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498A -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498A
KR20070047498A KR1020050104301A KR20050104301A KR20070047498A KR 20070047498 A KR20070047498 A KR 20070047498A KR 1020050104301 A KR1020050104301 A KR 1020050104301A KR 20050104301 A KR20050104301 A KR 20050104301A KR 20070047498 A KR20070047498 A KR 2007004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ed
region
insulating film
charge storage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42758B1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0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758B1/en
Publication of KR2007004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4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7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29Concurrent filling of a plurality of trenches having a different trench shape or dimension, e.g. rectangular and V-shaped trenches, wide and narrow trenches, shallow and deep tre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OS 기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축소화 특성과 성능을 개선하고 메모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새로운 소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device structure for improving the miniaturization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MOS-based flash memory devices and increasing memory capacity.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공정과 양립성이 있고, 쉽게 구현이 가능한 고집적, 고성능, 2 bit 구현이 가능한 함몰채널 기반의 새로운 소자 구조를 제시한다. 이렇게 제안된 소자는 함몰된 채널 내에 전하저장을 위한 노드를 스페이서 형태로 형성하여 2차원 상의 셀 면적을 크게 줄이면서 2 bit가 가능하고 짧은 채널효과가 억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함몰된 실리콘 표면 주변의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약간 제거하면 함몰된 채널의 표면 뿐만 아니라 측면이 드러나고 이 상태에서도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저장노드로 이용하게 되면 채널에 대한 제어전극의 통제능력을 개선하고 소자의 on/off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device structure based on a recessed channel, which is compatible with existing processes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 a high integration, high performance, and 2 bit implementation. The proposed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node for charge storage is formed in the form of a spacer in a recessed channel,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cell area of the two-dimensional phase and allowing 2 bits, and suppressing a short channel effect. In addition, if the insulating film around the recessed silicon surface is selectively removed, not only the surface of the recessed channel but also the side surface is exposed, and even in this state, the spacer is formed and used as a storage node to improve the control ability of the control electrode for the channel. The on / off characteristic of can be improved.

실리콘, 바디, 함몰채널, 스페이서(Spacer), 플로팅 노드, SONOS, NFGM, 다중 비트 (multiple bit), 나노 플로팅 게이트, 자기정렬 Silicon, Body, Recessed Channel, Spacer, Floating Node, SONOS, NFGM, Multiple Bit, Nano Floating Gate, Self-Aligned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SONOS 플래시 메모리의 게이트 길이 및 셀당 최대 저장 bit 수를 년도별로 나타낸 2003년 판 ITRS 로드맵의 그래프이다.1 is a graph of a 2003 edition ITRS roadmap showing the gate length of a SONOS flash memory and the maximum number of storage bits per cell by year.

도 2는 기존의 SONOS 플래시 소자구조에 대한 단면도로서 좌측 상단은 기존의 평탄채널 SONOS 플래시 메모리 소자이고, 우측 상단은 기존의 구조에서 2 bit를 구현하면서 집적도를 개선하기 위해 스페이서로 형성된 제어전극 아래에만 질화막을 형성하여 구현한 소자 구조이며, 그 아래는 질화막에 저장된 전하의 밀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ONOS flash devic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left is a conventional flat channel SONOS flash memory device, and the upper right is only under a control electrode formed of a spacer to improve integration while implementing 2 bits in the existing structure. A device structure formed by forming a nitride film, and below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ensity of charges stored in the nitride film.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함몰채널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로서 도 3(a)는 저장전극이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에서 영역 8의 컨트롤 절연막 이전까지의 단계를 포함하여 바디 부근의 주요 부분을 명확히 보여주기 위한 3차원 사시도 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cessed channel type flash memory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including a region in which a storage electrode can store charge, and FIG. 3 (b) is a view of FIG.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to clearly show the main part of the vicinity of the body, including the steps from the cross-sectional view of before to the control insulating film of region 8.

도 4(a)는 본 발명의 소자구조에서 함몰된 영역의 표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를 둥글게 만들어 구현된 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제어전극을 따라 자른 y-y’단면도이다.Figure 4 (a) is a plan view of a device implemented by rounding the corner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area in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ontrol electrode y-y '.

도 5(a)는 본 발명의 소자구조에서 함몰된 영역의 표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 리를 둥글게 만들어 구현된 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필드 산화막 영역에서 제어전극을 가로질러 자른 z-z’단면도이다.FIG. 5 (a) is a plan view of a device implemented by rounding an edge between a surface and a side of a recessed region in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ontrol electrode in a field oxide region. -z 'sec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단면 구조도 이다. 6 (a) and 6 (b) ar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s of a modified flash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소자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서 구현된 소자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from above of a device implemented as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변형된 소자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8 (a) and 8 (b) are plan views of the modified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변형된 소자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9 (a) and 9 (b) are plan views as viewed from above of the modified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서 변형된 소자구조에서 컨트롤 절연막 이전까지의 단계를 포함하여 바디 부근의 주요 부분을 명확히 보여주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3차원 사시도 이다. 10 to 14 are various types of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s for clearly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vicinity of the body, including the steps up to the control insulating film in the modified devic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소자구조의 단면도에서 저장노드를 나노 크기의 dot으로 구현한 일례를 보인 단면도이다.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torage node is implemented as a dot having a nano size i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소자구조에서 바디에 형성되는 다양한 함몰영역의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16 (a) to 16 (c) illustrate profiles of various recessed areas formed in a body in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소자구조에서 바디에 형성되는 다양한 함몰영역의 프로파일로서 함몰이 2단계로 이루어질 경우의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17 (a) to 17 (d) illustrate profiles of two recesses as profiles of various recessed regions formed in a body in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 내지 도 20(a) 및 도 18(b) 내지 도 20(b)는 본 발명의 소자 단면구조에서 바디 도우핑을 표시하기 위해 도우핑이 되는 범위와 가우시안 분포를 가정했을 때의 peak 농도의 위치를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18 (a) to 20 (a) and FIGS. 18 (b) to 20 (b) show a doping range and Gaussian distribution to indicate body doping in the devic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eak concentration of is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도 21(a) 내지 도 21(f)은 본 발명의 소자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일례로서 보인 주요 부분의 제작공정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21 (a) to 21 (f) are views showing the fabrication process sequence of main parts shown as one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

1 : 실리콘 기판 2 : 담장형(Wall-type) 실리콘 바디1: Silicon Substrate 2: Wall-type Silicon Body

3 : 제 1 절연막 4 : 소스/드레인3: first insulating film 4: source / drain

5 : 제 2 절연막 (필드 절연막 또는 격리 절연막)5: second insulating film (field insulating film or insulating insulating film)

6 : 터널링 절연막 7 : 전하저장 노드6 tunneling insulating layer 7 charge storage node

8 : 전극간 절연막 (또는 컨트롤 절연막)8: inter-electrode insulating film (or control insulating film)

9 : 제어전극 10 : 전하저장용 나노 닷(dot)9: control electrode 10: nano dot for charge storage

11 : 제 3 절연막 12 : 제 4 절연막11: third insulating film 12: fourth insulating film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MOS 기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축소화 특성과 성능을 개선하고 메모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새로운 소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new device structure for improving the miniaturization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MOS-based flash memory devices and increasing memory capacity.

최근 플래시 메모리는 가전 및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그 수요가 급속히 증가 하고 있어 시장성이 매우 뛰어나, 2007년 경에는 기존의 DRAM 시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집적도가 높고 쓰기/지우기 시간이 빠른 메모리 소자를 요구하고 있다. Recently, flash memory is rapidly growing in demand in consumer electronic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is highly marketable. By 2007, it is expected to exceed the existing DRAM market.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memory devices with high integration and fast write / erase times.

60 nm 급 이하의 게이트 길이를 갖는 기존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축소화에 있어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기존의 평탄 채널 소자 구조에서 쓰기와 읽기 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컨트롤 게이트와 플로팅 저장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크게 해야 한다. 소위 커플링 비(ratio)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기존의 소자 구조에서는 플로팅 게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한다. 이 경우 소자의 게이트 길이가 줄어들어도 0.6 이상의 커플링 비를 유지하기 위해 플로팅 게이트의 두께는 낮출 수 없게 된다. 두꺼운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소자의 크기가 줄어들면 소자 사이의 커패시턴스가 증가하게 되고, 결국 이것은 셀(cell) 사이의 크로스 토크(cross-talk)로 이어져 문턱전압의 산포가 증가하는 등 집적도 증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소자는 축소화 문제, 쓰기/지우기 속도 개선 문제, 크로스 토크(cross-talk) 문제 등을 가지고 있다. Existing flash memory devices with gate lengths of less than 60 nm face limitations in miniaturization. In the conventional flat channel device structure, to increase the write and read time, the capacitance between the control gate and the floating storage electrode needs to be large. The so-called coupling ratio must be increased, which requires thickening the floating gate in conventional device structures. In this case, even if the gate length of the device is reduced, the thickness of the floating gate cannot be reduced to maintain a coupling ratio of 0.6 or more. As the size of a device with a thick floating gate decreases, the capacitance between the devices increases, which in turn leads to cross-talk between cells, which increases obstacles to integration, such as an increase in the distribution of threshold voltages. It is becoming. As such, existing devices have a problem of miniaturization, write / erase speed improvement, and cross-talk.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에 하나는 채널 영역을 함몰시키는 것이다. 함몰 깊이가 깊어지면서 함몰된 채널 바닥에 형성되는 코너 영역을 둥글게 만들더라도 코너 영역의 도우핑 농도나 프로파일에 따라 문턱전압의 민감도가 매우 크다. 또한 이들 함몰 소자는 기판 바이어스에 따라 문턱전압의 변화가 기존의 평탄채널 구조에 비해 매우 크고, 채널 함몰에 따라 유효 채널 길이가 길어져 있어 만약 채널의 폭이 좁아지면 전류구동능력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함몰 채널 소자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제어 전극이 채널에 대한 제어 능력이 평탄채널 소자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고, 이는 기판 바이어스 효과가 큰 것과 관계가 있다. 제어 전극의 채널에 대한 통제력 약화는 제어 전극을 통한 쓰기/지우기 특성을 느리게 하는 단점이 있다.On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sink the channel region. As the depth of depression deepens, even if the corner reg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ed channel is rounded, the sensitivity of the threshold voltage is very high according to the doping concentration or profile of the corner region. In addition, these recessed devices have a large change in threshold voltage according to substrate bi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lat channel structure, and the effective channel length is increased according to channel depression, so that the current driving ability is greatly reduced if the channel width is narrowed. have. A general feature of the recessed channel device is that the control electrode has less control over the channel than the flat channel device, which is related to the large substrate bias effect. Weakness of control over the channel of the control electrode has the disadvantage of slowing the write / eras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ntrol electrode.

게이트 전극이 채널에 대한 제어 능력이 뛰어난 경우는 게이트가 채널 영역을 감싸는 이중/삼중-게이트 MOS 구조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바디 연결형 (body-tied) 이중/삼중-게이트 MOS 구조 (출원 번호: 2002-5325(한국), JP2003-298051(일본), 10/358981(미국)) 및 플래시 메모리로의 응용 (한국 특허 등록번호: 0420070, 미국 특허 출원번호:10/751860)이 세계 최초로 발표된 바 있고, 본 출원인은 이 구조를 bulk FinFET이라 부른다. 이 구조에서 채널은 함몰되어 있지 않고, 액티브 바디의 윗면과 양쪽 측면에 채널이 형성되거나, 바디의 양쪽 옆에 채널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어 채널에 대한 게이트의 제어 능력은 기존의 평탄채널 소자 보다 훨씬 뛰어나고, 기판 바이어스 효과가 거의 없다. 그러나 짧은 채널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서 바디의 폭이 물리적인 게이트 길이의 2/3 정도 되어야 하는데, 이는 최소 게이트 길이에 비해 폭이 좁은 실리콘 바디의 구현을 의미하며, 공정적인 어려움이 있다. The case where the gate electrode has excellent control over the channel is a double / triple-gate MOS structure in which the gate surrounds the channel region. Body-tied double / triple-gate MOS structure by Applicant (application number: 2002-5325 (Korea), JP2003-298051 (Japan), 10/358981 (United States)) and its application to flash memory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420070 and US Patent Application No. 10/751860 have been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the applicants call this structure bulk finFET. In this structure, the channel is not recessed, and the channel is formed on the top and both sides of the active body, or the channe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so the gate control over the channel is much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flat channel device. There is almost no substrate bias effect. However, in order to suppress the short channel effect, the width of the body should be about 2/3 of the physical gate length, which means that the silicon body is narrower than the minimum gate length.

