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267A - 무선 보청기에서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보청기에서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267A
KR20070032267A KR1020067012643A KR20067012643A KR20070032267A KR 20070032267 A KR20070032267 A KR 20070032267A KR 1020067012643 A KR1020067012643 A KR 1020067012643A KR 20067012643 A KR20067012643 A KR 20067012643A KR 20070032267 A KR20070032267 A KR 2007003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frequency shift
resonant circuit
terminal
selectiv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하매드 에싸바르
Original Assignee
스타키 러보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오티콘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키 러보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오티콘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스타키 러보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67012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267A/ko
Publication of KR2007003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무선 보청기의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를 전환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각종 양태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의 각종 실시예는 유도성 코일이 동조 캐패시터에 접속된 공진 회로를 지니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은 송신 모드 시 공진 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수단과 수신 모드 시 공진 회로에서 유도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은 또한 공진 회로의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제1 공진 주파수와 제2 공진 주파수가 대략 동일하도록 송신 모드에서는 공진 회로에 제1 공진 주파수를 제공하고, 수신 모드에서는 공진 회로에 제2 공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다.
무선 보청기, 공진 회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

Description

무선 보청기에서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RESONANCE FREQUENCY SHIFT CANCELING IN WIRELESS HEARING AID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보청기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전환할 때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부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동일한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송신-수신(transmit-receive) 스위치(이하에서는 TR 스위치라 지칭함)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의 예로는 단일 유도성 코일을 갖는 자계 기반 통신 시스템(이 역시 이하에서는 유도성 통신 시스템이라 지칭함)이 있다. 송신 모드에서는, 유도성 코일에 전력이 가해져 그 결과 생성되는 시간-가변 자계(time-varying magnetic field)를 통해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 모드에서는, 유도성 코일은 시간-가변 자계가 존재하는 경우 자계에 포함된 신호를 나타내는 전압을 유도한다.
송신된 신호에 대한 시간-가변 자계의 주파수는 송신 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밀접하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진 주파수에서 큰 전류로 코일에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안테나로부터 강한 신호가 송신된다. 수신 회로는 수신될 신호를 포함하는 시간-가변 자계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TR 스위치는 송신 모드용 구동 회로와 수신 모드용 수신 회로 사이에서 안테나를 전환함으로써 공진 주파수 편이를 가져온다. 이 편이는 본 명세서에서 또한 저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LNA)에 대한 DC 차단 캐패시터라 지칭되는 LNA의 입력 캐패시턴스에 기인한다. DC 차단 캐패시터는 송신 모드에서는 공진 주파수의 일부를 형성하지만, 수신 모드에서는 공진 주파수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송신 모드에서, 코일을 구동하는 데에 사용되는 큰 전류는, DC 차단 캐패시터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 편이에 부가하는 방식으로 코일 인덕턴스의 값을 편이시킨다. 공진 주파수 편이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간의 주파수 불일치와 관련된 감소된 전력 전달로 인해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범위를 곤란하게 한다(penalize).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하는 종래 시스템의 요구가 있다.
상술된 문제점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며, 이 문제점은 이하의 명세서를 읽고 연구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각종 양태 및 실시예는 보청기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전환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거나 또는 그것을 보상한다. 주파수 편이는, 본 명세서에서 DC 차단 캐패시터라 지칭되는 LNA 입력 캐패시턴스가 송신 모드에서는 공진 주파수에 상당히 기여하지만, 수신 모드에서는 공진 주파수에 그다지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공진 주파수를 상쇄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서는 수신 모드 시 동조 캐패시터에 병렬로 캐패시터를 부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진 주파수를 상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송신 모드 시 직렬로 캐패시턴스를 부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진 주파수를 상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는 안테나의 유도성 코일로서 센터-탭(center-tapped) 코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권선의 일부는 송신 모드에서 사용되고 권선 전부는 수신 모드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각종 양태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의 각종 실시예는 유도성 코일이 동조 캐패시터에 접속된 공진 회로를 지니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은 송신 모드 시 공진 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수단과 수신 모드 시 공진 회로의 유도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은 또한 공진 회로에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제1 공진 주파수와 제2 공진 주파수가 대략 동일하도록 송신 모드에서는 공진 회로에 제1 공진 주파수를 제공하고, 수신 모드에서는 공진 회로에 제2 공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각종 양태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의 각종 실시예는 소리를 귀에 제공하는 보청기 수신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시스템 및 유도성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안테나 소자는 제1 단자, 제2 단자 및 노드를 포함하고, 또한 공진 회로를 포함한다. 공진 회로는 제1 단자와 노드 사이에 접속된 유도성 코일과 제2 단자와 노드 사이에 접속된 동조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보청기는 또한 안테나 소자의 노드에 접속된 DC 차단 캐패시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 및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회로는 마이크로폰 시스템에 접속되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보청기 수신기에 제공하며, 안테나 소자에 접속되어 수신된 유도성 신호를 처리한다. 신호 처리 회로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중 첫 번째 모드로 전환할 때 공진 회로에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포함시키고,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중 두 번째 모드로 전환할 때 공진 회로의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제외시키는 TR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각종 양태는 안테나 소자에 공진 회로를 포함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각종 양태에 따르면,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공진 회로에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공진 회로에 포함되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모드를 전환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공진 회로에 포함되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모드를 전환한다.
본 요약은 본 발명의 내용 중 일부의 개요이지, 본 발명만의 내용 또는 본 발명을 총망라한 내용이 아니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에 있다. 다른 양태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함으로써, 그리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면을 볼 때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고, 이들 도면 각각은 제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동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보청기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보청기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안테나 소자에 대한 TR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청기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도 3의 TR 스위치 및 안테나 소자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TR 스위치의 일부와 안테나 소자의 개략도.
