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014A -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014A
KR20070031014A KR1020050085539A KR20050085539A KR20070031014A KR 20070031014 A KR20070031014 A KR 20070031014A KR 1020050085539 A KR1020050085539 A KR 1020050085539A KR 20050085539 A KR20050085539 A KR 20050085539A KR 20070031014 A KR20070031014 A KR 2007003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foreign matter
vacuum clean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915B1 (ko
Inventor
유명식
양해석
고무현
박재용
추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9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확대되고, 이물의 집진 성능이 향상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는 1차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물이 집진되도록 하는 제 1 집진부; 상기 제 1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어 2차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소싸이클론부; 상기 2차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물이 집진되도록 하는 제 2 집진부; 상기 제 2 집진부의 외측에 제공되어, 제 1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 3 집진부; 및 상기 소싸이클론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포함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비교적 큰 이물이 포집될 수 있는 이물포집공간이 확대되며, 비교적 큰 이물이 두 개소에서 나뉘어 분리됨으로써, 각 집진부에서의 이물분리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진공 청소기, 집진 바디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A dust collecting body structure of a vacc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서 집진 유니트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안내부의 하부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유니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집진 유니트
250 : 집진 바디 256 : 가이드 홀
257 : 공기 배출홀 258 : 통기공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물이 저장되는 공간 이 확대되고, 이물의 집진 성능이 향상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가 강제로 흡입되고,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이 소정의 필터링 부재에 의해서 걸러져서 실내 환경을 청결히 하는 가전기기이다.
한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링 기구에는 다공성의 필터를 통과하는 중에 강제적으로 이물이 걸러지는 다공성 필터 유니트과, 공기의 싸이클론 유동 중에 원심력에 의해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 유니트가 있다. 근래들어서는, 교체가 필요없이 반영구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 유니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 유니트는 싸이클론 공기 유동이 형성되어 이물이 분리되는 이물분리챔버와, 상기 이물분리챔버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저장챔버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저장챔버는 비교적 큰 이물이 저장되는 제 1 이물저장챔버와, 미세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이물저장챔버로 나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이물분리챔버에서 분리된 이물은 계속해서 상기 이물저장챔버에 쌓이게 된다.
그런데, 상기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포집된 이물은, 적정한 시간에 버려지지 아니하면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여 청소기의 집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게 된다. 실질적으로 이물저장챔버의 내부에 쌓여있는 이물은 그 양이 작으면서도 부피가 과대하게 크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주 이물저장챔 버를 비워야 하는 사용상의 단점이 있다. 특히, 비교적 큰 이물이 저장되는 이물저장챔버의 경우 이물저장챔버를 비우는 빈도수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비교적 큰 이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확대되도록 하여, 이물분리성능이 향상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동일한 부피의 집진부의 내부에 포집될 수 있는 이물의 양이 증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물을 버리는 주기가 줄어들어 더욱 편리하게 진공 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는 1차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물이 집진되도록 하는 제 1 집진부; 상기 제 1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어 2차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소싸이클론부; 상기 2차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물이 집진되도록 하는 제 2 집진부; 상기 제 2 집진부의 외측에 제공되어, 제 1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 3 집진부; 및 상기 소싸이클론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비교적 큰 이물이 포집될 수 있는 집진부가 집진 바디의 외측에 제공됨으로써, 이물포집공간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적 큰 이물이 두 개소에서 나뉘어 분리됨으로써, 각 집진부에서의 이물분리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유입되는 공기 및 이물 중의 일부가 두 개소에 나위어 유입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각 집진부에 존재하는 공기 및 이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포집되는 이물의 적층 밀도가 높아지게 되어, 포집될 수 있는 이물의 양이 증대되고, 사용자가 이물을 버리는 주기가 줄어들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서 집진 유니트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흡입관로(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적어도 모터(미도시) 및 집진 유니트(200)가 놓여서, 흡입된 공기중에서 이물이 걸러져 깨끗해진 뒤에, 외부로 배출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관로(50)는 상기 본체(100)의 흡입력에 의해서 공기과 함께 이물이 흡입되는 관로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로(50)는 강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체(10)와, 상기 흡입 노즐체(10)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길이가 조절되 는 연장관(20)과, 상기 연장관(20)의 단부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핸들(3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에는 조작부(34)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로(50)는 상기 핸들(30)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유동가능한 플렉시블 호스(40)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40)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커넥터(44)와, 상기 연장관(20) 또는 흡입 노즐체(10)의 소정 위치에 놓여 진공 청소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연장관(20)이 거치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관 걸이(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44)는 상기 조작부(34)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상기 본체(100)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단자의 기능과,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44)의 단부에는 복수 개의 전기 연결단(미도시)이 더 제공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상기 집진 유니트(200)가 상하 방향으로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집진 유니트(200)가 수용되기 위한 집진 유니트 수용부(130)가 상기 집진 