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567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567A
KR20070028567A KR1020077001450A KR20077001450A KR20070028567A KR 20070028567 A KR20070028567 A KR 20070028567A KR 1020077001450 A KR1020077001450 A KR 1020077001450A KR 20077001450 A KR20077001450 A KR 20077001450A KR 20070028567 A KR20070028567 A KR 2007002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reless telecommunication
control channel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248B1 (ko
Inventor
하린 케이. 길
아슈 라즈단
아룰몬치 카시 아난타나라야난
에릭 씨. 로젠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푸시-투-토크(PTT) 셋업 데이터와 같은 그룹 통신 데이터를 제어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지정된 목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전용 통신채널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진다.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기 위하여 제어채널을 통해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러한 전송은 무선 원격통신 장치와의 전용 통신채널을 완전히 브리징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ASYNCHRONOUS SIGNALING AND DATA DELI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2004년 6월 2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60/581,970 및 2005년 5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60/686,132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들 특허출원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에 의하여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동기 페이징 사이클에 휴지 무선 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비동기 방식으로 시그너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장치들의 사용자들은 무선(over-the-air)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컴퓨터에 통신한다. 이는 사무실 환경의 무선 LAN의 경우에서 처럼 직접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전화 응용의 경우에서 처럼 셀룰라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 타입의 개인 통신 시스템은 이동무선 통신장치들간의 푸시-투-토크(PTT) 시스템이다. PTT 통신 접속은 전형적으로 그룹의 각각의 멤버 장치 및 발화자간의 반이중 링크를 활성화하는 무선장치상의 단일 버튼-푸시에 의하여 초기화되며, 일반 버튼이 해제되면 장치는 입력 PTT 전송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조에 있어서, PTT 발화자는 발화자가 말하는 동안 다른 그룹 멤버가 말할 수 없는 "플로어(floor)"를 가질 것이다. 일단 발화자가 PTT 버튼을 해제하면, 그룹의 임의의 다른 개별 멤버는 그들의 PTT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로어를 가질 것이다.
통신하는 무선장치에 대한 수신 무선장치들의 특정 PTT 그룹은 보통 캐리어에 의하여 셋업되며, 무선장치 그 자체들은 그룹을 수정하도록, 즉 그룹으로부터 개인을 포함하거나 또는 삭제하도록 허용되지 않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전체 그룹보다 적은 수의 멤버들에 의하여 통신이 수신되도록 한다. PTT는 상업적인 표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 동작하는 디스패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엔드포인트들간의 통신은 가상 그룹들내에서 발생하며, 하나의 "발화자"의 음성은 하나 이상의 청취자(listener)들에게 방송된다. 이러한 타입의 통신의 단일 인스턴스(instance)는 보통 디스패치 통화 또는 단순히 통화로서 언급된다. 통화는 통화의 특성들을 한정하는 그룹의 인스턴스 생성이다. 그룹은 본질적으로 그룹 명칭 또는 그룹 ID와 같은 멤버 리스트 및 연관된 정보에 의하여 한정된다. 무선 멀티캐스트 채널의 부재시에, 각각의 그룹은 통화를 관리하기 위하여 할당된 그룹 통신 서버들 및 각각의 엔드포인트간의 개별 포인트-투-포인트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전형적인 PTT 통화는 통신 및 통신의 복사가 기존 원격통신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 더 용이하게 전파되도록 동일한 원격통신 섹터내에 거의 위치하지 않는 두명의 사용자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소수의 그리나 중요한 푸시-투-푸시 통화들은 다수의 통화 참가자들을 포함하며, 다수의 통화 참여자들중 많은 참여자들은 동일 한 섹터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공공 안전 재난 시나리오들이 한 예이다.
