을 사용하므로 그만큼 트래픽 데이터 송신을 위한 자원, 즉 전용 버스트 영역들의 크기는 감소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의 경우 특정 이동 단말기만을 타겟으로 하는 제어 메시지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을 적용함으로써 특히 자원의 낭비가 심각하게 발생한다.
또한,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할 경우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ICI가 발생하며, 상기 ICI 발생으로 인해 상기 MAP 영역과, 공통 버스트 영역 및 전용 버스트 영역들중 전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용 버스트 영역에 해당 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을 적용하여도 상기 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 및 전용 제어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할 가능성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지역이 발생할 경우 그 지역은 해당 기지국내의 서비스 음영 지역이 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음영 지역에서는 서비스 제공 자체가 불가능하고, 이는 통신 시스템 전체의 서비스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데이터 송신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해야만 하는 제1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제2다운링크 신호를 스케쥴링하는 스케쥴러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 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제2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운링크 맵(MAP) 메시지에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를 추가시키고; 업링크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결과를 반영한 업링크 MAP 메시지를 생성하고; 공통 제어 메시지를 스케쥴링하고; 상기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전용 버스트 신호를 스케쥴링하고;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에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 스케쥴링 결과에 상응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시키고; 이후 추가로 할당할 다운링크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전용 버스트 신호 스케쥴링 및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에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 스케쥴링 결과에 상응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스케쥴러와, 이후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 및 공통 제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해야만 하는 제1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제2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제2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맵(MAP) 메시지에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를 추가시키는 제1과정과, 업링크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결과를 반영한 업링크 MAP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과정과, 공통 제어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제3과정과, 상기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전용 버스트 신호를 스케쥴링하는 제4과정과,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에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 스케쥴링 결과에 상응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시키는 제5과정과, 이후 추가로 할당할 다운링크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4과정 내지 제5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6과정과, 이후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 및 공통 제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는 제7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를 송신하는 제8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 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프레임(downlink frame)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frequency reuse factor)가 1인 셀룰라 통신 시스템이라고 가정하기로 하며, 상기 도 3에는 상기 셀룰라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셀, 즉 다수의 기지국(BS: Base Station)들 중 인접한 임의의 2개의 기지국들, 즉 제1기지국과 제2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1개의 기지국이 다수개의 셀들을 관장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상기 도 3에서는 1개의 기지국이 1개의 셀만을 관장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상기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300)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300)은 프리앰블(preamble) 영역(311)과, 프레임 제어 헤더(FCH: Frame Control Header) 영역(313)과, 맵(MAP, 이하 'MAP'이라 칭하기로 한다) 영역(315)과, 공통 버스트(burst) 영역(317) 및 전용 버스트 영역(319)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리앰블 영역(311)을 통해서는 송신 장치, 일 예로 상기 제1기지국과 수신 장치, 일 예로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간의 동기 획득과, 기지국 구분을 위해 사용되는 프리앰블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 역(313)을 통해서는 프레임 제어 헤더가 송신되며,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는 상기 MAP 영역(315)에 적용된 변조 방식 및 상기 MAP 영역(315)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313)의 크기는 고정적인 크기, 일 예로 24비트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313)에는 또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고정적인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칭하기로 한다) 레벨, 일 예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16 레벨이 적용된다.
상기 MAP 영역(315)을 통해서는 MAP 메시지가 송신되며, 상기 MAP 메시지는 상기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버스트 및 업링크(uplink) 버스트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와, 변조 방식 정보와, 상기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 및 업링크 버스트 영역의 할당 정보, 즉 상기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 및 업링크 버스트 영역이 특정한 이동 단말기에게 전용으로 할당되었는지 혹은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공통으로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공통으로 할당된 버스트 영역이 상기 공통 버스트 영역(317)이며, 상기 특정한 이동 단말기에게 전용으로 할당된 버스트 영역이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19)이다.
상기 공통 버스트 영역(317)을 통해서는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타겟으로 하는 공용 버스트 데이터, 일 예로 공통 제어 메시지(common control message)가 송신되며,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19)을 통해서는 특정 이동 단말기를 타겟으로 하는 전용 버스트 데이터, 일 예로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 및 전용 제어 메시지(dedicated control message)가 송신된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는 일 예로 시스템 파라미터 방송 정보(system parameter broadcasting information)와, 인접 셀 구성(neighbor cell configuration)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이다.
