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330A -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330A
KR20070029330A KR1020050083998A KR20050083998A KR20070029330A KR 20070029330 A KR20070029330 A KR 20070029330A KR 1020050083998 A KR1020050083998 A KR 1020050083998A KR 20050083998 A KR20050083998 A KR 20050083998A KR 20070029330 A KR20070029330 A KR 20070029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effect
effec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232B1 (ko
Inventor
윤정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2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흔들어 줌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될 효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영상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정보와, 상기 효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단말기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 표시되는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효과, 영상, 적용, 감지

Description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method for processing image of electronic terminal and electronic terminal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 는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설정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효과 기능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세부 설정항목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
도 6 및 도 7 는 영상 합성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영상에 적용될 효과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표시한 화면 예시도.
도 9 는 영상에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한 화면 예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감지부
120 : 제어부 121 : 이동 통신 처리부
122 : 메뉴 처리부 123 : 인식부
124 : 영상 추출부 125 : 영상 합성 처리부
126 : 영상 표시 처리부 130 : RF부
140 : 음성처리부 150 : 스피커
160 : 마이크로폰 170 : 키입력부
180 : 표시부 190 : 메모리
본 발명은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를 흔들어 줌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될 효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영상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더욱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에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이런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개발된 이동 통신 단말기 중의 하나가 디지털 카메라가 일체로 구비된 카메라 일체형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이러한 카메라 일체형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무선전화통화와 인터넷 통신을 수 행하는 무선 인터넷 단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 후에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LCD에 표시된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촬영버튼을 선택하면 촬영을 하게 되고, 촬영된 영상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이나 대기화면에 설정되는 영상은 변화 없이 동일한 영상 형태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들이 재미를 잃게 되고 식상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영상 연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는 전자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정보와, 상기 효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단말기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 표시되는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흔들림의 방향과 그 세기에 대한 감지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와, 상기 영상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정보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 처리부와, 상기 영상 합성 처리부에 의해 합성된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효과 기능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합성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영상과 감지된 위치에 효과 기능을 나타내는 효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영상 합성 방식을 통해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효과정보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흔들림에 따라 화면상에서 이동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단말기의 흔들림이 감지되면 해당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감지된 흔들림의 세기에 상응하는 속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은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 정보와, 그 효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 법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효과 정보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 표시되는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추출단계와, 상기 영상 추출단계에 의해 추출된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 처리단계와, 상기 영상 합성 처리단계에 의해 합성된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단말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 외에도 다양한 정보 처리 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각종 단말기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 정보와, 그 효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메모리(190)와, 해당 이동 통신 단말 기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감지부(110)와, 감지된 결과에 따라 영상에 실행되는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120)와, RF부(130)와, 음성처리부(140)와, 스피커(150)와, 마이크로폰(160)과, 버튼으로 구성된 키 입력부(170)와, 외부 화면창 및/또는 내부화면창을 제공하는 표시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190)에는 제어부(12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190)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특히, 메모리(190)에는 영상에 적용될 효과(예를 들면, 눈 내리는 효과, 비 오는 효과, 물방울 등과 같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 정보와, 그 효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효과정보는 감지된 흔들림에 따라 화면상에서 이동되는 각각의 오브젝트(눈, 비, 물방울, 집, 비행기 등과 같은)를 포함하며, 이러한 오브젝트는 감지된 흔들림의 방향으로 화면상에서 이동된다. 특히, 오브젝트는 감지된 흔들림의 세기에 상응하는 속도로 화면상에서 이동된다.
감지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흔들림의 방향(direction)과 그 세기(magnitude)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감지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세기로 흔들리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어느 방향으로 흔들렸는지와 세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미도시) 내부에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기준 상태에서 어느 방향으로 흔들렸는지 그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여기에서, 감지부(110)는 흔들림의 방향과 그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속도 측정 센서나 자이로 등의 각속도 측정 센서를 사용한다.
속도 측정 센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직선 방향으로 흔들릴때의 속도를 측정하는데 속도 값의 크기가 흔들림의 세기를 나타낸다.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직선 방향 흔들림은 상하, 좌우 등의 방향 즉 축방향 흔들림이 있다.
또한, 자이로 등의 각속도 측정 센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회전 방향으로 흔들릴때의 각속도를 측정하고, 마찬가지로 그 각속도 크기가 회전 흔들림의 세기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한 경우, 좌측 방향으로 발생된 흔들림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속도 값의 세기에 따라 해당 좌측 방향의 위치에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하게 된다.
