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577A - Chain-stitch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Chain-stitch sew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9577A KR20070049577A KR1020060109357A KR20060109357A KR20070049577A KR 20070049577 A KR20070049577 A KR 20070049577A KR 1020060109357 A KR1020060109357 A KR 1020060109357A KR 20060109357 A KR20060109357 A KR 20060109357A KR 20070049577 A KR20070049577 A KR 200700495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ing
- knot
- cam
- needle
- operatio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2—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 D05B57/04—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rotary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4—Combined or alternative chain-stitch and lock-stitch seam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2—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chain-stitch sew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05B63/02—Loop-taker thread take-up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견고한 매듭의 실행 여부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easily switch whether or not to execute a solid kno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봉바늘(11)과, 회전식 루퍼와, 캠부(61)를 갖는 매듭 캠(32)과, 캠부와 맞닿는 접촉부(71)를 가지며, 상기 접촉에 의해 축부재(62)를 중심으로 요동하는 요동수단(70)과, 견고한 매듭을 짓기 위한 실 유지부재(63)를 구비하며, 요동수단(70)은, 매듭의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를 전환하는 전환작동부재(73)를 구비하며, 각 위치의 전환에 의해, 매듭 형성의 실행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환작동부재를 가압력에 의해 각 위치에 유지시키는 탄성체(75)를 설치하였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is invention has the sewing needle 11, the rotary looper, the knot cam 32 which has the cam part 61, and the contact part 71 which abuts with a cam part, and has a shaft by the said contact. A rocking means 70 oscillating around the member 62 and a thread holding member 63 for making a firm knot, wherein the rocking means 70 switches to switch the running position and the non-running position of the knot. The operation member 73 is provided, and it is comprised so that selection of execution of a knot may be selected by switching of each position. Moreover, the elastic body 75 which keeps the said switching operation member in each position by the pressing force was provid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환봉 재봉기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round bar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환봉 재봉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und bar sewing machine.
도 3은 환봉 재봉기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round bar sewing machine omitted.
도 4는 환봉 재봉기를 도 3의 화살표 F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und bar sewing machine seen in the arrow F direction of FIG.
도 5는 바늘수 조절기구 및 매듭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전환작동부재를 실행위치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the needle number adjusting mechanism and the knot mechanism, and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position.
도 6은 바늘수 조절기구 및 매듭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전환작동부재를 비실행위치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the needle number adjusting mechanism and the knot mechanism, and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is switched to the non-executing position.
도 7의 (A)는 버튼용 유지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라벨용 유지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button holding means,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label holding means.
도 8은 매듭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not mechanism.
도 9의 (A)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사시도이다.FIG. 9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knot forming process, and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도 10의 (A)는 도 9에 이어지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의 (B)는 사시도이다.FIG. 10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knot following FIG. 9, and FIG. 10B is a perspective view.
도 11의 (A)는 도 10에 이어지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의 (B)는 사시도이다.FIG. 11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knot following FIG. 10, and FIG. 11B is a perspective view.
도 12의 (A)는 도 11에 이어지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의 (B)는 사시도이다.FIG. 12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knot following FIG. 11, and 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도 13의 (A)는 도 12에 이어지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의 (B)는 사시도이다.FIG. 13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knot following FIG. 12, and FIG. 13B is a perspective view.
도 14의 (A)는 도 13에 이어지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4의 (B)는 사시도이다.FIG. 14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knot following FIG. 13, and FIG. 14B is a perspective view.
도 15의 (A)는 도 14에 이어지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5의 (B)는 사시도이다.FIG. 15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knot following FIG. 14, and FIG. 15B is a perspective view.
도 16의 (A)는 도 15에 이어지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6의 (B)는 사시도이다.FIG. 16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knot following FIG. 15, and FIG. 16B is a perspective view.
도 17의 (A)는 도 16에 이어지는 매듭의 형성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7의 (B)는 사시도이다.FIG. 17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orming a knot following FIG. 16, and FIG. 17B is a perspective view.
도 18은 매듭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knot is formed.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요동수단의 사시도이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rocking means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cking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수단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nging means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22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수단의 사시도이다.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winging means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nging means in the third embodiment.
도 24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수단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rocking means in the third embodiment. FIG.
도 25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수단의 정면도이다.Fig. 25 is a front view of the swinging means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26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동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nging means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27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knot mechanism in 5th Embodiment.
도 28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knot mechanism in 5th Embodiment.
도 29는 도 28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32의 W-W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8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W-W of FIG.
도 30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의 전환수단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ans of a knot mechanism in 5th Embodiment.
도 31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knot mechanism in 6th Embodiment.
도 32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knot mechanism in 6th Embodiment.
도 33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의 전환수단이 실행위치로 전환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3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witching means of the knot mechanism in the sixth embodiment is switched to the execution position.
도 34는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의 전환수단이 비실행위치로 전환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knot mechanism in the sixth embodiment to the non-execution position.
도 35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knot mechanism in 7th Embodiment.
도 36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가 구비하는 전환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Fig. 3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ing means included in the knot mechanism in the seventh embodiment.
도 37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매듭기구가 구비하는 전환수단의 전환동 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ans included in the knot mechanism in the seventh embodiment.
도 38은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 3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witching means in the eighth embodiment.
도 39는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3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switching mean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도 40은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매듭 실행시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operation during knotting of the switching means in the eighth embodiment.
도 41은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매듭 비실행시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operation when the knot is not executed by the switching means in the eighth embodiment.
도 42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 4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switching means in the ninth embodiment.
도 43은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매듭 실행시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operation during the knotting of the switching means in the ninth embodiment.
도 44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매듭 실행시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witching operation during knotting of the switching means in the ninth embodiment. FIG.
도 45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매듭 비실행시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witching operation when the knot is not executed by the switching means in the ninth embodiment. FIG.
도 46은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환수단의 매듭 비실행시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operation when the knot is not executed by the switching means in the ninth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재봉 바늘 12 : 바늘판11: sewing needle 12: needle plate
13 : 루퍼 14 : 실 도피부재13: looper 14: thread escape member
20 : 프레임 30 : 바늘수 조절기구20: frame 30: needle number adjustment mechanism
31 : 감속축 32 : 판 캠(매듭 캠)31: reduction shaft 32: plate cam (knot cam)
60, 60D, 60E, 60F, 60G : 매듭기구Knot Mechanism: 60, 60D, 60E, 60F, 60G
61, 61F : 캠부재(캠부) 62 : 축부재61, 61F: cam member (cam part) 62: shaft member
63 : 실 유지부재 64, 64E : 연결수단63:
70, 70A, 70B, 70C : 요동수단(전환수단) 70D, 70E : 요동수단70, 70A, 70B, 70C: rocking means (switching means) 70D, 70E: rocking means
71, 71A, 71B, 71C, 71D, 71E : 접촉부71, 71A, 71B, 71C, 71D, 71E: Contact
72, 72A, 72B, 72C, 72D, 72E : 연결작동부재72, 72A, 72B, 72C, 72D, 72E: Connecting operating member
73, 73A, 73B, 73C, 81D, 81E, 81F, 81G, 81H : 전환작동부재73, 73A, 73B, 73C, 81D, 81E, 81F, 81G, 81H: Switching operation member
74, 74A, 74B, 74C : 걸림고정수단74, 74A, 74B, 74C: locking means
72a : 제 1 결합볼록부 72b : 제 2 결합볼록부72a:
73a : 제 1 결합오목부 73b : 제 2 결합오목부73a:
75, 75A, 75B, 75C, 82D, 82E, 82F : 가압 스프링(탄성체)75, 75A, 75B, 75C, 82D, 82E, 82F: Pressure spring (elastic material)
80D, 80E, 80F, 80G, 80H : 전환수단80D, 80E, 80F, 80G, 80H: switching means
83A, 84A, 83C, 84C, 83D, 84D, 83E, 84E, 83F, 84F : 결합구멍부83A, 84A, 83C, 84C, 83D, 84D, 83E, 84E, 83F, 84F: Coupling hole
83G, 84G : 개구부 83H, 84H : 제 1 유지부83G, 84G: opening 83H, 84H: first holding part
85A, 85C, 85D, 86D, 85E, 86E, 85F, 86F : 슬릿부85A, 85C, 85D, 86D, 85E, 86E, 85F, 86F: Slit
100 : 환봉 재봉기 B : 버튼(재봉부착물)100: round sewing machine B: button (sewing attachment)
L : 라벨(재봉부착물)L: Label (Sewing Attachment)
본 발명은, 피봉제물에 대해 재봉부착물의 부착을 행하는 환봉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nd bar sewing machine for attaching a sewing object to a sewing object.
일반적으로, 환봉 재봉기는, 본봉(LOCK STITCH)와 달리, 바늘을 통과한 실만으로 뜨개질의 코와 같이 바늘땀을 형성하므로, 일단 어느 하나의 바늘땀이 풀리면 주위의 바늘땀까지 풀려버린다. 예컨대, 환봉으로 천에 버튼을 부착시키는 환봉 버튼달이 재봉기에서는,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과, 천과 버튼을 유지시켜 좌우 또는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유지기구와, 바늘판 아래에서 바늘 낙하시마다 재봉바늘로부터 재봉실을 포착하는 루퍼를 구비하고 있다.In general, the round bar sewing machine, unlike the LOCK STITCH, because only the thread passed through the needle to form needle stitches like the nose of knitting, once the needle stitches are released, the needle stitches around them are released. For example, in a sewing machine with a round bar button for attaching a button to a fabric with a round bar, a sewing needle that moves up and down, a holding mechanism for holding the fabric and the button and reciprocating from side to side or back and forth, and from each sewing needle under the needle plate A looper for capturing the sewing thread is provided.
그리고,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에 대해 버튼 및 천을 소정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버튼의 2개의 실 통과구멍에 번갈아 바늘을 낙하시킴과 동시에 각 바늘 낙하시마다 재봉실의 루프를 다음 번 바늘 낙하시의 재봉실의 루프에 통과시켜, 단사(單絲) 환봉에 의한 버튼 부착이 이루어져 왔다.Then, the needle and the cloth are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wing needle moving in the fall, alternately dropping the needle into the two threaded through holes of the button, and the loop of the sewing thread for each needle drop, and the loop of the sewing thread for the next needle drop. The button attachment by the single yarn round bar has been made to pass through.
그런데, 상기 단사 환봉에 있어서는, 재봉실의 종단이 풀리면 바로 재봉실 전체가 풀려 재봉부착물이 피봉제물로부터 떨어져 버리게 되므로, 최종 바늘 낙하와 그보다 한 바늘 전의 바늘낙하시에, 동일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바늘을 낙하시킴으로써, 재봉실의 종단을 단단히 묶어 매듭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매듭 방법에서는, 최종 바늘낙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바늘낙하시에 형성되는 루프에 재봉실의 종단이 삽입통과되어 단단히 묶일 뿐이므로, 재봉실의 종단이 루프로부터 빠지면 풀려버린다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였다.However, in the single yarn round bar, the entire sewing thread is release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sewing thread is released, so that the sewing attachment is separated from the sewing object, so that the needle is repeatedly dropped at the same position during the final needle drop and the needle drop before the needle. In general, the end of the sewing thread is tightly tied to form a knot. However, in this knotting metho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end of the sewing thread is tightly inserted through the loop formed at the needle fall before the needle drop from the last needle drop, and thus loosened when the end of the sewing thread is removed from the loop.
이 때문에,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낙하에 의한 루프가 실채기에 의해 체결되지 않도록 그 실 길이를 길게 유지하고, 최종 바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바늘낙하에 의한 루프가 실채기에 의해 체결되기 전에 해방시킴으로써, 최종 바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바늘 낙하에 의한 루프의 실채기에 의한 체결과, 최종 바늘에 의한 루프가 루퍼에 의해 하방으로 끌어내려지는 것에 의해, 최종 바늘의 낙하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와 함께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루프를, 최종 바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루프의 내측으로 끌어넣는 매듭방법이 알려진 바 있다.For this reason, the thread length is kept long so that the loop by the needle drop from the last needle before the two needles is not fastened by the thread take-up, and the release is released before the loop by the needle drop from the last needle is fastened by the thread take-up, Two needles from the last needle together with a loop by thread take-up by the needle falling one needle from the last needle and a loop formed by the fall of the last needle by the loop by the last needle being pulled downward by the looper It is known to knot the former loop from the last needle to the inside of the loop before one needle.
이러한 매듭방법에 의한 매듭은, 최종 바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루프가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루프를 체결하고,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루프가 절단 후의 실 종단부를 체결하므로, 설사 절단 후의 실 종단부가 두 바늘 전의 루프로부터 빠지더라도, 한 바늘 전의 루프가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풀리지 않는 매듭을 만들 수 있다.In the knot by this knotting method, since the loop before one needle from the last needle fastens the loop before two needles from the last needle, and the loop before two needles from the last needle fastens the thread end after cutting, the thread end after diarrhea cutting Even if it is pulled out of the loop before the needle, the loop before one needle can be held in a fastened state, thereby making a knot which is not easily released.
그리고, 종래의 환봉 재봉기는, 상기 매듭을 실시하기 위해, 피재봉부착물의 부착에 요하는 바늘수로 한 바퀴 회전하는 회전축에 설치된 판 캠과, 회전하는 판 캠의 결합돌기에 맞닿아 회동하는 아암과, 바늘판의 하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에서 재봉실의 루프를 거는 매듭부재와, 아암과 매듭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체를 구비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In order to perform the knot, the conventional round bar sewing machine rotate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cam of the plate cam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which rotates one revolution with the number of needles required for attachment of the sewing object, and the rotating plate cam. And a knot member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lower side of the needle plate and which loops the sewing thread at its distal end, and a plurality of link bodies connecting the arm and the knot member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상기 매듭부재는, 회동에 의해 그 선단부가, 재봉실로부터 떨어진 대피위치로부터, 재봉실의 루프를 거는 동시에 실채기에 의해 체결된 상태보다도 실 길이를 길게 유지하는 실 유지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knot member is capable of moving from its evacuation position away from the sewing thread to the thread holding position by which the knot member hangs the loop of the sewing thread and maintains the length of the thread longer than the state engaged by the thread take-up.