한편, 상기 제1기지국에서 송신할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공통 버스트 영역(317) 미만의 크기일 경우에는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concatenation)하여 송신할 수도 있고,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공통 버스트 영역(317)을 초과하는 크기일 경우에는 해당 공통 제어 메시지를 분할(fragmentation)하여 다수개의 다운링크 프레임들을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여 송신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서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일 예로 하여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여 송신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로 함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즉, 제2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서도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여 송신할 경우 상기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여 송신하게 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기본적인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는 상기 도 3에서 설 명한 바와 같은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공통 버스트 영역(317) 내에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 즉 제1공통 제어 메시지와, 제2공통 제어 메시지와, 제3공통 제어 메시지 및 제4공통 제어 메시지가 연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제어 메시지를 분할하여 송신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제어 메시지를 분할하여 송신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서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일 예로 하여 공통 제어 메시지를 분할하여 송신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로 함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즉, 제2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서도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를 분할하여 송신할 경우 상기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공통 제어 메시지를 분할하여 송신하게 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기본적인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제1기지국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공통 버스트 영역(317)의 크기를 초과하여 다음 프레임의 공통 버스트 영역(417)으로 분할되어 송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지국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공통 제어 메시지가 2개의 부분 공통 제어 메시지들, 즉 제1부분 공통 제어 메시지와 제2부분 공통 제어 메시 지로 분할되고, 상기 제1부분 공통 제어 메시지는 제1프레임의 공통 버스트 영역(317)을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제2부분 공통 제어 메시지는 제2프레임의 공통 버스트 영역(417)을 통해 송신된다.
한편, 상기 MAP 영역(315)을 통해서 송신되는 MAP 메시지와 공통 버스트 영역(317)을 통해 송신되는 공통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1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들간의 통신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이므로, 상기 제1기지국은 상기 MAP 영역(315) 및 공통 버스트 영역(317)에 상기 제1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강인한(robust, 이하 'robust'라 칭하기로 한다) MCS 레벨, 일 예로 QPSK 1/12 레벨을 적용한다. 이렇게, 상기 MAP 영역(315) 및 공통 버스트 영역(317)에 상기 제1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기지국내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상기 MAP 메시지 및 공통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19)에는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19)이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피드백한 채널 상태, 즉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 이하 'CQI'라 칭하기로 한다)에 상응하게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19)에 적용할 MCS 레벨을 결정한다.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19)에 적용할 MCS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상기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350)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350)은 프리앰블 영역(351)과, 프레임 제 어 헤더 영역(353)과, MAP 영역(355)과, 공통 버스트 영역(357) 및 전용 버스트 영역(359)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리앰블 영역(351)을 통해서는 송신 장치, 일 예로 상기 제2기지국과 수신 장치, 일 예로 이동 단말기간의 동기 획득과, 기지국 구분을 위해 사용되는 프리앰블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353)을 통해서는 프레임 제어 헤더가 송신되며,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는 상기 MAP 영역(355)에 적용된 변조 방식 및 상기 MAP 영역(355)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353)의 크기는 고정적인 크기, 일 예로 24비트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353)에는 또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고정적인 MCS 레벨, 일 예로 QPSK 1/16 레벨이 적용된다.
상기 MAP 영역(355)을 통해서는 MAP 메시지가 송신되며, 상기 MAP 메시지는 상기 제2기지국의 다운링크 버스트 및 업링크 버스트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와, 변조 방식 정보와, 상기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 및 업링크 버스트 영역의 할당 정보, 즉 상기 다운링크 버스트 영역 및 업링크 버스트 영역이 특정한 이동 단말기에게 전용으로 할당되었는지 혹은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공통으로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에게 공통으로 할당된 버스트 영역이 상기 공통 버스트 영역(357)이며, 상기 특정한 이동 단말기에게 전용으로 할당된 버스트 영역이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59)이다.
