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132A -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132A
KR20070031132A KR1020050085843A KR20050085843A KR20070031132A KR 20070031132 A KR20070031132 A KR 20070031132A KR 1020050085843 A KR1020050085843 A KR 1020050085843A KR 20050085843 A KR20050085843 A KR 20050085843A KR 20070031132 A KR20070031132 A KR 2007003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e
display unit
mode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섭
김윤향
이석훈
송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132A/ko
Publication of KR2007003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소정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소정 표시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상기 표시부가 회전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었음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로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의 회전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휴대 단말기, 디스플레이 모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DISPLAY MODE IN PORTABLE TERMINAL}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경우, 표시부의 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 보다 더 긴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로 세로 화면 비율이 16:9 비율(예컨대, 세로보기 모드)을 가지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화면의 축소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표시부의 회전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표시부를 90도 회전시켜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더 긴 16:9 화면 비율(예컨대, 가로보기 모드)로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도 1(a) 및 도 1(b)는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A)가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제1 디스플레이 모드(즉, 세로보기 모드) 상태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b)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A)가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드(즉, 가로보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A)가 세로보기 상태일 때 표시 데이터가 세로방향으로 출력하며, 도 1(b)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A)가 회전하여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한 경우에도 표시 데이터는 여전히 세로보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1(b)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A)가 회전하여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한 경우 표시 데이터는 여전히 세로보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 데이터를 보기에 불편한 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로보기 모드에서도 표시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가로보기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은 표시부의 회전상태에 상관없이 표시 데이터를 정방향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 가로보기 UI를 제공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 특히, 휴대 단말기의 매뉴얼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은 표시부(A)가 회전하여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표시 데이터가 정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세로보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되면 당황하거나 난처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시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소정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소정 표시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상기 표시부가 회전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었음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가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세로보기 모드를 의미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표시부가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된 가로보기 모드를 의미한다. 즉, 표시부가 회전되어 가로 세로 화면 비율이 예컨대, 16:9가 되는 경우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가로보기 모드)이며, 표시부의 가로 세로 화면 비율이 예컨대, 9:16이 되는 경우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세로보기 모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모드 즉, 가로보기 모드 시 표시 데이터를 가로보기 방향(즉, 정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가로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공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송수신부(110), 모뎀(120), 오디오 처리부(130), 키입력부(140), 메모리(150), 제어부(160), 카메라부(170), 영상처리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무선송수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 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미도시)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11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30)는 무선송수신부(11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1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키입력부(14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즉,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메모리(1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즉, 세로보기 모드)에서 소 정 데이터(예컨대,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표시부(190)가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2 디스플레이 모드(즉, 가로보기 모드)로 전환하고, 표시부(190)가 회전되었음을 알리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90)가 회전되었음을 알릴 때 별도로 구현된 표식(예컨대, 아이콘)이나 문자 메시지로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음성 메시지로도 가능하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경우 이를 위한 카메라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70)는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렌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다.
카메라부(170)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80)는 카메라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80)는 카메라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9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8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9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8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제어부(160)의 제어하에 표시되는 화면 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적어도 90도의 회전이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90)의 회전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9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9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90)는 영상처리부(18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9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모드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9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예컨대, 세로보기 모드)에서 각종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190)에 디스플레이 한다(S110).
제어부(16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표시부(190)가 회전되는지를 체크한다(S120). 즉 제어부(160)는 표시부(190)가 회전되어 가로보기 상태가 되는지를 체크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160)가 표시부(190)의 회전을 감지하는 방법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90)의 회전이 감지되면 즉, 표시부(190)가 가로보기 상태가 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한다(S130).
이어 제어부(160)는 표시부(190)가 회전되었음을 알리는 표식(예컨대, 아이콘)을 표시부(190)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 한다(S140). 이 때 제어부(160)는 상기 표식을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점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표식 대신 문자 메시지로 표시부(190)가 회전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예컨대, "표시화면이 회전되었습니다."와 같은 텍스트 형태로 표시부(190) 화면의 일부에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On Screen Display)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자 메시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으며, 음성 메시지의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진동으로 표시부(190)의 회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표식 또는 문자 메시지를 표시부(190)에 디스플레이 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지 체크한다(S150).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타이머(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6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190)에 디스플레이 된 상기 표식 또는 문자 메시지를 삭제한다(S180).
한편, 제어부(160)는 상기 S150 과정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표시부(190)가 회전되는지를 체크한다(S160).
제어부(160)는 상기 S160 과정에서 표시부(190)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S140 과정으로 리턴하고, 표시부(190)의 회전이 감지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한다(S170).
그러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90)에 디스플레이 된 표식 또는 문자 메시지를 삭제한다(S180).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4(a)는 휴대 단말기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즉, 세로보기 모드)에서 소정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4(a)에서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A)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즉, 가로보기 모드)로 전환되면 도 4(b)와 같이 표시부(A)가 회전되었음을 알리는 표식(indicator)(예컨대, 아이콘)(210)을 화면 일부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도 4(c)와 같이 문자 메시지(220)를 표시부(A) 화면 하단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표시부(A)의 회전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도 4(b) 또는 도 4(c)에서 표시부(A)가 회전하여 도 4(a)와 같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다시 전환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도 4(b) 또는 도 4(c)에 디스플레이 된 표식(210)이나 문자 메시지(220)를 삭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의 회전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Claims (11)

  1. 표시부의 회전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소정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소정 표시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상기 표시부가 회전하여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었음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소정 표시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표시부가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세로보기 모드이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표시부가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회전된 가로보기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알리는 표식을 상기 표시부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상기 표식을 일정 간격으로 점멸시킴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상기 표식을 디스플레이 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표식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상기 표식을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식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 화면의 일부에 소정의 형식으로 슬라이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상기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과정은
    상기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KR1020050085843A 2005-09-14 2005-09-14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KR20070031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843A KR20070031132A (ko) 2005-09-14 2005-09-14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843A KR20070031132A (ko) 2005-09-14 2005-09-14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32A true KR20070031132A (ko) 2007-03-19

Family

ID=4365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843A KR20070031132A (ko) 2005-09-14 2005-09-14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1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7490A (ko) * 2010-04-21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474022B1 (ko) * 2008-10-2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에서 표시부의 축 변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022B1 (ko) * 2008-10-2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에서 표시부의 축 변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
KR20110117490A (ko) * 2010-04-21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332B1 (ko)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KR100678226B1 (ko) 무선 착탈 표시창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0663478B1 (ko) 휴대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800801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KR10073528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70346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KR20070031132A (ko)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085746B1 (ko) 스타일러스 겸용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 및그 동작방법
KR1004567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70038374A (ko) 휴대단말기의 알람제어 방법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2007000026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JP5157886B2 (ja) 携帯情報端末の報知方法、携帯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60277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処理プログラム
KR100800832B1 (ko) 긴급 상황을 알리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84343B1 (ko)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
KR100790070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70044426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53987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06780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응답 기능 수행 방법
KR100735222B1 (ko) 휴대단말기의 표시부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78106B1 (ko) 휴대단말기의 로컬시각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