도 6은 송신 모드 시 도 5a 및 도 5b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수신 모드 시 도 5a 및 도 5b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병렬 캐패시턴스 실시예에 따르는 TR 스위치의 일부와 안테나 소자의 개략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송신 모드 시 도 8a 및 도 8b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수신 모드 시 도 8a 및 도 8b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직렬 캐패시턴스 실시예에 따르는 TR 스위치의 일부와 안테나 소자의 개략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송신 모드 시 도 11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수신 모드 시 도 11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센터-탭 인덕터 실시예에 따르는 TR 스위치의 일부와 안테나 소자의 개략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송신 모드 시 도 14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수신 모드 시 도 14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
도 17a, 도 17b, 도 17c 및 도 17d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무선 보청기에서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특정 양태 및 실시예를 예제로서 보여주고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an)", "하나의(one)", 또는 "각종(various)" 실시예를 참조하는 것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고, 이러한 참조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고려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하는 의미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청구항이 자격을 부여하는 법적 동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첨부되는 청구항에 의해서만이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보청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보청기 장치(100)는 그 전체가 귀 도관(101)에 배치되는 귀 내부의 보청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귀 내부 유형 외에, 본 발명의 특징은 조개 모양(half-shell), 도관 내에 있는 것, 귀 뒤에 있는 것, 귀 위에 있는 것, 안경 장착용, 이식형 및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보청기와 같은 다른 유형의 듣기 보조 장치에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잡음-방지 이어폰, 헤드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보청기는 예를 들어 소리를 증폭시키는 장치, 소리를 감쇠하는 장치 및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또는 라디오용의 헤드셋과 같이 특정 사람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와 같은 사람이 듣는 것을 돕는 임의의 장치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안테나 소자와 TR 스위치를 사용하여 캐패시터와 같은 비교적 크고 비용이 드는 추가의 전자 부품 없이 신호를 송신하거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성하는 이점을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제공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해 보면, 보청기(100)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장치와 통신하도록 적응된다. 각종 실시예에서, 보청기(100)는 자계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외부 프로그래머(102)와 통신한다. 프로그래머는 모드, 음량 등과 같은 보청기 설정을 조정할 수 있고, 보청기 프로그램 전체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진단, 보고 등을 위해 보청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종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반송파 주파수 및 진폭 변조를 사 용하는 자기 원리에 기초한다. 각종 실시예는 대략 4 MHz의 반송파 주파수를 구현한다. 그러나, 반송파 주파수로서 다른 주파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각종 실시예는 디지털 "1"의 경우 반송파가 ON이고 디지털 "0"의 경우 반송파가 OFF인 온/오프 키잉(on/off keying)을 이용하여 변조한다. 온/오프 키잉에서, ON은 대략 진폭의 100%에 대응하고, OFF는 대략 진폭의 0%에 대응한다. 다른 진폭 변조 기술의 한 예제에서, 디지털 "1"은 진폭의 100%에 대응하고, 디지털 "0"은 진폭의 50%에 대응한다.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다른 진폭 변조 기술이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 시스템은 제한된 대역폭을 지닌다. 따라서, 디지털 시스템은 또한 송신을 위해 디지털 신호를 인코딩하고 압축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보청기(100)는 자계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도성 보조 듣기 시스템(induction assisted listening system)(104A)과 통신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보청기(100)는 자계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코딩되고 압축된 오디오(104B)를 제공하는 장치와 통신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보청기(100)는 자계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104C)와 통신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보청기(100)는 자계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또 다른 보청기(105)와 통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보청기를 도시한다. 착용자는 귀로 듣는 것을 도와 주는 보청기 장치(200)를 착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청기 장치(200)는 음향원(213)으로부터 (말 또는 기타 소리와 같은) 음향 신호(212)를 수신하도록 적응되고, 또한 텔레코일(telecoil) 송신기(215)로부터 신호(214)를 수신하도록 적응된다. 음향원(213)은 소리원이고, 일반적으로 사람이 말하는 것 등과 같이 귀에 의해 인식된다. 텔레코일 송신기(215)의 예제로는 전화기 또는 일부 유형의 프로그래머가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시스템의 환경은 유도성 장치(216)를 포함한다. 유도성 장치(216)의 예로는 보청기용 프로그래머 및 기타 보청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유형의 유도성 장치(216)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청기(200)와 유도성 장치(216)는 변조된 자계(217A 및 217B)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일반적으로, 유도성 장치(216)는 신호를 수신하고(217A) 신호를 송신하는(217B) 데에 사용되는 안테나 소자(218)를 포함한다. 수신된 신호(217A)를 나타내는 신호는 증폭기(219)를 통해 증폭되고, 복조기(220)를 이용하여 복조되어 신호 프로세서(221)에 제공된다. 신호 프로세서(221)는 본 발명에 따라, 잡음 감소, 증폭, 주파수 응답 및/또는 톤 제어와 같은 각종 신호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보청기(200)에 송신될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는 신호 프로세서(221)로부터 송신되고, 이것은 변조기(222)를 이용하여 변조되고, 구동기(223)를 이용하여 안테나 소자로 구동된다. 유도성 장치는 또한 용도 종속(application dependent) 회로(22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청기 장치(200)는 보청기 수신기(225)(또는 스피커), 신호 프로세서(226), 음향 신호(212)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시스템(227), 텔 레코일 송신기(215)로부터 신호(214)를 수신하기 위한 텔레코일 시스템(228) 및 유도성 신호(217A)를 송신하고 유도성 신호(217B)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소자(229)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 시스템(227)은 음향 신호(212)를 검출할 수 있고, 신호 처리 회로(226)에 대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텔레코일 시스템(228)은 텔레코일 송신기(215)로부터 신호(214)를 수신할 수 있고 신호 프로세서(226)에 대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보청기(200)는 또한 변조기(230)와 구동기(231)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안테나 소자(229)와 함께 보청기(200)로부터 유도성 장치(216)로 신호(217A)(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는 반송파 주파수에서의 진폭 피변조 유도성 신호)를 송신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보청기(200)는 또한 증폭기(232)와 복조기(233)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안테나 소자(229)와 함께 신호(217B)(디지털 데이터를 송신하는 반송파 주파수에서의 진폭 피변조 유도성 신호)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며, 대표 신호를 신호 프로세서(226)에 제공한다.
