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331A - Mouse control unit - Google Patents

Mouse contro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331A
KR20070050331A KR1020050135800A KR20050135800A KR20070050331A KR 20070050331 A KR20070050331 A KR 20070050331A KR 1020050135800 A KR1020050135800 A KR 1020050135800A KR 20050135800 A KR20050135800 A KR 20050135800A KR 20070050331 A KR20070050331 A KR 20070050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use
guide means
control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성식
Original Assignee
한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식 filed Critical 한성식
Publication of KR2007005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3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A47B2021/0385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combined with pointing device, e.g. m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은 일측면이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 내에서 자유평면 이동 가능한 가이드수단, 사용자의 상완과 손목을 각각 지지하는 상완받침대 및 손목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having one side open, a guide means inserted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base and freely movable in the base, a brachial support and a wrist rest supporting the user's upper arm and wrist, respectively. It is made, includ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에 의하면, 마우스를 사용하는 팔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팔의 피로도가 경감되고, 손바닥이 직접 마우스를 올려놓는 바닥면과 마찰되지 않기 때문에 손바닥이 거칠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 마우스 사용시의 편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m using the mouse is stably supported, the fatigue of the arm is reduced, and the palm is rough because the palm is not directly rubbed with the floor on which the mouse is pla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helpful to improve the convenience when using the mouse, such as the phenomenon does not occur.

마우스, 가이드수단, 상완받침대, 손목받침대, 롤러유닛 Mouse, guide means, upper armrest, wrist rest, roller unit

Description

마우스콘트롤유닛{mouse control unit}Mouse control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가이드수단이 자유롭게 평면 이동하기 위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for freely moving the guide means of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손목받침대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rist rest of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가이드수단이 자유롭게 평면이동하기 위한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to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for freely moving the guide means of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means of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이 책상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desk.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9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이 책상에 배치된 다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tate in which a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desk.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손목받침대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rist rest of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12 is another state diagram of use of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베이스 200 : 가이드수단100: base 200: guide means

210 : 지지봉 220 : 롤러유닛 210: support rod 220: roller unit

230, 240, 250 : 이동유닛 300 : 상완받침대 230, 240, 250: Mobile unit 300: Upper armrest

320 : 지지블록 340, 440 : 쿠션패드320: support block 340, 440: cushion pad

400 : 손목받침대 410 : 연결봉 400: wrist rest 410: connecting rod

420 : 연결브라켓 430 : 지지브라켓 420: connection bracket 430: support bracket

500 : 고정수단500: fixing mean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완부와 손목을 편안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우스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마우스콘트롤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se control unit for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mouse by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mouse while comfortably supporting the upper arm and wrist.

일반적으로, 컴퓨터 사용시에는 키보드와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을 책상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며, 사용자는 의자에 앉아서 상기 입력수단을 조작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computer is used,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is placed on a desk, and a user sits on a chair to manipulate the input means.

여기서, 마우스를 사용할때에는 사용자가 마우스를 조작하는 팔을 어느정도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어깨쪽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어깨 결림 등의 문제가 유발될 위험성이 있다. In this case, when using the mouse, the user needs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arm for operating the mouse to a certain degree increases the use time for a long time, thereby increasing the shoulder fatigue and causing a problem such as shoulder stiffness.

반면에 마우스 사용시 팔을 들어올린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어깨에 피로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목부분만을 책상에 받치고, 상완부를 책상 아래로 내린 자세, 즉 손목을 아래로 꺾은 자세를 취하게 되면, 손목의 신경이 압박되어 VDT 증후군과 같은 질환이 유발될 위험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you use the mouse to raise the arm to prevent the shoulders from accumulating on the desk to support only the wrist portion of the desk, lowering the upper arm to the desk, that is, if you take the wrist down, There is a risk that the nerves will be compressed and cause diseases such as VDT syndrome.

그리고, 마우스의 사용시에는, 센서볼에 대해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볼의 회전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마우스패드를 같이 사용하게 되는데, 마우스 조작시에는 마우스 뿐만아니라, 자연히 마우스를 잡은 손바닥의 일부 또한 마우스를 움직임에 따라 지속적으로 마우스패드와 마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using a mouse, a mouse pad is used to stably rotate the sensor bal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use by providing an appropriate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sensor ball. Some of the palms that hold the mouse also generate friction with the mouse pad as the mouse moves.