그리고, 판 캠은, 그 결합돌기가,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 낙하에 의한 루프가 루퍼에 포착된 후의 타이밍에 아암에 맞닿아, 최종 바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바늘낙하에 의한 루프가 실채기에 의해 체결되기 전의 타이밍에 아암과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plate cam has an engaging protrusion that contacts the arm at a timing after the loop of the needle drop from the last needle to the looper is captured by the looper, and the loop due to the needle drop from the needle before the last needle is unwound. It is formed so that the contact state with an arm may be released in the timing before fastening.
그리고, 아암과 매듭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체는, 아암과 판 캠의 비(非)결합상태에서는 매듭부재의 선단부가 대피위치가 되고, 아암과 판 캠의 결합상태에서는 매듭부재의 선단부가 실 유지위치가 되도록 연결하고 있다.I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connecting the arm and the knot member,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knot member is in an evacuation position when the arm and the plate cam are not engaged,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knot member is engaged when the arm and the plate cam are engaged. The connection is made so that the thread holding position is maintain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환봉 재봉기는,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 낙하에 의한 루프가 실채기에 의해 체결되기 전에 판 캠의 결합돌기가 아암에 결합되어 매듭부재의 선단부를 실 유지위치까지 전진시키고, 최종 바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바늘 낙하에 의한 루프가 실채기에 의해 체결되기 전에 판 캠의 결합돌기가 아암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되어 매듭부재의 선단부를 대피위치까지 후퇴시킨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conventional round bar sewing machine,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plate cam is coupled to the arm to advance the front end of the knot member to the thread holding position before the loop by the needle drop before the two needles is fastened by the thread take-up,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plate cam is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arm and the tip of the knot member is retracted to the evacuation position before the loop by the needle drop before the final needle is fastened by the thread take-up.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용이하게 풀리지 않는 매듭이 실행되게 되어 있다.Thereby, the knot which is not easily loosened as mentioned above is performed.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H9(1997)-290081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9 (1997) -290081
상기한 종래의 환봉 재봉기는, 버튼을 다는데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라벨의 부착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라벨은 그 역할을 다한 후에는 천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의 용이하게 풀리지 않는 매듭보다도, 종래와 같은 쉽게 풀리는 매듭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ventional round bar sewing machin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attaching a button, but is also used for attaching a label, for example. Since these labels are often removed from the fabric after their role,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m with knots which are easily loosened as in the prior art rather than the knots which are not easily loosened.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환봉 재봉기에서는, 쉽게 풀리는 매듭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매듭부재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판 캠에 나사고정된 결합돌기를 구성하는 돌기부재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어, 매듭방법의 전환작업이 대단히 번잡하다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und bar sewing machine, in order to easily loosen the kno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protruding members constituting the engaging projection screwed to the plate cam so that the knot member is not rotated. The drawback was that the conversion was very complicated.
또한, 돌기부재의 배치는, 매듭부재의 회동 타이밍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재부착작업에는 정확한 위치조절이 필요한데, 이것이 매듭방법의 전환작업을 더욱 번잡하게 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ding members greatly influences the timing of rotation of the knot members, accurate repositioning is required for the reattachment work, which makes the switching method of the knot method more complicated.
본 발명은, 쉽게 풀리지 않는 매듭과 쉽게 풀리는 매듭의 전환작업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switch operation between a knot that is not easily loosened and a knot that is easily loosened, an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또한, 그 전환을 위한 구성을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oreover, it aims at making the structure for the switching into a simple structur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11)과, 상기 재봉바늘에 협동하여 환봉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회전식 루퍼(13)와, 캠부를 갖는 매듭 캠(32)과, 상기 매듭 캠의 캠부에 맞닿는 접촉부(71, 71A, 71B, 71C, 70D, 70E)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캠부가 맞닿음으로써 축부재를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요동수단과, 상기 요동수단의 요동부위에 연결되어 왕복이동하여, 최종 바 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 낙하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루프를 유지하는 실 유지부재(63)를 구비하며, 상기 실 유지부재가 그 실 유지위치에서 상기 제 1 루프의 실 길이를 통상의 바늘땀보다도 길게 유지시키고, 최종 바늘의 낙하시에, 상기 제 1 루프 다음의 제 2 루프가 피봉제물에 가까워지기 전에 상기 실 유지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제 1 루프를 해방시킴으로써 최종 바늘의 낙하에 의해 형성되는 제 3 루프와 함께 상기 제 1 루프를, 제 2 루프에 통과시켜 매듭을 형성하는 환봉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실 유지부재에 의한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전환하는 전환수단(70, 70A, 70B, 70C)을 구비하며,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간의 위치전환에 의해 전환하는 전환작동부재(73, 73A, 73B, 73C, 81D, 81E, 81F, 81G, 81H )와, 상기 전환작동부재를 상기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가압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75, 75A, 75B, 75C, 82D, 82E, 82F)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작동부재를, 상기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간에 전환함으로써, 상기 매듭 형성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a sewing needle (11) moving in motion, a rotary looper (13) which cooperates with the sewing needle to form needle stitches of a round bar, a knot cam (32) having a cam portion, and the knot cam. Rocking means having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간의 위치전환에 의해 전환하는 전환작동부재(73, 73A, 73B, 73C, 81D, 81E, 81F, 81G, 81H)와, 상기 전환작동부재를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유지시키는 탄성체(75, 75A, 75B, 75C, 82D, 82E, 82F)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작동부재를, 상기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간에 전환함으로써, 상기 매듭 형 성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and the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연결작동부재(72, 72A, 72B, 72C, 72D, 72E)와, 상기 접촉부를 갖는 상기 전환작동부재와, 상기 전환작동부재를, 상기 접촉부가 상기 캠부와 맞닿을 수 있는 상기 실행위치와 맞닿을 수 없는 상기 비실행위치에 상기 연결작동부재에 대해 끼워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수단(74, 74A, 74B, 74C)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3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2, and at the same time, the switching means includes a connection operating member (72, 72A, 72B, 72C, 72D, 72E) that swings around the shaft member. And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hav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are fit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operation member in the non-execution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cannot contact the execution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may contact the cam por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cking means 74, 74A, 74B, 74C for fixing are provided is adopted.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매듭 캠의 캠부는, 상기 매듭 캠의 외주를 따라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vention of Claim 4 has the structure similar to invention of Claim 2, and the cam part of the said knot cam is comprised so that position adjustment is possibl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knot cam.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전환작동부재가, 상기 캠부를, 상기 매듭 캠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출몰에 의해 상기 요동수단을 요동시키는 상기 실행위치와 상기 요동수단을 요동시키지 않는 상기 비실행위치 간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유지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and the switching means includes: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is configured to allow the cam portion to emerg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t cam. A configuration is adopted so that switching between the execution position to oscillate and the non-operation position to oscillate the oscillation means is possible.
(제 1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Overall constitu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환봉 재봉기(1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환봉 재봉기(100)의 측면도, 도 2는 사시도, 도 3은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round
환봉 재봉기(100)는, 재봉기의 각 구성을 수납 또는 유지시키는 프레임(20) 과, 각 구성의 구동원이 되는 재봉기 모터(도시 생략)와, 재봉기 모터로부터의 출력 토크를 각 구성에 전달하는 주축(도시 생략)과, 재봉기 모터로부터 주축으로의 동력 전달의 접속과 단절을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25)와, 재봉 바늘(11)을 상하이동시키는 바늘 상하이동기구(35)와, 재봉 바늘(11)에 협동하여 환봉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회전식 루퍼(13; 도 9 참조)를 갖는 루퍼 기구(도시 생략)와, 루퍼(13)에 의해 형성된 재봉실의 루프를 하강하는 재봉 바늘로부터 회피시키는 실 도피부재(14; 도 9 참조)와, 피봉제물인 천에 부착시키는 재봉부착물을 유지시키는 유지수단(40(45))과, 봉제시에 재봉바늘과 재봉부착물을 상대적으로 위치결정하는 이동기구(50)와, 재봉부착물의 부착에 요하는 바늘수를 설정하기 위한 바늘수 조절기구(30)와, 재봉부착 후에 매듭을 짓는 매듭기구(60)와, 매듭 후에 실을 절단하는 실 절단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The round
(프레임)(frame)
프레임(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를 구성하는 재봉기 베드부(21)와, 재봉기 베드부(21)의 일단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수직바디부(22)와, 수직바디부(22)로부터 재봉기 베드부(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아암부(2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재봉기 베드부(21)의 길이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에 직교하며 재봉바늘(11)이 상하이동하는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 및 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wing
(각 축의 연결)(Connection of each axis)
재봉기 베드부(21) 내에는 X축 방향을 따라 주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재봉기 모터로부터 클러치 기구를 통해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In the sewing
또한, 재봉기 베드부 내에는 Y축 방향을 따라 루퍼기구의 루퍼 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주축으로부터 나사 기어를 통해 주축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구동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looper shaft of the looper mechanism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wing machine bed portion along the Y-axis direction, and rotational driving is performed at the same speed as the main shaft through the screw gear from the main shaft.
또한, 재봉기 베드부 내에는 X축 방향을 따라 바늘수 조절기구(30)가 감속축(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루퍼 축의 수직바디부(22)측 단부에 부착된 웜 기어에 의해 소정의 감속비로 회전구동력이 부여된다.In addition, in the sewing machine bed portion, the needle
그리고, 재봉기 베드부 내에는 X축 방향을 따라 바늘수 조절기구(30)를 클러치 기구에 연동시키는 연동축(3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In the sewing machine bed portion, an interlocking
(바늘수 조절기구)(Needle number adjustment mechanism)
도 4는 환봉 재봉기(100)를 도 3의 화살표 F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재봉기 베드부(21)에 설치된 바늘수 조절기구(30) 및 매듭기구(60)만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바늘수 조절기구(30) 및 매듭기구(60)의 확대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un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수 조절기구(30)는, 루퍼 축에 부착된 웜 기어(도시 생략)와, 웜 기어에 맞물리는 평기어를 구비하고 주축에 대해 소정의 감속비로 회전구동하는 전술한 감속축(31)과, 감속축(31)의 일단부에 설치된 대략 원판형상의 판 캠(32; 도 4 내지 도 7 참조)과, 클러치 기구(25)와의 연동을 도모하기 위한 연동축(34)과, 기저단부가 연동축(34)의 일단부에 고정지지됨과 동시에 요동단부가 판 캠(32)의 외주에 결합하는 조절 아암(33)과, 조절 아암(33)을 판 캠(32)의 외주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needle
