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778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778A
KR20070035778A KR1020050090562A KR20050090562A KR20070035778A KR 20070035778 A KR20070035778 A KR 20070035778A KR 1020050090562 A KR1020050090562 A KR 1020050090562A KR 20050090562 A KR20050090562 A KR 20050090562A KR 20070035778 A KR20070035778 A KR 2007003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olymer latex
tank
producing
latex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87340B1 (en
Inventor
안태건
임경식
남상일
유근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09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340B1/en
Publication of KR2007003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7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6Powdering or granulating by coagulating disper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08L21/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 C08J2321/02Lat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라텍스를 응집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생성되는 분체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응집조로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and apparatu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in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omprising the step of agglomerating and aging a polymer latex, a part of the powder produced is recycl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and 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comprises the step of introducing into a flocculation tank.

본 발명에서는 유화제 또는 물 등의 투입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분체 중 미세한 입자인 파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입자인 코스의 발생량도 감소시킬 수 있어 우수한 입도 분포를 갖고, 겉보기 비중 및 흐름성이 개선되어 포장비, 운송비 등의 물류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fine particles, fine particles in the powder, without increasing the amount of emulsifier or water, and also to reduce the amount of coarse particles, which have a large particle siz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and an apparatus having an effect of reducing logistics costs, such as packaging costs and transportation costs.

고분자 라텍스, 분체, 완속 응집 공정, 파인 재순환, 파인 유화 탱크 Polymer latex, powder, slow flocculation process, fine recycle, fine emulsification tank

Description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latex resin powder and apparatus therefor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도 1은 본 발명의 파인 유화 탱크를 포함하는 완속 응집 공정 장치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low flocculation process apparatus comprising a fine emulsific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종래의 완속 응집 공정 장치의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slow flocculation process apparatus.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라텍스 저장 탱크 2:1차 응집조1: Latex storage tank 2: Primary coagulation tank

3:2차 응집조 4:숙성조3: secondary flocculation tank 4: aging tank

5:탈수기 6:건조기 5: Dehydrator 6: Dryer

7,8:싸이클론 9:파인(fine) 유화 탱크 7, 8: cyclone 9: fine emulsification tank

11:유화제 투입 라인 12:라텍스 투입 라인 11: Emulsifier input line 12: Latex input line

13:물 공급 라인 14:1차 응집제 투입 라인 13: Water supply line 14: 1st flocculant input line

15:2차 응집제 투입 라인 16:탈수액 배출 라인15: Secondary flocculant input line 16: Dehydration liquid discharge line

17:제품 회수 라인 18:파인(fine) 회수 라인 17: Product recovery line 18: Fine recovery line

19:폐가스 배출 라인 20:유화된 파인(fine) 투입 라인 19: waste gas discharge line 20: emulsified fine input line

21:유화용 물 투입 라인21: water input line for emulsion

본 발명은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화제 또는 물 등의 투입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분체 중 미세한 입자인 파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입자인 코스의 발생량도 감소시킬 수 있어 우수한 입도 분포를 갖고, 겉보기 비중 및 흐름성이 개선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move fine particles, fine particles in the powder, without increasing the amount of emulsifier or water,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having excell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improved apparent specific gravity and flowability, and a device thereof.

일반적인 유화중합 공정에 있어서 라텍스 내의 고분자 수지를 분체로 제조하는 래피드 응집(rapid coagulation)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분자 라텍스에 무기염(salt) 또는 산(acid) 등의 응집제 수용액을 과량으로 투입하여 유화제에 의한 정전기적 안정화를 깨뜨림으로써 라텍스 내의 고분자 입자들을 뭉치게 만든다. 이렇게 라텍스의 고분자 입자들이 뭉치는 것을 응집(coagulation)이라고 하고, 고분자 입자들이 뭉친 것을 슬러리(slurry)라고 하며, 이들은 물리적으로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교반기 등에 의한 외부의 전단력(shear)에 의해 쉽게 파쇄되는(break-up) 현상을 보인다. In a general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a rapid coagul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resin in latex as a powder is as follows. First, an excessive amount of an aqueous solution of a coagulant such as an inorganic salt or an acid is added to the polymer latex, thereby breaking up the electrostatic stabilization by the emulsifier to aggregate the polymer particles in the latex. The agglomera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of latex is called coagulation, and the agglomera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is called a slurry, and since they are physically weakly bound, they are easily crushed by an external shear force by an agitator. Break-up phenomenon.

따라서 1차적으로 응집된 슬러리는 승온시켜 사슬 간 상호 침투에 의해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과정인 숙성(aging) 과정을 거치게 한다. 이렇게 생성된 물리적으로 비교적 강한 결합을 갖는 슬러리는 탈수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분체상으로 얻어지게 된다. Therefore, the first aggregated slurry is subjected to an aging process, which is a process of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by mutual penetration between chains by raising the temperature. The slurry having physically relatively strong bonds thus produced is finally obtained in powder form through dehydration and dry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은 과량의 응집제를 사용하여 라텍스의 안정성을 순 식간에 깨뜨리므로 고분자 입자들이 엉켜 붙는 과정이 매우 빠르고 무질서하게 일어난다. 이로 인해 래피드 응집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최종 입자는 매우 불규칙적인 형상을 지니며, 이로 인하여 분체의 흐름성이 나빠지고 겉보기 비중이 감소되는데, 이는 분체의 비산에 의한 문제점 뿐 아니라 포장, 운송 등의 물류비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process breaks the stability of the latex in an instant using an excess of flocculant, so that the process of entanglement of the polymer particles occurs very quickly and disorderly. As a result, the final particles obtained by the rapid agglomeration process have a very irregular shape, which results in poor flowability and reduced apparent specific gravity. This is not only a problem due to the scattering of the powder but also a logistics cost such as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또한 래피드 응집 공정의 무질서한 응집 과정은 입도 분포가 매우 넓어지는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넓은 입도 분포는 공정 상에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먼저 입경이 약 75 ㎛ 이하의 미세한 입자인 파인(fine)은 탈수기 및 건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공기 중으로 비산하기 쉬워 공정 내 분체의 이송과 포장에도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 입경이 약 400 ㎛ 이상의 큰 입자인 코스(coarse)는 이송 및 저장의 문제가 있으며, 다른 고분자 수지들과의 상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isordered coagulation process of the rapid coagulation process cause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to be very wide, which causes a lot of problems in the process. First, fine particles, which are fin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75 μm or less,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dehydrator and the dryer, and are easily scattered into the air, causing many problems in the transport and packaging of the powder in the process. In addition, a coarse having a particle size of about 400 μm or more has a problem of transport and storage, and has a disadvantage of incompatibility with other polymer resin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완속 응집(slow coagulation) 공정은 응집제의 분할 투입을 통하여 응집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생성되는 최종 입자의 분체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The slow coagulation proces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powder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particles produced by controlling the aggregation rate through the divided input of the flocculant.

