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547A -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 - Google Patents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547A
KR20070045547A KR1020050101946A KR20050101946A KR20070045547A KR 20070045547 A KR20070045547 A KR 20070045547A KR 1020050101946 A KR1020050101946 A KR 1020050101946A KR 20050101946 A KR20050101946 A KR 20050101946A KR 20070045547 A KR20070045547 A KR 20070045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traffic
pca
reception m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윤원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5547A/ko
Publication of KR2007004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1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using simulcast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이 제공된다. 본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은,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네트워크, 전력감도레벨, 타임슬롯, 예약, 비콘

Description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 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Method for informing the availability of reception of traffics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ctive or Inactive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contention based distributed MAC}
도 1은 복수개의 무선기기들로 구성된 무선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에서 사용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에서 전력을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PCA Availability IE의 포맷과 "Interpretation" 필드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및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참조하여 PCA 트래픽을 전송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및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참조하여 PCA 트래픽을 전송하는 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에서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에서 전력을 절약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 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 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네트워크는 복수 개의 무선기기들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는 다른 무선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다른 무선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기기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즉, 적어도 2개의 무선기기들이 동일한 시점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상기 데이터들은 상호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무선기기는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들은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
도 1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네트워크의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도 1은 무선기기A 내지 무선기기E로 구성된 무선네트워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무선기기A 내지 무선기기E는 비콘구간에서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무선기기들로 비콘을 전송한다. 상기 도 1에 의하면 무선기기A는 무선기기B 내지 무선기기E로 비콘을 전송하며, 무선기기B는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C로 비콘을 전송한다. 상기 무선기기C는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B로 비콘을 전송하며, 무선기기D는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E로 비콘을 전송한다. 상기 무선기기E는 상기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D로 비콘을 전송한다. 상기 무선기기C는 예약한 타임슬롯에서 상기 무선기기B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무선기기E 역시 예약한 타임슬롯에서 상기 무선기기D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도 2는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에서 사용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슈퍼프레임은 비콘(Beacon), 256개의 타임슬롯들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들은 상호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무선기기는 상기 비콘의 일부 구간에 동기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인접 무선기기들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기기는 256개의 타임슬롯들 중 예약한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무선기기C는 타임슬롯2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며, 무선기기B는 타임슬롯2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무선기기E는 타임슬롯3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며, 무선기기D는 타임슬롯3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송신무선기기는 인접 무선기기들이 예약하지 않은 타임슬롯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한 타임슬롯의 예약 가능 여부를 수신무선기기로 문의한다. 상기 수신무선기기는 상기 송 신무선기기가 문의한 타임슬롯을 예약 가능하면 상기 타임슬롯의 예약을 수락한다고 통보한다. 상기 수신무선기기는 문의한 타임슬롯을 예약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타임슬롯의 예약을 취소한다고 통보한다. 상기 송신무선기기와 수신무선기기가 타임슬롯의 예약을 성공하였다면, 상기 송신무선기기와 수신무선기기는 예약한 타임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기기C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기기B의 활성기간과 휴지기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은 비콘 전송구간과 복수 개의 타임슬롯들로 구성된다. 상기 상기 무선기기A는 무선기기B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타임슬롯0, 타임슬롯1을 예약받았다고 가정한다.
상기 무선기기C는 무선기기B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예약한 상기 타임슬롯0, 타임슬롯1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B 역시 무선기기C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예약한 상기 타임슬롯0, 타임슬롯1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무선기기C는 타임슬롯0, 타임슬롯1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한다. 즉, 무선기기C와 무선기기B간의 무선채널상황이 악화되거나, 기타 여건에 의해 상기 무선기기C는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무선기기 C는 다른 무선기기들이 예약한 타임슬롯의 사용여부를 인지하기 위해 타임슬롯2 내지 타임슬롯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상기 타임슬롯2 내지 타임슬롯3를 예약한 무선기기가 상기 타임슬롯2 내지 타임슬롯3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무선기기C는 상기 타임슬롯2 내지 타임슬롯3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지만, 상기 무선기기B는 자신에게 예약된 타임슬롯1에서만 활성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타임슬롯2 내지 타임슬롯3에서는 휴지상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상기 무선기기B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무선기기C의 전력이 설정치 이하라면 상기 무선기기C가 상기 무선기기B의 상태에 상관없이 역시 타임슬롯2 내지 타임슬롯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낭비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수신무선기기가 휴지상태인 경우 상기 송신무선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활성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송신무선기기는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임슬롯2 내지 