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254A - 도전성 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 Google Patents
도전성 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6254A KR20070046254A KR1020050102702A KR20050102702A KR20070046254A KR 20070046254 A KR20070046254 A KR 20070046254A KR 1020050102702 A KR1020050102702 A KR 1020050102702A KR 20050102702 A KR20050102702 A KR 20050102702A KR 20070046254 A KR20070046254 A KR 200700462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ing
- weight
- parts
- natural
- tourmali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4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227 bio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KHPCPRHQVVSZAH-HUOMCSJISA-N Rosin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C@H]1[C@H](O)[C@@H](O)[C@@H](O)[C@@H](CO)O1 KHPCPRHQVVSZAH-HUOMCSJI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25 natural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626 bio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ISAOCJYIOMOJEB-UHFFFAOYSA-N Benzoin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O)C1=CC=CC=C1 ISAOCJYIOMOJE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60002130 Benzo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4229 Croc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5655 Crocus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111489 Gardenia augus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58937 Hemipt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97275 Indigo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7871 Indigofera tincto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0177 Indigofera tinctori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1310793 Pod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05550 Sodium algin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8975 Styrax benzoin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0126 Styrax benzo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8411 Sumatra benzointre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382 gum benzo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974 saffr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248 saffr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MSXHSNHNTORCAW-UHFFFAOYSA-M sodium 3,4,5,6-tetrahydroxyoxane-2-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Na+].OC1OC(C([O-])=O)C(O)C(O)C1O MSXHSNHNTORCA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413 sodium algin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661 sodium algi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700199 Cavia porcellus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67 Autonomic Pathway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174 Brain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98 Cav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590 Congenital Abnormal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356 Congenital anomal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339 Menstruation irregula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31 Pulp (pap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492 Quer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41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1 charge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7 cyclo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50 endocri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3 feldsp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58 fer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02 finish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44 menstrual irregular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152 motion sic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91 radiatio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2—Natural resins, e.g. ros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68—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from burning wood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30—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ther silico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Boron-organic compounds
- C04B26/32—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ther silico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Boro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ilic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60—Flooring materials
Abstract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성능이 탁월하고, 탈취효능이 우수한 바닥재용 천연조성물과 이를 사용하여 제작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성능과 탈취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자파 차폐효과와 시공편의성도 현저히 개선된 도전성 세라믹 바닥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견운모 20 내지 30 중량부, 토르말린 20 내지 30 중량부, 귀양석 5 내지 10 중량부, 및 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바닥재용 천연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로 바닥재를 제작하여 사용하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과 원적외선은 다량 방출되는 반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는 차폐되어 시설물 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재는 인공적인 성분이 아니라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의 배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작된 사각형상의 바닥재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원형의 바닥재이다.