도 2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완속 응집 공정 장치를 나타내었다. 완속 응집 공정을 통한 라텍스 고분자 수지 분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conventional slow flocculation process apparatus generally used in FIG. 2 is shown. The method for producing a latex polymer resin powder through a slow flocculation process is as follows.

먼저 라텍스 저장 탱크(1)에 안정화 유화제를 유화제 투입 라인으로(11) 투입하여 고분자 라텍스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는 응집 과정을 가역 과정으로 만들어 완속 응집을 유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이 과정을 생략할 경우에는 1차 응 집조에 응집제를 소량 투입하더라도 부분적으로만 응집이 일어나 입도 분포가 넓어지고 겉보기 비중이 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유화제가 투입된 라텍스를 1차 응집조(2)에 적당량의 1차 응집제 및 물을 1차 응집제 투입 라인(14), 물 공급라인(13)으로 함께 투입하고 1 내지 5 분 동안 체류시켜 1차 응집시킨다. 여기서 물은 1차 응집조의 고형분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투입된다. 이렇게 얻어진 슬러리를 2차 응집조(3)로 이송하여 2차 응집제 투입 라인(15)으로 2차 응집제를 투입하고 2차 응집시킨 후 다시 슬러리를 숙성조(4)로 이송하여 높은 온도 하에서 40 내지 90 분 동안 체류시켜 숙성시킨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슬러리는 탈수기(5)에서 탈수 과정을 거쳐 건조기(6)에서 건조시킨 후, 두 개의 싸이클론(7, 8)에서 각각 정품과 파인을 회수한다. First, a stabilized emulsifier is introduced into the latex storage tank 1 by an emulsifier input line 11 to secure stability of the polymer latex. This is necessary to induce slow coagulation by making the coagulation process reversible. If this process is omitted, even if a small amount of coagulant is added to the primary coagulation, the coagulation occurs only partially, resulting in wider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lower apparent specific gravity. Next, the latex into which the emulsifier is added is introduced into the primary coagulant tank 2 together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primary coagulant and water into the primary coagulant inlet line 14 and the water supply line 13, and stays for 1 to 5 minutes. Tea agglomerates. Here, water is added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primary flocculation tank. The slurry thus obtained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flocculation tank 3, the secondary flocculant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flocculant input line 15, and secondary flocculation is carried out. Stay for 90 minutes to mature. The finally obtained slurry is dehydrated in the dehydrator (5), dried in the dryer (6), and then recovered from the two cyclones (7, 8) genuine and fine.

상기와 같은 완속 응집 공정은 일반적인 래피드 응집 공정에 비해서 얻어지는 분체의 입도 분포, 겉보기 비중, 구형도와 그에 따른 흐름성 등의 분체 특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 slow coagul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that powder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le size distribution, apparent specific gravity, sphericity and flowability thereof are improved as compared with a general rapid coagulation process.

그러나 완속 응집 공정의 경우에도 1차 응집조에서 얻어지는 슬러리의 입자가 물리적으로 매우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2차 응집조의 교반기에 의해 파쇄되는 현상이 일어나 파인이 발생하게 된다. 또 만약 이러한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2차 응집조의 교반 속도를 낮추게 되면 2차 응집조에 투입되는 과량의 2차 응집제에 의하여 슬러리들이 서로 뭉치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 코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의 완속 응집 공정에서는 파인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2차 응집조를 적절한 속도로 교반해 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파인의 생성을 근본적 으로 방지해 줄 수 있는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However, even in the slow flocculation process, since the particles of the slurry obtained in the primary flocculation tank are physically very weakly bound, the phenomenon of being crushed by the stirrer of the secondary flocculation tank occurs, thereby generating fine particles. In addition, if the stirring speed of the secondary flocculation tank is lowered in order to reduce this phenomenon, the slurry is agglomerated by the excess secondary flocculant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flocculation tank and a course occurs. Therefore, in the existing slow flocculation process, the secondary flocculation tank must be stirred at an appropriate speed to minimize the amount of fine. However, this is not a solution that can fundamentally prevent the generation of fines.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유화제 또는 물 등의 투입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분체 중 미세한 입자인 파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입자인 코스의 발생량도 감소시킬 수 있어 우수한 입도 분포를 갖고, 겉보기 비중 및 흐름성이 개선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remove fine particles, fine particles in powder without increasing the amount of emulsifier or water, but also reduce the amount of coarse particl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having an excell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an apparent specific gravity and flowability.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분자 라텍스를 응집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omprising the step of agglomerating and aging polymer latex,

생성되는 분체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응집조로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inuously made including a step of recycling the generated powder to the flocculation tank.