타임슬롯3를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무선기기들이 있는 경우 무선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 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며 PCA를 사용하는 무선기기의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및 다른 무선기기의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참조하여 다른 무선기기에 PCA 트래픽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신무선기기는 수신무선기기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오류없이 수신할 수 있는 타임슬롯을 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신무선기기가 자신이 예약한 타임슬롯 이외의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Device)의 PCA(Prioritized Contention Access : 우선순위 경쟁기반 채널접근 방식)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은,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PCA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결정한 수신모드에 대한 정보인 수신모드정보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신모드는,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에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수신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는, TIM IE(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Element : 트래픽 지시맵 정보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TIM IE에 수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PCA 트래픽의 전송자인 상기 다른 무선기기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PCA 트래픽 수신자인 상기 무선기기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신모드는, 상기 TIM IE의 수록내용과 무관하게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수신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신모드는,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에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PCA 트래픽을 전송할 PCA 슬롯에서 상기 무선기기가 활성상태을 유지하고,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에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PCA 슬롯에서 상기 무선기기가 휴지상태를 유지하는 수신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트단계는,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들이 PCA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는 MAS(Medium Access Slot : 매체접근슬롯)들을 나타내는 정보요소인 PCA Availability IE(PCA 이용가능에 대한 정보요소)에 상기 수신모드정보를 수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수신모드정보가 수록된 상기 PCA Availability IE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신모드정보는, 상기 PCA Availability IE에 마련된 Interpretation(인터프리테이션) 필드에 수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nterpretation 필드의 길이는 1바이트이고, 상기 수신모드정보는, 상기 Interpretation 필드에 마련된 TIM IE Required(TIM IE 요구) 비트에 수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TIM IE Required 비트가 "1"이면, 상기 디비이스가 상기 제1 수신모드임을 나타내고, 상기 TIM IE Required 비트가 "0"이면, 상기 디비이스가 상기 제2 수신모드임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무선기기가, 자신의 사용가능한 전력, 송신할 트래픽량, 수신할 트래픽량, 송신빈도수, 및 수신빈도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상기 무선기기의 수신모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의 수신모드가 제1 수신모드이고 상기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하면, 상기 다른 무선기기는 상기 PCA 트래픽 전송전에 '상기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Device)의 PCA(Prioritized Contention Access : 우선순위 경쟁기반 채널접근 방식)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은,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PCA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무선기기의 수신모드정보로서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쟁기반의 분산 MAC(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은,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결정한 수신모드에 대한 정보인 수신모드정보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무선기기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은,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결정한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특정 슬롯들에서 활성상태 및 휴지상태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은,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선네트워크는 경쟁기반의 분산 MAC(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기기들로 구성된 무선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기기가 자신의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은, 사용가능한 전력과 대기중인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두 개의 전력감도레벨들 중 하나의 전력감도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무선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전력감도레벨과 상기 결정한 전력감도레벨을 고려하여 휴지상태를 유지할 지, 활성상태를 유지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상대방 무선기기의 상태를 일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감도레벨은 2비트로 구성되며, 비콘에 부가하여 상대방 무선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기기는 상기 전달받은 전력감도레벨과 결정한 전력감도레벨 중 열악한 전력감도를 갖는 전력감도레벨을 고려하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AS(Medium Access Slot : 매체접근슬롯)의 상태는 자신 또는 상대방 무선기기가 예약한 MAS , 자신 또는 상대방 무선기기를 제외한 무선기기가 예약한 소프트 예약 슬롯, 자신 또는 상대방 무선기기를 제외한 무선기기가 예약한 하드 예약 슬롯, 예약되지 않는 MAS 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기기는 자신이 예약한 MAS 에서는 결정한 전력감도레벨을 고려하지 않고 활성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기기는 MAS 의 상태를 고려하여 활성상태를 유지할 지, 휴지상태를 유지할 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감도레벨들은 전력감도레벨1 내지 전력감도레벨4로 구성되며, 상기 열악한 전력감도가 전력감도레벨1일 경우 브로드캐스트 데이터가 비동기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예약되지 않은 MAS 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감도레벨들은 전력감도레벨1 내지 전력감도레벨4로 구성되며, 상기 열악한 전력감도가 전력감도레벨2일 경우 상기 예약되지 않은 MAS 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감도레벨들은 전력감도레벨1 내지 전력감도레벨4로 구성되며, 상기 열역한 전력감도가 전력감도레벨3일 경우 상기 자신 또는 상대방 무선기기를 제외한 무선기기가 예약한 하드 예약 슬롯을 제외한 MAS 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감도레벨들은 전력감도레벨1 내지 전력감도레벨4로 구성되며, 상기 열역한 전력감도가 전력감도레벨4일 경우 모든 MAS 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무선기기들로 구성된 무선네트워크에서, 상기 무선기기들이 자신의 상태를 결정하는 시스템은, 사용가능한 전력과 대기중인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두 개의 전력감도레벨들 중 하나의 전력감도레벨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 무선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전력감도레벨과 상기 결정한 전력감도레벨을 고려하여 휴지상태를 유지할 지, 활성상태를 유지 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기기; 및 상기 무선기기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갖는 상기 상대방 무선기기: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Device)들은 자신의 트래픽 수신모드 또는 수신가능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들에 알린다.