기존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축소화에서 단순히 축소화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할 경우 SONOS 형 플래시 메모리나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을 적용할 수 있다. SONOS 형 플래시 메모리의 특징은 저장 노드가 절연층이기 때문에 소스와 드레인 측의 채널에 각각 1 비트를 저장할 수 있어 하나의 셀에 2 비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서 기존의 평탄채널 소자 구조에서 SONOS를 이용하여 셀 당 2 비트를 저장하려는 시도가 있었다(B. Eitan et al., “NROM: A novel localized trapping, 2-bit nonvolatile memory cell,”IEEE Electron Devices, vol. 21, no. 11, p. 543, 2000). 그러나 셀 당 2 비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채널의 물리적인 길이가 적어도 100 nm 이상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소자의 채널 길이가 줄어들면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한 쪽에 저장된 전하가 주어진 온도에서 다른 쪽 퍼지게 될 경우 쉽게 메모리 정보를 잃기 때문이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miniaturization in miniaturization of a conventional flash memory device, a SONOS type flash memory or a 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may be applied. The characteristic of SONOS-type flash memory is that since the storage node is an insulating layer, one bit can be stored in each channel of the source and drain side, and two bits can be stored in one cell. For example, attempts have been made to store 2 bits per cell using SONOS in conventional flat channel device structures (B. Eitan et al., “NROM: A novel localized trapping, 2-bit nonvolatile memory cell,” IEEE Electron Devices). , vol. 21, no. 11, p. 543, 2000). However, to achieve 2 bits per cell, the physical length of the channel must be at least 100 nm. This is because as the device's channel length de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source and drain gets closer, and memory information is easily lost if the charge stored on one side spreads to the other at a given temperature.

도 1은 통상의 ITRS 로드맵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셀 당 저장할 수 있는 비트수는 2 비트에서 2010년 경에 4 비트를 요구하고 있어 소스 측과 드레인 측에 저장될 수 있는 전하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하고 가장 쉬운 방법은 채널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일반적인 플래시 메모리 축소화는 2004년 이후 100 nm 이하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2018년에는 약 20 nm의 게이트 길이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SONOS 기술의 게이트 길이는 2005년에 약 170 nm에서 2018년에도 140 nm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셀 당 2 비트를 저장하기 위해 게이트 길이를 길게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1 graphically depicts a typical ITRS roadmap. The number of bits that can be stored per cell is required from 2 bits to 4 bits around 2010 so that the charges that can be stored on the source and drain sides do not affect each other. will be. In FIG. 1, a general flash memory reduction has been performed at less than 100 nm since 2004, and in 2018, a gate length of about 20 nm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gate length of SONOS technology requires about 170 nm in 2005 to 140 nm in 2018, as mentioned above, because the gate length needs to be kept long to store 2 bits per cell.

기본적으로 물리적인 게이트 길이를 줄이면 소자의 집적도가 크게 개선이 되는데, SONOS 플래시 기술의 경우는 게이트 길이를 100 nm 근처 또는 그 이하로 줄이면 프로그램 후 저장된 전하의 재분포 또는 퍼짐이 문제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스 측과 드레인 측에 분리된 전하저장을 위한 구조가 제시되었다(M. Fukuda et al, “Scaled 2 bit/cell SONOS type nonvolatile memory technology for sub- 90 nm embedded application using SiN sidewall trapping structure,”in IEDM Tech. Dig., p. 909, 2003). 이 구조는 100 nm 이하의 게이트 길이까지 SONOS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축소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제어전극(게이트) 양쪽에 질화막 스페이서를 저장노드로 활용하기 때문에 저장전극인 스페이서를 포함한 실제 게이트 길이는 단순히 제어전극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축소화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노드가 질화막 스페이서로 되어 있어 제어전극에 의해 전하저장이나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Basically, reducing the physical gate length greatly improves the integration of the device. In the SONOS flash technology, reducing the gate length to near or below 100 nm poses a problem for redistribution or spread of stored charge after programming. To solve this problem, a structure for charge storage separated on the source and drain sides has been proposed (M. Fukuda et al, “Scaled 2 bit / cell SONOS type nonvolatile memory technology for sub-90 nm embedded application using SiN sidewall trapping structure , ”In IEDM Tech. Dig., P. 909, 2003). This structure allows the reduction of SONOS flash memory devices to gate lengths of less than 100 nm. However, since the nitride spacer is used as a storage node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electrode (gate), the actual gate length including the spacer, which is the storage electrode, is simp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ntrol electrode. 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node is a nitride film spacer, charge storage or removal is not performed smoothly by the control electrode.

이러한 구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제안되었다 (B. Y. Choi et al.,“Highly scalable and reliable 2-bit/cell SONOS memory transistor beyond 50 nm NVM technology,”in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Dig., p. 118, 2005). 이 구조는 기존의 게이트 형성과정과 달리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곳을 먼저 열어서 게이트를 형성하는 소위 내부 측벽 형태(inner sidewall scheme)를 적용하고 있고, 스페이서 sidewall를 포함한 전체 게이트 길이를 약 80 nm로 하여 소자의 집적도를 개선하고 있다. 스페이서 아래 형성되는 질화막의 길이가 소스와 드레인 측에서 각각 약 20 nm인 것을 감안하면 가운데 있는 제어전극의 길이는 약 40 nm 정도가 된다. 그러나 이 소자에서 스페이서를 포함한 게이트 전체길이를 50 nm 이하로 줄이고자 하면 제어 게이트의 길이와 저장 노드인 질화막의 길이를 더욱 줄여야 하는데, 그러면 메모리의 프로그램과 지우기 사이의 전압차이가 줄어들고, 평탄채널 구조에서 게이트 길이 감소에 따른 짧은 채널효과가 나타나 문턱전압 shift가 줄고 누설전류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 라서, 상기와 같은 기존 소자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구조의 고집적/고성능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To solve these problem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2 has been proposed (BY Choi et al., “Highly scalable and reliable 2-bit / cell SONOS memory transistor beyond 50 nm NVM technology,” in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Dig., P. 118, 2005). Unlike the conventional gate forming process, this structure adopts a so-called inner sidewall scheme in which a gate electrode is formed first to form a gate, and the total gate length including the spacer sidewall is about 80 nm.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device is being improved. Considering that the length of the nitride film formed under the spacer is about 20 nm on the source and drain sides, the length of the center control electrode is about 40 nm. However, to reduce the total gate length including spacers to 50 nm or less in this device, the length of the control gate and the length of the nitride, the storage node, must be further reduced, which reduce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programming and erasing the memory and flat channel structure. In this case, the short channel effect occur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gate length,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reducing the threshold voltage shift and increasing leakage curren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a new integrated high performance flash memory device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devic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MOS 기반의 극소 플래시 소자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축소화 특성이 우수하고, 문턱전압의 산포를 줄일 수 있고, 셀 당 2 비트 이상의 저장이 가능하며, 쓰기/지우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제시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micro flash device based on MOS, which has excellent miniaturization characteristics, reduces the spread of threshold voltage, and stores more than 2 bits per cel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ash memo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write / erase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몰채널 소자가 갖고 있는 장점인 우수한 축소화 특성을 포함하되, 함몰채널 소자의 단점을 보완하는 다중 게이트 구조를 고안하여 제어전극의 채널에 대한 제어능력을 향상, 문턱전압 문제 해결, on-off 특성 개선, 쓰기/지우기 속도 개선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제시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cellent reduction characteristics,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recessed channel device, to improve the controllability of the channel of the control electrode by devising a multi-gate structure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recessed channel device, threshold voltag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flash memory device that can solve problems, improve on-off characteristics, and improve write / erase spe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반도체 기판에 기판과 연결되는 담장 형태의 반도체 바디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과 바디영역의 표면에 제 1절연막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절연막 위에 소자격리를 위한 필드용 제 2절연막이 바디영역의 표면 근처까지 형성되고, 상기 바디영역의 표면에서 함몰된 채널이 형성될 부분을 위해 바디 표면으로부터 바디가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A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region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first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body region,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 the field for isolation of the device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It is formed up to near the surface, the body is formed to b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from the body surface for the portion to be formed recessed channel in the surface of the body region,

상기 바디 함몰을 위해 수행된 마스크 패턴을 할 때 함께 패턴된 필드용 제 2절연막과 바디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제 1절연막을 제어전극이 형성될 부분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표면 및 일부 측면에 터널링용 제 3절연막이 형성되며,The first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region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ed together when the mask pattern is performed for the body depression are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along the portion where the control electrode is to be formed. A third insulating film for tunneling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some side surfaces of the recessed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상기 함몰된 영역 내에서 소정위치의 수직 표면 및 일부 측면에 전하저장 노드가 형성되고, 셀과 셀 사이에서 전하저장 노드가 격리되도록 형성되며, 전극간 제 4절연막 및 제어 전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담장형 바디영역의 소정위치에 소스/드레인이 형성되며,In the recessed region, charge storage nodes are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and some side surfaces of predetermined positions, the charge storage nodes are formed to be isolated between the cells, and the fourth insulating film and the control electrode between th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formed. Source / drai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ence-type body region,

상기 결과물 위에 소정 두께의 제 5절연막과 콘택(contact) 및 금속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A flash memory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fth insulating film, a contact, and a metal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re formed on the resultant materi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2 비트 셀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소자구조를 제안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소자의 단면을 보이고 있고, 도 3의 (b)는 전극간 절연막 형성 이전까지의 공정을 수행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조를 정확하게 나타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device structure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wo-bit cell. FIG. 3 (a)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b)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a process before forming an inter-electrode insulating film.

도 3의 (b)에서 함몰된 영역을 정확히 보이기 위해 실제로 존재하는 영역(5)의 필드 절연막 영역은 제외하였고, 담장형 바디 근처의 주요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3의 (b)에서 타원형으로 표시한 영역(1)은 실리콘 웨이퍼 기판을 상징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함몰된 영역 내에 저장노드와 채널을 포함한 소자의 주요부분이 형성된다. 담장형 바디의 폭은 4 nm에서 200 nm 사이의 범위에서 적절히 형 성되고, 영역(1)의 기판 위에 형성되는 담장형 바디의 높이는 100 nm에서 1000 nm 사이의 범위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도 3의 (b)에서 보인 것과 같이 담장형 바디의 폭은 바디 표면에서 영역(1)의 기판까지 같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바디 표면에서 영역(1)로 가면서 점차 바디 폭이 증가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바디의 표면에서 적절한 깊이까지는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다가 점차 바디의 폭을 증가시키면서 영역(1)의 기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FIG. 3B, the field insulating film region of the region 5 that is actually present is excluded to accurately show the recessed region, and shows the main structure near the fence body. In FIG. 3B, an elliptical region 1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a silicon wafer substrate. Basically, the main part of the device including the storage node and channel is formed in the recessed area. The width of the fenced body is suitably formed in the range of 4 nm to 200 nm, and the height of the fenced body formed on the substrate of the region 1 is suitably formed in the range of 100 nm to 1000 nm. As shown in (b) of FIG. 3, the width of the fenced body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from the body surface to the substrate of the region 1, and in some cases, the body widt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body surface to the region 1. It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or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of the region 1 while maintaining a uniform thickness up to an appropriate depth at the surface of the body and graduall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body.

