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060A - 하우징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하우징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060A
KR20070032060A KR1020077003152A KR20077003152A KR20070032060A KR 20070032060 A KR20070032060 A KR 20070032060A KR 1020077003152 A KR1020077003152 A KR 1020077003152A KR 20077003152 A KR20077003152 A KR 20077003152A KR 20070032060 A KR20070032060 A KR 20070032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odule layer
electronic device
layer
functional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찰스 4세 프리드리치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77003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060A/ko
Publication of KR2007003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다중-기능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라서,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을 검출하고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활성화하는 개시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을 검출하고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배향하는 개시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중-기능 전자 디바이스, 동작 모드, 복수의 방향

Description

하우징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FFERENT OPERATION MODES DEPEDNDING ON THE POSITION OF A HOUSING POR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특허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로서 사용을 위해 듀얼 폴더 힌지를 갖는 모바일 전화기" 으로 2004년 7월 9일자로 출원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가출원 제 60/586,626 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는 여기서 참조로서 명백하게 포함된다.
본 출원은 본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있고 여기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다음 미국 특허 출원, 발명의 명칭이 "다용도 키보드를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로 대리인 일람 (Attorney Docket) 제 040101 호인 2003년 11월 19일자로 출원된 출원 번호 제 10/718,125 호 에 관련되어 있다.
분야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기능성 및 디스플레이 배향을 나타내는 다중-기능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배경
모바일 전화기, 페이저, 핸드헬드 컴퓨터, 휴대단말기 ("PDA's") 및 핸드-헬 드 게임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비즈니스 및 개인적 사용 모두에 대해 더욱 더 대중적으로 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한 이점은 그들의 작은 크기, 가벼운 무게, 배터리-전력 또는 코드리스 동작 및, 어떤 경우에는, 그들의 무선 통신 능력으로 인한 그들의 휴대가능성이다. 이러한 특성은 이러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원할 때는 언제든 그리고 어디서든 이용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바이스의 증가하는 대중성으로 인해, 단일 사용자가 한번에 하나 이상의 이러한 디바이스를 소지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머니에는 PDA 를 그리고 그녀의 가방에는 게임 디바이스를 소지하면서, 그녀의 벨트에 묶인 모바일 전화기 및 양-방향 페이저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디바이스를 가지는 것은 이러한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비스/기능을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문제를 발생시킨다.
설계자는 디바이스 확산의 이러한 문제점을 깨달았고, 다수의 서비스 또는 기능성을 단일한 디바이스로 조합하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다수의 원하는 서비스 또는 기능에 대응하는 다수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단일한 디바이스를 요구하기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수의 동작 모드를 단일한 디바이스로 통합하는 것의 한 단점은 각 서비스 또는 기능이 전체적인 형태와 콤포넌트들의 수 및 특정 유형을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확립된 구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기는 각각의 숫자 0 내지 9 를 위한 것, 각각의 캐릭터 "*" 와 "#" 를 위한 것, 및 각각의 키 "전송", "대화", "종료", "온/오프" 및 "메 뉴" 를 위한 것, 및 하나 이상의 네비게이션 키인, 몇 개의 키를 포함하는 전화기 키패드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모바일 전화기는 그것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키패드 위로 위치되고 디스플레이의 문자숫자식 또는 그래픽 출력이 이 배향에서 사용자에게 판독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그것의 길이가 수직 축으로 연장되어진 사용을 위해 배향이 정해진다. 대조적으로, 게임 디바이스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집게 손가락에 의한 사용을 위한 하나 또는 두 개의 버튼뿐만이 아니라, 왼손용의 네비게이션 키 및 오른손용의 2 내지 6 개의 버튼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게임 디바이스 또는 멀티미디어 수신 디바이스는 사용 중에 바라볼 때 길이보다 폭이 더 넓은 디스플레이를 통상적으로 가진다. 서비스/기능성을 조합하려는 시도에서, 설계자는 이러한 확립된 배향 및 콤포넌트의 세트가 효과적으로 탑재될 수도 있는 표면 영역이 필요하다. 표면 영역에 대한 이러한 증대된 수요는 콤팩트하고 휴대가능한 크기를 갖는 디바이스를 유지하는 전체 목표와 경쟁한다.
