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009A - 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 - Google Patents

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009A
KR20070031009A KR1020050085529A KR20050085529A KR20070031009A KR 20070031009 A KR20070031009 A KR 20070031009A KR 1020050085529 A KR1020050085529 A KR 1020050085529A KR 20050085529 A KR20050085529 A KR 20050085529A KR 20070031009 A KR20070031009 A KR 2007003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mouse
input device
fing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김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형 filed Critical 김지형
Priority to KR102005008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009A/en
Publication of KR2007003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0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의 기능과 비슷한, 혹은 같은 기능을 하면서 마우스를 대체할 수 있는 컴퓨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input device capable of replacing a mouse while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or the same as that of a mouse.

즉, 마우스는 가로 세로의 평면을 이동하면서 컴퓨터의 화면상의 어떤 지점을 지시하도록 하면서 이 부위를 통한 입력의 준비 (보통 "클릭"을 말한다)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라고 할 때 동일한 기능을 엄지와 검지(제 1 수지와 제 2 수지)의 상대적인 위치와 그 압력으로 마우스의 기능을 대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other words, a mouse is a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point to a point on the screen of a computer while mov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s, and to prepare for input through this area (usually referred to as "click"). And devices for replacing the function of the mouse by the relative position and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first resin and second resin)

손가락, 두 손가락, 마우스, 입력장치 Finger, two finger, mouse, input device

Description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을 가진 컴퓨터의 입력장치{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Input device of computer with mouse function using two fingers {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

도1-8은 본 고안의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1-8 illustrate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책상위의 마우스의 시작 위치를 도식화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e starting position of a mouse on a desk.

도2는 본 고안에서 두 손가락(엄지와 검지)을 보여준 것이다. 간단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장치의 모양은 생략되었으며 엄지와 검지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었다Figure 2 shows two fingers (thumb and index fing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shape of the device is omitted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is shown.

도3은 책상위에 마우스가 우측으로 움직인 것을 표현한 것이다.3 represents the movement of the mouse to the right on the desk.

도4는 도3과 대응되는 것으로 검지 위를 엄지가 우측으로 움직인 것을 표현한 것이다. FIG. 4 corresponds to FIG. 3 and represents the thumb moving to the right on the index finger.

도5는 도1의 위치에서 마우스가 위쪽으로 움직인 것을 표현한 것이다.FIG. 5 shows that the mouse moves upward in the position of FIG.

도6은 도5와 대응되는 것으로 검지에 대해서 엄지가 위쪽으로 움직인 것이다. 혹은 같은 상황을 다르게 표현한다면 검지가 엄지의 뿌리쪽으로 움직였다고 할 수 있다.6 corresponds to FIG. 5 with the thumb mov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index finger. Or express the same situation differently, the index finger moved to the root of the thumb.

도7은 도1의 위치에서 마우스가 우측 위쪽으로 움직인 것이다. 실제 상황에서는 다양한 임의의 위치를 움직이되 결국 가로의 움직임과 세로의 움직임이라는 두 방향의 움직임의 조합으로 표현되게 된다.FIG. 7 shows that the mouse moves to the upper right in the position of FIG. In a real situation, various arbitrary positions are moved, but eventually they are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two directions of movement, horizontal movement and vertical movement.

도8은 도7과 대응되는 본 고안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나타낸 것이다.FIG. 8 illustrates the movement of a fi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FIG. 7.

즉 이상의 설명을 요약할 때, 기존의 마우스가 책상 위를 가로-세로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하면, 이 책상 역할을 검지가 하게 되고, 마우스의 움직임은 엄지의 움직임이 감당하게 된다고 생각하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summarizing the above description, if the existing mouse moves on the desk in the horizontal-vertical direction, the detection of this desk becomes a role, and the movement of the mouse can be understood more easily by considering the thumb movement. .

도9, 도10, 도11, 도12는 위의 개념을 이용한 실제적인 고안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9, 10, 11, and 12 show an example of an actual design using the above concept.

도9의 (1)은 접촉을 감각하는 센서이며 압력의 변화를 또한 감각하게 된다.9 (1) is a sensor that senses contact and also senses a change in pressure.

(2)는 이런 센서들이 모아져 있는 원형의 구조물이다. (2) is a circular structure in which these sensors are collected.

도10은 도9와같은 센서들이 모여있는 집합체이다.FIG. 10 is a collection of sensors as shown in FIG.

도11은 도10의 것의 외견상의 모습으로 이는 강체(rigid)나 혹은 유연체(flexsible)일 수 있다. 즉 반지와 같은 모양이거나 혹은 고무띠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FIG. 11 is an apparent appearance of that of FIG. 10, which may be rigid or flexible. That is, it may be shaped like a ring or may be shaped like a rubber band.