따라서, 앞서말한 바와 같이 센서볼에 대한 마찰력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특성상 그 표면이 부드럽지 않은 마우스패드와 손바닥이 지속적으로 마찰되면, 손바닥에 피부질환이 발생하거나, 손바닥이 거칠어 지게 되는데, 이는 특히 여성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큰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use pad and the palm of which the surface is not smooth due to the purpose of providing friction force to the sensor ball are continuously rubbed, a skin disease occurs in the palm or the palm becomes rough, especially a female This is a big disadvantage for user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마우스 사용시에 팔과 손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마우스 사용에 따른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바닥과 마우스패드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바닥이 거칠어지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마우스콘트롤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stably supporting the arm and wrist when using the mouse can not only reduce the fatigue caused by the use of the mouse, the palm by making the palm and the mouse pad not directly cont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se control unit capable of preventing roughen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은, 일측면이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베이스 내에서 자유평면이동 가능한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베이스의 외부에서 지지되며, 사용자의 상완을 지지하는 상완받침대,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고 상완받침대와 연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베이스 위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uid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base, the open side of the base, the guide means movable in the free plane in the base, by the guide means Supported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the upper arm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arm of the user, disposed on the base and connected to interlock with the upper arm support, and comprises a wrist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wrist on the base.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블록형태의 롤러케이싱 및 상기 롤러케이싱의 상하면에서 돌출되어 베이스의 상하내면과 접하는 다수개의 롤링볼로 구성되어 베이스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평면 이동되는 롤러유닛과, 롤러케이싱과 그 일측단이 연결되어 타단이 베이스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guide means is composed of a roller-shaped roller casing and a plurality of rolling balls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ller casing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base, the roller unit freely moved in the interior of the base, the roller casing and one side thereof Th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may be made of a support ro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1이동홈, 상기 제 1이동홈에 끼워지는 좌우이동판, 상기 제 1이동홈과 좌우이동판 사이에 끼워지는 스틸볼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개방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레일과,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2이동홈, 상기 제 2이동홈에 끼워지는 전후이동판, 상기 제 2이동홈과 전후이동판 사이에 끼워지는 스틸볼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이동판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수직레일과, 일단이 상기 전후이동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수평레일의 측단이 반원형태로 제 1이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좌우이동판이 제 1이동홈과 대응하여 상기 스틸볼의 크기보다 넓은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이동홈에 끼워지며, 상기 수직레일의 측단이 반원형태로 제 2이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후이동판이 제 2이동홈과 대응하여 상기 스틸볼의 크기보다 넓은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이동홈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means includes a first moving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 to be fitted into the first moving groove, the steel ball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moving groove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s and the base of the base It includes a horizontal rail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direction, the second moving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fitted to the second moving groove, the steel ball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moving groove and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And vertical rails vertical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movable plates,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support rod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and the side ends of the horizontal rails. The first moving groov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s are fitted into the first moving groove so that an inner space wider than the size of the steel ball can b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moving groove. The side rails of the vertical rails form a second moving groove in a semicircle shape, and the front and rear moving plates correspond to the second moving grooves to form an inner space wider than the size of the steel ball. It is preferable to fit.

상기 가이드수단은 전후이동홈과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볼로 이루어지는 수직레일과, 상부에 상기 이동볼이 끼워져 상기 수직레일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이동홈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저면과 부착된 수평레일과, 일단이 상기 전후이동홈에 끼워져 전후로 이동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means is provided with a vertical rail consisting of a moving ball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grooves and a lower portion, and a horizontal movement groove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movement grooves so that the vertical rail can move left and right a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A rail and one end may be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grooves and moved back and forth,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support ro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베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축과, 평면 상에서 회 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축에 힌지로 연결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와 접철이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제 2링크를 포함하는 이동부와, 일단이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링크와 힌지로 연결되며, 타단이 베이스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봉은 제 2링크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 2링크는 제 1링크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means includes a fixed shaft formed inside the base,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by a hinge so as to be able to rotate on a plane, and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first link by a hinge so as to be folded. It includes a moving part, and one end is hinged to the second link so as to rotate on a plane, the other end may be made of a support rod protruding out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the support rod is higher than the second link Preferably, the second link is connected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link.

상기 상완받침대는, 베이스 외부로 돌출된 지지봉의 선단이 삽입고정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면에 부착되며 인체의 상완부 형상에 맞게 굴곡된 형태를 갖는 쿠션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목받침대는, 상완받침대와 연결된 연결봉의 선단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면에 구비되며 인체의 손바닥 형상에 맞게 굴곡된 형태를 갖는 쿠션패드로 이루어진다.The upper arm support, the support block is inserted into the fixed end of the support rod protruding out of the base and the cushion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and has a shape bent to fit the shape of the upper arm of the human body, the wrist rest is , A support bracket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upper arm support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and a cushion pa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and having a curved shape to fit the palm shape of the human body.

상기 손목받침대는 (a) 상기 지지브라켓의 저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주형태의 받침다리와, 상기 받침다리와 지지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수단 또는 (b) 상기 지지브라켓에 장착되어 지지브라켓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부분돌출되는 구름마찰수단 중 어느 하나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wrist rest is (a) a buffer means consisting of a circumferential support leg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support bracke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leg and the support bracket, or (b)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And it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f the cloud friction means that partially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bracket.

