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663A -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663A
KR20070040663A KR1020050096228A KR20050096228A KR20070040663A KR 20070040663 A KR20070040663 A KR 20070040663A KR 1020050096228 A KR1020050096228 A KR 1020050096228A KR 20050096228 A KR20050096228 A KR 20050096228A KR 20070040663 A KR20070040663 A KR 2007004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data
radio
information
visua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훈
Original Assignee
이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훈 filed Critical 이규훈
Priority to KR102005009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0663A/ko
Publication of KR2007004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데이터 채널로 라디오 채널의 스튜디오 동영상 및 곡 정보 데이터 전송, SMS 부가정보(방송사 수신번호)를 제공하여 비주얼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라디오방송국 관련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스튜디오 동영상, 곡 정보 및 SMS 부가정보(방송사 전화번호)를 IP 데이터 패킷으로 다중화하는 라디오방송 서버(10)와, 상기 다중화된 IP 데이터 패킷을 DMB 데이터 채널에 캡슐화 및 부호화하여 공중채널로 송출하는 DMB 서버(20)와, 상기 송출된 DMB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채널에 삽입된 비주얼라디오 관련 정보(스튜디오 동영상, 곡정보, SMS 부가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라디오방송 청취 중에 스튜디오 동영상 또는/및 곡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메시지 작성이 설정되면 상기 저장된 SMS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작성창을 호출함과 동시에 수신자 정보를 입력한 후 작성완료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DMB 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SERVING VISUAL RADIO O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도1에서 비주얼라디오 저작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3은 도1에서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의 구조도.
도4는 도1에서 지상파 DMB IP 인서터의 구성도.
도5는 도4에서 지상파 DMB IP 터널링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도.
도6은 도4에서 지상파 DMB IP 인서터의 캡슐화 과정에 따른 패킷 구조도.
도7은 도4에서 지상파 DMB IP 패킷의 채널 맵핑 구조도로서,
도7a는 지상파 DMB IP 패킷의 캡슐화를 사용한 채널 맵핑 구조도.
도7b는 지상파 DMB IP 패킷의 캡슐화 및 단편화를 사용한 채널 맵핑 구조도.
도8은 도4에서 위성 DMB IP 인서터의 구성도.
도9는 도8에서 위성 DMB IP 패킷에 대해 TS 스트림 생성 과정을 보인 도면으로,
도9a는 비주얼라디오 IP 스트림에 대해 TS 스트림 생성 과정의 예시도.
도9b는 비주얼라디오 IP 스트림에 대해 캡슐화 및 단편화를 사용한 TS 스트림 생성 과정의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및 SMS/MMS 메시지 처리 과정을 보인 시스템의 구성도.
도11은 도10의 DMB 단말기에서 비주얼라디오 정보 저장 및 이용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DMB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및 SMS 부가정보 이용 과정의 화면 예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라디오 EPG를 이용한 이용한 서비스 과정의 동작 순서도.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ESG스트림을 이용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과정의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라디오방송 서버 14 : 비주얼라디오 저작 시스템
20 : DMB 서버 21 : DMB IP 인서터(Inserter)
22 : DMB 다중화 시스템 30 : DMB 단말기
31 : DMB 수신모듈 32 : DMB 이동통신모듈
40 : 이동통신사 서버 90 : 비주얼라디오 서버
341 : 비주얼라디오 데이터 디코더
342~344 : 메모리 영역 350 : SMS 메시지 처리부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하 'DMB'라 칭함)의 멀티미디어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로서 비주얼 라디오(Visual Radio) 방송 기술이 있다.
비주얼 라디오 방송 기술은 지상파 DMB의 TV채널에 적용된 비디오압축 방식(MPEG4/AVC)과 오디오압축 방식(MPEG4/BSAC)을 활용하여 압축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기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라디오에 비해 보다 적은 점유 대역폭에서 CD급 최상의 오디오 품질과 함께 2초당 1 프레임씩 정지화상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
비주얼 라디오 방송 기술에서는 2초당 1컷 정도의 이미지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상파 DMB 라디오 음악방송에서 뮤직비디오를 슬라이드쇼 형태로 방송함은 물론 진행 스튜디오 현장 화면이나 음악 관련 자료를 보낼 수가 있기 때문에 기존 라디오방송의 성격을 완전히 바꿀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비주얼 라디오 기술은 라디오 뉴스에서 보도사진이나 관련 그래픽 등의 자료로 뉴스내용의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스포츠 중계시에는 현장화면을 곁들일 수도 있고, 강좌 프로그램에서는 각종 시각 자료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화책을 더빙해서 라디오 드라마화할 수도 있으며 교통정보에선 현장CCTV 화면이나 지도정보를, 날씨정보에선 구름사진을, 청각장애인에겐 자막방 송을 서비스할 수 있을 것이다.