도시된 보청기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기능 중 일부가 본 명세서에 실례로서 식별된다. 이들 예는 보청기의 기능을 총망라하는 목록이 아니다. 도시된 보청기(200)의 착용자는 음량(수신기(225)로의 신호의 진폭)을 프로그래밍하면서 사람들이 말하는 것 및/또는 임의의 기타 음향 신호(212)를 들을 수 있다. 또한, 보청기(200)는 신호(217B)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 디지털 오디오는 음향 소리없이 보청기(200)의 착용자가 들을 수 있거나, 또한 보청기(200)의 착용자가 음향 소리와 디지털 오디오 둘 다를 들을 수 있도록 대표 음향 신호에 중첩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안테나 소자(218)가 공진 주파수를 갖는 RLC 회로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RLC 회로는 저항성(resistive:R) 컴포넌트, 유도성(inductive:L) 컴포넌트 및 용량성(capacitive:C)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 컴포넌트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개별의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항성(R) 컴포넌트는 신호 통로(signal pathway)에 그리고 장치에 본래부터 있는 저항을 포함하고, 유도성(L) 컴포넌트는 안테나 소자의 유도성 코일과 관련된 인덕턴스를 포함하고, 용량성(C) 컴포넌트는 동조 캐패시터, 수신 모드에서의 DC 차단 캐패시터에 관련된 캐패시턴스 및 각종 기생 캐패시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청기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전환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도 3, 4, 5a, 5b, 6, 7a 및 7b에 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편이는 본 명세서에서 또한 DC 차단 캐패시터라 지칭되는 LNA 입력 캐패시턴스가 송신 모드에서는 공진 주파수에 상당히 기여하지만, 수신 모드에서는 공진 주파수에 그다지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수신 모드에서 동조 캐패시터에 병렬로 캐패시턴스를 부가함으로써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송신 모드에서 캐패시턴스를 직렬로 부가함으로써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송신 모드에서는 센터-탭 코일의 권선의 일부를 사용하고 수신 모드에서는 센터-탭 권선 모두를 사용함으로써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소자용 TR 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청기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본 도면은 집적 회로(IC)부(329)와 이 집적 회로 부에 관한 외부 컴포넌트(330)를 나타낸다. IC부(329)는 신호 처리 회로(315)와 TR 스위치(331)를 포함한다.
외부 컴포넌트(330)는 안테나 소자(317)를 포함한다. 안테나 소자는 유도성 코일(332)을 포함하며, 이 코일은 코일의 저항과 관련된 저항 R1과 인덕터 L1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저항 R1은 또한 도선에서의 저항 또는 전류 제한 저항과 같은 기타 저항을 나타낼 수 있다. 안테나 소자(317)는 또한 센터 포인트, 센터 노드 또는 신호 픽업 노드라 지칭되는 노드(333)에서 유도성 코일에 접속되는 동조 캐패시터 C1을 포함한다. 안테나 소자(317)가 인덕티브 소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전압이 노드(333)에서 유도된다. 이 전압은 DC 차단 캐패시터 C2를 통해 IC부(329)의 LNA(327)로 제공된다. 증폭기(327)의 입력에 인가된 수신 신호의 전압은 마이크로볼트에서 밀리볼트의 범위이므로, IC부(329)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그러나, 노드(333)에서의 전압은, 안테나 소자(317)로부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류를 유도성 코일(332)을 통해 구동시키면 최대 IC 정격 전압(Q 계수에 좌우됨)보다 몇 배 높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는 이러한 높은 전압으로부터 IC를 보호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시된 IC부(329)는 안테나 소자(317)로부터 유도된 신호를 수신하는 LNA(327)와, 안테나 소자(317)의 유도성 코일(332)을 통해 전류를 구동하고 안테나 소자로부터 유도성 신호를 송신하는 구동기(326)를 포함한다. 도시된 IC 신호 처리 회로(315)는 또한 증폭기(327)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수신기(335)와 통신하고, 안테나 소자(317)의 유도성 코일(332)을 통해 구동될 신호를 구동 기(326)에 제공하기 위해 송신기(336)와 통신하는 프로세서(33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신호 처리 회로는, 구동기를 인에이블시키고, 송신 모드시에는 안테나 소자(317)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 모드시에는 안테나 소자(317)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TR 스위치(331)를 적절하게 동작시키는(actuate) TR 제어기(337)를 포함한다.
도시된 TR 스위치는 안테나 소자(317)를 송신 모드에서는 직렬로, 수신 모드에서는 병렬로 구성하도록 기능하고, 또한 IC와 관련된 캐패시턴스 C3을 분로시킴으로써 송신 모드 시 노드(333)에서 발생되는 큰 전압으로부터 IC를 보호하도록 기능한다. TR 스위치(331)의 제1부(338)는 TR 제어 신호에 응하여, 동작적으로 송신 모드 시에는 구동기(326)를 안테나 소자(317)에 접속시키고, 수신 모드 시에는 동조 캐패시터 C1이 유도성 코일(332)과 병렬로 위치하도록 안테나 소자의 제1 단자(339)를 안테나 소자의 제2 단자(340)에 접속시킨다. 각종 실시예에서, 안테나 소자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339 및 340)는 수신 모드 시 접지된다. TR 스위치(331)의 제2부(341)는 TR 제어 신호에 응하여 IC 캐패시턴스 C3을 통해 분로를 형성하여 송신 모드 시 IC를 보호한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설명을 읽고 이해함으로써,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TR 스위치의 추가 부분이 사용되어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을 제외할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도 3의 안테나 소자와 TR 스위치를 도시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TR 스위치(431)의 제1부(438)는 제1 및 제2 패 스(pass) 트랜지스터(442 및 443)를 포함하여 송신 모드 시 구동기를 안테나 소자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고, 또한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444 및 445)를 포함하여 수신 모드 시 안테나 소자의 제1 및 제2 단자(439 및 440)를 선택적으로 접지시킨다. 제1 및 제2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제1 및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TR 제어 신호에 적절하게 접속되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TR 스위치의 제1부는 실시예이고 TR 스위치의 유일한 설계는 아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TR 스위치의 제1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다른 회로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회로는 안테나의 컴포넌트들이 직렬이도록 구동기를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고, 구동기를 안테나에서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유도성 코일(432)과 병렬로 동조 캐패시터 C1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TR 스위치(431)의 제2부(441)는 IC 캐패시턴스 C3 양단간에 접속되는 바이패스(bypass) 트랜지스터(446)를 포함한다. 바이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적절하게 TR 제어기에 접속되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TR 스위치(431)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448)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을 제외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3부(447)를 포함한다. TR 스위치(431)의 제3부와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448)가 일반적으로 도시된다.