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669A - Video conference system - Google Patents

Video confere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669A
KR20070039669A KR1020050094795A KR20050094795A KR20070039669A KR 20070039669 A KR20070039669 A KR 20070039669A KR 1020050094795 A KR1020050094795 A KR 1020050094795A KR 20050094795 A KR20050094795 A KR 20050094795A KR 20070039669 A KR20070039669 A KR 20070039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unit
audio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병현
Original Assignee
송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현 filed Critical 송병현
Priority to KR102005009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9669A/en
Publication of KR2007003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6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5Conference systems involving storage of or access to video conference s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로 상이한 사양의 화상회의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사양 및 규격의 다양한 디스플레이와 연결시켜 화상회의가 가능하여 호환이 용이하며, 특히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해당 규격 및 사양에 맞게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화상회의 진행순서에 적합하도록 구비하여 각종 통신 단말기기 뿐만아니라 서로 상이한 규격의 디스플레에서도 화면의 일그러짐이 없이 화상회의가 가능하게 하는 화상회의 방법이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conferencing system, which is compatible with videoconferencing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s well as various display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thereby making it easy to perform video conferencing. Disclosure of Invention Disclosed is a video conferencing method, which is equipped with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a signal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ation and a videoconferencing procedure, and enables video conferencing without distorting the screen, not only in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s but also in displays having different standards. .

본 발명은, 다수의 각각 다른 영상, 음성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부와 ; 상기 신호입력부의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동기신호 발생부와; 상기 동기신호 발생부와 상기 각종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를 가산하는 가산제어부와; 상기 신호처리 제어부를 제어하여, 영상 및 음성처리된 신호를 오버레이부분이 서로 상충되지 않도록 상기 모뎀을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멀티/디멀티 플렉서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부와; 상기 동기 제어된 수신측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모뎀부와; 상기 수신측 모뎀부와 송신측을 연결하는 통신망부로 구성되어, 컴퓨터의 화상회의에서 PC단말기만으로 화상회의 및 화상채팅을 서로 상이한 사양 및 규격이 다른 각종 통신 단말기들간의 상호 연결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즉, PDP, LCD, TV, PC등에서도 호환이 가능한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video, audio and data;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for controlling image, audio, and data signal processing of the signal input unit; An addition control unit for add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and a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various signals; A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ing a multi / demultiplexer which controls the signal processing controller and sequentially outputs the video and audio processed signals through the modem so that an overlay portion does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A modem unit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ous controlled reception side sig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network unit connecting the receiving side modem unit and the transmitting side, and it is possible not only to interconnect with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pecifications for video conferencing and video chatting with a PC terminal in a video conference of a computer, but also various display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is compatible with devices such as PDP, LCD, TV, and PC.

화상회의, 오디오/비디오/데이터 시그널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부, 동기신호 검출부, 통신 단말기, PDP, TV, 전화망. Video conferencing, audio / video / data signal frames, sync signal generators, sync signal detectors, communication terminals, PDPs, TVs, telephone networks.

Description

화상회의 시스템{Video conference system}Video conference system {Video conferenc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측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in a videoconferen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사양의 화상회의 단말기들 간의 상호연결이 가능한 화상회의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conferencing system capable of interconnecting videoconferencing terminal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측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in a conventional videoconferencing system.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10’: 오디오 시그널프레임 11, 21, 31: 동기신호 발생부 10,10 ': Audio signal frame 11, 21, 31: Sync signal generator

20, 20’: 비디오 시그널프레임 30, 30’: 데이터 시그널프레임 20, 20 ': video signal frame 30, 30': data signal frame

12, 22, 23: 제1,2,3가산제어부 40, 40‘: 중앙처리부 12, 22, 23: first, second and third addition control unit 40, 40 ': central processing unit

60, 60’: 동기제어부 100: 통신망 60, 60 ': synchronization controller 100: communication network

110, 150 : 통신단말기 접속부 130, 170: 통신단말기 신호처리부 110, 150: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130, 170: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ocessing unit

200 : 버퍼 및 스위칭부 300 : 종래기술의 통신단말기 접속부 200: buffer and switching unit 300: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unit

400 : 종래기술의 통신단말기 신호처리부 400: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ocessor of the prior art