따라서, 콤팩트하고 휴대용 크기를 가지면서 다중-기능성 및 디스플레이 배향을 갖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요약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다중-기능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라,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을 검출하고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에 기초한 동작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개시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을 검출하고, 디바이스가 사용 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배향하기 위한 개시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라, 개시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콤포넌트 레이어 (layer) 및 제 2 콤포넌트 레이어를 포함한다. 제 2 콤포넌트 레이어는 제 2 콤포넌트 레이어에 상대적인 제 1 방향으로의 제 1 콤포넌트 레이어의 이동이 제 1 동작 모드로의 사용을 위한 제 1 세트의 기능성 콤포넌트를 활성화하고, 제 2 콤포넌트 레이어에 상대적인 제 2 방향으로의 제 1 콤포넌트 레이어의 이동이 제 2 동작 모드로의 사용을 위한 제 2 세트의 기능성 콤포넌트를 활성화하도록 제 1 컴포넌트 레이어에 이동가능하게 접속된다.
개시되는 실시형태의 추가적인 측면 및 이점이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진술되고, 부분적으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개시되는 실시형태의 실시에 의해 알려질 수도 있다. 개시되는 실시형태의 측면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특히 지시되는 매개 및 조합의 수단에 의해 또한 실현되고 달성될 수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개시되는 실시형태를 제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예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과 결합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고, 도면에서 동일한 명칭은 동일한 대상을 나타낸다.
도 1 은 두 방향에서 사용가능한 다중-기능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2 는 하부 (lower) 모듈 레이어에 상대적으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때문에 일 동작 모드를 발동하는, 상부 모듈 레이어를 갖는 도 1 의 전자 디바 이스를 예시한다.
도 3 은 하부 모듈 레이어에 상대적으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때문에 다른 동작 모드를 발동하는, 상부 모듈 레이어를 갖는 도 1 의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 는 도 2 에서와 같이 제 1 방향에서 사용가능한 도 1 의 전자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5 는 도 2 에서와 같이 제 1 방향에서 사용가능한 도 1 의 전자 디바이스의 후면도를 예시한다.
도 6 은 도 3 에서와 같이 제 2 방향에서 사용가능한 도 1 의 전자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상세한 설명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다중 기능 및 다용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3 은,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 디바이스 (12) 에 다수의 기능적 능력 및 디스플레이 배향을 제공하는 다수의 이동가능하게 상호접속된 모듈 레이어 (14, 16) 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12) 를 예시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도 1 을 참조하면, 모듈 레이어 (14, 16) 가 제 1 모듈 레이어 (14) 의 외부 상에 위치한 동작 콤포넌트 (20) 의 제 1 세트가 이용될 수도 있는 제 1 또는 중립 위치로 위치되었을 때, 전자 디바이스 (12) 는 멀티미디어 수신 디바이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원격 제어 디바이스, 오디어 플레이어 또는 레코더,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 또 는 레코더, 페이저, 및 계산기와 같은 제 1 동작 모드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모듈 레이어 (14) 는 도 1 의 점선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 (28) 또는 제 2 방향 (34) 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 1 모듈 레이어 (14) 가 제 2 모듈 레이어 (16) 에 상대적으로 제 1 방향 (28) 으로 이동하여 제 2 동작 모드로의 사용을 위한 제 1 모듈 레이어 (14) 의 내부 상에 위치하는 기능적 콤포넌트 (31) 의 제 2 세트의 모든 또는 제 1 서브세트를 활성화할 때, 전자 디바이스 (12) 는 전화기 또는 오디오 통신 모드, PDA, 또는 텍스트 통신 모드와 같은 제 2 동작 모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3 을 참조하면, 제 1 모듈 레이어 (14) 가 제 2 모듈 레이어 (16) 에 상대적으로 제 2 방향 (34) 으로 이동하여 제 3 동작 모드로의 사용을 위한 제 1 모듈 레이어 (14) 의 내부 상에 위치하는 기능적 콤포넌트 (31) 의 제 2 세트의 모든 또는 제 2 서브세트를 활성화할 때, 전자 디바이스 (12) 는 PDA, 텍스트 통신 모드, 게임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드와 같은 제 3 동작 모드를 가질 수도 있다.