비주얼 라디오 방송 기술은 여러 형태의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는 지상파 DMB 라디오 콘텐츠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신규 지상파 DMB 라디오 전용 프로그램의 개발을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주얼 라디오 서비스는 스튜디오의 동영상을 인터넷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이동단말기에 해당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기존의 FM 라디오 방송에서는 방송전파를 사용하여 비주얼 라디오 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FM 라디오 방송의 디지털화와 더불어 현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표준이 제정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등장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이란 개인 휴대용 수신기 또는 차량용 수신기를 통해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채널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서비스를 말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채택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국제 전기통신 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ITU)의 표준 Rec. BO.1130-4 : System-E 로서 CDMA 방식의 이동전화와 비슷한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채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오 방송(DMB)를 이용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창안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이용하여 라디오 채널의 스튜디오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여 라디오 채널의 곡정보를 수신하여 원하는 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제2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여 라디오 채널을 청취할 때 SMS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제3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이용한 라디오 채널의 스튜디오 동영상 및 곡 정보 데이터 전송, SMS 부가정보(방송사 수신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라디오 스튜디오 동영상, 곡정보, SMS(Short Message Service) 부가정보를 통합하는 라디오방송 서버와, 상기 통합 데이터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데이터 채널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DMB 서버와, 상기 DMB의 데이터 채널에 포함된 비주얼라디오 IP 데이터(스튜디오 동영상, 곡정보, SMS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부응하여 라디오방 송 시청 중에 스튜디오 동영상 및 곡정보를 표시하며, 라디오방송 시청 중에 메시지 전송이 설정되면 상기 SMS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작성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수신자정보, 발신자 정보를 입력한 후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DMB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디오방송 서버는 방송사 등의 외부에서 입력된 스튜디오 동영상 및 곡정보, SMS 부가정보를 IP 데이터그램으로 만드는 비주얼라디오 저작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MB 서버는 라디오방송 서버에서 수신된 IP 데이터그램을 DMB 데이터채널에 캡슐화 및 부호화하는 DMB IP 인서터(Inserter)와, 상기 부호화된 DMB 신호를 송출하는 DMB 다중화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DMB 서버는 비주얼 라디오(Visual Radio)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스튜디오 동영상과 곡정보 및 SMS 부가정보가 다중화된 IP 데이터그램을 수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IP 데이터그램을 DMB 데이터 채널에 캡슐화 및 부호화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DMB 데이터 패킷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DMB 단말기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DMB 데이터채널에 삽입된 정보(스튜디오 동영상, 곡정보, SMS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각각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사용자 선택의 정보를 상기 메모리 영역 중 해당 영역에서 읽어 제공하는 제3 단계와, 라디오방송(비주얼라디오 포함) 청취 중에 메시지 전송이 설정되면 상기 메모리 영역 에 저장된 SMS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작성창을 호출함과 동시에 수신자정보를 입력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메시지 작성창에서 작성이 완료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의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표준 및 DMB 방송 시스템을 고려하여 제안되었기 때문에 기존 DMB 시스템과 완벽히 호환되어 동작함으로써 기존에 구축된 DMB 시스템의 변경없이도 비주얼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지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설명들을 기재함은 물론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주얼 라디오(Visual Radio)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라디오방송 서버(10), DMB 서버(20), DMB 수신단말기(30), 이동통신사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1에 도시한 상기 라디오방송 서버(10)는 라디오스튜디오 동영상(11), 곡정보(12), SMS 부가정보(13)를 하나의 IP 패킷으로 다중화하여 DMB 송신 서버(20)에 전송하도록 구성하며, 이를 위해 비주얼라디오 저작 시스템(1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라디오스튜디오 동영상(11)은 라디오 방송을 위한 스튜디오 내부의 진 행자 영상을 주로 의미한다.
상기 곡정보(12)는 현재 방송 중인 음악 또는 방송할 음악에 대한 정보(작곡가, 작사가, 가수, 노래가사 등)를 의미한다.
