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409A - 휴대용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409A
KR20070033409A KR1020070023753A KR20070023753A KR20070033409A KR 20070033409 A KR20070033409 A KR 20070033409A KR 1020070023753 A KR1020070023753 A KR 1020070023753A KR 20070023753 A KR20070023753 A KR 20070023753A KR 20070033409 A KR20070033409 A KR 2007003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terminal body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겸
Original Assignee
김민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겸 filed Critical 김민겸
Publication of KR2007003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셀룰러 폰, PCS, 그리고 PDA 등에 적용되며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입, 출력 장치 용이하게 확장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 본체; 상기 접점과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 하면을 포함하는 측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가 선택적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를 하나만 장착하여 소형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으며, 두 개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장거리 여행 또는 배터리의 대량 소모가 필요할 때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배터리의 배면에 결합된 배터리의 두께만큼 단말기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의 두께만큼 얇게 제작이 가능하여 복수의 입력 및 출력 장치를 부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PCS, 셀룰러 폰, 배터리, 액정 디스플레이, 자판, 키보드

Description

휴대용 이동 단말기{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9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0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5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제15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러 폰, PCS, 그리고 PDA 등에 적용되며, 두께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입력장치 또는 출력장치 등의 부가적인 장치가 확장되도록 하여 단말기(terminal)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terminal)는 시스템(system)이나 네트웍(network)의 단 말에 접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정보망이나 통신망을 이용하는 컴퓨터, TV, 모니터, 전화기(셀룰러 폰, PCS), PDA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셀룰러 폰을 예로 설명한다.
통상의 셀룰러 폰은 본체의 뒤쪽 또는 프론트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룰러 폰은, 배터리가 배면 또는 프론트에 장착되어 있어도 사용상 별 문제점은 없다. 그러나 셀룰러 폰은,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기술이 발전되는데, 이때 배터리가 본체의 배면 혹은 프론트에 장착되어 두께를 감소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셀룰러 폰은 휴대성이 떨어지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입, 출력 장치를 확장하는데 제한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입, 출력 장치 용이하게 확장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접점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 본체; 상기 접점과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 하면을 포함하는 측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가 선택적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일측 또는 하단 또는 배면에 소형의 배터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배터리 하나만을 끼움 결합하여 사용하고, 장거리 여행이나 충분한 시간 동안 단말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는 다른 배터리를 일측면 또는 배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내용 중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다른 실시예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아도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용 이동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 배터리(3) 그리고 배터리 고정 수단(5)을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 본체(1)는 셀룰러 폰, PCS 그리고 PDA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셀룰러 폰의 바 형상, 플립 형상 그리고 폴더 형상 중 임의의 것을 도시하여 예로 설명한다.
단말기 본체(1)는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3)가 결합 수단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단말기 본체(1)는 상, 하, 전, 후 측면 또는 배면, 앞면, 상, 하, 좌, 우면 중 어느 두개의 면에 배터리(3)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수단은 단말기 본체(1)에 제공되는 더브 테일 홈부(1a) 그리고 이 더브 테일 홈부(1a)와 대응되도록 배터리(3)에 제공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로 이루어 져 있다(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음). 또한 결합되는 더브 테일 돌출부와 더브 테일 홈부의 결합 방향을 도 3에서의 결합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는 저면 일측에 배터리(3)의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더브 테일 홈부(1a)에 결합되어 이동이 완료될 때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댐퍼(1b)를 구비하고 있다.
댐퍼(1b)는, 본 실시예에서, 바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돌기 정도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혹은 댐퍼(1b)의 기능은, 결합되는 더브 테일 홈의 끝이 막혀 있는 구조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미창착시에도 단말기측에 돌출부가 없도록 배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배터리(3)가 단말기 본체(1)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윗면 및 측면에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2는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5)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고정 수단(5)은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결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수단(5)은 단말기 본체(1)의 일측에 제공되는 홈(도시 생략)에 배터리(3)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7)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부재(7)는 단말기 본체(1)에서 미끄럼 이동할 때 단지 이동 방향으로 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브이(V)홈 등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고정부재(7)는 일단에 배터리(3) 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압축 코일 스프링(9)에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7)이 고정부재(7)를 항상 배터리(3)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것은, 배터리(3)가 단말기 본체(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술한 고정부재(7)가 배터리(3) 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배터리(3)의 일측에 고정부재(7)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턱 또는 걸림 홈을 구비하여야 한다.
