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013A -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013A
KR20070028013A KR1020050080058A KR20050080058A KR20070028013A KR 20070028013 A KR20070028013 A KR 20070028013A KR 1020050080058 A KR1020050080058 A KR 1020050080058A KR 20050080058 A KR20050080058 A KR 20050080058A KR 20070028013 A KR20070028013 A KR 20070028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t
profit
hospital
cost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7997B1 (ko
Inventor
홍승길
김린
이완
김병수
서성구
황인선
윤석준
이승배
김재환
박상욱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8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9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 병원이 구비되어 운영되는 병원 그룹의 "병원 원가통합관리 방법과 장치, 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 그룹의 원가관리 방법은 소정 통합 원가관리 서버가 (a) 설정된 원가중심점을 포함하는 비용조건을 등록받아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b) 단위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으로부터 비용정보를 수신하여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c) 저장되어 있는 비용정보를 독출하여 원가중심점별로 비용을 배분하여 병원 그룹의 원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d) 병원 그룹에서 설정한 수익중심점을 포함하는 수익조건을 등록받아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e) 단위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익정보를 수신하여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f) 저장되어 있는 수익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수익중심점별로 수익을 배분하여 병원 그룹의 수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g) 배분된 비용 및 수익을 독출하여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의 원가 및 손익을 분석하고 사용자가 알 수 있는 형식으로 전송하거나 출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가중심점, 수익중심점, 직접진료부문, 간접진료부문, 지원부문

Description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 Cos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cal centers and System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가중심점 및 수익중심점을 설명하기 위한 병원 조직의 참고도표.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지원부문 등에서 발생되는 공통비의 배분을 설명하는 참고도표.
도 6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원가관리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의 사용 예를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 병원이 구비되어 운영되는 병원 그룹에서 사용되어질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병원의 원가관리 방법은, 처방부서나 부속실 등으로 약품이나 재료 등의 물품이 불출 될 때마다 작성되는 전표만을 집계하여 전체 비용을 파악하는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체계적인 원가관리 시스템의 부재와 더불어, 병원은 공익기관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어떤 환자를 치료하는데 돈이 얼마가 들었고 이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하는 등의 관리의식은 오히려 공익성에 반하는 행위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어차피 정부의 규제를 많이 받는 공익기관인 병원에서 일반 기업처럼 원가를 따져 봤자 어떤 이익이 있는가 하는 의문이 팽배하게 퍼져있는 것에 더하여 원가관리 및 정보획득에 대한 지불 비용이 기회이익을 초과하는 것처럼 여겨졌기 때문이며,
아울러 의사들은 언제나 바쁘게 하나의 생명이라도 더 살리기 위해서 고심하고 있는데 병원의 관리 담당자나 경영자 층에서 원가가 이렇다 저렇다 할 입장이 안 되었던 것도 일반적인 사실일 것이다.