또한 본 발명은 분체의 일부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파인 유화 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omprising a fine emulsification tank for recycling a part of powder.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완속 응집 공정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응집 공정에 있어서, 생성되는 분체의 일부 중 미세한 입자인 파인을 유화시킨 후 1차 응집조로 재순환시켜 응집 공정의 시이드(seed)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균일한 입도 분포와 향상된 겉보기 비중을 갖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이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low flocculation process, and in the flocculation process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primary coagulation after emulsifying the fine particles of a part of the powder produced I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having a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an improved apparent specific gravity by recirculating into a bath to serve as a seed of the aggregation process.

본 발명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는 도 1에 나타낸 완속 응집 공정 장치로, 안정화 유화제를 유화제 투입 라인으로(11) 투입하여 고분자 라텍스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라텍스 저장 탱크(1), 상기 유화제가 투입된 라텍스에 적당량의 1차 응집제 및 물을 1차 응집제 투입 라인(14), 물 공급라인(13)으로 함께 투입하여 1차 응집시키는 1차 응집조(2), 상기 1차 응집으로 얻어진 슬러리에 2차 응집제 투입 라인(15)으로 2차 응집제를 투입하고 응집시키는 2차 응집조(3), 상기 2차 응집된 슬러리를 숙성시키는 숙성조(4), 최종적으로 얻어진 슬러리를 탈수하고 건조시키는 탈수기(5) 및 건조기(6), 상기 건조된 분체를 정품과 파인으로 분리시키는 두 개의 싸이클론(7, 8)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완속 응집 공정 장치에 상기 분리된 파인을 유화시키기 위한 물 투입 라인(21) 및 유화제 투입 라인(11)이 연결된 파인 유화 탱크(9) 및 상기 유화된 파인을 라텍스에 투입하기 위하여 라텍스 투입 라인(12)과 연결된 유화된 파인 투입 라인(2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ow flocculation process apparatus shown in Figure 1, the latex storage tank (1)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polymer latex by introducing a stabilized emulsifier into the emulsifier input line (11), In the first flocculation tank (2), in which a suitable amount of primary coagulant and water are added to the first coagulant inlet line (14) and the water supply line (13), and coagulated by primary coagulation. Secondary flocculating tank (3) for introducing and flocculating secondary flocculant into secondary flocculant inlet line (15), Aging tank (4) for aging the secondary flocculated slurry, Dehydrator for dewatering and drying the finally obtained slurry (5) and a dryer (6), water for emulsifying the separated fines in a conventional slow flocculation process apparatus consisting of two cyclones (7, 8) separating the dried powder into genuine and fine particles A fine emulsification tank 9 to which the inlet line 21 and the emulsifier input line 11 are connected, and an emulsified fine input line 20 connected to the latex input line 12 in order to input the emulsified pine into the latex are additionally installed. The device is a continuous process.

상기 고분자 라텍스 수지는 탄소수가 1 또는 2 이상인 아크릴계 또는 메타크릴계 에스테르 단량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 단량체 혼합물 80 내지 99 중량부 및 상기 단량체 혼합물과 가교중합이 가능한 가교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유화중합시켜 제조한 아크릴계 고무상 라텍스 20 내지 80 중량부의 존재 하에 아크릴로 니트릴 단량체 0 내지 50 중량부, 메타크릴계 또는 아크릴계 에스테르 단량체 0 내지 100 중량부, 비닐 방향족 단량체 0 내지 90 중량부 및 상기 단량체들과 공중합이 가능한 가교제 또는 그라프트제 0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을 전체 반응물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부로 상기 아크릴계 고무상 라텍스에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고분자 라텍스를 사용할 수 있다.The polymer latex resin is 80 to 99 parts by weight of a monomer mixtu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crylic or methacrylic ester monomers having 1 or 2 carbon atoms, and 0.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capable of crosslinking polymerization with the monomer mixture. 0 to 50 parts by weight of acrylonitrile monomer, 0 to 100 parts by weight of methacryl or acrylic ester monomer, 0 to 90 parts by weight of vinyl aromatic monomer and the monomer in the presence of 20 to 80 parts by weight of acrylic rubber latex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It is possible to use a polymer latex obtained by graft polymerization by continuously adding a monomer mixture of 0 to 10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or a graft agent copolymerizable with the acrylic rubber latex to 2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reactants.

또한 상기 고분자 라텍스는 스티렌 30 내지 50 중량부, 부타디엔 50 내지 70 중량부 및 이와 가교중합이 가능한 가교제 0 내지 3 중량부를 유화중합시켜 제조한 부타디엔계 고무상 라텍스 20 내지 60 중량부 존재 하에, 비닐 방향족 단량체의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 단량체 혼합물 20 내지 60 중량부, 비닐시안계 단량체 5 내지 20 중량부 및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의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 단량체 혼합물 0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상 라텍스에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 고분자 라텍스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mer latex is vinyl aromatic in the presence of 20 to 60 parts by weight of butadiene-based rubbery latex prepar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30 to 50 parts by weight of styrene, 50 to 70 parts by weight of butadiene and 0 to 3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capable of crosslinking polymerization. Alone or two of 20 to 60 parts by weight of a monomer mixture, 5 to 20 parts by weight of a vinyl cyanide monomer and an alkyl acrylate and a glycidyl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The polymer latex which graft-polymerized by continuously adding the monomer mixture which consists of 0-5 weight part of monomer mixture used by mixing to the said butadiene type rubbery latex can be used.

상기 고분자 라텍스 수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라텍스 저장 탱크(1)에 유화제 투입 라인(11)으로 유화제를 투입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polymer latex resin, the emulsifier is introduced into the latex storage tank 1 by the emulsifier input line 11.

상기 유화제는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소디움 디 옥틸술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sulfosuccinate), 소디움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또는 다우-팍스(dow-fax)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mulsifier alone or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dioctylsulfosuccinate,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or dow-fax It can mix and use 2 or more types.

상기 유화제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의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mulsifier is preferably used in 0.1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latex resin.

상기 유화제로 안정화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는 응집제 투입 라인(14, 15)으로 응집제를 투입하여 1차 응집조(2) 및 2차 응집조(3)에서 응집된다.The polymer latex resin stabilized with the emulsifier is aggregated in the primary flocculation tank 2 and the secondary flocculation tank 3 by introducing the flocculant into the flocculant input lines 14 and 15.

