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373A -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373A
KR20070038373A KR1020050093619A KR20050093619A KR20070038373A KR 20070038373 A KR20070038373 A KR 20070038373A KR 1020050093619 A KR1020050093619 A KR 1020050093619A KR 20050093619 A KR20050093619 A KR 20050093619A KR 20070038373 A KR20070038373 A KR 2007003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e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흥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8373A/ko
Publication of KR2007003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14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a telecommunication standard signal, e.g. G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제어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전원/통신모드 온/오프를 제어하고 시간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위한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 중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투스(BT:Bluetooth)통신, 통신모드, 타이머, 전원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 제어장치가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통신모드/시간정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전원/시간정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제어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전원/통신모드 온/오프를 제어하고 시간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기 탑승 시나 극장 또는 공연장소등에서 휴대단말기의 전원 은 오프 되어야 하며, 비행기 착륙 후 또는 극장이나 공연장소등에서 공연이 끝났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다시 온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특정장소에서 휴대단말기의 전원 온/오프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결국 사용자는 특정장소에 위치할 때마다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가 다른 국가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가 비동기식 휴대단말기이면, 사용자는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을 해당 국가의 시간으로 변경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제어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 온/오프를 제어하고 시간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제어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고 시간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위한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 중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통신모드는 RF 송수신을 통해 수행되는 모드로써, 통화수행 및 메시지송수신등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 제2통신모드는 상기 제1통신모드 이외의 모드로써, 촬영, 폰북 검색 및 MP3음악출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 제어장치가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제어장치200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은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0들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1통신모드/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은 일정주기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으로 시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시간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에 의해 제1통신모드/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하며, 시간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구성을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RF부1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제어장치200에서 수신되는 제1통신모드 차단/차단해제 명령에 의해 RF송수신이 차단/해제될 수 있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모뎀120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1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외부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통신모드/전원을 온/오프하며 시간정보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제1통신모드 차단/차단해제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통신모드를 자동으로 차단/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통신모드가 차단되면, 내부 타이머180을 동작시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통신모드 및 상기 제1통신모드가 차단된 상태에서 일정주기마다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시간정보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일정주기마다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시간정보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블루투스(BT:Bluetooth) 모듈170은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 및 시간정보를 상기 제어부110에게 입력한다.
상기 타이머18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통신모드가 차단될 때,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동작되면서 현재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제공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에서 수신되는 시간정보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가 변경되면, 시간변경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가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제1통신모드/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시간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제2통신모드/시간정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이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301단계에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제1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타이머180을 동작을 개시하여 상기 타이머180의 동작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3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타이머180의 동작 개시 후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제1통신모드의 차단 즉, 상기 RF부123을 차단하고, 제2통신모드의 동작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는 3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2단계-304단계를 통해 비행이륙 시나 극장 및 공연장소등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모드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180의 동작을 통해 상기 표시부160에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일정주기마다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타이 머180의 동작을 통한 휴대단말기의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타이머180의 동작에 의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로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시간정보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시간변경 알림정보 즉, 국가이동시에는 이동된 국가명과 해당 시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로 변경되면, 상기 타이머180은 상기 변경된 시간정보부터 동작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305단계 - 상기 308단계를 통해 다른 국가로 이동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해당 국가의 시간정보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통신모드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제1통신차단 해제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통신모드의 차단해제 즉, 상기 RF부123의 차단을 해제하여 RF송 수신을 통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3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통신모드의 차단이 해제되면, 상기 타이머180의 동작을 종료하며 상기 RF부123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3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통신모드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305단계 - 상기 308단계를 수행하면서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1통신모드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306단계를 거치지 않고 상기 307단계 및 상기 308단계를 통해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에서 수신된 시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09단계 - 상기 311단계를 통해 비행착륙 시나 극장 및 공연장소등에 상영 및 공연이 끝났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차단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전원/시간정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이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401단계에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전원 오프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오 프하는 4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2단계 및 상기 403단계를 통해 비행이륙 시나 극장 및 공연장소등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온 된 405단계에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일정주기마다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409단계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은 4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8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수신된 시간정보로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시간정보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409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시간변경 알림정보 즉, 국가이동시에는 이동된 국가명과 해당 시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온 된 405단계에서,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으로부터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407단계를 거치지 않고 상기 408단계 및 상기 409단계를 통해 상기 외부 제어장치200에서 수신된 시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406단계 - 상기 409단계를 통해 다른 국가로 이동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해당 국가의 시간정보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제어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전원/통신모드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전원이 오프 되어야 하는 공간이나 상황에서 자동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제어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다른 국가로 이동 시 비행기의 외부 제어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가 차단된 상태에서 통신모드 차단해제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 차단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RF 송수신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차단/차단해제 명령은 상기 휴대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5.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통신모드 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위한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 중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로 변경되면, 상기 타이 머의 동작으로 통해 상기 변경된 시간정보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통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가 차단된 상태에서 통신모드 차단해제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 차단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차단이 해제된 상태에서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모드차단이 해제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 위한 타이머의 동작을 종료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10.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RF 송수신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11.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드 차단/차단해제 명령 및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12.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과정과,
    상기 전원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키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온 시키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온인 태에서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와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15. 제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프 명령 및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제어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KR1020050093619A 2005-10-05 2005-10-05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KR20070038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619A KR20070038373A (ko) 2005-10-05 2005-10-05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619A KR20070038373A (ko) 2005-10-05 2005-10-05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373A true KR20070038373A (ko) 2007-04-10

Family

ID=3815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619A KR20070038373A (ko) 2005-10-05 2005-10-05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83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81B1 (ko) 2007-04-19 2009-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시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781B1 (ko) 2007-04-19 2009-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시간 제어 장치 및 방법
US8000172B2 (en) 2007-04-19 2011-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time within said time control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792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기능 수행방법
KR100724864B1 (ko) 휴대단말기의 전원제어 방법
KR20120017953A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00689B1 (ko) 휴대단말기의 알람제어 방법
KR20070038373A (ko) 휴대단말기의 동작제어 방법
KR100678104B1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리소스 제어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20070019158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전송방법
KR100557096B1 (ko) 양방향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표시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10070334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방법
KR100557091B1 (ko) 휴대 단말기의 배경화면 구성 방법
KR100606068B1 (ko) 휴대 단말기의 파워오프 제어방법
KR100713438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 셋 간의 통화수행방법
KR20070076029A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1148572B1 (ko) 휴대단말기의 특정효과 제어방법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081036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메모리의 파일 실행방법
KR100678106B1 (ko) 휴대단말기의 로컬시각 표시방법
KR100584343B1 (ko)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
KR10045673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0630095B1 (ko) 휴대단말기의 저전압에 따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17272A (ko) 휴대단말기의 띄어쓰기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60130357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서비스 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28

Effective date: 2007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