상기 곡정보(12)는 DMB의 데이터 채널로 수신할 수 있지만, 데이터 채널에 포함된 URL을 이용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URL은 접속해야 될 서비스의 종류, 서버의 위치(도메인 네임), 파일의 위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체계(syntax)는 프로토콜://정보를 가진 컴퓨터 이름/디렉터리 이름/파일 네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SMS 부가정보(13)는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느낌, 방송을 원하는 곡명 등을 전송하기 위한 해당 방송의 수신번호(예로, 스튜디오 전화번호)로서, 사용자가 라디오 및 라디오스튜디오 동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메시지(예로, 느낌, 신청곡, 특정인에 대한 안부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에 도시한 상기 DMB 서버(20)는 DMB IP 인서터(Inserter)(21)와 DMB 다중화 시스템(2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DMB IP 인서터(21)는 라디오방송 서버(10)의 비주얼라디오 저작 시스템(14)에서 제작된 비주얼라디오 패킷을 DMB의 데이터 채널에 맵핑시키기 위해 캡슐화하여 DMB 다중화 시스템(22)에 전송한다.
상기 DMB 다중화 시스템(22)은 DMB 패킷의 데이터 채널에 상기 캡슐화된 비주얼라디오 패킷을 맵핑한 후 위성 및 지상파를 이용하여 송출한다.
도1에 도시한 상기 DMB 단말기(30)는 DMB 수신모듈(31)과 DMB 이동통신모듈(3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DMB 수신모듈(31)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영상, 문자, 오디오신호를 분리한 후 각각 복호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DMB 이동통신모듈(32)은 통화음성, 방송오디오 또는 그 합성신호 등을 상대편에게 송출하거나 반대로 상대편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성한다.
도1에 도시한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40)는 DMB 채널을 이용하여 비주얼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중에 신청곡, 청취소감 등을 방송 진행자에게 전송하려는 경우 이를 지원하여 양방향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도1의 동작을 설명하면, 라디오방송 서버(10)가 라디오 스튜디오의 동영상(11)과 곡정보(12), SMS 부가정보(13)를 하나의 IP 데이터 패킷으로 다중화하여 DMB 서버(20)에 전송한다.
이때, DMB 서버(20)는 DMB IP 인서터(21)가 상기 IP 데이터 패킷을 DMB의 데이터 채널에 맵핑시키기 위해 캡슐화하면 DMB 다중화 시스템(22)이 DMB 패킷의 데이터 채널에 상기 캡슐화된 IP 데이터 패킷을 맵핑하여 위성 및 지상파를 통해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DMB 단말기(30)는 DMB 수신모듈(31)이 상기 송출된 DMB 패킷을 수신하면 메모리 영역에 저장됨은 물론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채널을 재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DMB 단말기(30)의 메뉴 화면에서 TV 메뉴버튼을 누르면 채널정보 항목을 표시하고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해당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재생하게 된다.
그리고, DMB 단말기(30)의 메뉴 화면에서 Radio 메뉴버튼을 누르면 현재 설정된 라디오방송 채널을 선국하여 재생하게 된다.
이후, 라디오방송 청취 중에 옵션메뉴를 선택하면 비주얼라디오, 곡정보, SMS 부가정보 등의 다수 메뉴버튼을 표시하고 임의의 메뉴버튼 선택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비주얼라디오(스튜디오 동영상 포함), 곡정보, SMS 부가정보는 DMB 방송 수신 중에 각각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진다.
만일, 라디오방송 청취(비주얼라디오 방송 포함) 중에 SMS 부가정보의 메뉴버튼이 선택되면 DMB 이동통신모듈(32)은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시지작성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사 서버(40)를 통해 라디오방송 서버(10)에 전송하여 현재 청취중인 라디오방송의 진행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방향 방송서비스를 구현한다.
상기 SMS 부가정보를 이용한 서비스를 위해 이동통신사 서버(40) 또는 별도의 사업자 서버에는 SMS/MMS MO 플랫폼이 탑재된다. 상기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MO(Mobile Originated)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텍스트, 이미지, 사진,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동통신사로부터 부여받은 수신번호를 이용하여 특정매체(예로, TV, 라디오, Web)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도2는 도1의 라디오방송 서버(10)에 포함된 비주얼라디오 저작 시스템(14)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비주얼스튜디오 시스템(60), 실시간 콘텐츠 서버(70), 실시간 DMB 저작 시스템(80) 및 비주얼라디오 서버(90)를 포함하여 비주얼라디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스튜디오 저작 시스템(61)은 스튜디오의 동영상을 비주얼라디오 서버(90)에 전송하고, 실시간 콘텐츠 서버(70)는 곡정보 및 SMS 정보 등의 실시간 콘텐츠를 처리하여 실시간 DMB 저작 시스템(80)에 전송하여 상기 비주얼라디오 서버(90)에 전송한다.
