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338A -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338A
KR20070041338A KR1020060097569A KR20060097569A KR20070041338A KR 20070041338 A KR20070041338 A KR 20070041338A KR 1020060097569 A KR1020060097569 A KR 1020060097569A KR 20060097569 A KR20060097569 A KR 20060097569A KR 20070041338 A KR20070041338 A KR 20070041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c
audio
signal
downmix signal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희석
오현오
김동수
임재현
정양원
윤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4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은, 제1 코덱 방식과 제2 코덱 방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 복원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는 코덱 방식간의 차이에 의한 왜곡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코덱 방식, 보정, 다운 믹스 신호

Description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and encoding in audio codec}
도 1은 일반적인 다채널 오디오 코덱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 코덱(codec)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채널 오디오 코딩 기법들 중에서,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 믹스하여 생 성한 다운 믹스 신호를 부가적인 공간 정보와 함께 디코더 측으로 전송하는 코덱 기법들이 있다. 이 때, 공간 정보는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추출된다. 이와 같은 코딩 기법은, 각 채널별 인코딩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다채널 오디오 코딩 기법에 대비하여 전송 비트율 면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운 믹스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전송한 후,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원래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코덱의 경우,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코덱과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원래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코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코덱을 이용하여 다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한 후, 그 코덱과는 다른 코덱을 이용하여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원래의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코덱의 차이로 인해, 다운 믹스 신호의 형태에 차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차이에 의해 음질 열화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코덱 방식과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원래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코덱 방식 간의 차이에 의한 왜곡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 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본 발명에 의한 디코딩 방법은, 상기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제2 코덱 방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본 발명에 의한 인코딩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제2 코덱 방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할 때,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본 발명에 의한 디코딩 장치는,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본 발명에 의한 인코딩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다운 믹스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할 때,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는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다채널 오디오 코덱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다채널 오디오 코덱의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인코딩 장치(22) 및 디코딩 장치(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인코딩 장치(22)는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 인코더(encoder)(12) 및 멀티플렉서(MUX:MUltipleXer)(14)로 구성된다. 디코딩 장치(24)는 디멀티플렉서(DEMUX:DEMUltipleXer)(16), 디코더(decoder)(18) 및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한 다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인코더(12)로 출력한다. 이 때, 인코더(12)는 다운 믹스 신호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결과를 MUX(14)로 출력한다. 만일,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에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할 때 공간 정보를 추출한다면, MUX(14)는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로부터 입력한 공간 정보와 코어 인코더(12)로부터 입력한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함께 비트 스트림의 형태로 DEMUX(16)로 출력한다. DEMUX(16)는 MUX(14)로부터 입력한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와 공간 정보로 분할(parsing)한다.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는 DEMUX(16)로부 터 디코더(18)로 출력되고, 공간 정보는 DEMUX(16)로부터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로 출력된다. 디코더(18)는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결과인 복원된 다운 믹스 신호를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로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인코더(12) 및 디코더(18)는 AAC(Advanced Audio Coding)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는 디코더(18)로부터 입력한 복원된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원래의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된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한다.