제어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효과 정보가 선택된 상태에서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감지 정보에 따라 영상에 표시되는 효과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흔들림의 방 향과 그 세기에 대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과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합성하여 합성된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즉, 임의의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여 효과 정보를 선택한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예를 들면, 좌측방향)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흔든 경우, 좌측 방향에 위치한 영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과 해당 효과정보를 적용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RF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3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16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3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메모리(19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15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7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키입력부(170)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메모리(19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80)에 표시한다. 즉, 키입력부(170)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함으로써, 키입력부(170)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메뉴 표시 모드로의 진입 및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2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메뉴를 메모리(190)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80)에 표시하게 된다.
표시부(18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이동 통신 단말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80)는 대기 화면상의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여 흔들린 방향과 그 세기에 따라 해당 위치의 영상에 합성된 효과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제어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처리부(121)와,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처리부(122)와,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흔들림의 방향과 그 세기에 대한 감지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123)와, 인식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124)와, 추출된 영상과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정보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 처리부(125)와, 합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처리부(126) 등으로 구성된다.
이동 통신 처리부(121)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메뉴 처리부(122)는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효과 기능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메뉴 처리부(122)는 제공된 효과 기능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메모리(19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효과 정보 세부 항목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효과 정보 세부 항목이 선택된 후 단말기를 흔들어 줌에 따라 선택된 효과 정보가 대기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되어 표시된다.
인식부(123)는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흔들림과 그 흔들림의 방향과 그 세기에 대한 감지정보를 인식한다.
영상 추출부(124)는 인식부(123)에 의해 인식된 감지정보를 기초로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 중에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영상 합성 처리부(125)는 영상 추출부(124)에 의해 추출된 영상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미리 설정된 합성 방식을 통해 합성시킨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합성 방식은 픽셀 더하기 방식과 픽셀 곱하기 방식으로, 합성 대상인 두 영상의 밝기 값이 허용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픽셀 더하기 방식을 이용하여 두 영상을 합성하고, 합성 대상인 두 영상의 밝기 값이 허용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픽셀 곱하기 방식을 이용하여 두 영상을 합성한다. 이때, 픽셀 더하기 방식은 두 영상의 밝기대로 합성이 되지만, 픽셀 곱하기 방식은 두 영상의 밝기가 곱해져서 합성 전의 영상보다 더 진하게 합성된다.
영상 표시 처리부(126)는 영상 합성 처리부(125)에 의해 합성된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에서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전자 단말기(100)의 제어부(120)는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 정보와, 그 효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메모리(190)에 미리 저장해 놓는다(S101).
다음, 제어부(120)의 메뉴 처리부(122)는 임의의 영상(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대기화면상의 영상 등과 같은)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103). 이때,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다운로드받은 영상 등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대기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메뉴 처리부(122)는 효과 기능의 설정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5).
상기 S105 단계의 판단결과, 효과 기능의 설정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S105 단계의 판단결과, 효과 기능의 설정이 요청된 경우, 메뉴 처리부(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설정창을 제공한다.
다음, 메뉴 처리부(122)는 제공된 메뉴 설정창을 통하여 효과 기능이 선택되면, 도 5에서 보듯이 효과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효과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효과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 정보를 선택한다(S109). 이에 따라, 선택된 효과 정보는 메모리(190)에 저장된다.
여기서, 효과정보는 감지된 흔들림에 따라 화면상에서 이동되는 각각의 오브젝트(눈, 비, 물방울, 집, 비행기 등과 같은)를 포함한다.
다음, 제어부(120)의 인식부(123)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흔들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
상기 S111 단계의 판단결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흔들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흔들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임의의 영상이 표시되고 그 하단에 효과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S111 단계의 판단결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흔들림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20)의 영상 추출부(124)는 감지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정보를 추출한다(S113). 즉, 흔들림의 방향과 그 세기에 대한 감지정보를 기초로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 중에서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할 영상정보를 추출한다.
다음, 제어부(120)의 영상 합성 처리부(125)는 추출된 영상 정보에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영상 합성 방식을 이용하여 합성한다 (S115).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더하기 방식과 픽셀 곱하기 방식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는 영상과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합성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합성 방식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영상 합성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여 제공된 메뉴 중에서 선택된 영상 합성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을 합성시킬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120)의 영상 표시 처리부(126)는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되, 합성된 영상을 반영하여 표시한다(S117)(도 9 참조). 즉, 화면상에 영상을 표시하되, 전자 단말기(100)를 좌측 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감지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좌측방향의 영상과 미리 설정된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한다.