상기 비주얼라디오 서버(90)는 실시간 DMB 저작 시스템(80) 및 스튜디오 저작 시스템(61)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하나의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으로 다중화하여 DMB 사업자 서버(20)의 DMB IP 인서터(21)에 전송한다.
상기 다중화 과정으로 생성되는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의 구조는 도3에 도시하였다.
즉, 하나의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은 스튜디오 동영상(101), 곡정보(102), 양방향 수신정보(103)을 포함하는 데이터(104)와, 상기 데이터(1040에 부가되는 IP 헤더(header)(105)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과정으로 비주얼라디오 서버(90)에서 전송되는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은 DMB IP 인서터(21)에서 DMB 패킷에 맵핑되도록 처리된 후 DMB 다중화 시 스템(22)에 전송되는데, 상기 DMB IP 인서터(21)는 지상파용과 위성용으로 구분된다.
상기 DMB IP 인서터(21)는 지상파용인 경우 도4와 같이 구성하고, 위성용의 경우 도8과 같이 구성한다.
도4의 지상파 DMB IP 인서터는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을 DMB 패킷의 데이터 채널로 전송하는데, 이를 위한 신호처리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비주얼라디오 서버(90)에서 이더넷을 통하여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이 지상파 DMP IP 인서터(21)에 수신되면 라우터/필터(router/filter)(111)를 통해 버퍼(buffer)(112)에 저장된다.
상기 버퍼(112)에 저장된 데이터 패킷은 IP/DAB 캡슐화기(encapsulator)(113)에서 DMB의 MSC(Main Service Channel) 데이터 그룹에 캡슐화되어 DBM의 데이터 그룹에 맵핑이 가능하도록 된다.
상기 캡슐화된 비주얼라디오 데이터는 부호화되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패킷 전송 방식으로 DMB 다중화 시스템(22)에 전송되어 DMB 단말기(30)로 송출된다. 상기 부호화 프레임 방식은 G.703/G.704, STI/ETI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과정은 IP 인서터 매니저(Inserter Manager)(114)가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및 DCOM(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관리하게 된다.
그런데, 지상파 DMB IP 터널링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지상파 DMB IP 터널링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는 응용 프로토콜이 포함되는 인터넷 응용계층과, UDP, TCP 등의 전송계층 프로토콜이 포함되는 인터넷 전송 계층과, 인터넷 네트워크 계층과, 인터넷 데이터 연결 계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 데이터 연결 계층은 패킷모드-MSC 데이터그룹 계층, 패킷모드-패킷 계층 및 DMB-MSC 패킷모드 서브채널 계층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인터넷 응용계층, 인터넷 전송 계층 및 인터넷 네트워크 계층을 포함하여 생성된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은 지상파 DMB의 패킷 모드 서비스 컴포넌트로 터널링(tunneling)되며, 이는 패킷모드 전송 단계 상의 MSC 데이터그룹 내의 IP 데이터가 캡슐화되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IP 관점에서 설명하면, 패킷모드 서비스 컴포넌트가 인터넷 데이터 연결계층과 같이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지상파 DMB IP 인서터의 캡슐화 과정을 도6에서 설명하면,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입력된 IP 데이터그램(datagram)은 데이터그룹(DG) 헤더와 CRC를 사용하여 캡슐화된다. 상기 캡슐화에 따른 MSC 데이터그룹에는 DMB 패킷모드 서브채널의 서비스 라벨 및 서비스 ID, 컴포넌트 ID를 부여받는다.
상기 캡슐화된 MSC 데이터그룹은 지상파 DMB의 패킷모드 데이터 채널을 통해 DMB 다중화 시스템(22)에 전송된다.
또한, 도7a에 상기 캡슐화를 이용한 채널맵핑 과정을 도시하였고 도7b에 캡슐화 및 단편화를 이용한 채널맵핑 과정을 도시하였다.