하나의 문제점은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그룹 통신의 초기 셋업동안 전용 통신 채널을 대기해야 하고 이러한 대기시간를 발화자 및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휴지 상태에 있는, 즉 비활성 방송 채널에 있는 무선 장치들에 대하여, 많은 시스템들은 시스템이 장치의 위치를 알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나, 이러한 페이징은 무선장치들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PTT 통신을 셋업할 다음 기회일 것이다. 따라서, 다음 페이지를 대기하거나 또는 전용 채널을 셋업하지 않고 그룹 통신을 셋업함으로서 PTT 또는 직접 그룹 통신을 셋업하기 위한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일 양상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통신 서버로부터 제어 채널을 통해 푸시-투-푸시(PTT) 셋업 데이터와 같은 그룹 통신 데이터를 휴지 상태 무선 통신 장치에 시그널링 및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룹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은 각각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지정된 목표 세트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들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은 각각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연속 제어 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필요한 경우에 통신 서버와의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진다. 그룹 통신 셋업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입력 그룹 통신을 위한 제어 채널을 통해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러한 전송은 통신 서버로부터의 동기 페이지들 또는 전용 트래픽 채널들 외부에서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여기서 그룹 통신 가능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은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지정된 세트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다. 그룹 통신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기 위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더 수신한다.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을 통해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각각과 통신을 유지하는 통신 서버를 가지며, 통신 서버는 전용 통신 채널을 선택적으로 브리징하기 위하여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한 전용 방송 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통신 서버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제어 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하는 통신 서버가 제공되며, 여기서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는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의 다른 멤버들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의 각각의 원격통신 장치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이 통신 서버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 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채널들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진다. 통신 서버는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고 필요한 경우에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의 각각의 멤버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는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한다.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한 전용 방송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원격통신 서버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제어 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통신 서버로부터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의 멤버들에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통신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사이에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단계, 그룹 통신 서버로부터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단계; 및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한 전용 방송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원격통신 서버가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제어 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브리징된 제어 채널은 동기 또는 비동기 채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휴지상태 무선장치에 대한 전용 통신 채널 또는 주기적 페이지를 대기하지 않고 그룹 통신을 셋업하기 시작할 수 있다. 시스템 및 방법은 발화자로부터 사용자로의 그룹 통신을 위한 초기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최소 데이터 트래픽이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동안, 시스템 및 방법의 사용은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에 최소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이하에 기술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검토할때 더욱더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그룹 통신 서버 및 다른 컴퓨터 장치들과 통신하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지정된 PTT 그룹을 가진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PTT 그룹 멤버들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간의 일련의 그룹 통신 서버 제어 통신들을 가진 공통 셀룰라 원격통신 구성의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PTT 능력을 가진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컴퓨터 플랫폼을 기술한 블록도.
도 4는 PTT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계층 시그널링을 위한 통화-진행도.
도 5는 경보를 설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계층 시그널링을 위한 통화-진행도.
도 6은 목표 무선 원격통신 장치와의 PTT 통신을 셋업할때 개별 컴포넌트들 간의 가능한 지연들을 기술한 통화-진행도.
도 7은 제어 채널을 통해 목표 무선장치(AT)에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 메시지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것을 기술한 통화-진행도.
도 8은 동기/비동기 제어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 목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그룹 통신 서버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
유사한 도면부호가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도면들에 있어서, 도 1은 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목표 세트(12))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10)의 일 실시예를 기술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하는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과 함께 무선 전화(14), 스마트 페이저(16), 및 개인휴대단말(PDA)(18)와 같은 PTT 그룹을 구성한다. 시스템(10)에서,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는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목표 세트(12)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라 전화(14)의 목표 세트는 페이저(16) 및 PDA(18)와 같이 목표 세트(12) 또는 이의 부세트내의 모든 장치들일 수 있다.
특히, 시스템(10)은 ad-hoc 형식으로 한정된 대규모 푸시-투-토크(또는 다른 유사한 서비스들)로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또는 다른 어플리컨트과 같은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들 PTT 통화들은 오퍼레이터의 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소수의 동일한 네트워크 자원들에 모두 배치될 수 있는 다수의 통화 참여자들(수백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룹 통신 서버(32)는 통신하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14, 16, 18) 및 이 통신하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하여 지정된 목표 세트(12)의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간의 직접 통신들을 브리징하기 위한 요청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그 다음에, 통신 서버(32)는 PTT 음성 통신과 같은 요청된 직접 통신을 선택적으로 브리징한다. 목표 세트(12)의 식별자는 그룹 통신 서버(32)상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그룹 통신 서버(32)상에 또는 접속된 데이터베이스(34)내에서 또는 가능한 경우에 패킷 흐름-제어 서버(36)(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에서 공통인)와 같은 다른 컴퓨터 장치상에서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시스템(1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그룹 통신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트(12)의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는 세트(12)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추가로 기술되는 바와같이,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가 통신 서버(32)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 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 상태, 및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가 트래픽 채널과 같이 통신 서버(32)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 채널들을 브리징하는 활성 상태를 가진다.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는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더 수신한다. 통신 서버(32)는 적어도 하나 의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12)의 각각과의 통신을 유지하며,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의 네트워크 위치를 알기 위하여 세트(12)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를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며, 필요한 경우에 전용 통신 채널을 통해 선택적으로 브리징한다.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직접 그룹 통신을 하기 위하여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대한 전용 방송 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통신 서버(32)는 그룹 통신을 브리징하기 위하여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제어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전송한다.