상기 바늘수 조절기구(30)의 웜 기어와 감속축의 평기어는, 피치와 톱니수가 다른 별개의 것과 교환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감속축의 감속비를 조절할 수가 있다. 감속축(31)은, 재봉부착물을 부착하기 위한 바늘수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예컨대, 재봉부착물이 4개의 실 통과구멍을 갖는 버튼이며, 2개의 구멍마다 12바늘의 바늘수로 부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총 24바늘의 바늘수를 요하므로 감속비는 24가 되는 웜 기어와 평기어가 사용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재봉부착물이 라벨이고, 10바늘로 부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감속비는 10이 되는 웜 기어와 평기어가 사용된다.The worm gear of the
즉, 감속축(31)은 주축에 대해 기어의 선택에 의해 설정된 감속비로 회전구동을 하게 된다.That is, the
판 캠(32)은, 감속축(31)에 고정유지되어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그 형상이 대략 원형이며 그 외주의 일부에 오목부(32a)가 형성되어 있다.The
조절 아암(33)은, 연동축(34)에 고정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연동축(34)을 중심으로 요동을 한다. 또, 조절 아암(33)은, 그 요동단부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판 캠(32)의 오목부(32a)가 다다랐을 경우에만 판 캠(32)의 중심측을 향해 요동한다.The
판 캠(32)의 오목부(32a)는, 재봉부착물의 부착에 요하는 일련의 바늘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카운트에 따라, 바늘 운동의 일시적인 정지, 실 절단, 매듭 등이 실행된다.The recessed
예컨대, 전술한 4구멍 버튼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2회의 실 절단이 이루어지므로, 오목부(32a)는 판 캠(32)의 외주의 직경방향 양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라벨의 경우에는, 실 절단이 1회만 이루어지므로 오목부(32a)는 하나밖에 형성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four-hole button described above, since two thread cuttings are made, the
(클러치 기구)(Clutch mechanism)
클러치 기구(2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바늘수를 카운트하는 바늘수 조절기구(30)에 연동되어 재봉기 모터와 주축 간의 구동력의 접속과 단절을 전환하는 것으로서, 재봉기 모터에 의해 타이밍 벨트(도시 생략)를 통해 회전구동되는 주동 풀리(26)와, 주동 풀리(26)에 대해 접촉과 분리가 가능한 종동 풀리(27)와, 선단부가 상하로 요동함으로써 종동 풀리(27)의 접촉과 분리를 전환하는 전환 레버(28)와, 접촉상태에서 분리상태로 전환되어 타성(惰性) 회전하는 종동 풀리(27)를 제지시키는 브레이크 레버(29)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상기 전환 레버(28)와 브레이크 레버(29)는 일체적으로 연동축(34)에 고정지지되어 있고, 연동축(34)을 중심으로 요동한다.The switching
전환 레버(28)는, 연동축(34)을 중심으로 한 요동에 의해 그 요동단부가 상부위치와 하부위치 간에 전환되며, 상부위치(도시된 상태)에서 주동 풀리(26)를 종동 풀리(27) 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하부위치에서 가압상태를 해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축(34)에는 조절 아암(33)에 연결되어, 조절 아암(33)이 판 캠(32)의 오목부(32a)와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전환 레버(28)를 하부위치로 전환하고, 오 목부(32a)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전환 레버(28)를 상부위치로 전환한다.The switching
즉, 조절 아암(33)이 오목부(32a)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주동 풀리에서 종동 풀리로의 동력전달이 단절되고, 조절 아암(33)이 오목부(32a)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That is, power transmission from the coarse pulley to the driven pulley is interrupted when the adjusting
브레이크 레버(29)는, 연동축(34)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에 의해 그 요동단부가 상하이동을 하며, 하강함으로써 종동 풀리(27)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축지지되어 있다.The
종동 풀리(27)는 주축에 고정지지되어 있으며, 주동 풀리(26)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종동 풀리(27)를 통해 주축에 전달된다.The driven
또한, 종동 풀리(27)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는 끼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을 하는 종동 풀리(27)의 끼움결합부가 브레이크 레버(29)의 선단부와 결합하면 종동 풀리(27)에 제동이 작용한다.In addition, a fitting port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riven
또한, 전술한 전환 레버(28) 및 브레이크 레버(29)는,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기동 패달에 의해 각각의 요동단부가 상방을 향해 요동조작된다. 즉, 재봉기 모터의 기동시에 있어서, 바늘수 조절기구(30)의 조절 아암(33)의 선단부가 판 캠(32)의 오목부(32a)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주축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구동 패달에 의해 인위적으로 전달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일단, 주축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면, 주축으로부터 루퍼축을 통해 감속축도 회전을 개시하므로, 기동 패달로부터 발을 떼더라도 조절 아암(33)은 판 캠(32)의 오목부(32a)로부터 벗어난 상태가 유지된다.Onc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main shaft, the reduction shaft also starts to rotate from the main shaft through the looper shaft, so that the
그리고, 주축이 설정된 바늘수 만큼의 회전을 하면, 다시 판 캠(32)의 오목부(32a)에 조절 아암(33)이 끼움결합하므로 주동 풀리(26)에서 종동 풀리(27)로의 동력 전달이 단절된다. 그리고, 종동 풀리(27)는 타성 회전을 하는데, 그 외주에 있는 끼움결합부가 브레이크 레버(29)의 선단부에 다다르면 상기 선단부와 결합하면서, 제동력이 작용하여 종동 풀리(27) 및 주축의 타성 회전이 정지된다.Then, when the main shaft rotates by the set number of needles, the
(바늘 상하이동기구)(Shanghai East Organization)
바늘 상하이동기구(35)는, 수직바디부(22) 내에 상하로 설치됨과 동시에 편심 캠을 통해 주축에 하단부가 연결된 로드(도시 생략)와, 재봉바늘(11)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아암부(23)의 선단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바늘대(36)와, 아암부(23)의 내부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아암(37)을 구비하고 있다.The needle
로드의 상단부는 요동 아암(37)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요동 아암(37)의 타단부는 그 요동에 의한 상하이동 변위만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바늘대(36)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 캠을 통해 주축과 동일 주기로 상하이동하는 로드의 상하이동 구동력이 요동 아암(37)을 통해 바늘대(36)에 전달되고, 재봉 바늘(11)은 주축의 회전에 동기하여 상하이동을 한다.The upper end of the ro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winging
(루퍼 기구 및 실 도피부재)(Looper mechanism and seal escape member)
루퍼 기구는, 전술한 루퍼 축과, 재봉기 베드부(21)의 선단 상면에 설치된 바늘판(12)의 하측에서 루퍼 축에 지지된 루퍼(13)를 구비하고 있다.The looper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above-mentioned looper shaft and the
루퍼(13)는, 바늘판(12)의 하방까지 하강한 재봉바늘(11)로부터 재봉실을 포착하기 위한 뾰족단부를 가지며, 루퍼 축에 의해 전회전의 주회운동을 하는 뾰족단 부가 상방에 위치할 때 재봉실을 포착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재봉실의 루프를 하방으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다시 뾰족단부가 상방을 향하고, 다음에 하강한 재봉바늘(11)로부터 재봉실을 포착하였을 때, 전회의 재봉실의 루프를 뾰족단부로부터 해방시킴으로써 해당 루프에 다음 번 루프를 통과시키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단사 환봉을 행한다.The
실 도피부재(14)는, 바늘판(12)와 루퍼(13) 사이에 설치되며, 루퍼 축에 설치된 2개의 캠에 의해 1회의 바늘운동마다 삼각형의 궤적을 그리도록 이동하여, 루퍼 축(13)에 포착된 재봉실의 루프를 다음 번 바늘운동에 의해 하강하는 재봉바늘에 간섭하지 않도록 비켜주는 동작을 한다.The
(유지수단)(Maintenance means)
재봉부착물을 유지시키는 유지수단(40(45))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기 베드부(21)의 상면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는 X-Y평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재봉기 베드(21) 상에서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lding means 40 (45) for holding the sewing attachment extends along the Y-axis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wing
또한, 유지수단(40(45))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부착물의 종류에 따라 그 선단부의 구조가 상이한 것이 사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holding means 40 (45) is used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front-end | tip part differs according to the kind of sewing material.
즉, 버튼(B)을 재봉부착물로 하는 경우에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한 쌍의 끼움지지 클로우(41, 41)와 상기 끼움지지 클로우(41, 41)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도시 생략)을 구비하는 유지수단(40)이 사용된다. 버튼(B)은 각 끼움지지 클로우(41, 41)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That is, when the button B is used as a sewing attachment, as shown in Fig. 7A, a pair of clamping
또한, 라벨(L)을 재봉부착물로 하는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판형상의 틀체(46)와, 틀의 내측부분에 설치된 라벨을 걸어고정시키는 걸림고정 클로우(47)를 구비하는 유지수단(45)이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label L is a sewing material, as shown in Fig. 7B, the plate-shaped
(이동기구)(Moving mechanism)
이동기구(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감속축(31)에 고정지지된 전후이동용 홈 캠(도시 생략)과, 감속축(31)에 고정지지된 좌우이동용 홈 캠(도시 생략)과, 전후이동용 홈 캠의 캠 홈에 결합되는 핀을 통해 유지수단(40)의 바닥판(42)에 Y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전후이동용 전달기구(51)와, 좌우이동용 홈 캠의 캠 홈에 결합되는 핀을 통해 유지수단(40)의 바닥판(42)에 X축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좌우이동용 전달기구(52)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oving
전후이동용 홈 캠 및 좌우이동용 홈 캠은, 모두 원판형상이며 그 둘레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홈에는 각 전달기구의 핀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되며, 각 캠이 감속축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각 핀에 대해 홈형상에 따라 X축 방향으로의 변위를 부여한다.The front and rear movement groove cams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groove cams each have a disc shape and groov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Each groove is coupled in a state where pins of the respective transmission mechanisms are inserted, respectively, and each cam is rotated by the reduction shaft, thereby imparting displacement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groove shape for each pin.
전후이동용 전달기구(51)는, 주로 재봉기 베드부(21)에 축지지된 회동 아암이나 링크체로 구성되며, 핀이 전후이동용 홈 캠으로부터 받는 X축 방향으로의 이동변위를 Y축 방향의 이동변위로 변환하여 유지수단(40(45))으로 전달한다.The forward / backward
또한, 좌우이동용 전달기구(52)도, 주로 재봉기 베드부(21)에 축지지된 회동 아암이나 링크체로 구성되며, 핀이 좌우이동용 홈 캠으로부터 받는 X축 방향으로의 이동변위를 유지수단(40(45))으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즉, 이동기구(50)는, 각 캠의 홈 형상에 따라, 바늘운동마다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대해 유지수단(40(45))의 이동위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유지수단(40(45))에 유지된 재봉부착물의 소정위치로 재봉바늘(11)의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축은 재봉부착물의 부착에 요하는 바늘수 만큼의 바늘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한 바퀴 돌도록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전후이동용 홈 캠 및 좌우이동용 홈 캠은, 재봉부착에 요하는 모든 바늘수 만큼의 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is performed so that the reduction shaft rotates once during the needle movement required by the number of needles required for attachment of the sewing attachmen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home cams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groove cams are required for sewing attachment. Grooves are formed to allow the movement of all needles.
또한, 바늘의 움직임이 다른 바늘운동을 하는 경우나 재봉부착에 요하는 바늘수가 다른 경우에는, 각각에 적합한 캠 홈이 형성된 각기 다른 이동용 홈 캠으로 교환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needle moves in different needle movements or when the number of needles required for sewing is different, the cam grooves are adapted to be replaced with different moving groove cams.
(실 절단기구)(Thread cutter tool)
실 절단기구는, 바늘판(12)과 루퍼(13) 사이에 설치된 고정 매스(16) 및 가동 메스(15; 도 17 참조)와, 주축으로부터 가동 메스(15)의 절단동작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수단과, 전달수단에 의한 동력전달의 접속과 단절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thread cutting mechanism transmits the power of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상기 전환수단은, 바늘수 조절기구(30)의 조절 아암(33)이 판 캠(32)의 오목부(32a)에 끼움결합할 때의 연동축(34)의 회동을 이용하여 주축으로부터 가동 메스(15)로의 동력전달을 접속하고, 조절 아암(33)이 판 캠(32)의 오목부(32a)에 끼움 결합한 후 종동 풀리(27)가 타성 회전을 하여 브레이크 레버(29)에 의해 제지되기까지의 주축의 약 1회전분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 메스(15)를 왕복동작시켜 재봉실의 종단부에서 절단을 하도록 한다.The switching means is movable from the main shaft using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매듭기구)(Knot mechanism)
도 8은, 매듭기구(60)의 분해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기구(60)는, 캠부로서의 캠부재(61)를 갖는 매듭 캠으로서의 판 캠(32)과, 캠부재(61)에 맞닿는 접촉부(71)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71)와 캠부재(61)의 접촉에 의해 축부재(62)를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요동수단(70)과, 바늘판(12)의 하방에서 왕복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에 의해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 낙하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루프를 유지시키는 실 유지부재(63)와, 요동수단(70)의 요동부위와 실 유지부재(6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64)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4-6 and 8, the
그리고, 상기 요동수단(70)은, 실 유지부재(63)에 의한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한다.The swinging means 70 functions as a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execution and non-execution of the knot by the
상기 실 유지부재(63)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H9-290081호에 있어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 중 「매듭판(75)」으로서 설명되어 있는 부재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봉제 중에 동일한 타이밍으로 동일한 동작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부재이다.The
즉, 실 유지부재(63)는, 바늘판(12)과 실 절단기구의 각 메스(15, 16) 사이에 설치되고(도 17의 (A), (B) 참조), 그 기저단부가 재봉기 베드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요동수단(70)에 연결되어 최종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 낙하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루프를 유지시킨다.That is, the
