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277A -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277A
KR20070042277A KR1020050097997A KR20050097997A KR20070042277A KR 20070042277 A KR20070042277 A KR 20070042277A KR 1020050097997 A KR1020050097997 A KR 1020050097997A KR 20050097997 A KR20050097997 A KR 20050097997A KR 20070042277 A KR20070042277 A KR 20070042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file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817B1 (ko
Inventor
황원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8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전에 단말기에서 해당 콘텐츠를 지원하는 지를 사전에 검증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콘텐츠의 정보파일을 수신하는 무선회로부와, 정보파일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여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여부를 결정하는 해석부와,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전에 단말기에서 해당 콘텐츠를 지원하는 지를 사전에 검증함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려는 사용자의 불필요한 시간과 브라우져 접속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자바, JAR, JAD, JSR, 콘텐츠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rification method for making sure of support before download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네트워크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검증전 선택된 콘텐츠의 전송파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다운로드전에 지원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지원여부를 검증하여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드할 콘텐츠의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다운로드할 콘텐츠를 지원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안내메시지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본 발명은 다운로드전 콘텐츠의 실행지원검증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자바로 작성된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기전에 단말기가 자바에 관련한 특정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지를 미리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 모든 기능을 모두 탑재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만을 다운로드받아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하는 방식이 소개되었다. 이러한 콘텐츠의 예로써 대표적으로 단말기에서 즐길 수 있는 비주얼 게임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들 게임 등의 콘텐츠는 보통 자바(JAVA)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기본적인 JAD (Java Application Descriptor)를 보여준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시작하면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JAR 파일을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를 JAVA가 JAR의 압축을 풀어서 자체 검증 과정을 거쳐 단말기의 특정영역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JAVA에서 각종 기능들을 지원하게 되면서 단말기의 구현특성에 따라서 일부의 기능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일련의 기능을 JSR이라고 정의하는데, 이미 많은 규격의 JSR이 있고, 앞으로도 계속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s; 자바 플랫폼에 대한 규격을 제안하거나 기술한 것)이 추가 되는 상황이다. 만약, 다운로드받으려는 컨텐츠가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JSR을 요구할 경우, 종래에는 이를 다운로드받아서 설치하는 과정에서 검증을 했었다.
즉 다운로드를 수행한 이후, 단말기의 자바 컨텐츠 검증과정에서 확인을 하게 되므로, JAR 파일을 다운로드를 받아서 JAR 파일을 열어 검증할 때까지 사용자 는 기다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전에 단말기에서 해당 콘텐츠를 지원하는 지를 사전에 검증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텐츠의 정보파일을 수신하는 무선회로부와, 정보파일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여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여부를 결정하는 해석부와,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는 JAR(JAVA Archive)파일로 생성되며, 정보파일은 JAD(JAVA Application Descriptor)파일로 상기 콘텐츠가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제 1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s)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메모리부에는 콘텐츠가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s)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JAR파일의 일부정보는 상기 JAD파일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해당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콘텐츠의 정보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정보파일을 읽어 들이는 단계와, 정보파일로부터 콘텐츠를 지원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지원하면,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지원하지 않으면,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콘텐츠와 정보파일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콘텐츠 지원여부 확인단계는, 제 1 JSR정보와 단말기의 제 2 JSR정보가 동일한 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전에 단말기에서 해당 콘텐츠를 지원하는 지를 사전에 검증함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려는 사용자의 불필요한 시간과 브라우져 접속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네트워크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JAVA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콘텐츠를 다운로드전에 검증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콘텐츠의 정보를 담고 있는 JAD파일과 콘텐츠를 담고 있는 JAR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콘텐츠제공서버(140)로 구성된다. 물론 무선으로 이들 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것은 통신서버(120)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통신서버(120)와 콘텐츠제공서버(140)를 분리하여 구성하였으나. 이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통신서버(120)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서버(14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기지국(110)을 통하여 통신서버(12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된다. 통신서버(120)는 통신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콘텐츠 또는 파일을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콘텐츠제공서버(140)는 일반적인 인터넷상의 웹서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유무선의 인터넷망(130)과 연결되어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콘텐츠제공서버(140)는 JAD파일(141)과 JAR(JAVA Archive)파일(142)을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여 구비하고 있게 된다.
여기서 JAR파일이란 컨텐츠를 JAVA파일로 컴파일하여 class파일로 만든 것으로 압축되어 있는 파일이다. 따라서, 압축이 해제되어 설치되면 단말기에 설치된 자바소프트웨어부(341)에 의하여 실행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포커 또는 지도 등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JAD파일이란 JAVA Application Descriptor파일로써 JAR파일(JAVA로 제작된 콘텐츠)의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다. 간단한 파일예제를 보면 다음과 같다.