함몰된 영역에 채널을 만들게 되면 위에서 바라본 2차원 상의 함몰영역 open 폭(d1) 보다 긴 채널길이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소위 짧은 채널 효과를 크게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표시된 d1의 적절한 크기는 10 nm 에서 200 nm 사이의 범위에 적절히 형성된다. 함몰되는 깊이는 도 3의 (a)에서 보인 것과 같이 영역(2)의 담장형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깊이이며, d2로 표시하였다. 표시된 d2의 적절한 값은 20 nm에서 900 nm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도 3의 (a)에서 d3는 담장형 바디의 표면에서 임의 높이로 돌출된 영역(9)의 제어전극의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적절하게는 영역(2)의 담장형 바디 표면을 기준으로 -100 nm에서 900 nm 사이에서 형성된다. 영역(4)의 소스/드레인의 깊이는 LDD(Lightly Doped Drain)의 깊이를 기준으로 표시하였기 때문에 d4로 표시하였다. 표시된 d4의 적절한 깊이는 5 nm에서 150 nm 범위에서 형성된다. LDD 바로 옆에는 농도가 더 높은 소스/드레인 도우핑이 존재할 수 있고, 농도가 LDD 보다 더 높은 소스/드레인 영역의 접합깊이는 d4보다 같거나 깊을 수 있다. NAND 플래시 응용을 위해서는 LDD 만을 적용한 소스/드레인이 사용될 수 있으며, NOR 플래시 응용을 위해서는 LDD의 농도를 높게 하 여 hot 캐리어가 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NAND 플래시 응용을 위한 LDD의 최대 불순물 농도는 1×1018cm-3에서 8×1019cm-3 사이의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되며, NOR 플래시 응용을 위해 제어전극과 overlap하는 소스/드레인 영역의 포함한 소스/드레인 영역의 최대 불순물 농도는 5×1018 cm- 3 에서 5×1021 cm- 3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된다.When the channel is formed in the recessed region, a channel length longer than the recessed region open width (d1) of the two-dimensional region viewed from the above can be realized, thereby greatly suppressing the so-called short channel effect. Suitable sizes of d1 indicated are suitably formed in the range between 10 nm and 200 nm. The depth to be recessed is the depth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fenced body of the region 2 as shown in FIG. Appropriate values of d2 indicated are formed in the range between 20 nm and 900 nm. In FIG. 3 (a), d3 is for indicating the height of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protruding at an arbitrary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fenced body, and suitably based on the surface of the fenced body of the region 2. It is formed between -100 nm and 900 nm. The depth of the source / drain of the region 4 is indicated by d4 because it is expressed based on the depth of the LDD (Lightly Doped Drain). Appropriate depths of the indicated d4 are formed in the range from 5 nm to 150 nm. There may be a higher concentration source / drain doping immediately next to the LDD, and the junction depth of the source / drain region with a higher concentration than LDD may be equal or deeper than d4. For NAND flash applications, LDD-only sources / drains can be used. For NOR flash applications, the concentration of LDD is increased so that hot carriers can be easily formed. The maximum impurity concentration of LDD for NAND flash applications is appropriately determined in the range of 1 × 10 18 cm -3 to 8 × 10 19 cm -3 and includes the source / drain regions overlapping the control electrode for NOR flash applications. maximum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source / drain region is 5 × 10 18 cm - is determined in the range between 3 - 3 5 × 10 21 cm.

도 4의 (a)에서 d5는 담장형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영역(7)의 저장노드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d5의 거리는 1 nm에서 100 nm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저장 노드인 영역(7)을 담장형 바디의 표면에서부터 수직으로 적절한 깊이까지 형성할 수 있지만 불필요한 전하 재분포를 막기 위해서는 메모리 동작에 적절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전하를 저장하는 영역(7)의 수직방향으로의 길이는 셀 당 2 비트 또는 그 이상의 필요로 하는 경우 적절히 조절될 수 있고, 그 범위는 2 nm 에서 300 nm 사이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영역(6)의 터널링 절연막으로 기존의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한 다양한 high-k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터널링 절연막의 두께는 EOT(실리콘 산화막을 기준으로 한 등가 산화막 두께) 0.5 nm에서 9 nm 사이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터널링 절연막은 함몰된 영역의 측면에서보다 함몰된 바닥 근처에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In Figure 4 (a) d5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from the surface of the fence body, the distance of d5 is formed in the range of 1 nm to 100 nm. The storage node region 7 can be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fenced body to an appropriate depth vertically, but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redistribution of the charge, it is necessary to control it appropriately for the memory operatio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gion 7 for storing the charge can be suitably adjusted if necessary at 2 bits or more per cell, and the range is suitably formed between 2 nm and 300 nm. As a tunneling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6, various high-k materials including a conventional silicon oxide film may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is suitably formed between 0.5 nm and 9 nm of EOT (equivalent oxide film thickness based on the silicon oxide film).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may be formed thicker near the recessed bottom than on the side of the recessed region.

또한 도 3의 (a)에서 영역(7)의 저장노드와 접하고 있는 영역(6)의 터널링 절연막을 제외한 영역(6)의 터널링 절연막, 즉, 영역(7)과 접하지 않은 영역에 있는 영역(6)의 터널링 절연막을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두꺼운 절 연막의 두께는 1 nm에서 20 nm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표시된 d6은 소스/드레인 접합깊이로부터 채널영역으로 형성되는 영역(7)의 저장노드의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 전하 저장노드인 영역(7)의 수직방향으로의 길이는 2 nm에서 300 nm 사이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영역(7)의 두께는 1 nm에서 50 nm 사이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저장노드를 위한 물질로는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도체와 절연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저장노드로서 도체로는 폴리실리콘, 폴리 SiGe, 비정질 실리콘, 비정질 SiGe, 다양한 금속이 될 수 있다. 저장노드로 사용되는 절연체로는 전하를 포획할 수 있는 질화막을 포함한 높은 유전상수를 가진 물질(또는 high-k 물질) 등이다.In FIG. 3A,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6 except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6 in contact with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that is, the region in the region not in contact with the region 7 (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of 6) can be formed thicker, and the thickness of such a thick insulating film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the range of 1 nm to 20 nm. D6 denotes the length of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formed as the channel region from the source / drain junction depth.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gion 7 as the charge storage node is suitably formed between 2 nm and 300 nm. The thickness of the region 7 is suitably formed between 1 nm and 50 nm. The material for the storage node can be either a conductor or an insulator capable of storing charge. Conductors as storage nodes can be polysilicon, poly SiGe, amorphous silicon, amorphous SiGe, various metals. Insulators used as storage nodes include material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s (or high-k materials), including nitride films that can capture charge.

또한 전하 저장노드가 다수의 나노 크기의 do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노 크기 dot의 재료로는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실리콘, Ge, SiGe 등의 반도체와 다양한 일함수의 금속, 그리고 다양한 일함수의 실리사이드 물질 등이 가능하다.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로 사용되는 나노 크기의 dot의 크기는 1 nm에서 40 nm 사이의 크기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dot의 모양은 구형, 반구형, 타원형, 모서리나 코너가 둥글게 된 피라미드형, 모서리나 코너가 둥글게 되어 있으면서 위쪽은 반구형으로 아래쪽은 임의 형태의 사각형 모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함몰영역 내의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가 끝나는 소정의 수직위치는 d6으로 표시되어 있고, 표시된 d6은 함몰된 바닥에 형성되는 영역(6)의 터널링 절연막까지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1 nm에서 150 nm 사이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영역(8)은 영역(7)의 저장노드와 영역(9)의 제어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층이다. 영역(8)의 두께는 2 nm에서 30 nm 사이에서 형성된다. 영역(8)의 구조는 단일층의 절연막으로 구성될 수 있고, oxide-nitride-oxide(ONO)와 같은 다층의 절연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실리콘 산화막 보다 유전상수가 큰 소위 high-k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e storage node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nano-size dots. Nano-scale dot materials include semiconductors such as silicon, Ge, and SiGe that can store charges, metals of various work functions, and silicide materials of various work functions. The size of the nano-sized dot used as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formed in the size range between 1 nm and 40 nm, the shape of the dot is spherical, hemispherical, oval, rounded corners or corners Pyramid shape, rounded corners or corners, the upper part is hemispherical, the lower par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ectangular shape of any shape. The predetermined vertical position at which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n the recessed region ends is denoted by d6, and the marked d6 may be extended to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6 formed on the recessed bottom, 1 nm. At 150 nm. The region 8 is an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and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The thickness of the region 8 is formed between 2 nm and 30 nm. The structure of the region 8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insulating film, or may be composed of a multilayer insulating film such as oxide-nitride-oxide (ONO). In addition, a so-called high-k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higher dielectric constant than a silicon oxide film may be used to increase the coupling ratio.

영역(9)는 제어전극으로 폴리실리콘(n 형 또는 p 형), 폴리 Ge (n 형 또는 p 형), 폴리 SiGe (p 형 또는 n 형), 다양한 실리사이드 물질, TiN이나 TaN과 같은 이원계 금속, 텅스텐(W)과 같은 단일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b)에서 저장노드인 영역(7)은 함몰된 담장형 바디의 표면 및 측면의 일부를 감싸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측면을 감싸지 않는 구조에 비해 채널에 대한 제어능력을 높임으로써 on-off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물론 저장노드가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쓰기 동작에 따른 문턱전압의 이동(shift)을 크게 하여 프로그램 윈도우를 크게 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이와 같이 영역(7)의 저장노드를 플래시 메모리 동작에 필요한 영역에만 형성하여 동작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영역(2)의 담장형 실리콘 바디에 함몰영역이 형성되고, 함몰된 영역의 수직 표면 및 측면에 형성되는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gion 9 is a control electrode of polysilicon (n type or p type), poly Ge (n type or p type), poly SiGe (p type or n type), various silicide materials, binary metals such as TiN or TaN, I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metal such as tungsten (W). In FIG. 3B, the region 7 as the storage node surrounds a part of the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recessed fenced body. In this way, the on-off characteristic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ntrollability of the channel compared to the structure that does not surround the side. Of course, since the storage node is surrounded, the program window can be enlarged by increasing the shift of the threshold voltage according to the write operation. As such,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may be formed only in the region necessary for the flash memory operation, thereby improving operation characteristics. A recessed region is formed in the fenced silicon body of the region 2, and length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region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도 3의 (b)에서 d9는 함몰된 영역의 측면을 덮는 저장노드의 안쪽 폭(또는 거리)을 나타내고, 1 nm에서 50 nm 사이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함몰된 영역의 바닥 근처에는 2개의 코너가 있고 코너의 모양은 직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의 (a)에 보인 것과 같이 적절하게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b)에서 영 역(3)은 담장형 바디 형성 후 얇게 형성하는 열산화막을 나타내며, 0.5 nm에서 50 nm 사이의 두께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실제 제작공정에서는 영역(3)의 절연막 형성 후에 두께운 영역(5)의 필드 절연막을 형성한다. 또한 영역(3)의 절연막 형성 후 1 nm 에서 100 nm 범위의 두께에서 적절한 두께를 갖는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하여 영역(5)의 필드막 형성 후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제거하거나, 또는 향후 함몰된 영역의 측면을 효과적으로 드러나게 하는 공정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다.In FIG. 3B, d9 represents the inner width (or distance) of the storage node covering the side of the recessed region, and is suitably formed between 1 nm and 50 nm. There are two corners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and the shape of the corners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or obtuse angles, and may be appropriately rounded as shown in FIG. In FIG. 3 (b), the region 3 represents a thermally oxidized film that is thinly form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fence body, and is appropriately formed at a thickness between 0.5 nm and 50 nm. In an actual manufacturing process, after forming the insulating film of the area | region 3, the field insulating film of the thick area | region 5 is formed. 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3, a silicon nitride film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in the thickness range of 1 nm to 100 nm is formed to remove defects that may occur after the field film of the region 5 is formed, or It can be used in process steps to effectively reveal the side.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소자 구조를 더욱 명확히 보이기 위해 평면도를 도 4(a)에서 보이고, 그 평면도에서 y-y’으로 자른 단면을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의 (a)에서 x-x’으로 자른 단면은 도 3의 (a)에 나타내었다. 평탄채널 소자구조에 비해 소자의 채널이 함몰된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소자의 제어 전극이 채널을 제어하는 능력이 떨어져 같은 기판 도우핑 농도에 대해 on-off 특성(또는 sub-threshold swing)이 저하된다. 그러면 on 상태의 전류는 감소하고 off 상태의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함몰된 표면의 측면이 드러나게 하여 영역(9)의 제어전극을 형성하면 채널에 대한 제어전극의 통제능력이 개선되어 소자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한 구조의 일례로서, 도 4의 (b)에서 보인 것과 같이 영역(7)의 저장노드가 형성되지 않고 채널이 되는 함몰된 영역의 바닥 표면과 그 바닥 표면의 양쪽 측면에 영역(9)의 제어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기존의 단순 함몰채널 구조에 비해 on-off 특성을 개선하고 있다. 도 4의 (b)에서 d11로 표시한 부분이 함몰 후 드러나는 측면의 길이에 해당하며, 그 값의 범위는 1 nm 에서 50 nm 사이에서 적절이 형성된다. 단순히 d11이 0이라 함은 측면 채널이 형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In FIG. 4, a plan view is shown in FIG. 4 (a) to more clearly show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y-y 'is shown in FIG. 4 (b).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x-x 'in FIG. 4A is shown in FIG. 3A. When the channel of the device is formed in the recessed region compared to the flat channel device structure,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device has a lack of ability to control the channel, thereby degrading on-off characteristics (or sub-threshold swings) for the same substrate doping concentration. . This reduces the current in the on state and increases the current in the off state. Therefore, when the side of the recessed surface is exposed to form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the controllability of the control electrode for the channel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s an example of such a structure, as shown in (b) of FIG. 4, the control of the region 9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region where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becomes a channel and becomes a channel is not formed. The electrodes are formed to improve on-off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mple recessed channel structure. The part indicated by d11 in FIG. 4 (b)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side surface exposed after the depression, and the range of the value is suitably formed between 1 nm and 50 nm. Simply d 0 means that no side channel is formed.