본 발명은 도전성 천연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효능과 탈취효능이 탁월하고, 시공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된 도전성 천연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 전자제품 및 정보통신기기가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인체에 유해한 정전기, 전자파 등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란 전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의 형태로써 전계(電界)와 자계(磁界)의 합성파이다. 전자파는 우리 주변에 사용 중인 전기 기계, 기 구로부터 방출된다. 이를 주파수에 따라 분류하면, 가정용 전원주파수인 60HZ와 0 ~ 1kHZ 대의 극저주파, 1kHZ ~ 500kHZ 대의 저주파, 500kHZ ~ 300kHZ 대의 통신주파, 300kHZ ~ 300GHZ 대의 마이크로웨이브로 분류된다. 또한,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순으로 주파수가 높아진다. 이중 극저주파와 저주파에서는 전계와 자계가 발생되고 여기에 인체가 장시간 노출되면 체온변화와 생체리듬이 깨져 질병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남성들은 정자수가 줄어들고 여성들은 생리불순 및 기형아 출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한 심한 경우는 뇌종양을 일으킬 수 있어 세계보건기구(WHO)가 조사에 나서는 등 전자파에 의한 유해성이 속속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전자파에 의한 심각한 유해성이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지만, 방출기준 등이 현재까지도 명확한 설정이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의 TV, PC 진공청소기 핸드폰 등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거의 모든 가전 및 사무기기들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안전한 기준에 의한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전자파에 대한 인식을 달리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나 각종 인공적인 시설이 내장된 사무실, 가정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등 유해물질 때문에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 뿐 아니라 시설물 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전반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특히, 실내공기가 각종원인에 의하여 양이온으로 대전되는 경우 양이온으로 대전된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건강에 큰 문제, 즉 두통, 어지러움, 구토, 멀미의 불쾌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조직의 세포가 산 화되어 자율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내분비계나 면역, 체액의 순환을 악화시켜 몸의 노화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주거나 업무시설에 사용되는 바닥재, 벽지, 건물 마감재 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6168(2004년11월16일 공개)에는 "용사금속층을 형성한 기능성바닥재"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50283호(2003년6월25일 공개)에는 "이중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4015호(2002년2월25일 공개)에는 "바이오세라믹 함유천연수지를 이용한 표면마감코팅재"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9450호(2005년10월13일공개)에는 "바닥재장식용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상술한 발명들은 각 발명이 의도하는 개별적인 목적은 달성하고 있으나, 전자파 차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탈취효과, 시공편의성, 내구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더구나 그 구성요소 내에 유해물질의 발생이 우려되는 인공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2차오염이 발생될 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성능이 탁월하고, 탈취효능이 우수한 바닥재용 천연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바닥재용 천연조성물을 사용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성능과 탈취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자파 차폐효과와 시공편의성도 현저히 개선된 도전성 세라믹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견운모 20 내지 30 중량부; 토르말린 20 내지 30 중량부; 귀양석 5 내지 10 중량부; 및 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바닥재용 천연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천연수지실리콘 100 중량부; 견운모 20 내지 30 중량부; 토르말린 20 내지 30 중량부; 귀양석 5 내지 10 중량부; 및 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로 바닥재를 제작하여 사용하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과 원적외선은 다량 방출되는 반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는 차폐되어 시설물 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재는 인공적인 성분이 아니라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의 배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대나무 숯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조성물을 고온에서 소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세라믹 바닥재를 만들기 때문에 탈취(소취)작용, 항균작용, 습도조절작용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 유효한 천연성분들에 천연실리콘을 사용하여 바닥재를 제작함으로써 탄력성, 내구성, 시공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바닥재용 천연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하면 바닥재에 적합한 성능을 가지는 바닥재용 천연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실시예에 의한 천연조성물은 견운모 20 내지 30 중량부, 토르말린 20 내지 30 중량부, 귀양석 5 내지 10 중량부와 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견운모(Sericite)는 일반적으로 용수 중의 양이온 부유 입자와 전기적인 중화응집으로 침전을 유발함으로써, 우수한 정수작용, 높은 보습 효과 및 활성도를 갖는다. 또한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90% 이상 방사하는 물질로서,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유해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습도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목재 펄프 지료와 강한 결속성을 가지므로 바닥장식재 등에 널리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견운모는 약 20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운모를 약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원적외선발생, 유해물질 흡착 등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약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바닥재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연실리콘과 함께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 바닥재로서의 각종 요구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토르말린(전기석)은 붕소를 함유한 사이클로(Cyclo) 규산염의 결정구조를 갖고 있어서 태양에너지로부터 전자파를 받으면 인체에 유익한 0.06mA의 전류를 발생시키며 인체와 동일한 4 ~ 14 ㎛의 원적외선과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방출하여 인체에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해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르말린은 약 20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르말린을 약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정전기 차폐,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 등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약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바닥재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연실리콘과 함께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 바닥재로서의 각종 요구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천연조성물은 귀양석을 포함한다. 상기 귀양석(kiyoseki)은 장석계 중에서 음이온이 가장 많이 방사(24.140ed/cc초당)하는 물질로서 25??의 상온에서 최고의 원적외선(96%)을 방출하는 신물질이다. 상기 귀양석은 높은 계면활성효과(101%증가)를 보이고 뇌파 중 알파파를 다량증가 시키며 혈류량을 4.9%정도 증가 혈류속도를 7.2% 감소시키는 광석물이다.