2 개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자 디바이스 (12) 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와 연관하는 기능적 콤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세트를 포함하는, 임의의 복수의 모듈 레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는 디바이스 (12) 가 하나 이상의 모바일, 위성 또는 무선 전화기 또는 오디오 통신 디바이스, 게임 디바이스, 휴대단말기 ("PDA"), 페이저 또는 텍스트 통신 디바이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다른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 MP3 플레이어 또는 디지털 레코더와 같은 오디오 플레이어 및/또는 레코 더 디바이스,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 및/또는 레코더 디바이스, 계산기 디바이스 등으로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기로서 이용될 때, 예를 들어, 디바이스 (12) 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WCDMA"),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GSM"), 어드밴스드 모바일 전화 서비스 ("AMPS") 및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관련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듈 레이어 (14, 16) 와 같은 디바이스 (12) 의 각 레이어와 연관되는 기능적 콤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세트는 기능적 콤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트의 콤포넌트는 입력 및 출력 유형의 메카니즘과 같은 외부 콤포넌트, 및 회로판 및 디바이스 (12) 의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 대해 구성되는 트랜지스터, 칩, 펌웨어, 메모리,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싱 유닛과 같은 회로 소자와 같은 내부 콤포넌트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 에서 도시된 콤포넌트는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유기 전자-냉광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2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콤포넌트는 네비게이션 키 (24), 디스플레이 (22) 상의 그래픽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과 연관되거나 디바이스 (12) 로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연관되는 어떤 단일 또는 다중 기능 키 (26), 집게 손가락을 위한 어떤 단일 및/또는 다중-기능 버튼 (27), 및 디바이스 (12) 의 상태를 신호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표시등, 온/오프 또는 통 화종료 키 (72), 및 통화 받기/걸기 키 (74) 와 같은 (도 2) 방향 키패드, 토글 키 (toggle key), 조이스틱, 전위차계 등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콤포넌트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근-방 (near-field) 및/또는 원-방 (far-field)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피커 (66; 도 2), 근-방 스피커 (66) 와 같은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볼륨 키, 워키-토키 (walkie-talkie) 타입의 전화기 모드에서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푸쉬-투-토크 (push-to-talk) 버튼, 음성 레코더 기능성을 활성화하는 레코드 키, 원격 오디오 스피커 및/또는 마이크로폰 접속 메카니즘을 수신하는 스피커/마이크로폰 입력, 정지 또는 비디오 픽처를 찍는 카메라 메카니즘, 디바이스 (12) 를 셋-업, 수리 또는 테스트하기 위한 라디오 주파수 ("RF") 신호 장치와 같은 테스트 또는 모니터링 장치를 접속하는 테스트 포트 (port), IR 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적외선 ("IR") 트랜스시버, 디바이스 (12) 에 코드리스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팩, 디바이스 (12) 를 작동시키고 및/또는 배터리 팩을 재충전하며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전원에의 하드-와이어드 (hard-wired) 접속을 설정하는 전력/데이터 커넥터, 및 디바이스 (12) 의 하나 이상의 모드와 연관되는 통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메카니즘 (94) 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12) 와 연관되는 콤포넌트는 디바이스 (12) 의 동작 모드에 대한 소망되는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조합으로 그리고 임의의 레이어 상에서 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동작에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바이스 (12) 의 다양한 동작 모드는 디 바이스 (12) 의 각 레이어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레이어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은 각각의 레이어와 연관되는 다양한 기능적 콤포넌트를 활성화하는 상대적인 이동을 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다양한 모듈 레이어를 상호접속시키는 것이 포함한다. 