도 2에서는 상술한 걸림턱 또는 걸림 홈 부분이 고정부재(7)에 의하여 가려져 그에 부호는 생략한다.
또한, 단말기 본체(1)는 배터리(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11)을 구비하고 있다(도 3에 나타나 있음).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이동 단말기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고정부재(7)를 배터리(3)가 설치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고정부재(7)는 탄성부재(9)의 탄성력을 극복하기 배터리(3)가 설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배터리(3)의 더브 테일 돌출부(3a) 측이 단말기 본체(1)의 더브 테일 홈부(1a)에 끼움 결합되도록 일측에서부터 가압한다. 그러면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는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에 의하여 결합된다. 계속해 서 배터리(3)를 가압하여 끝까지 밀면 배터리(3)는, 단말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댐퍼(1b)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잡고 있던 고정부재(7)를 놓는다. 그러면 고정부재(7)는 탄성부재(9)의 탄성력에 의하여 배터리(3)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터리(3)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터리(3)는 단말기 본체(1)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를 고정하는 고정수단(5)을 설치한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3) 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더블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각각 단말기 본체(1) 또는 배터리(3)의 어느 일측면에 배치되어도 관계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결합되어 있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 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의 형상 대신에 요철(凹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결합 수단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배터리(3)의 두께가 폴더형 단말기 본체 두께와 덮개의 두께를 합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배터리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 터리(3)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제1 실시예의 더브 테일 홈(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중간에 공간부(1c, 3c)를 가지며 3개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의 측면(실시예에서는 하면)에 배터리(3)를 결합할 때 미끄럼 이동하는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1c)에 배터리(3)의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삽입되도록 배치한 후 더브 테일 홈(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가압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결합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제3 실시예와는 달리 단말기 본체(1)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견고한 구조로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결합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결합력을 가지도록 구성하면 결합되는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의 크기는, 제1 실시예의 더브 테일 홈(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에 비하여 더욱 적어진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1)는 배터리(3)를 제거한 상태에서도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단말기 본체(1)의 측면에 배터리(3)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성할 때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도 8은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면(저면)에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1d)를 함께 가지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8은 배터리(3)에 단말기 본체(1)와 대응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 및 더브 테일 홈부(3d)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도 9는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면(저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더브 테일 홈부(1a)가 마련되어 있고, 배터리(3)에 단말기 본체(1)와 대응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배터리(3)의 폭 방향으로 여러 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0은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가 도시되어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면(저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더브 테일 홈(1a)이 양 사이드에 마련되어 있고, 중간부에 폭 방향으로 더브 테일 돌출부(1d)가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은 배터리(3)에 단말기 본체(1)와 대응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 및 더브 테일 홈부(3d)가 도시되어 있다.
본 제5, 6 및 제7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의 다양한 결합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 본체(1) 및 배터리(3)를 도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면(저면)에 나사공(1e)이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3)에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노브(21)가 마련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노브(21)는 배터리(3)의 전, 후면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회전 중심에 나 사(23)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나사(23)는 상술한 나사공(1e)에 나사 결합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미끄럼 이동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제8 실시예는, 이와 달리, 나사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나사에 의한 결합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1)에 결합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8 실시예에서는, 노브(21) 및 나사(23)가 배터리(3)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 본체(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에는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이 나타나 있으며, 배터리(3)에는 고정수단에 결합되는 걸림턱(41)이 나타나 있다.
고정수단(5)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배터리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9)에 의하여 배터리(3)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착되는 걸림 돌기(4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3) 측에는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 돌기(43)에 의하여 배터리(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걸림턱(41)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턱(41)은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를 결합할 때, 원활하게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공된다.
물론, 단말기 본체(1)는 더브 테일 홈부(1a)를 구비하고 있고, 이와 대응하도록 배터리(3)에 더브 테일 홈부(1a)와 대응하는 더브 테일 돌출부(3a)가 마련되어 있어 배터리(3)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제9 실시예는 고정수단(5)이 단말기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관이 미려함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한 채 배터리(3)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걸림턱(41)이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1)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의 결합은, 걸림 돌기(43)에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9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에 고정수단(5)을 마련하고, 배터리(3)에 경사진 걸림턱(41)을 구비한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대로 배터리(3)에 고정수단(5)을 마련하고, 단말기 본체(1)에 경사진 걸림턱(41)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제10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터리(3)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5)이 나타나 있다.
