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40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408A
KR20070043408A KR20050099668A KR20050099668A KR20070043408A KR 20070043408 A KR20070043408 A KR 20070043408A KR 20050099668 A KR20050099668 A KR 20050099668A KR 20050099668 A KR20050099668 A KR 20050099668A KR 20070043408 A KR20070043408 A KR 2007004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mmunication terminal
status notification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9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9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3408A/ko
Publication of KR2007004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408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알림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상태를 알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매칭되게 저장하는 제 1단계,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발생시,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측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단계,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하고, 그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파악하고, 상태 변화 내용을 파악하는 제 3단계 및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내용을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상태, 홈 위치등록기, 단문메시지서비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st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이동통신 단말기A 20: 기지국
30: 기지국 제어기 40: A측 이동통신 교환국
50: A측 홈 위치등록기 60: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
61: 서비스처리부 62: 데이터베이스
63: 단문메시지처리부 70: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80: B측 홈 위치등록기 90: B측 이동통신 교환국
100: 이동통신 단말기B
본 발명은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알림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상태를 알게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개인 간에 직접 연락이 가능해지고 긴급한 데이터 전송 등의 편리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발신자가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통화 가능한 상태인가를 알지 못한 채 수신자와의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이때,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불가능 상태인 경우 통화가 연결되지 않아 발신자는 계속해서 수신자와의 통화를 시도해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된다.
예를 들어,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거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 음영지역 등에 위치하여 통화 불능 상태가 되었을 경우, 이를 알지 못하는 발신자는 언제 수신자와의 통화가 성립될지 알지 못하여 수시로 통화 시도를 해야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접속이 좋지 않아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정도의 상태에서 발신 단말기와 통화가 연결되면 나쁜 통화품질로 인하여 통화가 불가능해지고 결국 재통화를 시도해야하기 때문에 이는 이동통신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까지 초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을 경우 통화를 시도한 발신 단말기 측에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꺼져있어 통화할 수 없다는 내용의 안내멘트를 전송하고 있다. 그러나 그외에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갑자기 배터리가 분리되거나, 위치가 음영지역으로 이동하여 통화 불가능 상태가 되거나, 전원 켜짐과 통화 가능 지역으로의 복귀로 통화 가능 상태로 전환될 경우 이를 알리는 서비스는 실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수신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상태 변화를 미리 알려주어 불필요한 통화 시도를 줄일 수 있는 서비스를 원하고 있으나, 현재의 이동통신 서비스로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미리 발신자에게 알리는 서비스가 없어 사용자의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변화할 경우, 그 상태 변화를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둔 이동통신 단말기에 알림으로써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매칭되게 저장하는 제 1단계,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발생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측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단계,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하고, 그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상태 변화 내용을 파악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내용을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알림을 받을 것인가를 묻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응답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홈 위치등록기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지정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알리는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가입 사실을 인증하고,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받아,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해둔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상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A(10),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ystem)(20),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30), A측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40), A측 홈 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50),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70), B측 홈 위치등록기(80), B측 이동통신 교환국(90), 이동통신 단말기B(100)를 포함한다.
상태 알림 서비스는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ON)/오프(OFF) 상태, 통신 불가능 상태(통신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가 불량한 상태)를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둔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메시지로 알리는 서비스이다.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의 사용자는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를 통해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 및 통화 가능 상태를 미리 알 수 있어 불필요한 통화시도를 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하여 한정된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태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변화되는 상태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체의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거나, 컴퓨터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고객센터의 웹 페이지 상에서 상태 알림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알림 서비스 대상이 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이거나 그룹 형태의 여러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록될 수 있으며, 상기 그룹 형태의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서비스 가입 요청을 받은 상기 고객센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를 관리하는 A측 홈 위치등록기(50)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가입자 프로파일에 상기 서비스 가입 사실을 등록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에 상기 등록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다.
기지국(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와 계속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로부터 수신받은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 Signal Strength Indication) 변화와 전원 온(ON)/오프(OFF) 등의 모든 상태 변화는 기지국 제어기(30)를 통해 상기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으로 전송된다.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통화를 담당하는 교환국으로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30)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 변화를 통보받아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에 알린다.
A측 홈 위치등록기(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위치정보와 가입자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등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A측 홈 위치등록기(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 변화가 발생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상태 알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여 인증한다.