도12는 도11과 같은 두 개가 하나는 엄지에 하나는 검지에 장착된 이후 서로의 상대적 위치를 표현한 것이다. 즉 가로세로의 위치 변화를 각각의 센서로서 감각하게 되는 것이다. Figure 12 shows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other after the two as shown in Figure 11, one on the thumb and one on the index finger. In other words, the position chang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 is sensed as each sensor.

그러나 두 개가 각각 센서가 위치할 수도 있고, 오직 한 개에만 센서가 있어도 결국 같은 원리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two sensors may each be located, and only one sensor will eventually work on the same principle.

또한 "일반 마우스의 클릭"은 이들 센서에 주어지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거나, 혹은 클릭을 위한 여분의 단추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적용과 디자인 등 실용적인 문제로 여겨진다."Normal mouse clicks" can also take advantage of the pressure differences given to these sensors, or add extra buttons for clicks. This is considered to be a practical problem in application and design.

도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응용의 형태이다.Figure 13 is another form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것은 LG thinkpad(상품명)노트북 컴퓨터에 적용되었던 것과 비슷한 형태로서 조그만 조이스틱(4)과 같은 것이 검지에 착용하는 링모양의 것(3)에 달려있어 이 조그만 조이스틱(4)을 엄지손가락으로 작동함으로써 결국 본 고안의 개념을 적용한 할 실례가 된다.This is similar to the one applied to the LG thinkpad laptop computer, and a small joystick (4) depends on the ring-shaped one (3) worn on the index finger, which in turn causes the small joystick (4) to act as a thumb. This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역시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다른 형태의 것을 보여 준다.Figure 14 shows another form that also works on the same principle.

이는 도 12의 것과 비슷하나, 반지모양의 것으로 착용감이 더욱 우수하며, 악세사리의 기능도 같이 할 수 있는 용도로서 엄지와 검지에 착용되어 있는 모습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각각은 결국 센서들이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어 결국 가로,세로의 움직임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게 고안되어 있다.This is similar to that of Figure 12, but the ring-shaped, the wearing comfort is more excellent, as a use that can also function as an accessory shows a brief appearance of wearing on the thumb and index finger. In the end, sensors are staggered so that they can receive information on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도 15에서는 하나의 고리만으로 이루어진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마치 노트북에서 흔히 사용하는 터치패드를 검지에 차도록 만들어 진 것이라고 생각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검지 위에 곡면으로 구성된 센서를 엄지손가락이 적절하게 움직이되, 이 곡면의 센서(rigid or flexsible)는 이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각하고 또는 압력을 감각하여 커서의 움직임과 클릭, 더블클릭 등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Figure 15 shows an example consisting of only one ring. Thi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if you think that the touchpad, which is commonly used in notebooks, is designed to be indexed. In other words, the thumb of the sensor on the index finger moves properly, but the sensor of the curved surface (rigid or flexsible) senses the movement of the thumb or the pressur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cursor, click, double click, etc. Allow input.

즉 몇 가지 실례에서 보여주고자 한 것은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을 수 있으나 결국 추구하는 바는 두 개의 손가락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해서, 책상위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확정하는 마우스의 역할을 대신하고자 하는 장치가 된다.In other words, there may be various types of things to be shown in some examples, but eventually, the device seeks to substitute the role of the mouse to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n the desk by us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wo fingers.

기존의 마우스는 책상 위 등의 평면 위에 놓이면서 그 평면에서의 위치 이동의 양을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그외에 몇 가지 보턴 등을 이용하여 클릭, 더블클릭, 우측보턴과 좌측보턴, 휠, 그외에 다양한 보턴 등의 입력을 받게 된다.A conventional mouse is placed on a plane, such as on a desk, and enters the amount of positional movement in that plane. In addition, a few buttons are used to receive inputs such as a click, a double click, a right button and a left button, a wheel, and various other buttons.

즉 가장 기본적인 입력 정보는 평면상의 위치이동과 보턴의 입력신호로 요약할 수 있다.That is, the most basic input information can be summarized by the position movement on the plane and the input signal of the button.

그러나 또 다른 입력장치인 키보드(여러 가지 보턴들의 단독 혹은 조합의 입력장치)와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게 되므로 입력작업을 할 때 키보드 작업을 하다가 다시 마우스로 옮겨 잡게 되고, 다시 키보드로 옮겨 잡게 되어 연속 작업의 능률을 떨어 뜨리게 된다.However, since it is spatially separated from another input device, the keyboard (an input device of various buttons alone or in combination), when working with the keyboard, the keyboard is recomposed with the mouse, and again with the keyboard. You will lose efficiency.