본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무선네트워크로서, 경쟁기반의 분산 MAC(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무선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트래픽으로, PCA(Prioritized Contention Access : 우선순위 경쟁기반 채널접근 방식) 트래픽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PCA 트래픽이 아닌 다른 트래픽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PCA 트래픽이란 무선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MAS(Medium Access Slot : 매체접근슬롯)들 중 PCA 슬롯에서 송수신되는 트래픽을 의미한다.
PCA 슬롯은 우선순위 경쟁을 기반으로 무선매체(채널)에 접근할 수 있는 슬 롯으로서, 특정 무선기기에 의해 무선매체 접근이 예약된 슬롯인 DRP(Distributed Reservation Protocol : 분산예약프로토콜) 슬롯과 구별된다. 비콘구간을 제외하면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MAS들 중 DRP 슬롯이 아닌 슬롯들이 PCA 슬롯에 해당한다. 즉, 비콘구간을 제외하면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MAS들은 각각, DRP 슬롯이거나 PCA 슬롯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무선기기의 PCA 트래픽 수신모드는 2가지로 상정하기로 한다. 상정가능한 2가지의 PCA 트래픽 수신모드 중 하나는,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그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PCA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수신모드'(이하, '제1 수신모드'로 약칭한다.)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한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수신모드'(이하, '제2 수신모드'로 약칭한다.)이다.
이하에서는,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이하, '제1 무선기기'로 약칭한다.)는, 다른 무선기기가 자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동작한다.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동작한다 함은, 제1 무선기기가 다른 디바이스가 PCA 트래픽을 전송할 PCA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무선기기가 자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의 존재여부(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이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의 존재여부)는, 제1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수신되는 정보의 내용을 참조하여 판별할 수 있다.
즉, 비콘구간에서 수신되는 정보에 '다른 무선기기가 자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 제1 무선기기는 다른 무선기기가 자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한다.
이때, 제1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수신하여 참조하는 정보는, TIM IE(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Element : 트래픽 지시맵 정보요소)일 수 있다. 즉, 무선네트워크의 비콘구간에서 송수신되는 TIM IE에 '다른 무선기기가 자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무선기기가 자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로서, PCA 트래픽의 전송자인 다른 무선기기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 및 PCA 트래픽 수신자인 제1 무선기기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무선기기는, 다른 무선기기가 자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PCA 트래픽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동작한다.
즉, 비콘구간에서 수신되는 정보(예를들면, TIM IE)에 '다른 무선기기가 자 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이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무선기기는 PCA 트래픽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동작한다.
PCA 트래픽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동작한다 함은, 제1 무선기기가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PCA 슬롯에서 휴지(비활성)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1 무선기기는 자신이 다른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을 가지고 있는 경우, PCA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 무선기기는 자신이 송신자나 수신자로서 예약된 DRP 슬롯에서도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인 제1 무선기기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PCA 슬롯에서 항상 활성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다. 제1 무선기기는 i)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하는 경우만 PCA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하고, ii) 이외의 경우는 PCA 슬롯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선기기는 자신의 사용가능한 전력이 비교적 적은 경우, 예를 들면, 자신의 사용가능한 전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함으로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기기는 송신할 트래픽량, 수신할 트래픽량, 송신빈도수, 및 수신빈도수 등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도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함으로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이하, '제2 무선기기'로 약칭한다.)는, 비콘구간에서 TIM IE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2 무선기기는 TIM IE의 수록내용과 무관하게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2 무선기기는 자신이 송신자나 수신자로서 예약된 DRP 슬롯에서도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사용가능한 전력이 비교적 많은 경우나 송신할 트래픽량, 수신할 트래픽량, 송신빈도수, 및 수신빈도수 등이 비교적 많은 무선기기는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기기의 수신모드는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즉, 무선기기가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다가 전력보유량이 적어지면, 제1 수신모드로 변경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모드 변경시, 무선기기는 전력보유량 외에 송신할 트래픽량, 수신할 트래픽량, 송신빈도수, 및 수신빈도수 등도 참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무선기기는 '자신이 결정한 수신모드에 대한 정보'(이하, '수신모드정보'로 약칭한다.)(제1 수신모드 또는 제2 수신모드)를 다른 무선기기들에 알리기 위해, 수신모드정보를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한다.
구체적으로, 무선기기는 도 4의 (a)에 도시된 PCA Availability IE(PCA 이용가능에 대한 정보요소)에 수신모드정보를 수록하고, 이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 다.
