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984A - 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 - Google Patents

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984A
KR20070048984A KR1020050106125A KR20050106125A KR20070048984A KR 20070048984 A KR20070048984 A KR 20070048984A KR 1020050106125 A KR1020050106125 A KR 1020050106125A KR 20050106125 A KR20050106125 A KR 20050106125A KR 20070048984 A KR20070048984 A KR 2007004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noise
audio
editing
mp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0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8984A/en
Publication of KR2007004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9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471General musical sound synthesis principles, i.e. sound category-independent synthesis methods
    • G10H2250/505Parcor synthesis, i.e. music synthesis using partial autocorrelation techniques, e.g. in which the impulse response of the digital filter in a parcor speech synthesizer is used as a musical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코딩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에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여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엠펙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LP 방식의 오디오 재생신호가 제공될 경우 LP 노이즈를 발생하는 단계와, 엠펙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발생된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는 단계와, 편집된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LP 방식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양한 오디오 감상을 원하는 청취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차별화된 오디오 감상의 기회를 다양한 청취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dit and reproduce the LP audio signal by adding LP noise to the decoded digital audio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for MPEG decoding the audio signal provided by the user, LP method Generating LP noise when an audio reproduction signal is provided, adding LP noise generated to the MPEG decoded audio signal, and editing the LP audio digital audio signal, and LP editing the edited LP digital audio signal.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analog audio sig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tisfy a variety of needs of the listeners who want to enjoy a variety of audio,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listeners the opportunity of listening to different audio.

오디오 신호, 엠펙, LP Audio signal, MPEG, LP

Description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signal editing system in a composit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복합제품에서 오디오 신호를 편집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흐름도.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in detail the process of editing an audio signal in a composit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튜너부 103 : 엠펙부101: tuner section 103: MPEG section

105 : LP 오디오 편집부 107 : LP 노이즈 발생부105: LP audio editing unit 107: LP noise generating unit

109 : DAC 111 : 마이컴109: DAC 111: Micom

S1 : DVD 혹은 CDS1: DVD or CD

본 발명은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를 LP(Long Play, LP) 방식의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여 재생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editing an audio signal in a composite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editing and reproducing a digital audio signal into an LP (Long Play, LP) type audio signal. It is about.

주지된 바와 같이, 복합 제품이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장치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된 것을 콤비네이션 시스템(combination system), 혹은 콤보 시스템(combo-system)이라 칭한다. 이러한 복합 제품의 종류로는 브이씨알(video cassette recorder, VCR)의 기능과 TV를 일체화한 VCR/TV 콤보 시스템, 또는 VCR 데크(deck)와 디브이디(Digital Versatile Disc, DVD) 플레이어를 하나로 일체화한 DVD/VCR 콤보 시스템, 그리고 HDD와 DVD를 일체화한 PVR/DVD 콤보 시스템 등으로 구분된다. As is well known, a composite product is referred to as a combination system, or combo-system, in which two or more different devices are connected into one integrated system. This combination includes a VCR / TV combo system that integrates the functionality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VCR) and a TV, or a DVD that integrates a VCR deck and a Digital Versatile Disc (DVD) player into one. / VCR combo system, and PVR / DVD combo system integrating HDD and DVD.

이러한 복합 제품들은 디코딩 엠펙 과정에 의해 나누어진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 등을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며, 또한 나누어진 오디오 신호를 그 포맷이 SPDIF 방식인지 아니면, I2S 방식인지에 따라 구분하여 해당 포맷 방식의 출력단을 통해 오디오 잭이 삽입될 경우, 해당 포맷 방식으로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These composite products output the video signal divided by the decoding MPEG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see it through a monitor. Also, the divided audio signal i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format is SPDIF or I2S. When the audio jack is insert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the user can listen in the corresponding format method.