500 : 종래기술의 버퍼 및 스위칭부 500: prior art buffer and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화상회의 시스템(video conference system)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사양 및 규격의 화상전화 통신단말기들을 연결시켜 화상회의 시스템간에 전송되는 각 신호에 동기신호를 부가, 화상회의 시스템이 연결된 쌍방 또는 다자간에 동기를 갖게 하므로써 수신된 신호의 재생시 원 데이터의 복원이 불일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상회의시 음성 혹은 영상 뿐만아니라 다양한 통신 단말기 매체들을 사용하면서 회의를 진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일반 PC 모니터 뿐만아니라 PDP, LCD등의 서로 다른 사앙 및 규격을 갖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와도 호환가능하게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onference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video telephony communication terminal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to add a synchronization signal to each signal transmitted between video conferencing systems, and to receive a signal received by making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synchronized with both or multiple parties. Resolves a problem that may cause inconsistency in restoration of original data during playback of video data. In addition to audio or video during video conferencing, it is possible to conduct meeting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 media. Furthermore, PD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conferencing system that is compatible with various display device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pecifications such as LCDs.

화상회의 시스템이란, 중계 카메라를 기본으로 화면 합성, 분리, 압축전송 등에 전용 장비를 이용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Video conferencing system is a system that allows multiple people to have a meeting while looking at each other's face at the same time by using dedicated equipment for screen synthesis, separation, compression transmission, etc. based on a relay camera.