도 1에서,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와 다채널 오디오 디코덩부(20)의 코덱 방식의 종류가 다를 경우 또는 코덱 방식의 종류는 같다고 하더라도 코덱 방식의 동작 즉, 모드가 서로 다를 경우,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되는 복원된 다채널 오디오 신호는 코덱 방식의 차이로 인한 왜곡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코덱 방식의 종류의 예로서, 엠팩(MPEG) 서라운드(surround), MP3 서라운드, 로직(Logic) 7, 돌비 프로로직(DPL:Dolby ProLogic) Ⅰ 또는 Ⅱ 또는 디지탈 씨어터 시스템(DTS:Digital Theater System) 등이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의 코덱 방식과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의 코덱 방식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의 코덱 방식은 MP3 서라운드이고,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의 코덱 방식은 로직 7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덱 방식의 차이로 인해 왜곡이 발생된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의 코덱 방식의 종류와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의 코덱 방식의 종류가 같다고 하더라도, 코덱 방식의 동작 즉, 모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에서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는 모노 채널의 형태를 취하고,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는 스테레오 형태의 다운 믹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의 코덱 방식에 따라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는 공간 정보를 추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의 코덱 방식이 돌비 프로로직 Ⅱ인 경우,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는 공간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 경우,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20)에서 공간 정보를 자체적으로 추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제30 및 제32 단계들) 및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제2 코덱 방식에 의해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제34 단계)로 이루어진다. 만일, 오디오 신호 예를 들어,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상황에서, 제1 코덱 방식과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를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은 코덱 방식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극복하면서 원래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은 먼저, 제1 코덱 방식과 제2 코덱 방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에서 생성된 다운 믹스 신 호를 디코딩 장치에서 보정한다(제30 및 제32 단계들). 이 때, 제1 코덱 방식과 제2 코덱 방식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코덱이고, 코덱의 동작인 모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덱 방식과 제2 코덱 방식은 둘 다 MP3 서라운드 코덱이지만, 제1 코덱 방식은 스테레오 형태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코덱 방식은 모노 형태의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또는, 제1 코덱 방식과 제2 코덱 방식은 서로 다른 종류의 코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덱 방식은 MP3 서라운드 코덱이고, 제2 코덱 방식은 로직 7 코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코덱 방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한다(제30 단계). 즉, 오디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는 다운 믹스 수행 행렬의 역 행렬로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한다(제30 단계). 제30 단계에서 디코딩된 결과를 제2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제32 단계).
제32 단계에서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 즉,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다(제34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로부터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코덱 방식의 종류에 따라 인코딩 장치에서 공간 정보가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간 정보는 디코딩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은 제34 단계에서, 공간 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보정된 다운 믹 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할 때 자체적으로 생성한 공간 정보를 이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오디오 신호로부터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제50 단계) 및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제52 및 제54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은 먼저, 오디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제50 단계). 제50 단계후에, 제1 코덱 방식과 제2 코덱 방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한다(제52 및 제54 단계들). 도 2에 도시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의 경우 오디오 코덱의 디코더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였다(제30 및 제34 단계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코덱의 인코더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도 있다(제52 및 제54 단계들). 이 경우,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는, 다운 믹스 신호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하는 대신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 장치에서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다.
부연하면, 제52 및 제54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은,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한다(제52 단계). 제52 단계에서 디코딩된 결과를 제2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제54 단계). 이와 같이, 비록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였다고 하더라도,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52 및 제54 단계들을 수행하여,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변환 즉, 보정한다. 그러므로,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 대신에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가 디코딩 장치로 전송되므로, 디코딩 장치에서 복원되는 오디오 신호의 코덱 방식 차이에 의한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실시예들 각각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90) 및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92)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인코딩 장치(90)의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70), 인코더(72) 및 MUX(74)는 도 1에 도시된 인코딩 장치(22)의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 인코더(12) 및 MUX(14)와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92)는 DEMUX(76), 인코더(78), 보정부(80) 및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82)로 구성된다. 여기서, DEMUX(76) 및 디코더(78)는 도 1에 도시된 DEMUX(16) 및 디코더(18)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보정부(80)는 인코딩 장치(90)에서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 즉, 디코더(78)에서 복원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결과를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82)로 출력한다. 즉, 보정부(80)는 도 2에 도시된 제30 및 제32 단계들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보정부(80)는 디코더(78)에서 복원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디코딩하여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된 원래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해낸다(제30 단계). 보정부(80)는 제30 단계를 수행하므로서 복원된 원래의 오디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에 의해 인코딩하여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제32 단계).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82)는 보정부(80)에서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 즉,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출력한다. 즉,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82)는 도 2에 도시된 제34 단계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제30 및 제32 단계들은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가 디코더(78)에서 디코딩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120) 및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122)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인코딩 장치(120)의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0), 인코더(102) 및 MUX(104) 는 도 1에 도시된 인코딩 장치(22)의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 인코더(12) 및 MUX(14)와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122)는 DEMUX(76), 보정부(108), 인코더(110) 및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12)로 구성된다. 여기서, DEMUX(106)는 도 1에 도시된 DEMUX(1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보정부(108)는 인코딩 장치(120)에서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DEMUX(106)로부터 비트 스트림의 형태로 입력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결과를 디코더(110)로 출력한다. 즉, 보정부(108)는 도 2에 도시된 제30 및 제32 단계들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보정부(108)는 DEMUX(106)로부터 입력한 다운 믹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디코딩한다(제30 단계). 보정부(108)는 제30 단계에서 디코딩된 결과를 제2 코덱 방식에 의해 인코딩하여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로 변환한다(제32 단계). 디코더(110)는 보정부(108)로부터 입력한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12)로 출력한다.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12)는 디코더(110)로부터 입력한 디코딩된 결과를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출력한다. 즉,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12)는 도 2에 도시된 제34 단계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제30 및 제32 단계들은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가 디코더(110)에서 디코딩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의 보정부(80 또는 11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코더(78 또는 11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0 및 제32 단계들은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할 때 수행된다.
