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713A - 저전력 디엠비 모듈 및 그의 디에이비 전용 모드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저전력 디엠비 모듈 및 그의 디에이비 전용 모드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713A
KR20070028713A KR1020050082969A KR20050082969A KR20070028713A KR 20070028713 A KR20070028713 A KR 20070028713A KR 1020050082969 A KR1020050082969 A KR 1020050082969A KR 20050082969 A KR20050082969 A KR 20050082969A KR 20070028713 A KR20070028713 A KR 20070028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decoder
switching
unit
d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강
이덕형
Original Assignee
테크노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노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노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8713A/ko
Publication of KR20070028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수신에 필요한 DMB모듈에 있어서 비디오를 수신하는 모드와 라디오 수신 모드(DAB:Digital Audio Broadcsting 방식 또는 MUSICAM 이라함)를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성(저전력) 및 응용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컨트롤러, LCD, 제어

Description

저전력 디엠비 모듈 및 그의 디에이비 전용 모드 전환방법{LOW POWER DMB MODULE AND MODE CHANGE METHOD THEREOF}
도 1 은 종래 DMB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DAB 전용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저전력 DMB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7: 스위치부 25-29: 제어라인
102: DMB 모듈 200: 응용제품 콘트롤러
본 발명은 DMB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AB 전용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저전력 DMB 모듈 및 그의 DAB 전용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AM이나 FM 변조를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에 대비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방송을 할 수 있는 것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혹은 디지털오디오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이다. 이 둘은 동일한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하에서는 DMB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DMB는 디지털 라디오, 즉 아날로그 라디오를 디지털화함으로써 CD 수준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하자는 개념에서 출발한 것으로 주로 직교주파수 분할다중 방식(OFDM)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라디오를 통해 CD 수준의 음악을 들을 수 있으므로 DMB 방식의 통신은 DMB 방식의 통신은 위성으로 혹은 지상파 방송으로 전 세계적으로 점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DMB 모듈은 지상파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오 방송(디지털 TV, 디지털 라디오, 데이터 등)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핵심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수신기가 필요한데, 이때 수신기는 RF(Radio Frequency)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원하는 방송 주파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튜너부와,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채널 디코더 부와(일반적으로 베이스밴드 디코더라 함) 이렇게 얻어진 압축된 신호를(일반적으로 알려진 포맷대로 압축 되어있음, MPEG2 또는 MPEG4등) 다시 디코딩하는 오디오 비디오 디코더부로 구성되어 있다. 디코딩된 디지털 신호는 다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이를 증폭하여 라디오 또는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DMB 방송은 디지털 TV 신호와 디지털 라디오 신호등을 이동중에 수신할 수 있는 방송 규격이다. 그러나 DMB의 경우 디지털 라디오는 MPEG2 방식으로 압축되어 전송되고, 비디오의 경우 MPEG4 방식으로 압축 전송되므로 비디오 수신을 위해서는 MPEG4 디코더를, 라디오 수신의 경우 MPEG2 디코더를 탑재하여야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DMB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1은 RF 튜너부를, 참조부호 12는 베이스 밴드 디코더(채널디코더라 함)를, 참조부호 13은 A/V 디코더(media decoder 라고도 함)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4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LCD 및 스피커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부호 02는 일반적인 DMB 모듈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DMB 모듈(O2)을 이용하여 DMB 방송용 수신기를 구성하기 위해는 외부의 표시장치(LCD) 및 출력장치(스피커),KEY 등의 인터페이스(MMI(Man Machine Interface))를 외부에 연결함으로써 완성되며 참조부호 01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DMB 방송용 수신기 기술의 경우, 디지털 TV 수신이 아닌 디지털 라디오 만을 수신할 경우에도 필요없는 A/V 디코더부(13)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라디오를 수신하였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A/V 디코더부(13)내에 콘트롤러(도시안됨)를 내장하고 이를 통하여 베이스밴드 디코더(12)를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정확히는 A/V 디코더부(13)내의 콘트롤러가 상기 콘트롤러(19)를 제어하면 콘트롤러(19)에 의해 RF 튜너부(11)와 베이스밴드디코더부(12)가 제어됨), A/V 디코더부(13)에 의한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1에서, 콘트롤러(19)는 RF 튜너부(11) 및 베이스밴드 디코더부(12)만을 제어하고 있으며, 상기 A/V 디코더부(13)내에 내장된 콘트롤러(도시안됨)에 의해 제어된다.)