즉 본 발명은 위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키보드 작업을 수행하던 손의 위치에서 손의 위치 이동없이 마우스입력장치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입력의 능률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put by allowing the function of the mouse input device without moving the position of the hand at the position of the hand performing the keyboard operation to overcome the above disadvantages.

기본적으로 기존의 마우스는 평면(책상위) 위를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것의 움직임의 정도(방향과 거리)가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입력되고 이것은 다 시 모니터 상에서 표현되게 된다.Basically, the existing mouse moves back and forth on the plane (desktop). The degree of movement (direction and distance) is input to the computer in real time, which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gain.

본 고안에서는 책상위에서 마우스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검지상에서 엄지가 움직이는 위치가 입력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thumb moving on the index finger is input instead of the mouse moving on the desk.

예를 들어 오른쪽 손가락을 이용한다고 할 경우For example, if you use your right finger

검지 위에서 엄지 손가락이 오른쪽(근위 proximal)쪽으로 움직일 때 기존의 마우스로 친다면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다. When the thumb moves on the index finger to the right (proximal proximal), it is like moving to the right if you hit the existing mouse.

검지가 엄지의 근위부쪽으로 움직이는 것은 마우스로 친다면 마우스가 위쪽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다.Moving the index finger proximally of the thumb is like moving the mouse upwards if you hit it.

즉 검지에 대한 엄지의 상대적인 위치가 결국 마우스의 방향이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thumb relative to the index finger is the direction of the mouse.

그리고, 마우스의 보턴은 엄지와 검지의 압력의 증가로 입력되게 된다.Then, the mouse button is input 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즉 본 고안은 키보드 작업을 하고 있던 그 위치에서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작업을 함으로써, 또는 책상이 없는 상황에서도 마우스의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컴퓨터 작업의 능률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mputer work by allowing the mouse to work by using the thumb and index finger at the position where the keyboard was being worked, or even without the desk.

이와 같은 입력정보를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기계적인 장치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mechanical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such input information.

예를 들어-아래의 장치는 하나의 예로서 제시되는 것이다.- 엄지와 검지에 각각 원통형의 일종의 반지와 같은 형태를 착용하고 이 둘이 접촉하였을 때부터 시작하여 둘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을 입력받게 한다. 이후 이 두 반지와 같은 형태의 것에 미치는 압력이 정해진 기준보다 높을 때를 보턴이 눌러진 것 즉 마우스로 친다면 “클릭”으로 간주한다. 물론 “더블 클릭”도 가능할 것이다. 또 동일한 방법으로 한다면 “드래그”의 기능도 같이 할 수 있다.For example-the following device is shown as an example-wearing a ring-like shape on the thumb and forefinger, respectively, and receiving a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wo, starting from the contact of the two. . Later, when the pressure on these two rings-like forms is higher than the standard, the button is considered to be "click" if the button is pressed, ie hit with the mouse. Of course, "double click" would be possible. In the same way, the "drag" function can be used together.

이 반지와 같은 것은 고형(rigid)의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휠수 있는(flexible) 것일 수도 있다. 또 이 반지와 같은 것으로 부터의 입력 정보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도 가능하다.Something like this ring may be solid, or it may be flexible. Input information from such a ring can also be wired or wireless.

추가적으로 엄지와 검지가 가장 보편적일 것으로 생각되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엄지와 중지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다른 손가락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의 설명은 가장 흔히 사용될 것으로 여겨지는 엄지와 검지로 대표되어 설명되었다. In addition, the thumb and index finger are considered the most common, but depending on the user, the thumb and middle finger may be used. Or other fingers may be possible.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however, has been represented by the thumb and forefinger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commonly used.

또한 도면에서 제시된 여러 가지 예에서 보는 바들은 현재의 기술로 구현가능한 것들이지만, 장래의 혹은 조만간의 기술로 구현가능한 다른 적용예들도 본 고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what is seen in the various examples presented in the drawings are those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technology, but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other applica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technology in the future.

예를 들어 엄지와 감지의 손에 센서를 이식하는 방법. 즉 피부 밑에 적절하고 미세한 센서를 이식함으로써, 각종의 다른 기능(예컨대 본인 인증기능등) 등과 함께 상대적인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how to implant the sensor in the hand of the thumb and detection. That is, by implanting an appropriate and fine sensor under the skin,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providing a relative position along with various other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authentication function).