근래에 들어, 컴퓨터와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매체들을 컴퓨터를 통해 종합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예를들어, 전화와 TV, 문서 작성기등과 같은 서로 다른 기구들을 통해 처리되었던 매체들이 하나로 종합되어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목소리와 영상을 동시에 주고받고 필요한 문서도 즉시 주고 받으면서 진행하는 화상회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다지점간 통신은 각각의 통신지점에서 보내는 신호를 다지점제어장치(MCU;Multipoint Control Unit)에서 인가받아 다른 단말기로 다시 전달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회의시스템은 서로 다른 규격의 단말기종간에는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각각 따로 MCU를 구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MCU장치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은 규격의 단말기들이 여러대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신호처리부는 각각이 망접속부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다른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신호처리한다. 스위칭부는 화상회의 진행 순서에 따라 신호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같은 기종의 단말기간에는 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서로 다른 기종의 단말기간에는 데이터교환이 불가능하다. 뿐만아니라 전송되는 각 신호에 동기를 이루기 위한 신호가 없음으로 수신된 신호의 재생시 원 데이터의 복원이 불일치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그로인해 다양한 규모 및 대형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PDP, TV, LCD등과 호환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prehensively manage various media through computers. For example, media that have been processed through different organizations such as telephones, TVs, document writers, etc. can be integrated into one video conferencing system where people in remote locations can simultaneously exchange voice and video with each other and immediately exchange necessary documents. Was done. Multi-point communication, which enables the video conference system, is a method of receiving a signal from each communication point from a multipoint control unit (MCU) and transferring the signal back to another terminal.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MCUs must be separately constructed because they are incompatible with different terminal types. As shown in FIG. 3, the conventional MCU apparatus is configured such that multiple terminals of the same standar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ignal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signal so that each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unit is transmitted to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The switching unit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signal processed data to anoth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videoconferencing progression. That is, the terminals of the same model are configured to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exchange data between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ignal for synchronizing each transmitted signal,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data is inconsisten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reproduced, and thus, PDP, TV, LCD having various sizes and large displays. It has a problem that is incompatible with the back.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에 주지되지 아니하였거나 종래의 것에 비하여 전혀 새로운 화상회의 시스템을 개시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ntirely new videoconferencing system, which is not known in the art o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rt.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사양 및 규격의 화상전화 통신단말기들을 연결시켜 화상회의 시스템간에 전송되는 각 신호에 동기신호를 부가하고 화상회의 시스템이 연결된 쌍방 또는 다자간에 동기를 갖게 하므로써 수신된 신호의 재생시 원 데이터의 복원이 불일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상회의시 음성 혹은 영상 뿐만아니라 다양한 통신 단말기 매체들을 사용하면서 회의를 진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일반 PC 모니터 뿐만아니라 PDP, LCD등의 서로 다른 사앙 및 규격을 갖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와도 호환가능하게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다시말하면 PC 카메라에 국한되어 1:1대화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다른 기종 통신단말기들간의 상호접속이 불가능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사양 및 규격이 서로 상이한 통신 단말기들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해당 규격의 통신망 접속부를 구비한 망 접속수단과 망 접속수단에 대응하게 연결되어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해당 규격에 맞게 신호처리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며, 이때 상기 신호처리에 있어서, 전송신호에 동기 신호를 두어 수신측에서 수신된 신호의 복원시 동기를 맞춰 복원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규모의 대형 디스플레에서도 호환이 가능할 수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A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connecting video telephony communication terminal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to add a synchronization signal to each signal transmitted between video conferencing systems, and to which a video conferencing system is connected.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a conference using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 media as well as audio or video during a video conference by solving a problem that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data may be inconsisten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reproduced by synchronizing with the multiparty.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is compatible not only with a general PC monitor but also with various display device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pecifications such as PDP and LCD. In other words,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is limited to PC cameras and cannot be interconnected with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terminals without departing from 1: 1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corresponding standard so as to enable connection with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pecifications. The network connection means having a connection portion and the image data connected to and corresponding to the network connection means are selectively processed by signal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a corresponding standard, and at this time, in the signal processing, a synchron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a transmission signal at the receiving side. By reconstructing the received signal in synchronization,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can be compatible with a large display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의 목적은 위 목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언급되지 아니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 기재된 내용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속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object.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is also belongs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오디오 시그널 프레임과(10, 10’); 소정의 오디오의 송수신을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 및 검출하는 동기신호 발생부와(11, 11’); 상기 오디오 시그널 프레임(10, 10’)의 출력을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상기 오디오 동기신호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제 1, 2가산제어부(12, 22, 23, 12’, 22’, 23‘)와; 비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비디오 시그널 프레임(20, 20’)과;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시그널 프레임(30, 30’)과; 상기 제어가산부와, 비디오 시그널 프레임과, 데이터 시그널 프레임의 출력을 입력받아 출력하고, 수신된 신호를 송수신측 해당 프레임으로 제공하는 중앙처리부(40, 40’)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기제어부(50, 50’)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송수신측간에 소정의 변복조과정을 수행하는 모뎀부(60, 60’)와; 상기 모뎀부를 통해 송수신측의 쌍방간을 연결하는 통신망부(100)와; 상기 통신망부에서 송수신측 쌍방간의 통신 단말기간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망 접속부(110, 170)와; 상기 통신망 접속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해당 사양 및 규격에 맞게 신호처리하여 입출력하는 신호처리부(130, 150)와;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처리부로부터 신호처리된 신호들을 입력받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 정보에 따라 각 접속부들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및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버퍼 및 스위칭부(8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audio signal fram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data (10, 10 ');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11, 11 ') for generating and detec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audio; First and second addition controllers 12, 22, 23, and 12 'that receive the output of the audio signal frames 10 and 10' and receive the audio synchronization signal and insert the audio synchronization signal into the audio data. , 22 ', 23'); Video signal frames 20 and 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data; Data signal frames 30 and 3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A central processing unit (40, 40 ')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control adding unit, the video signal frame, and the output of the data signal frame, and providing the received signal to the corresponding frame o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A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 50 ')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central processor; A modem unit (60, 60 ') which receives the outpu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process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s; Communication network unit 100 for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de through the modem unit;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10, 170) capable of connecting communication terminals between both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unit; Signal processing units (130, 150) for inputting and processing image data input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specification and standard; And a buffer and a switching unit 80 that receive the signal processed from the input / output signal processor and select one of the signals and information applied from each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selection signal and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통신망부에 있어서,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된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이 기종 통신 단말기들간의 상호 통신이 가능한 MCU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규격이 서로 다른 통신단말기들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해당규격의 통신망접속부를 구비한 통신망 접속수단을 포함 하는바, 상기 통신망 접속수단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기종의 각각의 통신망 접속부들(111, 112, 113)에 대응하게 연결되며, 입력되는 화상회의 데이타를 해당규격에 맞게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들(131, 132, 133)을 각각 대응하게 구비한 신호처리부(110)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unit,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CU device capable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communication terminals of different standards. It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means having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of the corresponding standar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network connection portions 111, 112, 113 of different model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means, input video conference data It includes a signal processor 110 having a signal processor (131, 132, 133) for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tandard and outpu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되는 각 신호에 동기신호가 삽입되어 전송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다라 그 우선 순위가 선택되어 선택된 우선순위에 따라 송수신이 이루어 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ynchronization signal is inserted into each transmitted signal and transmitted, the priority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lected priorit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측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상양의 화상회의 매체들간의 상호 연결이 가능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2의 종래의 기술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의 송신측의 구성은 오디오 시그널 프레임(10)과, 비디오 시그널 프레임(20)과, 상기 데이터 시그널 프레임(30)과 중앙처리제어부(40)와, 제1에서 제3 동기신호 발생부(11 21, 31)와, 제1에서 제3제어 가산부(12, 22, 23)와, 동기제어부(50)와, 모뎀(60)을 포함하고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in a videoconferen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mage capable of interconnecting different types of videoconferencing med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ference system,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lated art of FIG. 2. As shown in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of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signal frame 10, a video signal frame 20, and a data signal frame 30; Central processing controller 40, first to third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s 11 21 and 31, first to third control adders 12, 22 and 23,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 modem It contains 60.