도 1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또 한가지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A/V 디코더부(13)의 동작 시간이다. 즉, 전원을 on 시켰을때, A/V 디코더부(13)의 동작 시간이 매우 길어(그 복잡성으로 인하여 베이스 밴드 디코더 보다 수배의 시간 소요) 라디오만을 들을 필요가 있을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A/V 디코더부(13)를 off 시킬 방법 즉, 디지털 라디오를 수신할 경우 비디오 디코더(A/V 디코더부(13)) 및 표시장치(LCD)(14)를 off 시키고 소리만 들을 수 있는 방법을 발명하여 이에 따른 전력 소모 및 동작 시간 감소를 시킬 방안이 필요한 것이다.
15~18은 DMB 모듈(02)의 제어라인을 나타내고 있다. 즉, DMB 모듈(02)내의 컨트롤러(19)는 베이스밴드 디코더부(12) 및 튜너부(11)를 제어하고 A/V 디코더부(13)는 그 안에 내장된 콘트롤러를 통해 베이스밴드 디코더부(12)를 제어한다. 한편, 응용제품의 컨트롤러(20)는 최종 A/V 디코더부(13)를 제어하게 되는 데, 이때 응용제품은 네비게이션 장치나 기타 외부연결장비의 콘트롤러를 나타낸다.
결국 도 1과 같은 종래의 DMB 수신장치의 구조는 결국 A/V 디코더부(13) 없이는 베이스밴드 디코더부(12)를 동작 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전력 소모를 많이 하는 A/V 디코더부(12)를 제거하면 결국 DMB 수신기를 사용할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으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DAB 전용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저전력 DMB 모듈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과적으로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복잡성으로 인하여 부팅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A/V 디코더 부의 동작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DMB 모듈의 DAB 전용 모드 전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RF 튜너부, 베이스밴드 디코더부, A/V디코더부,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무선으로 전송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스피커 혹은 표시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저전력 DMB 모듈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및 A/V디코더부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신호에 따라 콘트롤러 및 A/V디코더 중 하나로 스위칭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상기 RF 튜너부 및 베이스밴드 디코더부를 제어하여 무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DMB 모듈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콘트롤러로 스위칭될 때 상기 A/V디코더부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튜너부, 베이스밴드 디코더부, A/V디코더부,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무선으로 전송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스피커 혹은 표시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저전력 DMB 모듈의 DAB 전용 모드 전환 방 법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및 A/V디코더부 사이에 설치된 스위칭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선택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 및 A/V디코더 중에 콘트롤러를 선택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스위칭 단계이후에 상기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RF 튜너부 및 베이스밴드 디코더부를 제어하여 무선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저전력 DMB 모듈의 DAB 전용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콘트롤러로 스위칭될 때 상기 A/V디코더부를 off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DAB 전용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저전력 DMB 모듈 및 그의 DAB 전용 모드 전환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DAB 전용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저전력 DMB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구성은 도 1과 유사하므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새로운 구성요소로서 스위치부(27)가 상기 콘트롤러(19)와 A/V 디코더부(13)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27)가 추가로 설치된 DMB 모듈(102)이 구비된 응용제품 콘트롤러(200)는 상기 스위치부(27) 및 A/V디코더부(13)를 제어한다.