MIDlet - Name : GAME1
MIDlet - Version : 1.0.0
MIDlet - Vendor : XX company
MIDlet - Description : 비주얼고도리 GAME1 MIDlet
MIDlet - Jar - URL : http://xxx.0.0.0/GAME1.jar
MIDlet - Jar - Size : 1024
JSR : 118, 75, 184
다른 항목들은 일반적으로 익히 알려져 있으므로 번잡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진술은 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MIDlet - Description : 비주얼고도리 GAME1 MIDlet"는 콘텐츠의 내용을 설명한다. 즉 GAME1이 "비주얼고도리"임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MIDlet - Jar - URL : http://xxx.0.0.0/GAME1.jar"는 GAME1.Jar의 인터넷상 주소를 나타낸다. 단말기에서는 보통 도메인네임(Domain Name)으로 인식하지 못하므로 IP주소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검증이 이루어지면 "GAME1.jar"가 콘텐츠제공서버(14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부분인 "JSR : 118, 75, 18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성(Attribute)을 추가한 부분이다. 이는 해당 Jar파일이 해제되어 단말기에 설치될 때 필요로 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일례로 "118"은 MIDP 2.0, "75"는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끝으로 "184"는 JAVA 3D Graphics를 각각 나타낸다. 물론 JSR은 종래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자바플랫폼에 대한 규격을 제안하거나 기술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식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 2이다. 이는 사용자가 설치하고 싶은 컨텐츠를 선택하면, 컨텐츠제공서버(140)는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검증을 위한 JAD파일을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JAD파일의 구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 2이다.
이 JAD파일에는 JAD정보(210)와 해당콘텐츠의 JSR정보(211)가 포함된다. 물론 여기 JAD정보(21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정보를 보여주기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다운로드전에 지원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을 제어하며 다른 구성요소와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무선회로부(36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거나 파일은 전송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송받은 콘텐츠를 메모리부(340)에 설치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310)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입력으로 사용되어지는 디지트버튼(0 - 9)과, 특수키버튼(*, # ....), 한글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지시를 제어부(300)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하기 위한 키버튼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키버튼을 두지 않고 메뉴화면방식을 두어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는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기전에 콘텐츠의 정보를 표시한다. 물론 콘텐츠가 단말기가 지원하지 않은 기능을 담고 있을 경우에는 안내메시지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각각 도 5와 도 6에 도시된다. 이에 대하여는 해당 도면을 설명할 때 후술하기로 한다.
해석부(130)는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JAD파일을 읽어 들여 해당 콘텐츠가 단말기가 지원하는 지를 해석하여 다운로드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240)는 플래쉬메모리,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기본적인 실시간 처리운영시스템(OS; operating system)과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처리 소프트웨어는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들 프로그램의 변수 및 상태는 램으로부터 불러와서 동작시킨다. 여기서 롬은 EEPROM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300)의 명령에 따른 입출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단말기가 해당 콘텐츠를 지원할 수 있는 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 포함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다운로드한 콘텐츠가 JAVA일 경우 이를 실행하는 자바소프트웨어부(341)가 설치된다. 자바소프트웨어부(341)는 CLDC (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 1.0, MIDP(Mobile Information Device Profile) 1.0을 기반으로 하여 Multi-Media Phone Profile(MMPP)이라는 API가 구성되어 있어 MIDP프로그램인 MIDlet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바로 만들어진 콘텐츠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메모리부(340)에는 단말기가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담고 있는JSR정보(342)가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기는 단말기 JSR정보(342)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서 기술한 바 있는 콘텐츠의 JSR정보(211)와 단말기의 JSR정보(342)를 비교하여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게 되면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된다.
오디오변환부(35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무선회로부(36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제어부(300)에 전송한다.
무선회로부(360)는 외부의 전화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데이터를 안테나(Antenna)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300)에 전송하거나, 또는 메모리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음성 또는 문자데이터 및 제어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콘텐츠를 전송받거나 콘텐츠파일을 다운로드받을 지를 확인하는 검증파일(JAD파일이 가능함)을 전송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지원여부를 검증하여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보통 이동통신단말기는 전화통화요청이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있기까지 대기모드상태에 놓여있게 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가 모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정상동작을 완료한 다음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대기모드상태(idle state)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으로 콘텐츠제공서버(140)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콘텐츠제공서버(140)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콘텐츠목록을 보여주게 된다. 물론 이러한 콘텐츠목록을 사용자가 보기 위해서는 로그인과정이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가입화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결재과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그인, 또는 가입과정은 익히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콘텐츠목록에서 다운로드받고 싶은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S400).
콘텐츠가 선택되면, 콘텐츠제공서버(140)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JAD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게 된다. 이 JAD파일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정보를 보여주는 JSR정보(211)가 포함된다.
따라서 해석부(330)는 JAD정보를 읽어 들여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410). 콘텐츠는 jar명령어를 이용하여 작성하며 최종적으로는 *.JAR와 같은 형태로 생성된다. 물론 jar파일을 작성하기 전에 JAR manifest라는 것을 작성하게 되는데, 이 manifest파일은 JAD파일처럼 MIDlet속성을 기술하며 몇 가지는 JAD파일의 값과 일치해야 한다. 이 manifest파일이 작성되면 JDK에 있는 jar를 이용하여 JAR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이미 익히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이와 함께, 해석부(330)는 JAD파일에 속성(Attribute)으로 부가되어 있는 JSR정보를 읽어 들인다(단계 S420).