우선, 도7a는 DMB 패킷모드 서브채널의 대역폭보다 IP 데이터그램의 데이터가 작을 경우 채널맵핑하는 과정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즉, 도7a는 비주얼라디오 서버(90)에서 전송된 비주얼라디오 IP 데이터그램을 단편화한 후 데이터그룹 헤더와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를 부가하여 MSC 데이터그룹에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화된 MSC 데이터그룹을 일정단위로 분할하여 패킷헤더와 CRC를 부가하여 DMB 패킷모드 서브채널에 부호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7b은 DMB 패킷모드 서브채널의 대역폭보다 IP 데이터그램의 데이터가 클 경우에 IP 데이터그램의 단편화 과정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즉, 도7b는 비주얼라디오 서버(90)에서 전송된 비주얼라디오 IP 데이터그램을 단편화한 후 IP 헤더를 부가하고, 상기 IP 헤더와 IP 데이터그램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그램에 데이터그룹 헤더와 CRC 코드를 부가하여 MSC 데이터그룹에 캡슐화하며, 상기 캡슐화된 MSC 데이터그룹을 일정단위로 분할하여 패킷헤더와 CRC를 부가하여 DMB 패킷모드 서브채널에 부호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IP 단편화를 사용하면, 대역폭이 적은 DMB 패킷모드 데이터 채널에 유효하게 IP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8의 위성 DMB IP 인서터는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을 DMB 패킷의 데이터 채널에 전송하기 위해 TS 스트림(stream)으로 생성하는데, 이를 위한 신호처리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비주얼라디오 서버(90)에서 이더넷을 통하여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이 위성 DMP IP 인서터(21)에 수신되면 라우터/필터(router/filter)(211)를 통해 버퍼(buffer)(212)에 저장된다.
상기 버퍼(212)에 저장된 데이터는 IP/DAB 캡슐화기(encapsulator)(213)에서 데이터섹션(data section) 스트림에 캡슐화된 후 DBM의 TS 스트림으로 생성된다.
즉, 비주얼라디오 IP패킷은 IP 헤더가 부가되어 비주얼라디오 IP 스트림으로 생성된 후 데이터셋션 헤더가 부가되어 데이터섹션 스트림으로 캡슐화되고 상기 캡슐화된 스트림은 헤더가 부가되어 TS 스트림으로 생성된다.
상기 TS 스트림은 ASI(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전송 방식으로 DMB 다중화 시스템(22)에 전송되어 DMB 단말기(30)로 송출된다.
상기 과정은 IP 인서터 매니저(Inserter Manager)(214)가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및 DCOM(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을 기반으로 관리하게 된다.
또한, 도8의 위성 DMB IP 인서터에서 비주얼라디오 IP 패킷을 TS 스트림 형태로 DMB 다중화 시스템(22)에 수신될 때 비주얼라디오 관련 편성정보가 상기 DMB 다중화 시스템(22)에 수신되면 상기 DMB 다중화 시스템(22)은 TS 스트림에 비주얼라디오 관련 편성정보를 삽입하여 DMB 단말기(30)에 송출하게 된다.
상기 비주얼라디오 관련편성정보는 데이터방송 운영 시스템(도면 미도시)로부터 생성되며 이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I(Service Information) 시스템(도면 미도시)을 통해 DMB 다중화 시스템(22)에 수신된다.
또한, 도9는 도8의 위성 DMB IP 인서터에서 위성 DMB IP 패킷을 TS 스트림으 로 생성하는 과정의 예시도로서, 도9a는 비주얼라디오 IP 스트림에 대해 TS 스트림 생성 과정의 예시도이고, 도9b는 비주얼라디오 IP 스트림에 대해 캡슐화 및 단편화를 사용한 TS 스트림 생성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9a의 동작을 설명하면, IP 헤더와 비주얼라디오 IP 패킷로 이루어진 스트림 형태의 비주얼라디오 IP 데이터그램에 대해 데이터섹션 헤더를 부가하여 데이터섹션 스트림에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화된 다수의 데이터그램을 하나의 데이터패킷으로 하여 TS 헤더를 부가하여 TS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9b의 동작을 설명하면, 스트림 형태의 비주얼라디오 IP 데이터그램에 대해 데이터섹션 헤더를 부가하여 데이터섹션 스트림에 캡슐화하고, 상기 캡슐화된 스트림을 일정단위로 단편화한 후 각각의 단편화된 단위 스트림에 헤더를 부가하여 단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단편화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TS 헤더를 부가하여 TS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이다.