상기 귀양석은 약 5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귀양석을 약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원적외선 방사 효과, 혈류 개선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귀양석은 고가이기 때문에 약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다.
또한, 본실시예에 의한 조성물은 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부를 가진다. 상기 대나무 숯은 대나무를 약 600 내지 900 ??에서 태워서 제조한다. 상기 대나무 숯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정전기 차폐효과가 탁월하고,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정화 효과가 우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미세공극이 잘 발달되어 있어 흡착작용에 의한 탈취, 소취 효과 및 습도 조절효과가 탁월하다. 더구나 참나무나 다른 나무를 이용한 숯은 참나무 등의 생장속도를 고려할 때 한번 베어서 사용한 후에는 수년이나 수 십년 후에야 다시 이용할 수 있지만, 대나무는 생장속도가 매우 빠르고 번식력이 왕성하기 때문에 한번 베어내어 사용하더라고 짧은 시간 안에 다시 생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천연원료이다.
상기 대나무 숯은 약 5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나무 숯을 약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원적외선 방사 효과, 탈취, 정전기 차폐 등의 혈류 개선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고, 약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연실리콘과 함께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 바닥재로서의 각종 요구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견운모, 토르말린, 및 귀양석의 평균입도는 약 1500 내지 200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대나무 숯의 평균입도는 약 300 내지 35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평균입도를 가지는 경우 서로 이질적인 구성성분이 서로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고, 천연실리콘과 함께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내구성 등의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천연조성물은 상호 상승(Synergy) 효과를 통하여 전자파 차폐, 탈취, 정전기 방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더구나 모두 천연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바닥재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2차적인 오염물질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천연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바닥재는 베이스로 사용되는 천연수지실리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견운모 20 내지 30 중량부, 토르말린 20 내지 30 중량부, 귀양석 5 내지 10 중량부, 및 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바닥재에는 바닥재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천연잉크나 결속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천연접착제, 또는 상기 천연잉크 및 천연접착제의 혼합물 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접착제로는 천연 라텍스, 송진, 아교, 카제인 알긴산나트륨, 벤조인등을 단독으로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잉크로는 치자, 황백, 샤프란, 울금, 인디고, 솔잎 등과 같은 식물성 염료; 코치닐(cochenille), 커미즈(연지층)과 같은 동물성 염료; 벵가라, 연단, 주, 군청 등과 같은 광물성 염료를 단독으로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비율대로 혼합하여 점토화시킨 후 바닥재용 혼합물을 먼저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숙성된 바닥재 재료를 1차로 약 150?? 내지 200??에서. 2차로 3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고화한다. 이어서 상기 고화된 성형물을 약 600 내지 700??로 승온한 고로에 얹고 8시간동안 소성하고, 고로내의 온도가 상온이 될 때까지 서서히 식혀서 세라믹 마루 바닥재를 제작한다. 이후 세라믹 마루 바닥재를 사용되는 공간에 맞추어 성형하여 바닥재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바닥재는 상술한 다양한 기능성 이외에 내구성, 내수성, 친수성, 유연성이 우수하고, 휘거나 뒤틀림 깨어지지 않으며 들뜸 틈새현상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편의성도 현저히 개선된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연실리콘 1 kg에 대하여 평균입도가 1500 메쉬인 견운모 200g, 토르마린 300g, 귀양석 50g, 대나무 숯 50 g을 혼합하고 반죽하여 점토화한 후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켰다. 상기 숙성된 바닥재 재료를 1차로 150??에서. 2차로 3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고화하였다. 상기 고화된 성형물을 약 700?? 승온한 고로에 얹고 8시간동안 소성하였다. 이후 고로내의 온도가 상온이 될 때까지 서서히 식히고 세라믹 마루 바닥재를 만들었다. 이후 세라믹 마루 바닥재를 사용되는 공간에 맞추어 타일 형태로 성형하여 바닥재를 완성하였다. 도 1은 상기 바닥재를 사각형상으로 성형한 바닥재이고, 도 2는 원형으로 성형한 바닥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실험예 1] - 천연세라믹 마루 바닥재의 음이온 방출 효과측정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 세라믹 마루 바닥재의 음이온 방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한국 건자재 시험 연구원 원적외선 응용평가센터에서 시행하였고 음이온 방출은 KICM-FIR-1042의 시험방법으로 전하입자 특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은 온도 21??, 습도40%, 대기중 음이온수 68/cc 조건하에서 수행하였으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단위체적당 이온수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