그리고, 그 회동단부는 일방향의 회동('전진회동'이라 함)에 의해 재봉실의 포착이 가능하고, 반대방향의 회동('후퇴회동'이라 함)에 의해 재봉실의 해방이 가능한 클로우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단부의 회동궤적은 재봉바늘의 상하이동 경로의 근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진회동에 의해 재봉실의 포착이 가능한 위치를 실 유지부재(63)의 실 유지위치로 한다.The rotating end is capable of capturing the sewing thread by rotation in one direction (referred to as 'forward rotation'), and has a claw shape capable of releasing the sewing thread by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referred to as 'reverse rotatio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rotational end is arranged to pass in the vicinity of the Shanghai-dong path of the sewing needle. Further, the position where the sewing thread can be captured by the forward rotation is set as the thread holding position of the
전술한 바늘수 조절기구(30)의 판 캠(32)은, 상기 실 유지부재(63)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왕복회동시키는 매듭 캠으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즉, 판 캠(32)은 감속축(31)에 고정지지된 원형의 외접 캠이며, 그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기를 갖는 캠부재(61)가 장착되어 있다.The
또한, 전술한 판 캠(32)의 오목부(32a)는 조절 아암(33)과 결합가능하며 요동수단(70)의 접촉부(71)와는 결합하지 않는 배치로 형성되어 있으며, 캠부재(61)의 돌기는 접촉부(71)와 결합가능하며 조절아암(33)과는 결합하지 않는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Further, the
그리고, 판 캠(32)은 캠부재(61)의 돌기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감속축(31)으로부터 등거리가 되는 원형의 외주를 따라 접촉부(71)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And all the
캠부재(61)는, 원호형상의 긴 구멍을 통해 판 캠(32)에 나사고정되어 있으며, 나사조작에 의해 판 캠(32)의 외주를 따라 이동위치의 결정이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캠 판(32)의 회전시에 캠부재(61)와 접촉부(71) 간의 접촉 타이밍(감속축의 각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연결수단(64)은, 요동수단(70)과 실 유지부재(63)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체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means 6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nk bodies for connecting the swinging means 70 and the
즉, 연결수단(64)의 일단부는, 요동수단(70)에 있어서의 캠부재(61)와 접촉부(71) 간의 접촉에 의해 요동을 하는 부위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실 유지부재(63)의 지지축 근방에 연결되어 있다.That is, one end of the connecting
그리고, 연결수단(64)은, 판 캠(32)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61)가 접촉부(71)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실 유지부재(63)를 전진회동방향으로 회동시키고, 판 캠(32)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61)가 접촉부(71)를 통과하여 상기 접촉부(71)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실 유지부재(63)를 후퇴회동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요동수단(70)과 실 유지부재(63) 간의 연결을 도모하고 있다.Then, the connecting
요동수단(70)은,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연결작동부재(72)와, 접촉부(71)를 가짐과 동시에 연결작동부재(72)에 겹쳐진 상태에서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전환작동부재(73)와, 2개의 작동부재(72, 73) 사이에 설치되어, 전환작동부재(73)를 접촉부(71)가 캠부재(61)와 접촉가능한 실행위치와 접촉이 불가능한 비실행위치에 연결작동부재(72)에 대해 끼워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수단(74)과, 전환작동부재(73)의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끼워 걸림고정시킨 상태를 탄성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의 가압 스프링(75)을 구비하고 있다.The swinging means 70 has a connecting
즉, 상기 실행위치에서는, 접촉부(71)에 캠부재(61)가 접촉가능하게 됨으로 써, 상기 접촉시에 연결작동부재(72) 및 전환작동부재(73)가 요동하여, 연결수단(64)을 통해 실 유지부재(63)를 전진회동시켜 매듭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비실행위치에서는, 접촉부(71)에 캠부재(61)가 접촉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실 유지부재(63)가 전혀 요동동작을 하지 않아, 매듭을 실행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xecution position, the
연결작동부재(72)는, X축 방향에 따른 축부재(62)에 축지지되며, 재봉기 베드부(21)의 측면에서 판 캠(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The
상기 연결작동부재(72)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진 요동부위에서, 전술한 연결수단(64)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다.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작동부재(72)는, 걸림고정수단(74)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결합볼록부(72a, 7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연결작동부재(72)에는, 상기 연결작동부재(72)에 연결된 전환작동부재(73)의 접촉부(71)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접촉하는 회동방향으로 연결작동부재(72)를 가세하는 인장 스프링(76)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전환작동부재(73)는, 연결작동부재(72)에 겹쳐진 상태에서 축부재(62)에 축지지되며, 접촉부(7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전환작동부재(73)는, 걸림고정수단(74)의 일부를 구성하는 대략 'コ'자 형상의 제 1 및 제 2 결합오목부(73a, 73b)를 구비하고 있다.The switching
각 결합오목부(73a, 73b)는, 모두 연결작동부재(72)를 향해 개구되어 있으며, 전환작동부재(73)를 연결작동부재(72)에 겹침으로써 어느 하나의 결합오목부(73a, 73b)를 어느 하나의 결합볼록부(72a, 72b)에 끼움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 다. 또한, 어느 하나의 결합오목부(73a, 73b)와 어느 하나의 결합볼록부(72a, 72b)가 끼움결합한 상태에서, 전환작동부재(73)와 연결작동부재(72)는 일체적으로 회동을 할 수 있다.Each of the coupling recesses 73a and 73b is open toward the
그리고, 제 1 결합볼록부(72a)가 제 1 결합오목부(73a)에 끼움결합한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작동부재(73)의 접촉부(71)가 판 캠(32)의 외주에 맞닿는 위치(실행위치)가 되고, 제 2 결합볼록부(72b)가 제 2 결합오목부(73b)에 끼움결합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작동부재(73)의 접촉부(71)가 판 캠(32)으로부터 멀어져 캠부재(61)가 닿지 않는 위치(비실행위치)가 되도록, 제 1 결합볼록부(72a), 제 2 결합볼록부(72b), 제 1 결합오목부(73a), 제 2 결합오목부(73b)의 상대적인 배치가 설정되어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first engagement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작동부재(72)에는, 접촉부(71)를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접촉시키는 인장 스프링(76)이 부착되어 있으나, 상기 전환작동부재(73)가 실행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접촉부(71)를 판 캠(32)의 외주보다 더 안쪽(감속축측)으로 소정 거리이상 회동시키지 않는 스토퍼(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실행위치에서는, 접촉부(71)가 캠부재(61)의 선단에 닿지 않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tensioning
또한, 전환작동부재(73)에는, 연결작동부재(72)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75)이 병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환작동부재(73)의 결합오목부(73a 또는 73b)가, 연결작동부재(72)의 결합볼록부(72a 또는 72b)에 끼움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switching
그리고,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간의 전환을 할 때에는, 수동조작에 의해 가압 스프링(75)에 대항하여 전환작동부재(73)를 연결작동부재(72)로부터 떨어뜨려, 위치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회동시킴으로써 가압 스프링(75)에 의해 끼움결합시키며, 그 상태가 유지된다.When switching between the execution position and the non-execution position, the switching
(환봉 재봉기의 동작 설명)(Explanation of operation of round bar sewing machine)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환봉 재봉기(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재봉부착물로서 버튼(B)을 부착시킬 경우에는, 유지수단(40)을 재봉기 베드부(21)의 상면에 장착하여, 그 한 쌍의 끼움지지 클로우(41) 사이에 버튼을 끼움지지시키고, 유지수단(40)과 바늘판(12) 사이에는 재봉부착될 천(C)을 세트한다.The operation of the round
또한, 견고한 매듭을 실행하므로, 전환작동부재(73)를 가압 스프링(75)에 대항하여 인장시키고, 제 1 결합오목부(73a)를 제 1 결합볼록부(72a)에 위치맞춤하여 연결작동부재(72) 측으로 되돌려 보낸다. 이에 따라, 연결작동부재(73)의 접촉부(71)가 실행위치가 되어, 판 캠(32)의 외주에 맞닿는다.In addition, since the solid knot is executed, the switching
이어서, 재봉기 모터의 구동을 개시하여, 기동 패달을 밟으면, 조절 아암(33)이 판 캠(32)의 오목부(32a)로부터 이탈하고, 이에 따른 연동축(34)의 회동에 의해, 전환 레버(28)와 브레이크 레버(29)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주축, 루퍼축, 감속축(31)에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버튼(B)이 소정의 이동을 하여 바늘운동이 이루어지고, 루퍼(13)에 의해 바늘땀이 순차로 형성된다.Subsequently, when the drive of the sewing machine motor is started and the starting pedal is pressed, the
그리고, 설정 바늘수의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 낙하 후 재봉 바늘(11)이 상승한 상태(도 9)로부터, 최종 바늘보다 한 바늘 전의 바늘 낙하위치(도 면 중 우측의 버튼 홀)상에 재봉 바늘(11)이 위치하였을 때,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판 캠(32)의 캠부재(61)가 접촉부(71)에 맞닿아 요동수단(70)을 회동시키고, 연결수단(64)을 통해 실 유지부재(63)를 전진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 낙하로 형성되는 루프(L1; 제 1 루프(L1)라 함)가 실 유지부재(63)의 선단부에 걸려, 주지된 실채기(도시 생략)에 의해 천측으로 끌어당겨지더라도 루프를 일정한 길이로 확보한다.Then, the
그리고, 최종 바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바늘 낙하가 이루어지면, 이 재봉실(L)을 루퍼(13)가 포착하기 시작하여, 실 도피부재(14)가 실 유지부재(63)의 하부로부터 일측(도면 중, 좌측)으로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 낙하로 형성되는 제 1 루프(L1)를 접근시키고, 실 유지부재(63)가 소정 위치에서 제 1 루프(L1)를 유지시켜(도 11) 재봉실(L)을 휘게 하여, 제 1 루프(L1)를 형성하는 실 길이가 통상의 바늘땀보다도 길게 유지된다. 이후, 재봉바늘(11)이 상승하여, 실 도피부재(14)가 루프(L1)로부터 멀어지며, 루퍼(13)가 재봉실(L)을 포착해 제 1 루프(L1)로 통과시켜 최종 바늘보다 한 바늘 전의 바늘 낙하로 형성되는 루프(L2; 제 2 루프(L2)라 함)를 형성하고, 제 1 루프(L1)는 루퍼(13)로부터 이탈하며, 재봉바늘(11)은 상승한다(도 12).Then, when the needle falls from the last needle one needle before, the
여기서, 최종 바늘이 한 바늘 전의 바늘 낙하 버튼 홀과 동일한 버튼 홀에 낙하되기 시작하면, 제 2 루프(L2)를 실 도피부재(14)가 일측(도면중, 좌측)으로 접근시키고, 루퍼(13)가 재봉실(L)을 포착하기 시작한다(도 13).Here, when the last needle starts to fall to the same buttonhole as the needle drop buttonhole before one needle, the
다음으로, 루퍼(13)가 재봉실(L)을 제 2 루프(L2)에 통과시키기 시작하면, 실 도피부재(14)는 제 2 루프(L2)로부터 멀어진다(도 14). 이후, 실 유지부재(63)가 제 2 루프(L2)를 천(C)으로 끌어당겨지기 전에 해방시킨다. 이에 따라, 제 2 루프(L2)를 통과한 최종바늘의 낙하로 형성되는 루프(L3; 제 3 루프(L3)라 함)가 만들어진다(도 15).Next, when the
또한, 재봉바늘(11)은 상승하고, 제 3 루프(L3)가 끌어내려진다(도 16).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실 유지부재(63)가, 제 1 루프(L1)의 한 줄의 실을 포착하여 실을 휘게 한 상태에서 제 2 루프(L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 루프(L2) 부분의 실 길이가 종래보다 길게 유지되며, 제 3 루프(L3)와 함께 제 1 루프(L1)를 견인하여 제 2 루프(L2)에 통과시킬 수가 있다(도 17).In addition, the
이대로 제 3 루프(L3)를 끌어내려, 제 3 루프(L3)가 가동 메스(15), 고정 메스(16)에 의해 절단되면, 제 1 루프(L1)가 형성하는 매듭부분이 제 2 루프(L2)가 형성하는 매듭부분에 의해 체결된 견고한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도 18).When the third loop L3 is pulled down as described above, and the third loop L3 is cut by the
이후, 조절 아암(33)이 판 캠(32)의 오목부(32a)에 끼움결합하고, 이에 따른 연동축(34)의 회동에 의해, 전환 레버(28)와 브레이크 레버(29)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주축, 루퍼축, 감속축(31)에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타성 회전하는 종동 풀리(27)가 끼움결합부까지 회전하면, 브레이크 레버(29)에 의해 회전이 제지된다.Thereafter, the
한편, 연동축(34)의 회동에 의해, 실 절단기구의 가동 메스(15)에 왕복회동동작의 구동력이 주축으로부터 전달되어, 타성 회전하는 종동 풀리(27)가 제지되기까지의 동안에, 최종 바늘의 루프의 일단이 절단되고, 재봉부착작업이 종료된다.On the other hand, by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또한, 재봉부착물로서 라벨(L)을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유지수단(45)을 재봉기 베드부(21)의 상면에 장착하고, 틀체(46)의 내측에서 걸림고정 클로우(47)의 하측에 라벨(L)을 배치하고, 유지수단(45)과 바늘판(12) 사이에는 재봉부착될 천을 세트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ttaching the label L as the sewing attachment, the retaining means 45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wing
라벨의 부착시에는 견고한 매듭을 실행하지 않으므로, 전환작동부재(73)를 가압 스프링(75)에 대항하여 인장시키고, 제 2 결합오목부(73b)를 제 2 결합볼록부(72b)에 위치맞춤하여 연결작동부재(72)측으로 되돌려 보낸다. 이에 따라, 연결작동부재(73)의 접촉부(71)가 비실행위치가 되어, 판 캠(32)의 외주로부터 이격된다.Since the firm knot is not performed when the label is attached, the shifting
이후의 재봉기 동작에 대해서는, 버튼 부착의 경우와 동일하다. 단, 연결작동부재(73)의 접촉부(71)가 비실행위치에 세트되어 있으므로, 실 유지부재(63)의 회동은 시종 이루어지지 않고, 두 바늘 전의 루프가 한 바늘 전의 루프에 끌려들어오는 일이 없이, 쉽게 풀리는 매듭이 실행되고 실이 절단된 후에 재봉부착작업이 종료된다.The subsequent sewing machine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case with the button. However, since the
(제 1 실시형태의 효과)(Effect of 1st Embodiment)
상기 환봉 재봉기(100)는, 매듭기구(60)에 의해, 견고한 매듭과 통상의 매듭의 실행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전환작동부재(73)를 가압 스프링(7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사이에서 전환동작하는 간단한 조작만 하면 되므로, 상기 전환작업을 비약적으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round
또한, 부품의 교환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매듭의 전환시마다 부품의 조립위치를 미세조정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전환작업을 더욱 비약적으로 용이하고 신 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replacement of parts is unnecessary, there is no need to fine-tun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parts every time the knot is switched,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remarkably and quickly.
이에 따라, 재봉부착작업에 있어서의 재봉부착물을, 버튼(B)과 라벨(L) 간에 변경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전환작업을 하면 되므로, 비약적인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Thereby, even when the sewing attachment in the sewing attachment operation is changed between the button B and the label L, the above-described switc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by achieving a drastic improvement in the work efficiency.