또한 상기 베이스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베이스 하부에 대항하는 면에 홀이 형성된 “L"자 형상의 고정가이드와, 상기 홀에 끼워지는 고정나사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coupled to the base, the fixing guide is formed of a "L" shaped fixing guide hole formed in the surface facing the lower base, and the fixing screw fitted in the ho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서 그 상면에 마우스(M)를 놓고 사용하게 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베이스(100) 내에서 자유 평면이동 가능한 가이드수단(200)과, 상기 가이드수단(200)에 의해 베이스(100)의 외부에서 지지되며 사용자의 상완을 지지하는 상완받침대(300)와, 베이스(100) 위에 배치되고 상완받침대(300)와 연결 연동되며 사용자의 손목 및 손바닥을 베이스(100) 위에서 지지하는 손목받침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base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 mouse M is plac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base 100 is opened. The guide means 200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side and is freely movable in the base 100 and the upper arm support 300 which is supported by the guide means 200 on the outside of the base 100 and supports the upper arm of the user. And a wrist rest 400 disposed on the base 100 and connected to the upper arm rest 300 to support the user's wrist and palm on the base 100.

여기서, 상기 베이스(100)는 앞서 말한바와 같이 일측면만이 개방되고, 나머지 세측면이 막힌 형태로서 가이드수단(200)의 롤러유닛(220) 또는 이동유닛(230, 240, 250)이 베이스(1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Here, the base 100, as described above, only one side is opened, the remaining three sides are blocked form the roller unit 220 or the moving unit 230, 240, 250 of the guide means 200 is the base ( 10)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departure from outside.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의 가이드수단이 자유롭게 평면 이동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an embodiment including a configuration for freely moving the guide means of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가이드수단(200)은 롤러유닛(220)과, 상기 롤러유닛(220)과 이어진 지지봉(21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롤러유닛(220)은 베이스(10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블록형태 롤러케이싱(222)과, 상기 롤러케이싱(222)의 상하면에서 아래위로 돌출되어 베이스(100)의 상하내면과 접하는 다수개의 롤링볼(224)로 구성되며, 지지봉(210)은 일측단이 롤러케이싱(222)에 고정되며 타단이 베이스(100)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완받침대(300)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means 200 is composed of a roller unit 220, the support rod 210 connected to the roller unit 220, the roller unit 220 is a block-shaped roller casing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ase 100 222 and a plurality of rolling balls 224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ller casing 222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base 100, and the supporting rod 210 has one end of the roller casing 222.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roject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1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rmrest 300.

여기서, 상기 롤러케이싱(222)은 베이스(100)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서 큰 이동궤적을 이룸과 동시에 상완받침대(300)로부터 지지봉(210)에 가해지는 충중심 회전력에 의해 비틀리지 않고 버틸수 있는 적절한 평면크기를 갖도록 구성된다.Here, the roller casing 222 is a suitable plane that can be sustained without being twisted by the center of gravity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rod 210 from the upper arm support 300 at the same time a large movement trajectory in the limited space inside the base 100 Configured to have a size.

상기 상완받침대(300)는, 베이스(100) 외부로 돌출된 지지봉(210)의 선단이 삽입고정되는 지지블록(320)과, 상기 지지블록(320)의 상면에 부착되며 인체의 상완부 형상에 맞게 굴곡된 형태를 갖는 쿠션패드(340)로 이루어진다.The upper arm support 300, the support block 320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rod 210 protruding out of the base 100,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20 to fit the shape of the upper arm of the human body The cushion pad 340 has a curved shape.

상기 손목받침대(400)는, 상완받침대(300)의 지지블럭(320)과 연결된 연결봉(410)에 의해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430)과, 상기 지지브라켓(430)의 상면에 구비된 쿠션패드(440)와, 상기 지지브라켓(430)과 베이스(100) 사이에서 유발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으로 이루어진다.The wrist rest 400 is provided on the support bracket 430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horizontally by a connecting rod 410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320 of the upper arm support 30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430. Cushion pad 440, and the shock absorbing means for absorbing the shock caus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430 and the base 100.

상기 완충수단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지지브라켓(430)의 저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주형태의 받침다리(450)와, 상기 받침다리(450)에 장착되어 받침다리(450)가 지지브라켓(430) 내로 삽입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스프링(455)으로 구성된다.The cushioning means, as shown in Figure 3, the support leg 450 of the circumferential shape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support bracket 430 to be moved up and down, and the support leg 450 is mounted to the support leg 450 It is composed of a spring 455 that is elastically compressed as i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racket 430.

여기서, 손목받침대(400)의 수평회전구조는, 연결봉(410)의 선단에 관통홀(425)이 형성된 연결브라켓(420)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다리(450)가 연결브라켓(420)의 관통홀(425)을 통과하여 지지브라켓(43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데, 이에 따르면 손목받침대(400)와 연결봉(410)의 체결을 위해 별도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결한 구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Here, the horizontal rotation structure of the wrist rest 400, the connection bracket 4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25 at the tip of the connecting rod 410, the support leg 450 is penetrated through the connection bracket 420 Passed through the hole 425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racket 430, according to this can achieve a concise configuration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mponent for fastening the wrist rest 400 and the connecting rod 410 Will be.

