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986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지원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지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986A
KR20070029986A KR1020050084687A KR20050084687A KR20070029986A KR 20070029986 A KR20070029986 A KR 20070029986A KR 1020050084687 A KR1020050084687 A KR 1020050084687A KR 20050084687 A KR20050084687 A KR 20050084687A KR 20070029986 A KR20070029986 A KR 2007002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pecific
help
inpu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212B1 (ko
Inventor
최윤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2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user help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기능 실행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기능실행을 위한 특정 숫자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숫자키의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헬프키와 알트키의 조합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내의 전체 응용에 대한 층 구조(Layered Structure)의 단축키 설정이 가능하고 특정 기능항목을 적은 횟수의 키입력으로 실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모델(Model)을 사용할 경우에도 전체 응용에 대한 상기 단축키 설정과 상기 단축키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상기 단축키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화가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단축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단축키 동작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단축키 사용시 표시부의 화면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Use Interface)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급격히 늘면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 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파일뷰어(file viewer), 파일전송, 3D UI(User Interface), 스케줄러(scheduler)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여러기능 중 필요한 기능을 찾아 실행하는 과정이 점점 복잡해 지고 있다.
물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축키 기능이 제공되었지만, 상기 단축키 기능은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통화시에 주로 사용되고, 실제 활용은 몇몇 기능에 국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입하거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환하였을 때,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기능에 대한 단축키의 기능설징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별로 서로 상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유저인터페이스 와 단축키 사용법에 대한 학습을 새로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기능 실행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기능실행을 위한 특정 숫자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숫자키의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항목 도움말 출력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도움말 출력을 위해 헬프 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 기능을 위한 단축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단축키 설정을 위한 알트키(Alt Key)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알트키와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들을 숫자키에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공통 단축키 지원 기능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공통 단축키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공통 단축키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표시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스피커(116) 및 마이크(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단축키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특정 응용(Applicationn)실행 중 210단계에서 단축키 사용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관련 응용을 실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헬프키는 단축키 사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키이다. 상기 헬프키만을 입력할 경우, 상기 단축키 사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할 경우, 숫자 키 입력에 따른 기능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되는 화면과 기존의 카메라 응용의 화면은 중첩되어 동시에 표시부(10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헬프키는 임의의 키를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키를 사용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10단계에서 헬프키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도3의 a)와 같이 카메라 관련 응용의 단축 키 설정상태를 표시부(110)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30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관련 응용의 기능항목 중에서 특정 기능의 선택을 감지한다. 상기 특정 기능의 선택은 키패드(108)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즉, 표시부(100)에 키패드(108)의 숫자키 배열과 같은 4x3 매트릭스(matrix)구조의 아이콘(icon)이 있고, 상기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시부(110)의 아이콘과 같은 위치의 상기 키패드(108)의 숫자키를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230단계에서 특정 기능의 선택을 감지하면 2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숫자키 입력에 따른 해당 항목의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3의 a)에서 숫자키 "2"를 입력한 경우, 노출관련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숫자키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은 토글(Toggle)형식으로 실행된다. 상기 노출항목의 경우에 자동, 야간, 백라이트(Back Light), 주간의 4가지 기능이 있다면 상기 숫자키 "2"의 입력시마다 상기 자동, 야간, 백라이트, 주간 기능 중 하나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230단계에서 특정 기능의 선택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2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2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숫자키 입력과 일치한, 기 설정된 해당 기능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100)에 출력한다.
상기 도움말 출력은 상기 헬프 키 입력 후, 도3의 a)와 같이 단축 키 사용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만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실행가능한 것이 아니고 특정 프로그램(예를 들어 카메라 관련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경우에도,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상기 도움말을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240단계에서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250단계로 진행하여 알트키(Alt Key)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알트키는 해당 항목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알트키는 임의의 키를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키를 사용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250단계에서 상기 알트키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하면(예를 들어 알트키와 "2"를 동시에 입력할 경우), 255단계로 진행하여 도 3의 b)와 같이 자동, 야간, 백라이트(Back Light), 주간의 4가지 기능을 "1", "2", "3", "4"에 차례대로 설정한 후, 표시부(110)에 출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
상기 해당 항목의 기능 설정은 상기 헬프 키 입력 후, 도3의 a)와 같이 단축 키 사용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만 상기 알트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설정가능한 것이 아니고 특정 프로그램(예를 들어 카메라 관련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에도, 상기 알트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설정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Use Interface)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기능을 사용자에 의해 온(On)/오프(Off)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저인터페이스와 본 발명의 공통 단축키를 지원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헬프키와 알트키의 조합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전체 응용에 대한 층 구조(Layered Structure)의 단축키 설정이 가능하고 특정 기능항목을 적은 횟수의 키입력으로 실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모델(Model)을 사용할 경우에도 전체 응용에 대한 상기 단축키 설정과 상기 단축키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상기 단축키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화가 유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기능 실행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기능실행을 위한 특정 숫자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숫자키의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숫자키를 순차적으로 반복 입력할 경우,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프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임의의 키를 상기 헬프키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기능 실행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기능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항목 도움말 출력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도움말 출력을 위해 헬프 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상기 제어부에서 헬프키와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 기능을 위한 단축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단축키 설정을 위한 알트키(Alt Key)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알트키와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들을 숫자키에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알트키와 해당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들을 숫자키에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84687A 2005-09-12 2005-09-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지원방법 KR10115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87A KR101156212B1 (ko) 2005-09-12 2005-09-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지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87A KR101156212B1 (ko) 2005-09-12 2005-09-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지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986A true KR20070029986A (ko) 2007-03-15
KR101156212B1 KR101156212B1 (ko) 2012-06-18

Family

ID=3810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687A KR101156212B1 (ko) 2005-09-12 2005-09-12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965A1 (ko) * 2011-09-07 2013-03-14 Chun Dukkyu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매크로 실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174A (ja) 2000-05-22 2001-11-30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JP3955969B2 (ja) 2001-12-28 2007-08-0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移動体電話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054B1 (ko) * 2010-12-27 2013-07-22 전덕규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매크로 실행방법
WO2013035965A1 (ko) * 2011-09-07 2013-03-14 Chun Dukkyu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매크로 실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212B1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5850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0017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브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US20040013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display formation of mobile phone
KR201001086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646018A (zh) 一种移动终端屏幕显示大小控制方法及装置
KR2007000528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문자크기 변경 방법
JP20071882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07257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그래픽객체 인식을 이용한 메뉴구성및 실행방법
EP2747392B1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10054523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및 키패드 설정 방법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EP1760576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information ba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20021976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364035B2 (ja) 携帯電話、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562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지원방법
KR10120008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작성 방법
KR1006794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설정 변경 방법
KR1011967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차원 그래픽을 이용하는 계층적인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484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5019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방법
JP2001313699A (ja) 通信端末およびその規制画面の表示方法
KR100389831B1 (ko) 휴대 단말기의 시작 프로그램 실행방법
KR100732992B1 (ko) 자바 브이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제어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751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KR200500557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메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