또한, 실 유지부재(63)의 동작 타이밍을 좌우하는 캠부재(61)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바늘운동이 고속으로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적정한 동작 타이밍에 실 유지부재(63)를 동작시켜 매듭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기타)(Etc)
또한, 상기 바늘수 조절기구(30)의 판 캠(32)과, 매듭기구(60)의 매듭 캠은 동일 부재로 공통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이것들은 연동축(34)에 고정장착된 개별적인 캠이어도 좋다.In addition, the
(제 2 실시형태)(2nd embodiment)
제 2 실시형태로서, 상기 요동수단(70)과 마찬가지로, 견고한 매듭의 실행 여부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다른 요동수단(70A)의 예를 도 19 내지 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요동수단(70A)의 사시도, 도 20은 분해사시도, 도 21은 전환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the second embodiment, similarly to the rocking means 70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another rocking means 70A functioning as a switching means capable of easily switching whether or not a firm knot is executed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9 to 21. do.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winging means 70A, 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21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witch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round
요동수단(70A)은,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연결작동부재(72A)와, 접촉부(71A)를 갖는 전환작동부재(73A)와, 2개의 작동부재(72A, 73A) 사이에 설치되어, 전환작동부재(73A)를 접촉부(71A)가 캠부재(61)와 접촉가능한 실행위치와 접촉이 불가능한 비실행위치에 연결작동부재(72A)에 대해 끼워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수단(74A)과, 전환작동부재(73A)의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끼워 걸림고정시킨 상태를 탄성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의 가압 스프링(75A)을 구비하고 있다.The swinging means 70A includes a
연결작동부재(72A)는, 그 중앙부에서 X축 방향에 따른 축부재(62)에 축지지되며, 재봉기 베드부(21)의 측면에서 판 캠(3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연결작동부재(72A)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진 요동부위(81A)에서, 전술한 연결수단(64)의 일단부와 연결된다.The
또한, 상기 연결작동부재(72A)는, 판 캠(32)측으로 형성된 연장부(82A)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82A)에는, 그 연장방향으로 나란하게, 걸림고정수단(74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결합구멍부(83A, 84A)가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멍부(83A, 84A)는 내경이 서로 동일하며, 상기 내경보다도 좁은 폭을 갖는 슬릿부(85A)로 연결되어 있다.Moreover, the said
또한, 연결작동부재(72A)에는, 상기 연결작동부재(72A)에 연결된 전환작동부재(73A)의 접촉부(71A)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접촉하는 회동방향으로 연결작동부재(72A)를 가세하는 인장 스프링(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전환작동부재(73A)가 실행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접촉부(71A)를 판 캠(32)의 외주보다 더 안쪽(감속축측)으로 소정 거리이상 회동시키지 않는 스토퍼(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실행위치에서는, 접촉부 (71A)가 캠부재(61)의 선단에 닿지 않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which does not rotate the
전환작동부재(73A)는, 축부(91A)와, 축부(91A)의 양단부에 고정장착되는 축부(91A)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92A, 93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축부(91A)가 전술한 결합구멍부(83A 또는 84A)에 삽입되고, 또한 헤드부(93A)측으로 가압 스프링(75A) 및 슬리브형상의 접촉부(7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환작동부재(73A)는 연결작동부재(72A)에 장착되어 있다.The switching
즉, 헤드부(92A 및 93A) 사이에, 연결작동부재(72A)의 연장부(82A), 가압 스프링(75A) 및 접촉부(71A)를 끼운 상태에서 전환작동부재(73A)는 연결작동부재(72A)에 장착되어 있다.That is, between the
그리고, 축부(91A)의 외경은 슬릿부(85A)의 폭보다 크며, 결합구멍부(83A, 84A)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또한, 축부(91A)의 도중이며 헤드부(92A)의 근방에는, 걸림고정수단(74A)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직경부(9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직경부(94A)의 외경은, 슬릿부(85A)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소직경부(92A)의 폭은 연결작동부재(72A)의 판 두께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Further, in the middle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환작동부재(73A)는 연결작동부재(72A)에 장착된 상태에서, 헤드부(92A)가 가압 스프링(75A)에 의해 연결작동부재(72A)에 압접된 상태가 되고, 결합구멍부(83A 또는 84A)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witching
그리고,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92A)를 수동조작에 의해 가압 스프링(75A)에 대항하여 연결작동부재(72A)로부터 이격되도록 잡아빼고, 축부(91A)의 소직경부(94A)를 슬릿부(85A)에 꽂아넣음으로써 결합구멍부(83A와 84A) 사이에서 전환작동부재(73A)를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the
또한, 결합구멍부(83A)에 전환작동부재(73A)가 위치할 때에는 접촉부(71A)가 판 캠(32)의 외주에 접촉가능한 실행위치가 되도록 결합구멍부(83A)는 위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ing
또한, 결합구멍부(84A)에 전환작동부재(73A)가 위치할 때에는 접촉부(71A)가 판 캠(32)의 캠부재(61)로부터 닿지 않는 비실행위치가 되도록 결합구멍부(84A)는 위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Further, when the switching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요동수단(70A)은 요동수단(70)과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rocking means 70A can exhibit almost the same effect as the rocking means 70.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제 3 실시형태로서, 상기 요동수단(70)과 마찬가지로, 견고한 매듭의 실행 여부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다른 요동수단(70B)의 예를 도 22 내지 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요동수단(70B)의 사시도, 도 23은 분해사시도, 도 24는 전환동작 설명도이다. 또한,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a third embodiment, similarly to the rocking means 70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another rocking means 70B functioning as a switching means capable of easily switching whether or not a solid knot is executed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22 to 24. do.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winging means 70B,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 2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witch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round
요동수단(70B)은,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연결작동부재(72B)와, 접촉부(71B)를 갖는 전환작동부재(73B)와, 2개의 작동부재(72B, 73B) 사이에 설치되어, 전환작동부재(73B)를 접촉부(71B)가 캠부재(61)와 접촉가능한 실행위치 와 접촉이 불가능한 비실행위치에 연결작동부재(72B)에 대해 끼워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수단(74B)과, 전환작동부재(73B)의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끼워 걸림고정시킨 상태를 탄성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의 가압 스프링(75B)을 구비하고 있다.The swinging means 70B is provided between a connecting
연결작동부재(72B)는, 그 중앙부에서 X축 방향에 따른 축부재(62)에 축지지되며, 재봉기 베드부(21)의 측면에서 판 캠(3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연결작동부재(72B)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진 요동부위(81B)에서, 전술한 연결수단(64)의 일단부와 연결된다.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작동부재(72B)는, 판 캠(32)측으로 형성된 연장부(82B)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82B)의 선단부에는 결합구멍부(83B)가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고, 결합구멍부(83B)의 내주면에는 연결작동부재(72B)의 측면에서 배면까지 홈부(8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구멍부(83B)의 일단 개구측(연결작동부재(72B)의 전면측)에는, 홈부(84B)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연결작동부재(72B)의 배면에는 도달하지 않는 깊이로 오목부(85B)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operation member (72B) has an extension portion (82B) formed toward the
또한, 연결작동부재(72B)에는, 상기 연결작동부재(72B)에 연결된 전환작동부재(73B)의 접촉부(71B)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접촉하는 회동방향으로 연결작동부재(72B)를 가세하는 인장 스프링(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또한, 상기 전환작동부재(73B)가 실행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접촉부(71B)를 판 캠(32)의 외주보다 더 안쪽(감속축측)으로 소정 거리이상 회동시키지 않는 스토퍼(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실행위치에서는, 접촉부 (71B)가 캠부재(61)의 선단에 닿지 않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which does not rotate the
전환작동부재(73B)는, 축부(91B)와, 축부(91B)의 양단부에 고정장착되는 축부(91B)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92B, 93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축부(91B)가 전술한 결합구멍부(83B)에 삽입되고, 또한 헤드부(93B)측으로 가압 스프링(75B) 및 슬리브형상의 접촉부(7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환작동부재(73B)는 연결작동부재(72B)에 장착되어 있다.The switching
즉, 헤드부(92B 및 93B) 사이에, 연결작동부재(72B)의 연장부(82B), 가압 스프링(75B) 및 접촉부(71B)를 끼운 상태에서 전환작동부재(73B)는 연결작동부재(72B)에 장착되어 있다.That is, between the
그리고, 축부(91B)의 외경은 결합구멍부(83B)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또한, 축부(91B)의 외주면에는, 헤드부(92B)의 측단부로부터 축부(91B)의 길이방향 중간위치까지 레일형상의 볼록부(94B)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rail-shaped
이러한 볼록부(94B)의 폭은 홈부(84B)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으며, 축부(91B)를 결합구멍부(83B)에 삽입하였을 때, 볼록부(94B)를 홈부(84B)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The width of the
즉, 걸림고정수단(74B)은, 전술한 결합구멍부(83B), 홈부(84B), 오목부(85B) 및 볼록부(94B)로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locking fastening means 74B is comprised of the above-mention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환작동부재(73B)는, 그 축부(91B)를 결합구멍부(83B)에 삽입하고 또한 볼록부(94B)를 홈부(84B)내에 삽입한 상태로, 연결작동부재(72B) 에 장착된 상태에서, 헤드부(92B)가 가압 스프링(75B)에 의해 연결작동부재(72B)에 압접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91B)가 가장 깊게까지 꽂혀들어가고, 접촉부(71B)가 연장부(82B)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witching
그리고, 헤드부(92B)를 가압 스프링(75B)에 대항하여 연결작동부재(72B)로부터 이격되도록 잡아빼고, 축부(91B)를 회전조작하여 볼록부(94B)의 선단부를 오목부(85)에 삽입하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91B)가 얕게까지밖에 꽂히지 않아, 접촉부(71B)가 연장부(82B)로부터 가장 접근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Then, the
또한, 축부(91B)가 가장 깊게까지 꽂혀들어가, 접촉부(71B)가 연장부(82B)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할 때에는 접촉부(71B)가 판 캠(32)의 외주에 접촉가능한 실행위치가 되도록 축부(91B)의 길이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축부(91B)가 얕게까지밖에 꽂히지 않아, 접촉부(71B)가 연장부(82B)로부터 가장 접근한 위치가 될 때에는 접촉부(71B)가 판 캠(32)의 캠부재(61)로부터 닿지 않는 비실행위치가 되도록 볼록부(94B)의 길이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when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요동수단(70B)은 요동수단(70)과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rocking means 70B can exhibit almost the same effect as the rocking means 70.
(제 4 실시형태)(4th Embodiment)
제 4 실시형태로서, 상기 요동수단(70)과 마찬가지로, 견고한 매듭의 실행 여부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전환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다른 요동수단(70C)의 예를 도 25 내지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요동수단(70C)의 정면도, 도 26은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환봉 재봉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a four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rocking means 70 described above, an example of another rocking means 70C functioning as a switching means capable of easily switching whether or not a solid knot is executed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25 to 26. do. 25 is a front view of the rocking means 70C, and 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addi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round
요동수단(70C)은,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연결작동부재(72C)와, 접촉부(71C)를 가짐과 동시에 연결작동부재(72C)에 겹쳐진 상태에서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전환작동부재(73C)와, 2개의 작동부재(72C, 73C) 사이에 설치되어, 전환작동부재(73C)를 접촉부(71C)가 캠부재(61)와 접촉가능한 실행위치와 접촉이 불가능한 비실행위치에 연결작동부재(72C)에 대해 끼워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수단(74C)과, 전환작동부재(73C)의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끼워 걸림고정시킨 상태를 탄성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의 가압 스프링(75C)을 구비하고 있다.The swinging means 70C has the coupling operation member 72C oscillating around the
연결작동부재(72C)는, 그 중앙부에서 X축 방향에 따른 축부재(62)에 축지지되며, 재봉기 베드부(21)의 측면에서 판 캠(3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connection operation member 72C is axially supported by the
상기 연결작동부재(72C)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진 요동부위(81C)에서, 전술한 연결수단(64)의 일단부와 연결된다.The connection operating member 72C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작동부재(72C)는, 걸림고정수단(74C)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결합구멍부(83C, 84C)가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구멍부(83C, 84C)는 내경이 동일하며,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방향을 따라 형성된 각 결합구멍부(83C, 84C)의 내경보다도 좁은 폭을 갖는 슬릿부(85C)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operation member 72C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연결작동부재(72C)에는, 상기 연결작동부재(72C)에 연결된 전환작동부재(73C)의 접촉부(71C)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접촉하는 회동방향으로 연결작동부재(72C)를 가세하는 인장 스프링(76C)이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operation member 72C has a connection operation member 72C in a rotational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portion 71C of the switching
또한, 상기 전환작동부재(73C)가 실행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접촉부(71C)를 판 캠(32)의 외주보다 더 안쪽(감속축측)으로 소정 거리이상 회동시키지 않는 스토퍼(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실행위치에서는, 접촉부(71C)가 캠부재(61)의 선단에 닿지 않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which does not rotate the contact portion 71C inward (deceleration side) more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전환작동부재(73C)는, 연결작동부재(72C)에 겹쳐진 상태에서 축부재(62)에 축지지되며, 환봉형상의 접촉부(71C)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촉부(71C)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함과 동시에, 걸림고정수단(74C)에 의해 연결작동부재(72C)에 대해 전환동작부재(73C)가 실행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판 캠(32)의 외주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The switching
걸림고정수단(74C)은, 연결작동부재(72C)에 설치된 서로 동일한 직경의 제 1 및 제 2 결합구멍부(83C, 84C) 및 슬릿부(85C)와, 단붙이 나사(87C)를 통해 전환작동부재(73C)에 지지됨과 동시에 제 1 결합구멍부(83C)와 제 2 결합구멍부(84C)에 선택적으로 삽입가능한 전환 손잡이(86C)를 구비하고 있다.The locking fastening means 74C is switch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전환 손잡이(86C)는, 통형상이며, 그 일단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각 결합구멍부(83C, 84C)에 대한 삽입 및 분리시에 잡기 쉽게 하기 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손잡이(86C)의 일단부는, 각 결합구멍부(83C, 84C)에 삽입가능하며 슬릿부(85C)에는 삽입할 수 없는 크기의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다.The
전환 손잡이(86C)의 내측에는, 전술한 가압 스프링(75C)이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 스프링(75C)과 전환 손잡이(86C)의 중심을 단붙이 나사(87C)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러한 단붙이 나사(87C)는, 그 선단부에서 전환작동부재(73C)의 나사구멍(77C)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압 스프링(75C)을 압축시킨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압 스프링(75C)의 압축에 의해 전환 손잡이(86C)는 각 결합구멍부(83C, 84C)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The above-mentioned press spring 75C is accommodated inside the
걸림고정수단(74C)은, 가압 스프링(75C)의 탄성에 의해, 각 결합구멍부(83C 또는 84C) 중 어느 하나에 전환 손잡이(86C)를 삽입시킨 상태가 유지되며, 연결작동부재(72C)와 전환작동부재(73C)를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The locking fastening means 74C is held by the elasticity of the pressing spring 75C so that the switching
또한, 어느 하나의 결합구멍부(83C 또는 84C)에 전환 손잡이(86C)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 손잡이(86C)를 가압 스프링(75C)에 대항하여 잡아뽑으면, 내측의 단붙이 나사(87C)는 슬릿부(85C)를 통과할 수 있는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릿부(85C)를 지나, 결합구멍부(83C와 84C) 사이에서 전환 손잡이(86C)를 전환작동부재(73C)를 연결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witching
한편, 제 1 결합구멍부(83C)는, 조정 손잡이(86C)가 삽입되면, 전환작동부재(73C)에 유지된 접촉부(71C)가 판 캠(32)의 외주에 맞닿는 실행위치(도 25의 이점쇄선 위치)가 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설정에 의해, 판 캠(32)의 회전에 의해 캠부재(61)에 접촉부(71C)가 맞닿으면 연결작동부재(72C)와 전환작동 부재(73C)가 동시에 회동하여, 실 유지부재(63)를 실 유지위치로 이동시켜 매듭을 실행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또한, 제 2 결합구멍부(84C)는, 조정 손잡이(86C)가 삽입되면, 전환작동부재(73C)에 유지된 접촉부(71C)가 판 캠(32)의 외주로부터 멀어지는 비실행위치(도 25의 실선 위치)가 되도록 위치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설정에 의해, 판 캠(32)이 회전하더라도 캠부재(61)는 접촉부(71C)에 닿지 않아, 연결작동부재(72C) 및 전환작동부재(73C)는 회동하지 않으므로, 매듭을 실행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Also, in the second engaging hole portion 84C, when the
상기의 구성에 의해, 요동수단(70C)에서는, 걸림고정수단(74C)의 가압 스프링(75C)의 탄성에 의해, 각 결합구멍부(83C 또는 84C) 중 어느 하나에 전환 손잡이(86C)를 삽입시킨 상태가 유지되어, 매듭의 실행 또는 비실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가압 스프링(75C)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전환 손잡이(86C)를 결합구멍부(83C 또는 84C)로부터 잡아뽑음과 동시에 결합구멍부(83C와 84C) 사이에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의 설정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structure, in the swinging means 70C, the switching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요동수단(70C)은 요동수단(70)과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rocking means 70C can exhibit almost the same effect as the rocking means 70.