읽어 들인 다음, 해석부(330)는 메모리부(342)에 저장되어 있는 JSR정보 (342)를 읽어 들여 단말기가 해당 콘텐츠를 지원하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430).
확인결과, 콘텐츠의 JSR정보(342)와 단말기가 지원하는 JSR정보(342)가 일치하면, JAD정보를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한다. 이를 보여주는 화면예가 도 5에 도시된다.
즉 사용자가 콘텐츠파일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한다. 이 화면에는 콘텐츠파일에 정보를 보여주는 JAD파일정보(500)가 표시된다. 또한 이 JAD파일정보에는 JSR정보도 표시된다(510).
이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콘텐츠제공서버(140)에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콘텐츠제공서버(140)는 해당 콘텐츠를 단말기에 다운로드하게 된다(단계 S440). 다운로드된 콘텐츠는 메모리부(340)에 설치되며 자바소프트웨어부(342)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와 달리, 확인결과, 콘텐츠의 JSR정보(342)와 단말기가 지원하는 JSR정보(342)가 동일하지 않으면, 해당 콘텐츠를 단말기가 지원하지 못하므로 안내메시지가 표시된다(단계 S450). 이러한 안내메시지를 보여주는 화면예가 도 6에 도시된다.
안내메시지로는 단말기가 콘텐츠를 지원할 수 없다는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이 된다. 예를 들면, "단말기가 다운받을 콘텐츠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서비스제공자에게 연락하세요!"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으로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전에 지원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하여 개인용컴퓨터와 접속하여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은 개인용컴퓨터와 사용자단말기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도 1의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유선망으로 콘텐츠제공서버(140)와 연결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기 전에 단말기에서 해당 콘텐츠를 지원하는 지를 사전에 검증함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려는 사용자의 불필요한 시간과 브라우져 접속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콘텐츠의 정보파일을 수신하는 무선회로부와;
    상기 정보파일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여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여부를 결정하는 해석부와;
    상기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JAR(JAVA Archive)파일로 생성되며, 상기 정보파일은 JAD(JAVA Application Descriptor)파일로 상기 콘텐츠가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제 1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s)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상기 콘텐츠가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제 2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s)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JAR파일의 일부정보는 상기 JAD파일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 신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정보파일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해당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정보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상기 정보파일을 읽어 들이는 단계와;
    상기 정보파일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지원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지원하면,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지원하지 않으면, 안내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JAR(JAVA Archive)파일로 생성되며, 상기 정보파일은 JAD(JAVA Application Descriptor)파일로 상기 콘텐츠가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제 1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s)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지원여부 확인단계는,
    제 1 JSR정보와 단말기의 제 2 JSR정보가 동일한 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정보파일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KR1020050097997A 2005-10-18 2005-10-18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KR10071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997A KR100715817B1 (ko) 2005-10-18 2005-10-18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997A KR100715817B1 (ko) 2005-10-18 2005-10-18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277A true KR20070042277A (ko) 2007-04-23
KR100715817B1 KR100715817B1 (ko) 2007-05-08

Family

ID=3817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997A KR100715817B1 (ko) 2005-10-18 2005-10-18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1899A (zh) * 2010-12-08 2012-07-1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Java业务的应用处理方法与系统
KR101527011B1 (ko) * 2008-11-11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웹 브라우져 지원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344A (ko) * 2003-09-17 2005-03-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011B1 (ko) * 2008-11-11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웹 브라우져 지원표시 방법
CN102571899A (zh) * 2010-12-08 2012-07-1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Java业务的应用处理方法与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817B1 (ko)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620B1 (ko)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0474863C (zh) 包含能够通过使用移动flash来构建的菜单的移动通信终端
CN107515764B (zh) 应用程序页面打开方法、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000933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or performing functions within removable memory, such as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of a mobile device
CN107741844B (zh) 一种应用安装包的生成方法和装置
CN104778063A (zh) 资源更新方法和装置
JP2014503926A (ja) デジタルデバイス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自動インストール機能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4965848A (zh) 一种前端资源加载方法及装置
KR20070051523A (ko) 블루투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펌웨어 업그레이드시스템 및 그 방법
JP5997848B2 (ja) 移動端末リソースの処理方法、装置、クライアント側のコンピュータ、サーバ、移動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2278767A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携帯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45078B2 (ja) アプリインストール方法、アプリインストール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715817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다운로드전 콘텐츠 지원검증방법
KR10097466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CN107124713B (zh) 一种定制更新方法及移动终端
KR2002000980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폰트 변경 방법
KR100713423B1 (ko)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 방법
US20040242281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system for delivering application software, method for controlling execution state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9413714B (zh) 用户代理信息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EP1235145A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executed thereon
JP2006259849A (ja) 携帯端末装置
CN109213550B (zh) 内嵌应用的交互实现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090011150A (ko)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스템과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121435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단말기
KR10104826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