상기 응집제는 1차 응집제, 2차 응집제가 동일하게 사용되며, 황산, 인산, 염산 등의 수용성 무기산 또는 황산염, 칼슘염 등의 무기염을 사용할 수 있다.The coagulant may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imary coagulant and the secondary coagulant, and may use water-soluble inorganic acids such as sulfuric acid, phosphoric acid and hydrochloric acid, or inorganic salts such as sulfate and calcium salts.

상기 1차 응집제의 투입량은 안정화 유화제의 투입량에 따라 다르며, 이는 1차 응집조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슬러리의 입도 및 구형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The input amount of the primary coagula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put amount of the stabilizing emulsifier, whic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sphericity of the slurry that overflows in the primary coagulation tank.

상기 2차 응집제는 일반적으로 과량으로 투입하며, 고분자 라텍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ary flocculant is generally added in exces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0.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latex resin.

상기 응집된 고분자 라텍스 수지는 숙성조(4)에서 숙성되고, 탈수조(5)에서 탈수 과정을 거쳐 건조기(6)에서 건조된 후, 두 개의 싸이클론(7, 8)에서 정품과 파인으로 분리된다.The agglomerated polymer latex resin is aged in a aging tank (4), dehydrated in a dehydration tank (5), dried in a dryer (6), and then separated into genuine and fine in two cyclones (7, 8) do.

상기 두 번째 싸이클론(8)에서 회수되는 파인은 물 투입 라인(21) 및 유화제 투입 라인(11)이 연결된 파인 유화 탱크(9)에 물 및 유화제와 함께 투입하고 교반하여 유화된다. The fine recovered in the second cyclone 8 is emulsified with water and emulsifier into a fine emulsification tank 9 to which the water input line 21 and the emulsifier input line 11 are connected, and are stirred together.

상기 회수되어 유화 탱크로 투입되는 파인은 입경이 75 ㎛ 이하인 분체가 바람직하다.The fine powder collected and put into the emulsification tank is preferably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75 μm or less.

상기 파인을 물에 완전히 유화시키기 위한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 농도는 1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농도가 1 % 미만인 경우에는 파인이 적절히 유화되지 않아 파인끼리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폼(foam) 발생으로 인해 저장, 이송 등에 문제점이 있다.The emulsifier concentration in the emulsification tank for fully emulsifying the fine in water is preferably 1 to 10%. When the concentration is less than 1%, the fine particles are not emulsified properly, so that the fine particles are agglomerated, and when the concentration exceeds 10%, there is a problem such as storage and transportation due to foam generation.

상기 파인은 고분자 라텍스 수지 투입량의 15% 이내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1차 응집조의 운전 조건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함량이 1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인의 유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코스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fine is preferably added within 15% of the polymer latex resin input amount,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rimary coagulation tank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5%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rse is increased because the fine emulsification is not made completely.

상기 파인 유화 탱크에서 유회된 파인을 포함한 물은 라텍스 투입 라인(12)과 연결된 유화된 파인 투입 라인(21)을 통하여 1 차 응집조로 투입된다. 이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가 1차 응집조로 투입되어 응집제와 만나기 전에 라텍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물에 유화된 파인을 1차 응집조로 직접 투입하게 되면 초기 혼합 과정에서 파인 및 코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water containing the fines circulated in the fine emulsification tank is introduced into the primary coagulation tank through the emulsified fine input line 21 connected to the latex input line 12. This is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latex before the polymer latex resin is introduced into the primary flocculation tank and meets the flocculant. If the fine emulsion emulsified in wate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primary flocculation tank, fine and coarse occurs during the initial mixing process. There is this.

상기 1차 응집조에 투입된 파인은 응집 과정 중에 시이드로 작용하여 보다 조밀한 구조를 가지는 슬러리가 생성되고 결과적으로 높은 겉보기 비중을 갖는 분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The fine particles introduced into the primary coagulation bath act as a seed during the coagulation process to produce a slurry having a denser structure, and as a result, powder having a high apparent specific gravity can be obtained.

상기 응집조 및 숙성조에서 슬러리는 오버-플로우 방식에 의해 다음 단계로 이송되며, 본 발명의 모든 단계는 연속적으로 운전된다.In the flocculation tank and the aging tank, the slurry is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by the overflow method, and all the step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continuously.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고무 라텍스 수지의 제조Preparation of Rubber Latex Resins

1) 1 단계 반응 - 시이드 제조1) One Step Reaction-Seed Preparation

시이드(seed)를 중합하는 단계로 이온교환수 339.8 g을 반응기 내부에 투입하고 온도를 70 ℃까지 상승시켰다. 이온교환수의 온도가 70 ℃에 도달하면 부틸 아크릴레이트 49.85 g,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0.05 g,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0.10 g,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LS) 16.59 g(3 중량% 용액)을 각각 일시에 투입하였다. 반응기내 온도를 70 ℃로 유지하면서 포타슘퍼설페이트 26.77 g(1 중량% 용액)을 투입함으로써 시이드를 중합하였다. In the step of polymerizing the seed, 339.8 g of ion-exchanged water wa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0 ° C.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on-exchanged water reaches 70 ° C., 49.85 g of butyl acrylate, 0.05 g of allyl methacrylate, 0.10 g of 1,3-butanediol dimethacrylate, 16.59 g of sodium lauryl sulfate (SLS) (3 wt% solution) ) Was added at the same time. The seed was polymerized by adding 26.77 g (1 wt% solution) of potassium persulfate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 the reactor at 70 ° C.

