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693A - Electron emission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 emiss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693A
KR20070044693A KR1020050100902A KR20050100902A KR20070044693A KR 20070044693 A KR20070044693 A KR 20070044693A KR 1020050100902 A KR1020050100902 A KR 1020050100902A KR 20050100902 A KR20050100902 A KR 20050100902A KR 20070044693 A KR20070044693 A KR 20070044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emission
gate electrode
cathode electrode
electrod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규원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4693A/en
Publication of KR2007004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6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03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shape
    • H01J2201/30426Coatings on the emitter surface, e.g. with low work funct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7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arge area or array sources, i.e. essentially a source for each pixel group

Landscapes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효과를 방지하여 전자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자 방출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된 캐소오드 전극;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절연하는 절연체층; 상기 캐소오드 전극이 드러나도록 상기 절연체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에 형성된 전자 방출원 홀; 상기 전자 방출원 홀 내에 배치되고, 주변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된 시드 레이어; 상기 시드 레이어 상에 형성된 촉매층; 및 상기 촉매층에 부착된 기부들 간의 거리가 단부들 간의 거리보다 작으며, 세장비가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전자 방출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를 제공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 emitting device of a novel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screen effect to improve the electron emission efficiency.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strate;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 gate electrode dispos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An insulator laye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to insulate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An electron emission source hole formed in the insulator layer and the gate electrode to expose the cathode electrode; A seed layer disposed in the electron emission hole and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from the periphery toward the center; A catalyst layer formed on the seed layer; And a plurality of electron emission emitters having a distance between the bases attached to the catalyst layer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and having a large size.

Description

전자 방출 소자{Electron emission device}Electron emission device

도 1은 종래 전자 방출 소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ctron emitting device and a display device.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방출 소자의 전자 방출원의 표면을 rfir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rfir surface of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of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IV 부분의 확대도. 5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IV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0: 스페이서 70: 형광체층60: spacer 70: phosphor layer

80: 애노드 전극 90: 제2기판80: anode electrode 90: second substrate

100, 200: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100, 200: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101, 200: 전자 방출 소자 101, 200: electron emission device

102: 전면 패널 103: 발광 공간102: front panel 103: light emitting space

110: 제1기판 120: 캐소오드 전극110: first substrate 120: cathode electrode

130: 제1절연체층 131: 전자 방출원 홀130: first insulator layer 131: electron emission source hole

135: 제2절연체층 140: 게이트 전극135: second insulator layer 140: gate electrode

145: 집속 전극 150, 250: 전자 방출원145: focusing electrode 150, 250: electron emission source

151: 카본 나노 튜브 251: 시드 레이어151: carbon nanotube 251: seed layer

252: 촉매층 253: 전자 방출 물질252: catalyst layer 253: electron-emitting material

본 발명은 전자 방출 소자(electron emission elemen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방출 효율이 증가된 전자 방출 소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 emission el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 emission element having an increased electron emission efficiency.

일반적으로 전자 방출 소자는 전자 방출원으로 열음극을 이용하는 방식과 냉음극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냉음극을 이용하는 방식의 전자 방출 소자로는, FED(Field Emission Device)형, SCE(Surface Conduction Emitter)형, MIM(Metal Insulator Metal)형 및 MIS (Metal Insulator Semiconductor)형, BSE(Ballistic electron Surface Emitting)형 등이 알려져 있다. In general, an electron emission device includes a method using a hot cathode and a cold cathode as an electron emission source. Examples of electron emission devices using a cold cathode include field emission device (FED) type, surface conduction emitter (SCE) type, metal insulator metal (MIM) type, 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MIS) type, and ballistic electron surface emitting (BSE) type. ) And the like are known.