시험항목 | 단위 | 세라믹마루바닥재 | 대조시편 (일반마루바닥재) | 시험방법 |
음이온 | IO N/cc | 1100/cc | 68/cc | KICM-FIR-1042 |
상기 실험결과 본 천연세라믹 마루 바닥재 조성물에 1100/CC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천연 세라믹 바닥재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 측정
본 발명에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천연 바닥장식재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한국 건자재시험연구원에서 시행하였고, 원적외선 방출은 KSM의 시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때 측정은 온도 21??, 습도 40% 및 대기중 음이온수 68/cc 조건하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2]
시험항목 | 단위 | 방사율(5~20mm) | 방사에너지(K/㎡) | 시험방법 |
원적외선 | (K/㎡) | 0.890 | 3.59x102 | KSM |
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
실험 결과, 본 천연소재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바닥장식재는 0.890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천연 세라믹 마루 바닥재 탈취율 측정효과
상기 실시예 1를 통해 제조된 도전성 마루 바닥재의 탈취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암모니아(NH3)의 탈취시험을 다음 표 3과 같이 수행하였다.
[표 3]
시험항목 | 탈취(소취)시험 NH3 | |||
시험결과 | 경과시간(분) | Blank 농도(ppm) | 시료농도(ppm) | 탈취율(%) |
30 | 184 | 120 | 40.7 | |
60 | 152 | 85 | 45.5 | |
90 | 131 | 70 | 69.0 | |
120 | 116 | 60 | 79.4 | |
시험방법 | KICM -FIR -1085 |
*시험 성적서 ; 이용목적; 품질관리용
상기 실험결과에 의하면 시간이 흐를수록 암모니아 냄새의 탈취율이 증가하여, 120분이 경과하는 경우 약 80%에 이르는 탈취율이 달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천연세라믹 마루 바닥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천연 바닥장식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한국 화학시험연구원에서 시행하였고, 포름알데히드 방출은 KSM 7305의 시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때 측정은 온도 21??, 습도 40% 및 대기중 음이온수 68/cc 조건하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4]
시험항목 | 단위 | 결과 | 시험방법 |
포름알데히드방산량 | mg/?? | 검출안됨 | KSM 7305 |
실험 결과, 본 천연소재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천연 세라믹 바닥장식재는 포름알데히드를 방산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로 바닥재를 제작하여 사용하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과 원적외선은 다량 방출되는 반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는 차폐되어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시설물 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인체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등 건강증진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재는 인공적인 성분이 아니라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의 배출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대나무 숯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조성물을 고온에서 소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세라믹 바닥재를 만들기 때문에 탈취(소취)작용, 항균작용, 습도조절작용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 유효한 천연성분들에 천연실리콘을 사용하여 바닥재를 제작함으로써 탄력성, 내구성, 시공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 견운모 20 내지 30 중량부;토르말린 20 내지 30 중량부;귀양석 5 내지 10 중량부; 및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바닥재용 천연조성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운모, 토르말린, 및 귀양석의 평균입도가 1500 내지 2000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천연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숯의 평균입도가 300 내지 350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천연조성물.
