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566A -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 Google Patents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566A
KR20070030566A KR1020050085326A KR20050085326A KR20070030566A KR 20070030566 A KR20070030566 A KR 20070030566A KR 1020050085326 A KR1020050085326 A KR 1020050085326A KR 20050085326 A KR20050085326 A KR 20050085326A KR 20070030566 A KR20070030566 A KR 20070030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unit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47539B1 (en
Inventor
이상혁
박연우
천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539B1/en
Priority to CN2006101520189A priority patent/CN1933501B/en
Publication of KR2007003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5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화면표시장치가 제공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화면표시장치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구조로 제공되어 하나의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제1화면표시장치가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부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제2화면표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이격 가능한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노출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wo screen display devices. Specifically, the two screen display devices are provided in a simple and easy-to-use structure to provide a single large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bo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first scre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A second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the second display uni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 keypad exposed as the second displa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동통신단말기, 휴대폰, 핸드폰, 듀얼, 화면 Mobile Phone, Mobile Phone, Cell Phone, Dual, Screen

Description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도1은 종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다.1 shows a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2는 종래 듀얼 화면을 갖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다.2 shows a conventional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screen.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closed stat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열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5는 도3에 대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

도6은 도4에 대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본체 2 : 커버1: body 2: cover

3 : 제1화면표시장치 4 : 제2화면표시장치3: first screen display device 4: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5 : 키패드 5: keypad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02-008436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84368

본 발명은 두 개의 화면표시장치가 제공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화면표시장치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구조로 제공되어 하나의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wo screen display devices. Specifically, the two screen display devices are provided in a simple and easy-to-use structure to provide a single large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bout.

흔히, 이동전화기(Mobile telephone), 휴대폰, 핸드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폰, 개인 휴대 전화,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cation Termina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단말기 등으로 불리우는 이동통신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음성통화 및 화상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시지 등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을 접속하기도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늘 가까이하게 되는 편리한 통신 도구이다.Commonly used mobile telephones, cellular phones, cellular phones, cellular phones,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CS) phones, personal cellular phone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WAP) phones,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ed a terminal, an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 terminal, etc. can carry voice calls and video calls with other parties, send and receive text messages, connect to the Internet, etc. It is a convenient communication tool that is always close to everyday life.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일상생활에서 늘 휴대하고 다니면서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면서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y are easy to carry, more convenient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ecause they are frequently carried and used in everyday life.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종래에 채용하고 있는 기술 중 하나를 흔히 휴대폰으로 불리우는 공지의 이동전화기 중, 통상적으로 듀얼 폴더 또는 듀얼 엘씨디라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종래의 이와 같은 듀얼 엘씨디형 이동 전화기는 커버의 양면에 각각 하나씩의 엘씨디 화면을 갖추고 있다.One of the well-known mobile phones commonly used as a mobile phone is known to be a dual folder or a dual LCD, and the conventional dual LCD mobile phone is a double-sided cover. Each one has one LCD screen.

이러한 듀얼 엘씨디형 이동전화기는, 폴더형 이동전화기가 반으로 접히는 구 조적 문제에 기인하여 커버내측의 엘씨디 화면이 가려지게 되므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엘씨디 화면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제공되어, 커버를 열었을 때는 커버 내측의 엘씨디 화면을 이용하고 커버를 닫았을 때는 커버 외측의 엘씨디 화면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The dual LCD type mobile phone has a problem that the LCD screen inside the cover is obstructed due to a structural problem in which the folding type mobile phone is folded in half, so that the user cannot receive the service using the LCD screen while the cover is closed. As an alternative, the LCD screen inside the cover is used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the LCD screen outside the cover is used when the cover is closed.

도1에 도시된 듀얼 엘씨디형 이동 전화기는 대한민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3934호에 소개된 것으로서,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210) 및 마이크(220) 등이 설치된 본체(200)와, 보조 액정화면(미도시)과 메인 액정화면(110) 및 스피커(120) 등이 설치된 폴더형 커버(100)로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폰은 통상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커버(100)를 본체(200) 쪽으로 접어서 휴대하고, 통화나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에는 커버(100)를 펼친 상태로 만든 다음 사용하게 된다.Dual LCD type mobile phone shown in Figure 1 is introduc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3934, the main body 200, the keypad 210 and the microphone 220, etc. for the key input and the auxiliary liquid crystal Screen (not shown), the main liquid crystal display 110 and the speaker 120 is provided with a clamshell cover 100 is installed. When the mobile phone is not normally used, the cover 100 is folded and carried toward the main body 200, and when the call or wireless data is exchanged, the mobile phone 100 is made to be in an open state after being used.