상기 제1 에서 제3 동기신호 발생부(11 21, 31)는 소정의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 에서 제1에서 제3제어 가산부(12, 22, 23)로 제공한다. 상기 제1에서 제3제어 가산부(12, 22, 23)는 각각 상기 오디오 시그널 프레임(10)과, 상기 비디오 시그널 프레임(20)과, 상기 데이터 시그널 프레임(30)의 출력을 입력받아, 각각의 동기 신호(AS, VS, DS)가 오디오 프레임(AF), 비디오 프레임(VF), 데이터 프레임(DF)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중앙처리제어부(40)로 출력한다. The first to third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s 11 21 and 31 generate a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signal and provide the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first to third control adders 12, 22, and 23. The first to third control adders 12, 22, and 23 respectively receive outputs of the audio signal frame 10, the video signal frame 20, and the data signal frame 30, respectively. The synchronization signals AS, VS, and DS are inserted into the audio frame AF, the video frame VF, and the data frame DF, respectively, and are out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controller 40.

상기 동기제어부(50)는 상기 중앙처리제어부(40)를 제어하여 상기 동기신호에 선택적으로 우선 순위를 갖도록 제어한다. 즉,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신호 중에 선택적으로 우선 순위를 두어 좀더 효과적인 전송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신호에 우선 순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 controls the central processing controller 40 to selectively give priority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 other words, the audio, video, and data signals may be selectively prioritized to give priority to the selected signals according to more efficient transmission and user selection.

수신측의 구성은 오디오 시그널 프레임(10')과 비디오 시그널 프레임(20')과, 데이터 시그널 프레임(30')과, 중앙처리제어부(40')와, 제1에서 제3동기신호검출부(12')와, 제1에서 제3 가산제어부(12‘, 22’ 23‘)와, 동기제어부(50')와, 모뎀부(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에서 제3 동기신호검출부(20‘, 22’, 23‘)는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되어오는 신호가 상기 중앙제어처리부(40’)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시그널 프레임(10‘), 비디오 시그널 프레임(20’), 데이터 시그널 프레임(30‘)에 입력되면 각기 해당되는 동기신호(AS, VS, DS)를 검출하여 원 신호를 복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기제어부(50’)의 기능은 송신측의 동기 제어부(50)와 동일하다. The receiving side has an audio signal frame 10 'and a video signal frame 20', a data signal frame 30 ', a central processing controller 40', and a first to third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12. '), First to third addition control units 12', 22 '23', synchronous control unit 50 ', and modem unit 60'. The first to third sync signal detectors 20 ', 22', and 23 'ar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rocessor 40' to the audio signal frame 10 'and a video signal frame. If the data signal frame 30 'is input to the signal 20',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 VS, and DS are respectively detected to restore the original signal. The function of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 on the transmitting side.

또한, 상기 중앙처리제어부는 상기 각 프레임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유무 에 상관없이 순차적으로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모뎀부으로 출력하였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는 압축 및 디코딩 과정의 효율에 따라 1~5(프레임/초)정도이며 이러한 비디오 데이터의 발생은 랜덤(random)하게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도 랜덤하게 발생된다.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control unit multiplexes sequentially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modem uni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al input from each of the frames. In general, audio data often occurs continuously. However, in the case of video data, it is about 1 to 5 (frames / sec) depending on the efficiency of the compression and decoding process, and the generation of such video data occurs randomly.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frame is also randomly generated.

이상과 같이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동일한 모드로 설정하여 선택적으로 우선 순위를 갖도록 하여 각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ach signal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by setting the same mode at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to selectively have priority.