한편, 도1에서 DMB 단말기(30)의 구성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10은 DMB 단말기(30)에서 비주얼라디오 수신 및 SMS/MMS 메시지 처리를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DMB 수신부(Receiver)(310), 역다중화부(320), 디코더(decoder)(330), 비주얼라디오 데이터 처리부(340), SMS 메시지 처리부(3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비주얼라디오 데이터 처리부(340)는 비주얼라디오 데이터 디코더(341), SMS 메모리영역(342), 동영상패킷 메모리영역(343), 곡정보 메모리영역(344)로 구성한다.
상기 DMB 수신부(310)는 RF모듈(도면 미도시)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역다중화부(320)는 DMB 수신부(31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영상, 오디오 및 데이터로 역다중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디코더(330)는 역다중화된 영상, 오디오 및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도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런데, DMB 방송신호에 영상,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전송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에 포함된 비주얼라디오 패킷을 처리하는 방법에 핵심이 있으므로 영상, 오디오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DMB신호가 안테나, RF 모듈(도면 미도시)를 통해 수신되어 DMB 수신부(310)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검출하면 역다중화부(320)가 영상, 오디오 및 데이터 채널을 분리하고, 디코더(330)가 영상, 오디오 및 데이터를 복호하면 비주얼라디오 데이터 디코더(341)가 데이터에 포함된 비주얼라디오 데이터 패킷만을 추출하여 각각의 메모리 영역(342~344)에 저장한다.
이후, 각각의 메모리 영역(342~344)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DMB 시청 중에 온스크린 기능을 사용하여 팝업(pop-up)된다.
만일, DMB 시청 특히, 비주얼라디오 방송 시청 중에 방송사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옵션버튼을 누르면 SMS 메시지 처리부(350)는 SMS 메모리영역(342)에 저장된 SMS/MMS 부가정보(예로, 방송사 또는 스튜디오 전화번호)를 읽어들임과 동시 에 메시지작성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한 후 통화버튼을 누르면 SMS 메시지 처리부(350)는 RF모듈(도면 미도시)를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360)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방송사 또는 방송스튜디오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SMS/MMS 메시지 전송은 비주얼라디오 방송 시청 중 뿐만 아니라 TV 시청 또는 라디오 청취 중에도 실행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10의 DMB 단말기에서 비주얼라디오 정보 저장 및 이용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주얼라디오 데이터 디코더(341)는 DBM의 데이터 채널에 삽입된 데이터 중 동영상 패킷, 곡정보 및 SMS 부가정보를 분리하여 각각의 메모리영역(342~344)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라디오방송 청취 중에 비주얼라디오 정보를 요청하면 DMB 단말기는 동영상패킷(비주얼라디오), 곡정보, SMS 부가정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의 정보를 메모리영역(342~344) 중 해당 영역에서 읽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 청취 중에 동영상패킷 항목을 선택하면 메모리 영역(343)에 저장된 비주얼라디오 동영상을 재생하여 스튜디오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스튜디오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라도 곡정보 항목이 선택되면 동영상 화면 상에 곡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SMS 부가정보 항목이 선택되면 SMS 메시지 처리부(360)를 통해 메시지 작성화면을 제공한 후 사용자가 작성한 메 시지를 해당 방송사 또는 스튜디오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단말기의 상세 구성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 단말기는 크게 볼 때 도1의 DMB 수신모듈(31)와 DMB 이동통신모듈(32)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12를 살펴보면, DMB 수신모듈(31)은 채널 디코더(402), TV/Radio 디코더(405), 데이터 디코더(406)을 포함하여 방송신호와 데이터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데이터신호를 비주얼라디오 데이터 디코더(407)를 통해 동영상, 곡정보 및 SMS 부가정보로 분리되어 저장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12를 살펴보면 DMB 이동통신모듈(32)은 송신부(412), 수신부(413), 제어부(414)를 포함하여 통신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며 아울러 DMB 수신모듈(31)에 연동하여 TV 시청, 라디오 청취 또는 비주얼라디오 시청 중에 원하는 메시지를 해당 방송사 또는 스튜디오로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동영상, 곡정보, 메시지 등은 디스플레이(417)에 표시된다.