또한, 개별적인 동작 모드의 구별되는 발동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소정의 모드의 발동 중에 소정의 레이어 사이에서의 이동을 방지하는 잠금 메카니즘을 또한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도 1 을 다시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 (12) 의 제 1 동작 모드는 디바이스 (12) 의 외부 상의 하나 또는 소정의 키의 시퀀스를 누름으로써 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동작 모드는 카메라 모드, GPS 모드, 계산기 모드, 데이터 전달 모드 및/또는 전화 인커밍 콜/콜러 ID 스탠-바이 모드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제 1 세트의 콤포넌트 (20) 는 이 모드의 소망되는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세트의 콤포넌트 (20) 는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할 경우 출력이 생성될 수도 있는 전화 스탠-바이 모드, 사용자가 정지 픽처 또는 비디오를 찍도록 카메라를 작동할 수도 있는 카메라 모드, 및 사용자가 픽처 또는 비디오와 연관되는 오디오 세그먼트를 레코드할 수도 있는 레코딩 모드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모드에서 동시에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전달 모드에서,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테스트 포트, IR 트랜스시버, 및 전력 및/또는 데이터 커넥터를 통해 디바이스 (12) 에 의해 수신되거나 디바이스 (12) 로부터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상부 모듈 레이어 (14) 를 제 1 방향 (28; 수직 또는 위쪽으로) 으로, 예를 들어, 플립핑 또는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고, 키패드 (31) 를 노출시킴으로써 전화기 모드 (도 2) 와 같은 제 2 동작 모드를 활성화한다. 이러한 발동 단계에서, 잠금 메카니즘은 추가적인 동작 모드의 발동에 연관되는 레이어 사이의 추가적인 상대적 이동을 방지한다. 전화기 모드에서, 디바이스 (12) 내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는 이 모드의 발동을 인지하고 디스플레이 (22) 의 출력이 키패드 (31) 와 조합하여 사용되기 위해 정렬되도록, 예를 들어, 종화면 (portrait) 으로 디스플레이 (22) 의 출력을 배향한다. 또한, 디바이스 (12) 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같이, 이 모드의 기능성과 연관되는 소정의 내부 회로를 발동한다. 사용자는 마이크로폰 (32) 에 말하고 스피커 (66) 를 들음으로써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전화기-관련 기능은 키패드 (31), 오프 키 (72) 및/또는 전송 키 (74) 의 모든 또는 제 1 서브세트 상의 키스트로크를 통해, 또는 키 (24, 26, 또는 27) 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모드는, 예를 들어, 모듈 레이어 (14) 를, 예를 들어, 플립핑 또는 슬라이딩하여 중립 위치 (도 1) 로 다시 이동하거나 오프 키 (72) 를 누름으로써 턴 오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부 모듈 레이어 (14) 를 제 2 방향 (34; 수평 또는 옆쪽으로) 으로, 예를 들어, 플립핑 또는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고, 그 때문에 이 모드에 대한 키패드 (31) 의 모든 또는 제 2 서브세트를 활성화함으로써,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드와 같은 제 3 동작 모드를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0" 및 "8" (28), 네비게이션 키 (24, 26) 및 집게 손가락 키 (27) 와 같은 어떤 확장된 키는 이 모드에 대해 활성화될 수도 있고, 이는 디바이스가 한 손으로 편리하게 쥐어지고 페이징을 위해 하나 또는 두 개의 엄지 및/또는 손가락으로 간단히 작동될 수 있게 한다. 게임 디바이스로 작동될 경우, 디바이스 (12) 는 그것의 폭이 그것의 최장 치수가 되도록 쥐어질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이 모드의 발동과 연관하여, 디바이스 (12) 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기초한 소정의 배향으로 디스플레이 (22) 로부터의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 출력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게임 모드에서의 텍스트/그래픽은 전화기 모드에서의 텍스트/그래픽에 상대적으로 90 도로, 즉 횡화면 (landscape) 으로 배향할 수도 있다.
이 모드의 발동 중에, 잠금 메카니즘 (36) 은 추가적인 동작 모드의 발동과 연관되는 나머지 레이어 사이의 추가적인 상대적 이동을 방지한다. 이 모드에서, 디바이스 (12) 내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는 이 모드의 발동을 인지하고 디스플레이 (22) 의 출력이 키패드 (31) 와 조합에서의 사용을 위해 정렬되도록, 예를 들어, 횡화면으로 디스플레이 (22) 의 출력을 배향한다. 또한, 디바이스 (12) 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통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같이, 이 모드의 기능성과 연관되는 소정의 내부 회로를 발동한다. 이 모드는, 예를 들어, 모듈 레이어 (14) 를, 예를 들어, 플립핑 또는 슬라이딩하여 중립 위치 (도 1) 로 다시 이동하거나 오프 키 (72) 를 누름으로써 턴 오프될 수도 있다.