도1과 같은 종래의 듀얼 엘씨디형 이동전화기는 두 개의 화면을 동시에 볼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음은 물론 커버 외면에 설치된 보조 액정화면은 문자 또는 숫자 디스플레이 등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어서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있다.The conventional dual LCD type mobile phone as shown in FIG. 1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screens cannot be viewed at the same time, as well as an auxiliary LCD scree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which is provided to perform only a simple function such as a letter or numeric display.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한편, 오늘날 휴대폰의 사용범위는 단순한 통화 전용에서 인터넷 접속이나 개인정보 관리, TV시청, 게임 등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휴대폰 서비스도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 use of mobile phones is gradually expanding from simple phone calls to internet acces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TV watching, and games, and mobile phone services are gradually increasing.

예컨대, 도1과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할 경우에 메인 액정화면이 하나이기 때문에 통화하고 있는 한 사람의 화상만을 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3934 호에서는 도2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소개하고 있다.For example, when making a video call using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ly one image of a person who is talking is visible because there is only one main LCD screen. No. 20-0333934 introduc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2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30), 제 1 폴더(10), 제2 폴더(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30)에는 입력을 위한 키패드(32)와 송화부인 마이크(34)가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30)의 일측단에는 제 1 폴더(10)를 힌지(36)로 결합하고, 본체(30)의 하단부 양측단부의 홈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움직이는 제 2 폴더(20)가 결합되어 있다.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2 includes a main body 30, a first folder 10, and a second folder 20. In addition, the main body 30 is provided with a keypad 32 for input and a microphone 34 as a transmitter, and the first folder 10 is coupled to the hinge 36 at one end of the main body 30. The second folder 2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grooves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0.

제 1 폴더(10)는 내면에 제 1 액정화면(1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액정화면(12) 상부로 스피커(16)가 위치하며, 본체(30)의 일측단에 힌지(36)로 결합되어 경첩된다.In the first folder 10, a first LCD screen 12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 speaker 16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LCD screen 12, and a hinge 36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30. Combined and hinged.

제 2 폴더(20)는 내면에 제 2 액정화면(22)이 설치되어 본체(30)의 특정 위치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고, 후면에는 휴대폰 배터리 팩부(24)가 삽입되며, 최상단부로 안테나(26)가 결합된다.The second folder 20 has a second liquid crystal display 22 installed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is slidably coupl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in body 30, and a mobile phone battery pack 24 is inserted into the rear side thereof. ) Are combined.

도2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두 개의 액정화면을 제공하여 종래 도1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갖고 있던 문제점은 어느 정도 해결하였으나, 두 개의 액정화면이 너무 멀리 이격되어 있어 하나의 화면을 분활하여 두 개의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서 마치 하나의 큰 화면을 보는 듯한 효과를 낼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최근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TV를 시청하거나 게임을 함으로서 큰 화면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그 문제가 크다 할 것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2 provides two liquid crystal screens, which solves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 to some ext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an effect as if one large screen is displayed by displaying on two LCD screens. In addition, since the demand for large screens has recently emerged by watching TV or playing game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blem will be great.

또한, 도2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폴더를 항시 연 상태로 유지하여야 화면을 볼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두 개의 화면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 의 전체 크기가 커져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폴더를 열어 하나의 액정화면을 노출시킨 후 다시 다른 액정화면을 슬라이딩시켜 밖으로 빼내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2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creen must be maintained at all times in order to view the screen, and when the two screens are used together,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only inconvenient to use, but also the folder. After opening and exposing one LCD screen, it is designed to be pulled out by sliding another LCD screen again, which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se.

또한, 도2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두 개의 액정화면을 사용할 경우 키패드는 항시 오픈 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실수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키패드가 눌려 키입력이 이루어짐으로서 화면 출력상태를 방해할 수도 있는바, 또 다른 사용상의 불편이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eypad is always op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two LCD screens as shown in FIG. 2, the keypad may be inadvertently pressed by a user's hand to interfere with the screen output state. Bar, there is another problem in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두 개의 메인 화면표시장치를 제공하여 하나의 화면을 크게 볼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viewed with a large screen by providing two main screen display device.