즉, 라디오 스튜디오의 동영상 및 곡정보 데이터는 시청자가 라디오 청취 중에 해당 서비스 버튼을 선택하면 라디오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결합되어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417) 상에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그리고, SMS 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V 또는 라디오(비주얼라디오 포함) 시청 중에 사용자가 메시지 입력창을 호출하면 젱부(414)는 메모리 영역(409)에 저장되어 있는 SMS 부가정보를 메모리 (416)에 읽어들인 후 발신자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메시지 입력창을 직접 불러들인 후 상기 SMS 부가정보의 수신자 정보를 메시지 입력창에 자동으로 입력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메시지전송 방식은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키를 누르고, 메시지전송 메뉴를 선택하여 메시지 발신, 메일 작성, 새 문장 쓰기, 상대방 번호(수신번호) 및 연락받을 번호(회신번호)를 차례로 입력한 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은 DMB에 포함된 SMS 부가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 기능키를 선택하면 종래 기술엣와 같은 일련의 설정과정이 없이 이미 저장된 각 방송사의 지정번호를 사용하여 메시지 입력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DMB 단말기는 DMB 수신모듈과 DMB 이동통신모듈이 하나로 결합된 형태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단말기와 이동통신서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각기 제작된 경우에도 DMB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커넥터 등으로 연결한 후 비주얼라디오 청취 중에 SMS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DMB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가 상호간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사용자 선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상호가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및 SMS 부가정보 이용 과정에 따른 화면을 도13에 도시하였다.
도13(a~e)는 DMB 메뉴를 사용하여 방송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메뉴 중 TV/라디오 항목을 선택하면 도13(c)와 같이 TV, Radio 또는 data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3(c)의 메뉴화면에서 'Radio' 항목이 선택되면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라디오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재생하게 된다.
여기서, 메뉴화면을 이용하여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제작과정에서 탑재되었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는 DMB 단축버튼을 사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재생시킬 수 있다.
도13(f~i)는 TV 시청 또는 라디오 청취 중에 비주얼라디오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라디오 청취 중에 화면 하단의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도13(f)와 같이 비주얼라디오 관련 항목(Visual Radio, 곡정보, SMS 등)을 표시하고, 해당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도13(g),(i)와 같이 라디오 스튜디오의 동영상을 보건 곡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13(j~l)은 비주얼라디오 서비스의 SMS 부가정보를 활용하여 문자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화면 하단의 메뉴버튼을 눌러 도13(j)와 같이 비주얼라디오 메뉴 화면을 표시한 후 SMS 항목을 선택하면 메시지 입력창이 직접 호출됨과 아울러 SMS 부가정보의 수신자 정보가 메시지 입력창에 자동으로 입력되고, 메시지 작성 후 통화버튼이 눌리면 해당 메시지를 해당 방송사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라디오 EPG를 이용한 이용한 서비스 과정은 도14의 동작 순서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사에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제공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를 EPG 채널에 삽입하여 전송하면 DMB 단말기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라디오 방송을 청취 중에 비주얼라디오 서비스를 선택하면 DMB 단말기는 라디오채널 프로그램 가이드와 비주얼라디오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해당 채널에 비주얼라디오 서비스가 제공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해당 채널에 비주얼라디오 서비스의 제공이 확인되면 DMB 단말기는 해당 비주얼라디오 방송을 화면에 표시함과 아울러 해당 오디오를 출력함으로써 청취자에게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ESG 스트림을 이용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이다.