상기 공통 버스트 영역(357)을 통해서는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을 타겟으로 하는 공용 버스트 데이터, 일 예로 공통 제어 메시지가 송신되며, 상기 전 용 버스트 영역(359)을 통해서는 특정 이동 단말기를 타겟으로 하는 전용 버스트 데이터, 일 예로 트래픽 데이터 및 전용 제어 메시지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상기 MAP 영역(355)을 통해서 송신되는 MAP 메시지와 공통 버스트 영역(357)을 통해 송신되는 공통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2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들간의 통신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이므로, 상기 제2기지국은 상기 MAP 영역(355) 및 공통 버스트 영역(357)에 상기 제2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 일 예로 QPSK 1/12 레벨을 적용한다. 이렇게, 상기 MAP 영역(355) 및 공통 버스트 영역(357)에 상기 제2기지국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2기지국내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상기 MAP 메시지 및 공통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59)에는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59)이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가 피드백한 채널 상태, 즉 CQI에 상응하게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59)에 적용할 MCS 레벨을 결정한다. 상기 전용 버스트 영역(359)에 적용할 MCS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적용할 경우에는 셀간 간섭(ICI: Inter Cell Interference, 이하 'ICI'라 칭하기로 한다)으로 인해 해당 셀에서 지원 가능한 가장 robust한 MCS 레벨을 적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고 할지라도 그 신호 송수신을 보장할 수 없는 서비스 음영 지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비스 음영 지역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전체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각 셀의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는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과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으로 분할한다.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에는 재송신이 불가능한 신호, 즉 프리앰블 신호와, 프레임 제어 헤더와, 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가 송신되는 영역이 포함되며,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는 재송신이 가능한 신호, 즉 트래픽 데이터와 전용 제어 메시지가 송신되는 영역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을 재송신이 불가능한 신호에만 적용하는 이유는 상기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할 경우 이동 단말기 역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으로 인해 그 복잡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과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은 상기 프리앰블 신호와, 프레임 제어 헤더와, 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와 같이 재송신이 불가능하여 이동 단말기가 정확하게 수신해야만 하는 신호가 송신되는 영역이다. 즉, 상기 도 3에서 프리앰블 영역(311)과,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313)과, MAP 영역(315)과, 공통 버스트 영역(317)과, 프리앰블 영역(351)과, 프레임 제어 헤더 영역(353)과, MAP 영역(355)과, 공통 버스트 영역(357)이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재송신이 불가능하므로 각 셀에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한다.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의 크기는 각 셀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다만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보다 선행하도록 위치시켜야만 할 뿐이다. 또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은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와 트래픽 데이터와 같이 재송신이 가능한 신호가 송신되는 영역이다. 즉,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해당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별도의 재송신 방식, 일 예로 자동 반복 요구(ARQ: Automatic Repaet reQuest, 이하 'ARQ'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HARQ: Hybrid 방식 등과 같은 재송신 방식을 사용하여 재송신이 가능한 신호이다. 즉, 상기 도 3에서 전용 버스트 영역(319) 및 전용 버스트 영역(359)이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재송신이 가능하므로 각 셀에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의 크기 역시 각 셀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다만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보다 후행하도록 위치시켜야만 할 뿐이다.
또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는 이동 단말기들 이 피드백한 채널 상태, 즉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 이하 'CQI'라 칭하기로 한다)에 상응하게 그 적용할 MCS 레벨을 결정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 즉 전용 버스트 영역(319) 및 전용 버스트 영역(359)을 통해서는 트래픽 데이터가 송신될 수도 있고 전용 제어 메시지가 송신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 데이터가 송신될 경우와 전용 제어 메시지가 송신될 경우의 MCS 레벨 결정 동작은 상이해지는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MCS 레벨 결정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지국의 송신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순시 CQI(short-term CQI, 이하 'short-term CQI'라 칭하기로 한다)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 적용할 MCS 레벨을 결정한다. 상기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가 해당 시점에 피드백한 short-term CQI CQITTI(k)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에 양호한 채널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다운링크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MCS 레벨을 적용하여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만약,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시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해당 트래픽 데이터를 재송신하여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가 상기 트래픽 데이터를 정 상적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두 번째로,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서 전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의 MCS 레벨 결정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서 전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에는 재송신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한 설정 시간동안의 평균 CQI(long-term CQI, 이하 'long-term CQI'라 칭하기로 한다)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간섭 제거 방식 미적용 구간에 포함되는 영역에 적용할 MCS 레벨을 결정한다. 상기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가 해당 시점에 피드백한 short-term CQI CQITTI(k)를 상기 설정 시간 동안 평균을 취해 long-term CQI를 생성하고, 상기 long-term CQI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에 양호한 채널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다운링크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MCS 레벨을 적용하여 전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만약, 해당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를 수신시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해당 전용 제어 메시지를 재송신하여 상기 해당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여기서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short-term CQI와 long-term CQI 각각을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링크 성능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112005066614473-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MCS 레벨에서 상기 short-term CQI와 long-term CQI를 기반으로 생성된 링크 성능을 상당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short-term CQI를 기반으로 하는 링크 성능의 경우 송신 시점을 선택할 수 있는 트래픽 데이터 송신에 적합하고, 상기 long-term CQI를 기반으로 하는 링크 성능의 경우 송신 시점을 선택하는 것이 난이한 전용 제어 메시지 송신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쥴링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스케쥴링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11단계에서 기지국은 다운링크 MAP 메시지에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IE: Information Element, 이하 'IE'라 칭하기로 한다)를 추가시키고 6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업링크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그 업링크 스케쥴링 결과를 반영한 업링크 MAP을 생성한 후 6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5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제어 메시지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617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에 상응하게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를 연접하거나 분할하여 송신하도록 스케쥴링한다.