도 4의 (a)에서 표시된 d7은 함몰된 영역의 측면에 형성되는 영역(6)의 터널링 절연막과 영역(7)의 저장노드의 두께를 합한 것이다. 표시된 d8은 영역(2)의 담장형 바디의 폭을 나타내는 것으로 2 nm에서 200 nm 범위에서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표시된 d9는 앞서 도 3의 (b)에서 표시된 d9와 같은 것으로 함몰된 영역의 측면을 덮는 영역(7)의 저장노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표시된 d10은 하나의 셀에서 함몰된 영역의 측면이 충분히 덮이도록 영역(7)의 저장노드가 확장되게 정의된 길이이다. 제조과정에서 적절한 자기정렬 기술을 도입하면 d10의 길이를 거의 제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영역(9)의 제어전극 길이 방향으로 셀과 셀 사이에 영역(7)의 저장노드를 연결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의 (a)와 (b)에서 영역(2)의 담장형 바디에 형성된 함몰영역의 표면과 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되어 가능한 기생채널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의 (b)에서는 3차원 도면구성의 편의상 그 모서리를 직각으로 표시하였고, 바람직하게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둥글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D7 shown in FIG. 4A is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6 and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essed region. The indicated d8 represents the width of the fenced body of the region 2 and can be appropriately formed in the range of 2 nm to 200 nm. The marked d9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covering the side of the region recessed to be the same as the d9 indicated in FIG. 3 (b). The marked d10 is a length defined to extend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so that the side of the recessed region in one cell is sufficiently covered. Adequate self-alignment techniqu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almost eliminate the length of d10. In some cases,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e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In FIGS. 4A and 4B, edges existing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recessed region formed in the fenced body of the region 2 may be rounded to suppress formation of possible parasitic channels. In FIG. 3 (b), the edges are displayed at right angles for convenience of the three-dimensional drawing configu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round them as in FIG. 4 (a).

도 5는 도 5의 (a)에서 보인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를 일례의 자기정렬 방법을 동원하여 한 장의 마스크를 줄이면서 셀 주변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간략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마스크 추가 없이 도 5의 (a)에서 마진(margin)에 해당하는 확장된 전하 저장노드의 길이인 d10을 거의 제거할 수 있는 소위 자기정렬 방법을 보이고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b)를 준비하였다. 도 5의 (b)는 대략 영역 9의 제어전극을 형성한 후에 제어전극을 영역(5)의 필드 산화막 영역에서 가로질러 절단한 단면도의 위쪽 부분을 나타내었다. 물론 도 5의 (b)에서 x-x’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다. 영역(2)의 담장형 바디 위로 돌출된 d3의 높이를 이용하여 도 5의 (b)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 있고, 스페이서 형성 후 드러나는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를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마스크 한 장을 추가 사용하는 것 없이 d10을 거의 제거하여 셀 주변에만 전하 저장노드를 형성할 수 있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rief method of forming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shown in FIG. 5A by forming an example self-aligning method and forming only around the cell while reducing one mask. That is, the so-called self-alignment method of FIG. 5 (a) shows a method of almost eliminating d10, which is the length of the extended charge storage node corresponding to the margin. In order to briefly explain this, FIG. 5B is prepared. FIG. 5B shows the upper portion of the cross-sectional view of cutting the control electrode across the field oxide film region of the region 5 after forming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approximately. Of course,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5B is as shown in FIG. The height of d3 protruding over the fenced body of the region 2 can be used to form a spacer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s in FIG. 5B, and selectively selects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that is revealed after formation of the spacer. It is possible to form a charge storage node only around the cell by almost eliminating d10 without using an additional mask by etching.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구조인 도 3의 (a)를 약간 변형하여 구성한 것으로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의 구조에만 변화가 있다. 도 3의 (a)에서 d5를 거의 제거하여 구성하면 도 6의 (a)가 된다. 도 3의 (a)에서 d6을 소스/드레인 접합에서 함몰영역의 바닥 부근까지 전하 저장노드를 늘리고 담장형 바디의 표면에서 돌출된 제어전극의 높이에 해당하는 d3의 높이까지 전하 저장노드를 늘리면 도 6의 (b)와 같은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은 제작과정에서 약간의 변화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6 (a) and 6 (b) are constituted by a slight modification of FIG. 3 (a), which i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a change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n FIG. 3A, when d5 is almost removed, the configuration becomes FIG. 6A. In FIG. 3A, when the charge storage node is increased from the source / drain junction to the bottom of the recessed region, the charge storage node is increased to the height of d3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ntrol electrod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fence body. The structure as shown in 6 (b) can be obtained. Such form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slight chang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도 7은 도 4의 (a)에서 보인 평면도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함몰된 영역의 표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거의 직각으로 유지된 것만 차이점이다. 이 구조에서도 도 5에서 설명한 자기정렬형태로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를 마스크 추가 없이 셀 주변에만 형성할 수 있다. FIG. 7 is basically similar to the top view shown in FIG.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edge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area remain almost perpendicular. Even in this structure,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can be formed only around the cell without the addition of a mask in the self-aligned for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구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는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가 함몰된 영역의 측면 일부를 덮는 길이인 d9를 거의 제거하고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가 제어전극을 따라 셀과 셀 사이에서 연결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전하 저장노드가 도체인 경우 셀과 셀 사이의 저장노드 가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도전성의 전하 저장물질은 사용할 수 없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절연물질이나 다수의 나노 크기의 dot을 전하 저장노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8의 (b)는 도 8의 (a)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나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를 셀 주변에만 국한시키기 위해 한 장의 마스크를 추가하여 저장노들 정의하여 셀 사이에서 저장노드가 연결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저장노드의 재료로는 도전성, 절연성, 다양한 물질의 나노 dot이 사용될 수 있다.8 shows a plan view of a modifi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almost eliminates d9, which is a length cover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region where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recessed, and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connected between the cell and the cell along the control electrode.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In this case, when the charge storage node is a conductor, since the cell and the storage nodes between the ce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ductive charge storage materials cannot be used, and an insulating material or a plurality of nano-sized dots that can store charges can be used as the charge storage node. It can be utilized. FIG. 8B is basically similar to FIG. 8A, but in order to limit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to only the periphery of the cell, a mask is added to define the storage nodes and the storage nodes are connected between the cells. It was not. Therefore, in this case, as the material of the storage node, nano dots of conductive, insulating, and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도 9의 (a)와 (b)는 도 8의 (a)와 (b)와 기본적으로 각각 같다. 다만 차이점은 함몰된 영역의 표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9 (a) and 9 (b) are basically the same as FIGS. 8 (a) and 8 (b),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s that the corner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ide of the recessed area are rounded.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된 구조를 분명하게 보이기 위해 영역(2)의 담장형 바디 주변에만 국한하고, 함몰영역을 잘 보이기 위해 영역(5)의 필드 절연막을 생략하였으며,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가 형성된 직후의 구조를 보인 3차원 사시도 이다.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가 함몰된 영역 내의 측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즉, 영역(2)의 담장형 바디의 표면에서 함몰된 바닥 부근까지 저장노드가 형성되어 있다. FIG. 10 is limited to the periphery of the fenced body of the region 2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modifi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eld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5 is omitted to show the recessed region well, and the charge of the region 7 is shown.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immediately after the storage node is formed.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formed only on the side in the recessed region. That is, the storage node is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fence-like body of the region 2 to the vicinity of the recessed bottom.

도 11은 도 10에서와 같이 전하 저장노드의 구조적 특징을 분명하게 보이기 위해 준비한 3차원 사시도 이다. 함몰된 영역 내에서 영역(2)의 담장형 바디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영역의 어느 깊이까지 함몰영역의 측면 일부에만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가 형성되어 있다.11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prepared to clearly show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harge storage node as shown in FIG. In the recessed region,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side of the recessed region from the fenced body surface of the region 2 to a certain depth of the recessed region.

도 12는 도 10에서와 같이 전하 저장노드의 구조적 특징을 분명하게 보이기 위해 준비한 3차원 사시도 이다. 전하 저장노드가 함몰된 영역 내의 바닥 부근을 제외한 함몰영역 내부 측면과, 함몰된 영역과 맞닿은 함몰영역 바깥 측벽의 일부를 모서리를 따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함몰 영역 바깥 측면을 덮는 길이는 d9로 표시되어 있다.12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prepared to clearly show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harge storage node as shown in FIG. The charge storage node is configured to cover along an edge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area except the bottom in the recessed area and a part of the outer sidewall of the recessed area in contact with the recessed area. The length covering the outer side of the recessed area is indicated by d9.

도 13은 도 10에서와 같이 전하 저장노드의 구조적 특징을 분명하게 보이기 위해 준비한 3차원 사시도 이다.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가 함몰된 영역 내의 측면과, 함몰된 영역과 맞닿은 함몰영역 바깥 측벽의 일부를 수직방향으로만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함몰된 영역 (2)의 담장형 바디 바깥 측면을 덮는 길이는 d9로 표시되어 있다. 함몰된 영역의 바닥과 그 바닥과 맞닿는 측면에는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FIG. 13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prepared to clearly show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harge storage node as shown in FIG. 10.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configured to cover only the vertical side of the side surface in the recessed region and a part of the outer sidewall of the recessed region in contact with the recessed region. The length covering the side walls of the fenced body of the recessed area 2 is indicated by d9.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no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and the side facing the bottom.

도 14는 도 10에서와 같이 전하 저장노드의 구조적 특징을 분명하게 보이기 위해 준비한 3차원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도 3의 (b)와 유사하나 도 3의 (b)에서 d5에 해당하는 담장형 바디의 표면과 전하 저장노드 사이의 거리가 거의 제로(0)에 가까운 소자구조에 대한 3 차원 사시도 이다. 14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prepared to clearly show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harge storage node as shown in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structure similar to FIG. 3B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fence-like body corresponding to d5 in FIG. 3B and the charge storage node is nearly zero. to be.

도 15는 도 3의 (a) 구조에서 도 3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나노 크기의 dot으로 대치한 단면구조를 보이고 있다. 영역(10)의 dot의 재료는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절연물질, 각종 금속, Si, Ge, SiGe, 각종 실리사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FIG. 15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nano-sized dot capable of storing charge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 in the structure of FIG. The dot material of the region 1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capable of storing charge, various metals, Si, Ge, SiGe, and various silicides.

도 16은 본 발명에서 함몰된 채널영역의 함몰 프로파일을 대표적으로 3가지만 보이고 있다. 도 15의 (a)는 함몰된 영역의 바닥 부근 코너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어 기판전압 변화에 대한 문턱전압의 민감도 증가 및 소자 특성의 불균일성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5의 (b)는 함몰된 영역의 바닥 근처의 코너가 둥글게 형성되도록 하여 코너에서의 전계 분산이나 문턱전압 민감도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적절하게는 도 16의 (c)와 같이 반원 형태의 둥근 프로파일을 만들면 언급한 코너 문제를 줄일 수 있다. 16 shows only three representative profiles of the recessed channel reg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5A, corners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threshold voltage to the variation of the substrate voltage and to increase the nonuniformity of device characteristics. 15 (b)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electric field dispersion or threshold voltage sensitivity increase in the corner by forming a corner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Appropriately, by making a semi-circular round profile as shown in FIG. 16C, the corner problem mentioned above can be reduced.