상기와 같이 나누어진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방식의 신호로서 그 음이 맑고 깨끗하여 신시대의 청취자로 하여금 만족스러운 오디오 감상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신시대가 아닌 구시대의 청취자나 혹은 다양한 오디오 감상을 원하는 청취자들은 단순히 맑고 깨끗한 음 보다는 복구풍 오디오 신호, 즉 아날로그 방식의 신호나 혹은 예전의 LP 음의 신호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따라서, 청취자들의 다양한 청취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차별화된 오디오 감상을 위해 오디오 신호의 다양하게 편집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The audio signal divided as above is a digital signal, and its sound is clear and clear, providing the listeners of a new age with a satisfactory audio listening experience. However, non-new-day listeners or listeners who want to enjoy a variety of audio tend to prefer recovery-style audio signals, ie analogue signals or old LP sounds, rather than simply clear and clean sounds. 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various editing of the audio signal to meet the various listening needs of the listeners or to differentiate the audio.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디코딩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에 LP 노이즈(noise)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여 재생할 수 있는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to add LP noise to a decoded digital audio signal and to edit and reproduce the LP audio signal in a composite product. An audio signal editing method and system are provid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복합제품의 오디오 신호 편집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엠펙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LP 방식의 오디오 재생신호가 제공될 경우 LP 노이즈를 발생하는 단계와, 엠펙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발생된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는 단계와, 편집된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LP 방식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the composite pro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step of MPEG decoding the audio signal and providing, generating LP noise when the LP type audio playback signal from the user, and MPEG Adding LP noise generated to the decoded audio signal to edit the LP audio digital audio signal, and converting the edited LP audio digital audio signal to an LP audio analog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LP audio signal. It is done.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복합제품의 오디오 신호 편집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엠펙 디코딩하는 엠펙부와, 사용자로부터 LP 방식의 오디오 재생신호가 제공될 경우 LP 노이즈를 발생하는 LP 노이즈 발생수단과, 엠펙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발생된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는 LP 오디오 편집수단과, 편집된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LP 방식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dio signal editing system of the composite pro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MPEG unit for decoding the audio signal, and LP noise generation to generate LP noise when the LP type audio reproduction signal is provided from the user LP audio editing means for adding the LP noise generated to the MPEG-decoded audio signal to edit the digital audio signal of the LP method, and converting the edited LP digital audio signal to the LP analog audio signal for outpu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C.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 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Hereinafter,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and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is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튜너부(101)와, 엠펙부(103)와, LP 오디오 편집부(105)와, LP 노이즈 발생부(107)와, DAC(Digital Analog Convertor, DAC)(109)와, 마이컴(111)을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signal editing system in a composit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tuner unit 101, an amplifier unit 103, an LP audio editing unit 105, and an LP noise generator 107. ), A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109, and a microcomputer 111.

튜너부(101)는 방송국(도시되지 않음)에서 송출되는 다수의 채널 중 임의의 초기 채널을 선국하기 위해 다수의 채널을 자동 선국하며, 자동 선국된 초기 채널을 엠펙부(103)에 제공한다. The tuner unit 101 automatically tunes a plurality of channels to tune any initial channel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not shown), and provides the auto tuned initial channel to the amplifier unit 103.

엠펙부(103)는 마이컴(111)의 제어에 따라 튜너부(101)에 의해 수신되어 자동 선국된 초기 채널에 해당되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엠펙 디코딩 처리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구분한 다음에 구분된 비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고, 구분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를 LP 오디오 편집부(105)에 제공한다.The MPEG unit 103 MPEG-decodes a specific broadcast program signal received by the tuner unit 101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11 and corresponds to an initial channel automatically tuned into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The separated video signal is output through a monitor so that a user can see it, and the separated digital audio signal is provided to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또한, 엠펙부(103)는 마이컴(111)의 제어에 따라 DVD 혹은 CD(S1)에서 재생되는 각종 영상 신호를 읽어와서 엠펙 디코딩 처리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구분한 다음에 구분된 비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고, 구분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를 LP 오디오 편집부(105)에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PEG unit 103 reads various video signals reproduced from a DVD or a CD S1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11, performs MPEG decoding processing, divides the video signals into audio signals, and then divides the divided video signals. It outputs through a monitor for the user to see, and provides the separated digital audio signal to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LP 오디오 편집부(105)는 엠펙부(103)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에 LP 노이즈 발생부(107)로부터 제공되는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디 지털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여 DAC(109)에 제공한다.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adds the LP noise provided from the LP noise generator 107 to the digital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MPEG unit 103 and edits the digital audio signal of the LP system to the DAC 109. To provide.

LP 노이즈 발생부(107)는 마이컴(111)의 제어에 따라 LP 노이즈(예컨대, 임의의 주파수)를 발생하여 LP 오디오 편집부(105)에 제공한다. The LP noise generator 107 generates LP noise (for example, an arbitrary frequency)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11 and provides the LP noise to the LP audio editor 105.

