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227A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227A
KR20070038227A KR1020050093300A KR20050093300A KR20070038227A KR 20070038227 A KR20070038227 A KR 20070038227A KR 1020050093300 A KR1020050093300 A KR 1020050093300A KR 20050093300 A KR20050093300 A KR 20050093300A KR 20070038227 A KR20070038227 A KR 2007003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detection
surveillance
recording
channel
digit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099B1 (ko
Inventor
유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0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이 연결 접속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모드가 설정되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되는 각 채널별 감시영상을 녹화하되, 상기 녹화 도중 모션 검출이 발생한 채널의 감시영상에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를 부가 기록하고, 이후 녹화 도중 모션 검출이 해제되면,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에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를 부가 기록함으로써, 오브젝트 검출 연결 재생 동작 수행시,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재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복사 동작 수행시,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복사할 수 있게 되므로, 긴 복도 등과 같은 장소를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의 감시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녹화 및 감시할 수 있게 되며, 증거 자료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자동 편집하여 복사 제출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모션 검출, 연결 녹화, 연결 재생, 연결 복사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etect link record in digital video recorder}
도 1은 일반적인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연결 접속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이 각각 채널별로 녹화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에 의해 각 채널별 감시영상들이 연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복사 동작에 의해 복사된 파일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3 : 카메라 200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300 : 모니터 20 : 멀티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 : 오에스디 생성부 22 : 마이컴
23 : 모션 검출부 24: 코덱(Codec)
25 : 하드디스크 26 : 타이머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긴 복도 등과 같은 장소를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의 감시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연결 녹화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용 카메라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해당 지역을 촬영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복도 등과 같은 장소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100∼103)들은, 해당 지역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에서는, 상기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각 채널별 감시 영상을, 모니터(Monitor)(300)를 통해 화면 표시함과 아울러, 기기 내에 포함 구성되는 하드디스크(HDD) 등에, 각각 구분 녹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복도 등과 같은 장소에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게 되면, 제1 감시용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되는 제1 채널(CH1)의 감시영상에, 피사체가 촬영되고, 소정 시간 이후, 제2 감시용 카메라(101)에 의해 촬영되는 제2 채널의 감시영상에, 피사체가 촬영된다.
또한, 소정 시간 이후, 제3 감시용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되는 제3 채널의 감시영상에, 피사체가 촬영된 후, 다시 제4 감시용 카메라(103)에 의해 촬영되는 제4 채널의 감시영상에, 피사체가 촬영되므로, 결국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드디스크에 녹화되는 제1 내지 제4 채널(CH1∼4)의 감시영상에는, 상기 피사체가 임의의 시간 간격을 갖고 차례대로 녹화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하드디스크에 녹화된 제1 내지 제4 채널(CH1∼4)의 감시영상들을 재생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동 상황을 감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제1 내지 제4 채널(CH1∼4)의 감시영상들을, 광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복사하여, 증거 자료 등으로 제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긴 복도 등을 이동하는 피사체의 이동 상황을 감시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각 채널별 감시영상들을 모두 재생하면서, 피사체의 이동 상황을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증거 자료 등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각 채널별 감시영상들을, 광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모두 복사하여 제출하거나, 사용자가 일일이 편집 복사하여 제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긴 복도 등과 같은 장소를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의 감시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연결 녹화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증거 자료 등을 보다 효율 적으로 자동 편집하여 복사 제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모드 설정시,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에 대응되는 각 채널별 감시영상을 녹화하는 1단계; 상기 녹화 도중 모션 검출이 발생하면,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에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를 부가 기록하는 2단계; 및 상기 녹화 도중 모션 검출이 해제되면,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에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를 부가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에는, 모션 검출이 발생한 시점의 시간 정보가 포함 기록되고, 상기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에는, 모션 검출이 해제된 시점의 시간 정보가 포함 기록되며, 상기 부가 기록되는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 중, n+1 번째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는, n 번째 오브젝트 검출 종료 시작 정보와 일치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재생 동작 수행시,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복사 동작 수행시,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 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에는, 멀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 오에스디 생성부(21), 마이컴(22), 모션 검출부(23), 코덱(Codec)(24), 하드디스크(25), 그리고 타이머(26) 등이 포함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0)에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긴 복도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100∼103)들이 연결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각각 촬영되는 감시영상은, 상기 멀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되어, 모니터(300)에 화면 분할된 상태로 출력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22)에서는, 상기 코덱(24)을 동작 제어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된 감시영상을, 상기 하드디스크(25)에 각 채널별로 녹화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연결(Object Detect Link) 녹화 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상기 모션 검출부(23)를 동작 제어하여, 각 채널별 감시영상 내에 모션 벡터(Motion Vector) 성분을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출된 모션 벡터 성분 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에, 피사체 이동에 따른 모션 검출(Motion Detect)이 발생하였다고 판별한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 Object Detect Start_Info)를 부가 기록하고, 상기 감시영상에 모션 검출이 해제되면,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 Object Detect End_Info)를 부가 기록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긴 복도 등과 같은 장소에 특정 피사체가 이동하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채널(CH1∼4)의 감시영상 중 피사체가 존재하는 시작/종료 부분에, 각각 제1 내지 제4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1∼4)와 제1 내지 제4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1∼4)가 차례대로 부가 기록된다.