한편, 제3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보정부(80 또는 108)는 DEXMUX(76 또는 106)로부터 입력한 공간 정보로부터 코덱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코덱 정보로부터 제1 코덱 방식을 인식할 수 있다. 코덱 정보란,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70 또는 100)가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할 때 채택한 제1 코덱 방식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인코딩 장치(90 또는 120)는 코덱 정보를 공간 정보에 포함시켜 디코딩 장치(92 또는 12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인코딩 장치(90 또는 120)가 공간 정보를 추출하지 않을 경우, 코덱 정보만이 비트 스트림 형태로 디코딩 장치(92 또는 122)로 전송된다. 이 경우, 보정부(80 또는 108)는 제1 코덱 방식을 인식하기 위해, 공간 정보 대신에 비트 스트림 형태의 코덱 정보를 DEMUX(76 또는 106)로부터 입력한다. 예를 들어, 인코딩 장치(90 또는 120)의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70 또는 100)가 취할 수 있는 가능한 코덱 방식의 종류 및/또는 코덱 방식의 동작 형태가 n가지인 경우, 코덱 정보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는 비트 수(x)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06072493555-PAT00001
여기서, 코덱 정보는 신택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의 비트 열로서 표시되어 예를 들면 공간 정보 또는 다운 믹스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150) 및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152)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150)는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30), 보정부(132), 인코더(134) 및 MUX(136)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보정부(132)는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30)에서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결과를 인코더(134)로 출력한다. 즉, 보정부(132)는 도 3에 도시된 제52 및 제54 단계들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보정부(132)는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30)에서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원래의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다(제52 단계). 보정부(132)는 제52 단계를 수행하여 복원된 원래의 오디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에 의해 인코딩하여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제54 단계). 제5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보정부(132)는 제2 코덱 방식에 대한 코덱 정보를 사전에 미리 인지할 수 있다. 인코더(134)는 보정부(132)로부터 입 력한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코어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결과를 MUX(136)를 통해 디코딩 장치(152)로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 장치(152)의 DEMUX(138)는 MUX(136)로부터 입력한 신호를 다운 믹스 신호와 공간 정보로 분할하고, 분할된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더(140)로 출력하고, 분할된 공간 정보를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42)로 출력한다. 디코더(140)는 보정부(132)에서 보정되어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결과인 복원된 다운 믹스 신호를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42)로 출력한다.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42)는 디코더(140)로부터 입력한 복원된 다운 믹스 신호 즉, 제2 코딩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원래의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된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출력단자 OUT4를 통해 출력한다. 결국, 도 3에 도시된 제52 및 제54 단계들은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30)에서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인코더(134)에서 인코딩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190) 및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192)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디코딩 장치(192)의 DEMUX(178), 디코더(180) 및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82)는 도 6에 도시된 DEMUX(138), 디코더(140) 및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142)와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190)는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70), 인코더(172), 보정부(174) 및 MUX(176)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채 널 오디오 인코딩부(170) 및 인코더(172)는 도 1에 도시된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0) 및 인코더(12)와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보정부(174)는 인코더(172)로부터 입력한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결과를 MUX(176)로 출력한다. 즉, 보정부(174)는 도 3에 도시된 제52 및 제54 단계들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보정부(174)는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1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한다(제52 단계). 보정부(174)는 제52 단계에서 디코딩된 결과를 제2 코덱 방식에 의해 인코딩하여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한다(제54 단계). 제5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보정부(174)는 제2 코덱 방식에 대한 코덱 정보를 사전에 미리 인지할 수 있다. MUX(176)는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인코딩된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 장치(192)로 출력한다. 결국, 도 3에 도시된 제52 및 제54 단계들은 다채널 오디오 인코딩부(170)에서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인코더(172)에서 인코딩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의 보정부(132 또는 174)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인코더(134 또는 172)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52 및 제54 단계들은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인코딩할 때 수행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디코딩 장치(92, 122, 152 또는 192)는 인코딩 장치(90, 120, 150 또는 190)로부터 다운 믹스 신호를 전송 받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코딩 장치(90, 120, 150 또는 190)에서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만 또는 다운 믹스 신호와 공간 정보가 함께 저장 매체에 저장될 경우, 디코딩 장치(92, 122, 152 또는 192)는 다운 믹스 신호 또는 다운 믹스 신호와 공간 정보를 저장 매체로부터 입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는 오디오 신호로부터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다운 믹스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다를 경우,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로 변환하여 코덱 방식간의 차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복원되는 오디 오 신호에 포함되는 코덱 방식 간의 차이에 의한 왜곡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제2 코덱 방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1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및