2) 2 단계 반응 - 코어 제조2) Two stage reaction-core manufacture

코어(core) 고무층을 중합하는 단계로 이온교환수 208.4 g, 부틸 아크릴레이트 448.66 g,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0.450 g,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0.90 g, SLS 74.68 g(3 중량% 용액)을 혼합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안정화된 프리에멜젼이 제조된 후 상기 1 단계 반응에서 제조된 시이드 라텍스에 일정 유속으로 1 시간 30 분 동안 연속 투입하였다. 동시에 포타슘퍼설페이트 149.34 g(1 중량% 용액)도 1 시간 30 분 동안 연속 투입하여 중합을 진행시켰다. 그리고 반응 온도 인 70 ℃에서 1 시간 동안 숙성시켜 코어 부분을 완성하였다.Polymerizing the core rubber layer, 208.4 g of ion-exchanged water, 448.66 g of butyl acrylate, 0.450 g of allyl methacrylate, 0.90 g of 1,3-butanediol dimethacrylate, 74.68 g (3 wt% solution) of SLS Was mixed to prepare a preemulsion. After the stabilized pre-emulsion was prepared, the seed latex prepared in the one-step reaction was continuously added for 1 hour 30 minutes at a constant flow rate. At the same time, 149.34 g (1 wt% solution) of potassium persulfate was continuously added for 1 hour and 30 minutes to proceed with the polymerization. And the core portion was completed by aging for 1 hour at 70 ℃ reaction temperature.

3) 3 단계 반응 - 셸 제조3) 3-step reaction-shell preparation

상기 2 단계까지 제조된 코어 부분에 셸 부분을 중합하는 단계로 우선 이온교환수 197.5 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17.75 g, 에틸 아크릴레이트 9.2 5g, SLS 13.8 g(3 중량% 용액)의 프리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상기 2 단계의 코어 라텍스에 프리에멀젼과 포타슘퍼설페이트 69.2 g(1 중량% 용액)을 동시에 1 시간 동안 연속 투입하여 셸 부분의 반응을 진행시켰다. 마찬가지로 반응기 내 온도를 70 ℃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1 시간 동안 숙성시켜 중합을 완료하였다. 이렇게 중합된 라텍스의 고형분 농도가 40 %가 되도록 물을 투입하여 라텍스 제조를 완료하였다.In the step of polymerizing the shell portion to the core portion prepared up to step 2, first, a preemulsion of 197.5 g of ion-exchanged water, 117.75 g of methyl methacrylate, 9.2 5 g of ethyl acrylate, and 13.8 g (3 wt% solution) of SLS was prepared. It was. The pre-emulsion and 69.2 g (1 wt% solution) of potassium persulfate were continuously added to the core latex in two stages at the same time for 1 hour to allow reaction of the shell portion. Likewise, the polymerization was completed by aging for 1 hou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the reactor at 70 ℃. Water was added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polymerized latex was 40% to complete the latex production.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Preparation of Polymer Latex Resin Powder

상기 제조한 라텍스를 1차 응집조에 15000 g/hr의 유량으로 투입하였으며, 1차 응집제로는 10 %로 희석된 칼슘 클로라이드(CaCl2)를 전체 고분자 라텍스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를 900 g/hr로 투입하였고 물은 1차 응집조 내의 고형분 농도가 16 %가 되도록 조절하여 투입하였다. 1차 응집조의 체류 시간은 2 분, 공정 온도는 42 ℃로 유지하였다. 상기 1차 응집된 슬러리를 2차 응집조로 이송하고, 2차 응집제로는 1차 응집제와 마찬가지로 10 %로 희석된 칼슘 클로라이드 1.0 중량부를 600 g/hr의 유량으로 투입하고, 2차 응집조의 체류 시간은 7 분, 공정 온도는 42 ℃로 유지하여 2차 응집하였다. 상기 응집된 슬러리는 숙성조에서 체류 시간 60 분, 공정 온도 90 ℃에서 숙성시켰다. 상기 숙성된 슬러리는 탈수 및 건조하여 분체로 제조하였으며, 싸이클론에서 제품 및 파인으로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파인은 10 %로 희석된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0.2 중량부를 120 g/hr의 유량으로 물 480 g/hr과 함께 RPM 200으로 교반 중인 유화 탱크로 투입하였다. 이 때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 농도는 2 %였다. 상기와 같은 연속적인 과정을 거쳐 수득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겉보기 비중 및 입도 분포 등의 분체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prepared latex was introduced into the primary coagulation tank at a flow rate of 15000 g / hr, and as the primary coagulant, 1.5 parts by weight of 900 g of calcium chloride (CaCl 2 ) diluted to 10%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olymer latex content was used. / hr was added and water was added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solids in the primary coagulation tank to 16%. The residence time of the primary coagulation bath was 2 minutes, and the process temperature was kept at 42 degreeC. The first flocculated slurry was transferred to a secondary flocculation tank, and 1.0 part by weight of calcium chloride diluted to 10% was introduced at a flow rate of 600 g / hr as the secondary flocculation agent,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secondary flocculation tank was changed. 7 minutes and process temperature hold | maintained at 42 degreeC, and it secondary-aggregated. The aggregated slurry was aged at a residence time of 60 minutes and a process temperature of 90 ° C. in a aging tank. The aged slurry was dehydrated and dried to prepare a powder, which was separated into cyclones and product. The separated fines were fed into an emulsification tank stirred at RPM 200 with 480 g / hr of water at a flow rate of 120 g / hr, 0.2 parts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diluted to 10%. At this time, the emulsifier concentration in the emulsion tank was 2%. The powder properties such as apparent specific grav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btained through the continuous process as described above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의 농도가 1 %가 되도록 유화 탱크로 투입되는 물의 투입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emulsion tank was adjust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mulsifier in the emulsion tank is 1%.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실시예 1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유화제를 고분자 라텍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Except that the emulsifier was added to 0.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latex resin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4Example 4

상기 실시예 3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의 농도가 1 %가 되도록 유화 탱크로 투입되는 물의 투입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3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emulsion tank was adjust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mulsifier in the emulsion tank is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파인을 재순환시 킬 수 있는 유화 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라텍스에 유화제를 직접 투입하여 안정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stabilizing by directly adding the emulsifier to the latex without using an emulsification tank to recycle the fin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3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파인을 재순환시킬 수 있는 유화 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라텍스에 유화제를 직접 투입하여 안정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3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for stabilizing by directly adding the emulsifier to the latex without using an emulsification tank that can recycle the fine.