상기 FED형은 일함수(Work Function)가 낮거나 베타 함수(?? Function)가 높은 물질을 전자 방출원으로 사용할 경우 진공 중에서 전계 차이에 의하여 쉽게 전자가 방출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몰리브덴(Mo), 실리콘(Si) 등을 주된 재질로 하는 선단이 뾰족한 팁(tip)구조물이나 그래파이트(graphite), DLC(Diamond Like Carbon) 등의 탄소계 물질 그리고 최근 나노 튜브(Nano Tube)나 나노와이어(Nano Wire)등의 나노 물질을 전자 방출원으로 적용한 소자가 개발되고 있다. The FED type uses the principle that electrons are easily released due to electric field difference in vacuum when a materi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or a high beta function is used as an electron emission source. Molybdenum (Mo), Tip structure with the main material made of silicon (Si) etc., carbon-based materials such as graphite and DLC (Diamond Like Carbon), and recent nano tube or nano wire Devices using nanomaterials such as electron emission sources have been developed.

상기 SCE형은 제1기판 위에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도전 박막을 제공하고 상기 도전 박막에 미세 균열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방출원을 형성한 소자이다. 상기 소자는 상기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도전 박막 표면으로 전류를 흘려 미세 균열인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The SCE type is a device in which an electron emission source is formed by providing a conductive thin film between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a first substrate and providing a micro crack in the conductive thin film. The device uses a principle that electrons are emitted from an electron emission source that is a micro crack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s to flow a current to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thin film.

상기 MIM형과 MIS형 전자 방출 소자는 각각 금속-유전층-금속(MIM)과 금속-유전층-반도체(MIS)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 방출 원을 형성하고, 유전층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두 금속 또는 금속과 반도체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때 높은 전자 전위를 갖는 금속 또는 반도체로부터, 낮은 전자 전위를 갖는 금속 방향으로 전자가 이동 및 가속되면서 방출되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The MIM type and the MIS type electron emission devices each form an electron emission source having a metal-dielectric layer-metal (MIM) and metal-dielectric layer-semiconductor (MIS) structure, and are disposed between two metals or metals with a dielectric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semiconductors, a device using the principle of emitting electrons is moved and accelerated from a metal or semiconductor having a high electron potential toward a metal having a low electron potential.

상기 BSE형은 반도체의 사이즈를 반도체 중의 전자의 평균 자유 행정 보다 작은 치수 영역까지 축소하면 전자가 산란하지 않고 주행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오믹(Ohmic) 전극 상에 금속 또는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공급층을 형성하고, 전자 공급층 위에 절연체층과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오믹 전극과 금속 박막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전자가 방출되도록 한 소자이다. The BSE type uses the principle that electrons travel without scattering when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is reduced to a dimension area smaller than the average free stroke of the electrons in the semiconductor, thereby forming an electron supply layer made of a metal or a semiconductor on an ohmic electrode. And an insulator layer and a metal thin film formed on the electron supply layer to emit electrons by applying power to the ohmic electrode and the metal thin film.

이중에서 FED형 전자 방출 소자는 캐소드 전극과 게이트 전극의 배치 형태에 따라 크게 탑 게이트형(top gate type)과 언더 게이트형(under gate type)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용되는 전극의 개수에 따라 2극관, 3극관 또는 4극관 등으로 나 눌 수 있다. FED형 전자 방출 소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경우의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Among them, the FED type electron emission device can be classified into a top gate type and an under gate ty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depending on the number of electrodes used. It can be divided into a pole tube, a triode or a quadrupole.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display device using an FED type electron emission device i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도 1에는 종래의 탑 게이트형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op gate typ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진공인 발광 공간(103)을 형성하는 전자 방출 소자(101) 및 전면 패널(102)과, 상기 전자 방출 소자(101) 및 전면 패널(10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는 스페이서(6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ventional 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n electron emission element 101 and a front panel 102 that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 light emitting space 103 that is a vacuum. A spacer 60 is provided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electron emission element 101 and the front panel 102.