PCA Availability IE는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들이 PCA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는 MAS들(즉,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MAS들 중 PCA 슬롯들)을 나타내는 정보요소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A Availability IE는 1바이트의 "Element ID" 필드, PCA 슬롯들로 지정된 MAS들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N(N=0~32)바이트의 "PCA Availability Bitmap" 필드, 및 PCA Availability Bitmap의 길이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1바이트의 "Length" 필드 외에, 1바이트의 "Interpretation(인터프리테이션)" 필드로 구성되는데, 이 "Interpretation" 필드에 전술한 수신모드정보가 수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nterpretation" 필드에는 TIM Required(TIM IE 요구) 비트(b0)가 마련되어 있는데, TIM Required 비트(b0)가 전술한 수신모드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즉, i) TIM IE Required 비트가 "1"이면, 디비이스는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고, ii) TIM IE Required 비트가 "0"이면, 디비이스는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수신모드정보를 나타내는 비트를 "TIM Required 비트"(b0)로 명명한 이유는,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가 PCA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할지 아니면 휴지상태를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TIM IE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한 것이다.
한편, 무선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무선기기는 브로드캐스트되는 다른 무선기기들의 수신모드정보를 수신하게 되므로, 다른 무선기기들의 수신모드를 알게 되며, PCA 트래픽 전송시 이를 참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PCA 트래픽을 수신할 무선기기(B)가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PCA 트래픽을 전송할 무선기기(A)는 PCA 트래픽 전송전에 '무선기기(A)가 무선기기(B)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TIM IE에 수록하고, 이를 비콘구간에서,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무선기기(B)로 전송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무선기기(B)가 TIM IE를 참조하여 PCA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PCA 트래픽을 수신할 무선기기(B)가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PCA 트래픽을 전송할 무선기기(A)는 TIM IE 브로드캐스트/전송절차를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무선기기(B)는 PCA 슬롯에서 항상 활성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가 자신이 결정한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다른 무선기기들에 알리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다른 무선기기들에 대한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참조하여, 다른 무선기기들에 PCA 트래픽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들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요약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선기기가 자신이 결정한 자신의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다른 무선기기들에 알리는 과정(S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무선기기는 제1 수신모드 또는 제2 수신모드를 결정 한다(S110). 여기서, i) '제1 수신모드'는,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수신되는 TIM IE의 수록내용에 따라 PCA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수신모드'이고, ii) '제2 수신모드'는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TIM IE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수신모드'임은 전술한 바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수신모드'는, TIM IE에 '다른 무선기기가 자신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즉,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i) 수록되어 있는 경우는, 무선기기가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동작하고, ii)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무선기기가 PCA 트래픽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동작하는, 수신모드이다.
S110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무선기기는 자신의 사용가능한 전력, 송신할 트래픽량, 수신할 트래픽량, 송신빈도수, 및 수신빈도수 등을 참조하여 수신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무선기기는 S110단계에서 결정한 수신모드정보(제1 수신모드 또는 제2 수신모드)를 다른 무선기기들에 알리기 위해, 수신모드정보를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한다(S120).
구체적으로, S120단계는, 무선기기가 도 4에 도시된 PCA Availability IE의 "Interpretation" 필드에 마련된 TIM Required 비트(b0)에 전술한 수신모드정보를 수록하고, 이 PCA Availability IE를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과정에 의하게 된다.
이때, i) TIM IE Required 비트가 "1"이면, 디비이스는 제1 수신모드로 동작 하는 것을 나타내고, ii) TIM IE Required 비트가 "0"이면, 디비이스는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다른 무선기기들에 대한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참조하여, 다른 무선기기들에 PCA 트래픽을 전송하는 과정(S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무선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무선기기는 S120단계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다른 무선기기들의 수신모드정보를 수신한다(S210). 이에 의해, 무선기기는 다른 무선기기들의 수신모드를 알게 되며, PCA 트래픽 전송시 이를 참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PCA 트래픽을 수신할 무선기기(B)가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PCA 트래픽을 전송할 무선기기(A)는 PCA 트래픽 전송전에 '무선기기(A)가 무선기기(B)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TIM IE에 수록하고, 이를 비콘구간에서,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무선기기(B)로 전송하여야 한다(S220). 그래야만, 무선기기(B)가 TIM IE를 참조하여 PCA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PCA 트래픽을 수신할 무선기기(B)가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PCA 트래픽을 전송할 무선기기(A)는 TIM IE 브로드캐스트/전송절차를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무선기기(B)는 PCA 슬롯에서 항상 활성상태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이후, 무선기기는 해당 슬롯에서 다른 무선기기에 트래픽을 전송한다(S230). 여기서, 해당슬롯은 DRP 슬롯은 물론이고 PCA 슬롯도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부연설명한다.