일반적으로, A측 홈 위치등록기(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변화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위치정보 관리를 통해 확인한다.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계속적인 무선 신호 송수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홈 위치 등록기에 등록하게 되는데 이때, 홈 위치등록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이 오지 않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신호가 끊기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전원 꺼짐 상태로 변경하거나 마지막으로 위치 등록이 일어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해둔다.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A측 홈 위치등록기(50)에 상태 변화가 등록되는 경우는 여러 가지의 경우가 있는데, 전원의 온(ON)/오프(OFF)가 발생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정상적인 서비스를 위해 일정 주기마다 행하는 위치등록을 할 경우, 위치영역 변경에 따른 위치 등록을 할 경우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사용자의 키(Key)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오프(OFF) 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20)은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원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기(30)를 통해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에 이사실을 알리고,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은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에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원 오프(OFF) 상태 등록을 요청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원 오프(OFF) 상태가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에 등록되면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는 이 사실을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로 알리고 서비스 요청을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원이 온(ON) 되는 경우, 전원 온(ON) 신호가 상기 기지국(10)에 수신되면 전원 오프(OFF)와 마찬가지 과정을 거쳐 상태 알림 서비스가 요청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한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원 오프(OFF)가 사용자의 키(Key) 조작이 아닌 배터리 방전 또는 갑작스런 배터리 분리로 인한 오프(OFF)일 경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음영지역 (건물 지하 등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지역) 등에 위치하여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위치등록을 통한 상태 등록이 가능하다.
배터리 방전과 분리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원이 오프(OFF) 된 경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일정 주기마다 요청하던 주기 위치등록 요청이 갑자기 끊기므로 상기 기지국(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신호를 보낸 후 그 응답을 기다리게 되고 그 응답이 없을 경우 이 사실을 상기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에 알리게 된다. 상기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마지막으로 위치등록을 요구했던 지역의 부근에 있는 각 기지국들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와의 동기화를 위한 신호 전송을 명령하고, 주변 기지국들에서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신호가 잡히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통신 불가능 상태를 상기 A측 홈 위치 등록기에 알린다.
또한, 상기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마지막으로 위치등록된 장소에서 일정거리 이상 벗어난 경우 위치등록을 명령하는 거리기준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기지국(20)과의 통신이 어려운 거리에 있을 경우 기지국(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확인한다. 이때, 기지국(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이사실을 상기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으로 알리고 상기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에 위치등록을 요구한다. 그런 후, 이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통신 불가능 상태를 상기 A측 홈 위치 등록기(50)에 알린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통신 불가능 상태 알림을 수신한 상기 A 측 홈 위치 등록기(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를 전원 오프(OFF) 또는 통화 불가능 상태로 인식하고 이 상태를 등록한 후,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에 알려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원이 온(ON)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음영지역에 위치하여 통화 불가능하였던 상태에서 다시 통화 가능권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기지국(20)과 통신을 재개하면 다시 위치등록을 통해 상기 A측 홈 위치 등록기(50)에 통화 가능 상태가 등록된다. 이렇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가 변화되면 상기 A측 홈 위치 등록기(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10)의 통화 가능 상태를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에 알려 상태 알림 서비스를 요청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각 상태 변화는 상기 A측 홈 위치 등록기(50)에 등록될 때 각 상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등록된 후, 상기 A측 홈 위치 등록기(50)가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로 전송하는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다.
위에서 설명한 위치등록을 실행하는 여러 가지 경우 및 위치등록 방법의 자세한 내용들은 공지된 기술로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시 등록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와 매칭되게 저장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 의 상태 변화 알림을 받을 것인가를 묻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응답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을 받기 위해 응답메시지 형태나 콜백(call back) 메시지 형태의 단문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 변화 알림을 거절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는 따로 식별하여 상태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 변화 발생시,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50)는 A측 홈 위치등록기(50)로부터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던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인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각 상태 변화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한 후 전송한다. 상기 단문메시지는 상기 상태 식별자를 통해 확인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현재 상태를 알리는 내용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전화번호를 착신 번호로 하여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70)로 전송된다.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70)는 상기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정보를 관리하는 B측 홈 위치등록기(80)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위치 정보 조회를 요청한 후, 그 응답을 받아 상기 B측 이동통신 교환국(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로 상기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 알림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는 서비스처리부(61), 데이터베이스(62), 단문메시지처리부(63)를 포함한다.
서비스처리부(61)는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로부터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파악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를 식별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와 매칭되는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요청한다.
