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429A -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 - Google Patents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429A
KR20070045429A KR1020050101708A KR20050101708A KR20070045429A KR 20070045429 A KR20070045429 A KR 20070045429A KR 1020050101708 A KR1020050101708 A KR 1020050101708A KR 20050101708 A KR20050101708 A KR 20050101708A KR 20070045429 A KR20070045429 A KR 2007004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er
receptacle
control box
ca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354B1 (ko
Inventor
엄인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5010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354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전선로에 사용하고 있는 배전자동화 개폐기의 본체와 제어함 내부의 고장 발생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기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와, 상기 케이스 한쪽에 복수개수로 마련되는 리셉터클과, 상기 케이스의 리셉터클과 상기 제어함의 리셉터클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로에 사용하고 있는 배전 자동화 개폐기의 본체의 제작사와 제어함 내의 납품회사가 다르더라도 내부의 고장 발생 부위를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적기에 시행할 수 있어 신뢰도 향상과 상시 가동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시험기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시험기, 케이스, 제어부, 스위치, 리셉터클

Description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The electric supply automation switch the tester which it controls}
도 1은 종래의 배전자동화 개폐기 개요도.
도 2는 종래의 제어함 시험기와 연결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험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험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험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험기의 내부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시험기 10 : 케이스
20 : 제어부 30 : 스위치
40 : 리셉터클 50 : 케이블
본 발명은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 사용하고 있는 배전 자동화 개폐기의 본체의 제작사와 제어함 내의 납품회사가 다르더라도 내부의 고장 발생 부위를 판별할 수 있는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에 사용중인 배전자동화 개폐기는 도시된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배전자동화 개폐기의 제어함(200)에는 개폐기 제어함의 모뎀(210)과 연결되어 개폐기(300)를 주관하는 중앙장치(100)와, 상기 중앙장치(100)와 연결되어 FRTU(FEEDER REMOTE TERMIANL UNIT)(220)로부터 변환된 신호를 중앙장치에 보내주는 모뎀(210)과, 상기 제어함(200)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모뎀(210)에 맞게 변환시켜주는 FRTU(220)와, 상기 개폐기(300)로부터 나오는 전압, 전류 등의 변수들을 중앙장치(100)에 전달하거나 중앙장치(100)에서 나오는 제어명령을 개폐기(300)에 전달하는 제어부(230)와, 상기 제어함(200)과 개폐기(300) 본체를 이어주는 리셉터클(400)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제어함 시험기 연결 개요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개폐기(300) 본체와 제어함(200)을 연결하는 제어 케이블(500)을 분리한 후 제어함 시험기(600)를 핀 부착 보조케이블을 이용하여 제어함(200)과 연결한 후 동작 시험을 통하여 제어부(230), FRTU(220) 및 모뎀(210) 중 어느 부위의 고장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전자동화 개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함은 각각 모뎀과 중앙장치가 연결되고 있고, 제어부는 리셉 터클을 통하여 개폐기 본체와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폐기 본체는 제어함에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 FRTU 및 모뎀을 통하여 중앙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통하여 개폐기 본체는 중앙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어함에 내장된 제어부와 모뎀은 개폐기 본체 제조회사에서 납품하며 FRTU 는 타 회사인 0000에서 납품함으로써 상기 제어함에서 고장 신호 발생시 먼저 0000회사에서 현장 방문하여 FRTU 이상유무를 확인 후 뒤따라 제어부와 모뎀을 납품한 개폐기 본체 제조회사에서 다시 현장 방문 후 고장 유무를 확인하고 보수하는 등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며 비효율적인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배전자동화 개폐기의 리셉터클은 제조회사마다 핀 배열이 상이하므로 고정된 자사 직원만이 상기 제어함의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등 호환성이 없는 등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선로에 사용하고 있는 배전 자동화 개폐기의 본체의 제작사와 제어함 내의 납품회사가 다르더라도 내부의 고장 발생 부위를 판별할 수 있는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 사용하고 있는 배전자동화 개폐기의 본체와 제어함 내부의 고장 발생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기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기 능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와, 상기 케이스 한쪽에 복수개수로 마련되는 리셉터클과, 상기 케이스의 리셉터클과 상기 제어함의 리셉터클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인 시험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시험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시험기의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1)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30)와, 상기 케이스 한쪽에 복수개수로 마련되는 리셉터클(40)과, 상기 케이스의 리셉터클(40)과 상기 제어함(70)의 리셉터클(72)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50)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10)는 전면에 상기 제어부의 기능을 작동 및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30)가 마련되되 상기 스위치(30)는 그의 기능에 맞는 버튼 및 조절식으로 형성되는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전면부에는 손잡이(12)가 양측 가장자리 면에 마련되어 시험기(1) 운반시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험기(10) 상부에 마련되는 리셉터클(40)은 복수개가 형성되는데 여기서는 두 개가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도시된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 개의 리셉터클(40)은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첫 번째 리셉터클(42)은 37개의 핀의 정육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두 번째 리셉터클(44)은 핀이 방사형의 구조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40)은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되 여기서 두 번째 리셉터클(44)은 핀의 면적이 첫 번째 리셉터클(42)의 면적을 다르게 하여 타사와도 호환성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험기(1) 하부에 형성되는 스위치(60)는 서로 다른 자동화 개폐기 회사의 제어함(70)을 시험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스위치로 예를 들면 1)은 진광, 2)는 선일/조양, 3)은 신성, 4)는 평일/P&A, 5)는 FRTU 단말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버튼 등이 마련된다.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부(20)는 도시된 도 7과 같은 회로도 이루어지며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선로전압을 AΦ, BΦ, CΦ으로 선택하여 인가하는 전압선택 전압부와, 선로전류를 AΦ, BΦ, CΦ으로 선택하여 인가하는 전류부와,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전원부와, 시험기에서 설정한 고장전류를 발생시키는 설정전류부와, 상기 제어함 시험중 사용되는 밧데리의 정상 및 불량을 제어하는 밧데리부와, 상기 제어함 시험중 현장, 원방 접점을 제공하는 현장 및 원방부와, 상기 제어함 시험중 문 개방 및 닫힘 기능을 하는 도어부와, 시험기를 투입 및 개방할 때 사용되는 개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기서 설정된 고장전류는 약 180A가 되도록 한 다.
상기와 같이 구성이 이루어진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개폐기 본체와 제어함을 연결하는 제어 케이블을 분리한 후 제어함의 리셉터클과 제어함 시험기의 리셉터클에 보조케이블 부착하여 제어함과 연결한 후 동작시험을 통하여 각종 시험을 통해서 제어부, FRTU 및 모뎀 중 어느 부위의 고장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로에 사용하고 있는 배전 자동화 개폐기의 본체의 제작사와 제어함 내의 납품회사가 다르더라도 내부의 고장 발생 부위를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적기에 시행할 수 있어 신뢰도 향상과 상시 가동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시험기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배전선로에 사용하고 있는 배전자동화 개폐기의 본체와 제어함 내부의 고장 발생 부위를 판별하기 위한 시험기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스위치와;
    상기 케이스 한쪽에 복수개수로 마련되는 리셉터클과;
    상기 케이스의 리셉터클과 상기 제어함의 리셉터클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개폐기 시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로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압부와;
    선로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류부와;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전원부와;
    시험기에서 설정한 고장전류를 발생시키는 설정전류부와;
    상기 제어함 시험중 사용되는 밧데리의 정상 및 불량을 제어하는 밧데리부와;
    상기 제어함 시험중 현장, 원방 접점을 제공하는 현장 및 원방부와;
    상기 제어함 시험중 문 개방 및 닫힘 기능을 하는 도어부와;
    시험기를 투입 및 개방할 때 사용되는 개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개폐기 시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37개의 핀의 정육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개폐기 시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의 핀은 방사형의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 개폐기 시험기.
KR1020050101708A 2005-10-27 2005-10-27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 KR10072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708A KR100723354B1 (ko) 2005-10-27 2005-10-27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708A KR100723354B1 (ko) 2005-10-27 2005-10-27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429A true KR20070045429A (ko) 2007-05-02
KR100723354B1 KR100723354B1 (ko) 2007-05-30

