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117A -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117A
KR20070031117A KR1020050085817A KR20050085817A KR20070031117A KR 20070031117 A KR20070031117 A KR 20070031117A KR 1020050085817 A KR1020050085817 A KR 1020050085817A KR 20050085817 A KR20050085817 A KR 20050085817A KR 20070031117 A KR20070031117 A KR 2007003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3620B1 (ko
Inventor
선필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62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음석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와, 통화중, 상기 인식된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통화중 음성인식을 통해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서, 데이터 검색이 용이하고 데이터의 접근성이 향상되며, 검색된 데이터를 통화중 또는 통화완료시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서 저장된 데이터의 공유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음성인식, 정보검색, 메시지,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search data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에 따른 데이터 검색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에 따른 데이터 검색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에 따른 데이터 검색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11: 입출력제어부
12: 데이터 처리부 20: 음성인식부
30: 음성처리부 40: 마이크
50: 스피커 60: 키입력부
70: 표시부 80: 메모리
90: 통신모듈
본 발명은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중 음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전송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중 통화 상대방으로 부터 특정 데이터에 대해 요청받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통화중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버튼 입력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데이터를 검색함에 있어서, 다단계에 걸쳐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이 요구되므로, 데이터 검색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키버튼을 조작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동안에는 통화 연결된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가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동안 통화 상태가 유지되므로 그에 따른 통화요금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종료 후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 검색 후 재 통화를 시도하거나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찾아 메시지로 데이터를 전송해야하므로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화중 데이터 검색시 별도의 키입력 없이도, 통화중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되는 음성에 따라 자동으로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출력하거나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서, 편의성이 향상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와, 통화중,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통화중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 검색하는 제 2 단계와, 검색된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되고,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에 따른 데이터 검색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에 따른 데이터 검색의 제 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50)와, 음성 또는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여 입력하는 마이크(40)와, 상기 스피커(50) 또는 마이크(40)로 입출력되는 소리를 압축 또는 복원하고 변환하는 음성처리부(30)와, 상기 마이크(4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또는 통화중 수신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20)와, 상기 음성인식부(20)로부터 인식된 음성에 따른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90)과, 다수의 전화번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8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가 출력되는 표시부(70)와,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키입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80)는 전화번호, 이름, 이메일, 주소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전화번호부(81)와,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되거나, 상기 통신모듈(90)을 통해 수신된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부(82)는 이미지, 동영상 이외에도 상기 마이크(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 또는 수신되는 벨소리,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80)는 상기 음성인식부(20)의 음성인식을 위한 다수의 음성샘플 데이터와, 상기 음성샘플에 대한 문자변환데이터가 저장되는 음성인식 데이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60)는 다수의 키버튼 중 음성인식 버튼으로 설정된 특정 키버튼 또는 별도의 음성인식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인식버튼은 통화 중 입력되는 음성 중 선택된 특정 음성이 상기 음성인식부(20)에 의해 인식되도록 한다.
상기 음성인식부(20)는 상기 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이 상기 음성처리부(30)를 통해 변환되면, 변환된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인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20)는 상기 통신모듈(90)을 통해 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통화가 수행되는 경우, 통화중 수신되는 음성을 입력받아 그에 따른 음성인식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음성인식부(20)는 음성인식 알고리즘이 구비되어, 입력되는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고 분석하며 상기 음성인식 데이터부에 저장된 음성샘플데이터를 바탕으로 음성을 인식한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부(20)는 상기 음성인식 데이터부의 문자변환데이터에 따라 상기와 같이 인식된 음성을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음성인식부(20)로부터 음성 인식되어 문자로 변환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8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표시부(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통신모듈(90)을 통해 통화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는 통화중 상기 마이크(4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또는 통화중 수신되는 음성이 상기 음성인식부(20)를 통해 인식되면, 음성인식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메모리(8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음성인식부(20)로부터 음성 인식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메모리(8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데이터를 메시지로 변환하는 데이터처리부(12)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이를 상기 통신모듈(90)을 통해 전송하는 입출력제어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통화 중, 상기 음성인식부(20)로부터 음성 인식된 데이터 즉, 인식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80)의 전화번호부(81)와, 데이터부(82)로부터 상기 인식데이터를 자동으로 검색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전화번호부(81)로부터 상기 인식데이터가 포함되는 전화번호, 이름, 주소, 이메일 등의 전화번호 데이터를 검색하고, 또 한, 상기 데이터부(82)로부터 상기 인식데이터가 포함되는 이미지, 동영상, 음악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인식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는 모든 데이터를 검색하며, 송수신 되는 메시지 및 메시지에 첨부되는 파일명을 포함하여 검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처리부(12)는 상기와 같이 검색되는 데이터를 메시지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단문메시지(SMS), 장문메시지(L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전화번호, 이름, 주소, 이메일 등과 같이 문자데이터인 경우, 단문메시지(SMS) 형태로 변환하고, 문자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장문메시지(LMS) 형태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문자데이터 이외의 음성데이터, 이미지,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이거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MS) 형태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처리부(12)는 상기 인식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이외에도 그와 관련된 데이터를 모두 메시지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인식데이터가 '홍길동'인 경우, '홍길동'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부(81)로부터 검색된 이름 '홍길동'과, 상 기 이름과 함께 저장되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전화번호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메시지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홍길동'의 전화번호 데이터에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로 변환한다.