상기 6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전용 제어 메시지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619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가 타겟으로 하는 해당 이동 단말기가 피드백한 long-term CQI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상기 619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트래픽 데이터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621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래픽 데이터가 타겟으로 하는 해당 이동 단말기가 피드백한 short-term CQI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트래픽 데이터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상기 62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다운링크 MAP에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 및 트래픽 데이터 스케쥴링 결과에 따른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시킨 후 6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추가로 할당할 다운링크 자원이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추가로 할당할 다운링크 자원이 존재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617단계로 되돌아가서 추가로 할당할 다운링크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때까지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 및 트래픽 데이터 스케쥴링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623단계에서 추가로 할당할 다운링크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더 이상의 스케쥴링이 필요없으므로 그 스케쥴링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도 6에서는 전용 제어 메시지에 대한 스케쥴링을 먼저 수행한 후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스케쥴링 순서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해당 다운링크 프레임을 통해 송신할 신호의 우선 순위를 고려할 때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에 가중치(weight)를 부여하여 그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특정 다운링크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버스트들의 개수에 따라 MAP 메시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데, 상기 ICI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즉 간섭 제거 방식을 사용함에 따른 이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기지국별로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이 가능한한 일치하는 형태로 그 다운링크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기지국별로 그 다운링크 프레임내 간섭 제거 방식 적용 구간의 크기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MAP 영역에 0(zero) 데이터를 패딩(padding)하는(O padding, 이하 '0 padding'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여 MCS 레벨을 적용하거나, 혹은 해당 MAP 영역에 어떤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NULL: No Tx, 이하 'NULL: No Tx'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다운링크 프레임에서 상기 NULL: No Tx 방식을 사용하여 MAP 영역을 통해 MAP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프레임에서 NULL: No Tx 방식을 사용하여 MAP 영역을 통해 MAP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AP 영역과 NULL: No Tx 방식으로 처리되는 영역이 인접 셀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의 MAP 영역과 일치한다. 따라서, MAP 영역에는 해당 MCS 레벨을 적용하여 송신하고, 나머지 영역에는 NULL: No Tx 방식을 적용하여 어떤 신호도 송신하지 않도록 하면 간섭 제거 방식 적용으로 인한 이득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굵은 실선 처리된 부분이 실제 MAP 메시지가 송신되는 영역이 되는 것이며, 상기 굵은 실선 처리된 부분에만 MCS 레벨이 적용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다운링크 프레임에서 상기 O padding 방식을 사용하여 MAP 영역을 통해 MAP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프레임에서 O padding 방식을 사용하여 MAP 영역을 통해 MAP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MAP 영역과 O padding 방식으로 처리되는 영역이 인접 셀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의 MAP 영역과 일치한다. 따라서, MAP 영역과 O padding 방식으로 처리된 영역 모두에 해당 MCS 레벨을 적용하도록 하여 간섭 제거 방식 적용으로 인한 이득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굵은 실선 처리된 부분에는 해당 MCS 레벨이 적용된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기지국은 스케쥴러와,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프레임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상기 스케쥴링 결과에 상응하게 상기 송신기는 다운링크 프레임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스케쥴러 및 송신기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기지국의 다운링크 프레임 스케쥴링 및 송신 동작에 상응하는 동작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파수 재사용 계수 1을 사용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ICI를 고려하여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는 구간과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구간으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서비스 음영 지역 발생을 최소화하여 서비스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재송신이 불가능한 신호에만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간섭 제거 방식 적용으로 인한 이동 단말기 복잡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송신이 가능한 신호에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대신에 그 특성에 상응하게 CQI 를 기반으로 하여 적정 MCS 레벨을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 송신 용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재송신 횟수를 최소화시켜 안정적인 신호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42)

  1.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해야만 하는 제1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제2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제2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구간은 제2시구간에 선행하는 시구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는 프레임 제어 헤더와, 맵(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를 상기 기지국과 인접하며, 상기 기지국과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인접 기지국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해야만 MAP 메시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AP 메시지 크기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MAP 메시지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상기 설정 크기에서 상기 MAP 메시지 이외의 영역에 0을 패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AP 메시지 크기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MAP 메시지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상기 설정 크기에서 상기 MAP 메시지 이외의 영역에서는 어떤 신호도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일 경우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가 현재의 제1시구간 및 이후의 제1시구간에서 분할되어 송신되도록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를 다수의 부분 공통 제어 메시지들로 분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운링크 신호는 전용 제어 메시지와, 트래픽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전용 메시지가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평균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에 적용할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를 상기 결정한 MCS 레벨에 상응하게 변조 및 코딩한 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구간에서 상기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트래픽 데이터가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순시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데이터에 적용할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데이터를 상기 결정한 MCS 레벨에 상응하게 변조 및 코딩한 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2.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운링크 맵(MAP) 메시지에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를 추가시키는 제1과정과,