도 2에서, 참조부호 25 내지 29는 추가된 제어라인들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응용제품 콘트롤러(200)는 상기 제어라인(26)에 의해 상기 DMB 모듈(102)의 스위치부(27)를 제어하여 28과 29로 이어지는 제어 흐름을 28 및 25로 스위치 시킴으로써 DMB 모듈(102) 내부의 컨트롤러(19)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A/V 디코더부(13)의 전원을 제어 라인(26)을 통해 신호를 출력하여 off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전력의 감소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라인(26)을 통한 신호에 의해 A/V 디코더부(13)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은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원 제어 스위치 또는 정전압기(Voltage Regulator)등(도시안됨)의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일반적인 제어 방식에 의하여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DAB 전용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저전력 DMB 모듈에 따르면, 디지털 TV 수신이 아닌 디지털 라디오 만을 수신할 경우에는 응용제품 콘트롤러(200)는 작동이 필요없는 A/V 디코더부(13)를 스위치부(27)를 제어하여 off시키도록 한다. 이로인해 A/V디코더부(13)의 불필요한 작동으로 인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응용제품 콘트롤러(200)는 스위치부(27)를 통해 DMB 모듈(102) 내부의 콘트롤러(19)를 제어하며, 상기 콘트롤러(19)를 통해 RF 튜너부(11) 및 베이스밴드 디코더부(12)가 제어되어 DAB 오디오 신호는 제어라인(21)을 따라 스피커(24)를 통해 출력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AB 전용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저전력 DMB 모듈에 의하면, 첫째, 디지털 라디오 모드에서 DMB 모듈의 on 시간이 짧아지는 효과가 있고, 둘째 A/V 디코더부를 off 시킴으로 전력의 감소를 유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 DMB 모듈의 다기능성으로 응용제품 개발시 디지털 라디오 및 디지털 TV등의 제품군에 동시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RF 튜너부, 베이스밴드 디코더부, A/V디코더부,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무선으로 전송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스피커 혹은 표시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저전력 DMB 모듈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및 A/V디코더부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신호에 따라 콘트롤러 및 A/V디코더 중 하나로 스위칭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상기 RF 튜너부 및 베이스밴드 디코더부를 제어하여 무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DMB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콘트롤러로 스위칭될 때 상기 A/V디코더부가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DMB 모듈.
  3. RF 튜너부, 베이스밴드 디코더부, A/V디코더부,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무선으로 전송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스피커 혹은 표시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저전력 DMB 모듈의 DAB 전용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및 A/V디코더부 사이에 설치된 스위칭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선택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 및 A/V디코더 중에 콘트롤러를 선택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스위칭 단계이후에 상기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RF 튜너부 및 베이스밴드 디코더부를 제어하여 무선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저전력 DMB 모듈의 DAB 전용 모드 전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콘트롤러로 스위칭될 때 상기 A/V디코더부를 off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DMB 모듈의 DAB 전용 모드 전환 방법.
KR1020050082969A 2005-09-07 2005-09-07 저전력 디엠비 모듈 및 그의 디에이비 전용 모드 전환방법 KR20070028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69A KR20070028713A (ko) 2005-09-07 2005-09-07 저전력 디엠비 모듈 및 그의 디에이비 전용 모드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69A KR20070028713A (ko) 2005-09-07 2005-09-07 저전력 디엠비 모듈 및 그의 디에이비 전용 모드 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713A true KR20070028713A (ko) 2007-03-13

Family

ID=3810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969A KR20070028713A (ko) 2005-09-07 2005-09-07 저전력 디엠비 모듈 및 그의 디에이비 전용 모드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7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8750B2 (en) 2011-10-25 201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audio data using low pow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8750B2 (en) 2011-10-25 201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audio data using low p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4878A (ko)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용 리모트 컨트롤러
US20090106800A1 (en) Controlling supplementary data channels using display state information
KR20050033304A (ko) Dmb 수신기
KR20040100171A (ko)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장치
KR20070028713A (ko) 저전력 디엠비 모듈 및 그의 디에이비 전용 모드 전환방법
JP2007267027A (ja) 放送受信装置
JPWO2011021252A1 (ja) ラジオ放送受信装置
KR100724359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 겸용 디지털 티브이 장치 및 그의 오디오신호 처리 방법
KR20040009376A (ko) 티브이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38645B1 (ko) 다중밴드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을 위한 스위치 회로
KR200421700Y1 (ko) 차량용 안테나를 이용한 라디오 및 디엠비 신호선택용수신기
KR100265232B1 (ko) 절전기능을갖춘tv시스템
KR20010011565A (ko) 절전기능을 갖춘 tv시스템
KR100867177B1 (ko) 멀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72518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20050019341A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20040016592A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텔레비전 신호 분배장치
KR100710332B1 (k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단말기
KR19990025736A (ko) 절전기능을 갖춘 라디오수신용 tv시스템
KR20070012002A (ko) 디지털 티브이의 저전력 오디오 출력장치
KR20050080845A (ko) 다기능 셋톱박스에서 전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5488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0224515A (ja) 衛星放送受信ユニット
KR100194349B1 (ko) 카오디오의 표시제어방법
KR100820672B1 (ko) 차량용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의 노이즈 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