통신 서버(32)는 브리징되는 경우에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데이터의 전송이 전용 통신채널로의 핸드오프를 곤란하게 하기 때문에 단지 제어채널을 통해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통신 서버(32)는 바람직하게 전용 통신채널의 개방전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제어채널을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14, 16, 18)의 세트(12)중 하나 이상의 원격통신 장치에 전송한다. 통신 서버(32)가 제어채널을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14, 16, 18)의 세트(12)중 하나 이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반면에, 통신 서버는 다음의 주기적 페이지를 통해 또는 전용 통신채널의 전체 브리징에서 세트(12)의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채널은 비동기 제어채널, 즉 기지국(60) 및 무선장치사이에서 주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동기 제어채널, 즉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 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신 서버(32) 및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세트(12))간에 통신 스트림들을 브리징하는 하나 이상의 간헐 통신장치들이 전형적으로 존재하며, 통신서버(32)는 어느 멤버의 원격통신 장치들이 무선장치들(14, 16, 18)과의 최상의 통신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통신 서버(32)는 세트(12)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간헐 통신장치들에 직접 전송할 것이다.
도 2는 PTT 시스템에서 세트 그룹 멤버들(장치들(70, 72, 74, 76))의 무선장치들사이에서 그룹 통신 서버(32) 제어 통신들을 수행하는 공통 셀룰라 원격통신 구성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기술한 도면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단순히 전형적이며, 원격 모듈들이 서로간에 무선으로 통신하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캐리어들 및/또는 서버들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무선 네트워크(20)의 컴포넌트들사이에서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하는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련의 그룹 통신 서버들(32)은 그룹 통신 서버 LAN(50)에 접속된다. 무선 전화들은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그룹 통신 서버(들)(32)로부터 패킷 데이터 세션들(CDMA와 같은)을 요청할 수 있다.
그룹 통신 서버(들)(32)는 캐리어 네트워크(54)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된 PSDN(52)과 같은 무선 서비스 제공자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에 접속된다. 각각의 PSDN(52)은 패킷 제어 기능부(PCF)(62)를 통해 기지국(60)의 기지국 제어기(BSC)(64)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PCF(62)는 전형적으로 기지국(60)에 배치된 다. 캐리어 네트워크(54)는 메시징 서비스 제어기("MSC")(58)에 전송되는 메시지들(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들의 형태를 가짐)을 제어한다. 캐리어 네트워크(30)는 네트워크, 인터넷 및/또는 POTS("기존전화서비스")에 의하여 MSC(58)와 통신한다. 전형적으로, 캐리어 네트워크(54) 및 MSC(58)간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접속은 데이터를 전송하며, POTS는 음성 정보를 전송한다. MSC(58)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60)에 접속될 수 있다. 캐리어 네트워크와 유사한 방식으로, MSC(58)는 전형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의해 그리고 음성 전송을 위한 POTS에 의하여 브랜치-투-소스(BTS:branch-to-source)(66)에 접속된다. BTS(66)는 단문 서비스("SMS") 또는 공지된 다른 무선 방법들에 의하여 셀룰라 전화들(70, 72, 74, 76)과 같은 무선장치들로 그리고 이 무선장치들로부터 메시지들을 무선으로 방송하고 수신한다.
그룹 멤버들의 세트(12)를 지정한 무선장치들에서, 한 무선장치는 세트의 다른 멤버와 직접 접속할 수 있으며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직접 통신들은 그룹 통신 서버(32)를 통해 또는 그룹 통신 서버(32)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장치들의 모든 데이터 패킷들은 반드시 그룹 통신 서버(32) 그 자체를 통해 전송되지 않으나, 서버(32)는 그것이 세트(12)의 멤버들의 식별자를 알고 및/또는 세트(12)의 멤버들의 식별자를 검색하거나 또는 세트(12)의 멤버들의 식별자를 다른 컴퓨터 장치에 직접 전송하는 단지 서버측 LAN(30) 컴포넌트이기 때문에 통신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PTT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시스템(10)은 표준 상업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CDMA, FDMA, GSM 등)를 통해 동작하는 디스패치 음성 서비스를 허용한다. 디스패치 모드에서, 엔드포인트들(무선장치들(14, 16, 18))간의 통신은 가상 그룹들내에서 이루어지며, 하나의 "발화자"의 음성은 하나 이상의 "청취자들"에게 방송된다. 이러한 타입의 통신의 단일 인스턴스는 보통 "디스패치 통화"로 언급된다. 통화는 통화의 특성들을 한정하는 "그룹"의 인스턴스 형성이다. 그룹은 본질적으로 그룹 명칭 또는 그룹 ID와 같은 멤버 리스트 및 연관된 정보에 의하여 한정된다. 무선 멀티캐스트 채널의 부재시에, 각각의 그룹은 통화를 관리하기 위하여 할당된 그룹 통신 서버(들)(32) 및 각각의 엔드포인트간의 개별 포인트-투-포인트 접속들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PTT 인프라스트럭처의 각각의 지역은 캐리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의 특정 부분상에 전개된다. 지역내의 그룹 통신 서버(들)(32)는 캐리어 네트워크(54)에서 하나 이상의 PDSN(52)간에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 있다. "직접 통화"는 단지 두명의 멤버들, 즉 PTT 시스템을 사용하는 통화 발신자와 통화 목적지만이 존재하는 통화이다. 이러한 통화 타입에서, 성능 요건들을 충족하기 위한 가장 도전적인 시나리오는 직접 통화가 이루어질때 발신자 및 목표 핸드셋이 휴지상태 패킷-데이터 접속들을 가지는 경우, 즉 무선장치들(14, 16, 18)가 개방 전용 채널을 가지지 않은 경우이다. 역으로, 발신자 및/또는 목표 패킷-데이터 접속은 활성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전용 트래픽 채널들은 직접 통화가 이루어지는 시간에 이용가능하다. 통화 대 휴지상태(call-to-dormant) 시나리오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같이, 성능 요건들을 충족하고 통화 셋업시 대기시간을 방지할때 가장 도전적인 시 나리오이다.