실시예 5Example 5

고무 라텍스 수지의 제조Preparation of Rubber Latex Resins

교반기가 장착된 120 L의 고압중합용기에 이온교환수 180 중량부, 완충용액 0.5 중량부, 유화제로 올레인산칼륨 0.8 중량부, 피로인산소오다 0.065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47 중량부, 중합개시제로 황산 제1철 0.003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0.02 중량부 및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1 중량부를 투입시켰다. 그 다음, 단량체로 부타디엔 12 중량부, 스티렌 36 중량부, 그라프트 가교제로 디비닐벤젠 2 중량부를 투입하여 35 ℃의 반응온도에서 반응시킨 후, 코어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In a 120 L high-pressure polymeriza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18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0.5 parts by weight of buffer solution, 0.8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oleate as emulsifier, 0.065 parts by weight of sodium pyrophosphate, 0.0047 parts by weight of ethylenediamine tetrasodium acetate, polymerization As an initiator, 0.003 parts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0.02 parts by weight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and 0.11 parts by weight of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were added. Then, 12 parts by weight of butadiene, 36 parts by weight of styrene, and 2 parts by weight of divinylbenzene with a graft crosslinking agent were added and reacted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35 ° C., thereby preparing a core latex.

상기 제조된 코어 라텍스에 단량체로 부타디엔 50 중량부, 유화제로 올레인산칼륨 0.2 중량부, 중합개시제로 나트륨포름알데히드설폭실레이트 0.02 중량부 및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1 중량부를 가하고 10 시간 동안 중합하여 평균입경이 950 Å인 셸을 제조하였다. 50 parts by weight of butadiene as a monomer, 0.2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oleate as an emulsifier, 0.02 parts by weight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0.11 parts by weight of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were added to the core latex, and polymerized for 10 hours. A shell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950 mm 3 was prepared.

이와 같이 제조된 고무중합체 고형분 88 중량부에 물 100 중량부, 에틸렌디 아민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47 중량부, 황산 제1철 0.003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하이드설폭실레이트 0.02 중량부 및 포타슘퍼옥사이드 0.13 중량부를 가한 후, 여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 중량부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80 ℃의 온도에서 30 분간 가열하고, 60 분간 중합하여 중합을 완료하였다. 이렇게 중합된 라텍스에 고형분 농도가 40 %가 되도록 물을 투입하여 라텍스 제조를 완료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water, 88 parts by weight of ethylenediaminetetrasodium acetate, 0.003 parts by weight of ferrous sulfate, 0.02 parts by weight of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and 0.13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peroxide. After the addition, 12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was added thereto. The mixture was heated at a temperature of 80 ° C. for 30 minutes and polymerized for 60 minutes to complete the polymerization. Water was added to the polymerized latex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40% to complete the latex production.

고무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Preparation of Rubber Latex Resin Powders

상기 제조한 라텍스를 1차 응집조에 15000 g/hr의 유량으로 투입하였으며, 1차 응집제로는 10 %로 희석된 황산(H2SO4)을 전체 고분자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4 중량부를 240 g/hr로 투입하였고, 물은 1차 응집조 내의 고형분 농도가 16 %가 되도록 조절하여 투입하였다. 1차 응집조의 체류 시간은 2 분, 공정 온도는 35 ℃로 유지하였다. 상기 1차 응집된 슬러리를 2차 응집조로 이송하고, 2차 응집제로는 1차 응집제와 마찬가지로 10 %로 희석된 황산 1.0 중량부를 600 g/hr의 유량으로 투입하였으며, 2차 응집조의 체류 시간은 7 분, 공정 온도는 35 ℃로 유지하였다. 상기 응집된 슬러리는 숙성조에서 체류 시간 60 분, 공정 온도 60 ℃에서 숙성시켰다. 상기 숙성된 슬러리는 탈수 및 건조하여 분체로 제조하였으며, 싸이클론에서 제품 및 파인으로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파인은 10 %로 희석된 다우-팍스 0.2 중량부를 120 g/hr의 유량으로 물 480 g/hr과 함께 RPM 200으로 교반 중인 유화 탱크로 투입하였다. 이 때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 농도는 2 %였다. 상기와 같은 연속적인 과정을 거쳐 수득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겉보기 비중 및 입도 분포 등 의 분체 특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he prepared latex was introduced into the primary flocculation tank at a flow rate of 15000 g / hr, and 0.4 parts by weight of 240 g of sulfuric acid (H 2 SO 4 ) diluted to 10% as the primary flocculant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olymer content. / hr was added, and water was added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solids in the primary coagulation bath to 16%. The residence time of the primary coagulation tank was maintained for 2 minutes and the process temperature was 35 degreeC. The first flocculated slurry was transferred to a secondary flocculation tank, and 1.0 part by weight of sulfuric acid diluted to 10% was introduced at a flow rate of 600 g / hr as the secondary flocculant,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secondary flocculation tank was 7 minutes, the process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5 ℃. The aggregated slurry was aged at a residence time of 60 minutes and a process temperature of 60 ° C in a aging tank. The aged slurry was dehydrated and dried to prepare a powder, which was separated into cyclones and product. The separated fines were fed into an emulsification tank stirred at RPM 200 with 480 g / hr of water at a flow rate of 120 g / hr of 0.2 parts of Dow-fax diluted to 10%. At this time, the emulsifier concentration in the emulsion tank was 2%. Powder properties such as apparent specific grav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btained through the continuous process as described above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6Example 6

상기 실시예 5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의 농도가 1 %가 되도록 유화 탱크로 투입되는 물의 투입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5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emulsion tank was adjust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mulsifier in the emulsion tank is 1%.