데이터베이스(6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사용자가 지정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전화번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문메시지처리부(63)는 상기 서비스처리부(61)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상태 변화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화번호와 상태 변화 내용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전화번호를 착신 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한 후,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상기 단문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가 전원 온(ON)/오프(OFF) 또는 통화 불가능 등으로 상태가 변화하면 이 사실은 기지국(20)과 기지국 제어기(30)를 통해 A측 이동통 신 교환국(40)으로 전송된다(S20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변화 사실을 수신한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은 상기 상태 변화 사실을 A측 홈 위치등록기(50)로 통보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210). 이러한 상태 변화 통보시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은 실제적으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위치등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 변화를 등록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화번호 정보와 기지국(20) 식별자, 기지국 제어기(30) 식별자, A측 이동통신 교환국(40)의 식별자와 함께 각 변화된 상태에 부합되는 상태 식별자를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상태 식별자는 각각 전원 오프(OFF), 전원 온(ON), 통화 불가능, 통화 가능 등의 상태를 나타낸다.
그런 후,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전화번호 정보를 확인하여 상태 알림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인증한다(S220). 그러기 위해서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위치등록시 상기 상태 식별자가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상태 알림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그런 후, 상기 A측 홈 위치등록기(50)는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30). 이때,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식별자를 포함하고 있다.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는 상기 수신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둔 서비스 대상 단말기인 이동통신 단말기B(100)를 파악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현재 상태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S240). 이때, 상기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는 상기 상태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0)의 상태변화를 알리는 내용(예: "현재 010-1234-9876번은 전원이 꺼진 상태입니다.")을 작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전화번호를 착신 번호로 하여 생성된다. 또한, 미리 등록된 서비스 대상 단말기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룹 형태로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를 생성한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60)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70)로 상기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을 한다(S250).
상기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을 받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70)는 상기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를 저장한 후, 착신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B측 홈 위치등록기(80)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위치 조회를 요청하여 그 응답을 받는다(S260, S270).
그런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70)는 B측 이동통신 교환국(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B(100)로 상기 상태 알림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S280, S290).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 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방 및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태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상태를 서비스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메시지로 알림으로써, 상기 서비스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 및 통화 가능 상태를 미리 알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불필요한 통화시도를 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고, 이로 인하여 한정된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홈 위치등록기와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와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지정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알리는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가입 사실을 인증하고,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을 받아,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해둔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매 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파악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매칭되는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요청하는 서비스처리부;
    상기 서비스처리부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상태 변화 내용을 전달받아,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태 변화 내용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착신 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 요청을 하는 단문메시지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3. 상태 알림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매칭되게 저장하는 제 1단계;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발생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측 홈 위치등록기로부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단계;
    상기 상태 알림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하고, 그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상태 변화 내용을 파악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내용을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변화 알림을 받을 것인가를 묻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응답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는 전원 온(ON)/오프(OFF) 상태, 통화 불가능 상태, 통화 가능 상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방법.
KR20050099668A 2005-10-21 2005-10-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043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9668A KR20070043408A (ko) 2005-10-21 2005-10-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9668A KR20070043408A (ko) 2005-10-21 2005-10-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408A true KR20070043408A (ko) 2007-04-25

Family

ID=3817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9668A KR20070043408A (ko) 2005-10-21 2005-10-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34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4911A2 (en) * 2007-07-23 2009-01-29 Motorola, Inc.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and service state information to application serv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4911A2 (en) * 2007-07-23 2009-01-29 Motorola, Inc.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and service state information to application servers
WO2009014911A3 (en) * 2007-07-23 2009-03-26 Motorola Inc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and service state information to application serv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36553A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JP2008530897A (ja) 移動端末機の特定の位置情報に対するアラートサービス方法とそのための管理装置及び移動端末機
CA2689527C (en) Automatically switching a tdma radio affiliated with a fdma site to a tdma site
CN111464686A (zh) 一种来电提醒方法及装置
KR2001002810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불완료호 처리 방법
KR100664185B1 (ko)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700434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233916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01453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 정보 서비스 방법
KR10128458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퍼지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70091719A (ko)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233910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이동 단말기 분실에 따른 안내 방송서비스 방법
KR100831032B1 (ko) 착신 호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5460B1 (ko) 착신전환 방법
KR100626518B1 (ko) 이동 가입자 상태 안내 서비스 방법
KR101207035B1 (ko)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23391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대기 처리 방법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KR100250666B1 (ko) 개인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페이징요구방법
KR100793603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 가능 상태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242702B1 (ko) 호 보류 및 회의 통화 처리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426171B1 (ko) 이동 통신망 기반 워키토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