그리고, 상기 지지봉(210)과 연결봉(410)은 아래 위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장착됨으로써, 연결봉(410)에 연결된 손목받침대(400) 역시 그 이동범위가 베이스(100) 영역내로 한정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s 210 and the connecting rods 410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to be mounted in parallel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wrist rest 40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s 410 is also moved in the base 100 area. It is limited to.

또한, 연결봉(410)이 지지봉(210) 보다 약간 짧게 구성됨으로써, 손목받침대(400)에 손을 얹고 마우스(M)를 잡은 상태에서 마우스(M)가 손목받침대(400) 보다 약간 앞에 위치됨으로써, 마우스(M)와 롤러유닛(220)이 평면상으로 볼 때 같은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410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shorter than the support rod 210, by placing the hand on the wrist rest 400, while holding the mouse (M) is located slightly ahead of the wrist rest 400, The mouse M and the roller unit 220 are located at the same point when viewed in plan.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내부 저면(110)에 상기 베이스(100)의 개방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레일(231)과, 상기 수평레일(231)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레일(235)로 구성되는 이동유닛(230)과, 상기 수직레일(235)과 연결되는 지지봉(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means, as shown in Figure 4, the horizontal rail 231 which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100 on the base inner bottom surface 110,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rail 231 The mobile unit 230 is composed of a vertical rail 235, and the support rod 21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rail 235.

상기 이동유닛(230)은 상기 수평레일(231)과, 상기 수평레일(231)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1이동홈(232)에 끼워지고 스틸볼(234)을 매개로 하여 상기 수평레일(2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좌우이동판(233)과, 상기 수직레일(235)과 상기 수직레일(235)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2이동홈(236)에 끼워지고 스틸볼을 매개로 하여 상기 수직레일(235)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전후이동판(237)으로 구성된다.The moving unit 230 is fitted into the horizontal rail 231 and the first moving groove 2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rail 231 and the horizontal rail 231 via a steel ball 234. The vertical rail 233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and the vertical rail 235 and the second moving groove 23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rail 235 and the vertical rail via a steel ball It consists of a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237 moving back and forth along 235.

상기 수직레일(235)의 하부는 상기 좌우이동판(233)에 결합되어 있어, 결국은 상기 수직레일(235)이 상기 수평레일(2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되며, 또한 상기 지지봉(210)의 일단은 상기 전후이동판(237)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지지봉(210)이 상기 수직레일(235)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rail 235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 233, so that the vertical rail 235 is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rail 231, and also the support rod 210 One end of)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237 so that the support rod 210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vertical rail 235.

즉, 마우스를 위치 이동을 위해 힘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봉(210)이 상기 수직레일(235)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수평레일(2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a force is applied to move the mouse, the support rod 210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vertical rail 235 or left and right along the horizontal rail 231.

또한 상기 수평레일(231)과 좌우이동판(233)의 연결 매개체인 스틸볼(234)의 배치구성은 확대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다(본 도면에는 수평레일(231)에서의 배치구성만을 도시하였으나, 수직레일(235)에서의 배치 구성 역시 동일하다). 상기 수평레일(231)의 양측은 반원형태로 휘어져 있어 제 1이동홈(232)을 형성하고, 상기 좌우이동판(233)의 양측은 상기 수평레일(231)의 반원형태에 대응되게 만곡되어 상기 스틸볼(234)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틸볼(234)을 매개로 상기 좌우이동판(233)이 상기 제 1이동홈(232)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데, 통상 "2Member Slide "로 불리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steel ball 234,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the horizontal rail 231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s 233, is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although only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rail 231 is shown in the figure). The arrangement of the vertical rails 235 is also the same).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rail 231 are bent in a semicircle to form a first moving groove 232, and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s 233 are curved to correspond to the semicircular shape of the horizontal rail 231. A space into which the steel ball 234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s 233 are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first moving groove 232 through the steel ball 234. 2Member Slide ".

또한 상기 스틸볼(234)이 삽입되는 공간은 스틸볼(234)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좌우이동판(233)이 비스듬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판(233)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좌우이동판(233)과 연결된 상기 수직레일(235) 역시 상기 수평레일(231)과 비스듬하게 위치하게 되며, 상기 수직레일 (235)을 따라 상기 수직이동판(237)이 이동함으로써 마우스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pace in which the steel ball 234 is inserted is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l ball 234 so that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 233 can be positioned obliquely. When the left and right movable plate 233 is positioned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rail 235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movable plate 233 is also positioned obliquely with the horizontal rail 231, and the vertical rail 235 is disposed. Accordingly, by moving the vertical plate 237, it is possible to move the mouse in the diagonal direction.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 좌우 이동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여 상기 가이드수단의 자유로운 평면 이동이 보장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as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movement, the movement in the diagonal direction is possible, thereby ensuring the free plane movement of the guide means.