상기 전자 방출 소자(101)는, 제1기판(110), 상기 제1기판(110) 상에 교차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140)들과 캐소오드 전극(120)들 및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층(130)을 구비한다.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101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110, gate electrodes 140, cathode electrodes 120, and the gate electrode 140 arranged to intersect o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an insulator layer 130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120 and the gate electrode 140 to electrically insulate the cathode electrode 120.

상기 게이트 전극(140)들과 상기 캐소드 전극(120)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는 전자 방출원 홀(13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전자 방출원(150)이 배치되어 있다. Electron emission holes 131 are formed in regions where the gate electrodes 140 and the cathode electrode 120 cross each other, and an electron emission source 150 is disposed therein.

상기 전면 패널(102)은 제2기판(90), 상기 제2기판(90)의 저면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80), 상기 애노드 전극(80)의 저면에 배치된 형광체층(70)을 구비한다. The front panel 102 includes a second substrate 90, an anode electrode 80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90, and a phosphor layer 70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80. do.

도 3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방출 소자의 전자 방출원의 표면의 확대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 3 schematically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surface of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of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본 나노 튜브가 전자 방출 물질로 사용된 경우에는 전자 방출원(150) 표면에 분포하는 카본 나노 튜브(151)들이 균일하게 분포하지 못하고 특정 부분(ⓐ)에는 카본 나노 튜브(151)가 집중되고 어떤 부분(ⓑ)에는 카본 나노 튜브(151)의 밀도가 작게 분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카본 나노 튜브(151)들이 집중되어 분포하는 부분(ⓐ)에서보다 카본 나노 튜브(151)의 분포 밀도가 낮은 부분(ⓑ)에서 전자 방출이 더 원활하게 일어난다. 이는 전계가 도면의 ⓕ)로 지칭된 선과 같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카본 나노 튜브(151)가 뭉쳐있는 곳에서는 각각의 카본 나노 튜브(151)의 주위로 전계가 형성되지 못하고 밀집된 카본 나노 튜브(151) 전체 주위로 전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밀집된 곳(ⓐ)의 안쪽에 있는 카본 나노 튜브들은 전자 방출에 기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스크린 효과(screen effect)라 하고, 이러한 스크린 효과를 방지하여 전자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자 방출 소자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스크린 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자 방출 소자를 이용하여 전자 방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휘도가 증가되어 발광 효율이 크게 향상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carbon nanotube is used as an electron emission material, the carbon nanotubes 151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150 may not be uniformly distributed, and the carbon nanotubes may be disposed in a specific portion ⓐ. The tube 151 may be concentrated, and the density of the carbon nanotubes 151 may be distributed in a portion ⓑ. In this case, electron emission occurs more smoothly in the portion ⓑ where the carbon nanotubes 151 have a lower distribution density than in the portion ⓐ where the carbon nanotubes 151 are concentrated. This is because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like a line referred to as ⓕ) in the drawing. That is, in the place where the carbon nanotubes 151 are aggregated, since an electric field is not formed around each carbon nanotube 151 and an electr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entirety of the concentrated carbon nanotubes 151, The inner carbon nanotubes do not contribute to the electron emission. This phenomenon is called a screen effect,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lectron emitting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screen effect and improve electron emission efficienc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having a significantly improved luminous efficiency due to an increase in luminance as an electron emission amount is increased by using an electron emission element having a new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such a screen eff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효과를 방지하여 전자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자 방출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 emitting device of a novel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electron emission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screen effec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된 캐소오드 전극;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절연하는 절연체층; 상기 캐소오드 전극이 드러나도록 상기 절연체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에 형성된 전자 방출원 홀; 상기 전자 방출원 홀 내에 배치되고, 주변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된 시드 레이어; 상기 시드 레이어 상에 형성된 촉매층; 및 상기 촉매층에 부착된 기부들 간의 거리가 단부들 간의 거리보다 작으며, 세장비가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전자 방출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bstrate;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 gate electrode dispos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An insulator laye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to insulate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An electron emission source hole formed in the insulator layer and the gate electrode to expose the cathode electrode; A seed layer disposed in the electron emission hole and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from the periphery toward the center; A catalyst layer formed on the seed layer; And an electron emiss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on emission emitters,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s attached to the catalyst layer is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and wherein the evaporation source is large.