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448)의 각종 실시예는 외부 또는 비-IC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448)의 각종 실시예는 IC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TR 스위치를 포함하는 기본 공진 회로는 송신에서 수신으로 또는 수신에서 송신으로 모드가 변경될 때 공진 주파수 편이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편이에는 두 기여요인(contributor)이 있는데, 이 두 가지 기여 요인은 서로를 상쇄하기보다는 서로를 증가시킨다. 제1 기여 요인은 전류 구동 레벨이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변할 때 페라이트 코어(core)의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에서의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코일의 인덕턴스의 변화에 관련된다. 이 기여 요인은 무선 코일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하는데, 그 이유는 투자율이 무선에서는 일정하고 구동 레벨에 좌우되지 않기 때문이다. 두 번째 기여 요인은 송신 모드 시 공진 회로의 일부인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이다. 그러나,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는 C2 및 C1보다 훨씬 작은 기생 캐패시턴스 C3에 의해 수신 모드에서는 거의 제거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TR 스위치의 일부와 안테나 소자의 개략도이다. 이 도시는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안테나 소자는 유도성 코일(532) L1 및 R1과 동조 캐패시터 C1을 포함한다. 안테나 소자의 제1 단자(539)는 유도성 코일에 접속되어 있고, 안테나 소자의 제2 단자(540)는 동조 캐패시터 C1에 접속되어 있다. 동조 캐패시터 C1은 안테나 소자의 노드(533)에서 유도성 코일에 접속되어 있다. 노드(533)는 DC 차단 캐패시터 C2를 통해 저 잡음 증폭기의 입력(LNA INPUT)에 접속된다. 증폭기의 입력은 IC 캐패시턴스 C3과 관련된다. 도 4에서 참조번호(441)로 도시된 바이패스 트랜지스터 M1은 IC 캐패시턴스 양단간에 접속되고, TR 제어 신호에 응하여 선택적으로 증폭기 입력을 접지가 되게 하여(pull) 전류가 유도성 코일을 통해 구동될 때 안테나 소자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고전압으로부터 IC를 보호한다. 도 5b에 도시된 개략도는 회로를 분석하기 위해 도 5a의 개략도의 컴포넌트를 재배열하여 도 6, 7a 및 7b에서 사용되는 레이아웃과 유사한 개략적인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도 6은 송신 모드 시 도 5a 및 도 5b의 안테나 소자의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자(639 및 640), 코일(632) 및 노드(6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송신 모드 시, 트랜지스터 M1이 동작되어 IC 캐패시턴스 C3을 통해 분로를 형성한다. 도시된 저항 RM1은 트랜지스터 M1의 온-저항(on-resistance)을 나타낸다. RM1의 값은 비교적 작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 동조 캐패시터 C1과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는 C1과 C2의 등가(equivalent) 캐패시턴스가 C1+C2이도록 사실상 병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송신 모드에서, 도 5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공진 주파수는 이하의 수학식 1로 제공된다.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1
송신 모드, 상쇄 없음
도 7a 및 7b는 수신 모드 시 도 5a 및 도 5b의 안테나 소자의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자(739 및 740), 코일(732) 및 노드(7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수신 모드 시, 트랜지스터 M1은 동작 되지 않고 구동기 단자가 기준 전위(접지)로 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와 IC 캐패시턴스 C3이 직렬로 접속된다(이것은 C2//C3로 표시되고, C2*C3/(C2+C3)에 대응함). IC 캐패시턴스 C3은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보다 훨씬 작다. 그래서 C2와 C3에 대한 등가 캐패시턴스는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다. 그러므로 수신 모드에서, 안테나 회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단순화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또한, 수신 모드에서 코일의 페라이트 코어의 투자율을 변하게 하는, 코일 L1을 통한 전류의 변화로 인해 L1의 인덕턴스가 ΔL만큼 감소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무선 코일에서의 투자율이 일정하며 전류에 좌우되지 않으며, 따라서 인덕턴스 변화분 ΔL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수신 모드에서, 도 5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공진 주파수가 이하의 수학식 2에 의해 제공되며, 여기서 ΔL는 구동 전류의 부재에 기인하는 인덕턴스 변화분이다.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2
수신 모드, 상쇄 없음
수학식 1 및 2로부터 캐패시턴스와 인덕턴스 둘 다 수신 모드에서 감소하여 수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가 송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보다 높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모드 를 전환할 때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보상하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청기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번갈아 모드를 전환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도 8a, 8b, 9a, 9b, 10a 및 10b는 캐패시턴스가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병렬로 선택적으로 부가될 때의 도 5a 및 5b의 회로를 도시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도 11, 12a, 12b, 13a 및 13b는 캐패시턴스가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직렬로 선택적으로 부가될 때의 도 5a 및 5b의 회로를 도시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도 14, 15a, 15b, 16a 및 16b는 센터-탭 코일이 안테나의 유도성 코일로서 사용되는 도 5의 회로를 도시하며, 이 회로는 수신 모드 시에는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고 송신 모드 시에는 인덕턴스를 감소시키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병렬 캐패시터 실시예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병렬 캐패시턴스 실시예에 따르는 TR 스위치의 일부 및 안테나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회로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회로와 유사하고, 또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 컴포넌트들은 캐패시터 C4와 트랜지스터 M2를 포함한다. 단자(839 및 840), 코일(832) 및 노드(8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캐패시터 C4와 트랜지스터 M2는 안테나 소자의 노드(833)로부터 직렬로 기준 전위(예를 들어 접지)에 접속된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캐패시터 C4와 트랜지스터 M1이, 구동기 단자가 기준 전위(예를 들어 접지)로 될 때 수신 모드 시 동조 캐패시터 C1 양단간에 사실상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트랜지스터 M2는 캐패시터 C5로 도시된 기생 캐패시턴스를 갖는다. 트랜지스터 M2는 TR 모드 신호의 제어 하에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M2는 TR 스위치(431)의 제3부(447)로 간주될 수 있고, 캐패시터 C4는 도 4에 도시된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448)로 간주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 M1은 송신 모드 시 동작되고, 트랜지스터 M2는 수신 모드 시 동작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송신 모드 시 도 8a 및 도 8b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자(939 및 940), 코일(932) 및 노드(9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송신 모드에서, 트랜지스터 M1은 동작되지만 트랜지스터 M2는 동작되지 않는다. 도 9a는 트랜지스터 M1의 온-저항을 나타내는 저항 RM1을 갖는 트랜지스터 M1을 도시하고, 또한 기생 캐패시턴스 C5를 갖는 트랜지스터 M2를 도시한다. 기생 캐패시턴스 C5와 캐패시터 C4는 직렬로 접속된다(이것은 C4//C5로 표시되고, C4*C5/(C4+C5)에 대응함). 캐패시턴스 C4는 기생 캐패시턴스 C5보다 훨씬 크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도 9b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4와 C5의 결합에 대한 등가 캐패시턴스는 그것이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다. 또한, 트랜지스터 M1의 비교적 작은 온-저항(RM1) 또한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 도 9b는 송신 모드 시 도 8a 및 8b의 안테나 소자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9b로부터, 송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는 이하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3