- 천연수지실리콘 100 중량부;견운모 20 내지 30 중량부;토르말린 20 내지 30 중량부;귀양석 5 내지 10 중량부; 및대나무 숯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바닥재가 천연잉크, 천연접착제, 또는 상기 천연잉크 및 천연접착제의 혼합물 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접착제가 천연 라텍스, 송진, 아교, 카제인 알긴산나트륨, 및 벤조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느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잉크가 치자, 황백, 샤프란, 울금, 인디고, 솔잎을 포함하는 식물성 염료; 코치닐(cochenille), 커미즈(연지층)를 포함하는 동물성 염료; 및 벵가라, 연단, 주, 군청을 포함하는 광물성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닥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2702A KR20070046254A (ko) | 2005-10-29 | 2005-10-29 | 도전성 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2702A KR20070046254A (ko) | 2005-10-29 | 2005-10-29 | 도전성 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6254A true KR20070046254A (ko) | 2007-05-03 |
Family
ID=3827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2702A KR20070046254A (ko) | 2005-10-29 | 2005-10-29 | 도전성 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4625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954B1 (ko) * | 2008-02-15 | 2009-10-01 |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
KR101219828B1 (ko) * | 2012-03-10 | 2013-01-09 | 하태훈 | 친환경 바닥재 |
KR101584789B1 (ko) * | 2014-09-02 | 2016-01-2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이오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 및 유해물질 제어방법 |
-
2005
- 2005-10-29 KR KR1020050102702A patent/KR2007004625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954B1 (ko) * | 2008-02-15 | 2009-10-01 | 주식회사 동양이앤피 | 천연재료를 이용한 건축물 내장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내장재의 제조방법 |
KR101219828B1 (ko) * | 2012-03-10 | 2013-01-09 | 하태훈 | 친환경 바닥재 |
KR101584789B1 (ko) * | 2014-09-02 | 2016-01-2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이오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 및 유해물질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45039B1 (ko) | 벽지용 천연 소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천연 벽지를제조하는 방법 | |
KR100750876B1 (ko) |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루 바닥재 | |
KR101028946B1 (ko) |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코팅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70046254A (ko) | 도전성 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세라믹 바닥재 | |
KR100911211B1 (ko) | 도자 괄사판 제조방법 | |
KR100563558B1 (ko) | 자기질 옥 타일 제조방법 및 자기질 옥 타일 | |
KR100772674B1 (ko) | 현무암과 자석을 이용한 온열침대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 |
KR100626870B1 (ko) | 바닥장식재용 천연 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 |
KR100678584B1 (ko) |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 |
KR100755921B1 (ko) | 현무암과 송이를 이용한 온열침대용 패널 | |
KR100703883B1 (ko) | 천연소재를 이용한 다기능성 코팅바닥재의 제조방법 | |
KR200415981Y1 (ko) | 신발 깔창 | |
KR100850037B1 (ko) | 기능성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 |
KR20070042247A (ko) | 입상활성탄용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 기능성친환경 입상활성탄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필터부재 | |
KR20040102659A (ko) |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탄성체 조성물 | |
KR102191656B1 (ko) | 다양한 용도가 부여된 건강에 유익한 성형체 조성물 | |
KR100421713B1 (ko) | 건축물 마감시공용 다기능 액상 도포제 | |
KR102012181B1 (ko) | 유기게르마늄이 포함된 건축내장재 | |
KR100560861B1 (ko) | 감람석(올리빈)을 이용한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및 그제조방법 | |
KR20180021989A (ko) | 다기능성 산소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563559B1 (ko) | 도기질 옥 타일 제조방법 및 도기질 타일 유약 | |
KR100478931B1 (ko) | 다기능성 단추의 제조방법 | |
KR20040105655A (ko) |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조성물 | |
KR101394956B1 (ko) | 스프레이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방법 | |
KR100686592B1 (ko) |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세라믹 장신구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