여기서, 상기 시드 레이어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촉매층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거나, 약산 음이온 기를 가지는 금속염(metal salt)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ed layer is preferably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the catalyst layer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made of a metal salt (metal salt) having a weak acid anion group.

여기서, 상기 금속염은 아세테이트(acetate) 기, 옥살레이트(oxalate) 기 및 카보네이트(carbonate) 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금속염은 철(Fe), 니켈(Ni), 코발트(Co) 및 이트륨(Y)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etal salt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etate group, an oxalate group, and a carbonate group, and the metal salt is iron (Fe), nickel (Ni), cobal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 and yttrium (Y).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측을 덮는 제2절연체층과, 상기 제2절연체층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고, 상기 제2절연체층의 상측에 배치된 집속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sulator layer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gate electrode, and a focusing electrode insulated from the gate electrode by the second insulator layer,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sulator layer. The an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V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V of FIG. 4.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200)는, 제1기판(110), 캐소오드 전극(120), 게이트 전극(140), 제1절연체층(130) 및 전자 방출원(25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ubstrate 110, a cathode electrode 120, a gate electrode 140, and a first electrode. An insulator layer 130 and an electron emission source 250.

상기 제1기판(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 석영 유리, 소량의 Na과 같은 불순물을 함유한 유리, 판유리, SiO2가 코팅된 유리 기판, 산화 알루미늄 또는 세라믹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유연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first substrate 110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Quartz glass, glass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impurities such as Na, plate glass, a glass substrate coated with SiO 2 , aluminum oxide, or a ceramic substrate may be used. have. In addition, when implementing a flexible display apparatus, a flexible material may be used.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은 상기 제1기판(110)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통상의 전기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Al, Ti, Cr, Ni, Au, Ag, Mo, W, Pt, Cu, Pd 등의 금속 또는 그 합금, 유리 및 Pd, Ag, RuO2, Pd-Ag 등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인쇄된 도전체, In2O3 또는 SnO2 등의 투명 도전체, 또는 다결정실리콘(polysilicon) 등의 반도체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The cathode electrode 120 is dispos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o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may be made of a conventional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metals such as Al, Ti, Cr, Ni, Au, Ag, Mo, W, Pt, Cu, Pd or alloys thereof, glass and metals or metal oxides such as Pd, Ag, RuO 2 , Pd-Ag It may be made of a printed conductor consisting of a transparent conductor such as In 2 O 3 or SnO 2 , or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polysilicon.

상기 게이트 전극(140)은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과 상기 절연체층(1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과 같이 통상의 전기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gate electrode 140 may be disposed with the cathode electrode 120 and the insulator laye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may be made of a conventional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like the cathode electrode 120.

상기 절연체층(130)은,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과 게이트 전극(140)을 절연함으로써 두 전극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insulator lay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140 and the cathode electrode 120 to insulate the cathode electrode 120 and the gate electrode 140 to generate a short between the two electrodes. prevent.

상기 전자 방출원(250)은 주변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된 시드 레이어(251), 상기 시드 레이어(251)의 표면에 형성된 촉매층(252), 상기 촉매층(252)상에 형성된 전자 방출 물질(253)을 포함한다.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250 may include a seed layer 251 formed narrower from a periphery to a central portion, a catalyst layer 252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ed layer 251, and an electron emission material formed on the catalyst layer 252. 253).

상기 시드 레이어(251)는 예를 들어 PI(PolyImide)와 같은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방출원 홀(131)에 PI를 소정 두께로 채우고, 측면 에칭(side etching)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하여 상기 PI의 형상이 주변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ed layer 251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polyimide (PI). In this case,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hole 131 may be filled with PI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de etching may be actively per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PI becomes narrower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portion.