    업링크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결과를 반영한 업링크 MAP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2과정과,
    공통 제어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제3과정과,
    상기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전용 버스트 신호를 스케쥴링하는 제4과정과,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에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 스케쥴링 결과에 상응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시키는 제5과정과,
    이후 추가로 할당할 다운링크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4과정 내지 제5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6과정과,
    이후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 및 공통 제어 메시지 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는 제7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를 송신하는 제8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가 가산된 MAP 메시지 크기를 상기 기지국과 인접하며, 상기 기지국과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인접 기지국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내의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가 가산된 MAP 메시지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MAP 메시지 크기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MAP 메시지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상기 설정 크기에서 상기 MAP 메시지 이외의 영역에 0을 패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 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MAP 메시지 크기를 상기 인접 기지국의 MAP 메시지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상기 설정 크기에서 상기 MAP 메시지 이외의 영역에서는 어떤 신호도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일 경우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가 현재의 제1시구간 및 이후의 제1시구간에서 분할되어 송신되도록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를 다수의 부분 공통 제어 메시지들로 분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전용 제어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과정과,
    트래픽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를 스케쥴링하는 과정은;
    상기 전용 메시지가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평균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에 적용할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데이터를 스케쥴링하는 과정은;
    상기 트래픽 데이터가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순시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데이터에 적용할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구간은 제2시구간에 선행하는 시구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22.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해야만 하는 제1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제2다운링크 신호를 스케쥴링하는 스케쥴러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제2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구간은 제2시구간에 선행하는 시구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운링크 신호는 프레임 제어 헤더와, 맵(MAP) 메시지와, 공통 제어 메시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를 상기 기지국과 인접하며, 상기 기지국과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인접 기지국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공통으로 수신해야만 MAP 메시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상기 설정 크기에서 상기 MAP 메시지 이외의 영역에 0을 패딩하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상기 설정 크기에서 상기 MAP 메시지 이외의 영역에서는 어떤 신호도 송신되지 않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여 송신되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일 경우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가 현재의 제1시구간 및 이후의 제1시구간에서 분할되어 송신되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운링크 신호는 전용 제어 메시지와, 트래픽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전용 메시지가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평균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에 적용할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트래픽 데이터가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순시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데이터에 적용할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3.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운링크 맵(MAP) 메시지에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MAP 정보 엘리먼트를 추가시키고;
    업링크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상기 업링크 스케쥴링 결과를 반영한 업링크 MAP 메시지를 생성하고;
    공통 제어 메시지를 스케쥴링하고;
    상기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단말기들이 수신할 필요가 없는 전용 버스트 신호를 스케쥴링하고;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에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 스케쥴링 결과에 상응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시키고;
    이후 추가로 할당할 다운링크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전용 버스트 신호 스케쥴링 및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에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 스케쥴링 결과 에 상응하는 스케쥴링 정보를 추가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스케쥴러와,
    이후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 및 공통 제어 메시지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시구간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간섭 제거 방식을 적용하여 송신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2시구간에서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가 가산된 MAP 메시지 크기를 상기 기지국과 인접하며, 상기 기지국과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인접 기지국에서 상기 인접 기지국내의 다운링크 MAP 메시지와 업링크 MAP 메시지가 가산된 MAP 메시지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상기 설정 크기에서 상기 MAP 메시지 이외의 영역에 0을 패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MAP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상기 설정 크기에서 상기 MAP 메시지 이외의 영역에서는 어떤 신호도 송신되지 않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 미만의 크기일 경우 다수의 공통 제어 메시지들을 연접하여 송신되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일 경우 상기 공통 제어 메시지가 현재의 제1시구간 및 이후의 제1시구간에서 분할되어 송신되도록 스케쥴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버스트 신호는 전용 제어 메시지와, 트래픽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전용 메시지가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평균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전용 제어 메시지에 적용할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트래픽 데이터가 타겟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순시 채널 품질 지시자 (CQI: 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링크 성능을 사용하여 상기 트래픽 데이터에 적용할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4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구간은 제2시구간에 선행하는 시구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KR1020050111002A 2005-11-18 2005-11-18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8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002A KR100988837B1 (ko) 2005-11-18 2005-11-18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1/602,122 US7715361B2 (en) 2005-11-18 2006-11-20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downlink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002A KR100988837B1 (ko) 2005-11-18 2005-11-18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052A true KR20070053052A (ko) 2007-05-23