한편, 상기 입출력제어부(11)는 상기 통신모듈(9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처리부(30)를 통해 복원, 변환되어 상기 스피커(50)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40)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가 상기 음성처리부(30)를 통해 압축, 변환되어 상기 통신모듈(90)을 통해 통화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입출력제어부(11)는 상기 마이크(4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가 상기 음성처리부(30)에 의해 변환된 후 상기 음성인식부(20)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통신모듈(90)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인식부(20)로 입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출력제어부(11)는 상기 키입력부(60)에 음성인식 버튼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만 상기 마이크(4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수신되는 음성데이터가 상기 음석인식부(20)로 입력되어 음성인식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제어부(11)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에 의해 검색된 상기 인식데이터에 대한 검색결과가 상기 표시부(70)를 통해 목록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출력제어부(11)는 설정에 따라 통화 중 또는 통화 완료 후에 상기 검색결과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70)를 통해 출력하며, 검색결과 데이터의 목록 중 상기 키입력부(60)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입출력제어부(11)는 상기 데이터처리부(12)에 의해 검색된 검색결과데이터가 다수 인 경우 이를 목록으로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7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제어부(11)는 통화 중 또는 통화 완료 후, 상기 데이터 처리부(12)에 의해 변환된 메시지가 키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90)을 통해 상기 통화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에 따른 데이터 검색의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에 의한 검색결과가 상기 표시부(70)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홍길동'음성이 상기 마이크(40)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통화중 수신되어 입력되는 경우,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하고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검색하여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길동'에 대한 검색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홍길동' 이름과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함께 검색되어, 통화 중 또는 통화 완료 후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된 결과를 통화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로 전송할지 여부를 선택 입력받아, 상기 검색결과를 메시지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설정에 따라 통화 중 또는 통화 완료 후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홍길동'을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이 검색되는 경우에는, 이를 목록으로 출력하며 상기 다수의 목록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에 따른 데이터 검색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통화가 발신 또는 착신되어 음성통화가 수행되면, 통화 중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한다. (S1 내지 S3)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구비되는 다수의 키버튼 중 특정 키버튼이 음성인식 버튼으로 설정되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인식 버튼 조작시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입출력되는 다수의 음성 중 음성인식 하고자 하는 음성만을 상기 음성인식 버튼을 통해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특히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통화중 수신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선택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알고리즘에 따라 저장된 음성샘플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된 문자변환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음성인식 된 음성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S4)
상기 음성인식되어 변환된 인식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로 부터 자동으로 검색한다. (S5)
이때, 상기 인식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는 모든 데이터를 검색한다. 즉, 전화번호부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등의 전화번호 데이터로부터 상기 인식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미지, 동영상, 음악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파일 명을 검색한다.
또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 또는 제목을 검색하여 상기 인식데이터가 포함되는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다.
설정에 따라 통화 중 또는 통화 완료 후, 검색된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S6)
이때, 상기 인식데이터가 포함되는 데이터 이외에도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함께 출력되며, 검색결과가 다수인 경우에는 이를 목록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인식데이터가 '홍길동'인 경우 상기 '홍길동'으로 검색된 이름, 이름과 함께 저장되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전화번호 데이터를 함께 출력한다.
또한, '홍길동'에 등록된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 데이터와 함께 이미지를 출력하며, 별도의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음악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목록으로 출력한다.
다수의 검색결과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에 따라 메 시지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된 데이터는 단문메시지(SMS), 장문메시지(L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홍길동'에 대한 검색결과가 이름과 전화번호인 경우, 짧은 문자 데이터이므로 단문메시지(SMS)로 변환하고, '홍길동'에 대한 이름,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생일이 포함된 전화번호 데이터가 검색된 경우에는 문자 데이터의 크기가 크므로 장문메시지(LMS)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MS)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홍길동' 전화번호 데이터에 이미지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로 변환한다.