도 6에는 무선기기A, 무선기기B, 무선기기C, 및 무선기기D로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슈퍼프레임의 일부(BP(Beacon Period : 비콘구간), MAS 0, MAS 1, MAS 2, MAS 3)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i) 무선기기A는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고, ii) 무선기기B, 무선기기C, 및 무선기기D는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MAS 0은 무선기기A가 무선기기B로 DRP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 예약한 DRP 슬롯으로 지정되고, ii) MAS 2은 무선기기C가 무선기기D로 DRP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해 예약된 DRP 슬롯으로 지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가정에 따르면, MAS 1과 MAS 3은 PCA 슬롯이 되게 된다.
또한,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B는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C로 전송할 PCA 트래픽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가정에 따르면, 무선기기B는 '무선기기B가 무선기기C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된 TIM IE을 BP에서,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무선기기(B)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정에서 무선기기A, 무선기기B, 무선기기C, 및 무선기기D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MAS에서 활성상태 또는 휴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MAS0 MAS1 MAS2 MAS3
무선기기A(제2 수신모드) 활성상태 활성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B(제1 수신모드) 활성상태 활성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C(제1 수신모드) 휴지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D(제1 수신모드) 휴지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휴지상태
먼저, 제2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A는 자신이 송신자로서 예약된 DRP 슬롯인 MAS 0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무선기기A는 BP에서 TIM IE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무선기기A는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PCA 슬롯인 MAS 1과 MAS 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무선기기A는 자신이 송신자나 수신자로서 예약되지 않은 DRP 슬롯인 MAS 2에서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B는 자신이 수신자로서 예약된 DRP 슬롯인 MAS 0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무선기기B는 무선기기C로 전송할 PCA 트래픽을 가지고 있기에, PCA 슬롯인 MAS 1과 MAS 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무선기기B는 자신이 송신자나 수신자로서 예약되지 않은 DRP 슬롯인 MAS 2에서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C는 자신이 송신자로서 예약된 DRP 슬롯인 MAS 2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무선기기B는 '무선기기B가 무선기기C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된 TIM IE을 BP에서 수신하였기에, 무선기기C는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무선기기C는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PCA 슬롯인 MAS 1과 MAS 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무선기기C는 자신이 송신자나 수신자로서 예약되지 않은 DRP 슬롯인 MAS 0에서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1 수신모드로 동작하는 무선기기D는 자신이 수신자로서 예약된 DRP 슬롯인 MAS 2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무선기기D는 '무선기기A, 무선기기B, 또는 무선기기C가 무선기기B에게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된 TIM IE을 BP에서 수신하지 않았기에, 무선기기D는 PCA 트래픽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무선기기D는 PCA 트래픽 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PCA 슬롯인 MAS 1과 MAS 3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무선기기D는 자신이 송신자나 수신자로서 예약되지 않은 DRP 슬롯인 MAS 0에서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무선기기B와 무선기기C는 PCA 슬롯인 MAS 1과 MAS 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하기에, 무선기기B와 무선기기C는 PCA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기기D는 송수신할 PCA 트래픽이 없어 활성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PCA 슬롯인 MAS 1과 MAS 3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하기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전력감도레벨(power sensitivity level)을 제안한다. 상기 전력 감도 레벨은 무선기기에 잔존하는 전력, 대기중인 패킷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상기 무선기기는 전력 감도 레벨을 이용하여 활성상태를 유지할 지, 휴지상태를 유지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 감도 레벨의 개수를 4로 설정한다. 하지만, 상기 레벨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전력 감도를 세분화하기 위해서는 레벨의 개수가 많게 설정한다. 상기 각 무선기기들은 자신의 전력 감도 레벨을 측정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의 개수를 4로 설정함으로서 상기 전력감도레벨은 2비트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전력감도레벨이 4개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전력감도레벨을 표시할 수 있는 비트 수 역시 증가된다. 하기 〈표 2〉은 상기 전력감도레벨을 나타내고 있다.