도 17은 본 발명에서 함몰된 채널영역의 함몰 프로파일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영역(7)의 저장노드를 함몰깊이 보다 작게 소스/드레인 접합 근처에만 형성하고자 할 때, 함몰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2 단계로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7의 (a)와 (b)는 2단계로 나누어 함몰을 위한 식각을 하더라도 함몰 깊이 방향에서 함몰되는 폭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둘 모두 함몰된 바닥 근처의 코너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다만 (b)의 경우 함몰영역의 바닥 근처를 반원모양으로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도 17의 (c)는 먼저 수행하는 1 단계 식각의 함몰 폭을 뒤에 수행되는 2단계 함몰 폭 보다 크게 형성하여 구현하는 것이다. 도 17의 (d)는 도 17의 (c)의 경우와 반대로 2 단계 식각의 함몰 폭을 1 단계 식각의 함몰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구현하는 것이다. 이들 각각의 프로파일은 본 발명의 구조에 적용 가능하다.FIG. 17 shows the depression profile of the recessed channel reg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A, when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to be formed only near the source / drain junction with a depth smaller than the depression depth, it is necessary to form the recessed region by etching in two steps. 17 (a) and 17 (b) show a case in which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the width of the depression in the depression depth direction even when etching is performed for the depression in two steps. Both have rounded corners near the recessed floor. However, in the case of (b), a semicircle was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Figure 17 (c) is to implement by forming a depression width of the first step etching is performed larger than the second step depression width performed later. In FIG. 17D, the recess width of the two-step etching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depression width of the one-step etching, as opposed to the case of FIG. 17C. Each of these profiles is applicable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서 도 20은 도 3의 (a)와 같은 본 발명의 소자구조에서 함몰영역에 형성되는 채널 또는 바디 도우핑을 보이기 위해 준비하였다. 도우핑은 함몰된 채널 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디 도우핑을 표시하기 위해 도우핑이 되는 범위와 가우시안 분포를 가정했을 때의 peak 농도의 위치를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18 to 20 are prepared to show the channel or body doping formed in the recessed region in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 Dopi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recessed channel structure. To indicate the body doping, the doping range and the position of the peak concentration when the Gaussian distribution is assumed are indicated by a dashed dotted line.

도 18의 (a)에서는 균일하게 도우핑된 바디에 3가지 도우핑을 추가한 경우를 보이고 있다. 균일한 바디 도우핑의 범위는 1015cm-3에서 5×1018cm- 3사이에서 적절한 값으로 결정된다. 소스/드레인 접합 부근에 이온주입의 Rp(Projected Range: 이온주입 깊이)를 맞추어 도우핑을 한 것으로 도우핑의 peak 농도는 1016cm-3에서 2×1019cm-3사이에서 적절하게 결정되고, DRp(standard deviation)는 이온주입에서 주어지는 에너지와 열처리 조건에 따라 변화된다. 영역(2)의 담장형 바디 표면에서 소스/드레인 접합 근처에 형성되는 바디 도우핑의 피크(peak) 농도가 형성되는 거리는 d13으로 표시하였다. 이온주입에 의한 도우핑 프로파일은 대개 가운시안 함수형태로 표현되거나 유사한 함수 형태로 표현된다. 도 18의 (a)에서는 함몰된 영역의 바닥 아래의 채널영역에만 선택적으로 도우핑을 수행한 경우를 보이고 있다. 소자의 문턱전압은 주로 함몰영역의 바닥 근처에 있는 코너를 포함하는 바닥 채널영역의 도우핑 수준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함몰된 바닥 아래에만 형성되는 도우핑의 피크(peak) 농도 범위는 1015cm-3에서 5×1018cm-3 사이에서 결정된다. 도 18의 (a)와 (b)에서 표시한 d14는 영역(2)의 담장형 바디의 표면에서 함몰된 영역의 바닥보다 더 아래에 도우핑 농도를 높인 것으로 농도의 peak 값은 1015cm-3에서 2×1019cm-3 사이에서 결정되고,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peak 농도 지점의 깊이는 500 nm 미만에서 적절히 결정된다.In FIG. 18A, three dopings are added to a uniformly doped body. Uniform dough body is in the range of Ping 10 15 cm -3 5 × 10 18 cm - is determined to an appropriate value between 3. Appropriately determined between (ion implantation depth Projected Range) to the dough a dough according to ping peak concentration of the ping is 10 2 × 10 19 cm -3 cm -3 at 16 the source / drain junction of the ion implantation at R p DR p (standard devi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nergy and heat treatment conditions given by ion implantation. The distance at which the peak concentration of body doping formed near the source / drain junction at the fenced body surface of region 2 is formed is represented by d13. The doping profile by ion implantation is usually expressed in ginsian function form or similar function form. In FIG. 18A, the doping is selectively performed only on the channel region under the bottom of the recessed regio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evice depends largely on the doping level of the bottom channel region, including the corners near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region. The peak concentration range of the doping, which is formed only below the recessed bottom, is determined between 10 15 cm −3 and 5 × 10 18 cm −3 . D14 shown in (a) and (b) of FIG. 18 increases the doping concentration below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at the surface of the fence-shaped body of the area 2, and the peak value of the concentration is 10 15 cm − It is determined between 3 and 2 × 10 19 cm −3 , and the depth of the peak concentration point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t less than 500 nm.

도 18의 (b)의 경우는 도 18의 (a)에서 함몰된 영역의 바닥 아래에 형성되는 채널 도우핑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하나의 셀에 1비트나 2비트 또는 그 이상의 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집적도가 높은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제어전극과 소스 및 드레인에 인가하는 바이어스를 조절하여 소위 채널 핫 캐리어(hot carrier)를 발생시킬 수 있고, 주어진 바이어스 조건에 따라 소스 또는 드레인 접합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에 저장된다. 소스/드레인 근처에 각각 1비트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셀 당 2 비트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문턱전압은 함몰된 영역의 바닥 근처의 채널에서보다 소스/드레인 접합근처의 채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턱전압은 주로 채널 도우핑에 의해 결정되고, 따라서 함몰된 영역에 형성되는 채널의 위치에 따른 도우핑 프로파일의 적절한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도 18에서 함몰 영역 아래 깊숙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 도우핑은 경우에 따라 영역(5)의 필드 절연막 아래의 불순물 농도를 높이는 것과 일치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필드 산화막 영역의 문턱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18B, the rest is the same except for channel doping formed under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in FIG. 18A.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ighly integrated device capable of storing one bit, two bits, or more bits in one cell. The bias applied to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source and the drain can be adjusted to generate so-called channel hot carriers, and to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formed near the source or drain junction according to a given bias condition. Stored. One bit can be stored near the source / drain, enabling two bits per cell. Therefore, the threshold voltage is preferably determined by the channel near the source / drain junction rather than the channel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region. Threshold voltage is mainly determined by channel doping, so proper design of the doping profi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hannel formed in the recessed area is very important. In FIG. 18, the body doping deeply formed below the recessed region may be consistent with increasing the impurity concentration under the field insulating layer of the region 5 in some cases, thereby increasing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eld oxide region. .

도 19의 (a)는 영역(2)의 담장형 바디 표면으로부터 소스/드레인 접합깊이 근처에 Rp가 형성되도록 불순물을 주입하고 함몰된 바닥 근처에는 채널 도우핑을 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문턱전압은 주로 소스/드레인 접합 근처의 채널 도우핑에 의해 결정된다. 도 19의 (b)는 도 19의 (a)의 채널 도우핑 프로파일에 함몰된 영역 바닥 아래 깊숙이 선택적 도우핑을 같이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18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소스/드레인 접합 근처의 채널 도우핑 프로파일은 높고 함몰영역의 바닥 근처로 내려가면서 채널 도우핑 농도를 낮게 유지하여 언급한 것과 같이 문턱전압이 소스/드레인 접합 근처의 채널 도우핑 농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의 (b)에서 함몰된 채널 바닥 아래의 채널에 형성되는 도우핑은 깊숙이 형성되므로 함몰영역의 바닥 부근의 채널의 문턱전압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소스/드레인 사이에 있을 수 있는 펀치쓰루(punchthrough)를 억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영역(2)의 담장형 바디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도우핑된 피크(peak) 농도까지의 거리는 500 nm 미만에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고, 피크(peak) 농도의 값은 1015cm-3에서 2×1019cm-3 사이에서 결정된다. FIG. 19A shows that impurities are implanted to form R p near the source / drain junction depth from the fenced body surface of the region 2 and channel doping is not performed near the recessed bottom. In this case, the threshold voltage is mainly determined by channel doping near the source / drain junction. FIG. 19B shows that the selective doping is formed deep under the bottom of the region recessed in the channel doping profile of FIG. 19A. As mentioned in FIG. 18, the channel doping profile near the source / drain junction is high and the channel doping near the source / drain junction is maintained as the channel doping concentration is kept low while descending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determine by the ping concentration. In FIG. 19B, the doping formed in the channel under the bottom of the recessed channel is deeply formed so that the punch-through that may be between the source and the drain may not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channel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region. may contribute to suppressing punchthrough. The distance from the fenced body surface of the region 2 to the optionally doped peak concentration can be properly determined at less than 500 nm, and the value of the peak concentration is from 10 15 cm −3 to 2 × 10 19. is determined between cm -3 .

도 20은 함몰된 영역의 표면(측면과 바닥 표면 포함)을 기준으로 채널 도우핑이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의 (a)의 경우 함몰된 측벽의 표면과 바닥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우핑 프로파일이 비슷하기 때문에 문턱전압은 함몰된 바닥 근처의 채널에서 가장 높고 이것에 의해 전체 소자의 문턱전압이 결정된다. 함몰된 바닥 근처에는 둥글게 형성된 코너가 존재하는데, 이와 같은 코너영역에서는 영역(9)의 제어전극에서 나오는 전계가 코너 영역 채널영역에서 퍼지기 때문에 문턱전압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몰된 영역의 표면을 따라 도핑되는 바디의 피크(peak) 농도는 1016cm-3에서 1×1019cm-3 사이에서 결정된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을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은 플라즈마 이머젼 도핑(plasma immersion doping)을 적용하는 것이다. 도 19의 (a)에서 소스/드레인 근처의 채널 도우핑에 의해 소자의 문턱전압이 주로 결정되게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것은 도 19의 (a)에서 소개된 소스/드레인 접합 근처의 채널 도핑을 높이는 방법을 도 20의 (a)에 접목하는 것이다. 20 shows channel doping based on the surface of the recessed area (including side and bottom surfaces). In the case of FIG. 20A, since the doping profi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cessed sidewall and the surface of the bottom is similar, the threshold voltage is the highest in the channel near the recessed bottom, thereby determining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entire device. . There is a rounded corner near the recessed bottom. In this corner region, the threshold voltage increases because the electric field from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spreads in the corner region channel region. The peak concentration of the body doped along the surface of this recessed region is determined between 10 16 cm −3 and 1 × 10 19 cm −3 . A suitable way to implement such a profile is to apply plasma immersion doping.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evice mainly determined by channel doping near source / drain in FIG. 19 (a), which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channel doping near source / drain junction introduced in FIG. 19 (a). To (a) of FIG. 20.