DAC(109)는 LP 오디오 편집부(105)로부터 제공되는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LP 방식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The DAC 109 converts the LP type digital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into an LP type analog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same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ame.

마이컴(111)은 엠펙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엠펙부(103)를 제어하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LP 방식의 오디오 재생 신호가 제공될 경우 LP 노이즈를 발생할 수 있도록 LP 노이즈 발생부(107)를 제어한다. The microcomputer 111 controls the MPEG unit 103 to perform MPEG decoding,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LP noise generator 107 so that LP noise can be generated when an LP audio reproduction signal is provided from a user. .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Referring to the flowchart of FIG. 2, the audio signal editing method in the composit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먼저, 튜너부(101)에 의해 방송국(도시되지 않음)에서 송출되는 다수의 채널 중 임의의 초기 채널이 자동 선국되면, 선국 기능에 따라 자동 선국된 초기 채널이 엠펙부(103)에 제공된다(S201). First, when any initial channel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not shown) is automatically tuned by the tuner unit 101, the initial channel automatically tuned according to the tuning function is provided to the MPEG unit 103 ( S201).

이후, 엠펙부(103)에서는 튜너부(101)에 의해 자동 선국된 초기 채널에 해당되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엠펙 디코딩으로 처리할 경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구분되며 구분된 비디오 신호가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며, 또한 구분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LP 오디오 편집부(105)에 제공된다(S203). Thereafter, when the MPEG unit 103 processes a specific broadcast progra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hannel automatically tuned by the tuner unit 101 by MPEG decoding, the MPEG unit 103 is divided into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the divided video signal is divided into The digital audio signal is outputted through the monitor for viewing and the separated digital audio signal is provided to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S203).

여기서, 엠펙부(103)는 DVD 혹은 CD(S1)에서 재생(S201-1)되는 각종 영상 신 호를 읽어와서 엠펙 디코딩 처리할 경우, 이 또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구분되며 구분된 비디오 신호가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며, 구분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LP 오디오 편집부(105)에 제공된다(S203-1).In this case, when the MPEG unit 103 reads and decodes various video signals reproduced from the DVD or CD S1 (S201-1), the MPEG unit 103 is divided into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nd the divided video signals are divided into The digital audio signal is outputted through the monitor so that the user can see it, and the divided audio signal is provided to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S203-1).

그러면, LP 오디오 편집부(105)는 LP 노이즈 발생부(107)로부터 LP 노이즈가 제공되는지를 판단한다(S205).Then,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determines whether LP noise is provided from the LP noise generating unit 107 (S205).

상기 판단(S205)결과, LP 노이즈가 제공되지 않으면 엠펙부(103)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DAC(109)에 제공되며(S207), DAC(109)에서는 LP 오디오 편집부(105)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S209).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205), if LP noise is not provided, the digital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MPEG unit 103 is provided to the DAC 109 (S207), and the DAC 109 is provided from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The digital audio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d output so that the user can listen (S209).

반면에, 상기 판단(S205)결과, LP 노이즈가 제공되면 엠펙부(103)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에 LP 노이즈 발생부(107)로부터 제공된 LP 노이즈, 즉 임의의 주파수가 추가되어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예컨대, 복구풍 방식의 턴테이블에서 재생될 때 발생되는 톡톡 튀는 느낌의 오디오 신호)로 편집되어 DAC(109)에 제공된다(S211). On the other hand, if the LP noise is provid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205), the LP noise provided from the LP noise generator 107, i.e., an arbitrary frequency, is added to the digital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MPEG unit 103, so that the LP scheme is applied. The digital audio signal (for example, a popping-up audio signal generated when playing on a recovery style turntable) is edited and provided to the DAC 109 (S211).

그러면, DAC(109)에서는 LP 오디오 편집부(105)로부터 제공되는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LP 방식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S213). Then, the DAC 109 converts the LP type digital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LP audio editing unit 105 into an LP type analog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user to listen (S213).