도 6 은 픽셀 더하기 방식으로, 도 6의 (a)는 대기화면상의 영상이고, 도 6의 (b)는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정보이며, 도 6의 (a)와 (b)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두 영상을 합성하여 도 6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합성된 영상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픽셀 더하기 방식은 영상의 밝기 값이 허용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두 영상을 합성시켜서 동일한 밝기를 갖는 합성된 영상이 표시된다.
도 7은 픽셀 곱하기 방식으로, 도 7의 (a)는 대기화면상의 영상이고, 도 7의 (b)는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정보이며, 도 7의 (a)와 (b)의 영상을 합성하여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합성된 영상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픽셀 곱하기 방식은 도 7에 (a)와 도 7의 (b)의 영상의 밝기가 곱해져서 합성 전의 영상보다 더 진하게 합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기 화면상의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단말기를 흔들어 줌에 따라 흔들림의 방향대로 적용하여 표시하여 다양한 영상 연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 화면상의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단말기를 흔들어 줌에 따라 흔들림의 방향대로 효과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영상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효과 기능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전자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정보와, 상기 효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단말기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 표시되는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흔들림의 방향과 그 세기에 대한 감지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와,
    상기 영상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정보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 처리부와,
    상기 영상 합성 처리부에 의해 합성된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효과 기능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영상과 감지된 위치에 효과 기능을 나타내는 효과 정보를 미리 설정된 영상 합성 방식을 통해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효과정보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흔들림에 따라 화면상에서 이동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단말기의 흔들림이 감지되면 해당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감지된 흔들림의 세기에 상응하는 속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
  8.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 정보와, 그 효과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효과 정보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에 표시되는 효과 정보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단계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의 영상정보를 추출하는 영상 추출단계와,
    상기 영상 추출단계에 의해 추출된 영상에 적용될 효과 기능을 실행하는 효과 정보를 합성하는 영상 합성 처리단계와,
    상기 영상 합성 처리단계에 의해 합성된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0050083998A 2005-09-09 2005-09-09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 KR10123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998A KR101230232B1 (ko) 2005-09-09 2005-09-09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998A KR101230232B1 (ko) 2005-09-09 2005-09-09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30A true KR20070029330A (ko) 2007-03-14
KR101230232B1 KR101230232B1 (ko) 2013-02-06

Family

ID=3810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998A KR101230232B1 (ko) 2005-09-09 2005-09-09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019A1 (en) * 2012-02-08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n animation in a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768B1 (ko) * 2000-12-08 2003-06-18 이형철 휴대용 전자기기의 가상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72045B1 (ko) * 2004-02-10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영상 특수효과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9019A1 (en) * 2012-02-08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n animation in a mobile terminal
KR20130091505A (ko) * 2012-02-08 201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애니메이션 재생 방법 및 장치
US9336621B2 (en) 2012-02-08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n animation in a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232B1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3757B2 (en) Video recording device and camera function control program
CN10781793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9246360B (zh) 一种提示方法及移动终端
JP2010078352A (ja) 距離測定装置、距離測定方法及び距離測定プログラム
CN108777766B (zh) 一种多人拍照方法、终端及存储介质
EP3641285B1 (en)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application program
CN109068055B (zh) 一种构图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110442521B (zh) 控件单元检测方法及装置
CN112052897B (zh) 多媒体数据拍摄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7566746B (zh) 一种拍照方法及用户终端
CN110519503B (zh) 一种扫描图像的获取方法及移动终端
CN109246474B (zh) 一种视频文件编辑方法及移动终端
CN105183755B (zh) 一种图片的显示方法及装置
CN110955793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7885423B (zh) 一种图片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1230232B1 (ko) 전자 단말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단말기
CN109462727B (zh) 一种滤镜调整方法及移动终端
CN111147790A (zh) 辅助功能启动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730030B (zh) 一种路径规划方法及移动终端
US1188918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lenses where the device changes a visual object corresponding to a recommended lens
CN110263695B (zh) 人脸部位的位置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788124B (zh) 一种功能栏的启动位置确定方法及装置、移动终端
CN109559280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终端
CN110769153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4642879A (zh) 虚拟建筑的编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