또는 3차원 입체 영상 캡쳐 기능을 통하여 엄지와 검지(혹은 다른 두 손가락)의 상대적인 위치를 찾아 낼 수도 있다. 현재에도 이 기술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 두 손가락이 접촉했는지 혹은 접촉한 뒤에 상하 좌우 어떤 위치로 움직 였는지 알아 낼 수 있게 된다면 역시 본 고안과 같은 개념에서 마우스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게 되며 본 고안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Alternatively, the 3D stereoscopic image capture function can be used to fi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or other two fingers). Even now, this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ways, and if the two fing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if they are able to find out where they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they can replace the functions of the mouse in the same concept as the present invention. You have the advantages.

이와 같은 장치는 마우스의 대체로서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Such a device is expected to be able to function as a replacement for a mouse.

또한 마우스와 같이 평면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책상이 없는 상황에서도 응용될 수 있으므로 노트북 등에서 더 기능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때로는 PDA나 핸드폰과 같이 책상이 없는 상황에서도 마우스의 기능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be more functional in a laptop, etc., because it can be applied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desk because it does not need a plane like a mouse.

또한 키보드 작업중에 손의 위치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입력의 능률을 높여줄 것이 기대된다.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movement of the hand can be minimized while working on the keyboard, thereby increasing the input efficiency.

Claims (4)

화면의 좌표를 움직이는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In the input device of the comput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ouse to move the coordinates of the screen, 상기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거나 혹은 손가락의 위치를 감시하여 두 손가락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하며, 감지된 움직임을 컴퓨터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The input device is a signal processor for detec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wo fingers worn on the user's finger or by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and processing the detected movement as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computer; 상기 처리된 신호를 컴퓨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입력장치Computer input device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signal to a compu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의 한 손가락에 착용되며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1고리부; 사용자의 다른 한 손가락에 착용되면서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고리부; 상기 제 1 고리부 및 상기 제 2 고리부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을 컴퓨터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신호를 컴퓨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입력장치A first ring part worn on one finger of the user and configured to detect a horizontal movement; A second ring part which is worn on the other finger of the user and detects a vertical movement; Computer input device including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motion sensed by the first ring and the second ring to a signal of a form that can be processed by a computer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signal to a compu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 1 고리부와 상기 제 2 고리부가 맞닿는 부분의 압력의 변화로 인지되는 컴퓨터 입력장치The computer input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button unit is recognized as a change in pressure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ring portion and the second ring portion contact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의 한 손가락에 착용되면서 트랙볼이나 조이스틱 혹은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고리부; A ring part attached to an input device such as a trackball, a joystick, or a touch pad while being worn on one finger of the user; 이 장치를 다른 손가락으로 감지하도록 하여 감지된 움직임을 컴퓨터에 의해서 처리도리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A signal processor which detects the device with another finger and processes the detected motion into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a computer; 상기 처리된 신호를 컴퓨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입력장치Computer input device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signal to a computer
KR1020050085529A 2005-09-14 2005-09-14 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 KR200700310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529A KR20070031009A (en) 2005-09-14 2005-09-14 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529A KR20070031009A (en) 2005-09-14 2005-09-14 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009A true KR20070031009A (en) 2007-03-19

Family

ID=4365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529A KR20070031009A (en) 2005-09-14 2005-09-14 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00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076B2 (en) Finger-mounted device with sensors and haptics
JP5263833B2 (en) Ring-type interface, interfac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used for wearable computer
EP3797344A1 (en) Computer systems with finger devices
US20210089131A1 (en) Finger-Mounted Input Devices
JP2010108500A (en) User interface device for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al base, and method therefor
EP2365419A2 (en) Wearable data input device
CN105814511B (en) Offset plane wrist input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5159539A (en) Touch control response method of wearable equipment, touch control response device of wearable equipment and wearable equipment
JP2014509768A (en) Cursor control and input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thumb
KR20110023654A (en) Finger mouse
KR20050047329A (en) Input inform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finger motion
CN106896941B (en)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terminal
JP6887021B2 (en) Ring-type user-operated sensing device worn between finger joints
JP2001236177A (en) Mouse
JP5776919B1 (en) Finger-controlled pointing device
US9940900B2 (en)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170091959A (en) Smart glove which is connected with smart device by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KR20070031009A (en) a electric signal input divice for a computer using 2 fingers
Yamagishi et al. A system for controlling personal computers by hand gestures using a wireless sensor device
KR101588021B1 (en) An input device using head movement
KR20130015511A (en) Mouse pad type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0997840B1 (en)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WO2021075194A1 (en)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4164428A (en) Pointing device and pointer operation method
CN211628214U (en) Ring type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