이후, 상기 마이컴(22)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연결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재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22)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연결 복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광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하나의 데이터 파일 등으로, 자동 편집하여 연결 복사할 수 있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마이컴(22)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S10), 상기 코덱(24)을 동작 제어하여,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감시영상을, 각 채널별로 하드디스크에 녹화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1).
또한, 상기 마이컴(22)에서는, 상기 모션 검출부(23)를 동작 제어하여, 각 채널별 감시영상 내에 존재하는 모션 벡터(Motion Vector) 성분을 검출하게 되는 데, 상기 검출된 모션 벡터 성분 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에, 피사체 이동에 따른 모션 검출(Motion Detect)이 발생하였다고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별결과, 모션 검출이 발생한 경우(S12),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를 부가 기록하게 되는 데(S13), 예를 들어, 제1 채널의 감시영상 중 모션 검출이 발생한 시점에, 제1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1)가 부가 기록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22)에서는, 피사체의 이동으로 인해 제1 채널의 감시영상에 모션 검출이 해제되면(S14), 제1 채널의 감시영상 중 모션 검출이 해제된 시점에, 제1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1)가 부가 기록되는 데(S15), 이때 상기 피사체의 이동으로 인해 제2 채널의 감시영상에 모션 검출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마이컴(22)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채널의 감시영상 중 모션 검 출이 발생한 시점에, 제2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2)를 부가 기록하게 된다.
즉, 제1 채널의 감시영상 중 모션 검출이 해제된 시점과, 제2 채널의 감시영상 중 모션 검출이 발생된 시점이 동일하기 때문에, 결국 n 번째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예: ODS_Info1)는, n+1 번째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E_Inf02)와 동일한 값을 갖게 되므로, 상기 모션 검출이 발생한 감시영상들을 서로 연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22)에서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S16), 상기와 같은 일련의 녹화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연결 재생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S17),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검색하여(S18), 그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에 일치하는 순서대로 각 채널별 감시영상을 탐색한 후, 모션 검출이 발생한 감시영상만을 연결 재생하게 된다(S19).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1)와 제1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1)가 부가 기록된 일부 구간의 제1 채널 감시영상이 선별 재생된 후, 상기 제2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2)와 제2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2)가 부가 기록된 일부 구간의 제2 채널 감시영상이 연결 재생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3)와 제3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3)가 부가 기록된 일부 구간의 제3 채널 감시영상이 연결 재생 된 후, 상기 제4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4)와 제4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4)가 부가 기록된 일부 구간의 제4 채널 감시영상이 연결 재생되므로, 사용자는, 긴 복도 등을 이동하는 피사체의 이동 상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22)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연결 복사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S20),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검색하여(S21), 그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에 일치하는 순서대로 각 채널별 감시영상을 탐색한 후, 모션 검출이 발생한 감시영상만을 연결 복사하게 된다(S22).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1)와 제1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1)가 부가 기록된 일부 구간의 제1 채널 감시영상과, 상기 제2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2)와 제2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2)가 부가 기록된 일부 구간의 제2 채널 감시영상, 그리고, 상기 제3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3)와 제3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3)가 부가 기록된 일부 구간의 제3 채널 감시영상과, 상기 제4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ODS_Info4)와 제4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ODE_Info4)가 부가 기록된 일부 구간의 제4 채널 감시영상을, 광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하나의 데이터 파일, 또는 연속 재생이 가능한 하나의 기록 단위로 복사하게 되므로, 피사체 이동 상황에 대한 증거 자료 등을 보다 편리하게 자동 편집하여 복사 제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은, 예를 들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이 연결 접속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모드가 설정되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되는 각 채널별 감시영상을 녹화하되, 상기 녹화 도중 모션 검출이 발생한 채널의 감시영상에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를 부가 기록하고, 이후 