또한 정책적인 면에서도 우리나라 병원은 수익의 대부분을 의료 수가에 의존 하고 있는데 의료서비스가 공공서비스라는 이유를 들어, 정부는 오랫동안 저수가 정책을 고수해왔고 병원의 이익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도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의료분야의 무한경쟁을 의미하는 의료서비스 개방과 병원고객들의 지식수준 향상 및 니즈의 다양화에 맞물려 병원 경영합리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는 이제 더 이상 병원의 선택요소가 아닌 경쟁력 제고와 존립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하고 있는 현실임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며, 이러한 경쟁력 제고와 존립을 위한 제1의 대안은 원가절감 등을 통해 병원 내부의 효율을 높이는 길일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병원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병원을 동일한 기준에 의해 관리가 가능하고, 동일한 기준에 의하여 원가 및 손익의 비교가 가능하며, 원가중심점별 또는 각각의 병원별 또는 병원 그룹 종합별 등 사용자(정보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분석하거나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방법은, (a) 소정 통합 원가관리 서버가 병원에서 발생된 비용을 최초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원가중심점(Cost Center)과, 상기 다수의 원가중심점 중 하나의 원가중심점에서 단독으로 발생되는 직접비와 두 개의 원가중심점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간접비와, 상기 직접비와 간접비 이외에 발생되는 공통비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용조건을 등록(s101)받아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s121)를 구축하는 단계와, (b)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MIS)로부터 직접 인건비 및 직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직접비(s103)와, 간접 인건비 및 간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간접비(s104)와, 지원부분에서 발생되는 공통비(s105)를 포함하는 비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s123)를 구축하는 단계와, (c)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상기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s123)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비용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s121)에 저장되어 있는 비용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원가중심점별로 비용을 배분(s106)하며 원가 데이터베이스(s125)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은 (d)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원가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을 최종적으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수익중심점(Profit Center)과, 상기 다수의 수익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익조건을 등록(s102)받아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s122)를 구축하는 단계와, (e)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MIS)로부터 수익정보를 수신하여 저장(s107)하며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s124)를 구축하는 단계와, (f)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상기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s124)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수익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s122)에 저장되어 있는 수익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수익중심점별로 수익을 배분(s108)하며 수익 데이터베이스(s126)를 구축하는 단계 및 (g)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상기 원가 데이터베이스(s125)와 수익 데이터베이스(s126)로부터 배분된 비용 및 수익을 독출하여 원가 및 손익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는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하거나 출력(s109)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은, 상기 원가중심점이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은, 상기 원가중심점이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및 기타의 과나 실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간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검사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은, 상기 비용정보 중 상기 인건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사급여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과, 재료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 및 병원 기간시스템인 처방전달 관리시스템(OCS)을 통해 수신되어지는 것과, 상기 관리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재무회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 및 상기 감가상각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정자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은, 상기 비용 배분조건의 직접비는 비용이 집 계된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되어지는 것과, 간접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구분되어지거나 할당되어질 수 있는 직접인건비나 식사비나 입원 환자의 수나 점유면적이나 의료기기 가액 및 기타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수로 하여 설정되어진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되어지는 것과, 공통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별 인과관계나 부담능력이나 수혜정도나 기타의 요인이 반영되어 설정되어진 가중치를 적용한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의 상기 수익중심점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더욱이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의 상기 수익중심점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및 기타의 과나 실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간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검사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의 상기 수익정보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로 운영되어지는 처방전달 관리(OCS)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의 상기 수익 집계조건은 진찰료, 수기료, 처치료, 수술료, 마취료, 일반검사, 특수검사, 물리/이학검사, 핵의학검사, 진단방사 선, 치료방사선, 건강진단 및 가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행위수익과, 주사료, 투약료, 진료재료, 핵의학재료, 혈액료 및 기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수익과, 입원료, 병실료차액, 식대, 제증명료 및 기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타수익으로 구분되어 집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들은 컴퓨터로 실행 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는, 소정 병원에서 발생된 비용을 최초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원가중심점(Cost Center)과 상기 다수의 원가중심점 중 하나의 원가중심점에서 단독으로 발생되는 직접비와 두 개의 원가중심점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간접비와 상기 직접비와 간접비 이외에 발생되는 공통비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용조건과, 하나 이상의 상기 원가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을 최종적으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수익중심점(Profit Center)과 상기 다수의 수익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익조건을 등록받는 조건 등록부(110)와, 상기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MIS)로부터 직접 인건비 및 직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직접비와 간접 인건비 및 간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간접비와 지원부분에서 발생되는 공통비를 포함하는 비용정보와 상기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MIS)로부터 수익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20)와, 상기 조건 등록부(110)에서 등록받은 비용조건을 저장하며 비용조건 데이 