유니트(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유니트(200)는 상기 흡입관로(50)를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 중에서,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유니트(2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유로와 상기 모터를 지나 상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커넥터(44)가 연결되는 연결부 (1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2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집진 유니트(2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바디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안내부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유니트(200)는 스펀지 등과 같은 다공성의 필터가 사용되지 아니하고, 싸이클론 유동에서 이물이 걸러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서로 분리되는 두개소 이상의 분리챔버에서 각각 수행되도록 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까지 완전하게 필터링되도록 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유니트(100)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어 이물 등이 걸러지는 집진 바디(250)와, 상기 집진 바디(250)의 상부를 차폐하는 상부 커버(210)와, 상기 집진 바디(25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하부 커버(23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210)의 하측에는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안내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 바디(250)의 중앙부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부재(290)가 결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50)는 상하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벽이 제공되는데, 최내측에 형성되는 내벽(262)과, 상기 내벽(262)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중간벽(264)과, 상기 중간벽(264)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외벽(266)과, 상기 외벽(266) 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보조벽(268)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내벽(262)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중간벽(264)의 내부 공간은 제 1 집진부(272)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벽(264)과 상기 외벽(266)의 사이에는 제 2 집진부(274)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266)의 소정 부분과 상기 보조벽(268)의 사이에는 제 3 집진부(276)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바디(250)는 세 개의 집진부(272)(274)(27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집진부(272)는 상기 집진 바디(25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 중 제 1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비교적 큰 이물이 집진되는 공간이고, 제 2 집진부(274)는 제 2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미세 이물이 집진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제 3 집진부(276)는 상기 제 1 집진부(272)에서 유입된 이물이 집진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상기 집진부의 갯수 및 사용상의 목적은 상기 집진 바디(250)의 형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집진 바디(25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가이드(252)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가이드(252)는 상기 내벽(262)과 연결되며, 상기 내벽(262)의 외주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놓이도록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252)를 통하여 공기가 상기 집진 바디(250)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내벽(262)의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하여 제 1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물이 분리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가이드(252)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집진부(272)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제 3 집진부(276)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홀(2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256)은 상기 내벽(262), 중간벽(264) 및 외벽(266)에 관통 성형되어, 상기 제 1 집진부(272)로 유입된 일부 공기가 상기 제 3 집진부(276)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한다. 즉, 상기 흡입가이드(252)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내벽(262)을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제 1 집진부(272) 내에서 회전되고, 다른 일부는 일직선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3 집진부(276) 내에서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256)은 그 형상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 제 3 집진부(276) 내로 공기와 이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3 집진부(276)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배출홀(257)을 통해 배출된다. 상세히, 상기 공기 배출홀(257)은 상기 외벽(266)과 중간벽(264)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 3 집진부(276)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 1 집진부(272)로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홀(257)은 상기 제 3 집진부(276)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배출홀(257)에 의해 상기 제 3 집진부(276)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가능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 홀(256)로 공기 및 이물이 역류하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홀(257)은 상기 제 3 집진부(276) 내에서 이물이 안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포집되도록 상기 제 3 집진부(276)의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홀(257)은 상기 제 3 집진부(276)의 하측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 1 집진부(272)의 하측에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집진부(272)의 하측에서 발생되는 기류를 간섭하여 상기 제 1 집진부(272)에 포집된 이물의 비산을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홀(257)의 상측에는 상기 제 3 집진부(276)의 공기 중 일부가 배출되는 복수 개의 통기공(25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공(258)은 후술할 소싸이클론부(280)에 관통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258)은 모든 소싸이클론부(280)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이물이 상기 제 3 집진부(276)의 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포집되기 위해 최내측 즉, 상기 공기 배출홀(257)의 상측에 위치하는 소싸이클론부(280)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통기공(258)으로 배출되는 소량의 공기는 상기 소싸이클론부(28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제 3 집진부(276)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홀(257)을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측에 잔류하는 공기가 상기 통기공을(258) 통하여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258)에는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망(259)이 제공된다. 