설정에 따라 통화 중 또는 통화 완료 후,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통화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S7)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통화중에도 음성인식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결과를 화면에 출력하여 확인하여 음성통화를 통해 통화 상대방에게 바로 전달하거나, 상기 검색결과를 통화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서, 통화중 데이터 검색 및 저장된 데이터의 공유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통화 중 데이터 검색을 요청받거나, 검색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별도의 키조작 없이도 입력되는 음성 또는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인식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결과를 출력함으로서, 통화중에도 데이터 검색이 용이하고 데이터의 접근성이 향상되며, 검색된 데이터를 통화중 또는 통화완료시 메시지로 전송함으로서, 저장된 데이터의 공유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와;
    통화중,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또는 통화중 수신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메시지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통화 중 또는 통화 완료 후, 상기 검색된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검색된 데이터를 형식에 따라 단문메시지(SMS), 장문메시지(L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저장된 이미지, 동영상, 벨소리, 음성파일로부터 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저장된 전화번호부의 이름,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로부터 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통화 중 또는 통화완료 후,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변환되는 메시지가 통화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중 입력되는 다수의 음성 중, 특정 음성만을 선택하여 인식하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음성인식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인식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이 상기 음석인식부를 통해 음성 인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10. 통화중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된 데이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 검색하는 제 2 단계와;
    검색된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되고,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음성인식버튼 조작 시,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통화중 수신되는 음성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음성 인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화번호, 이름,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데이터 또는 이미지, 동영상, 메시지, 음악성파일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검색된 데이터가 화면에 출력되는 제 1 과정과;
    상기 검색된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메시지로 변환하는 제 2 과정과;
    통화 중 또는 통화완료 후, 상기 변환된 메시지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20050085817A 2005-09-14 2005-09-14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133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817A KR101133620B1 (ko) 2005-09-14 2005-09-14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817A KR101133620B1 (ko) 2005-09-14 2005-09-14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17A true KR20070031117A (ko) 2007-03-19
KR101133620B1 KR101133620B1 (ko) 2012-04-10

Family

ID=4365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817A KR101133620B1 (ko) 2005-09-14 2005-09-14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6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307A (ko) * 2010-06-14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정보 알림장치
KR20140061134A (ko) * 2012-11-13 2014-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258406B2 (en) 2012-12-17 2016-02-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by conversation recogni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conversation recognition during meeting
US10582033B2 (en) 2011-06-09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373A1 (ko) 2013-03-15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0297B1 (ko) * 2013-04-10 2019-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804B1 (ko) * 2001-02-14 2003-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화 단말 시스템의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30018729A (ko) * 2001-08-31 2003-03-06 아시아먼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정보검색/전송방법
KR100793772B1 (ko) * 2001-09-14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락처 정보 공유 방법
KR20040089232A (ko) * 2003-04-11 200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중 검색전화번호 전송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307A (ko) * 2010-06-14 2011-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정보 알림장치
US10582033B2 (en) 2011-06-09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140061134A (ko) * 2012-11-13 2014-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258406B2 (en) 2012-12-17 2016-02-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by conversation recognition,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conversation recognition during mee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620B1 (ko) 201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645B2 (ja) ハンズフリー機能のプライバシー保護装置
KR1008006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689396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내역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70101296A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s in a portable terminal
JP2008544629A (ja) 文字メッセージに含まれている電話番号にハイパーリンク機能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方法
KR100365860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US20110117941A1 (en) Information sharing during calling
US2008008574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33620B1 (ko) 데이터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20070135097A1 (en) Text and voice cap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70106162A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70106524A (ko) 휴대 단말
US20070173241A1 (en) Transmission of database record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8069189B2 (en) Portable terminal
JP3863537B2 (ja) ネットワーク端末
JP4493617B2 (ja) 電話機
KR100380829B1 (ko) 에이전트를 이용한 대화 방식 인터페이스 운영 시스템 및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WO2008071939A1 (en) Improved text handling for mobile devices
US8385523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voice message retrieval
JP5119813B2 (ja) 通話中に電話帳機能を操作出来る電話装置
KR20050101099A (ko) 통합 메시징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WO2018168460A1 (ja) 管理サーバ
KR101211000B1 (ko) 메시지 송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KR1006302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선택 및 전송방법
KR100506282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편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