상기 실시예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수단(200)은 베이스 내부 저면(110)에 형성된 수평레일(242), 상기 수평레일(242) 상부에 형성된 수직레일(244)을 포함하는 이동유닛(240)과 상기 수직레일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지지봉(210)으로 구성된다.Unlike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guide means 200 includes a horizontal rail 242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base, and a vertical rail 244 formed on the horizontal rail 242. The mobile unit 240 and the support rod 21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rail is moved.

상기 이동유닛(240)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레일(242)과 수직레일(244)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레일(242)과 수직레일(244)에는 각각 좌우이동홈(243)과 전후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moving unit 24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rail 242 and a vertical rail 244 which are form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rail 242 and the vertical rail 244,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moving grooves 243 and the front and rear A moving groove is formed.

또한 상기 수직레일(244)의 하부에는 이동볼(246)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볼(246)은 상기 수평레일(24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좌우이동홈(243)에 끼워진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지지봉(210)이 삽입되어 있는 상기 수직레일(244)이 상기 좌우이동홈(243)을 따라 상기 이동볼(246)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a moving ball 246 is formed below the vertical rail 244 and the moving ball 246 is fitted into the left and right moving grooves 243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rail 242.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mouse left or right, the vertical rail 244 into which the support rod 210 is inserted is moved by the moving ball 246 along the left and right moving grooves 243. .

상기 이동볼(246)은 상기 좌우이동홈(243)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이동볼(246)이 상기 좌우이동홈(243)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좌측 또는 우측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 우, 상기 이동볼(246)이 상기 좌우이동홈(243) 내에서 유동 가능하므로 상기 수직레일(244)이 상기 수평레일(242)과 수직의 위치가 아니라 약간 틀어져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되고 상기 수직레일(244)의 전후이동홈을 따라 상기 지지봉(210)이 전진함으로써 원하는 좌 또는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마우스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The moving ball 246 has a smaller size than the left and right moving grooves 243, so that the moving ball 246 can flow in the left and right moving grooves 243.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mouse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left or right, the vertical ball 244 and the horizontal rail 242 because the movable ball 246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moving groove 243 Instead of the vertical position, it is slightly twisted to face the desired direction, and the support rod 210 moves forward alo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grooves of the vertical rail 244 so that the mouse can be positioned in a desired left or right diagonal direction.

상기 지지봉(210)의 일 끝단은 베이스(100)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완받침대(3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레일(244)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이동홈에 삽입된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상완받침대(30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지지봉(210)이 상기 전후이동홈 내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마우스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One end of the support rod 210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arm support 30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grooves formed in the vertical rail 244.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mouse forward or backward, the support rod 210 connected with the upper armrest 300 may move back and forth withi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grooves to move the mouse to a desired posi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마우스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move the mouse to any desired position by the guide mean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가이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6a에 도시하였고, 그 작동 상태를 도 6b에 나타내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means is shown in FIG. 6A and its operating state is shown in FIG. 6B.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수단(200)은 이동유닛(250)와 지지봉(2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유닛(250)는 고정축(252), 제 1링크(254), 제 2링크(256)와 이를 각각 연결하는 힌지(258)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252)은 베이스 내부 저면(110)에 형성되어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제 1링크(254)와 연결된다. 상기 제 1링크(254)는 일단이 상기 고정축(252)을 축으로 하여 평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258) 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 2링크(256)와 연결된다. 상기 제 2링크(256)는 일단이 상기 제 1링크(254)와 연결되어 평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258)로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봉(210)과 연결된다.Guide mean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mobile unit 250 and the support rod 210, the mobile unit 250 is a fixed shaft 252, the first link 254, the second link (256) ) And hinges 258 connecting them, respectively. The fixed shaft 252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110 of the base to fix the posi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54. One end of the first link 254 is connected to the hinge 258 so as to be rotated in a plane about the fixed shaft 25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256. One end of the second link 256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54 and is connected to the hinge 258 so as to be rotated in a plan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210.

