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59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598A
KR20070031598A KR1020050086206A KR20050086206A KR20070031598A KR 20070031598 A KR20070031598 A KR 20070031598A KR 1020050086206 A KR1020050086206 A KR 1020050086206A KR 20050086206 A KR20050086206 A KR 20050086206A KR 20070031598 A KR20070031598 A KR 2007003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input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598A/ko
Publication of KR2007003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반투명 반사유리로 형성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이 형성된 메인 보드; 및 상면에 각각 미리 설정된 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 입력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들을 온(ON) 시키는 복수의 메탈돔들이 형성된 메탈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반투명 반사유리로 키입력부를 구성하고 메탈돔의 표면에 문자와 기호를 인쇄하여 키입력 기능과 거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메탈돔 시트, 반투명 반사유리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The keypad equi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메탈돔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키패드 장치를 V-V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5a는 키입력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b는 키입력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한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입력 기능과 거울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디지털 폰, 셀룰러 폰 및 피씨에스(PCS) 폰 등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로 제조되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기지국 및 이와 연동되는 정보제공용 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전화 통화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는 상판부(100) 및 하판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의 상판부(100)의 내측면에는 키패드(112)에서 입력된 데이터 및 작동상태 등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102)가 장착된다.
상기 단말기의 하판부(110)의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112)가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판부(110) 외측면에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116)가 장착된다.
키패드(112)에는 문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키패드(112)는 사용자가 버튼들을 누르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키패드(112)의 하부에 메탈돔 시트(metal dome sheet, 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메탈돔 시트는 사용자가 버튼들(114)을 누르면 그 저면에 위치한 메탈돔이 가압되어 하부로 밀리면서 메인 보드(미도시)에 위치한 스위치를 눌러 스위칭 작동이 일어나게 한다.
한편, 종래의 키패드(112)는 버튼들(114)을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 구성하고, 버튼들(114)의 표면에 문자나 기호를 인쇄한다. 그러나, 상기 단말기를 일정시간 이상 사용할 경우 인쇄된 부분이 지워져 상기 문자나 기호를 식별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키패드(112)의 내면에 도료를 사용하여 색깔을 입히고, 상기 문자나 기호에 맞게 도색된 부분을 지워서 상기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도색된 표면을 벗겨내어 상기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여 형성된다. 상기 문자나 기호가 새겨진 부분은 도색된 표면이 벗겨진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에서 발광하는 빛이 버튼들(114)을 통해 새어나올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카메라, 엠피쓰리 등과 같은 각종 부가 기능들이 포함된 형태의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의 하나로 거울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기의 경우, 상기 단말기에 거울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 상판부(100)의 외측면 일부에 거울을 별도로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키패드(112)의 구조에서는 키 입력 이외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거울을 별도로 상기 단말기에 부착하는 경우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그러므로, 키패드가 키 입력 기능과 거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투명 반사유리로 키입력부를 구성하고 메탈돔의 표면에 문자와 기호를 인쇄하여 키입력 기능과 거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투명 반사유리와 메탈돔 시트를 사용하여 키패드 장치 내에 거울 기능이 포함됨으로써 제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반투명 반사유리로 형성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이 형성된 메인 보드; 및 상면에 각각 미리 설정된 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 입력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들을 온(ON) 시키는 복수의 메탈돔들이 형성된 메탈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반투명 반사유리로 키입력부를 구성하고 메탈돔의 표면에 문자와 기호를 인쇄하여 키입력 기능과 거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메탈돔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 고, 도 4는 도 2의 키패드 장치를 V-V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고 함)는 일측 상단부에 안테나(미도시)가 설치되고, 힌지를 통해 회동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판부(200)와 하판부(210)로 구성된다.
상판부(200)는 디스플레이부(204) 및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고 하판부(210)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판부 케이싱(20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04)로서 현재에는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LCD는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면을 균일하게 면조사하는 백라이트(Backlight)가 설치된다.
최근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고 함)가 디스플레이부(204)로 점차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O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백라이트가 구조상 불필요하며, 저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기기의 박형화가 가능하는 등 종래의 상기 LCD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동영상 구현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므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주목받고 있다.
하판부(210)는 상부 커버(214), 키입력부(212), 메인 보드(300), 메탈돔 시트(310), 하부 커버(220) 및 배터리(222)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214)는 키입력부(212)를 보호하고 하부 커버(220)와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상판부(2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키입력부(212)는 반투명 반사유리를 상부 커버(214)의 내측에 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는 반투명 기능 및 반사 기능을 모두 갖는 물질이다.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에 빛이 입사하면 투과율이 증가하는 반면 반사율은 감소하여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의 후면에 위치한 면이 보이게 된다. 반대로,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에 빛이 입사하지 않으면 투과율은 감소하는 반면 반사율은 증가하여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의 후면이 어두워지고, 거울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메인 보드(300)에는 키입력부(212)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키입력부(212)에 조명을 인가하기 위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ssion Diode, 이하 'LED'라 함,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LED는 상기 스위치들이 온(0N) 될 경우 발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메탈돔 시트(310)는 메인 보드(300) 위에 부착되는 것으로, 얇은 판형의 절연 시트(312)에 복수의 메탈돔들(320)이 부착되어 있다. 메탈돔들(320)은 반구형의 스텐레스스틸 판을 주로 사용하나, 그 형상이나 재료에 있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탈돔들(320)은 사용자가 키 입력부(212)를 누를 때 손가락 끝에 클릭 감을 느끼게 하고, 하부의 메인 보드(300)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메탈돔 시트(310)는 복수의 메탈돔들(320)이 메인 보드(300)에 배열된 상기 스위치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의 접점들 (302, 304)이 먼지나 습기와 같은 외부 요소로부터 보호된다.