송신 모드, 병렬
따라서, 수학식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동조 캐패시터 C1과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는 도시된 병렬 캐패시터 실시예에 대해 송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소자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 모드 시 도 8a 및 도 8b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를 도시한다. 수신 모드 시, 트랜지스터 M1은 동작되지 않지만 트랜지스터 M2은 동작되며, 구동기 단자가 기준 전위(접지)로 된다. 도 10a는 IC 캐패시턴스를 또한 나타내는 기생 캐패시턴스 C3을 갖는 트랜지스터 M1과 자신의 온-저항 RM2를 갖는 트랜지스터 M2를 도시한다. IC 캐패시턴스 C3과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가 직렬로 접속된다(이것은 C2//C3로 표시되고, C2*C3/(C2+C3)에 대응함). 캐패시턴스 C2는 기생 캐패시턴스 C3보다 훨씬 크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도 10b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2와 C3에 대한 등가 캐패시턴스는 이것이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다. 또한, 트랜지스터 M2의 비교적 작은 온-저항 RM2 또한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 도 10b는 수신 모드 시 도 8a 및 도 8b의 안테나 소자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수신 모드에서, L1의 인덕턴스는, 코일의 페라이트 코어의 투자율을 변화시키는, 코일 L1을 통한 전류의 변화로 인해 ΔL 만큼 감소하였다.
도 10b로부터, 수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는 이하의 수학식 4로 표현된다.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4
수신 모드, 병렬
따라서, 수학식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동조 캐패시터 C1과 부가 캐패시터 C4는 도시된 병렬 캐패시터 실시예에 대해 수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소자이다. C4는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에 기인하는 손실된 캐패시턴스와 송신 구동 전류의 부재에 기인하는 저 인덕턴스 ΔL 둘 다를 보상하도록 선택된다. C4는 C2보다 커서 C2와 L1에 의해 발생된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이 해결책은 하나의 부가 캐패시터로 주파수 편이를 제거한다.
직렬 캐패시터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직렬 캐패시턴스 실시예에 따르는, TR 스위치의 일부와 안테나 소자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회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회로와 유사하고, 또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 컴포넌트들은 캐패시터 C6과 트랜지스터 M3을 포함한다. 단자(1139 및 1140), 코일(1132) 및 노드(11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캐패시터 C6은 코일 및 동조 캐패시터 C1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M3은 수신 모드 시 노드(1149)를 기준 전위(접지)로 되게 하도록 접속된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캐패시터 C6이 송신 모드 시 동조 캐패시터 C1에 대하여 사실상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트랜지스터 M3은 캐패시터 C7로 도시된 기생 캐패시턴스를 갖는다. 트랜지스터 M3은 TR 모드 신호의 제어 하에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M3은 TR 스위치(431)의 제3부(447)로 간주될 수 있고, 캐패시터 C6은 도 4의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448)로 간주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 M1은 송신 모드 시 동작되고, 트랜지스터 M3은 수신 모드 시 동작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송신 모드 시의 도 11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자(1239 및 1240), 코일(1232) 및 노드(12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송신 모드에서, 트랜지스터 M1은 동작되지만 트랜지스터 M3은 동작되지 않는다. 도 12a는 트랜지스터 M1의 온-저항을 나타내는 저항 RM1을 갖는 트랜지스터 M1을 도시하고, 또한 기생 캐패시턴스 C7를 갖는 트랜지스터 M3을 도시한다. 기생 캐패시턴스 C7은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도 10b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패시터는 동조 캐패시터 C1과 DC 바이패스 캐패시터의 병렬 결합을 직렬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 M1의 비교적 작은 온-저항 RM1 또한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 도 12b는 송신 모드 시 도 11a 및 도 11b의 안테나 소자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b로부터, 송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는 이하의 수학식 5 및 수학식 6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5
또는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6
송신 모드, 직렬
따라서, 수학식 5 및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동조 캐패시터 C1,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 및 캐패시터 C6이 도시된 직렬 캐패시터 실시예에 대해 송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소자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수신 모드 시 도 11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자(1339 및 1340), 코일(1332) 및 노드(13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 다. 수신 모드 시, 트랜지스터 M1은 동작되지 않지만 트랜지스터 M3이 동작되며, 구동기 단자가 기준 전위(접지)로 된다. 도 13a는 또한 IC 캐패시턴스를 나타내는 기생 캐패시턴스 C3을 갖는 트랜지스터 M1과, 자신의 온-저항 RM3을 갖는 트랜지스터 M3을 도시한다. IC 캐패시턴스 C3과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가 직렬로 접속된다(이것은 C2//C3로 표시되고, C2*C3/(C2+C3)에 대응함). 캐패시턴스 C2는 기생 캐패시턴스 C3보다 훨씬 크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도 13b의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2와 C3에 대한 등가 캐패시턴스는 이것이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다. 트랜지스터 M3의 온-저항 RM3 은 코일의 노드를 기준 전위(접지)로 되게 한다. RM3 의 값은 본 설명에서는 무시되도록 충분히 작다. 도 13b는 수신 모드 시의 도 11의 안테나 소자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수신 모드에서 L1의 인덕턴스는, 코일의 페라이트 코어의 투자율을 변화시키는, 코일 L1을 통한 전류의 변화로 인해 ΔL 만큼 감소하였다.