상기 지지봉(210)은 일단이 상기 제 2링크(256)와 힌지로 연결되어 평면 회전 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100)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완받침대(300)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support rod 210 is hinged to the second link 256 and is rotatable in plane,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100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rm rest 300.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이드수단(200)을 포함하는 마우스콘트롤유닛의 사용자가 마우스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손목받침대(400) 및 상완받침대(300)와 연결된 상기 지지봉(210)이 상기 이동유닛(250)을 통해 평면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유닛(250)은 각 구성이 상기 고정축(252)을 축으로 하여 평면 회전 가능하므로상기 지지봉(210)을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of the mouse control unit including the guide means 2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to move the mouse to an arbitrary position, the support rod 210 connected to the wrist rest 400 and the upper arm rest 300 The mobile unit 250 is free to move on a plane. Since the mobile unit 250 is capable of rotating in a plane with each configuration of the fixed shaft 252 as an axis, the movable rod 250 may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가이드수단(200)의 자유로운 평면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봉(210)은 상기 제 2링크(256)보다, 상기 제 2링크(256)는 상기 제 1링크(254)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동 중 각 구성이 평면 상에서 충돌하게 되므로, 이동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In order to ensure the free plane movement of the guide means 200, the support rod 210 is connected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link 256, the second link 256 is higher than the first link (254) It is desirable to be.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being located on the same plane, since each component collides on the plane during the movement, the movement is restricted.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이드수단이 이동하는 모습이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데, 실선에 의해 도시된 위치에서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능한 움직임 중 하나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guide mean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oves. One of the possible movements when moving in the right diagonal direction from the position shown by the solid line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사용자가 마우스를 현 위치에서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면, 손목받침대(400)와 연결봉(410)에 의해 연결된 상완받침대(300)의 움직임으로 지지봉(210)과 제 2링크(256)를 연결한 힌지(258)가 회전하면서 위치가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2링크(256)와 제 1링크(254)를 연결하는 힌지(258) 역시 회전하며 이동하고자 하는 우측 대각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 1링크(54)의 이동을 위해 고정축에 연결된 힌지(258)가 회전한다.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mouse in the right diagonal direc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by connecting the support rod 210 and the second link 256 by the movement of the upper arm support 300 connected by the wrist rest 400 and the connecting rod 410. The position is moved while the hinge 258 is rotated. At this time, the hinge 258 connecting the second link 256 and the first link 254 also rotates and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ight diagonal direction to be moved, and is fixed for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54. The hinge 258 connected to the shaft rotates.

물론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상기와 같은 움직임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은 아니며, 제 1링크(254)가 우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링크(256)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Of course, the movement in the right diagonal direction is not only possible by the above movement, but the first link 254 may move in the right diagonal direction and the second link 256 ma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을 컴퓨터가 놓여지는 책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7 show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he desk on which the computer is placed.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베이스(100)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00) 하부에 대항하는 면에 홀이 형성된 "L"자 형상의 고정가이드(510)와, 상기 홀에 끼워지는 고정나사(52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0)가 책상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고정가이드(510)에 책상의 일면이 끼워지고, 상기 고정나사(520)로 고정하게 된다.The fixing means 5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0, the "L" shaped fixing guide 510 formed with a hole on the surface opposite the base 100 and the fixing to be fitted in the hole It consists of a screw 520. When the base 100 is located above the desk, one surface of the desk is fitted to the fixing guide 510 and is fixed with the fixing screw 520.

책상의 두께가 다양하므로, 상기 고정가이드(510)의 폭을 여유있게 하고, 책상의 두께에 맞게 상기 고정나사(520)로 고정함으로써, 마우스콘트롤유닛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thickness of the desk may vary, the width of the fixing guide 510 may be relaxed, and the fixing screw 520 may be fixed to match the thickness of the desk,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mouse control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마우스콘트롤유닛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은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책상(D)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베이스(10)는 책상(D)의 전면 가장자리에 근접되고 개방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책상(D)에 나사결합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마우스 사용시 움직이거나, 후술된 바와 같이 상완받침대(300)를 통해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on the desk (D) as shown in Figure 8, the base 10 is close to the front edge of the desk (D) and the open surface facing the user. It is preferably disposed so as not to be shaken by a user's load applied through the upper armrest 300 or moving when using the mouse by being fixed to the desk D by screwing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베이스(10) 위에 마우스(M)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한쪽 팔의 상완부를 상완받침대의 쿠션패드(340) 위에 얹고, 손목받침대(40)의 쿠션패드(440) 위에 손목부위 및 손바닥을 얹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마우스(M)를 잡고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arm of one arm is placed on the cushion pad 340 of the upper arm as shown in FIG. 9 while the mouse M is placed on the base 10, and the cushion pad 440 of the wrist rest 40 is placed. Holding the mouse (M) with a finger on the wrist and palms on the state is used.

이와 같이 하면, 마우스(M)를 잡고 사용하는 팔의 하중이 상완받침대(3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마우스(M)를 사용하기 위해 팔을 힘들여 들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어깨부분의 피로도가 경감되며, 상완받침대(300)와 손목받침대(400)가 직선상에 위치되어 있는 특성상 손목이 꺽이지 않아 손목통증이 예방되고, 손바닥이 마우스패드 역할을 하는 베이스(100)의 상면과 직접마찰되지 않기 때문에, 손바닥피부가 거칠어지는 현상도 방지된다.In this way, since the load of the arm used to hold the mouse M is supported by the upper arm support 300, the fatigue of the shoulder part is reduc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lift the arm hard to use the mouse M. Because the upper arm support 300 and the wrist rest 400 is located in a straight line, wrist pain is prevented because the wrist is not folded, and the palm is not directly rubb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0 serving as a mouse pad. Palm skin roughness is also prevented.