실시예 7Example 7

상기 실시예 5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유화제를 고분자 라텍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Except that the emulsifier was added to 0.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latex resin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5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실시예 8Example 8

상기 실시예 7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의 농도가 1 %가 되도록 유화 탱크로 투입되는 물의 투입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7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except that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emulsion tank was adjust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mulsifier in the emulsion tank is 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 5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파인을 재순환시킬 수 있는 유화 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라텍스에 유화제를 직접 투입하여 안정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5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emulsion was added directly to the latex to stabilize without using an emulsification tank that can recycle fine.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상기 실시예 7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 단계에서 파인을 재순환시킬 수 있는 유화 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라텍스에 유화제를 직접 투입하여 안정화 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 7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except that the emulsion was added directly to the latex to stabilize without using an emulsification tank that can recycle fine.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고분라 라텍스 수지 분체의 겉보기 비중 및 입도 분포를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latex resin powder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ㄱ) 겉보기 비중 - ASTM D198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A) apparent specific gravity-measured according to ASTM D1985.

ㄴ) 입도 분포 - 표준 망체를 사용하여 입경을 측정하고, 입경이 75 ㎛이하로 미세한 파인 입자 및 400 ㎛ 이상으로 큰 입자 코스 입자의 함량 측정하였다. B) Particle size distribution—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using a standard network, and the content of fine fin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75 μm or less and large particle coarse particles of 400 μm or more was measured.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유화제 투입량 (중량부)Emulsifier input amount (part by weight) 0.20.2 0.20.2 0.20.2 0.30.3 0.30.3 0.30.3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 농도 (%)Emulsifier Concentration in Emulsification Tank (%) 22 1One -- 22 1One -- 겉보기 비중 (g/ml)Apparent specific gravity (g / ml) 0.520.52 0.500.50 0.490.49 0.520.52 0.510.51 0.500.50 파인(75 ㎛이하) 함량 (중량%)Fine (less than 75 μm) Content (% by weight) 0.00.0 0.00.0 6.76.7 0.00.0 0.00.0 4.84.8 코스(400㎛이상)함량 (중량%)Course (400㎛ or more) Content (wt%) 3.73.7 3.93.9 4.74.7 2.92.9 3.23.2 3.43.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8Example 8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유화제 투입량 (중량부)Emulsifier input amount (part by weight) 0.20.2 0.20.2 0.20.2 0.30.3 0.30.3 0.30.3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 농도 (%)Emulsifier Concentration in Emulsification Tank (%) 22 1One -- 22 1One -- 겉보기 비중 (g/ml)Apparent specific gravity (g / ml) 0.500.50 0.500.50 0.460.46 0.510.51 0.510.51 0.470.47 파인(75 ㎛이하) 함량 (중량%)Fine (less than 75 μm) Content (% by weight) 0.00.0 0.00.0 7.47.4 0.00.0 0.00.0 6.96.9 코스(400㎛이상)함량 (중량%)Course (400㎛ or more) Content (wt%) 4.54.5 5.05.0 5.25.2 3.23.2 3.73.7 4.74.7

상기 표 1 및 표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파인 유화 탱크가 포함된 완속 응집 공정 장치를 사용하여, 분체의 일부인 파인을 유화하여 1차 응집조로 재순환시키는 연속적인 공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 및 실시예 5 내지 8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는 재순환된 파인이 시드로 작용하기 때문에 파인의 생성이 완전히 억제되고 코스의 생성도 감소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이송과 제품의 포장 등의 후처리 공정이 용이해지고 파인의 비산 현상 등이 없어져 작업 환경이 개선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재순환된 파인이 시이드로 작용하여 슬러리가 보다 조밀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응집이 일어나기 때문에 분체의 겉보기 비중 또한 향상되었으며, 파인 유화 탱크 내의 유화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안정화 유화제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분체의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rough Tables 1 and 2, Examples 1 to 4 prepared by a continuous process of emulsifying the fine part of the powder to recycle to the primary flocculation tank using a slow flocculation process apparatus including a fine emulsific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of Examples 5 to 8 it can be confirmed that because the recycled pine acts as a seed, the production of fine pine is completely suppressed and the production of the course is also reduced. Accordingly, the post-treatment process such as the transfer of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and the packaging of the product is facilitated, and the scattering of fine particles is eliminated,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of the powder was also improved because the recycled pine acts as a seed to cause the slurry to have a more dense structure, and 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of the powder was also impro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 were improv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이와 비교하여 안정화 유화제를 사용하되, 본 발명의 파인 유화 탱크를 사용하지 않고 라텍스에 직접 투입하여 제조한 비교예 1 내지 2 및 비교예 3 내지 4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는 실시예와 동일한 양의 안정화 유화제를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차 응집조에서 슬러리가 분쇄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조되는 분체 내에 파인이 형성되고 분체의 겉보기 비중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contrast,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4 prepared using a stabilized emulsifier but not directly using a fine emulsific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stabilized in the same amount as in Examples. Despite the use of the emulsifi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lurry was pulverized in the secondary agglomeration tank so that the fine powder was formed in the powder produced and 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of the powder was reduced.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인 유화 탱크가 포함된 완속 응집 공정 장치를 사용하여, 분체의 일부인 파인을 유화하여 1차 응집조로 재순환시키는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의 제조방법은 파인의 생성을 완전히 억제하고 코스의 생성을 감소시켜, 입경이 75㎛를 초과하고 400 ㎛ 미만인 범 위의 입자가 95 중량% 이상이 되고, 입경이 400 ㎛ 이상인 입자가 5 중량% 미만으로 매우 우수한 입도 분포를 나타냄과 동시에 겉보기 비중이 0.5 g/ml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여 포장비, 운송비 등의 물류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using a slow flocculation process apparatus including a fine emulsification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comprising a continuous process of emulsifying the fine part of the powder and recycling it to the primary flocculation tank is Fully inhibits production and reduces the formation of coarse, resulting in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more than 75 μm and less than 400 μm of 95% by weight or more, and particles of 400 μm or more of less than 5% by weight of very good particle size distribution At the same time, 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is very good at 0.5 g / ml or more, thereby provid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having an effect of reducing logistics costs such as packaging costs and transportation cos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Although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natural.