모듈의 이동을 감지하는 한 방법은 홀 효과 센서 (Hall Effect Sensors) 를 사용하는 것이다. 홀 효과 센서는 센서에 가까이 근접한 자기장의 이동과 관련하여 전압을 발생시킨다. 전압은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고 모듈의 이동의 신호로서 사용된다. 홀 효과 센서를 사용하는 장점은 신뢰성과 시간에 따라 마모될 기계적인 요소가 없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디바이스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음성 인지 방식을 통해 디바이스 (12) 에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입력 수단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몇은 기능적 모드 및/또는 디스플레이 (22) 상의 정보의 배향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도 2 에서와 같이 제 1 방향 (28) 에서 사용가능한 도 1 의 전자 디바이스의 좌, 우측도를 각각 예시한다. 이 경우에서, 잠금 메카니즘 (36) 이 사용되고 (engaged), 상부 모듈 레이어 (14) 는 제 1 메카니즘 (38), 예를 들어, 힌지를 통하여 하부 모듈 레이어 (16) 와 관계하여 이동한다.
도 5 는 제 1 방향 (28) 에서 사용가능한 도 1 의 전자 디바이스의 후면도를 예시한다. 이 경우에, 잠금 메카니즘 (36) 이 사용되고, 상부 모듈 레이어 (14) 는 예를 들어, 제 1 메카니즘 (38) 을 통하여 하부 모듈 레이어 (16) 와 관계하여 이동한다.
도 6 은 제 2 방향 (34) 에서 사용가능한 도 1 의 전자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이 경우에서, 잠금 메카니즘 (36) 은 사용되지 않고, 상부 모듈 레이어 (14) 는 제 2 메카니즘 (40), 예를 들어, 힌지를 통하여 하부 모듈 레이어 (16) 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잠금 메카니즘 (36) 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 1 힌지 메카니즘(들) (38) 이 자유롭게 되고 제 2 힌지 메카니즘 (40) 이 사용된다. 일 메카니즘에서, 더블 플립 (회전적인 또는 선형적인)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는 2 개의 모듈 레이어 (14, 16) 의 수직적인 플립핑 이동을 허용한다. 일 메카니즘에서, 더블 슬라이드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는 2 개의 모듈 레이어 (14, 16) 의 수직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허용한다. 일 메카니즘에서, 플립-슬라이드 조합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는 2 개의 모듈 레이어 (14, 16) 의 플립 이동에 수직하는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접속 메카니즘이 상부 모듈 레이어의 플립핑 이동에 대한 양-방향 힌지 커넥터로서 나타나지만, 이러한 접속 멤버가 하나 이상의 평면에서 하나 이상의 축을 따르는 이동 및 선형 및/또는 회전식의 플립핑 및/또는 슬라이딩 모션에서의 이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접속 메카니즘 (38, 40) 은 금속, 플라스틱, 합성물, 및 세라믹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들은 각각의 모듈 레이어 (14, 16) 로 불가결하게 또는 기계적인 또는 화학적인 방식을 통해 별도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시되는 실시형태는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이한 키보드 정렬을 활성화하고 상이한 디스플레이 배향을 표시하는 다중-기능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개시되는 실시형태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의 주제 내용이 이러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다수의 수정, 변경, 변동, 치환 및 균등물 이 청구항에서 설명되는 개시되는 실시형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0)

  1. 상이한 방향에서 사용가능한 다중-기능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상기 방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전화기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PDA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게임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수직 방향을 포함하는, 동작 모드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수평 방향을 포함하는, 동작 모드 제공 방법.