또는, 상기 시드 레이어(251)를 반구형에 가깝게 형성할 수 있다. 즉, PI를 액체 상태에서 소정량 전자 방출원 홀(131)에 떨어뜨리면, 액체의 표면 장력에 의해 반구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PI를 응고시켜 시드 레이어(251)를 반구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ed layer 251 may be formed to be close to hemispherical. That is, when PI is dropped into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hole 131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liquid state, it is formed into a shape that is close to hemispherical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In this state, the PI may be solidified to form the seed layer 251 in a shape close to hemispherical shape.

상기 시드 레이어(251)의 표면에는 촉매층(252)이 형성된다. 상기 촉매층(252)은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빔 스퍼터링(e-beam sputtering)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catalyst layer 25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ed layer 251. The catalyst layer 252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n this case, may be formed by e-beam sputtering.

또는, 상기 촉매층(252)은 금속염(metal salt)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촉매층(252)은 소정 용매에 금속염이 용해된 용액을 상기 시드 레이어 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액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방법 또는 디핑(dipping) 방법에 의하여 시드 레이어(251) 상에 도포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atalyst layer 252 may be made of metal salt. In this case, the catalyst layer 252 is formed by applying a solution in which a metal salt is dissolved in a predetermined solvent on the seed layer and drying it. Here, the solution may be applied onto the seed layer 251 by spin coating or dipping.

여기서 금속염은 TMAH(Tetramethylammonium Hydroxide)와 같은 강염기 현상액에 용해될 수 있도록 약산 음이온 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산 음이온 기로는 아세테이트(acetate)기, 옥살레이트(oxalate)기 및 카보네이트(carbonate)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염은 철(Fe), 니켈(Ni), 코발트(Co) 및 이트륨(Y)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매로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및 에탄올(ethanol)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염은 상기 용매에 대해서 상온에서 대략 1mM 이상의 용해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염은 아세톤(acetone),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포토레지스트 스트립(photoresist strip) 용 용매에는 용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etal salt preferably has a weak acid anion group so that it can be dissolved in a strong base developer such as TMAH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he weak acid anion group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etate group, an oxalate group, and a carbonate group. In addition, the metal sal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on (Fe), nickel (Ni), cobalt (Co), and yttrium (Y). In addition, at least one of ethylene glycol and ethanol may be used as the solvent. In this case, the metal salt preferably has a solubility of about 1 mM or more at room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solvent. In addition, the metal salt is preferably insoluble in acetone, isopropyl alcohol, and a solvent for a photoresist strip.

상기 시드 레이어(251)가 PI와 같이 전기전도성이 없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촉매층(252)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촉매층(252)과 상기 전자 방출 물질(253)로 인가될 수 있다. When the seed layer 25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no electrical conductivity, such as PI, the catalyst layer 25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Thus, a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120 may be applied to the catalyst layer 252 and the electron emission material 253.

상기 전자 방출 물질(253)은 상기 촉매층(252) 위에 형성된 일함수가 작고, 베타 함수가 크며, 세장비(細長比)가 큰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와 같은 물질일 수 있다. 또는 카본 나노 튜브 대신에 그래파이트,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 등의 탄소계 물질이나, 나노 와이어, 나노 니들, 나노 로드 등의 나노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카본 나노 튜브는 전자 방출 특성이 우수하여 저전압 구동이 용이하므로, 이를 전자 방출 물질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면적화에 유리하다. The electron emission material 25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carbon nano tube (CNT) having a small work function, a large beta function, and a large fineness formed on the catalyst layer 252. Alternatively, the carbon nanotubes are preferably made of carbon-based materials such as graphite, diamond, diamond-like carbon, or nanomaterials such as nanowires, nanoneedles, and nanorods. In particular, since the carbon nanotubes have excellent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are easily driven at low voltage, the carbon nanotubes are advantageous for large area of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s an electron emission material.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 방출 소자(200)는 캐소오드 전극에 (-)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전극에 (+)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2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apply the negative voltage to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positive voltage to the gate electrode to emit electrons from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전자 방출 소자는 가시광선을 발생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의 제1기판(11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기판(90), 상기 제2기판(90) 상에 설치되는 애노드 전극(80) 및 상기 애노드 전극(80)에 설치된 형광체층(70)을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n emitting device described so far can be used in a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n image by generating visible light. In order to configure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substrate 90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strate 110 of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electrode 80 provided on the second substrate 90 and the It further includes a phosphor layer 70 provided on the anode electrode (80).