KR100988837B1 KR100988837B1 (ko) 2010-10-20

Family

ID=3805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002A KR100988837B1 (ko) 2005-11-18 2005-11-18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15361B2 (ko)
KR (1) KR100988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67B1 (ko) * 2007-08-16 2011-03-3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KR20110078084A (ko) * 2009-12-30 2011-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0749B2 (en) * 2001-06-06 2007-03-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pilot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11311B2 (en) * 2001-06-06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pilot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42441B2 (en) * 2004-12-23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422955B2 (en) * 2004-12-23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esti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099123B2 (en) * 2004-12-23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subchannel gains in a system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406695B2 (en) 2004-12-23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Joint interference cancellation of pilot, overhead and traffic channels
US8472877B2 (en) * 2005-10-24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Itera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and method
KR100988837B1 (ko) * 2005-11-18 201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385388B2 (en) * 2005-12-06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 reconstruction from spatially and temporally correlated received samples
WO2008084810A1 (ja) 2007-01-09 2008-07-17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制御信号のマッピング方法
KR101382894B1 (ko) * 2007-03-12 201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WO2009014401A2 (en) * 2007-07-26 2009-0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superframe structure
US8718658B2 (en) 2009-06-25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for distributedly managing interference using feedback message
KR101598523B1 (ko) 2012-01-13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US9305442B1 (en) * 2015-09-06 2016-04-05 Frederick G. Nesemei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 loc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US10432758B2 (en) 2015-11-04 2019-10-01 Altiostar Networks, Inc. Dynamic robust downlink packet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2977B2 (en) * 2000-12-29 2006-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hannel parameter estimation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s
US7508804B2 (en) * 2002-04-05 2009-03-24 Alcatel-Lucent Usa Inc. Shared signaling for multiple user equipment
KR20050098009A (ko) * 2002-05-06 2005-10-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동기화 방법
US7636337B2 (en) 2002-05-28 2009-12-22 Nokia Corporation Transmission of data for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s
KR100508923B1 (ko) 2003-06-27 2005-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수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946910B1 (ko) * 2003-11-19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534039B1 (en) * 2003-11-19 2013-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on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059933A1 (en) * 2004-12-03 2006-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tting an uplink transmission rate limit for mobile terminals transmitting over a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US7415041B2 (en) * 2004-12-31 2008-08-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88837B1 (ko) * 2005-11-18 201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67B1 (ko) * 2007-08-16 2011-03-3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KR101037038B1 (ko) * 2007-08-16 2011-05-2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KR20110078084A (ko) * 2009-12-30 2011-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190240B2 (en) 2009-12-30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15361B2 (en) 2010-05-11
KR100988837B1 (ko) 2010-10-20
US20070115890A1 (en)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83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2088814B1 (en) Radio relay station and radio terminal
US940809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CQI reports
US85335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8644209B2 (en) Method of relaying data
US200802854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balanced Relay-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EP2015498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transmission in multihop rel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59771B2 (en) Wireless relay device and wireless relay method
JP5934700B2 (ja) 中継局、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KR20080079567A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0137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1021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US202400800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al-control signaling for the relay scenarios
US2009016162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20045799A1 (en) Inconsistency free pipelin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scheme for non-terrestrial network channel
KR20080090249A (ko)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재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537736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중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개인용 중계기와, 상기 개인용 중계기와 통신하는 단말기
KR20080081118A (ko) Ofdm/ofdma 통신 시스템의 레인징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20170100110A (ko) 슬롯 기반 티티아이의 액세스 링크의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222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쉐이킹을 수행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100043569A (ko)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