제10 실시예는, 제9 실시예와 작용 효과는 유사하나, 걸림 돌기(43)의 돌출 부분(h)이 단말기 본체(1)의 저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단말기 본체(1)에 걸림 돌기(43)가 수용되는 홈(도면에서는 걸림 돌기(43)가 위치한 부분)이 제공되어 걸림 돌기(43)의 돌출 부분(h)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제10 실시예(도 13)에서 배터리 장착시 단순히 배터리를 밀면 압축스프링이 경사진 형태의 걸림턱(42)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압축되면서 배터리가 장착되고, 탈착시는 스프링에 의하여 유동성을 갖는 걸림 돌기(43) 부분을 수직방향으로 밀어올려 개방하여 배터리를 탈착시킬 수 있다. 도 13에서의 고정부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하로 유동성을 갖고, 좌우방향으로는 유동성을 갖지 않는 구조이다.
제10 실시예에서, 외부로 돌출된 경사진 걸림턱(42)을 단말기측이 갖지 않아, 단말기 미 장착시에도 사용상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단말기측이 가질 수 있다. 반대로 배터리측에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두는 경우, 셀룰러 폰의 경우 보통 2개씩의 배터리가 제공되므로 2개의 배터리에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마련해야 하므로, 이는 생산원가를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제10 실시예(도 13)에서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단말기측에 두어,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사용상의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으면서, 스프링을 구비한 고정수단을 단말기측에만 두어 생산원가를 높이지 않을 수 있는 것은, 도 13에서와 같이 고정수단을 슬라이딩 시작 부분에 둠으로써 가능하다. 현재 배면에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더브 테일 홈과 더브 테일 돌출부를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고정수단이 슬라이딩 끝부분에 구비됨으로써, 배터리 미장착시에는 단말기의 걸림턱 혹은 걸림돌기가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도 13에서와 같이 고정수단을 슬라이딩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단말기측 에 두되, 슬라이딩 시작부분에 두어 단말기가 돌출부를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요한 사항"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성질은 배면에 배터리를 장착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로서, 배터리(3)가 단말기 본체(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고정수단은 단지 단말기 본체(1)에 일정한 거리를 반복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배터리(3)에 고정부재(43)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 홈(4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더브 테일 홈부(1a) 및 더브 테일 돌출부(3a)에 의하여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가 서로 결합되는 면에 결합된 상태의 배터리(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체의 탄성력을 가지는 홈(1f) 및 돌기(3f)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홈(1f) 및 돌기(3f)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는 경우에도 배터리(3)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을 위한 접점을 홈부와 돌출부로 구성하여 유사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복수의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1)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2 실시예는 제11 실시예와 작용 효과는 유사하나 다만, 소형 용량의 배터리 2개를 결합하거나 또는 소형 및 중형 용량의 배터리를 각각 결합하는 것으로 중형 또는 대형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제12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배터리(3)를 하나의 단말기 본체(1)의 측면에 결합하는 구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도 1개 이상의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1)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일측 및 저면 측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결합 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의 조합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제13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본체(1)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부분은 더브 테일 홈부(3a)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고, 저면 측은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결합 수단을 바꾸어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 16에서 나사 결합 구조를 제외하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ㄷ" 형 배터리에 나사결합구조 없이 혹은 나사결합구조를 포함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도 14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1 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1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이 단말기 본체(1)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4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이 배터리(3)에 설치된 경우의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수단을 배터리(3)측에 설치하는 것은 이동 단말기에서 통상 배터리를 2개씩 제공하므로, 고정수단을 위한 부품이 다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단면도로서, 단말기의 측면(저면)에 배터리(3)가 장착된 상태의 단말기 본체(1)의 배면에 또 다른 소형 용량의 배터리(3)를 결합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기존의 단말기 본체의 설계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단지 소형 용량의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3)의 배면에 결합한 것으로 중형 또는 대형 용량의 배터리 장착 효과를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8에서 저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한 줄의 도브 테일 홈부와 돌출부를 이용하되, 더브 테일 홈부를 단말기측이 가지고, 더브 테일 돌출부를 배터리측이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배터리 미 장착시에도 사용상 편리를 더하기 위하여 더브 테일 돌출부를 단말기측이 가지고, 홈부를 배터리측이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도 25와 같이 배터리가 배면에 장착되는 경우는 그러할 필요성이 더욱 크다. 