더불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체의 형상에 맞게 굴곡구조로 이루어진 양 쿠 션패드(340)(440)의 특성상, 손목 및 상완부가 양 쿠션패드(340)(440)에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되고, 상완받침대(300)가 베이스(10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평행이동 가능토록 구성된 가이드수단(20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마우스(M)의 이동조작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rist and the upper arm are stably supported on both cushion pads 340 and 440 by the characteristics of both cushion pads 340 and 440 having a curv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uman body, and the upper arm. Since the pedestal 300 is connected to the guide means 200 configured to freely move in the base 100, the movement of the mouse M can be freely and easily performed.

즉, 마우스(M)를 크게 움직이거나 직선이동하는 경우에는 상완받침대(300)와 손목받침대(400)를 같이 움직이는 전체이동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마우스(M)를 작게 곡선이동하는 등의 경우에는 손목받침대(400) 만을 움직이는 부분이동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같은 전체이동방식 및 부분이동방식을 조합하여 모든 방향으로 마우스의 이동조작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moving the mouse M largely or linearly, the entire movement method of moving the upper armrest 300 and the wrist rest 400 together is used, and in the case of moving the mouse M small and curved. Partial movement method is used to move only the wrist rest 400, by combining the whole movement method and the partial movement method it is possible to move the mouse in all directions.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면만이 개방되고 나머지 세측면이 막힌 베이스(100)의 구조상 가이드수단(200)의 작동범위가 베이스(100) 내부공간으로 한정되며, 상기 가이드수단(200)과 동일한 이동궤적을 갖는 손목받침대(400) 역시 그 작동범위가 베이스(100)내로 한정된다. 따라서, 마우스(M)가 베이스(100)를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된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ng range of the guide means 200 in the structural structure of the base 100, only one surface is opened and the other three sides are blocked is limi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00, and the guide means 200 and Wrist rest 400 having the same movement trajectory is also limited to the operation range within the base (100).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ay attention so that the mouse M does not leave the base 100.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손목받침대(400)에 구비된 완충수단에 의해 베이스(100)와 손목받침대(4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더욱 경감되며, 손바닥과 접하는 손목받침대(400)의 쿠션패드(440)에 의해 마우스(M)를 잡을 때의 파지감(把持感) 또한 향상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ock generated between the base 100 and the wrist rest 400 by the buffer means provided in the wrist rest 400 is further reduced, the cushion of the wrist rest 400 in contact with the palm The grip sensation when the mouse M is held by the pad 440 is also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은,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베이 스(100)를 책상(D)아래에 부착하고, 책상(D)의 상면에 손목받침대(400)를 직접 올려놓는 방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is attached to the base (100) below the desk (D), by placing the wrist rest 400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D) May also be u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손목받침대(400)가 완충수단 대신에 구름마찰수단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구름마찰수단은 지지브라켓(430)에 장착되어 지지브라켓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부분돌출되는 롤링볼(435)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wrist rest 400 has a structure having cloud friction means instead of the cushioning means, and the cloud friction means is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430 to be supported. It consists of a rolling ball 435 which partially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racket.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앞선 실시예와 달리 도 12에서처럼 베이스(100)를 사용하지 않고, 가이드수단(200)을 책상(D)의 상판아래로 넣고 손목받침대(400)를 책상상판위에 직접올려놓는 방식으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without using the base 100, as shown in Figure 12, the guide means 200 is put under the top plate of the desk (D) and the wrist rest 400 is a desk top plate It can also be used easily by placing directly on the top.

이에 따르면, 가이드수단(200)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로 인해 손목받침대(400)와 상완받침대(30)에 가해지는 하중이 손목받침대(400)에 집중되나, 손목받침대(400)에 구름마찰수단이 구비된 특성상, 손목받침대(400)의 이동에 따른 저항이 크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롭게 마우스를 움직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load applied to the wrist rest 400 and the brachial rest 30 due to the user's arm is concentrated on the wrist rest 400 because the action of supporting the guide means 200 from below is not achiev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ictional means provided with the cloud 400, since the resistance due to the movement of the wrist rest 400 is not large, the mouse can be moved relatively free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콘트롤유닛에 의하면, 마우스를 사용하는 팔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팔의 피로도가 경감되고, 손바닥이 직접 마우스를 올려놓는 바닥면과 마찰되지 않기 때문에 손바닥이 거칠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 마우스 사용시의 편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ous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m using the mouse is stably supported, the fatigue of the arm is reduced, and the palm is rough because the palm is not directly rubbed with the floor on which the mouse is pla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helps to improve the convenience when using the mouse, such as the phenomenon such as losing.