그리고, 키패드는 덮혀질 수 있도록 하여 화면표시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을 시청할 때 키패드가 실수로 눌려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keypad may be covered so that the keypad is not accidentally pressed when viewing the screen output on the screen display device.

또한, 메인 화면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면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종래 폴더형 휴대폰에 설치되어 전화 착신을 알리거나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는 보조화면과 같은 별도의 보조화면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main display device requires a separate sub-screen such as a sub-screen that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clamshell cell phone so that the screen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to inform the incoming call or display the tim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oes not.

그리고, 두 개의 메인 화면표시장치가 나란히 인접 배치되어 큰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두 화면표시장치가 이격됨에 따라 키패드가 노출되되 특히 두 화면표시장치 사이로 노출되어 화면표시장치들과 키패드가 일렬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격된 상태에서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크기는 크게 변하지 않고 작게 유지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wo main display devices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o maximize the effect of providing a large screen, and as the two display devices are spaced apart, the keypad is exposed, especially between the two display devices. In addition to being convenient to use by allowing the keypads to be arranged in line,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kept small without large changes even in a spaced state.

또한, 두 개의 메인 화면표시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화면을 터치함으로서 키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널의 기능을 겸하도록 함으로서 이를 통해 소정의 키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확장된 키입력 기능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wo main screen display devices also functions as a touch panel capable of inputting a key by touching a screen, thereby allowing a predetermined key input to be used for convenience and an extended key input function.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제1화면표시장치가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부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제2화면표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이격 가능한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노출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first scre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A second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the second display uni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 keypad exposed as the second displa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에서 제1화면표시장치 및 제2화면표시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엘시디(LCD) 화면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화면표시장치라도 무방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are preferably composed of LCD screens,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related art. However, any type of screen displa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meet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화면표시장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가 이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나란히 인접 배치되게 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two screen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no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키패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이격됨에 따라 노출되되,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 사이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keypad is install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is exposed as the second display unit is spaced apart, preferably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자체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두 화면표시장치가 이격된 상태에서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물론, 손으로 쥐기 편리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more preferably, the second display uni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unit to make it easy to use by itself, and to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hen the two display devic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hold, it also helps to maintain a form that is convenient for handholding.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화면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화면이 표시되는 면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화면표시장치 모두 화면이 표시되는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wo screen display devices allows the surface on which the screen is displayed to be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ore preferably, both screen display devices expose the surface on the screen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두 개의 화면표시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화면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키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널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TV 등을 시청하는 중에 키입력을 위해 제2디스플레이부를 이격시키지 않더라도 키입력 가능하도록 하고, 그 외에 듀얼 화면을 갖는 갖가지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two screen display devices performs a function of a touch panel capable of key input by touching a screen. Thus, the key input can be made possible withou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for key input while watching TV or the like, and the other advantages of having a dual screen can be maximized.

그리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이격을 락킹(locking)하는 락킹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럼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하나의 화면을 제1화면표시장치와 제2화면표시장치에 나누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2디스플레이부가 만연히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device that locks the sepa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thereby eliminating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displaying a single screen on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is divided into use to prevent the second display unit from being widely spaced apart.

한편, 상기에서 제2디스플레이부의 제1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이격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방향에 대해 제2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하면서 이격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second display unit in the above may be ma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ay be ma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some cases the second displa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rts may be spaced apart while rotating.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2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커버가 제1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본체에 닫혀 있는 상태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4는 열려 있는 상태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5 및 도6은 각각에 대한 사시도이다.First,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corresponding to a second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to a main body corresponding to a first display unit,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n open state.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each.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부인 본체(1)에는 제1화면표시장치(3)로서 엘시디 화면이 본체(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부인 커버(2)에는 제2화면표시장치(4)로서 엘시디 화면이 마찬가지로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an LCD screen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s a first screen display device 3 on the main body 1, which is the first display unit, and on the cover 2, which is the second display unit, on the second display unit. As in (4), the LCD screen is similar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본체(1)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각종 기능 수행을 위해 각종 칩들과 전자회로가 인쇄된 메인 전자회로기판(미도시)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The main body 1 has a main electronic circuit board (not shown) printed with various chips and electronic circuits therein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제1화면표시장치(3)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면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2)의 제2화면표시장치(4) 또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면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3 installed on the main body 1 is installed so that the surface displaying the screen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4 of the cover 2 also displays a screen. The surface is always install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본체(1)에는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키패드(5)는 상기 커버(2)에 의해 덮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keypad 5 for key input, and the keypad 5 is covered by the cover 2.