Claims (7)

고분자 라텍스를 응집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omprising the step of coagulating and aging the polymer latex, 생성되는 분체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응집조로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omprising the steps of recycling the resulting powder to a flocculation tan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은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mer latex resin powder 유화제를 투입하여 고분자 라텍스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라텍스 저장 탱크 단계; Latex storage tank step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polymer latex by adding an emulsifier; 상기 안정화된 라텍스를 응집하여 슬러리로 제조하는 1차 응집조 및 2차 응집조 단계;A first flocculation tank and a second flocculation tank step of agglomerating the stabilized latex into a slurry; 상기 응집된 슬러리의 숙성조 단계;Aging tank step of the aggregated slurry; 상기 숙성된 슬러리의 탈수기 단계;Dehydrating the aged slurry; 상기 탈수된 슬러리를 건조시켜 분체로 제조하는 건조기 단계;Drying step of drying the dehydrated slurry to prepare a powder; 상기 제조된 분체를 분리시키는 싸이클론 단계;A cyclone step of separating the prepared powder; 상기 분리된 분체의 일부를 유화시키기 위한 파인 유화 탱크 단계; 및A fine emulsification tank step for emulsifying a part of the separated powder; And 상기 유화된 분체의 일부를 1차 응집조로 재순환시키는 단계;Recycling a portion of the emulsified powder into a primary flocculation tank; 를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continuously including. 라텍스 저장 탱크, 응집조, 숙성조, 탈수기, 건조기 및 싸이클론을 포함하는 완속 응집 공정 장치에 있어서, In a slow flocculation process apparatus comprising a latex storage tank, a coagulation tank, a aging tank, a dehydrator, a dryer and a cyclone, 재순환되는 분체의 일부를 유화시키기 위한 파인 유화 탱크를 더 포함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기재의 고분자 라텍스 수지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An apparatus for producing polymer latex resin powder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ne emulsification tank for emulsifying a part of the powder to be recycl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파인 유화 탱크는 재순환되는 분체의 유화에 필요한 물 및 유화제 공급을 위한 물 투입 라인(21)과 유화제 투입 라인(11), 및 상기 유화된 분체를 고분자 라텍스에 투입하기 위하여 라텍스 투입 라인(12)과 연결된 유화된 파인 투입 라인(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장치. The fine emulsification tank includes a water input line 21 and an emulsifier input line 11 for supplying water and an emulsifier required for emulsification of the recycled powder, and a latex input line 12 for introducing the emulsified powder into the polymer latex. Apparatus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omprising an emulsified fine input line 20 connected to th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재순환되는 분체의 일부는 미세한 입자인 파인으로 입경이 7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Part of the recycled powder is a fine particle fine method of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 size of 75 ㎛ or les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재순환되는 분체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의 투입량의 15 % 이내의 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The recycled powd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less than 15% of the input amount of the polymer latex resin.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파인 유화 탱크 단계는 탱크 내의 유화제 농도가 1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라텍스 수지 분체의 제조방법.The fine emulsification tank step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mulsifier in the tank 1 to 10%.
KR1020050090562A 2005-09-28 2005-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KR100787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562A KR100787340B1 (en) 2005-09-28 2005-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562A KR100787340B1 (en) 2005-09-28 2005-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778A true KR20070035778A (en) 2007-04-02
KR100787340B1 KR100787340B1 (en) 2007-12-18

Family

ID=3815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562A KR100787340B1 (en) 2005-09-28 2005-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3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781B1 (en) * 2014-05-19 2014-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mer slurry having high solid cont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50073332A (en)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resin powd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556B1 (en) * 2008-02-01 2011-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Manufacturing apparatus of polymer resin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KR101236681B1 (en) * 2009-08-07 2013-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preparing of polymer latex and method for preparing of polymer latex us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092B1 (en) * 1996-11-28 1999-06-15 사공수영 Method of thermoplastic powder
KR100385725B1 (en) 2001-01-04 2003-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Multi-stage process for continuous coagulation
KR100428638B1 (en) * 2001-09-13 200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KR100471601B1 (en) 2002-11-05 200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Powder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332A (en)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resin powders
KR101436781B1 (en) * 2014-05-19 2014-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mer slurry having high solid cont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340B1 (en)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9361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latex resin powder
KR101236681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of polymer latex and method for preparing of polymer latex using thereof
KR101157299B1 (en) Device of preparing polymer slurry with high solid contents and method of preparing using the same
KR100428638B1 (en) Method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KR1007873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powder
JPS5821644B2 (en) ABS type resin manufacturing method
KR101042443B1 (en) Method for preparing excellent thermalstability of thermoplastic resin powder
KR10116840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molecule latex resin powder and the powder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KR20080032891A (en) Method for preparing acrylic copolymer resin powder
KR101056556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polymer resin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US5521231A (en)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copolymer powder
KR910009109B1 (en) Process for agglomeration polymer latex
KR100471601B1 (en) Method for Preparing Powder of High Macromolecule Latex Resin
KR10186232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powder using synthetic latex
KR10037786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copolymer powder
KR101638219B1 (en) Coagulation method of emulsion polymerized latex by direct steam input and coagulation apparatus
KR1017112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resin powders
KR100684424B1 (en) Method for Preparing a Polymer Latex Resin Powder Using a Pressureless Slow Coagulation-Pressurized Aging Process
JP6526279B1 (en) Method of producing rubber reinforced styrene resin powder
KR20110064948A (en) A method for enhancing of the polymer particles properties
JP2001302802A (en) Method of producing granular 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