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비용정보를 저장하며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조건 등록부(110)에서 등록받은 수익조건과 상기 정보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수익정보를 저장하며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와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정보 저장부(130)와,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한 비용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비용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원가중심점별로 비용을 배분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한 수익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수익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수익중심점별로 수익을 배분하며, 비용과 수익이 배분된 결과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에 제공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130)가 원가 데이터베이스와 수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이터 할당부(140)와,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원가 데이터베이스와 수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배분된 비용 및 수익을 독출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다양한 형식으로 변형하거나 분석하는 원가 분석부(150)와 상기 원가 분석부(150)에서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가 요청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 또는 출력 시키는 처리결과 출력부(160) 및 상기 조건 등록부(110)와 정보 수신부(120)와 정보 저장부(130)와 데이터 할당부(140)와 원가 분석부(150) 및 처리결과 출력부(160)가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의 상기 원가중심점이나 수익 중심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 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상기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의 상기 원가중심점이나 수익 중심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및 기타의 과나 실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간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검사실인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의 상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비용정보 중 상기 인건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사급여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재료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관리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재무회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감가상각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정자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과, 상기 수익정보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로 운영되어지는 처방전달 관리(OCS)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의 상기 데이터 할당부(140)는 상기 비용정보 중 직접비는 비용이 집계된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고 상기 간접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구분되어지거나 할당되어질 수 있는 직접인건비나 식사비나 입원 환자의 수나 점유면적이나 의료기기 가액 및 기타의 데이터 중 어느 하 나 이상을 인수로 하여 설정되어진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고 상기 공통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별 인과관계나 부담능력이나 수혜정도나 기타의 요인이 반영되어 설정되어진 가중치를 적용한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수익정보를 진찰료, 수기료, 처치료, 수술료, 마취료, 일반검사, 특수검사, 물리/이학검사, 핵의학검사, 진단방사선, 치료방사선, 건강진단 및 가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행위수익과, 주사료, 투약료, 진료재료, 핵의학재료, 혈액료 및 기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수익과, 입원료, 병실료차액, 식대, 제증명료 및 기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타수익으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시스템은 상기 그룹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병원별로 구축되어진 다수의 경영관리시스템(MIS)과, 상기 각각의 경영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원가중심점별 비용정보와 수익중심점별 수익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비용집계 및 배분조건과 수익집계 및 배분조건에 따라 개별 병원의 원가중심점 또는 수익중심점별 원가(손익) 분석이나 각각의 병원별 원가(손익) 분석이나 아니면 병원 그룹의 종합 원가(손익) 분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가(손익) 분석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원가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원 원가관리 시스템의 상기 경영관리시스템(MIS)은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원가중심점별 인건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인건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 여 제공하는 인사급여 관리서버와,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원가중심점별 재료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재료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구매 관리서버와,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원가중심점별 관리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관리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재무회계 관리서버와,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원가중심점별 감가상각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감가상각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고정자산 관리서버 및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수익중심점별 수익정보를 집계할 수 있도록 수익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처방전달 관리(OCS)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주요용어를 설명한다.
"원가중심점(Cost Center)"이란, 병원에서 부문별 또는 과별 원가계산을 하기 위해서 최초로 해야 할 일은 배분대상으로서의 원가부문을 적절히 설정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원가를 최초로 집계되는 단위를 원가중심점이라 한다. 원가중심점의 설정은 원가분석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작업인 동시에 중요한 부문의 하나이다. 모든 원가요소 중 어떤 특정부문 즉 하나의 원가중심점에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을 "직접비"라 하며, 두 가지 이상의 원가중심점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간접비"라 한다. 원가중심점은 되도록 간접비는 적고 직접비가 많도록 설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원가중심점을 세분화하는 것이 좋다.
"수익중심점(Profit Center)"이란, 발생된 모든 원가는 설정된 원가중심점으로 집계되는데, 이 원가중심점이 1차적인 원가중심점인가 아니면 모든 원가가 최종적으로 집계되는 원가중심점인가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모든 원가가 최종적으로 집계되는 원가중심점, 즉 수익이 발생되는 부문을 수익중심점(Profit centers)이라 한다. 수익중심점의 설정방법에 따라 원가분석의 방향도 달리하게 되므로 원가중심점의 설정과 함께 과별원가 계산을 설계함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면서도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대학 병원(예컨대, 고려대학교병원 등)과 같이 병원 그룹화 되어있는 병원에는 지방에 다수의 하위 병원(예컨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등)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병원 그룹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병원들은 각각의 경영관리 등을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을 위해서는 동일한 기준에 의해 데이터를 집계하고 배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는 각각의 병원별로 구축되어진 다수의 경영관리시스템(200; MIS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과, 상기 경영관리시스템(200)로부터 비용 또는 수익 등의 정보를 집계하여 원가 또는 손익을 분석하고 관리하는 원가관리 서버(100)가 포함되어 구성되게 된다.