또한, 단순히 램프로서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캐소오드 전극(120) 및 상기 게이트 전극(140)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thode electrode 120 and the gate electrode 140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image instead of simply generating visible light as a lamp.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140)들과 상기 캐소드 전극(120)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는 전자 방출원 홀(131)들이 형성하여, 그 내부에 전자 방출원(250)을 배치한다. In addition, electron emission source holes 131 are formed in regions where the gate electrodes 140 and the cathode electrode 120 cross each other, and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250 is disposed therein.

상기 제1기판(110)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200)와 상기 제2기판(90)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102)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대향되어 발광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 방출 소자(200)와 전면 패널(102) 사이의 간격의 유지를 위해 스페이서(60)들이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60)는 절연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200 including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front panel 102 including the second substrate 90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light emitting space, and the electron Spacers 60 are disposed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emitting element 200 and the front panel 102. The spacer 6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또한, 내부의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프리트(frit)로 전자 방출 소자(200)와 전면 패널(102)이 형성하는 공간의 둘레를 밀봉하고, 내부의 공기 등을 배기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vacuum in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space formed by the electron emission element 200 and the front panel 102 is sealed, and the air inside is exhausted.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A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operates as follows.

전자 방출을 위해 캐소오드 전극(120)에 (-)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전극(140)에는 (+) 전압을 인가하여 캐소오드 전극(120)에 설치된 전자 방출원(250)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애노드 전극(80)에 강한 (+)전압을 인가하여 애노드 전극(80) 방향으로 방출된 전자를 가속시킨다. 이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 방출원(250)을 구성하는 침상의 물질들로부터 전자가 방출되어 게이트 전극(140)을 향해 진행하다가 애노드 전극(80)을 향해 가속된다. 애노드 전극(80)을 향하여 가속된 전자는 애노드 전극(80)측에 위치하는 형광체층(70)에 부딪히면서 가시광선을 발생시키게 된다.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250 installed on the cathode electrode 120 by applying a negative voltage to the cathode electrode 120 and applying a positive voltage to the gate electrode 140 for electron emission. To be possible. In addition, a strong (+)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80 to accelerate electrons emitted toward the anode electrode 80. When the voltage is applied in this way,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needle-like materials constituting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250, proceed toward the gate electrode 140, and are accelerated toward the anode electrode 80. Electrons accelerated toward the anode electrode 80 hit the phosphor layer 70 positioned on the anode electrode 80 to generate visible light.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자 방출 소자에서 사용된 저항층(125)에 의해 화소를 이루는 전자 방출원들에 인가되는 전압이 균일하게 되어 화소간의 휘도 균일도가 높아지고, 화상의 품위가 향상된다. On the other h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n emission sources constituting the pixel is made uniform by the resistive layer 125 used in the electron emission ele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luminance uniformity between pixels is increased and the image quality is improved.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조 방법은 일 실시예일 뿐이고 반드시 아래의 방법으로 제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below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necessarily to be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method.

먼저, 제1기판(110), 캐소오드 전극(120), 절연체층(130) 및 게이트 전극(140)을 형성하는 소재를 순서대로 소정 두께로 적층한다. 적층은 스크린 프린팅과 같은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materials for forming the first substrate 110, the cathode electrode 120, the insulator layer 130, and the gate electrode 140 are sequentially stack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Lamin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by a process such as screen printing.