도 13b로부터, 수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가 이하의 수학식 7로 표현된다.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7
수신 모드, 직렬
따라서, 수학식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동조 캐패시터 C1은 도시된 직렬 캐패시터 실시예에 대해 수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컴포 넌트이다. C6은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에 기인하는 손실된 캐패시턴스와 송신 구동 전류의 부재에 기인하는 저 인덕턴스 ΔL 둘 다를 보상하도록 선택된다. 이 해결책은 하나의 부가 캐패시터로 주파수 편이를 제거한다.
센터-탭 코일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센터-탭 인덕터 실시예에 따르는, TR 스위치의 일부와 안테나 소자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회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회로와 유사하고, 또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 컴포넌트들은 센터-탭 코일 L1, L2와 트랜지스터 M4를 포함한다. 단자(1439 및 1440), 코일(1432) 및 노드(14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센터-탭 코일을 대체하기 위해 두 개의 분리된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코일의 제1 코일부 L1과 제2 코일부 L2가 동일한 수의 권선(turn)을 지녀야 하거나 또는 동일한 인덕턴스를 지녀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센터-탭 코일이라는 용어는 코일 길이를 따라 어디에든지 탭이 있어 제1 코일부 L1과 제2 코일부 L2를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각종 실시예에서 제1 코일부 L1과 제2 코일부 L2는 동일 코어에서 감겨진다. 구동기 단자 중 하나가 제1 코일부 L1과 제2 코일부 L2 사이의 노드(1450)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M4는 수신 모드 시 제2 코일부 L2를 기준 전위(접지)로 되게 하 도록 구성된다. 트랜지스터 M4는 캐패시터 C8로 도시된 기생 캐패시턴스를 갖는다. 트랜지스터 M4는 TR 모드 신호의 제어 하에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M4는 TR 스위치(431)의 제3부(447)로 간주될 수 있고, 제2 코일부 L2는 도 4에 도시된 주파수 상쇄 컴포넌트(448)로 간주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 M1은 송신 모드에서 동작되고, 트랜지스터 M3은 수신 모드에서 동작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송신 모드 시 도 14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자(1539 및 1540), 코일(1532) 및 노드(15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송신 모드에서, 트랜지스터 M1은 동작되지만 트랜지스터 M4는 동작되지 않는다. 도 15a는 트랜지스터 M1의 온-저항을 나타내는 저항 RM1을 갖는 트랜지스터 M1을 도시하고, 또한 기생 캐패시턴스 C8을 갖는 트랜지스터 M4를 도시한다. 트랜지스터 M1의 비교적 작은 온-저항 RM1은 또한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두 개의 LC 회로, 즉 주 LC(L1과 C1+C2)와 기생 LC(L2와 패드 캐패시턴스인 C)가 동시에 존재한다. 기생 공진 주파수는 자기 코어에서의 자계 상쇄를 피하기 위해 구동 주파수보다 10배 이상 더 높다. 또한 L2와 C8 사이의 노드에서의 전압은 구동 전압보다 높지 않다. 도 15b는 송신 모드 시 도 14a 및 도 14b의 안 테나 소자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5b로부터, 송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는 이하의 수학식 8로 표현된다.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8
송신 모드, 센터-탭
따라서, 수학식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동조 캐패시터 C1,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 및 제1 코일부 L1은 도시된 센터-탭 인덕터 실시예에 대해 송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컴포넌트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르는, 수신 모드 시 도 14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자(1639 및 1640), 코일(1632) 및 노드(1633)는 일반적으로 도 5의 단자(539 및 540), 코일(532) 및 노드(533)에 대응하고, 도 3의 단자(339 및 340), 코일(332) 및 노드(333)에 대응한다.
송신 모드에서, 트랜지스터 M1은 동작되지 않지만 트랜지스터 M4는 동작된다. 도 16a는 자신의 온-저항을 나타내는 저항 RM4를 갖는 트랜지스터 M4와, 또한 IC 캐패시턴스를 나타내는 기생 캐패시턴스 C8을 갖는 트랜지스터 M1을 도시한다. 트랜지스터 M4의 비교적 작은 온-저항 RM4는 또한 본 설명에서는 무시될 수 있다. 수신 모드에서, 제1 유도성부 L1과 제2 유도성부 L2 간의 구동기는 3-상태(tri-state)로 진입한다. 기생 캐패시턴스 C9는 아주 작아서 그것이 수신 회로에 끼치 는 영향을 무시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6b로부터, 수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는 이하의 수학식 9로 표현된다.