(제 5 실시형태)(5th Embodiment)
제 5 실시형태로서, 다른 매듭기구(60D)의 예를 도 27 내지 도 3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매듭기구(60D)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분해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 30은 다른 매듭기구(60D)가 구비하는 전환수단(80D)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환봉 재봉 기(100)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환봉 재봉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a fifth embodiment, an example of another
이러한 매듭기구(60D)에서는, 요동수단(70D)과 연결수단(64) 사이에 실 유지부재(63)에 의한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전환하는 전환수단(80D)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즉, 매듭기구(60D)는, 캠부재(61)를 갖는 판 캠(32)과, 캠부재(61)에 맞닿는 접촉부(71D)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71D)와 캠부재(61)가 맞닿음으로써 축부재(62)를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요동수단(70D)과, 바늘판(12)의 하방에서 왕복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에 의해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낙하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루프를 유지하는 실 유지부재(63)와, 요동수단(70D)의 요동부위와 실 유지부재(6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64)과, 실 유지부재(63)에 의한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전환하는 전환수단(80D)을 구비하고 있다.That is, the
우선, 요동수단(70D)은, 캠부재(61)에 맞닿는 접촉부(71D)를 가짐과 동시에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연결작동부재(72D)와, 상기 연결작동부재(72D)의 접촉부(71D)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접촉하는 회동방향으로 연결작동부재(72D)를 가세하는 인장스프링(76D)을 가지고 있다.First, the rocking means 70D has a contacting
연결작동부재(72D)는, 그 중앙부에서 X축 방향에 따른 축부재(62)에 축지지되며, 재봉기 베드부(21)의 측면에서 판 캠(3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연결작동부재(72D)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져 X축 방향을 따라 구부러져 형성된 요동부위(73D)에서, 전환수단(80D)을 통해 전술한 연결수단(64)의 일 단부와 연결된다.The
또한 연결작동부재(72D)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진 다른 요동부위(74D)에서, 인장스프링(76D)에 연결되며, 접촉부(71D)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세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inking
또한, 판 캠(32)의 회전동작에 의해 접촉부(71D)가 캠부재(61)에 맞닿으면, 인장스프링(76D)의 가압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Moreover, when the
전환수단(80D)은, 위치전환조작에 의해 연결작동부재(72D)의 요동부위(73D)와 연결수단(64)의 일단부와의 연결과 단절을 전환하는 전환작동부재(81D)와, 연결작동부재(72D)의 요동부위(73D)에서의 Y축 방향의 왕복동작을 연결수단(64)의 일단부에 전달할 수 있는 실행위치에서 전환작동부재(81D)를 유지시키는 제 1 결합구멍부(83D)와, 연결작동부재(72D)의 요동부위(73D)에서의 Y축 방향의 왕복동작을 연결수단(64)의 일단부에 전달할 수 없는 비실행위치에서 전환작동부재(81D)를 유지시키는 제 2 결합구멍부(84D)와, 제 1 결합구멍부(83D)와 제 2 결합구멍부(84D) 간의 전환작동부재(81D)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릿부(85D, 86D)와, 전환작동부재(81D)를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가압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의 가압 스프링(82D)을 구비하고 있다.The switching means 80D is connected to a
제 1 결합구멍부(83D) 및 슬릿부(85D)는, 연결작동부재(72D)의 요동부위(73D)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결합구멍부(83D)는 관통된 상태로 형성된 원형구멍이며, 슬릿부(85D)는 그 일단부가 제 1 결합구멍부(83D)에 연통됨과 동시에 결합구멍부(83D)의 내경보다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슬릿부(85D) 의 타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The first
제 2 결합구멍부(84D) 및 슬릿부(86D)는, 재봉기 베드부(21)에 고정장착된 판형상의 브래킷(88D)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결합구멍부(84D)는 관통된 상태로 형성된 제 1 결합구멍부(83D)와 직경이 동일한 원형구멍이며, 슬릿부(86D)는 그 일단부가 제 2 결합구멍부(84D)에 연통됨과 동시에 결합구멍부(84D)의 내경보다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릿부(86D)의 타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슬릿부(86D)는 연결작동부재(72D)의 접촉부(71D)가 판 캠(32)의 캠부재(61) 이외의 외주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전술한 슬릿부(85D)와 평행이 됨과 동시에, 각 슬릿부(85D, 86D)의 개구단부끼리 가까이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second
전환작동부재(81D)는, 통형상이며 연결수단(64)의 일단부에 설치된 구면 베어링(65)에 삽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환작동부재(81D)는, 그 일단부(하단부)는 각 결합구멍부(83D, 84D)에 대해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단부(상단부)는 각 결합구멍부(83D, 84D)에 대한 삽입 및 분리시에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switching
상기 전환작동부재(81D)의 하단부는, 각 결합구멍부(83D, 84D)에 삽입가능하고 슬릿부(85D, 86D)에는 삽입할 수 없는 크기의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다.The lower end of the switching
전환작동부재(81D)의 내측에는, 전술한 가압 스프링(82D)이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 스프링(82D)과 전환작동부재(81D)의 중심을 단붙이 나사(87D)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러한 단붙이 나사(87D)는, 그 선단부(하단부)가 결합구멍부(83D 또는 84D)까지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선단부에 너트(89D)가 체결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너트(89D)는 결합구멍부(83D 및 84D)보다 외경이 크며, 이에 따라 전환작동부재(81D)가 결합구멍부(83D 또는 84D)에 대해 상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Inside the switching
또한 가압 스프링(82D)은, 전환작동부재(81D)를 항상 너트(89D)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환작동부재(81D)의 하단부의 소직경부가 결합구멍부(83D 또는 84D)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전술한 각 슬릿부(85D, 86D)의 개구부가 서로 근접하게 마주보는 상태이며, 어느 하나의 결합구멍부(83D 또는 84D)에 전환작동부재(81D)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환작동부재(81D)를 가압 스프링(82D)에 대항하여 빼내면, 내측의 단붙이 나사(87D)는 슬릿부(85D 및 86D)를 통과할 수 있는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릿부(85D 및 86D)를 지나, 결합구멍부(83D와 84D) 간에 전환작동부재(81D)를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nings of the
그리고, 제 1 결합구멍부(83D)에 전환작동부재(81D)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연결작동부재(72D)의 요동부위(73D)와 연결수단(64)이 연결된 상태가 되어, 연결작동부재(72D)에 유지된 접촉부(71D)가 회전하는 판 캠(32)의 캠부재(61)에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지는 연결작동부재(72D)의 요동동작을 실 유지부재(63)에 전달할 수 있어, 실 유지위치로 이동시켜 매듭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n, in the state where the switching
또한, 제 2 결합구멍부(84D)에 전환작동부재(81D)가 이동되어 삽입된 상태에서는, 연결작동부재(72D)의 요동동작은 연결수단(64)에 전달되지 않으며, 또한, 연 결수단(64)의 일단부는 브래킷(88D)에 유지되므로, 실 유지부재(63)가 실 유지위치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유지되어 매듭을 실행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tate where the switching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전환수단(80D)에서는, 가압 스프링(82D)의 탄성에 의해, 각 결합구멍부(83D 또는 84D)중 어느 하나에 전환작동부재(81D)를 삽입시킨 상태가 유지되어, 매듭의 실행 또는 비실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가압 스프링(82D)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전환작동부재(81D)를 결합구멍부(83D 또는 84D)로부터 빼냄과 동시에 결합구멍부(83D와 84D) 사이에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의 설정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witching means 80D, the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매듭기구(60D)는 매듭기구(60)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제 6 실시형태)(6th Embodiment)
제 6 실시형태로서, 다른 매듭기구(60E)의 예를 도 31 내지 도 3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매듭기구(60E)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2는 분해사시도, 도 33 및 도 34는 다른 매듭기구(60E)가 구비하는 전환수단(80E)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환수단(80E)은 전술한 전환수단(80D)과 구조가 동일하므로 도 29를 본 실시형태에서도 유용하도록 하며, 상기 도 29에서 전환수단(80E)에 관한 구성은 모두 괄호내에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다.As a sixth embodiment, an example of another
또한,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환봉 재봉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round
이러한 매듭기구(60E)에서는, 연결수단(64E)에 실 유지부재(63)에 의한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전환하는 전환수단(80E)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즉, 매듭기구(60E)는, 캠부재(61)를 갖는 판 캠(32)과, 캠부재(61)에 맞닿는 접촉부(71E)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71E)와 캠부재(61)가 맞닿음으로써 축부재(62)를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요동수단(70E)과, 바늘판(12)의 하방에서 왕복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에 의해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낙하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루프를 유지하는 실 유지부재(63)와, 요동수단(70E)의 요동부위와 실 유지부재(6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64E)과, 실 유지부재(63)에 의한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전환하는 전환수단(80E)을 구비하고 있다.That is, the
우선, 요동수단(70E)은, 캠부재(61)에 맞닿는 접촉부(71E)를 가짐과 동시에 축부재(6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연결작동부재(72E)와, 상기 연결작동부재(72E)의 접촉부(71E)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접촉하는 회동방향으로 연결작동부재(72E)를 가세하는 인장스프링(76E)을 가지고 있다.First, the swinging means 70E has a contacting
연결작동부재(72E)는, 그 중앙부에서 X축 방향에 따른 축부재(62)에 축지지되며, 재봉기 베드부(21)의 측면에서 판 캠(3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연결작동부재(72E)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진 요동부위(73E)에서 연결수단(64E)과 연결된다.The connecting
또한 연결작동부재(72E)는, 축부재(62)로부터 떨어진 다른 요동부위(74E)에서, 인장스프링(76E)에 연결되며, 접촉부(71E)가 판 캠(32)의 외주에 가압되는 방 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세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또한, 판 캠(32)의 회전동작에 의해 접촉부(71E)가 캠부재(61)에 맞닿으면, 인장스프링(76E)의 가압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Moreover, when the
연결수단(64E)은, 연결작동부재(72E)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링크체(65E)와, 실 유지부재(63)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 2 링크체(66E)와, 제 2 링크체(66E)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중앙부가 재봉기 베드부(21)에 단붙이 나사(68E)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3 링크체(67E)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 3 링크체(67E)는 그 타단부가, 제 1 링크체(65E)의 타단부와 전환수단(80E)을 통해 연결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onnecting means 64E includes a
또한, 상기 연결수단(64E)은, 제 1 링크체(65E)와 제 3 링크체(67E) 간의 단절이 가능한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연결수단(64)과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connecting means 64E has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connecting means 64 described above, except that disconnection between the
전환수단(80E)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링크체(67E)와 제 1 링크체(65E)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연결 - 단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witching means 80E is provided between the
전환수단(80E)은, 위치전환조작에 의해 연결수단(64E)의 제 1 링크체(65E)와 제 3 링크체(67E) 간의 연결과 단절을 전환하는 전환작동부재(81E)와, 연결수단(64)의 제 1 링크체(65E)로부터 제 3 링크체(67E)에 요동동작을 전달할 수 있는 실행위치에서 전환작동부재(81E)를 유지시키는 제 1 결합구멍부(83E)와, 연결수단(64)의 제 1 링크체(65E)로부터 제 3 링크체(67E)로 요동동작을 전달할 수 없는 비실행위치에서 전환작동부재(81E)를 유지시키는 제 2 결합구멍부(84E)와, 제 1 결합 구멍부(83E)와 제 2 결합구멍부(84E) 간의 전환작동부재(81E)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릿부(85E, 86E)와, 전환작동부재(81E)를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가압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의 가압 스프링(82E)을 구비하고 있다.The switching means 80E includes a
제 1 결합구멍부(83E) 및 슬릿부(85E)는, 연결수단(64E)의 제 3 링크체(67E)의 타단부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결합구멍부(83E)는 관통된 상태로 형성된 원형구멍이며, 슬릿부(85E)는 그 일단부가 제 1 결합구멍부(83E)에 연통됨과 동시에 결합구멍부(83E)의 내경보다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슬릿부(85E)의 타단부는 외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The first
제 2 결합구멍부(84E) 및 슬릿부(86E)는, 재봉기 베드부(21)에 단붙이 나사(90E)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L자형상의 아암부재(88E)에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결합구멍부(84E)는 관통된 상태로 형성된 제 1 결합구멍부(83E)와 직경이 동일한 원형구멍이며, 슬릿부(86E)는 그 일단부가 제 2 결합구멍부(84E)에 연통됨과 동시에 결합구멍부(84E)의 내경보다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릿부(86E)의 타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The second
그리고, 제 3 링크체(67E)는, 인장스프링(92E)에 의해 장력을 받아 병설된 스토퍼(91E)측에 맞닿아 있다, 또한, 아암부재(88E)도 마찬가지로 인장스프링(93E)에 의해 장력을 받아 병설된 스토퍼(94E)측에 맞닿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릿부(86E)와 슬릿부(85E)는 평행이 됨과 동시에, 각 슬릿부(85E, 86E)의 개구단부끼리 가까이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또한, 스토퍼(91E)는, 연결작동부재(72E)의 접촉부(71E)가 캠부재(61) 이외 의 판 캠(32)의 외주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링크체(65E)의 타단부의 선단위치와, 제 3 링크체(67E)의 제 1 결합구멍부(83E)가 Y축 방향에 일치하도록 위치설정됨과 동시에, 연결작동부재(72E)의 접촉부(71E)가 캠부재(61)에 맞닿은 경우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부터 스토퍼(91E)는 제 3 링크체(67E)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전환작동부재(81E)는, 통형상이며 연결수단(64E)의 제 1 링크체(65E)의 타단부에 설치된 구면 베어링(69E)에 삽입된 채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환작동부재(81E)는, 그 일단부(하단부)가 각 결합구멍부(83E, 84E)에 대해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단부(상단부)는 각 결합구멍부(83E, 84E)에 대한 삽입 및 분리시에 잡기 쉽도록 하기 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switching
상기 전환작동부재(81E)의 하단부는, 각 결합구멍부(83E, 84E)에 삽입가능하며 슬릿부(85E, 86E)에는 삽입할 수 없는 크기의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다.The lower end of the switching
전환작동부재(81E)의 내측에는, 전술한 가압 스프링(82E)이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 스프링(82E)과 전환작동부재(81E)의 중심을 단붙이 나사(87E)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러한 단붙이 나사(87E)는, 그 선단부(하단부)가 결합구멍부(83E 또는 84E)까지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선단부에 너트(89E)가 체결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너트(89E)는 결합구멍부(83E 및 84E)보다 외경이 크며, 이에 따라 전환작동부재(81E)가 결합구멍부(83E 또는 84E)에 대해 상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Inside the switching