즉,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가 본체(1) 위로 덮혀 있을 때 상기 본체의 제1화면표시장치(3)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키패드(5)는 커버(2) 밑으로 위치되어 커버(2)에 의해 덮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커버(2)를 슬라이딩으로 이격시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That is, as shown, when the cover 2 is covered over the main body 1,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3 of the main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keypad 5 is positioned under the cover 2. Covered by the cover 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cover 2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sliding apart.

이때, 도6과 같이 커버(2)는 본체(1)의 종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7과 같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cover 2 may be sl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or may be slid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7.

바람직하게는 커버(2)는 도6과 같이 본체(1)의 종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는데, 키패드(5)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4 및 도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버(2)를 본체(1)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개방함으로서 키패드(5)를 외부로 노출시킨다.Preferably, the cover 2 is sli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as shown in FIG. 6. The key pad 5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sliding the main body 1 backward.

그리고, 이와 같이 키패드(5)가 노출된 상태에서 키패드(5)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의 제1화면표시장치(3)와 커버의 제2화면표시장치(4)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횡방향 폭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서 한손으로 쥐기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의 제2화면표시장치(4)를 터치패널로 사용하는 경우 키패드(5)와 상기 터치패널의 함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keypad 5 is exposed 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5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3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4 of the cover as show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easy to use with one hand by keeping the width of the device as it is, and when using the second display device 4 of the cover as a touch panel as described below, the keypad 5 and the touch panel are used together. It can be convenient.

그리고, 상기 본체의 화면표시장치(3)와 커버의 제2화면표시장치(4)는 도3 및 도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나란히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하나의 화면을 두 화면표시장치에 분할하여 출력하는 경우 간단한 구조를 통해 큰 화면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device 3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4 of the cover are configured to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side by side as shown in Figs. 3 and 5, whereby one screen is displayed on two screen display devices. In the case of dividing into, the large screen can be effectively obtained through a simple structure.

또한, 상기 커버(2)는 상기 본체(1)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그래서, 커버(2)가 본체(1)에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3 및 도5와 같이 두 화면표시장치가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로 되고, 커버(2)를 본체(1)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는 경우에는 도4와 같은 상태로 되어 본체(1)의 키패드(5)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ver 2 is slidably connected on the main body 1, so that the two display devices side by side as shown in FIGS. 3 and 5 in a state where the cover 2 is closed to the main body 1. When the cover 2 is opened by sliding the cover 2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 it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 4 and the keypad 5 of the main body 1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커버(2)와 본체(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면 폴더형처럼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보다 점유하는 사용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그 자체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두 화면표시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시청하면서도 본체(1)에 있는 키패드(5)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ver 2 and the main body 1 are slidably connected in this way, they occupy less space and occupy less space than the case in which the cover 2 and the main body 1 are rotatably connected by hing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keypad 5 of the main body 1 while watching while maintaining the screen output state of the two display devices.