도 20의 (b)에서는 함몰된 채널 바닥 근처의 문턱전압을 낮추기 위해 파선(dashed line)으로 표시한 것처럼, 문턱전압을 낮추기 위해 채널 도우핑 유형과 반대 타입(type)의 불순물을 도우핑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함몰된 영역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 도우핑 농도 또는 프로파일에 의해 문턱전압이 조절되어, 앞서 언급한 소스/드레인 접합 근처의 채널 도우핑에 의해 문턱전압이 결정되는 것과 유사하게 소자의 문턱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함몰된 채널 바닥 아래에 문턱전압을 낮추기 위해 반대 타입(type)의 불순물을 도우핑할 때, 반대 타입(type) 불순물의 농도를 조절하면 원래 채널 도우핑을 조금 낮추거나 반대 타입(type) 불순물 농도를 원래 채널 도핑보다 높게 하여 소스/드레인 영역과 같은 타입(type)의 불순물 영역을 바닥 근처 아래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대 타입(type) 불순물에 의해 도우핑된 영역의 깊이는 도 20의 (b)에 d16으로 표시하였고, 0 nm에서 100 nm 사이의 범위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도 20의 (a)와 (b)에서는 영역(2)의 담장형 바디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영역 바닥보다 더 아래에 불순물을 가우시안 형태의 프로파일로 형성할 수 있다. 표시한 d14는 영역(2)의 담장형 바디의 표면에서 함몰된 영역의 바닥보다 더 아래에 도우핑 농도를 높인 것으로 농도의 피크(peak) 값은 1015cm-3에서 2×1019cm-3 사이에서 결정되고,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피크 (peak) 농도 지점의 깊이는 500 nm 미만에서 적절히 결정된다.In (b) of FIG. 20, as shown by a dashed line to lower the threshold voltage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channel, doping impurities of a type opposite to the channel doping type to lower the threshold voltage are shown. It is shown. The threshold voltage is then controlled by the channel doping concentration or profile formed on the sidewalls of the recessed region, which is similar to the threshold voltage determined by the channel doping near the source / drain junction mentioned above. The voltage can be adjusted. When doping the opposite type of impurity to lower the threshold voltage below the bottom of the recessed channel,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opposite type impurity reduces the original channel doping slightly or the opposite type impurity concentration. Can be made higher than the original channel doping to form impurity regions of the same type as the source / drain regions below the bottom. The depth of the region doped with such an opposite type impurity is indicated by d 16 in FIG. 20B, and is appropriately formed in the range of 0 nm to 100 nm. In FIGS. 20A and 20B, impurities may be formed in a Gaussian profile below the bottom of the region recessed from the fenced body surface of the region 2. Marked d14 raises the doping concentration further below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at the surface of the fenced body of the area (2). The peak value of the concentration is 10 15 cm -3 to 2 x 10 19 cm- . It is determined between 3 and the depth of the peak concentration point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t less than 500 nm.

도 21은 본 발명의 소자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공정의 일례로서 주요 공정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21(a)에서 보인 것과 같이 소자 격리공정(필드 절연막 형성)까지 형성한 후 영역(11)의 절연막을 형성한다. 함몰영역 형성을 위한 마스크 작업을 통해 영역(11)을 먼저 제거하고 드러난 영역(2)의 담장형 바디를 적절한 깊이까지 식각한다. 이 단계의 식각을 제 1단계 식각이라 하고, 식각 깊이는 최종 함몰되는 깊이 보다 작은 범위에서 적절히 형성된다. 함몰된 담장형 실리콘 바디의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영역(12)의 절연막을 형성한다. Figure 21 shows the main process steps as an example of a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de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21A, the device isolation process (field insulation film formation) is formed, and then the insulation film of the region 11 is formed. By masking the recessed area, the region 11 is first removed and the fenced body of the exposed region 2 is etched to an appropriate depth. This stage of etching is referred to as first stage etching, and the etching depth is appropriately formed in a range smaller than the final recessed depth. A surface treatment process of the recessed fenced silicon body is performed and an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12 is formed.

이어서 영역(7)의 전하 저장노드를 형성하고 비등방 식각을 수행하면 도 21의 (b)에서 보인 것과 같이 스페이서 형태의 전하 저장노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드러난 영역(12)의 절연막을 제거하고 드러나는 실리콘 바디를 제 2단계로 추가 식각을 수행한다. 도 21의 (c)에 보인 것과 같이 제 2단계 식각 후의 최종 함몰되는 영역의 바닥 부근에 형성되는 코너는 둥글게 형성한다. 적절한 표면처리 공정을 거처 영역(6)의 터널링 절연막을 형성한다. 사실 영역(7)의 저장노드 형성 이전에 형성된 영역(12)의 절연막 중 식각되지 않고 저장노드의 좌우측에 남아 있는 것은 결국 영역(6)의 터널링 절연막이 된다. 최종적으로 터널링 절연막이 되는 영역(12)의 절연막과 영역(6)의 절연막의 두께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단계 식각 후에 형성되는 터널링 절연막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여, 전하 저장노드가 형성된 채널 영역을 제외한 채널영역으로부터 영역(9)의 제어전극으로 팔로워 노드하임(Fowler-Nordheim) 등의 터널링 전류를 줄일 수 있다. 터널링 절연 막을 형성한 후 영역(8)의 전극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 단계가 도 21의 (d)에 보여진다.Subsequently, when the charg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is formed and anisotropic etching is performed, a charge storage node in the form of a spacer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Subsequently, the insulating layer of the exposed region 12 is removed, and further etching is performed on the exposed silicon body in a second step. As shown in (c) of FIG. 21, the corners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final recessed area after the second step etching are rounded. An appropriate surface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6. In fact, any of the insulating films of the region 12 formed before forming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and left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torage node without being etched becomes a tunneling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6. The thicknesses of the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12 and the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6 that are finally tunneling insulating film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insulating layer formed after the second step etching is made thicker, so that tunneling of a follower node, Fowler-Nordheim, etc. from the channel region except for the channel region in which the charge storage node is formed, to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Current can be reduced. After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is formed, the inter-electrode insulating film in the region 8 is formed and the step is shown in Fig. 21D.

이어서 영역(9)의 제어전극이 형성되고 그 단계가 도 21의 (e)에 보여진다. 도 21의 (f)에서는 상기 영역(11)의 절연막을 제거하면 드러나는 영역(7)의 저장노드를 식각을 통해 적절한 길이 만큼 조절하여 구현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영역(2)의 담장형 바디 표면 위로 돌출된 영역(9)의 제어전극의 측벽에 있는 영역(8)의 전극간 절연막도 상황에 따라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Subsequently, a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is formed and the step is shown in Fig. 21E. FIG. 21F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node of the region 7 exposed by removing the insulating layer 11 from the region 11 by an appropriate length through etching. The inter-electrode insulating film of the region 8 on the sidewall of the control electrode of the region 9 protruding above the fence-like body surface of the region 2 can also be partially remov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비트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함몰된 채널 구조와 삼중-게이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이중/삼중-게이트가 갖는 장점과 함몰 채널 구조가 갖는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들 장점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추가의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bit flash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the recessed channel structure and the triple-gate structure, and thus has both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double / triple-gate and the recessed channel structure. In addition to these advantages, there are the following additional advantages.

첫째, 기존의 벌크 FinFET에서는 게이트 길이의 2/3에 해당하는 액티브 바디 폭을 요구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구조는 2차원 상의 게이트 길이와 같은 바디 폭을 구현해도 문제가 없고, 발명에서 의도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바디를 통한 빠른 지우기 특성과, 제어 전극의 채널에 대한 제어 능력 향상을 통한 쓰기/지우기 특성 개선, 기판 바이어스에 따른 문턱전압의 변화 감소, 함몰 채널의 코너 부분에서의 불순물 농도 변화에 따른 문턱전압의 변화를 줄일 수 있다.First, the existing bulk FinFET requires an active body width corresponding to 2/3 of the gate length.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problem in implementing a body width equal to the gate length in two dimensions, and the advantages inten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Fast erase through the body, improved write / erase through improved control of the channel of the control electrode, reduced threshold voltage due to substrate bias, threshold voltage due to change in impurity concentration at the corner of the recessed channel Change can be reduced.

둘째, 본 발명은 함몰된 채널의 표면 및 측면에도 채널이 형성되어 있어, 높은 전류구동능력과 유효 채널 면적의 증가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의 문턱 전압의 산포를 줄일 수 있다. 유효 채널 면적의 증가는 질화막이나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절연막(high-k dielectrics)을 저장 노드로 활용하는 경우나, 나노 크기의 dot을 플로팅 저장 노드로 사용하는 경우 문턱전압의 산포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recessed channel, thereby reducing the distribution of the threshold voltage in the flash memory device due to the high current driving capability and the increase of the effective channel area. Increasing the effective channel area can greatly reduce the distribution of threshold voltage when using nitride or high-k dielectrics as storage nodes, or when nano-scale dots are used as floating storage nodes. There is a characteristic.

셋째, 본 발명은 소스/드레인의 접합깊이를 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스나 드레인 또는 둘 다를 통한 지우기 속도는 기존의 평탄채널 구조에 비해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함몰된 영역의 바닥 근처를 제외한 수직 표면과 측면에만 전하 저장노드를 형성하여, 전하 저장노드가 함몰영역의 바닥을 중심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결과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저장된 전하의 재분포를 줄일 수 있어 메모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deepen the junction depth of the source / drain, the erase speed through the source, the drain, or both can be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lat channel structure. By forming charge storage nodes only on the vertical surfaces and sides except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s, the charge storage nod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resulting in reduced redistribution of stored charges through the program. Memory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넷째, 본 발명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노드의 물질이 절연체이거나 나노 크기 dot으로 이루어진 경우 소스와 드레인 측에 각각 1 비트씩을 저장할 수 있어 셀 당 2 비트의 구현이 가능하다. 저장전극이 스페이서 형태로 완전히 분리된 경우 저장노드의 물질이 도전성이어도 2 비트를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Fourth, when the material of the storage node capable of storing charge is an insulator or a nano size dot, one bit may be stored on each of the source and drain sides, thereby enabling two bits per cell. When the storage electrode is completely separated in the form of a spacer, two bits may be realized even if the material of the storage node is conductive.

Claims (41)