도 3은 장치들의 목표 세트(12)에 직접 통신을 개방하는 PTT 버튼(78)을 가진 셀룰라 전화(14)인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기술한 블록도이다. 무선장치(14)는 무선장치(14)의 사용자에게 그래픽 디스플레이(80)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무선장치(14)는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조절하고 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플랫폼(82)을 포함한다. 컴퓨터 플랫폼(80)은 여러 컴포넌트들중에서 주문형 집적회로("ASIC")(84), 또는 다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논리회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ASIC(84)은 무선장치의 제조시에 설치되며 보통 업그레이드 가능하지 않다. ASIC(84) 또는 다른 프로세서는 상주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포함하고 또한 ASIC(84)상에 로드된 운영체계를 포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실행한다. 상주 애플리케이션 환경은 무선장치의 메모리(88)내에 상주하는 임의의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싱한다. 상주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예는 콸콤에 의하여 무선장치 플랫폼으로 개발된 무선 2진 런타임 환경(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선장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가진 셀룰라 전화(14)일 수 있으나 또한 개인휴대단말(PDA),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가진 페이저와 같이 컴퓨터 플랫폼을 가지거나 또는 무선 통신 포털을 가지고 그렇치 않은 경우에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에의 유선 접속부를 가질 수 있는 개별 컴퓨터 플랫폼을 가진 임의의 무선장치일 수 있다. 게다가, 메모리(88)는 판독전용 또는 랜덤 액세스 메 모리(RAM 및 ROM), EPROM, EEPROM, 플래시 카드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플랫폼(82)은 메모리(88)에서 활발하게 사용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기 위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9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데이터베이스(90)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플래시 메모리 셀들로 구성되나, 자기 매체, EPROM, EEPROM, 광학 매체, 테이프, 또는 소프트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공지된 임의의 2차 또는 3차 저장장치일 수 있다. 무선전화는 전형적으로 원격통신을 위하여 전이중 채널을 개방할 것이며, 일부 예에서 단지 음성 스트림을 발화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반이중 채널을 통해 통신할 것이다.
무선장치(14)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컴퓨터 플랫폼(82)은 무선장치로부터 직접 통신 채널을 개방할 수 있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94)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92)를 포함한다.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94)는 무선장치로 그리고 무선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성 및 데이터를 반송하는 무선장치에 대한 표준 통신 인터페이스의 부분일 수 있다.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92)는 전형적으로 공지된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도 4는 PTT 통신을 설정하는 애플리케이션-계층 시그널링의 통화-진행도이다. 통화 셋업 시그널링은 제어채널과 같은 일반적으로 공유된 순방향 링크 채널과 대조적으로 정규 방송 채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기존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은 제어채널(CC) 및 개별 방송채널(BCH)을 사용한다. 직접 통화를 위한 중요한 성능 메트릭들은 초기 PTT 대기시간을 포함하며(도시된 바와같이), 여기서 지연은 사용자가 PTT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발화 허용을 사용자가 통지받은(오디오 또는 시각적 수단을 통해) 시간사이에서 인식된다. 또한, 통화가 설정된후 발화자의 발화를 목표자가 청취하는 시간 및 목표자가 발신자의 발화를 청취하는 시간사이에서 인식되는 지연으로 구성된다.
직접 통신을 설정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계층 시그널링은 직접 PTT 통화를 설정하기 위하여 교환되는 애플리케이션-계층 메시징을 기술한다. 도 4의 도면은 본 시스템이 다양한 다른 물리적 시스템들상에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물리적-계층 시그널링 메커니즘들을 식별하지 않는다.