Figure 112006044565419-PCT00009
수신 모드, 센터-탭
따라서, 수학식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2 유도성부 L1+L2 및 동조 캐패시터 C1이 수신 모드에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컴포넌트이다. L2는 L1의 변화 및 L2를 보상하기에 충분히 크다. 이 실시예는 기존의 자기 코어에 단 몇 개의 부가 권선만을 포함한다. 이것은 최소 개수의 외부 부품으로 IC를 구현하는 데에 또한 적합하다. 이들 외부 부품은 L1, L2, R1, C1 및 C2이다. 또한, IC 패드에서의 전압은 구동 전압보다 높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최대 정격값보다 높은 전압을 발생시키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7a, 17b, 17c 및 17d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에 따라 무선 보청기에서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7a을 참조해보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고,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 신호가 제공된다. 단계(1760)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1761)로 진행되고, 여기서 회로 구성 및 원하는 모드에 기초하여 원하는 모드에 대해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가 적절히 포함되거나 또는 제외된다.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은, 수신 모드에서의 DC 바이패스 캐패시터 C2의 정밀 제거 및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사이에서 전류 구동 레벨이 변할 때 페라이트 코어의 투자율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코일 인덕턴스의 변화를 보상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7b는 본 발명의 병렬 캐패시터 실시예에 따라, 무선 보청기에서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병렬 캐패시턴스를 포함한다. 단계(1760)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1762)로 진행되고, 여기서 모드가 송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는 중인지(단계 1763) 또는 수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는 중인지(단계 1764) 여부를 판정한다. 모드가 송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면(단계 1763), 프로세스는 단계(1765)로 진행되고, 여기서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병렬 캐패시턴스가 제거되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모드가 수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면(단계 1764), 프로세스는 단계(1766)로 진행되고, 여기서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병렬 캐패시턴스가 추가되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도 17c는 본 발명의 직렬 캐패시터 실시예에 따라, 무선 보청기에서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직렬 캐패시턴스를 포함한다. 단계(1760)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1762)로 진행되고, 여기서 모드가 송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는 중인지(단계 1763) 또는 수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는 중인지(단계 1764) 여부를 판정한다. 모드가 송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면(단계 1763), 프로세스는 단계(1767)로 진행되고, 여기서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직렬 캐패시턴스가 추가되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모드가 수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면(단계 1764), 프로세스는 단계(1768)로 진행되고, 여기서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직렬 캐패시턴스가 제거되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도 17d는 본 발명의 센터-탭 인덕터 실시예에 따라 무선 보청기에서 통신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제거가능한 인덕턴스를 포함한다. 단계(1760)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1762)로 진행되고, 여기서 모드가 송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는 중인지(단계 1763) 또는 수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는 중인지(단계 1764) 여부를 판정한다. 모드가 송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면(단계 1763), 프로세스는 단계(1769)로 진행되고, 여기서 인덕턴스가 제거되어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모드가 수신 모드로 전환되고 있다면(단계 1764), 프로세스는 단계(1770)로 진행되고, 여기서 인덕턴스가 추가되어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주파수 편이를 상쇄한다. 제1 유도성부와 제2 유도성부를 포함하는 센터-탭 코일을 사용하는 각종 실시예에서, 주파수 편이 상쇄 컴 포넌트는 제2 유도성 부를 포함하고, 이것은 송신 모드 시에는 공진 회로에서 제거되고, 수신 모드 시에는 공진 회로에 포함된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본 발명이 보청기와 같은 근접 자계(near-field)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각종 근접 자계 통신 시스템 및 기술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귀 내부, 조개 모양 및 도관 내에 있는 스타일의 보청기뿐만 아니라 귀 뒤에 있는 보청기와 같은 보청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의 양태가 제공되고 상세하게 상술된 도면을 사용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산되는 임의의 구성이 도시된 특정 실시예를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적응 또는 변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상술된 설명이 도시적인 것이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살숭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조합은 상술된 발명을 리뷰할 때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이러한 청구항이 자격을 부여하는 동등물의 전체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보청기가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간에 모드를 전환할 때 발생하는 주파수 편이를 상쇄할 수 있고 또는 그것이 아니라면 그것을 보상할 수 있다.

Claims (26)

  1.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조 캐패시터에 접속된 유도성 코일을 포함하는 공진 회로를 갖춘 안테나;
    송신 모드 시 상기 공진 회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수단;
    수신 모드 시 상기 공진 회로에서 유도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수단; 및
    제1 공진 주파수와 제2 공진 주파수가 대략 동일하도록 송신 모드에서는 상기 공진 회로에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를 제공하고 수신 모드에서는 상기 공진 회로에 상기 제2 공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상기 공진 회로에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상기 공진 회로에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수단은,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소정의 병렬 캐패시턴스를 선택적으로 제외시키고,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병렬 캐패시턴스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상기 공진 회로에 선택 적으로 포함시키는 수단은,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소정의 직렬 캐패시턴스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고,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직렬 캐패시턴스를 선택적으로 제외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상기 공진 회로에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수단은,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의 상기 공진 회로에서 소정의 인덕턴스를 선택적으로 제외시키고,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의 상기 공진 회로에 상기 소정의 인덕턴스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자, 제2 단자 및 노드를 포함하는 안테나 소자 -상기 안테나 소자는 공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노드 사이에 접속된 유도성 코일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노드 사이에 접속된 동조 캐패시터를 포함함-;
    상기 안테나 소자의 노드에 접속된 DC 차단 캐패시터;
    수신 모드 시 상기 DC 차단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안테나의 노드에 접속되어 상기 공진 회로의 유도성 코일에서 유도된 제1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증폭기;
    송신 모드 시 상기 안테나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어 제2 통신 신호로 상기 공진 회로의 유도성 코일에 전류를 통하게 하는 구동기;
    상기 안테나 소자의 공진 회로에 선택적으로 포함되고, 소정의 값을 지니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 및
    제어 신호에 응하여 수신 모드 시 상기 공진 회로의 제1 공진 주파수와 송신 모드 시 상기 공진 회로의 제2 공진 주파수가 대략 동일하도록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중 첫 번째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진 회로에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포함시키고,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중 두 번째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진 회로에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제외시키는 송신-수신(transmit-receive:TR) 스위치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수신 모드 시 상기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병렬로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보상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캐패시터는 상기 안테나 소자의 노드에 접속되고,
    상기 TR 스위치는,
    수신 모드 시 상기 안테나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기준 전 위로 되게 하는 수단; 및
    상기 보상 캐패시터와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응하여 수신 모드 시 상기 보상 캐패시터를 상기 기준 전위로 되게 하는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송신 모드 시 상기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직렬로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보상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캐패시터는 상기 안테나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첫 번째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유도성 코일과 상기 동조 캐패시터와 직렬 접속되며;
    상기 TR 스위치는,
    수신 모드 시 상기 안테나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두 번째 단자를 기준 전위로 되게 하는 수단; 및
    상기 기준 전위와, 상기 보상 캐패시터와 상기 유도성 코일 및 상기 동조 캐패시터 둘 중 하나 사이의 노드 사이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상기 보상 캐패시터는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안테나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첫 번째 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하여 상기 보상 캐패시터가 수신 모드 시 상기 공진 회로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수신 모드 시 상기 노드를 상기 기준 전위로 되게 함-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수신 모드에서 상기 동조 캐패시터와 상기 유도성 코일에 대하여 직렬로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보상 인덕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인덕터와 상기 유도성 코일은 단일 코어 상에 형성되는 통신 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코일은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탭 노드에 의해 분리되는 센터-탭(center-tapped) 코일을 포함하며, 송신 모드 시 구동 전류가 상기 제1 코일부를 통하여 흐르도록 상기 안테나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첫 번째 단자는 상기 탭 노드에 접속되며,
    상기 TR 스위치는,
    수신 모드 시 상기 안테나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중 두 번째 단자를 기준 전위로 되게 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기준 전위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응하여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 둘 모두가 수신 모드 시 상기 안테나 소자의 상기 공진 회로에 포함되도록 수신 모드 시 상기 제2 코일부를 상기 기준 전위로 되게 하는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무선 보청기에 포함되고, 유도성 장치와 유도적으로(inductively)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통신 시스템.