녹화 도중 모션 검출이 해제되면,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에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를 부가 기록함으로써, 오브젝트 검출 연결 재생 동작 수행시,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재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복사 동작 수행시,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복사할 수 있게 되므로, 긴 복도 등과 같은 장소를 이동하는 특정 피사체의 감시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녹화 및 감시할 수 있게 되며, 증거 자료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자동 편집하여 복사 제출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모드 설정시,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에 대응되는 각 채널별 감시영상을 녹화하는 1단계;
    상기 녹화 도중 모션 검출이 발생하면,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에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를 부가 기록하는 2단계; 및
    상기 녹화 도중 모션 검출이 해제되면,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에 오브젝트 검출 종료 정보를 부가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에는, 모션 검출이 발생한 시점의 시간 정보가 포함 기록되고, 상기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에는, 모션 검출이 해제된 시점의 시간 정보가 포함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기록되는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 중, n+1 번째 오브젝트 검출 시작 정보는, n 번째 오브젝트 검출 종료 시작 정보와 일치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 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재생 동작 수행시,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오브젝트 검출 연결 복사 동작 수행시, 상기 부가 기록된 각 채널별 오브젝트 검출 시작/종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순서대로 해당 채널의 감시영상을 연결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복사되는 감시영상은, 하나의 데이터 파일, 또는 연속 재생이 가능한 하나의 기록 단위로 복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 제어방법.
KR1020050093300A 2005-10-05 2005-10-05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제어방법 KR10072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300A KR100723099B1 (ko) 2005-10-05 2005-10-05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300A KR100723099B1 (ko) 2005-10-05 2005-10-05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227A true KR20070038227A (ko) 2007-04-10
KR100723099B1 KR100723099B1 (ko) 2007-05-30

Family

ID=3815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300A KR100723099B1 (ko) 2005-10-05 2005-10-05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244A1 (ko) * 2010-10-11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 및 그 오브젝트 검색 방법
KR20180089206A (ko)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웃샘 실험실용 안전댐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055B1 (ko) * 1996-07-27 1999-08-02 윤종용 감시용 시스템에서의 기록 매체 절약형 기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244A1 (ko) * 2010-10-11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 및 그 오브젝트 검색 방법
KR20180089206A (ko)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웃샘 실험실용 안전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099B1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84181A (ja) 動画像再生装置および動画像再生方法
JP4835368B2 (ja) 情報記録装置
JP2007259390A (ja) 動画撮影可能なカメラ
KR100723099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오브젝트 검출 연결 녹화제어방법
JP5207943B2 (ja) 撮像装置
KR100632583B1 (ko) 디지털 영상기기에서의 기록 제어방법
KR101017155B1 (ko) Dvr시스템 녹화 및 재생 방법
JP2005328154A (ja) 記録装置、ファイル分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72742B2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7081662A (ja) 複合型記録再生装置
KR200310980Y1 (ko) 보안 시스템의 녹화 및 재생 장치
KR100793235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라이브 역 클립 디스플레이방법
JP4052240B2 (ja) 監視画像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4112005A (ja) 画像記録装置
KR100618425B1 (ko) 타이틀 및 챕터 자동 분리 기록장치 및 방법
KR100713973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멀티 검색 방법
JP4787206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KR100952968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녹화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JP4208022B2 (ja) 情報編集装置、情報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802224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9065495A (ja) ビデオクリップ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2008016997A (ja) 動画撮影が可能なカメラ
JP2000125240A (ja)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タイムコ−ド管理方式
JP2005276383A (ja) 画像ファイル記録再生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記録再生プログラム
JP2005244621A (ja) 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