또한 가압 스프링(82E)은, 전환작동부재(81E)를 항상 너트(89E)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환작동부재(81E)의 하단부의 소직경부가 결합구멍부(83E 또는 84E)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전술한 각 슬릿부(85E, 86E)의 개구부가 서로 근접하게 마주보는 상태이고, 어느 하나의 결합구멍부(83E 또는 84E)에 전환작동부재(81E)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작동부재(81E)를 가압 스프링(82E)에 대항하여 빼내면, 내측의 단붙이 나사(87E)는 슬릿부(85E 및 86E)를 통과할 수 있는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릿부(85E 및 86E)를 지나, 결합구멍부(83E와 84E) 간에 전환작동부재(81E)를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nings of the
그리고, 제 1 결합구멍부(83E)에 전환작동부재(81E)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수단(64E)의 제 1 링크체(65E)와 제 3 링크체(67E)가 연결된 상태가 되어, 연결작동부재(72E)에 유지된 접촉부(71E)가 회전하는 판 캠(32)의 캠부재(61)에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지는 연결작동부재(72E)의 요동동작을 실 유지부재(63)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실 유지위치로 이동시켜 매듭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n, in the state where the switching
또한, 제 2 결합구멍부(84E)에 전환작동부재(81E)가 이동되어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작동부재(72E)의 요동동작이 아암부재(88E)에 전달되고 실 유지부재(63)에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실 유지부재(63)는 인장스프링(92E)의 장력에 의해 실 유지위치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유지되어 매듭을 실행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tate where the switching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전환수단(80E)에서는, 가압 스프링(82E)의 탄성에 의해, 각 결합구멍부(83E 또는 84E) 중 어느 하나에 전환작동부재(81E)를 삽입시킨 상태가 유지되어, 매듭의 실행 또는 비실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가압 스프링(82E)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전환작동부재(81E)를 결합구멍부(83E 또는 84E)로부터 빼냄과 동시에 결합구멍부(83E와 84E) 사이에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의 설정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witching means 80E, the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매듭기구(60E)는 매듭기구(60)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제 7 실시형태)(7th Embodiment)
제 7 실시형태로서, 다른 매듭기구(60F)의 예를 도 35 내지 도 3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매듭기구(60F)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매듭기구(60F)가 구비하는 전환수단(80F)의 분해사시도, 도 37은 다른 매듭기구(60F)가 구비하는 전환수단(80F)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환봉 재봉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a seventh embodiment, an example of another
이러한 매듭기구(60F)에서는, 실 유지부재(63)에 의한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전환하는 전환수단(80F)을 판 캠(32)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즉, 매듭기구(60F)는, 캠부재(61F)를 갖는 판 캠(32)과, 전술한 매듭기구(60E)와 동일한 요동수단(70E)과, 바늘판(12)의 하방에서 왕복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회동에 의해 최종 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낙하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루프를 유지하는 실 유지부재(63)와, 요동수단(70E)의 요동부위와 실 유지부재(63)를 연결하는 연결수단(64)과, 실 유지부재(63)에 의한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을 전환하는 전환수단(80F)을 구비하고 있다.That is, the
전환수단(80F)은, 감속축(31)에 고정장착되어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단붙이 나사(86F)를 지지축으로 하여 캠부재(61F)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토대(88F)와, 위치전환조작에 의해 캠부재(61F)가 접촉부(71E)에 맞닿을 수 있는 실행위치와 맞닿을 수 없는 비실행위치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작동부재(81F)와, 토대(88F)에 형성됨과 동시에 실행위치에서 전환작동부재(81F)를 유지하는 제 1 결합구멍부(83F)와, 토대(88F)에 형성됨과 동시에 비실행위치에서 전환작동부재(81F)를 유지하는 제 2 결합구멍부(84F)와, 제 1 결합구멍부(83F)와 제 2 결합구멍부(84F) 간의 전환작동부재(81F)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릿부(85F)와, 전환작동부재(81F)를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가압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의 가압 스프링(82F)을 구비하고 있다.The switching means 80F includes a
토대(88F)는, 길다란 판형상이며 그 중간위치에 조절축(31)을 삽입통과시켜 유지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슬리브를 사이에 두고 일단부측에는 단붙이 나사(86F)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제 1 및 제 2 결합구멍부(83F, 84F)와 슬릿부(85F)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캠부재(61F)는 판 캠(32)과 직경이 동일한 원호형상의 판체로서, 그 일단부에서 단붙이 나사(86F)에 축지지되고,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단붙이 나사(87F)를 통해 전환작동부재(81F)가 장착되어 있다.The
또한, 그 원호 가장자리부의 중간에는 캠의 주절(主節)로서 기능하는 돌기가 가장자리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projection which functions as the main cutting part of a cam protrud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er side of an edge in the middle of the circular arc edge part.
제 1 결합구멍부(83F)는, 전환작동부재(81F)가 삽입됨으로써 캠부재(61F)의 원호 가장자리부가 판 캠(32)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일치하도록 위치결정할 수 있는 위치(실행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제 2 결합구멍부(84F)는, 전환작동부재(81F)가 삽입됨으로써 캠부재(61F)의 돌기가 판 캠(32)의 외주 가장자리부보다 후퇴위치가 되도록 위치결정할 수 있는 위치(비실행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슬릿부(85F)는, 그 일단부가 제 1 결합구멍부(83F)에 연통되고, 타단부가 제 2 결합구멍부(84F)에 연통됨과 동시에 각 결합구멍부(83F, 84F)의 내경보다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One end of the
전환작동부재(81F)는, 통형상이며, 그 일단은 각 결합구멍부(83F, 84F)에 대해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각 결합구멍부(83F, 84F)에 대한 삽입 및 분리시에 잡기 쉽게 하기 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switching
상기 전환작동부재(81F)의 일부는, 각 결합구멍부(83F, 84F)에 삽입이 가능하고 슬릿부(85F, 86F)에는 삽입할 수 없는 크기의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다.A part of the switching
전환작동부재(81F)의 내측에는, 전술한 가압 스프링(82F)이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 스프링(82F)과 전환작동부재(81F)의 중심을 단붙이 나사(87F)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러한 단붙이 나사(87F)는, 결합구멍부(83F, 84F) 또는 슬릿부 (85F)에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캠부재(61F)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Inside the switching
또한 가압 스프링(82F)은, 전환작동부재(81F)를 항상 토대(88F)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환작동부재(81F)의 하단부의 소직경부가 결합구멍부(83F 또는 84F)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의 구성에 의해, 어느 하나의 결합구멍부(83F 또는 84F)에 전환작동부재(81F)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작동부재(81F)를 가압 스프링(82F)에 대항하여 빼내면, 내측의 단붙이 나사(87F)는 슬릿부(85F)를 통과할 수 있는 외경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릿부(85F)를 지나, 결합구멍부(83F와 84F) 간에 전환작동부재(81F)를 이동시킬 수 있다.With the above arrangement, when the switching
그리고, 제 1 결합구멍부(83F)에 전환작동부재(81F)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부재(61F)의 돌기가 판 캠(32)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고, 판 캠(32)의 회전에 따라 캠부재(61F)의 돌기가 접촉부(71E)에 맞닿아, 연결작동부재(72E)를 요동시킴과 동시에 실 유지부재(63)를 실 유지위치로 이동시켜 매듭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n, in the state where the switching
또한, 제 2 결합구멍부(84F)에 전환작동부재(81F)가 이동되어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부재(61F)의 돌기가 판 캠(32)의 외주 가장자리부보다 후퇴한 상태가 된다. 연결작동부재(72E)는, 판 캠(32)의 외주보다 내측까지 회동하지 않도록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판 캠(32)의 회전이 이루어지더라도 캠부재(61F)의 돌기는 접촉부(71E)에 맞닿 지 않고, 실 유지부재(63)를 실 유지위치로부터 후퇴시켜 매듭을 실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switching
상기 구성에 의해, 전환수단(80F)에서는, 가압 스프링(82F)의 탄성에 의해, 각 결합구멍부(83F 또는 84F) 중 어느 하나에 전환작동부재(81F)를 삽입시킨 상태가 유지되어, 매듭의 실행 또는 비실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가압 스프링(82F)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전환작동부재(81F)를 결합구멍부(83F 또는 84F)로부터 빼냄과 동시에 결합구멍부(83F 또는 84F) 간에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의 설정을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환작동부재(81F)는 캠부재(61F)의 돌기(캠부)의 매듭 캠(32)의 외주면에 대한 출몰에 의해 요동수단(70E)의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witching means 80F, the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매듭기구(60F)는 매듭기구(60)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제 8 실시형태)(8th Embodiment)
제 8 실시형태로서, 다른 전환수단(80G)의 예를 도 38 내지 도 4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전환수단(80G)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9는 전환수단(80G)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40 및 도 41은 전환수단(80G)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환봉 재봉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an eighth embodiment, an example of another switching means 80G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38 to 41. FIG. 3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switching means 80G, FIG. 3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switching means 80G, and FIGS. 40 and 4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ans 80G. . In addi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round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작동부재(72E)로부터 실 유지부재(32)에 요동동작을 전달하는 연결기구에 전환수단(80G)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환수단(80G) 및 도시하지 않은 연결수단 이외의 구성은 모두 전술한 매듭기구(60E)를 탑재한 재봉기와 동일하다. 전환수단(80G)이 탑재된 도시하지 않은 연결수단은, 연결수단(64E)과 마찬가지로, 연결작동부재(72E)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링크체와, 실 유지부재(63)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 2 링크체와, 제 2 링크체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연결된 제 3 링크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연결기구는, 연결수단(64E)과 달리, 제 3 링크체는 그 타단부가, 나사구멍(86G)을 통해 제 1 링크체의 타단부와 직접 연결되고, 제 2 링크체와 실 유지부재(63) 사이에 전환수단(80G)이 설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witching means 80G is provided in the coupling mechanism which transmits the rocking motion from the
이러한 전환수단(80G)은, 연결수단의 제 2 링크체의 일단부로부터 실 유지부재(63)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연결작동부재(72E)로부터의 요동 이동력을 부여하는 판형상 링크체(82G)와, 판형상 링크체(82G) 상면의 선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지지축(87G)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판형상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진 전환작동부재(81G)를 구비하고 있다.The switching means 80G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of the connecting means toward the
판형상 링크체(82G)와 전환작동부재(81G)는, 전환작동부재(81G)의 회동조작에 의해, 서로의 선단부를 중첩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선단부에는 실 유지부재(63)에 형성된 결합돌기(63a)를 삽입시킬 수 있는 제 1 개구부(83G)와 제 2 개구부(84G)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plate-shaped
실 유지부재(63)에 형성된 결합돌기(63a)는, 실 유지부재(63)의 회동 지지축 (63b)으로부터 떨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돌기(63a)에 외력이 부여됨으로써 실 유지부재(63)가 회동 지지축(63b)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 유지부재(63)에는, 실 유지위치로부터 후퇴회동방향측으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장력을 받고 있으며, 결합돌기(63a)에 외력이 부여되지 않는 한, 실 유지위치보다 후측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The engaging
전환작동부재(81G)의 후단부 근방의 하면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위치결정돌기(85G)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87G)을 중심으로 전환작동부재(87G)를 회동시켜 위치결정돌기(85G)를 판형상 링크체(82G)의 X축 방향 양측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매듭의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환작동부재(81G)는, 스프링성을 구비하는 소재이므로, 전환작동부재(81G) 자체에서 생기는 탄성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휘도록 만곡시켜 위치결정돌기(85G)를 판형상 링크체(82G)의 상측을 타고넘어 상기 각 위치의 전환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전환작동부재(81G) 자체가 매듭의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가압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 기능하고 있다.A
판형상 링크체(82G)에 형성된 제 1 개구부(83G)는, L자형상으로 형성되며, L자의 세로 변(邊)이 연결작동부재(71E)로부터 판형상 링크체(82G)에 전달되는 왕복동작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그 왕복 스트로크와 일치하는 길이나 혹은 그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전환작동부재(81G)에 형성된 제 2 개구부(84G)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며, 비실행위치에서 제 1 개구부(83G)의 L자의 세로 변과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되 고, 판형상 링크체(82G)의 왕복 스트로크와 일치하는 길이나 혹은 그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Further, the
도 40은 상기 위치결정돌기(85G)에 의해 매듭의 실행위치에 전환작동부재(81G)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행위치에서는, 판형상 링크체(82G)의 제 1 개구부(83G)와 전환작동부재(81G)의 제 2 개구부(84G)는, 일부분만이 겹치고, 실 유지부재(63)의 결합돌기(63a)가 덜컹거리지 않을 정도로 삽입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판형상 링크체(82G)의 왕복동작에 의해 실 유지부재(63)의 회동력이 부여되게 된다.Fig. 40 shows a state where the switching