그리고, 메탈돔들(320)에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문자나 기호가 각각 인쇄되어 있다.
또한 메탈돔 시트(310)에는 메인 보드(300)에 설치된 상기 LED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개구들(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LED에서 발생된 빛이 개구들(330)을 통해서 키입력부(212)에 입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메탈돔들(320)은 그 가장자리가 상기 스위치들의 제2접점(302)과 항상 접촉되어 있고, 제1접점(304)과는 비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상기 스위치들은 전기적으로 오프(OFF) 상태이다.
한편, 사용자가 키입력부(212)의 상부에서 외력을 가할 경우, 메탈돔들(320)의 중앙부가 눌려지면서 변형되어 상기 스위치의 제1접점(304)과 제2접점(302)을 모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 상기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된다. 상기 스위치가 온(0N) 될 경우, 메인 보드(3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커버(220)의 후면에는 상기 메인 보드(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22)가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이하 키입력부(212)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상술하겠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키입력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5a는 키입력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b는 키입력부에 제 어신호를 입력한 경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212)에 외력을 가하지 않아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메탈돔들(320)이 상기 스위치들의 제1접점(304)과 비접촉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LED가 발광하지 않는다. 그 결과, 키입력부(212)에 빛이 입력되지 않아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의 뒷부분이 어두어지면서 투과율은 감소하고 반사율이 증가한다. 즉, 키입력부(212)가 거울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212)에 외력을 가해 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메탈돔들(320)이 상기 스위치들의 제1접점(304)과 제2접점(302) 모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이 온(ON) 상태가 되고, 상기 LED가 발광하게 된다. 그 결과, 메탈돔 시트(310)에 형성된 개구들(330)을 통해 상기 LED에서 발광한 빛이 키입력부(212)에 입사한다. 키입력부(212)는 상기 빛이 입사되면서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의 투과율은 증가하고 반사율은 감소한다. 이에 따라 키입력부(212)의 하부에 위치한 메탈돔 시트(310)가 키입력부(212)에 비치게 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212)를 통해 메탈돔들(320)에 인쇄된 각종 문자나 기호를 인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반투명 반사유리로 키입력부를 구성하고 메탈돔의 표면에 문자와 기호를 인쇄하여 키입력 기능과 거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반투명 반사유리와 메탈돔 시트를 사용하여 키패드 장치 내에 거울 기능이 포함됨으로써 제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반투명 반사유리로 형성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이 형성된 메인 보드; 및
    상면에 각각 미리 설정된 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 입력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들을 온(ON) 시키는 복수의 메탈돔들이 형성된 메탈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스위치들이 온 되는 경우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돔 시트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시 빛이 투과하도록 하는 복수의 개구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위치들이 오 프(OFF) 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지 않아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의 반사율이 증가하여 상기 키입력부가 거울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스위치들이 온 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함에 따라 상기 반투명 반사유리의 투과율이 증가하여 상기 메탈돔들에 인쇄된 문자들이 상기 키입력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20050086206A 2005-09-15 2005-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20070031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206A KR20070031598A (ko) 2005-09-15 2005-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206A KR20070031598A (ko) 2005-09-15 2005-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598A true KR20070031598A (ko) 2007-03-20

Family

ID=4365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206A KR20070031598A (ko) 2005-09-15 2005-09-15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5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9772B2 (ja) 照明構造付きキーパッド
JP4716956B2 (ja)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US7129930B1 (en) Cordless computer keyboard with illuminated keys
CN101807482B (zh) 按键模组及具有其的手持电子装置
EP1962314B1 (en) Light guide sheet and movable contact unit and switch using the same
US7893375B2 (en) Non-backlighted illuminating keypad
US20110038115A1 (en) Illumination Arrangement
US7015408B2 (en) Switch unit capable of directly illuminating switch operating position
CN110998772B (zh) 一种键盘及电子设备
KR20070089934A (ko) 박형 키 시트 및 해당 박형 키 시트를 조립한 박형 키 유닛
JP2008537311A (ja) 導光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発光キーパッド
KR20120036076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 장치
US8142036B2 (en) Keypad device with light source and reflector
KR20050026741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장치
US20090122016A1 (en) Keypad Panel Assembly Having Laterally-Illuminated Keypad Surface
US7329018B2 (en) Illuminated human-machine interface device
KR100649484B1 (ko) 도광필름을 구비한 발광 키패드
US20070063978A1 (en) Cordless computer keyboard with illuminated keys
KR2007003159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200426230Y1 (ko) 발광 키패드
KR100705483B1 (ko) 발광 키패드
KR100905232B1 (ko) 도광키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키패드
WO2007145423A1 (en) Light emitting keypad
KR1009287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37763B1 (ko) 발광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