전력감도 레벨 비트
전력감도레벨1 00
전력감도레벨2 01
전력감도레벨3 10
전력감도레벨4 11
이하 무선기기가 인접 무선기기들을 고려하지 않지 않고 활성상태를 유지할 지 휴지상태를 유지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1을 갖는 무선기기는 자신이 예약한 MAS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즉, 자신이 예약한 MAS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경우에만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기기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또는 비동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필요가 있을 경우 PCA 슬롯 또는 예약되지 않은 MAS에서는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각 무선기기는 PCA 슬롯과 예약되지 않은 MAS에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PCA 슬롯은 경쟁을 기반으로 한 채널 엑세스 슬롯으로서,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슬롯으로도 불린다. 즉, 예약을 요청한 무선기기들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슬롯이다. 즉,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또는 비동기 데이터에 대해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유니캐스트 데이터에 대해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2를 갖는 무선기기는 자신이 예약한 MAS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전력감도레벨2를 갖는 무선기기는 PCA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3을 갖는 무선기기는 자신이 예약한 MAS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전력감도레벨3을 갖는 무선기기는 PCA 슬롯과 다른 무선기기의 소프트(soft) 예약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예약 슬롯은 소프트 예약 슬롯과 하드(hard) 예약 슬롯으로 구분된다. 상기 소프트 예약 슬롯은 무선기기가 예약한 슬롯을 사용하지 않으면 어떤 메시지 없이 다른 무선기기들이 사용할 수 있는 슬롯을 의미한다. 상기 하드 예약 슬롯은 무선기기가 예약한 슬롯을 사용하지 않으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다른 무선기기들이 사용할 수 있는 슬롯을 의미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4를 갖는 무선기기는 자신이 예약한 MAS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4를 갖는 무선기기는 PCA 슬롯과 다른 무선기기의 소프트 예약 슬롯과 하드 예약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는 자신의 전력감도레벨에 대한 정보가 부가된 비콘을 비콘 전송구간에서 인접 무선기기들로 전송한다. 따라서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각 무선기기들은 자신의 전력감도레벨 뿐만 아니라 인접 무선기기들의 전력감도레벨을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무선기기가 상기 상대방 무선기기의 전력감도레벨을 고려하여 활성상태를 유지할 지 휴지상태를 유지할 지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무선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기기인 경우 상기 상대방 무선기기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기기이며, 상기 무선기기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기기인 경우 상기 상대방 무선기기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기기이다. 상기 무선기기는 전력감도레벨의 크기에 상관없이 자신이 예약한 MAS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1을 갖는 무선기기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나 비동기 데이터의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1을 갖는 무선기기는 상술한 경우 이외의 경우에서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전력감도레벨2를 갖는 무선기기는 PCA 슬롯에서 상대방 무선기기들의 전력감도레벨에 따라 활성상태 또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무선기기는 PCA 슬롯에서 전력감도레벨1을 갖는 상대방 무선기기가 있는 경우,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나 비동기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휴지상태를 유지하며, 나머지 경우에서는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전력감도레벨2를 갖는 무선기기는 상대방 무선기기의 전력감도레벨에 상관없이 다른 무선기기의 소프트 예약 슬롯과 하드 예약 슬롯에서 휴지 상태를 유지한다.
전력감도레벨3을 갖는 무선기기는 PCA 슬롯에서 상대방 무선기기들의 전력감도레벨에 따라 활성상태 또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무선기기는 PCA 슬롯에서 전력감도레벨1을 갖는 상대방 무선기기가 있는 경우,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나 비동기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휴지상태를 유지하며, 나머지 경우에서는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전력감도레벨3을 갖는 무선기기는 다른 무선기기의 소프트 예약 슬롯에서 전력감도레벨1 또는 전력감도레벨2를 갖는 상대방 무선기기가 있는 휴지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경우에 대해서는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3을 갖는 무선기기는 상대방 무선기기의 전력감도레벨에 상관없이 다른 무선기기의 하드 예약 슬롯에서 휴지 상태를 유지한다.
전력감도레벨4를 갖는 무선기기는 PCA 슬롯에서 상대방 무선기기들의 전력감도레벨에 따라 활성상태 또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무선기기는 PCA 슬롯에서 전력감도레벨1을 갖는 상대방 무선기기가 있는 경우,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나 비동기 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휴지상태를 유지하며, 나머지 경우에서는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전력감도레벨4를 갖는 무선기기는 다른 무선기기의 소프트 예약 슬롯에서 전력감도레벨1, 전력감도레벨2를 갖는 상대방 무선기기가 있는 휴지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경우에 대해서는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전력감도레벨4를 갖는 무선기기는 다른 무선기기의 하드 예약 슬롯에서 전력감도레벨1, 전력감도레벨2, 전력감도레벨3을 갖는 상대방 무선기기가 있는 휴지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경우에 대해서는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도 7과 도 8을 이용하여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기기에서 전력 절약을 휴지상태와 활성상태를 상호 변환하는 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무선기기A 내지 무선기기E로 구성된 무선네트워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무선기기A는 전력감도레벨1을 갖고 있으며, 무선기기B, 무선기기C는 전력감도레벨2를 갖는다. 무선기기D, 무선기기E는 전력감도레벨3을 갖는다. 상기 무선기기A는 무선기기B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AS 0을 예약하였으며, 무선기기B는 무선기기C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AS 2를 예약하였다. 무선기기E는 무선기기D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AS 3을 예약하였다. 또한 무선기기C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MAS을 예약하지 않았지만 무선기기E로 전송할 비동기 데이터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하기 〈표 3〉는 각 무선기기별로 MAS 0 내지 MAS 3에서 휴지상태인지 활성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MAS 0 MAS 1 MAS 2 MAS 3
무선기기A(전력감도레벨1) 활성상태 휴지상태 휴지상태 휴지상태
무선기기B(전력감도레벨2) 활성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휴지상태
무선기기C(전력감도레벨2) 휴지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휴지상태