도 5는 경보를 설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계층 시그널링에 대한 통화-진행도이다. "경보"는 사용자가 직접 PTT 통화로 통신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다른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통화 타입이다. 경보 통화는 소수의 짧은 애플리케이션-계층 메시지들이 발신자, 그룹 통신 서버(32) 및 목표 무선장치들(14, 16, 18)에서 교환된후에 완료된다. 직접 통화 타입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같이, 경보들에 대한 성능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가장 도전적인 시나리오는 경보가 전송되고 발신자 및 목표 핸드셋이 유휴상태 패킷-데이터 접속들, 즉 비활성 전용 채널들을 가질때 이다. 따라서, 경보 대기시간(도시된 바와같이)은 사용자가 PTT 버튼(78)을 누르는 시간으로부터 사용자에게 통지하여(오디오 또는 시각적 수단을 통해) 경보 전송상태를 지시할때까지의 지연이다. 경보는 물리적-계층에 설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도면은 임의의 물리적-계층 시그널링 메커니즘들을 식별하지 않는다.
도 6은 목표 무선 원격통신 장치와의 PTT 통신을 셋업할때 개별 컴포넌트들간의 가능한 지연을 기술하는 통화-진행도이다. AT가 슬롯 동작모드에 있을때, 즉 AT가 "슬롯"에서 동기적으로 페이징될때 AT-종단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슬롯모드에서 AT에 전송되는 임의 시그널링 메시지(예컨대, 페이지, 루트업데이트요청 또는 DOS)에 대한 지연이 존재한다. 슬롯화된 AT로의 데이터 전송동안 지연의 시작은 그룹 통신 서버(32)가 네트워크 캐리어를 통해 AT에 (유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때이다. 페이징 지연의 끝은 시그널링 메시지(페이지, 루트업데이트요청 또는 DOS와 같은 초기 메시지)가 BTS(66)에 의하여 전송될때이다. 트래픽 채널 셋업의 시작은 AT가 액세스 채널을 통해 프로브를 전송하기 위한 로컬 액세스 절차를 시작할때 측정된다. 이들 절차는 액세스 채널 사이클의 시작을 대기하는 단계, 지속성 테스트(전용 채널이 개방될 가능성)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트래픽 채널 셋업 절차의 끝은 AT가 긍정응답(RTCAck) 메시지를 수신할때 측정된다.
도 7은 데이터를 제어채널을 통해 "데이터오버시그널링(DataOverSignaling)" 메시지로 목표 무선장치(AT)에 직접 전송하는 것을 기술하는 통화-진행도이다. 이러한 실시예를 구현할때, 만일 그룹 통신 서버(32)(AT)가 BSC(64)의 권한하에서 모든 BTS(66) 섹터들에 DOS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선택되면, 제어 채널 능력과 연관된 비용이 존재한다. 만일 이러한 비용이 허용가능하면, 도 7에 기술된 통화 흐름을 지원하기 위하여 추가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버는 연속 동작모드에 있는 AT에 DOS 메시지를 전송하며 전용 트래픽 액세스 채널을 가지지 않는다. AT가 연속 동작모드에 있으나 트래픽 채널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AN 이 아는 여러 예가 존재한다. 제 1예는 AN이 액세스 채널을 통해 AT로부터 임의의 전송을 수신하는 예이다. 이러한 경우에, AN은 AT가 이후 기간, 예컨대 1초동안 연속모드를 유지한다는 것을 안다. 제 2경우는 AT가 트래픽 채널을 해제할때 제어채널의 개방을 유지하는 예이다. AT가 중지/유휴상태 동작모드에 있을때, AT는 BTS(66)에 주기적 동기 접촉하면서 슬롯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진행하기전에 일정 기간동안 제어채널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모니터링한다. AT가 제어채널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한다는 것을 AN이 알때, AN은 페이징 사이클동안 스케줄링 지연을 초래하지 않고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DOS를 통해 AT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DOS 메시지는 동기 또는 비동기 제어 채널 패킷의 제 1기회시에 AT에 전송된다.