즉, 도15는 DMB 단말기에서 ESG(Electronic Service Guide : 전자 서비스 가이드) 스트림을 수신하여 비주얼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주얼라디오 제공자는 ESG 스트림을 사용하여 비주얼라디오 서비스의 편성정보를 DMB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때, DMB 단말기는 라디오 청취 시 ESG 스트림을 분석하여 해당 채널에 비주얼라디오 서비스의 지원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비주얼라디오 서비스의 지원이 확인되면 DMB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시스템 및 그 외 다양한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라디오 채널에 스튜디오 동영상과 곡 정보 및 SMS 부가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방송과 통신의 융합모델을 서비스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램 연동형 양방향 서비스를 구현,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표준을 기반으로 라디오 채널의 스튜디오 동영상 및 곡 정보 데이터, SMS 부가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여 이동 중에도 우수한 수신 성능을 토대로 라디오 채널의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SMS 부가정보(수신 전화번호)를 미리 전달 함으로써 DMB 시청 중에 SMS 사용의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비주얼라디오 정보가 삽입된 IP 데이터 패킷을 DMB 데이터 채널에 캡슐화 및 부호화하여 공중채널로 송출하는 DMB 송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DMB 송신 수단은
    IP 데이터 패킷을 일정단위로 단편화하는 단편화기와,
    상기 단편화된 단위 패킷에 데이터그룹(DG) 헤더와 CRC를 부가하여 MSC 데이터 그룹에 캡슐화하는 캡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DMB 송신 수단은
    IP 데이터 패킷을 일정단위로 단편화하는 단편화기와,
    상기 IP 데이터 패킷이 데이터 채널보다 큰 경우 상기 단편화된 단위 패킷에 IP 헤더를 부가하여 데이터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그램에 데이터그룹 헤더와 CRC 코드를 부가하여 MSC 데이터그룹에 캡슐화하는 캡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MSC 데이터그룹을 일정단위로 분할하여 패킷헤더와 CRC를 부가하여 DMB 패킷모드 서브채널에 부호화하는 부호화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DMB 송신 수단은
    IP 헤더와 비주얼라디오 IP 패킷로 이루어진 IP 데이터그램에 데이터섹션 헤더를 부가하여 데이터섹션 스트림에 캡슐화하는 캡슐화기와,
    상기 캡슐화된 다수의 데이터그램을 하나의 데이터패킷으로 하여 TS 헤더를 부가하여 TS 스트림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DMB 송신 수단은
    IP 데이터그램에 데이터섹션 헤더를 부가하여 데이터섹션 스트림에 캡슐화하는 캡슐화기와,
    상기 캡슐화된 스트림을 일정단위로 단편화하고 각각의 단편화된 단위 스트림에 헤더를 부가하여 단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편화기와,
    상기 생성된 단편화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TS 헤더를 부가하여 TS 스트림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IP 데이터 패킷은 IP 헤더와, 스튜디오 동영상, 곡 정보 및 SMS 부가정보가 삽입된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공중채널로 송출된 DMB 신호를 수신하여 DMB 데이터 채널에 삽입된 비주얼라디오 관련 정보(스튜디오 동영상, 곡정보, SMS 부가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라디오방송 청취 중에 스튜디오 동영상 또는/및 곡정보를 디스플레이함은 물론 상기 SMS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 기능을 직접 제공하는 DMB 단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비주얼라디오 서비스는
    라디오 청취 중 단말화면에 표시된 메뉴버튼 또는 단말기의 특정 버튼을 이용하여 실행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SMS 부가 서비스는
    내장된 이동통신모듈 또는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KR1020050096228A 2005-10-12 2005-10-12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KR20070040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228A KR20070040663A (ko) 2005-10-12 2005-10-12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228A KR20070040663A (ko) 2005-10-12 2005-10-12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663A true KR20070040663A (ko) 2007-04-17

Family

ID=3817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228A KR20070040663A (ko) 2005-10-12 2005-10-12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06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8680A1 (fr) * 2007-08-06 2009-02-12 I-Vision Beijing Inc. Méthode de mise en concordance de flux ip dans un canal de transmission de programmes audio numériqu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8680A1 (fr) * 2007-08-06 2009-02-12 I-Vision Beijing Inc. Méthode de mise en concordance de flux ip dans un canal de transmission de programmes audio numériqu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0188A1 (en) Datacasting
EP1487216A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A27951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on-real-time broadcast service and content transmitted by broadcast signal
KR20060106421A (ko) 이동통신망과 연동된 지상파 dmb의 양방향 방송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1197008B1 (ko) 방송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US20070067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80254826A1 (en) Captio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in digital broadcasting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WO2007069837A1 (en) Broadcast receiver for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KR10059713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0663A (ko) 비주얼라디오 서비스 시스템
US20080039135A1 (e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phone
TWI530192B (zh) 於數位廣播中之提供廣告之方法及系統
CN102026021A (zh) Cmmb手机电视的动态交互方法和系统
KR100755839B1 (ko) 음성 다중을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9966A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수신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그 방법
WO2006001600A1 (en) Dmb/mobile telecommunication integrated servic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 linkage between dmb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KR20070103206A (ko) Dmb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06366A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시작 알림 방법 및예약 저장 방법
KR100691944B1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시청 중 문자메시지 간편 전송시스템, 전송방법 및 간편 통화방법
US2007005857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US20020086638A1 (en) Internet backbone packet radio
CN101442665A (zh) 一种实现手机电视互动的方法及终端
KR100633984B1 (ko) 화면의 부분 확대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타송출 및 수신 방법
KR101196900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60099964A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 도중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