그 다음, 상기 게이트 전극(140)의 상면에 소정의 두께로 마스크 패턴(mask pattern)을 형성한다. 상기 마스크 패턴의 형성은 전자 방출원 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PR)를 도포하고 UV나 이-빔(E-beam)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수행된다. Next, a mask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te electrode 140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mask pattern is formed to form an electron emission hole, and is perform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in which a photoresist (PR) is applied and a pattern is formed using UV or E-beam. .

그 다음, 상기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게이트 전극(140), 절연체층(130) 및 캐소오드 전극(120)을 식각하여 전자 방출원 홀(131)을 형성한다. 식각 공정은 게이트 전극(140), 절연체층(130) 및 캐소오드 전극(120)의 재료, 두께 등에 따라 식각액을 이용하는 습식 식각이나, 부식성 가스를 이용하는 건식 식각 또는 이온 빔(ion beam) 등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머시닝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gate electrode 140, the insulator layer 130, and the cathode electrode 120 are etched using the mask pattern to form an electron emission source hole 131. The etching process uses wet etching using an etchant, dry etching using an corrosive gas, or an ion beam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gate electrode 140, the insulator layer 130, and the cathode electrode 120. It can be made by a micro machining method.

그 다음, 액체 상태의 PI를 상기 전자 방출원 홀의 중앙부에 떨어뜨린다. 액체 상태에서는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에 의해 PI가 소정의 접촉각(contact angle)을 이루면서 상기 캐소오드 전극 상에 배치되고, 이것을 응고시켜 시드 레이 어를 형성한다. 형성된 시드 레이어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Then, the PI in the liquid state is dropped in the center of the electron emission hole. In the liquid state, PI is disposed on the cathode electrode at a predetermined contact angle by surface tension and solidified to form a seed layer. The formed seed layer is made into a shape that is substantially hemispherical.

그 다음, 이-빔 스퍼터링 등을 사용하여 상기 시드 레이어의 표면에 촉매층을 형성한다. 상기 촉매층이 완성되면, 반응성 가스를 사용하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직접 성장법을 사용하여 카본 나노 튜브를 상기 촉매층의 표면에 성장시킨다. Then, a catalyst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ed layer using e-beam sputtering or the like. When the catalyst layer is completed, carbon nanotubes are grown on the surface of the catalyst layer by us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direct growth method using a reactive gas.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을 거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Through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an electron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가 보시되어 있다.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on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전자 방출 소자의 구조에 제2절연체층(135) 및 집속 전극(145)이 추가된 것이다. As shown in FIG. 6, in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sulator layer 135 and the focusing electrode 145 are added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상기 집속 전극(145)은 상기 제2절연체층(135)에 의해 게이트 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캐소오드 전극(120)과 게이트 전극(140)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전자 방출원(250)에서 방출되는 전자들이 가능한 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면 패널(102)의 애노드 전극(80)을 향하여 직진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집속 전극(145)의 소재는 캐소오드 전극(120) 및 게이트 전극(140)과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The focusing electrode 145 is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gate electrode 140 by the second insulator layer 135. In addition, electrons emitted from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250 by the electric field formed by the cathode electrode 120 and the gate electrode 140 may be used as shown in FIGS. 1 to 3 of the front panel 102 as much as possible. It functions to go straight toward the anode electrode (80). The material of the focusing electrode 145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like the cathode electrode 120 and the gate electrode 140.

이와 같이 집속 전극(145)을 더 구비하는 전자 방출 소자의 경우에도 전자 방출원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질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을 이용하여 카본 나노 튜브를 성장시킴으로써 전자 방출 물질로 사용되는 카본 나노 튜브의 단부간의 거리가 서로 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효과를 억제하여 전자 방출이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further including the focusing electrode 145,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can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carbon nanotubes are grown using the shape. By doing so,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carbon nanotubes used as the electron emission material may be formed to be far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screen effect can be suppressed so that electron emission can occur smoothly.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소자에서는 전자 방출 물질로 사용되는 카본계 물질이나 나노 물질들의 단부가 기부에 비하여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 효과를 피할 수 있고, 전자 방출이 더욱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d portions of the carbon-based material or nanomaterials used as the electron emission material are formed to be farther from each other than the base. Accordingly, the screen effect can be avoided and electron emission can occur more smoothly.