도 8은 동기/비동기 제어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목표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전송하기 위하여 그룹 통신 서버(32)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를 기술한 흐름도이다. 그룹 통신 서버(32)는 단계(100)에 기술된 바와같이 입력 그룹 통신을 수신하며, 그 다음에 무선장치(14, 16, 18)는 단계(102)에 기술된 바와같이 배치된다. 결정단계(104)에 기술된 바와같이, 목표 무선장치들에 제어채널이 개방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결정단계(104)에서 목표 무선장치(14, 16, 18)에 제어채널이 개방되었다면,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는 단계(106)에 기술된 바와같이 제어채널을 통해 목표 무선장치에 전송되며, 그 다음에 전용 액세스/트래픽 채널은 단계(108)에 기술된 바와같이 목표 무선장치에 브리징되며, 그 다음에 그룹 통신(예컨대, PTT 통화)은 단계(114)에 기술된 바와같이 전용 액세스/트래픽 채널을 통해 목표 무선장치에 브리징되며, 그 다음에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그렇치 않고, 만일 결정단계(104)에서 목표 무선장치(14, 16, 18)에 제어채널에 개방되지 않으면, 전용 액세스 채널은 단계(100)에 기술된 바와같이 목표 무선장치에 브리징되며,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는 개방 전용 채널을 통해 목표 무선장치(14, 16, 18)에 전송된다. 제어채널이 이용가능하지 않는 경우에 결정단계(104)에서 전용 액세스 채널을 브리징하는 것에 대안적으로, 만일 시스템(10)이 동기 페이징 사이클로 구현되면 그룹 통신 서버(32)는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다음 페이지까지 대기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가 단계(112)에서 전송된후에, 그룹 통신(예컨대, PTT 통화)은 단계(114)에 기술된 바와같이 전용 액세스/트래픽 채널을 통해 목표 무선장치(14, 16, 18)에 브리징된다.
따라서, 시스템(10)은 통신 서버(32)로부터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20)를 통해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통신 서버(32) 및 적어도 하나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14, 16, 18)간의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단계, 그룹 통신 서버(32)로부터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각각을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단계, 및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대하여 전용 방송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통신 서버(32)로부터 제어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14, 16, 18)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단지 그룹 통신의 데이터만이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되어야 한다. 게다가,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제어채널을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12)중 하나 이상의 원격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전용 통신 채널의 개방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방법은 통신 서버(32)가 다음의 주기적 페이지 또는 다른 제어 채널 브리징을 통해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14, 16, 18)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12)중 하나 이상의 원격통신 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채널을 브리징하는 단계는 비동기 제어채널 또는 동기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시스템(10)은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와의 통신을 유지하는 진보적 통신 서버(32)를 포함하며, 여기서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12)는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세트(12)의 다른 멤버들에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12)의 각각은 무선 원격장치(14, 16, 18)가 통신 서버(32)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 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무선 원격장치(14, 16, 18)가 통신 서버(32)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진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신 서버(32)는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고, 입력 그룹 통신들에 대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제어채널 또는 전용 액세스/트래픽 채널을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12)의 각각의 멤버에 전송한다.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 치(14, 16, 18)에 대하여 전용 방송 채널을 개방시키기를 원할때, 원격통신 서버(32)는 무선 원격통신 장치(14, 16, 18)에 전용 통신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제어채널을 통해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14, 16, 18)에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통신 서버(32)를 동작시킨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그룹 통신 서버(32)의 컴퓨터의 메모리일 수 있으나 또는 데이터베이스(34)와 같은 액세스가능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게다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디스크 또는 테이프, 광학 디스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공지된 다른 저장매체와 같이 컴퓨터 플랫폼상에 로드가능한 2차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본 방법은 통신 서버(32)와 같이 머신-판독가능 명령들의 시퀀스를 실행하는 무선 네트워크(20)의 동작부(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령들은 다양한 타입의 신호-베어링 또는 데이터 저장 1차, 2차 또는 3차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매체는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20)의 컴포넌트들에 의하여 액세스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컴포넌트내에 배치되는 RAM(도시안됨)을 포함할 수 있다. RAM, 디스켓 또는 다른 2차 저장매체에 포함되던지간에, 명령들은 DASD 저장장치(예컨대, 종래의 "하드 드라이브" 또는 RAID 어레이), 자기 테이프, 전자 판독전용 메모리(예컨대, ROM, EPROM 또는 EEPROM),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 광학 저장장치(예컨대, CD-ROM, WORM, DVD, 디지털 광학 테이프), 페이퍼 "펀치" 카드, 또는 디지 털 및 아날로그 전송매체를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데이터 저장매체와 같은 다양한 머신-판독가능 데이터 저장매체상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반면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비록 본 발명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기술될지라도, 단수를 명백하게 언급하지 않는한 복수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6)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 ― 상기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 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채널들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지며,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기 위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수신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하며, 전용 통신채널을 선택적으로 브리징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통신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한 전용 방송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상기 통신 서버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전송하는, 무선 원격통신에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서버 장치는 상기 그룹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단지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원격통신에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버는 상기 전용 통신 채널을 개방하기전에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원격통신에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버는 다음 주기적 페이지를 통해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원격통신에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채널은 비동기 제어채널인, 무선 원격통신에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채널은 동기 제어채널인, 무선 원격통 신에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7.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과의 통신을 유지하는 통신 서버로서,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는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에 대한 다른 멤버들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의 각각의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이 통신 서버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 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채널들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지며, 상기 통신 서버는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며, 상기 통신 서버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의 각각의 멤버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기 위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한 전용 방송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상기 원격통신 서버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서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버 장치는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서만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서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버는 전용 통신 채널의 개방전에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중 하나 이상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서버.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버는 다음 주기적 페이지를 통해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중 하나 이상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서버.