  14. 보청기에 있어서,
    귀에 소리를 제공하는 보청기 수신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시스템;
    유도성 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하는 안테나 소자 -상기 안테나 소자는 제1 단자, 제2 단자, 노드 및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노드 사이에 접속된 유도성 코일과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노드 사이에 접속된 동조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를 포함함-;
    상기 안테나 소자의 노드에 접속되는 DC 차단 캐패시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 및
    상기 마이크로폰 시스템에 접속되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신호를 상기 보청기 수신기에 제공하며, 상기 안테나 소자에 접속되어 상기 수 신된 유도성 신호를 처리하며, 제어 신호에 응하여 수신 모드와 송신 모드 중 첫 번째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진 회로에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포함시키고,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중 두 번째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진 회로에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제외시키는 TR 스위치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회로
    를 포함하는 보청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TR 스위치는,
    송신 모드 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단자를 구동기 출력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고 수신 모드 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단자를 기준 전위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제1부;
    수신 모드 시 상기 DC 차단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안테나의 노드에 증폭기 입력을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고, 송신 모드 시 상기 DC 차단 캐패시터와 상기 증폭기 입력 사이의 노드를 상기 기준 전위로 되게 하는 제2부
    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상기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할 때 DC 차단 캐패시터 값을 대체하도록 계산된 소정의 값을 갖는 보청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의 소정의 값은, 송신 모드 시 상기 유도성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제1 전류와 수신 모드 시 상기 유도성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제2 전류의 차에 기인하는 인덕턴스의 변화를 또한 보상하도록 계산된 보청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소정의 캐패시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TR 스위치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의 공진 회로에서 상기 소정의 캐패시턴스를 선택적으로 제외시키고,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의 상기 동조 캐패시터와 병렬로 상기 소정의 캐패시턴스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보청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소정의 캐패시턴스를 포함하고;
    상기 TR 스위치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의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직렬로 소정의 캐패시턴스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고,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의 공진 회로에서 상기 소정의 캐패시턴스를 선택적으로 제외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보청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는 소정의 보상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TR 스위치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의 공진 회로에서 상기 소정의 보상 인덕터를 선택적으로 제외시키고,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의 공진 회로에 상기 소정의 보상 인덕턴스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보청기.
  21. 안테나 소자에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모드를 전환하는 트리거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의 전환 또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의 전환 중 한 경우에 대해, 상기 공진 회로에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하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에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하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단계는, 송신 모드 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컴포넌트이지만 수신 모드 시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실질적이지 않은 컴포넌트인 DC 바이패스 캐패시터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에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하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단계는, 유도성 코일을 통한 전류 변화에 의해 발생된 인덕턴스 변화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에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하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단계는, 송신 모드에서 상기 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안테나의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병렬로 소정의 캐패시턴스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에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하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단계는,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안테나의 동조 캐패시터에 대하여 소정의 캐패시턴스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에 공진 주파수 편이를 보상하는 주파수 편이 상쇄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단계는,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동조 캐패시터와 상기 유도성 코일과 직렬로 소정의 인덕턴스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67012643A 2003-11-26 2004-11-24 무선 보청기에서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KR20070032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2643A KR20070032267A (ko) 2003-11-26 2004-11-24 무선 보청기에서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23,855 2003-11-26
KR1020067012643A KR20070032267A (ko) 2003-11-26 2004-11-24 무선 보청기에서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267A true KR20070032267A (ko) 2007-03-21

Family

ID=4365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643A KR20070032267A (ko) 2003-11-26 2004-11-24 무선 보청기에서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2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2383B2 (en) Transmit-receive switching in wireless hearing aids
EP1692778B1 (en) Resonance frequency shift canceling in wireless hearing aids
EP2342846B1 (en) Bias arrangement and apparatus
US7710345B2 (en) Enhanced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system
US20060147069A1 (en) Integrated telecoil amplifier with signal processing
EP3012982A1 (en) Radio frequency transmitter and receiver parts with a modulation bandwidth comparable to or exceeding the bandwidth of the transmitter and/or receiver antennas
US7433480B2 (en) Hearing aid with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070032267A (ko) 무선 보청기에서 공진 주파수 편이를 상쇄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KR20070032271A (ko) 개선된 자기장 통신 시스템
KR20070017485A (ko) 유도성 코일, 및 한 노드에서 상기 유도성 코일에 연결된튜닝 커패시터를 갖는 안테나 회로를 갖는 통신 시스템, 및그러한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US9124993B2 (en) Hearing aid with a wireless transceiver and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id
WO2021216293A1 (en) Coaxial cable in a contact hearing system
US9654064B2 (en) Amplifier apparatus with controlled negative output impedance
WO2023033735A1 (en) Load demodulation technique for communication in an inductive charging system
JP2003009271A (ja) 受信装置
JP2009153045A (ja) 音声信号用通信システム
CN113225656A (zh) 听力设备
JP2000353990A (ja) 全二重オーディオ通信回路
KR20110021004A (ko) Rf 신호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