    (a2) 상기 (a1) 단계에서 디코딩된 결과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제2 코덱 방식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코덱이며, 코덱의 동작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제2 코덱 방식은 서로 다른 종류의 코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공간 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할 때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한 공간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코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기 이전, 디코딩한 이후 또는 디코딩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방법.
  8.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c)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제2 코덱 방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할 때,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로 변환하여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1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및
    (d2) 상기 (d1) 단계에서 디코딩된 결과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2 코덱 방식에 적합한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인코딩한 후, 인코딩하기 이전 또는 인코딩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방법.
  12.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를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다채널 오디오 디코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장치.
  13.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코덱 방식과 상기 다운 믹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는 제2 코덱 방식이 서로 다른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코덱 방식으로 인코딩하여 다운 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다운 믹스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다운 믹스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복원할 때, 상기 보정된 다운 믹스 신호는 상기 제2 코덱 방식으로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코덱의 인코딩 장치.
KR1020060097569A 2005-10-14 2006-10-04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 KR20070041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622805P 2005-10-14 2005-10-14
US60/726,228 2005-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338A true KR20070041338A (ko) 2007-04-18

Family

ID=3817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569A KR20070041338A (ko) 2005-10-14 2006-10-04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1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308A (ko) 2018-09-12 2020-03-20 피커시스주식회사 오디오 코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308A (ko) 2018-09-12 2020-03-20 피커시스주식회사 오디오 코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6315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エンコーディング及び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装置
JP5442995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信号のエンコーディング/デ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方法
KR101387902B1 (ko) 다객체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부호화 장치, 복호화 방법 및 복호화 장치, 그리고 트랜스코딩 방법 및 트랜스코더
US9378743B2 (en) Audio encoding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unified bitstream decodable by decoders implementing different decoding protocols
US20080255859A1 (en)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Channel Audio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TWI451401B (zh) 用於將多頻道音訊信號編碼與解碼之方法及其裝置
JP7413418B2 (ja) 信号をインタリーブするためのオーディオ復号器
EP19493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audio data and extension data
JP2009514008A5 (ko)
US20080288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TWI631554B (zh) Encoding device and method, decod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KR20070003544A (ko) 아비트러리다운믹스게인을 이용한 클리핑복원
KR20080071971A (ko) 미디어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93798A (ko) 다채널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70041338A (ko) 오디오 코덱의 디코딩 및 인코딩 방법 및 장치
KR100878766B1 (ko)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CN1418406A (zh) 用于保护数据流无损传输的方法和设备
KR101438387B1 (ko) 서라운드 확장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34834B1 (ko) 다채널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70003574A (ko) 오디오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080030848A (ko) 오디오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20190031460A (ko) 오디오 객체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80030847A (ko) 오디오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