지금까지 배터리를 배면에 장착함에 있어서, 더브 테일 돌출부를 배터리측이 갖고, 홈부를 단말기측이 갖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배터리 미장착시 더브 테일 홈부를 구성하는 양끝의 돌출부가 불편을 줄 수 밖에 없었다. 도 25의 경우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단말기의 배면 전체에 돌출부가 없어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성질" 중의 하나이다. 혹은 배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도 25에서와 같이 한 줄의 도브 테일 홈부와 돌출부를 두지 않고, 도 26 등에서와 같이 가늘게 두줄 혹은 이상의 도브 테일 홈부와 돌출부를 두되, 단말기측이 더브 테일 홈부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줄의 더브 테일 홈부와 돌출부를 두는 경우 배터리측이 도브 테일 홈부를 가지도록 하여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은, 양끝접속 부착방식으로 배터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27에서와 같이 배면 배터리 장착시, 배터리측이 홈부를 가지고, 단말기측이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27에서 고정부의 반대편(도면에서 하단부)를 먼저 맞추고, 상단부를 화살표방향으로 밀어 자연스럽게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다. 탈착시는 고정버튼을 아래로 눌러 탈착할 수 있다. 이는 측면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탈부착 방법에서는 단말기측이 홈부를 가지고 배터리측이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배터리 미장착시에 불편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단말기 본체(3)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3)의 구조는, 도 2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3)에 더브 테일 홈부가 구비되어 있고, 단말기 본체(1)에 더브 테일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본체(1) 및 배터리(3)의 구조는, 배터리(3)가 단말기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단말기 본체(1)의 뒷면이 비교적 평평한 면을 구비하게 되므로 단말기 본체(1)에서 배터리(3)를 제거하여도 단말기 본체(1)의 사용상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6은 제15 실시예와 대응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써, 단말기 본체(1)의 양 사이드 측에 복수의 더브 테일 홈(1a)을 구비하고, 그 가운데 부분은 더브 테일 돌출부를 구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와 대응되는 배터리(3)는 양 사이드에 더브 테일 돌출부를 구비하고 그 가운데 부분에 더브 테일 홈을 구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 역시 단말기 본체(1)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는 홈 또는 돌출부를 최소화시켜 배면에 결합되는 배터리(3)를 제거하여도 외관의 미려함이나 사용상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단말기본체(1)인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제1 본체의 측면(도면에서는 저면)에 배터리(3)를 결합한 상태의 제1 본체(1)에 수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51)가 제공된 제2 본체를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구조의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다른 측면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대적으로 얇아진 단말기 본체(1)에 주변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51)가 제공된 제2 본체를 부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화면, 기존의 화면보다 큰 대형화면 또는 자판 등을 설치한 주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0은 제17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17 실시예는, 도 19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6 실시예의 작용 효과가 유사하다. 다만,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51)가 구비된 제2본체가 단말기 본체(1)인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제1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점이 제16 실시예와 다른 것이다. 즉, 제17 실시예의 구조는 입력장치가 제공된 제1본체에 입력장치가 이루는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축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1)가 구비된 제2 본체가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이것은 입력장치를 구비한 제1본체에 액정 디스플레 이 장치(51)가 제공된 제2본체가 힌지점으로 결합되어 더욱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1은 제18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18 실시예는 폴더형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1)에 자판(53)을 힌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제18 실시예 역시 상술한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작용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2는 제19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19 실시예는 폴더형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1)의 덮개에 힌지 결합되어 덮개(71) 측으로 접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51)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3은 제20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제20 실시예는 폴더형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 본체91)의 덮개에 힌지 결합되어 덮개(71) 측으로 접혀지는 액정 디스플레이(51)를 구비함과 아울러 단말기 본체(1)에 자판(53)이 힌지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 측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제19 및 20 실시예는 단말기 본체(1) 또는 폴더형 단말기 덮개(71)에 각각 입출력 장치(예, 액정 혹은 자판)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설치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23 형태로 단말기를 확장하는 것은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왼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하고 오른손을 단말기를 조작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결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단말기 본체(1)는 일측면(저면에) 더브 테일 홈부(1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더브 테일 홈부(1a)는 일측에 비대칭으로 이루어지는 홈(1g)이 더브 테일 홈부(1a)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홈의 깊이인 a 및 b가 서로 다르며 홈을 이루는 각도 또한 다르게 구성된다.