반도체 기판에 기판과 연결되는 담장 형태의 반도체 바디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과 바디영역의 표면에 제 1절연막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절연막 위에 소자격리를 위한 필드용 제 2절연막이 바디영역의 표면 근처까지 형성되고, 상기 바디영역의 표면에서 함몰된 채널이 형성될 부분을 위해 바디 표면으로부터 바디가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A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region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first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body region,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 the field for isolation of the device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It is formed up to near the surface, the body is formed to b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from the body surface for the portion to be formed recessed channel in the surface of the body region, 상기 바디 함몰을 위해 수행된 마스크 패턴을 할 때 함께 패턴된 필드용 제 2절연막과 바디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제 1절연막을 제어전극이 형성될 부분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표면 및 일부 측면에 터널링용 제 3절연막이 형성되며,The first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region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ed together when the mask pattern is performed for the body depression are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along the portion where the control electrode is to be formed. A third insulating film for tunneling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some side surfaces of the recessed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상기 함몰된 영역 내에서 소정위치의 수직 표면 및 일부 측면에 전하저장 노드가 형성되고, 셀과 셀 사이에서 전하저장 노드가 격리되도록 형성되며, 전극간 제 4절연막 및 제어 전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담장형 바디영역의 소정위치에 소스/드레인이 형성되며,In the recessed region, charge storage nodes are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and some side surfaces of predetermined positions, the charge storage nodes are formed to be isolated between the cells, and the fourth insulating film and the control electrode between th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formed. Source / drai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ence-type body region, 상기 결과물 위에 소정 두께의 제 5절연막과 콘택(contact) 및 금속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nd a fifth insulat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contact, and a metal layer formed on the resultan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함몰영역 내에 형성되는 제어전극과, 소정의 깊 이로 함몰된 제 1절연막 및 필드용 제 2절연막에 형성되는 제어 전극을 바디 함몰영역에 형성된 제어전극과 정렬하여 형성하되, 표면 아래에 형성되는 제어전극의 폭을 서로 다르게 하고, 표면 위로 돌출된 제어전극의 폭이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control electrode formed in the recessed region of the fence-type semiconductor body, and the control electrod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for the field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in alignment with the control electrode formed in the body recessed region.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control electrode formed below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width or height of the control electrode protruding above the surface is formed to be the same. 반도체 기판에 기판과 연결되는 담장 형태의 반도체 바디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과 바디영역의 표면에 제 1절연막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절연막 위에 소자격리를 위한 필드용 제 2절연막이 바디영역의 표면 근처까지 형성되고, 상기 바디영역의 표면에서 함몰된 채널이 형성될 부분을 위해 바디 표면으로부터 바디가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A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region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first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body region,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 the field for isolation of the device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It is formed up to near the surface, the body is formed to b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from the body surface for the portion to be formed recessed channel in the surface of the body region, 상기 바디 함몰을 위해 수행된 마스크 패턴을 할 때 함께 패턴된 필드용 제 2절연막과 바디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제 1절연막을 제어전극과 담장형 반도체 바디가 만나는 부근에만 제거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표면 및 일부 측면에 터널링용 제 3절연막이 형성되며,The first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region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for the pattern patterned together when the mask pattern performed for the body depression is removed is formed by being removed only near the control electrode and the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A third insulating film for tunneling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some side surfaces of the fence-type semiconductor body, 상기 함몰된 영역 내에서 소정위치의 수직 표면 및 일부 측면에 전하저장 노드가 형성되고, 셀과 셀 사이에서 전하저장 노드가 격리되도록 형성되며, 전극간 제 4절연막 및 제어 전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담장형 바디영역의 소정위치에 소스/드레인이 형성되며,In the recessed region, charge storage nodes are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and some side surfaces of predetermined positions, the charge storage nodes are formed to be isolated between the cells, and the fourth insulating film and the control electrode between th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formed. Source / drai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ence-type body region, 상기 결과물 위에 소정 두께의 제 5절연막과 콘택(contact) 및 금속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nd a fifth insulat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contact, and a metal layer formed on the resultan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에서 함몰된 영역의 수직 표면 및 상기 수직 표면의 측면에 전하 저장노드가 형성될 때, 상기 측면에 형성되는 전하 저장영역의 폭은 1 nm에서 50 nm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When the charge storage node is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recessed region of the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and the side of the vertical surface, the width of the charge storage region formed on the side is formed in the range of 1 nm to 50 nm Flash memory device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영역에 함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수직 표면 및 측벽에 형성되는 전하저장 노드는 소스/드레인 접합깊이를 기준으로 -100 nm 에서 200 nm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 recessed region is formed in the fence-type semiconductor body region, and the charge storage node formed on the recessed vertical surface and sidewalls is formed in the range of -100 nm to 200 nm based on the source / drain junction depth. Flash memory devices. 반도체 기판에 기판과 연결되는 담장 형태의 반도체 바디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과 바디영역의 표면에 제 1절연막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절연막 위에 소자격리를 위한 필드용 제 2절연막이 바디영역의 표면 근처까지 형성되고, 상기 바디영역의 표면에서 함몰된 채널이 형성될 부분을 위해 바디 표면으로부터 바디가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A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region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first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body region,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 the field for isolation of the device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It is formed up to near the surface, the body is formed to b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from the body surface for the portion to be formed recessed channel in the surface of the body region, 상기 바디 함몰을 위해 수행된 마스크 패턴을 할 때 함께 패턴된 필드용 제 2절연막과 바디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제 1절연막을 제어전극이 형성될 부분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표면에 터널링용 제 3절연막이 형성되며,The first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region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ed together when the mask pattern is performed for the body depression are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along the portion where the control electrode is to be formed. A third insulating film for tunneling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cessed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상기 함몰된 영역 내에서 소정위치의 수직 표면에만 전하저장 노드가 형성되고, 셀과 셀 사이에서 전하저장 노드가 격리되도록 형성되며, 전극간 제 4절연막 및 제어 전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담장형 바디영역의 소정위치에 소스/드레인이 형성되며,A charge storage node is formed only on a vertical surface of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recessed region, and a charge storage node is formed to isolate the cell from the cell. A fourth insulating film and a control electrode between th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formed. The source / drai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region, 상기 결과물 위에 소정 두께의 제 5절연막과 콘택(contact) 및 금속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And a fifth insulat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contact, and a metal layer formed on the resultant. 반도체 기판에 기판과 연결되는 담장 형태의 반도체 바디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과 바디영역의 표면에 제 1절연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절연막 위에 소자격리를 위한 필드용 제 2절연막이 바디영역의 표면 근처까지 형성되고, 상기 바디영역의 표면에서 함몰된 채널이 형성될 부분을 위해 바디 표면으로부터 바디가 소정의 폭과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A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region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first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body region,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 the field for isolation of the device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It is formed up to near the surface, the body is formed to b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from the body surface for the portion to be formed recessed channel in the surface of the body region, 상기 바디 함몰을 위해 수행된 마스크 패턴을 할 때 함께 패턴된 필드용 제 2절연막과 바디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제 1절연막을 제어전극이 형성될 부분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표면 및 일부 측면에 터널링용 제 3절연막이 형성되며,The first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region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ed together when the mask pattern is performed for the body depression are formed to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along the portion where the control electrode is to be formed. A third insulating film for tunneling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some side surfaces of the recessed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상기 함몰된 영역의 바닥 표면을 제외한 표면 및 측면에 전하저장 노드가 형성되고, 셀과 셀 사이에서 전하저장 노드가 격리되도록 형성되며, 전극간 제 4절연막 및 제어 전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담장형 바디영역의 소정위치에 소스/드레인이 형성되며,Charge storage nodes are formed on the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recessed region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and the charge storage nodes are formed to be isolated between the cells, the fourth insulating film and the control electrode between th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formed, and the fence A source / drai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region. 상기 결과물 위에 소정 두께의 제 5절연막과 콘택(contact) 및 금속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And a fifth insulating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contact, and a metal layer formed on the resultant.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함몰된 바디 영역에서 바닥 표면의 측면에 형성된 전하저장 노드가 측면을 덮는 폭은 함몰된 영역에서 수직 표면의 측면을 덮는 폭과 같거나 작거나 큰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width of the charge storage nod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in the recessed body region covering the side is formed of any one of the structure of the same, smaller or larger than the width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surface in the recessed region Flash memory devices.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함몰된 영역에서 바닥 표면의 측면에 형성된 전하저장 노드를 비등방 식각을 통해 제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nd a charge storage nod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ttom surface in the recessed region by anisotropic etching.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폭은 4 nm에서 200 nm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되고, 반도체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는 100 nm에서 1000 nm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width of the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is formed in the range of 4 nm to 200 nm, the height from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formed in the range of 100 nm to 1000 nm.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구조에서, 바디의 표면으로부터 기판까지 형성되는 바디의 폭을 일정하게 하거나, 위쪽은 좁고 아래로 가면서 그 폭을 증가시키거 나, 바디 표면에서 적절한 위치까지는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다가 바디 표면의 아래에서 기판까지 상기 폭이 증가하도록 구현된 바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In the structure of the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the width of the body to be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to the substrate is made constant, the upper portion is narrow and the width is increased while going down, or formed in a uniform thickness from the body surface to an appropriate position And a body configured to increase the width from below the body surface to the substrat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함몰되는 영역의 폭은 10 nm에서 200 nm 사이에서 형성되고, 깊이는 20 nm에서 900 nm 사이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width of the recessed region is formed between 10 nm to 200 nm, the depth is formed between 20 nm to 900 nm flash memory devic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에서 함몰된 영역의 프로파일이 함몰영역의 바닥 부근과 위쪽에서 함몰되는 폭이 같거나 혹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And a profile of the recessed region of the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is formed at the same width or different from the bottom of the recessed region.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에서 함몰된 영역의 표면과 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모서리는 직각, 둔각, 둥근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소자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edg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region of the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is formed of any one of a right angle, an obtuse angle, rounded,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에서 함몰된 영역의 바닥 근처에 형성되는 코너는 직각, 둔각, 둥근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소자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corner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region in the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is formed of any one of a right angle, an obtuse angle, rounded,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터널링용 제 3절연막의 두께는 EOT(실리콘 산화막을 기준으로 한 등가 산화막 두께) 기준으로 0.5 nm에서 9 nm 사이에서 형성되며, 전하저장 노드와 접하고 있는 터널링 절연막을 제외한 터널링 절연막이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The third insulating film for tunneling is formed between 0.5 nm and 9 nm on the basis of EOT (equivalent oxide film thickness based on silicon oxide film), and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is formed to be thicker except for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contacting the charge storage node. A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터널링용 제 3절연막의 재질은 실리콘 산화막이나 고유전 상수를 가진 절연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tunneling material of the third insulating film is a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silicon oxide film or an insulating film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전하저장 노드의 두께는 1 nm에서 50 nm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thickness of the charge storage node is a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range of 1 nm to 50 nm.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6, 상기 담장형 바디에 함몰영역이 형성되고 터널링 절연막이 형성되며, 상기 터널링 절연막의 표면에 형성되는 전하저장 노드는 수직 표면에서 유한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전하 저장노드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는 2 nm에서 400 nm 사이에서 형성되고, 저장노드의 수직 방향 중심 부분이 함몰되지 않은 바디 표면을 기준으로 -200 nm에서 200 nm의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A recessed area is formed in the fence body and a tunneling insulating film is formed, and the charge storage nod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unneling insulating film is formed to have a finite length on a vertical surface, but the length of the charge storage no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etween 2 nm and 400 nm, wherein the vertical center portion of the storage node is formed in the range of -200 nm to 200 nm relative to the body surface which is not recessed.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에 함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영역의 수직 표면 및 측면에 형성되는 전하저장 노드의 수직 길이는 서로 같거나 혹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recessed region is formed in the fence-type semiconductor body, the vertical length of the charge storage node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cessed region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med.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7, 상기 전하저장 노드가 형성될 때, 함몰된 바디의 수직 표면에 형성된 채널 및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채널을 감싸도록 형성하고, 상기 측면 채널을 감싸는 거리(또는 폭)는 1 nm에서 50 nm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When the charge storage node is formed,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channel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recessed body and the side channel formed on the side, the distance (or width) surrounding the side channel is formed in the range of 1 nm to 50 nm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전하저장 노드는 도전성 재료로서 폴리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폴리 SiGe, 폴리 Ge, 아몰퍼스 Ge, 일원계 및 2원계 금속, 실리사이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절연성 재료로서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질화막 혹은 고유전상수를 갖는 절연막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charge storage node is formed of any one of polysilicon, amorphous silicon, poly SiGe, poly Ge, amorphous Ge, mono and binary metals, and silicide as a conductive material, and a nitride film or a high dielectric constant capable of storing charge as an insulating material. A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insulating film having is applied.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전하저장 노드는 나노 크기의 dot을 적용하여 구현하며, 상기 dot의 재료로는 도전성의 폴리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폴리 SiGe, 폴리 Ge, 아몰퍼스 Ge, 일원계 및 2원계 금속, 실리사이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절연성 재료로는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질화막 혹은 고유전상수를 갖는 절연막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charge storage node is implemented by applying a nano-sized dot, and the material of the dot is formed of any one of conductive polysilicon, amorphous silicon, poly SiGe, poly Ge, amorphous Ge, mono- and binary metals, and silicides. And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n insulating film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or a nitride film capable of storing charge. 청구항 2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3, 상기 전하저장 노드로 사용되는 나노 크기의 dot의 크기는 1 nm에서 40 nm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상기 dot의 모양은 구형, 반구형, 타원형, 모서리나 코너가 둥글게 된 피라미드 형, 모서리나 코너가 둥글게 되어 있으면서 위쪽은 반구형으로 아래쪽은 임의 형태의 사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size of the nano-sized dot used as the charge storage node is formed in the range of 1 nm to 40 nm, the shape of the dot is spherical, hemispherical, oval, pyramidal rounded corners or corners, corners or corners The flash memo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portion is hemispherical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ny one of a rectangular shap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전하저장 노드를 형성할 때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절연물질을 적용하거나 혹은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다수의 나노 크기 dot을 적용하는 경우, 소스와 드레인 측에 각각 1 비트를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셀 당 2 비트 또는 그 이상의 비 트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In forming the charge storage node, when applying an insulating material capable of storing charge or applying a plurality of nano-sized dots that are electric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sist 1 bit on the source and drain sides, thereby allowing 2 per cell.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it or more bits can be stored.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전하 저장노드를 형성할 때, 워드라인을 따라서 셀과 셀 사이에서 저장노드의 격리를 위해 추가의 마스크를 적용하여 셀 주변에만 전하저장 노드를 국한하여 형성하거나, 혹은 자기정렬 방법을 사용하여 마스크 사용 없이 셀 주변에만 전하 저장노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When forming the charge storage node, an additional mask is applied to isolate the storage node between the cell and the cell along the word line to form only the charge storage node around the cell, or a mask using a self-aligning method. A flash memory device comprising a charge storage node formed only around a cell without us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전극간 절연막의 두께는 2 nm에서 30 nm 사이에서 형성되며, 유전상수, 밴드갭, 절연성이 서로 다른 절연물질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되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The thickness of the inter-electrode insulating film is formed between 2 nm to 30 nm, the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different dielectric constants, band gaps, and insulating properties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7, 상기 제어전극이 형성될 때, 함몰된 바디의 표면에 형성된 채널 및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채널을 감싸도록 형성하고, 측면채널을 감싸는 거리(또는 폭)는 1 nm에서 50 nm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When the control electrode is formed,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channe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cessed body and the side channel formed on the side, the distance (or width) surrounding the side channel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range of 1 nm to 50 nm Flash memory devic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제어전극이 함몰된 바디 영역에 형성될 때, 함몰된 바디 바닥 근처에서 함몰된 바디의 바닥에 형성된 채널 및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채널을 감싸도록 형성하고, 양쪽 측면을 감싸는 수직 거리(또는 폭)는 1 nm에서 50 nm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When the control electrode is formed in the recessed body region,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channel formed in the bottom of the recessed body and the side channel formed on both sides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body, and the vertical distance (or width) surrounding both sides. ) Is a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range from 1 nm to 50 nm.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바디에 함몰영역이 형성되고, 함몰된 영역에 형성되는 제어전극이 함몰되지 않은 바디 표면을 기준으로 -100 nm에서 900 nm 이내의 소정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 recessed region is formed in the fence body, and a control electrode formed in the recessed region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in -100 nm to 900 nm bas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not recessed.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제어전극의 재료로서 n+와 p+로 도우핑된 폴리실리콘, 폴리 SiGe, 폴리 Ge이 사용되거나, 텅스텐과 같은 일원계 금속이나, TiN이나 TaN과 같은 2 원계 금속, 실리사이드(폴리실리콘이나 폴리 SiGe을 Ni, Co, Hf 등으로 완전히 실리사이드 시킨 물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s the material of the control electrode, polysilicon, poly SiGe, poly Ge doped with n + and p + are used, or a monometal such as tungsten, a binary metal such as TiN or TaN, or silicide (polysilicon or poly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of SiGe) material completely silicided with Ni, Co, Hf and the lik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에 형성되는 소스/드레인은 함몰영역 근처에서 LDD 형태로 도우핑과 접합깊이를 낮출 수 있고, 접합의 깊이는 5 nm에서 150 nm 범위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The source / drain formed in the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can reduce the doping and junction depth in the form of LDD near the recessed region, the depth of the junction is formed in the range of 5 nm to 150 nm.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소스/드레인 도우핑하되, NAND 플래시 응용을 위한 LDD의 최대 불순물 농도는 1×1018cm-3에서 8×1019cm-3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되고, NOR 플래시 응용을 위해 제어전극과 오버랩(overlap)하는 소스/드레인 영역의 포함한 소스/드레인 영역의 최대 불순물 농도는 5×1018cm-3에서 5×1021cm-3 사이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Doping the source / drain, the maximum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LDD for NAND flash applications is formed in the range of 1 × 10 18 cm -3 to 8 × 10 19 cm -3 , overlapping with the control electrode for NOR flash applications and a maximum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included source / drain region of the overlapping source / drain region is formed in a range of 5 × 10 18 cm −3 to 5 × 10 21 cm −3 .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에 함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영역에 형성되는 소자의 채널 도핑은 1015cm-3에서 5×1018cm-3 사이 범위에서 형성되는 균일한 기본 도핑 혹은 소스/드레인 접합 근처에 peak 농도의 범위로 1016cm-3~ 2×1019cm-3 사이의 값을 갖는 가우시안 형태의 도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 recessed region is formed in the fence-type semiconductor body, and the channel doping of the device formed in the recessed region is a uniform basic doping or source / drain junction formed in a range of 10 15 cm −3 to 5 × 10 18 cm -3. A flash memory device comprising a Gaussian type doping having a value in the range of 10 16 cm -3 to 2 × 10 19 cm -3 in the vicinity of a peak concentration. 청구항 34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주어진 채널 도핑에 추가로 함몰영역의 바닥 부근에 형성되는 채널에만 선택적으로 도핑하되 peak 농도가 1015cm-3 ~ 5×1018cm-3 사이이고, peak 농도의 위치 는 함몰되지 않은 담장형 바디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500 nm 이하인 가우시안 함수 형태의 프로파일로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hannel doping, selectively dope only the channel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area, but the peak concentration is between 10 15 cm -3 and 5 x 10 18 cm -3 , and the position of the peak concentration is not depressed. A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oped with a Gaussian function profile of at least 500 nm or less from the body surface.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담장형 반도체 바디에 함몰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영역에 형성되는 소자의 채널 도핑은 1015cm-3 ~ 5×1018cm-3 사이 범위에서 형성되는 균일한 기본 도핑, 혹은 함몰영역의 실리콘 표면 또는 표면 및 측면을 따라 채널이 되는 영역에 채널 도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표면 근처의 peak 농도가 1016cm-3~ 1×1019cm-3 사이이고 가우시안 형태의 도우핑 프로파일로 구성된 채널 도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 recessed region is formed in the fence-type semiconductor body, and the channel doping of the device formed in the recessed region is performed in a uniform basic doping or recessed region formed in a range of 10 15 cm -3 to 5 × 10 18 cm -3 . Channel doping is performed on the silicon surface or in the channeled area along the surface and the side, and the peak concentration near the surface is between 10 16 cm -3 and 1 × 10 19 cm -3 and composed of Gaussian doping profile. A flash memory device having doping. 청구항 36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주어진 도핑을 근거로 하면 함몰영역 바닥 근처에서 소자의 문턱전압이 높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따른 문턱전압의 이동(shift)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함몰영역 바닥 부근에만 소스/드레인과 같은 타입(type)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문턱전압을 낮추도록 하여 메모리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Based on the above doping, since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evice is high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region, the source / drain type is only near the bottom of the recessed region to prevent the shift of the threshold voltage according to the program. Flash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improve the memory characteristics by doping the impurities to lower the threshold voltage. 청구항 35 또는 청구항 3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5 or 37, 상기 주어진 도핑에 추가로 소자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있을 수 있는 펀치쓰루(punchthrough)를 억제하기 위해, 바디 표면으로부터 500 nm 이내의 깊이에서 peak 농도가 5×1015cm-3 ~ 2×1019cm-3 사이에서 형성되는 가우시안 함수 형태의 프로파일로 표시되는 도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In order to suppress possible punchthrough between the source and drain of the device in addition to the dopings given above, the peak concentration is 5 × 10 15 cm −3 to 2 × 10 19 at a depth within 500 nm from the body surface. A flash memory device having a doping represented by a profile in the form of a Gaussian function formed between cm −3 .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and 7, 상기 반도체 기판에 담장형 바디를 형성 후 0.5 nm에서 50 nm 범위의 두께를 갖는 얇은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절연막 위에 1 nm 에서 100 nm 범위의 두께를 갖는 질화막을 형성하여 필드절연막 형성 후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제거하거나, 또는 향후 함몰된 영역의 측면을 드러나게 하는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질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After forming a barrier-type body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thin insulating film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0.5 nm to 50 nm may be formed, and a nitride film having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 nm to 100 nm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film to form the field insulating film. A flash memory device comprising a nitride film for use in a process for removing a defective defect or for revealing a side of a recessed area in the future. 반도체 기판에 기판과 연결되는 담장형 반도체 바디영역 위에 제 1절연막과 필드 절연막용 제 2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 first insulating film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for a field insulating film on the fence-type semiconductor body region connected to the substrate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함몰영역 형성을 위한 제 3 절연막을 형성하고 마스크 작업을 통해 제 3절연막을 제거하여 드러난 담장형 바디를 최종 함몰되는 깊이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식각하는 단계와;Forming a third insulating film for forming the recessed area and etching the fenced body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final recessed depth by removing the third insulating film through a mask operation; 상기 함몰된 담장형 반도체 바디의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제 4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Performing a surface treatment process of the recessed fence-like semiconductor body and forming a fourth insulating film; 상기 결과물 위에 전하저장 노드를 형성하되 비등방 식각을 수행하여 스페이서 형태의 전하저장 노드를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 charge storage node on the resultant but performing anisotropic etching to form a charge storage node in the form of a spacer; 상기 제 4절연막을 제거하고 드러난 반도체 바디를 식각하되, 최종 함몰되는 영역의 바닥 부근에 형성되는 코너를 둥글게 형성하는 단계와;Removing the fourth insulating layer and etching the exposed semiconductor body to form round corners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region to be finally recessed; 상기 함몰된 반도체 바디의 표면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터널링용 제 5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Performing a surface treatment process of the recessed semiconductor body and forming a fifth insulating film for tunneling; 상기 결과물 위에 전극간 제 6절연막을 형성하고 제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Forming a sixth insulating film between electrodes on the resultant and forming a control electrode; 상기 제 3절연막을 제거하여 드러난 전하 저장노드를 함몰되지 않은 바디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만큼 식각하여 형성하는 단계와;Removing the third insulating layer to form the exposed charge storage node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non-dented body; 상기 담장형 바디 영역 위에 소스/드레인, 층간 절연막, 콘택(contact) 및 금속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And sequentially forming a source / drain,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a contact, and a metal layer on the fenced body region. 청구항 40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터널링 제 5절연막과 제 4절연막의 두께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하되, 상기 터널링 제 5절연막의 두께가 제 4절연막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여 전하 저장노드와 접하지 않는 터널링 제 5절연막의 터널링 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The tunneling current of the tunneling fifth insulating layer which is formed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ckness of the tunneling fifth insulating layer and the fourth insulating layer, but the thickness of the tunneling fifth insulating layer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ourth insulating layer so as not to contact the charge storage node. Flash memor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ducing.
KR1020050104301A 2005-11-02 2005-11-02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7427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301A KR100742758B1 (en) 2005-11-02 2005-11-02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301A KR100742758B1 (en) 2005-11-02 2005-11-02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498A true KR20070047498A (en) 2007-05-07
KR100742758B1 KR100742758B1 (en) 2007-07-26