여기서, 커버(2)의 본체(1)에 대한 슬라이딩 구조는 본 발명에 적합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을 것이며, 종래 주지되고 있는 슬라이딩 구조 어느 것을 적용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Here, the sliding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 of the cover 2 may be in any form as long as it is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sliding structure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한편, 상기 본체의 제1화면표시장치(3) 또는 커버의 제1화면표시장치(4)는 종래에 주지되고 있고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28638호에도 잘 소개되고 있는 터치패널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커버(2)를 슬라이딩시켜 본체(1)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화면표시장치에 출력되는 메뉴를 터치함으로서 소정의 키입력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3 of the main body or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4 of the cover is known in the prior art and the function of the touch panel is also well introduc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28638 Therefore, even if the main body 1 is not opened by sliding the cover 2, a predetermined key input is possible by touching a menu output to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도시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화면표시장치들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커버(2)가 본체(1) 상에 덮힌 상태에서 두 화면표시장치들은 나란히 인접 배치되어 있는데, 커버(2)를 덮은 채로 TV 시청이 가능한 점 등 이로 인한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 전면을 모두 화면 출력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면서도 화면을 크게 제공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In 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play devices are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two display devices are adjacently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cover 2 covered on the main body 1, with the cover 2 covered. As a result of the convenience of use such as watching TV,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to output the screen, so that it can provide a large screen while meeting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한편, 도8 및 도9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커버의 이격을 락킹하는 락킹 장치로서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락킹돌기(7)와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락킹홈(6)을 통해 커버가 만연히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8 및 도9에서 커버가 닫히면 상기 락킹돌기(7)는 상기 락킹홈(6)에 삽입되어 락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계는 절전모드 상태로 있다가 사용 대기 상태의 경우(예컨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폴더를 여는 경우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본체를 여는 경우 등)에는 화면이 밝아지거나 키패드에 불이 들어오는 등 많은 양의 전력이 소비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락킹장치를 구비하면 커버가 만연히 열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절전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8 and 9, as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separation of the cover, the cover is prevalent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7 formed on the cover and the locking groove 6 formed on the main body. To prevent separation. 8 and 9, when the cover is closed, the locking protrusion 7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6 to perform the locking function. In gener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used, the machine is in the power saving mode and is in standby mode (e.g., when the folder is opened by the folder type mobile terminal or when the cover is slid from the slide type mobile terminal). In the case of opening), a large amount of power is consumed, such as a bright screen or a light on the keypad. If such a locking device is provided, a cov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in a wide range, thereby achieving a power saving effect.

또 한편, 도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는 본체(1)의 수직방향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커버(2)가 회전되면서 본체(1)의 키패드가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10에서 커버(2)는 힌지에 의해 본체(1)와 연결되어 수직방향에 대해 회전하며, 커버(2)가 회전하면서 본체(1)에 있는 키패드가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2)가 회전되어 본체(1)가 완전히 열렸을 때, 즉 커버(2)가 본체(1)에 대해 180도 회전되었을 때, 커버(2)의 제2화면표시장치(4)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역전되지 않고 바로 보일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the cover 2 may b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thereby allowing the keypad of the main body 1 to be exposed while the cover 2 is rotated. It may be. That is, in FIG. 10, the cover 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 by a hinge to rotate about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ver 2 rotates to expose the keypad in the main body 1. Here, preferably, when the cover 2 is rotated so that the main body 1 is fully opened, that is, when the cover 2 is rotated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cover 2 The screen displayed in (4) is preferably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seen immediately without being reversed.

그리고, 상기에서 커버(2)의 회전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좌우 양방향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360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회전을 락킹하는 간단한 락킹 구조를 추가하여 180도 내로 회전을 제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ile the rotation of the cover 2 may be rotated only in on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rotate about both the left and right, and in some cases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360 degrees, but the rotation It is also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within 180 degrees by adding a simple locking structure to lock the.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화면을 두 화면표시장치에 분할하여 출력하는 경우 간단한 구조를 통해 큰 화면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점유하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조립이 용이하며 그 자체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두 화면표시장치의 화면 출력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시청하면서도 키패드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viding one screen into two display devices, the large screen can be effectively obtained through a simple structure, and occupied wh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slidably connected. It takes up less space, is easy to assemble and convenient to use by itself,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keypad while watching and maintaining the screen output state of the two display devices.

그리고, 키패드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실수로 키패드를 누르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keypa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it is not in use, thereby preventing the keypad from being pressed accidentally.

또한, 제1디스플레이부의 화면표시장치 또는 제2디스플레이부의 화면표시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터치패널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를 이격시켜 키패드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화면표시장치에 출력되는 메뉴를 터치함으로서 소정의 키입력이 가능하고, 키패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확장된 키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first display unit or the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second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touch panel, even if the keypad is not opened by separating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from each other. By touching a menu output on the screen display device, predetermined key input is possible, and when used with a keypad, an extended key input function can be provided.