Family

ID=3827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708A KR100723354B1 (ko) 2005-10-27 2005-10-27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568A (ko) * 2012-09-28 2014-04-07 한국전력공사 배전지능화 단말장치의 복합적 신뢰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56759B (zh) * 2016-11-10 2018-12-21 国网湖北省电力公司咸宁供电公司 一种配电自动化设备调试方法及调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711A (en) * 1991-10-01 1993-04-20 Molex Incorporated Modular interchangea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JPH0630145A (ja) * 1992-07-13 1994-02-04 Hitachi Ltd ホームバスシステム
KR100278309B1 (ko) * 1998-12-18 2001-01-15 이계철 통신선로 유지보수 요원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340160B1 (ko) * 2000-10-26 2002-06-12 이종훈 배전용 자동 재폐로차단기 시험장치
KR20060092407A (ko) * 2005-02-17 2006-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버 설비의 hdd 카피용 scsi 변환 젠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568A (ko) * 2012-09-28 2014-04-07 한국전력공사 배전지능화 단말장치의 복합적 신뢰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354B1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130B1 (en) Device for testing solar home systems
CN103389460B (zh) 用于检查电路断路器的测量设备
WO2015174589A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용 배전반
CN104297631A (zh) 用于环网柜配电终端的故障诊断设备及其诊断维修方法
KR100723354B1 (ko) 배전자동화 개폐기 제어함 시험기
CN109644150A (zh) 串联模块、功能模块装置和模块化构造的控制装置
US20210359531A1 (en)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Without Interface Removal
KR101151613B1 (ko) 항공기용 전자부품의 휴대용 시험장치
CN109061456A (zh) 一种检测装置及检测系统
CN112034298A (zh) 一种道岔试验装置
CN204613737U (zh) 开关模拟装置
KR20090078182A (ko) 시험용 단자대
KR200468427Y1 (ko) 휴대용 릴레이 검사장치
US10483748B2 (en) Junction box and network for distributing energy
CZ289127B6 (cs) Zařízení k přezkouąení elektrického pohonu
CN111443281B (zh) 电气闭锁装置及断路器或隔离开关
CN105045198B (zh) 集成式电梯总线盒的自动化检测柜
US20080150361A1 (en) Plasm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4880625A (zh) 电控柜测试装置
CN212301731U (zh) 一种道岔试验装置
CN217880076U (zh) 单电控设备模拟装置
CN219641218U (zh) 一种断路器机械寿命测试装置
CN215340206U (zh) 开关测试装置
KR10241556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전력 제어 시스템
CN212965210U (zh) 母线pt切换装置测试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