한편, 상기 송신측의 모뎀부(60)를 통해 들어온 신호는 상기 통신망부(100)에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모뎀부(60)에서 처리된 신호 및 정보는 도 2의 통신망접속부(110)에서 사양이 서로 다른 단말기들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해당 규격의 통신망 제1접속부 즉, 공중전화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PSTN접속부(111)와 ISDN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ISDN접속부(112) 및 LAN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LAN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LAN접속부(113)등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접속부들(111, 112, 113) 후단에 연결된 각각의 제1신호처리부들(131, 132, 133)이 각각의 제1접속부들(111, 112, 111)로부터 인가되는 화상회의 데이터들을 해당 통신 단말기의 규격에 알맞도록 신호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entered through the modem unit 60 of the transmitting sid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unit 100, wherein the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dem unit 60 is the specification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110 of FIG. In order to be able to access different terminals,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corresponding standard, that is, the PSTN connection part 111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the ISDN connection part 112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ISDN, and the LAN can be connected through Each of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s 131, 132, and 133 connected to a rear end of each of the connection units 111, 112, and 113 is configured as a LAN connection unit 113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a LAN. The video conferencing data applied from the fields 111, 112, and 111 are signal-processed to meet the standar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버퍼 및 스위칭부(80)는 상기 각각의 제 1신호처리부들(131, 132, 133)로부터 신호처리된 신호들을 입력받아 회의 상황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따라 각 접속부들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상기 신호는 수신측의 모뎀으로 보내기 전에 다시 각각의 제2신호 처리부(150)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제 2접속부들(170)에 인가되어 각각의 사양이 상이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측 모뎀(60‘)으로 전송 되어 진다. 상기 수신측 모뎀으로 전송되어온 신호 및 정보는 상기 수신측에 개시된 구성에 따라 계속하여 작동되어지는 것이다.The second buffer and the switching unit 80 receive signals processed from the respectiv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s 131, 132, and 133 and apply the signals from the connection units according to a conference situation, that is, a sel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Select one of the signals to be output. The output signal is received by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150 again before being sent to the modem of the receiving side, and the received signals are appli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s 170 to provid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dem 60 '. The signals and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side modem continue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isclosed on the receiving sid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써 제시되는 것이므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위에서 제시된 상세한 설명은 제한보다는 오히려 예증으로 간주하고자 한다. 위 내용은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출원인은 위 내용에 상응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한다. 기술에 충분히 능숙한 사람이라면,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제시된 기술사상과 기술구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화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등가 치환되거나, 또는 일부 변경 실시되는 실시예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에, 개시된 내용과 이를 기초하는 그 변형과 수정이 분명하게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described above, it is presented as at least one or more embodiments, and thus, the technical spirit,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above is intended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rather than limiting. The above i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pplicant intends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y the claims of the following claims, which include all equivalents of the above. Persons skilled in the art may be variously changed, some or all of the configurations may be equivalently substituted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that are modified in part or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ince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disclosure and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ereof based there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같은 기종의 통신 단말기들간에만 가능하고 또한, 불안정한 신호처리로 인해 정보의 잡음을 해결하지 못했던 종래의 기술을 개선하여 서로 다른 사양 및 규격의 화상전화 통신단말기들을 연결시켜 화상회의 시스템간에 전송되는 각 신호에 동기신호를 부가하고 화상회의 시스템이 연결된 쌍방 또는 다자간에 동기를 갖게 하므로써, 수신된 신호의 재생시 원 데이터의 복원이 불일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상회의시 음성, 영상 및 데이터의 송수신 뿐만아니라 다양한 통신 단말기 매체들을 사용하면서 회의를 진행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일반 PC 모니터 뿐만아니라 PDP, LCD등의 서로 다른 사앙 및 규격을 갖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와도 호환가능하게 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possible only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of the same type, and by connecting the video telephone communication terminal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by improving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at did not solve the noise of information due to unstable signal processing By adding a synchronization signal to each signal transmitted between videoconferencing systems and synchronizing the two or more parties to which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is connected,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restoration of original data may be inconsisten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reproduced.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video, and data during video conferencing, it is possible to conduct meeting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 media. Furthermore, not only general PC monitors, but also various display device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pecifications such as PDPs and LCDs can be used.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making it compatible.