Claims (10)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제1화면표시장치가 설치된 제1디스플레이부와;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first scre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제2화면표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이격 가능한 제2디스플레이부와;A second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 screen, the second display uni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노출되는 키패드를;A keypad exposed as the second displa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제1화면표시장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앞면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first display unit is a 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urface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제2화면표시장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앞면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second display unit is a 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screen is always displayed to the outsid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제1화면표시장치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제2화면표시장치는 나란히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And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second display unit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side by sid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키패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사이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And the keypad is exposed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s the first displa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and 5,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제1화면표시장치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제2화면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화면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키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널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At least one of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second display unit may function as a touch panel capable of inputting a key by touching a screen.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의 제1화면표시장치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제2화면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화면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키입력이 가능한 터치패널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At least one of the first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screen display device of the second display unit may function as a touch panel capable of inputting a key by touching a screen.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횡방향으로 이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And the second displa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n a lateral direction.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8,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의 이격을 락킹하는 락킹장치가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Dual-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separation of the second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에 대해 이격되되, 수직방향에 대해 회전하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The second display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the dual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by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050085326A 2005-09-13 2005-09-13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KR100747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326A KR100747539B1 (en) 2005-09-13 2005-09-13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CN2006101520189A CN1933501B (en) 2005-09-13 2006-09-11 Double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326A KR100747539B1 (en) 2005-09-13 2005-09-13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566A true KR20070030566A (en) 2007-03-16
KR100747539B1 KR100747539B1 (en) 2007-08-08

Family

ID=3787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326A KR100747539B1 (en) 2005-09-13 2005-09-13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47539B1 (en)
CN (1) CN1933501B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357A2 (en) * 2008-12-16 2010-06-24 Ryu Sang-Kyu Portable terminal having a multi-display structure
KR20110008799A (en)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WO2011031121A2 (en) * 2009-09-14 2011-03-17 Ryu Sang-Kyu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multi-structure
KR101045265B1 (en) * 2009-05-29 2011-06-29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1537683B1 (en) * 2008-09-02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O2016186258A1 (en) * 2015-05-15 2016-11-24 신진철 Expandable screen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multiple scre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7910B (en) * 2008-04-23 2012-05-0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2065109A (en) * 2010-09-15 2012-03-29 Nec Corp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1814A (en) * 2000-09-26 2002-04-12 Funai Electric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86487A (en) * 2003-09-29 2003-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 for folder type Mobile Station using the Panel and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Station
JP2005109682A (en) * 2003-09-29 2005-04-21 Seiko Epson Corp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60010261A (en) * 2004-07-27 2006-02-02 주식회사 팬택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ual slip for slide type
KR200374450Y1 (en) 2004-11-12 2005-01-2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Slide phone with dual displa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83B1 (en) * 2008-09-02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O2010071357A2 (en) * 2008-12-16 2010-06-24 Ryu Sang-Kyu Portable terminal having a multi-display structure
WO2010071357A3 (en) * 2008-12-16 2010-10-14 Ryu Sang-Kyu Portable terminal having a multi-display structure
KR101045265B1 (en) * 2009-05-29 2011-06-29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110008799A (en) *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WO2011031121A2 (en) * 2009-09-14 2011-03-17 Ryu Sang-Kyu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multi-structure
WO2011031121A3 (en) * 2009-09-14 2011-09-09 Ryu Sang-Kyu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multi-structure
WO2016186258A1 (en) * 2015-05-15 2016-11-24 신진철 Expandable screen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multiple scre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539B1 (en) 2007-08-08
CN1933501A (en) 2007-03-21
CN1933501B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753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telephone combination device
KR100747539B1 (en)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US7565182B2 (en) Wireless cell phone
EP167536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ifferent operation modes selected by the opening direction of folder cover and method thereof
KR20070075243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275B1 (en) Mobile phone having outer dual liquid crystal display
JP2002218030A (en)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0378120B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KR100416749B1 (en) Mobile phone having a dual liquid crystal display
KR20020061249A (en)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KR100494653B1 (en) Central rotary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17132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735234B2 (en) Foldable mobile phone
CN1787553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76791Y1 (en) Sliding folder-type mobile terminal
KR100839842B1 (en) Mobile phone
KR100592182B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which rotates an angle of 360 degrees
JP2003198685A (en) Portable terminal
KR20040015475A (en) Information and voice processing portable terminal structure having PDA and phone functions
KR20070012148A (en) Composition open and clos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70668Y1 (en) Mobile terminal of slide type movable the right and left
KR100605492B1 (en) Folder-type handphone having two folder body on front and back face
KR100901189B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KR20050101523A (en) A rotating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64978B1 (en) Mobile for exposing control key of sub LC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