따라서, 튜너부를 통해 수신된 특정 방송 프로그램, 혹은 DVD 혹은 CD(S1)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디코딩 엠펙 처리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에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여 재생함으로써, 다양한 오디오 감상을 원하는 청취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차별화된 오디오 감상의 기회를 다양한 청취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LP noise is added to a specific broadcast program received through a tuner unit or a digital audio signal decoded and processed by a DVD or CD (S1) to be edited and reproduced as an LP audio signal. It can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listeners who want to listen to the audio, and can provide a variety of listeners with the opportunity to differentiate the audio.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더욱 수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의 제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In addition, since it may be further modified within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ver any modification, use and / or adaptation using general principles, and is intended as a departure from the description herein. It is intended to cover all matter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known or customary practice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and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튜너부를 통해 수신된 특정 방송 프로그램, 혹은 DVD 혹은 CD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디코딩 엠펙 처리한 디지털 방식의 오디오 신호에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여 재생함으로써, 다양한 오디오 감상을 원하는 청취자들의 다양한 욕구 충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차별화된 오디오 감상의 기회를 다양한 청취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ds LP noise to a specific broadcast program received through a tuner or a digital audio signal which is decoded and processed by a signal reproduced from a DVD or a CD to convert the LP signal into an LP audio signal. By editing and reproducing, it is possible to satisfy a variety of needs of listeners who want to enjoy a variety of audio, and also to provide a variety of listeners with an opportunity to enjoy a differentiated audio.

Claims (4)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편집하는 방법으로서, As a method of editing an audio signal in a composite product,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엠펙 디코딩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MPEG decoding and providing the audio signal; 사용자로부터 LP 방식의 오디오 재생신호가 제공될 경우 LP 노이즈를 발생하는 단계와, Generating LP noise when an LP audio playback signal is provided from a user; 상기 엠펙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상기 발생된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는 단계와, Adding the generated LP noise to the MPEG decoded audio signal and edi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in an LP method; 상기 편집된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LP 방식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Converting the edited LP digital audio signal into an LP analog au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analog audio signal 를 포함하는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방법.Audio signal editing method in a composite product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LP 노이즈는, 임의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방법.And the LP noise is an arbitrary frequency.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편집하는 시스템으로서, A system for editing audio signals in composite products,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엠펙 디코딩하는 엠펙부와, An MPEG unit for MPEG decoding the audio signal; 사용자로부터 LP 방식의 오디오 재생신호가 제공될 경우 LP 노이즈를 발생하는 LP 노이즈 발생수단과, LP noise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LP noise when an LP audio reproduction signal is provided from a user; 상기 엠펙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에 상기 발생된 LP 노이즈를 추가하여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편집하는 LP 오디오 편집수단과, LP audio editing means for adding the generated LP noise to the MPEG decoded audio signal and edi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in LP method; 상기 편집된 LP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LP 방식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DAC for converting the edited LP-type digital audio signal into a LP-type analog audio signal and outputting 를 포함하는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시스템.Audio signal editing system in a composite product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LP 노이즈는, 임의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복합제품에서의 오디오 신호 편집시스템.And said LP noise is an arbitrary frequency.
KR1020050106125A 2005-11-07 2005-11-07 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 KR200700489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125A KR20070048984A (en) 2005-11-07 2005-11-07 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125A KR20070048984A (en) 2005-11-07 2005-11-07 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984A true KR20070048984A (en) 2007-05-10

Family

ID=3827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125A KR20070048984A (en) 2005-11-07 2005-11-07 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89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4037B2 (en) Acoustic device and playback mode setting method
JP2005079954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tion processing method
KR100518794B1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an arbitrarily-selected part of audio data and its method
US20090292377A1 (en) Multi-channel audio output device
JP4501807B2 (en) Recording / playback device
US20060062396A1 (en)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o transform external audio into multi-channel surround sound
KR20070048984A (en) Audio signal editing method of combo device and its system
JP2005318225A (e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3693116B2 (en) Disc player
KR10075181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utside amplifier of pvr tv
JP2006236455A (e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3783361B2 (en) Audio playback device
KR100600287B1 (en) Method for recording broadcast program in combo system
JP3332659B2 (en) Speech speed converter
KR19980023208A (en) Digital audi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general music or karaoke music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40063295A (en) DVD recording/reproducing device with CD&#39;s sub information
KR200500915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eiver dvd/vcr combo receiver
JP2002084241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97000779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put signals and output signals in a mixed product of optical disk player and video cassatte recoring
KR1006012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playing data of video recorder system
KR100347359B1 (en) Audio processing method
KR100782650B1 (en) Method for entering title of recorded substance in video recorder
KR20040079042A (en) method of audio recoding and play back system for TV broadcasting
JP2007200401A (en) Optical disk reproducing device
JPH10308064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