  8. 상이한 방향에서 사용가능한 다중 기능 전자 디바이스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상기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배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표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단계는 횡화면 (landscape) 으로 정보를 배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단계는 종화면 (portrait) 으로 정보를 배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수직 방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수평 방향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3. 다중 기능 전자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모듈 레이어; 및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2 모듈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는 기능적 콤포넌트의 제 1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는 기능적 콤포넌트의 제 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기능적 콤포넌트의 상기 제 1 세트를 이용하는 제 1 동작 모드, 기능적 콤포넌트의 상기 제 2 세트의 제 1 서브세트를 이용하는 제 2 동작 모드, 기능적 콤포넌트의 상기 제 2 세트의 제 2 서브세트를 이용하는 제 3 동작 모드를 포함하며,
    각각의 동작 모드는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 및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의 소정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발동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모드, 상기 제 2 동작 모드 및 상기 제 3 동작 모드는,
    오디오 통신 모드, 텍스트 통신 모드, 휴대단말기 (PDA) 모드, 게임 모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모드, 원격 제어 디바이스 모드, 오디오 플레이어 또는 레코더 모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 또는 레코더 디바이스, 및 계산기 모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가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에 상대적으로 제 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 동작 모드가 정의되는 경우, 기능적 콤포넌트의 상기 제 2 세트의 상기 제 1 서브세트가 활성화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가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에 상대적으로 제 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3 동작 모드가 정의되는 경우, 기능적 콤포넌트의 상기 제 2 세트의 상기 제 2 서브세트가 활성화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와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를 접속하는 제 1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커넥터는 적어도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허용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와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를 접속하는 제 2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적어도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을 허용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전자 디바이스.
  20.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입력 및 출력을 가지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1.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가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배향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가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 배향으로 표시되는, 전자 디바이스.
  23.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1 콤포넌트 레이어; 및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를 가지는 제 2 콤포넌트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콤포넌트 레이어는 상기 제 2 콤포넌트 레이어에 이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 1 콤포넌트 레이어의 상기 제 2 콤포넌트 레이어에 상대적인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 1 동작 모드로의 사용을 위한 상기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의 제 1 서브세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 1 콤포넌트 레이어의 상기 제 2 콤포넌트 레이어에 상대적인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 2 동작 모드로의 사용을 위한 상기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의 제 2 서브세트를 활성화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24. 전자 디바이스의 이동가능한 레이어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모듈 레이어의 제 1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이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의 제 1 서브세트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를 상기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를 갖는 제 2 모듈 레이어에 이동가능하게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의 제 2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이 상기 기능적 콤포 넌트의 세트의 제 2 서브세트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를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에 이동가능하게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어 사이의 상대적 이동 제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 중에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이동 중에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어 사이의 상대적 이동 제어 방법.
  26. 전자 디바이스가 복수의 동작 모드 중 하나에서 사용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되는 동작 모드와 연관되는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소정의 배향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용도 전자 디바이스 제공 방법.
  27. 상이한 방향에서 사용가능한 다중-기능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상기 방향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동작 모드 제공 장치.
  28. 상이한 방향에서 사용가능한 다중 기능 전자 디바이스 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방향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상기 방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배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 장치.
  29. 전자 디바이스가 복수의 동작 모드 중 하나에서 사용되는 것을 감지하는 수단;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되는 동작 모드와 연관되는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를 활성화하는 수단;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소정의 배향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용도 전자 디바이스 제공 장치.
  30. 전자 디바이스의 이동가능한 레이어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제 1 모듈 레이어의 제 1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이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 의 제 1 서브세트를 활성화도록 제 1 모듈 레이어를 상기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를 갖는 제 2 모듈 레이어에 이동가능하게 커플링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의 제 2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이 상기 기능적 콤포넌트의 세트의 제 2 서브세트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제 1 모듈 레이어를 상기 제 2 모듈 레이어에 이동가능하게 커플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레이어 사이의 상대적 이동 제어 장치.
KR1020077003152A 2004-07-09 2005-07-01 하우징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KR20070032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3152A KR20070032060A (ko) 2004-07-09 2005-07-01 하우징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86,626 2004-07-09
US10/945,580 2004-09-20
KR1020077003152A KR20070032060A (ko) 2004-07-09 2005-07-01 하우징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060A true KR20070032060A (ko) 2007-03-20

Family

ID=4365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152A KR20070032060A (ko) 2004-07-09 2005-07-01 하우징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0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2610A1 (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fferent operation mod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a housing portion
US20060063569A1 (en) Portable device with versatile user interface
US20050104857A1 (en) Portable device with versatile keyboards
EP1924058B1 (en) Electronic device with three movable layers
KR100869020B1 (ko) 3개의 이동가능한 계층들을 구비한 전자 장치
EP1665737B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keypads
US2005009143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769078B1 (ko) 다목적 키보드를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JP2008513895A5 (ko)
KR20070032060A (ko) 하우징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CN101036373A (zh) 包含取决于壳体部分的位置的不同操作模式的便携式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