  11. 제 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채널은 비동기 제어채널인, 통신 서버.
  12. 제 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채널은 동기 제어채널인, 통신 서버.
  13.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과의 통신을 유지하는 통신 서버로서,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는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에 대한 다른 멤버들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세트의 각각의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이 통신 서버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 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채널들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지며,
    상기 통신 서버는,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수단,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세트의 각각의 멤버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기 위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상기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대한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직접 그룹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서버.
  14.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원격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하고 ― 상기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채널들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기 위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수신함 ― 전용 통신채널을 선택적으로 브리징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장치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를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통신 서버로부터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사이에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단계;
    상기 그룹 통신 서버로부터 상기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상기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한 전용 방송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상기 원격통신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단계는 단지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될 그룹 통신의 데이터인,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단계는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다음 주기적 페이지를 통해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통신 서버로부터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브리징 단계는 비동기 제어채널 브리징 하는 단계인,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 브리징 단계는 동기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단계인,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
  20.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원격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하고 ― 상기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채널들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기 위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수신함 ―전용 통신채널을 선택적으로 브리징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장치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를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통신 서버로부터 무선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사이에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단계;
    상기 그룹 통신 서버로부터 상기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상기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한 전용 방송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상기 원격통신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시그널링 및 전송하기 위한 방법.
  21.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원격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유지하고 ― 상기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의 지정된 그룹에 단일 그룹 통신 스트림을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휴지상태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가 통신 서버와의 하나 이상의 전용 통신채널들을 브리징하는 활성상태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무선 장치는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그룹 통신들을 입력하기 위한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수신함 ―전용 통신채널을 선택적으로 브리징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장치의 각각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통신 서버에 의 하여 실행될때, 상기 통신 서버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다음과 같은 단계들은,
    상기 통신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사이에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는 단계;
    상기 그룹 통신 서버로부터 상기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각각의 장치에 주기적으로 페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의 직접 그룹 통신을 위하여 상기 휴지상태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대한 전용 방송채널을 개방하기를 원할때, 상기 무선 원격통신 장치에 전용 통신 채널을 브리징하기전에 적어도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상기 원격통신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해 휴지상태 무선 통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그룹 통신의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어채널을 통해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가 전용 통신채널의 브리징전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4. 제 14항에 있어서, 다음 주기적 페이지를 통해 다른 무선 원격통신 장치들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다수의 무선 원격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장치에 그룹 통신 셋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통신 서버가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채널 브리징 단계가 비동기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채널 브리징 단계가 동기 제어채널을 브리징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77001450A 2004-06-21 2005-06-2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 KR100881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197004P 2004-06-21 2004-06-21
US60/581,970 2004-06-21
US68613205P 2005-05-31 2005-05-31
US60/686,132 2005-05-31
US11/156,176 US7796995B2 (en) 2004-06-21 2005-06-17 Asynchronous signaling and data deli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56,176 2005-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567A true KR20070028567A (ko) 2007-03-12
KR100881248B1 KR100881248B1 (ko) 2009-02-17

Family

ID=3550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450A KR100881248B1 (ko) 2004-06-21 2005-06-2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796995B2 (ko)
EP (1) EP1767026B1 (ko)
JP (2) JP5096140B2 (ko)
KR (1) KR100881248B1 (ko)
AT (1) ATE403346T1 (ko)
BR (1) BRPI0512304A (ko)
CA (1) CA2571310C (ko)
DE (1) DE602005008606D1 (ko)
ES (1) ES2308520T3 (ko)
IL (1) IL180117A0 (ko)
MX (1) MXPA06015232A (ko)
PL (1) PL1767026T3 (ko)