상기 망(259)은 상기 통기공(258) 내부에 제공되거나,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기공(259)을 통하여 소량의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이물의 비산이 방지되고, 상기 제 3 집진부(276)의 내측에서부터 차곡차곡 쌓일 수 있게 된다. 즉, 동일한 부피 내에서 많은 양의 이물이 포집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256)과 공기 배출홀(257) 및 통기공(258)은 도 4를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이물이 집진될 수 있는 상기 제 3 집진부(276)가 형성됨으로써, 이물저장공간이 확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물이 두 개소에 나뉘어 집진됨으로써, 각각 집진부에서의 이물의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즉, 유입되는 공기 및 이물 중의 일부가 상기 제 3 집진부(276)로 유입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집진부(272)에 존재하는 공기 및 이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제 1 집진부(272)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집진부(276)에서는 싸이클론 유동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이물의 비산이 줄어들고, 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이물이 저장되어, 이물저장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50)의 상측부에는 제 2 싸이클론 유동을 형성시키는 다수 개의 소싸이클론부(280)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제 1 집진부(272)를 유동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54)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54)에는 상기 제 1 집진부(272)로 유입된 공기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부재(29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부(282)와, 상기 원통부(282)의 하단에 연장되어 원뿔형상을 가지는 원뿔부(28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은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그리고, 상기 원통부(282)는 상기 집진 바디(250)의 상방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원뿔부(284)는 상기 집진 바디(250)의 내측으로 돌출 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원뿔부(284)는 상기 중간 벽(264)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분리된 미세 이물이 상기 중간벽(264)을 타고 용이하게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벽(264)이 상기 원뿔부(284)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중간벽(264)은 소정의 곡률로 절곡 성형되는 절곡부(265)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265)에 의해 상기 제 2 집진부(274)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가 간섭되어 이물의 비산이 규제되고, 이물의 유동이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290)는 싸이클론 유동에서 이물 분리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290)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29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92)은 큰 이물의 유입은 규제하고 미세한 이물과 공기만을 내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50)의 상측에는 상기 배기안내부(22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안내부(2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을 유동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토출공(222)과, 상기 토출공(222)으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토출안내관(2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안내부(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커버(210)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걸림돌기(226)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토출안내관(224)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토출공(222)의 하방으로 돌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안내관(224)은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원통부(282)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안내관(224)은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부(220)를 관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기안내부(220)의 상측에는 하단이 개방된 상기 상부 커버(2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10)의 상측부에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212)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유니트(200)를 상기 본체(10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10)의 후방부에는 상기 집진 유니트(200)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집진 유니트(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도 6의 214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50)의 하부에는 상기 집진부(272)(274)(276)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 커버(230)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커버(230)는 상기 복수 개의 집진부(272)(274)(276)를 동시에 밀폐시키며, 상기 집진부(272)(274)(276)에 저장되는 이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실러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구성을 참조하여, 상기 집진 유니트(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진공 청소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본체(100)에 내장된 모터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를 통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가이드(252)를 통하여 집진 유니트(200) 내부로 흡입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가이드(25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먼저, 상기 제 1 집진부(272)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내벽(26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 1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된다. 그리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가이드 홀(256)을 통하여 상기 제 3 집진부(276)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집진부(272) 내부에서 공기가 싸이클론 유동하는 중에, 이물은 상기 필터(292)에 의해서 필터링된 후 상기 제 1 집진부(272)의 하방으로 낙하되고, 깨끗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290)의 관통공(292)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구(254)를 통하여 상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집진부(276)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홀(257)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집진부(272)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 3 집진부(276)의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통기공(258)을 통하여 상기 소싸이클론부(28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물이 상기 제 3 집진부(276)의 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포집되며, 포집되는 이물의 적층 밀도가 높아지게 되어 많은 양의 이물이 상기 제 3 집진부(276)에 포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홀(257)을 통하여 상기 제 1 집진부(272)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집진부(272)의 하측에서 발생되는 기류를 간섭하고, 상기 제 1 집진부(272) 내부에서 이물의 비산이 규제된다.