무선기기D(전력감도레벨3) 활성상태 활성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E(전력감도레벨3) 활성상태 활성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이하 상기 〈표 3〉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본다. 상기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B는 예약한 MAS 0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무선기기A가 전력감도레벨1을 가지므로 다른 무선기기의 하드 예약 슬롯(MAS 2)과 소프트 예약 슬롯(MAS 3)에서 상기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B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B는 PCA 슬롯인 MAS 1에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또는 비동기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았으므로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B와 무선기기C는 예약한 MAS 2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B와 무선기기C는 전력감도레벨2를 가지므로 MAS 1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B와 무선기기C는 다른 무선기기의 소프트 예약 슬롯(MAS 0, MAS 3)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D와 무선기기E는 예약한 MAS 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D와 노EC는 전력감도레벨3를 가지므로 MAS 1와 MAS 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D와 무선기기E는 다른 무선기기의 하드 예약 슬롯(MAS 2)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C는 전력감도레벨2를 가지며, 무선기기E는 전력감도레벨3을 가지므로, 전력감도레벨이 낮은 무선기기C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기기C와 무선기기E의 상태를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기기C와 무선기기E는 MAS 1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하며, MAS 0, MAS 2, MAS 3에서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하나의 무선기기가 특정 MAS에서 휴지상태와 활성상태를 모두 유지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무선기기는 활성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8은 무선기기A 내지 무선기기H로 구성된 무선네트워크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무선기기A는 전력감도레벨1을 갖고 있으며, 무선기기B, 무선기기C는 전력감도레벨2를 갖는다. 무선기기D, 무선기기E, 무선기기G는 전력감도레벨3을 갖고 있으며, 무선기기F, 무선기기H는 전력감도레벨4를 갖는다. 상기 무선기기A는 무선기기B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AS 0을 예약하였으며, 무선기기E는 무선기기F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AS 1을 예약하였다. 무선기기G는 무선기기H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AS 2를 예약하였다. 또한 무선기기C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MAS을 예약하지 않았지만 무선기기D로 전송할 비동기 데이터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하기 〈표 4〉는 각 무선기기별로 MAS 0 내지 MAS 3에서 휴지상태인지 활성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MAS 0 MAS 1 MAS 2 MAS 3
무선기기A(전력감도레벨1) 활성상태 휴지상태 휴지상태 휴지상태
무선기기B(전력감도레벨2) 활성상태 휴지상태 휴지상태 휴지상태
무선기기C(전력감도레벨2) 휴지상태 휴지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D(전력감도레벨3) 휴지상태 휴지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E(전력감도레벨3) 활성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F(전력감도레벨4) 활성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G(전력감도레벨3) 활성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무선기기H(전력감도레벨4) 활성상태 휴지상태 활성상태 활성상태
이하 상기 〈표 4〉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본다. 상기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B는 예약한 MAS 0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무선기기A가 전력감도레벨1을 가지므로 다른 무선기기의 하드 예약 슬롯(MAS 1)과 소프트 예약 슬롯(MAS 2)에서 상기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B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B는 PCA 슬롯인 MAS 4에서 브로드캐스트 데이터 또는 비동기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았으므로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E와 무선기기F는 예약한 MAS 1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E는 전력감도레벨3를 가지므로 상기 무선기기E와 무선기기F는 다른 무선기기의 소프트 예약 슬롯(MAS 0, MAS 2)과 PCA 슬롯(MAS 4)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G와 무선기기H는 예약한 MAS 2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G는 전력감도레벨3을 가지므로 상기 무선기기G와 무선기기H는 다른 무선기기의 소프트 예약 슬롯(MAS 0)과 PCA 슬롯(MAS 4)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하며, 다른 무선기기의 하드 예약 슬롯(MAS 1)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C는 전력감도레벨2를 가지며, 무선기기D는 전력감도레벨3을 가지므로, 전력감도레벨이 낮은 무선기기C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기기C와 무선기기D의 상태를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기기C와 무선기기D는 MAS 3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하며, MAS 0, MAS 1, MAS 2에서는 휴지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무선기기A 내지 무선기기H는 자신이 예약한 MAS 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며, 다른 무선기기가 예약한 MAS이라하더라 예약한 무선기기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즉, 무선기기A와 무선기기B가 MAS 0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무선기기E, 무선기기F가 상기 MAS 0을 사용하거나, 무선기기G, 무선기기H가 상기 MAS 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의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다른 무선기기로 알릴 수 있게 되고, 다른 무선기기의 PCA 트래픽 수신모드를 참조하여 다른 무선기기에 PCA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기기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PCA 슬롯에서 항상 활성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PCA 트래픽을 전송할 다른 무선기기가 존재하는 경우만 PCA 슬롯에서 활성상태를 유지하고, 이외의 경우는 PCA 슬롯에서 휴지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송신무선기기와 수신무선기기의 상태를 일치시킴으로서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송신무선기기가 활성상태인 경우 수신무선기기 역시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자신과 상대방의 전력감도레벨을 고려하여 상태를 결정함으로서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Device)의 PCA(Prioritized Contention Access : 우선순위 경쟁기반 채널접근 방식)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PCA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결정한 수신모드에 대한 정보인 수신모드정보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모드는,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에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수신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는, TIM IE(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Element : 트래픽 지시맵 정보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TIM IE에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PCA 트래픽의 전송자인 상기 다른 무선기기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 및 상기 PCA 트래픽 수신자인 상기 무선기기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모드는,