Claims (4)

화상회의 시스템에 있어서:In video conferencing systems: 오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오디오 시그널 프레임과; An audio signal fram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data; 오디오의 송수신을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송신측의 제 1에서 제 3동기신호 발생부와; First to third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s on a transmitting side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오디오의 송수신을 위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수신측의 제 1에서 제 3동기신호 검출부와; First to third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s on a receiving side for detec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상기 오디오 시그널 프레임의 출력을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에 오디오 동기신호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제 1, 2가산제어부; First and second addition controllers configured to receive an output of the audio signal frame, receive the audio synchronization signal, insert an audio synchronization signal into audio data, and output the audio synchronization signal; 비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비디오 시그널 프레임과; A video signal fram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data; 소정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시그널 프레임과; A data signal fram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상기 가산제어부와, 비디오 시그널 프레임과, 데이터 시그널 프레임의 출력을 입력받아 출력하고, 수신된 신호를 송수신측 해당 프레임으로 제공하는 중앙처리제어부와; A central processing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addition control unit, a video signal frame, and an output of a data signal frame and outputs the received signal to a corresponding frame of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기제어부와; A synchroniz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the central processor; 상기 중앙처리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송수신측간에 소정의 변복조과정을 수행하여 중앙처리제어부로 제공하는 모뎀부와; A modem unit receiving the outpu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process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s to provide the central processing control unit; 상기 모뎀부를 통해 송수신측의 쌍방간을 연결하는 통신망부와; A communication network unit for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 through the modem unit; 상기 통신망부에서 송수신측 쌍방간의 통신 단말기간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 망 접속부와;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capable of connecting communication terminals between both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unit; 상기 통신망 접속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해당 사양 및 규격에 맞게 신호처리하여 입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A signal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nd inputs and outputs image data input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specification and standard;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처리부로부터 신호처리된 신호들을 입력받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 정보에 따라 각 접속부들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및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버퍼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And a buffer and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signals processed by the input / output signal processor and to select and output one of a signal and information applied from each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 selection signal and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outside. Conferen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서로 다른 사양 및 규격의 화상회의의 통신단말기들간의 상호 연결이 가능한 화상회의 시스템. And a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processor to be interconnected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of video conferencing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일반 PC 모니터 뿐만아니라 PDP, LCD등의 서로 다른 사앙 및 규격을 갖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와도 호환가능하게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is compatible with not only general PC monitors but also various display devic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pecifications such as PDP and LCD. 화상회의 시스템에 있어서, In a video conference system, 사양 및 규격이 서로 다른 통신 단말기들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해당 사양 및 규격의 통신망접속부를 구비하여 각각에 대응하게 연결되고, 입력되는 화상회의 데이터를 해당 규격에 맞게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의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버퍼 및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사양 및 규격의 화상회의 통신 단말기간이 상호 연결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unit of a corresponding specification and standard so as to enable connection with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and is connected correspondingly to each other. And a buffer and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so that videoconferencing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can be interconnected.
KR1020050094795A 2005-10-10 2005-10-10 Video conference system KR200700396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795A KR20070039669A (en) 2005-10-10 2005-10-10 Video confere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795A KR20070039669A (en) 2005-10-10 2005-10-10 Video conferen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669A true KR20070039669A (en) 2007-04-13

Family

ID=3816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795A KR20070039669A (en) 2005-10-10 2005-10-10 Video confere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966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874A (en) * 2014-09-17 2016-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KR20240059326A (en) 2022-10-27 2024-05-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ppeech bubble in video conference and system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874A (en) * 2014-09-17 2016-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KR20240059326A (en) 2022-10-27 2024-05-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sppeech bubble in video conference and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s in a visual conference between locations
US90417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a CP layout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conferees
US9462227B2 (en) Automatic video layouts for multi-stream multi-site presence conferencing system
KR0163723B1 (en) Apparatus of controlling a video conferencing of a video conferencing system using isdn
AU694454B2 (en) Multimedia enabled network
JP2005286972A (en) Multi-point conference connection system and multi-point conference connection method
CN104427295A (en) Method for processing video in video conference and terminal
WO2016206471A1 (en) Multimedia service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device
KR20070039669A (en) Video conference system
CN207802173U (en) One kind regarding networked devices
WO2004059975A1 (en) Multiple-picture output method and system
CN113726534A (en) Conference control method, conference control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1036881A (en) Voice transmission system and voice reproduction device
Hu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conference system on broadcast networks
WO20151315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layout in telepresence conferencing system
JP3258409B2 (en) Teleconference equipment
WO1997018663A1 (en) Video conference system
JP2003163906A (en) Television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9980014088A (en) An MCU device of a video conference system capable of mutual connection between video conferencing terminals of different standards
JP2004282785A (en)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KR19990061603A (en) How to Configure CIF in a Video Conferencing System
JPH1013804A (en) Multi-location video conference system
JPH07298240A (en) Inter-multi-point video conference system
JPH07177145A (en) Communication conference system
JPH07322230A (en) Inter-multi-spot video conferenc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