Claims (5)

일측면이 개방된 베이스,Open base on one side, 상기 베이스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베이스 내에서 자유평면이동 가능한 가이드수단,A guide means inserted through the open side of the base, the guide means being free to move in the base,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베이스의 외부에서 지지되며, 사용자의 상완을 지지하는 상완받침대,The upper arm is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by the guide means, and supports the upper arm of the user, 상기 베이스 위에 배치되고 상완받침대와 연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베이스 위에서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받침대A wrist rest disposed on the base and connected to the upper arm support to support the user's wrist on the base 를 포함하는 마우스콘트롤유닛.Mouse control uni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means 블록형태의 롤러케이싱과, 상기 롤러케이싱의 상하면에서 돌출되어 베이스의 상하내면과 접하는 다수개의 롤링볼로 구성되어 베이스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평면 이동되는 롤러유닛,A roller unit having a block-shaped roller casing, and a plurality of rolling balls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ller casing and contacting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base, the roller unit being free to move in a plane within the base; 상기 롤러케이싱과 그 일측단이 연결되어 타단이 베이스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The roller casing and one end of the support ro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is pro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콘트롤유닛. Mous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means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제 1이동홈, 상기 제 1이동홈에 삽입되는 스틸볼, 상기 제 1이동홈에 대응하여 상기 스틸볼의 크기보다 넓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이동홈에 끼워지는 좌우이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의 개방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레일과,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제 2이동홈, 상기 제 2이동홈에 삽입되는 스틸볼, 상기 제 2이동홈에 대응하여 상기 스틸볼의 크기보다 넓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2이동홈에 끼워지는 전후이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이동판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수직레일로 이루어지는 이동유닛과,A first moving groove formed in a semicirc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a steel ball inserted into the first moving groove, and an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ving groove to form an inner space wider than the size of the steel ball; A horizontal rail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a second moving groove formed in a semicirc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a steel inserted into the second moving groove; Ball, the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ving groove to form an inner spac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teel ball and includes a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fitted to the second moving groove and consists of a vertical rail coupled vertically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es Unit, 일단이 상기 전후이동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One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movable plate, the other end is a support rod protruding out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콘트롤유닛.Mous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means 전후이동홈과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볼로 이루어지는 수직레일과, 상부에 상기 이동볼이 끼워져 상기 수직레일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이동홈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부착되는 수평레일을 포함하는 이동유닛과,It includes a vertical rail consisting of a front and rear movement groove and a moving ball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a horizontal rail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ase and having a horizontal movement groove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rail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movement ball Mobile unit, 일단이 상기 전후이동홈에 끼워져 전후로 이동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One e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groove and moved back and forth, and the other end is a support rod protruding out through the opening surface of the base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콘트롤유닛.Mous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means 상기 베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축과,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축에 힌지로 연결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와 접철이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되는 제 2링크를 포함하는 이동유닛과,A mobile unit including a fixed shaft formed inside the base,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by a hinge so as to be rotatable on a plane, and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first link by a hinge; , 일단이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링크와 힌지로 연결되며, 타단이 베이스의 개방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봉One end is hinged to the second link to rotate on a plane, the other end is a support rod protruding out through the open surface of the base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콘트롤유닛.Mous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20050135800A 2005-11-10 2005-12-30 Mouse control unit KR2007005033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7466 2005-11-10
KR1020050107466 2005-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331A true KR20070050331A (en) 2007-05-15

Family

ID=3827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800A KR20070050331A (en) 2005-11-10 2005-12-30 Mouse control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03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3422A (en) * 2018-04-19 2018-09-14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omputer desk for lifting function with h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3422A (en) * 2018-04-19 2018-09-14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omputer desk for lifting function with hand
CN108523422B (en) * 2018-04-19 2019-09-17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omputer desk for lifting function with h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4593U (en) Swing chair
JPH05502960A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injuries caused by repetitive or sustained stress
US20040089771A1 (en) Ergonomic and massaging computer interface support surfaces
JP3073438U (en) Office chair movable armrest structure
TW201934051A (en) Base seat for bed or chair capable of avoiding psychological fatigue or physical fatigue of a user, and providing more diversified and flexible using experiences
KR20070050331A (en) Mouse control unit
US7946551B1 (en) Adjustable ergonomic keyboard, mouse, and wrist support
CN111728408B (en) Self-adaptive backrest seat
JP2010029646A (en) Rocking chair
JP5554022B2 (en) Chair
US8061668B1 (en) Adjustable ergonomic keyboard, mouse, and wrist support
KR100494036B1 (en) Massager
KR101794234B1 (en) Complex sliding desk system
JPH10215980A (en) Sofa with table
CN209499212U (en) A kind of sofa with adjustable backrest meeting ergonomics
KR200275780Y1 (en) Computer working chair
JP2004065530A (en) Chair
CN209090412U (en) A kind of competing seat of electricity for storing computer peripheral equipment
TWM604195U (en) Automatic rehabilitation massage chair
KR101063866B1 (en) Mouse pad equipped with a wrist protector
JP6815681B1 (en) Chair with link mechanism and link mechanism
US20120175929A1 (en) Chair
JP2004129721A (en) Chair having memo stand
KR200298191Y1 (en) Mouse armrest side desk attached to chair
JP3215751U (en) Anti-vibration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