    상기 TIM IE의 수록내용과 무관하게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수신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모드는,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에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PCA 트래픽을 전송할 PCA 슬롯에서 상기 무선기기가 활성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에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PCA 슬롯에서 상기 무선기기가 휴지상태를 유지하는 수신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단계는,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들이 PCA 트래픽을 수신할 수 있는 MAS(Medium Access Slot : 매체접근슬롯)들을 나타내는 정보요소인 PCA Availability IE(PCA 이용가능에 대한 정보요소)에 상기 수신모드정보를 수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수신모드정보가 수록된 상기 PCA Availability IE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드정보는,
    상기 PCA Availability IE에 마련된 Interpretation(인터프리테이션) 필드에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Interpretation 필드의 길이는 1바이트이고,
    상기 수신모드정보는,
    상기 Interpretation 필드에 마련된 TIM IE Required(TIM IE 요구) 비트에 수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TIM IE Required 비트가 "1"이면, 상기 디비이스가 상기 제1 수신모드임을 나타내고,
    상기 TIM IE Required 비트가 "0"이면, 상기 디비이스가 상기 제2 수신모드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무선기기가, 자신의 사용가능한 전력, 송신할 트래픽량, 수신할 트래픽량, 송신빈도수, 및 수신빈도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상기 무선기기의 수신모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의 수신모드가 제1 수신모드이고 상기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하면, 상기 다른 무선기기는 상기 PCA 트래픽 전송전에 '상기 다른 무선기기가 상기 무선기기로 전송할 PCA 트래픽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13.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Device)의 PCA(Prioritized Contention Access : 우선순위 경쟁기반 채널접근 방식)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PCA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PCA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무선기기의 수신모드정보로서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PCA 트래픽 수신모드 알림방법.
  14. 경쟁기반의 분산 MAC(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결정한 수신모드에 대한 정보인 수신모드정보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 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결정한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특정 슬롯들에서 활성상태 및 휴지상태 중 어느 하나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16. 무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기기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가, 비콘구간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수신되는 정보의 수록내용에 따라 트래픽 수신 가능여부가 달라지는 제1 수신모드 및 상기 비콘구간에서 상기 정보의 수신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트래픽 수신이 가능한 제2 수신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네트워크는 경쟁기반의 분산 MAC(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KR1020050101946A 2005-10-27 2005-10-27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 KR20070045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946A KR20070045547A (ko) 2005-10-27 2005-10-27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946A KR20070045547A (ko) 2005-10-27 2005-10-27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547A true KR20070045547A (ko) 2007-05-02

Family

ID=3827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946A KR20070045547A (ko) 2005-10-27 2005-10-27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55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6015B2 (en) 2012-04-03 2016-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dication ma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6015B2 (en) 2012-04-03 2016-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dication ma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6130B2 (ja) 競争に基づく分散型macを用いた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の受信可否の通知方法
KR102211930B1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US792475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leep-mode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5225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sleep ID of a mobile station in a BWA communication system
US80547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eriodic ranging in sleep mod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751357B2 (en) Power management
US7656832B2 (en) Method for allocating transmission peri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7384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traffic indication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thereof, method for receiving the same, terminal thereof and message structure thereof
US78010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traffic indication messag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860043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US20050054389A1 (en) Method for a fast state transition from a sleep mode to an awake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85642B2 (en) Transitioning between wideband and narrowband communications
US20140161012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optimize power management in an independent basis service set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6009445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mobile terminal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80157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454920B1 (ko) 통신 시스템의 슬립 모드에서 레인징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8010630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4490964B2 (ja) Atimフレームの終端および動的に決定されるatim期間を使用するieee802.11ibssにおける電力管理
KR100744079B1 (ko) 무선망의 예약 슬롯에서 상태 결정 방법
KR20070045547A (ko) 경쟁기반의 분산 mac을 사용하는 무선네트워크를구성하는 무선기기간의 트래픽 수신가능여부 알림방법 및무선기기의 활성/휴지상태 결정방법
KR20050118650A (ko) 분산화 개인용무선네트워크에서의 전력절감 기능을 구비한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