Family

ID=3827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301A KR100742758B1 (en) 2005-11-02 2005-11-02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75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51A (en)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zing plate, polarizing plate-carrier film laminat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active energy beam-cured composition for protective layer of polarizer
KR20190135433A (en)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00039315A (en)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zing plate, polarizing plate-carrier film laminat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active energy beam-cured composition for protective layer of polariz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4666B2 (en) * 1997-10-07 2004-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3648015B2 (en) * 1997-05-14 2005-05-1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Semiconductor device
US6787835B2 (en) * 2002-06-11 2004-09-07 Hitachi, Ltd. Semiconductor memori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51A (en)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zing plate, polarizing plate-carrier film laminat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active energy beam-cured composition for protective layer of polarizer
KR20190135433A (en)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00039315A (en)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zing plate, polarizing plate-carrier film laminat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active energy beam-cured composition for protective layer of polar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758B1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2718B1 (en) Saddle type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831390B1 (en) High density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431489B1 (en) Flash memor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7470951B2 (en) Hybrid-FET and its application as SRAM
US6806517B2 (en) Flash memory having local SONOS structure using notched g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912254B1 (en) Vertical-channel FinFET SONOS mem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97416B1 (en) Recess channel flash architecture for reduced short channel effect
US7652322B2 (en) Split gate flash memory device having self-aligned control g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206396A1 (en) Vertical transistor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090173992A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improv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S20050227435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130302951A1 (en) Surrounding stacked gate multi-gate fet structure nonvolatile memory device
US7316945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fin field effect transis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856701B1 (en) High density flash memory device, cell str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7659179B2 (en) Method of forming transistor using step STI profile in memory device
KR100420070B1 (en) Double-Gate Flash Memory
US7445995B2 (en) Flash memory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742758B1 (en)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823874B1 (en) High density fin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low leakage curr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nfet
US7872297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omprising a body recess region
US2009021861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126451A (en) Multi-bit flash memory cel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