WO (1) WO2006002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060B1 (ko) * 2004-08-27 200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호 호출에 대한 응답메시지의 액세스 충돌 방지 방법 및 시스템
US7724743B2 (en) * 2005-03-31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VoIP data packets in group communications amou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US7742780B2 (en) * 2005-06-21 2010-06-22 Nexte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predictive name completion, categorizing call logs and accessing dispatch ID numbers in a database for dispatch dialers
US8346220B2 (en) * 2006-03-31 2013-01-01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Signaling for push-to-talk
CN101064959B (zh) * 2006-04-30 2014-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城域网中网络侧发起移动终端进入空闲模式的方法
US7545769B2 (en) * 2006-06-02 2009-06-09 Motorola, Inc. Mobile handoff functionality using asynchronous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50913B1 (ko) 2006-09-28 2011-07-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이동국에서 착신된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 메시지의 프로세싱
KR100788899B1 (ko) 2006-10-26 2007-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관리방법
US9414429B2 (en) * 2007-06-28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 always-on data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570911B2 (en) * 2007-09-24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st messaging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17697B2 (en) * 2008-06-05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call setup latency in a group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110292798A1 (en) * 2010-05-28 2011-12-01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PROVISIONING CALL SETUP QUALITY OF SERVICE (QoS) RESOURCE RESERVATIONS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830848B1 (en) 2010-12-09 2014-09-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djusting a control channel tim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JP6257746B2 (ja) * 2014-02-18 2018-01-1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通信方法
EP3183839B1 (en) * 2014-08-18 2020-10-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enabler security
US11246007B2 (en) 2019-08-05 2022-02-08 Charles Isgar Location-based interaction system
US11202169B2 (en) 2019-08-05 2021-12-14 Charles Isgar Social communication system
US11558726B2 (en) * 2019-08-05 2023-01-17 Charles Isgar Open channel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55219B2 (en) * 1990-11-26 1994-12-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GB2290196B (en) 1994-06-11 1997-12-24 Motorola Israel Ltd Trunking radio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and radio unit with enhanced dispatch calling
US6519472B1 (en) * 1997-03-12 2003-02-11 Terence Brennan Trunked radio monitoring system
KR100414932B1 (ko) * 1998-01-24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데이타통신방법
US6278706B1 (en) 1998-04-03 2001-08-21 Opuswave Networks, Inc.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377560B1 (en) * 1998-10-09 2002-04-23 Ericsson Inc. Group call capability in a wireless network
FI107505B (fi) * 1999-02-16 2001-08-15 Nokia Networks Oy Pääsynvalvontamenetelmä
US6564049B1 (en) * 1999-05-10 2003-05-13 Ericss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group calls with reduced setup times
US6714795B1 (en) * 2000-06-26 2004-03-30 Motorola, Inc. Radio telephone system with one-to-many dispatch system
US6725053B2 (en) 2001-05-15 2004-04-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tency in waking up a group of dormant communication devices
US7013129B2 (en) * 2001-06-14 2006-03-14 Lucent Technologies Inc. Queuing for radio channel availability
US20030236823A1 (en) 2002-06-19 2003-12-25 Robert Patzer Information sharing groups, server and client group applications, and methods therefor
EP1552714B1 (en) 2002-09-18 2010-01-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subscriber data
US7305481B2 (en) * 2003-01-07 2007-12-04 Hexago Inc. Connecting IPv6 devices through IPv4 network and network address translator (NAT) using tunnel setup protocol
US7113797B2 (en) * 2003-11-06 2006-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cheduling meetings
US7558222B2 (en) * 2004-05-27 2009-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IP packets to a mobile station transitioning from dormant state to active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66915A (ja) 2011-03-31
ATE403346T1 (de) 2008-08-15
CA2571310C (en) 2011-06-14
PL1767026T3 (pl) 2009-04-30
US20050288049A1 (en) 2005-12-29
DE602005008606D1 (de) 2008-09-11
WO2006002214A1 (en) 2006-01-05
IL180117A0 (en) 2007-06-03
MXPA06015232A (es) 2007-03-27
US7796995B2 (en) 2010-09-14
JP5096140B2 (ja) 2012-12-12
EP1767026A1 (en) 2007-03-28
KR100881248B1 (ko) 2009-02-17
EP1767026B1 (en) 2008-07-30
JP5275320B2 (ja) 2013-08-28
CA2571310A1 (en) 2006-01-05
BRPI0512304A (pt) 2008-02-26
JP2008503987A (ja) 2008-02-07
ES2308520T3 (es) 200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24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
KR100876562B1 (ko)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 통신 요청에 대한 지속값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JP4801071B2 (ja) プッシュ・ツー・ト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オプティミスティックな通信許可信頼性向上
CN101385370A (zh) 用以减少无线通信网络上群组通信的媒体等待时间的缓冲方法
KR1014417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고-우선순위 통신 세션들
CN102057696A (zh) 用于使无线通信装置间的群组通信中的呼叫设置等待时间减到最少的系统和方法
US7933620B2 (en) Transmit channel request messaging for half-duplex voice communications systems
WO2005083906A1 (en) Transmit channel request messaging for half-duplex voice communications systems
RU2358386C2 (ru) Асинхронная передача сигналов и доставк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RU2351097C2 (ru)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анала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я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запроса вызова для переговорной полудуплексной (ртт) связи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00512519C (zh) 无线通信系统中的异步信令和数据传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