도 41은 상기 위치결정돌기(85G)에 의해 매듭의 비실행위치에 전환작동부재(81G)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실행위치에서는, 판형상 링크체(82G)의 제 1 개구부(83G)의 L자의 세로 변 부분과 전환작동부재(81G)의 제 2 개구부(84G)가 일치하며, 겹치는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 유지부재(63)의 결합돌기(63a)는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판형상 링크체(82G)의 왕복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결합돌기(63a)가 각 개구부(83G, 84G)의 내부에서 상대이동하여, 실 유지부재(63)에 회동력은 부여되지 않게 된다,Fig. 41 shows a state where the switching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전환수단(80G)에서는, 전환작동부재(81G)의 탄성과 위치결정돌기(85G)에 의해, 상기 전환작동부재(81G)는 매듭의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가 선택적으로 유지되어, 매듭의 실행 또는 비실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환작동부재(81G)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전환작동부재(81G)를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로 전환함으로써,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의 설정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arrangement, in the switching means 80G, the switching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환수단(80G)을 구비하는 매듭기구는 매듭기구(60)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knot mechanism provided with the switching means 80G can exhibit almost the same effect as the
(제 9 실시형태)(Ninth embodiment)
제 9 실시형태로서, 다른 전환수단(80H)의 예를 도 42 내지 도 4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전환수단(80H)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3, 도 44, 도 45 및 도 46은 전환수단(80H)의 전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환봉 재봉기(100)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하고, 환봉 재봉기(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a ninth embodiment, an example of another switching means 80H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42 to 46. FIG. 4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switching means 80H, and FIGS. 43, 44, 45, and 4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ans 80H. In addition, the differences from the round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 유지부재(32)에 전환수단(80H)을 병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환수단(80H) 및 도시하지 않은 연결수단 이외의 구성은 모두 전술한 매듭기구(60E)를 탑재한 재봉기와 동일하다. 도시하지 않은 연결수단은, 연결수단(64E)과 마찬가지로, 연결작동부재(72E)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 1 링크체와, 실 유지부재(63)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 2 링크체와, 제 2 링크체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연결된 제 3 링크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연결기구는, 연결수단(64E)과 달리, 제 3 링크체는 그 타단부가 제 1 링크체의 타단부와 직접 연결되고, 제 2 링크체(66)와 실 유지부재(63)의 결합돌기(63a)는 직접 연결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witching means 80H is provided in the
전환수단(80H)은, 그 상면에 실 유지부재(63)의 회동 지지축(63b)을 구비하는 길다란 판형상의 전환작동부재(81H)와, 바늘판(82H)에 설치되어 매듭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위치에 전환작동부재(81H)를 위치결정하는 제 1 유지부(83H)와, 바늘판(82H)에 설치되어 매듭을 실행시키지 않기 위한 비실행위치에 전환작동부재 (81H)를 위치결정하는 제 2 유지부(84H)를 구비하고 있다.80H of switching means are provided in the long plate-shaped
전환작동부재(81H)는, 일단부가 바늘판(82H)의 하면측의 축부(87H)에서 축지지되어 있으며, 타단부에 대한 수동조작에 의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One end of the switching
그리고, 전환작동부재(81H)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의 상면측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실 유지부재(63)의 지지축(86H)을 구비하며, 전환작동부재(81H)의 회동조작에 의해, 실 유지부재(63)의 회동 지지점 위치를 지지축(86H)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d the
제 1 유지부(83H)와 제 2 유지부(84H)는, 모두 바늘판의 측방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노치로 이루어지며, 전환작동부재(81H)의 회동단부를 각 노치형상의 제 1 유지부(83H)와 제 2 유지부(84H)에 선택적으로 끼워넣을 수 있다.The
전환작동부재(81H)는, 스프링성을 구비하는 판형상체이며, 전환작동부재(81H) 자체에서 생기는 탄성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휘도록 만곡시켜 제 1 유지부(83H)와 제 2 유지부(84H) 간에 형성된 구획돌기부(85H)를 타고넘어 상기 각 위치의 전환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전환작동부재(81H) 자체가 매듭의 실행위치 또는 비실행위치에 가압력에 의해 유지시키는 탄성체로서 기능하고 있다.The switching
도 43 및 도 44는 상기 제 1 유지부(83H)에 의해 매듭의 실행위치에 전환작동부재(81H)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도 43 및 도 44와 같이, 실행위치에서는, 실 유지부재(63)의 선단부의 회동 궤적의 바로 외측에 바늘 낙하가 이루어지며, 적정하게 실이 유지되어 매듭을 실행할 수 있다.43 and 44 show a state where the switching
도 45 및 도 46은 상기 제 2 유지부(84H)에 의해 매듭의 비실행위치에 전환 작동부재(81H)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도 45 및 도 46와 같이, 비실행위치에서는, 실 유지부재(63)의 선단부의 회동 궤적의 내측에 바늘 낙하가 이루어지며, 적정하게 실이 유지되지 않아, 매듭을 실행시킬 수 없다.45 and 46 show a state where the switching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전환수단(80H)에서는, 전환작동부재(81H)의 탄성과 각 유지부(83H, 84H)에 의해 돌기부(85H)에 의해, 상기 전환작동부재(81H)는 매듭의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가 선택적으로 유지되어, 매듭의 실행 또는 비실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환작동부재(81H)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전환작동부재(81H)를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로 전환함으로써, 매듭의 실행과 비실행의 설정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arrangement, in the switching means 80H, the switching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환수단(80H)을 구비하는 매듭기구는 매듭기구(60)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knot mechanism provided with the switching means 80H can exhibit almost the same effect as th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실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매듭을 지을 때, 제 1 루프(최종바늘로부터 두 바늘 전의 바늘낙하에 의한 루프)를 피봉제물측으로의 끌어당김에 대항하여 실 길이를 길게 유지함과 동시에, 제 2 루프(최종바늘로부터 한 바늘 전의 바늘낙하에 의한 루프)를 피봉제물측으로 끌어당기기 전에 해방함으로써, 제 3 루프와 함께 제 1 루프의 단부를 제 2 루프의 내측으로 끌어넣어 단단히 묶을 수 있기 때문에, 재봉실의 종단이 하나의 루프로부터 빠져나오는 것 만으로는 용이하게 풀리지 않는 견고한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a thread holding member is provided, and when the knot is made, the length of the thread against the pulling of the first loop (the loop due to the needle drop from the last needle to the front of the two needles) to the to-be-sealed material side is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first loop is pulled into the second loop together with the third loop by releasing the second loop (the loop due to the needle drop one needle before the final needle) from the end needle before being pulled to the side to be sewn. Because of the tight binding, the end of the sewing thread can form a solid knot that is not easily released just by exiting from one loop.
또한, 부품의 교환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매듭의 전환시마다 부품의 조립위치 의 미세조정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전환작업을 한층 비약적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placement of parts is unnecessary, it is not necessary to fine-tun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parts every time the knot is switched, and the switc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이에 따라, 재봉부착작업에 있어서의 재봉부착물을, 예컨대 버튼에서 라벨로 변경한 경우에도, 상기 전환작업을 수행하면 되므로, 비약적인 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when the sewing attachment in the sewing attachment operation is changed from a button to a label, for example, the above switc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by achieving a drastic improvement in work efficiency.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견고한 매듭과 통상의 매듭의 실행을 전환할 경우, 전환작동부재를 탄성체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사이에서 전환동작시키는 간단한 조작만 하면 되므로, 상기 전환작업을 비약적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2, in the case of switching between the execution of the solid knot and the normal knot,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only has to be operated in a simple operation of switching between the running position and the non-running posi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The work can be performed remarkably easily and quickly.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접촉부를 구비하는 전환작동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간에 전환이 가능하여, 전환수단 전체를 전환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환조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3,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the execution position and the non-execution position only by operating the switching operation member hav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re is no need to switch over the switching means as a whole, so that th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You can do it.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실 유지부재의 동작 타이밍을 좌우하는 캠부재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바늘의 운동이 고속으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적정한 동작 타이밍으로 매듭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since the position of the cam member which determine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thread holding member can be adjusted, even if the needle movement is performed at high speed, the knot can be formed at an appropriate operation timing.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캠부의 출몰조작에 의해 실행위치와 비실행위치 간에 전환이 가능하여, 매듭 캠 전체를 전환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환조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5, switching between the running position and the non-executing position is possible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am part, and the switc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switch the whole knot cam.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323505 | 2005-11-08 | ||
JP2005323505 | 2005-11-08 | ||
JP2006129280A JP2007152076A (en) | 2005-11-08 | 2006-05-08 | Chain stitch sewing machine |
JPJP-P-2006-00129280 | 2006-05-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9577A true KR20070049577A (en) | 2007-05-11 |
KR101296278B1 KR101296278B1 (en) | 2013-08-14 |
Family
ID=3823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9357A KR101296278B1 (en) | 2005-11-08 | 2006-11-07 | Chain-stitch sewing machin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07152076A (en) |
KR (1) | KR101296278B1 (en) |
CN (1) | CN1962986B (en) |
TW (1) | TW200728539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01341B2 (en) * | 2012-06-13 | 2016-10-05 | Juki株式会社 | Overlock sewing machine |
JP6389393B2 (en) * | 2014-08-05 | 2018-09-12 |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 sewing machine |
JP2019170812A (en) * | 2018-03-29 | 2019-10-10 |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 sew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73797Y (en) * | 1993-08-21 | 1994-08-10 | 陈耀彩 | Medium-fast eight-thread chain type stitch sewing machine |
JP3754710B2 (en) * | 1994-04-13 | 2006-03-15 |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 Multi-needle double chain stitch machine |
JP3731944B2 (en) * | 1995-10-09 | 2006-01-05 | Juki株式会社 | Method for forming a knot in a chain stitch and a chain stitch sewing machine |
CN1093897C (en) * | 1995-10-09 | 2002-11-06 | 重机公司 | Chain stitch knot forming method and chain stitch sewing machine |
-
2006
- 2006-05-08 JP JP2006129280A patent/JP2007152076A/en active Pending
- 2006-10-14 TW TW095137882A patent/TW200728539A/en unknown
- 2006-11-06 CN CN2006101439083A patent/CN1962986B/en active Active
- 2006-11-07 KR KR1020060109357A patent/KR101296278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6278B1 (en) | 2013-08-14 |
TWI370189B (en) | 2012-08-11 |
TW200728539A (en) | 2007-08-01 |
CN1962986B (en) | 2012-02-08 |
CN1962986A (en) | 2007-05-16 |
JP2007152076A (en) | 2007-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73272B2 (en) | sewing machine | |
KR20080006489A (en) | Bobbin changer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 |
KR101296278B1 (en) | Chain-stitch sewing machine | |
JP2009183536A (en) | Thread cut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 |
JP5403401B2 (en) | Sewing machine thread trimmer | |
TW201233861A (en) | Device for presenting decorative material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evice | |
KR101652025B1 (en) | Device for holding upper thread for sewing machine | |
JP5265226B2 (en) | Upper thread clamp device for sewing machine | |
KR100835618B1 (en) | 2 niddle overlock sewing machine | |
KR101438154B1 (en) | Device for holding upper thread for sewing machine | |
TWI421386B (en) | Pinning machine | |
CN108251974B (en) | High-head column type multi-needle sewing machine | |
JP4782526B2 (en) | sewing machine | |
WO2015033996A1 (en) | Sewing machine | |
JP6059917B2 (en) | Double chain stitch machine | |
JP3731944B2 (en) | Method for forming a knot in a chain stitch and a chain stitch sewing machine | |
KR100810938B1 (en) | Stitch machine | |
TW201708650A (en) | Double chainstitch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seam fray-stopping device | |
CN1932119B (en) | Device for embroidering cords or the like and embroidery or quilting machine with such device | |
KR20080000510A (en) | Button sewing machine | |
JP4467132B2 (en) | Upper shaft clutch device of sewing machine | |
KR20070100157A (en) | Button sewing machine | |
JP4377282B2 (en) | Tatami sewing device | |
JP5588104B2 (en) | Sewing machine thread cutting device | |
JP6374745B2 (en) | sew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