또한, 비교적 큰 이물이 상기 제 1 집진부(272)와 제 3 집진부(276)에 나뉘어 집진됨으로써, 각각 집진부(272)(276)에서의 이물의 분리 성능이 향상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 다음, 상기 유입구(254)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 미세 이물은 상기 소싸이클론부(28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소싸이클론부(28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은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직경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므로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는 공기와 이물의 속도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내주면을 따라 공기와 이물이 하강하면,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중앙부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싸이클론부(28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유동하던 공기 중의 이물은 관성에 의해서 소싸이클론부(280)의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제 2 집진부(274)의 내부에 쌓이게 된다. 이때, 제 2 집진부(274)으로 낙하되는 먼지는 상기 절곡부(265)에 의해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하방으로 낙하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물과 공기가 완전히 분리되면 정화된 공기는 상기 토출안내관(224)를 통하여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상부 커버(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214)를 통하여 후방으로 배출되고, 상기 토출구(214)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유동한 후,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은 비교적 큰 이물이 포집될 수 있는 집진부가 집진 바디의 외측에 제공됨으로써, 이물포집공간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적 큰 이물이 두 개소에서 나뉘어 분리됨으로써, 각 집진부에서의 이물분리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유입되는 공기 및 이물 중의 일부가 두 개소에 나위어 유입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각 집진부에 존재하는 공기 및 이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포집되는 이물의 적층 밀도가 높아지게 되어, 포집될 수 있는 이물의 양이 증대되고, 사용자가 이물을 버리는 주기가 줄어들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차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물이 집진되도록 하는 제 1 집진부;
상기 제 1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어 2차 싸이클론 유동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소싸이클론부;
상기 2차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물이 집진되도록 하는 제 2 집진부;
상기 제 2 집진부의 외측에 제공되어, 제 1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제 3 집진부; 및
상기 소싸이클론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제 3 집진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일부는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상기 소싸이클론부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집진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상기 공기 배출홀의 주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에는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망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망은 상기 소싸이클론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둘러지거나, 상기 통기공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KR1020050085539A 2005-09-14 2005-09-14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KR10117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539A KR101174915B1 (ko) 2005-09-14 2005-09-14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539A KR101174915B1 (ko) 2005-09-14 2005-09-14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014A true KR20070031014A (ko) 2007-03-19
KR101174915B1 KR101174915B1 (ko) 2012-08-17

Family

ID=4365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539A KR101174915B1 (ko) 2005-09-14 2005-09-14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485B1 (ko) * 2008-07-22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3808B2 (en) 2019-01-02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ypass cyclone fi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485B1 (ko) * 2008-07-22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915B1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067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진공청소기
KR100623916B1 (ko) 먼지 분리장치
KR10124872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10063360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KR100623915B1 (ko) 먼지 분리장치
KR100648959B1 (ko) 멀티 사이클론 분리장치
KR100553042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US7803205B2 (en) Multi-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having a filter assembly
RU2437611C2 (ru) Портативный чистящий прибор
KR10096469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KR100647195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EP1652458A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KR100934668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EP1776910A2 (en) Multi-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20035396A (ko) 진공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677982B1 (ko) 진공 청소기의 모터필터안착구조
KR20070089457A (ko) 진공 청소기
KR10057531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KR10117491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KR20070032839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KR10125007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0548933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조
KR101250038B1 (ko) 진공 청소기
KR100593093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KR100577275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