또한, 이러한 스크린 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자 방출 소자를 이용하여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전자 방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휘도가 증가하여 장치의 발광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lementing th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using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prevent such a screen effect, the luminance is increased as the amount of electron emission is increased can greatly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전자 방출 소자를 간이한 공정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emitting device having the above effects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 simple proces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제1기판; A first substrate;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된 캐소오드 전극;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배치된 게이트 전극; A gate electrode dispos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절연하는 절연체층; An insulator laye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to insulate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상기 캐소오드 전극이 드러나도록 상기 절연체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에 형성된 전자 방출원 홀; An electron emission source hole formed in the insulator layer and the gate electrode to expose the cathode electrode; 상기 전자 방출원 홀 내에 배치되고, 주변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게 형성된 시드 레이어; A seed layer disposed in the electron emission hole and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from the periphery toward the center; 상기 시드 레이어 상에 형성된 촉매층; 및 A catalyst layer formed on the seed layer; And 상기 촉매층에 부착된 기부들 간의 거리가 단부들 간의 거리보다 작으며, 세장비가 크게 형성된 다수의 전자 방출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An electron emiss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on emission emitters,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s attached to the catalyst layer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and the elongation is lar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드 레이어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 소자. And the seed layer is substantially hemispherical in shap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촉매층은 금속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 소자. And the catalyst layer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촉매층은 약산 음이온 기를 가지는 금속염(metal salt)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 소자. The catalyst layer is an electron e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etal salt (metal salt) having a weak acid anion group.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금속염은 아세테이트(acetate) 기, 옥살레이트(oxalate) 기 및 카보네이트(carbonate) 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 소자. And the metal sal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ate groups, oxalate groups, and carbonate grou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철(Fe), 니켈(Ni), 코발트(Co) 및 이트륨(Y)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 소자.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etal salt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on (Fe), nickel (Ni), cobalt (Co), and yttrium (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측을 덮는 제2절연체층과, A second insulator layer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gate electrode; 상기 제2절연체층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절연되고, 상기 제2절연체층의 상측에 배치된 집속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 소자. And a focusing electrode insulated from the gate electrode by the second insulator layer and disposed above the second insulator lay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소오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 소자. And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gate electrode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KR1020050100902A 2005-10-25 2005-10-25 Electron emission device KR200700446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902A KR20070044693A (en) 2005-10-25 2005-10-25 Electron emis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902A KR20070044693A (en) 2005-10-25 2005-10-25 Electron emiss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693A true KR20070044693A (en) 2007-04-30

Family

ID=3817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902A KR20070044693A (en) 2005-10-25 2005-10-25 Electron emiss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469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2418B2 (en) Electronic emission devic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JP4880568B2 (en)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ing device and electron source using the electron-emitting device
JP503810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ing device, surface conduction electron-emitting device, and electron source using the electron-emitting device
JP2003178703A (en) Flat displ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432645B2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the same
KR20070105489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241161A (en) Electron emitting sour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display device
KR20060114865A (en) Electron emitt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44693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KR100898071B1 (en) Electron emission device, 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28000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10084384A (en) Triode structure field emission display using carbon nanotube
KR20070046606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112450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having beam focus structure using dielectric layer
KR20070046610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82338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04314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 emission source and electron emission source
JP2004227822A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70079248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KR101000662B1 (en) Field emission device
KR100763893B1 (en) Preparation of electron emission device having grooved carbon nanotube layer
KR20060124967A (en) Electron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79251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23957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11805A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