단말기 본체(1)와 대응하는 배터리(3)는 더브 테일 돌출부(3a)를 구비하고 있어 상술한 더브 테일 홈부(1a)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브 테일 돌출부(3a)는 일측에 비대칭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3g)가 더브 테일 돌출부(3a)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3g)의 깊이인 a 및 b가 서로 다르며 돌출부를 이루는 각도 또한 다르게 구성된다. 그리고 돌출부(3g)는 상술한 홈(1g)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간단한 구조로 단말기 본체(1)와 배터리(3)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억지끼움 구조와 별도의 고정수단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써, 단말기 본체(1)의 배면측 상, 하단에 배터리(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걸림홈이 제공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의 배면부 상단에는 배터리(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걸림부재(71)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부재(71)는 배터리(3)를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73)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탄성부재(73)는 배터리(3)가 끼움 결합될 때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는, 배면부 하측의 걸림홈이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배터리(3)가 결합 상태에서 쉽게 단말기 본체(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배터리(3)는 단말기 본체(1)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 본체(1)는 배터리(3)를 제거하여도 외관상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3)가 결합되는 면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 본체(1)는 배면, 앞면, 상, 하, 좌, 우면의 하단 또는 상단에 경사면을 가지는 걸림 홈이 제공되고, 배면, 앞면, 상, 하, 좌, 우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또 다른 걸림 홈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측면 또는 상,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결합 수단에 의하여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배터리를 하나만 장착하여 소형 용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으며, 두 개 이상 장착하는 경우에는 장거리 여행 또는 배터리의 대량 소모가 필요할 때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배터리의 배면에 결합된 배터리의 두께만큼 단말기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의 두께만큼 얇게 제작이 가능하여 복수의 입력 및 출력 장치를 부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입력장치를 구비한 제1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를 상호 연결하여 각각을 평행하게 회전하여 확장가능(도20)하도록 하는 힌지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23753A 2000-01-17 2007-03-09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20070033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81 2000-01-17
KR20000002081 2000-01-17
KR20000005671 2000-02-07
KR1020000005671 2000-02-07
KR1020000067852 2000-11-15
KR20000067852 2000-11-15
KR20010002137 2001-01-15
KR1020010002137 2001-01-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122A Division KR20060009960A (ko) 2000-01-17 2006-01-17 휴대용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409A true KR20070033409A (ko) 2007-03-26

Family

ID=371203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122A KR20060009960A (ko) 2000-01-17 2006-01-17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1020070023753A KR20070033409A (ko) 2000-01-17 2007-03-09 휴대용 이동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122A KR20060009960A (ko) 2000-01-17 2006-01-17 휴대용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600099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754A (ko) * 2012-10-16 2014-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754A (ko) * 2012-10-16 2014-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960A (ko)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852B1 (ko) 휴대기기 구조
KR100640165B1 (ko) 휴대단말용 연결장치
US8412280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30031397A (ko) 슬라이드기구
EP1693539A2 (en) Hinge device for a display for rotation type mobile phone
KR1006525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CN100508705C (zh) 便携式终端的滑动模块及安装于其上的外置卡的盖装置
KR101101073B1 (ko) 단말기
KR100517896B1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100049035A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
KR200422012Y1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200419536Y1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200376425Y1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20070033409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100785103B1 (ko) 회동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딩 및회동가능한 힌지모듈
KR20040103873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KR20040103874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CN101562641A (zh) 滑盖结构及应用该滑盖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20070109779A (ko) 휴대기기 구조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20050056717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KR20070109798A (ko) 휴대기기 구조
KR20060031097A (ko)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370668Y1 (ko) 좌우 이동식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