상기 원가관리 서버(100)는 상기 각각의 경영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용정보를 설정되어 있는 원가중심점별로 집계하여 저장하고, 또한 상기 경영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수익정보를 설정되어 있는 수익중심점별로 집계하여 저장하며, 사전에 지정되어 있는 비용 배분조건과 수익 배분조건에 따라 집계 된 비용과 수익을 원가중심점이나 수익중심점 등으로 배분한 후, 각각의 원가중심점이나 수익중심점 별로 원가를 분석하거나, 아니면 각각의 병원별로 원가를 분석하거나, 아니면 병원 그룹의 종합 원가를 분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영관리시스템(200)에는 인사급여 관리서버(210)와 구매 관리서버(220)와 재무회계 관리서버(230) 및 고정자산 관리서버(240)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인사급여 관리서버(210)는 상기 원가관리 서버(100)가 원가중심점별 인건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인건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구매 관리서버(220)는 상기 원가관리 서버(100)가 원가중심점별 재료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재료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재무회계 관리서버(230)는 상기 원가관리 서버(100)가 원가중심점별 관리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관리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고정자산 관리서버(240)는 상기 원가관리 서버(100)가 원가중심점별 감가상각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감가상각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영관리시스템(200)에는 처방전달(Order Communication System) 관리서버(25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는데, 상기 처방전달 관리서버(250)는 상기 원가관리 서버(100)가 수익중심점별 수익정보를 집계할 수 있도록 수익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처방전달 관리서버(250)는 상기 경영관리시스템(200)과는 별도로 운영되며 수익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원가관리 서버(100)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가관리 서버(100)는 각각의 병원에서 발생된 비용을 최초로 집계하는 단위로 선택받은 다수의 원가중심점과, 상기 다수의 원가중심점 중 하나의 원가중심점에서 단독으로 발생되는 직접비와 두 개의 원가중심점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간접비와 상기 직접비와 간접비 이외에 발생되는 공통비에 대한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등을 포함하는 비용조건을 등록(s101)받아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s121)를 구축하게 되는데, 상기 원가중심점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등의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로도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직접진료부분의 각과에 더하여 간접진료부문에 속하는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등의 과나 검사실 등을 포함하여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비용조건 중, 비용 배분조건의 경우 직접비는 비용이 집계된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다시 배분되고, 간접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구분되어지거나 할당되어질 수 있는 직접인건비나 식사비나 입원 환자의 수나 점유면적 또는 의료기기 가액 등의 데이터를 인수로 하여 사전에 설정되어진 배분기준에 따라 역시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되고, 공통비는 각각의 원가중심점별 인과관계나 부담능력이나 수혜정도 등의 요인이 반영되어 설정되어진 가중치 등을 적용한 배분기준에 따라 역시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원가관리 서버(100)는 선택받은 다수의 수익중심점과, 상기 다수의 수익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등을 포함하는 수익조건을 등록(s102)받아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s122)를 구축하게 되는데, 상기 수익중심점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등의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로도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직접진료부분의 각과에 더하여 간접진료부문에 속하는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등의 과나 검사실 등을 포함하여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수익조건 중, 수익 집계조건은 진찰료, 수기료, 처치료, 수술료, 마취료, 일반검사, 특수검사, 물리/이학검사, 핵의학검사, 진단방사선, 치료방사선, 건강진단 등의 행위수익과, 주사료, 투약료, 진료재료, 핵의학재료, 혈액료 등의 재료수익과, 입원료, 병실료차액, 식대, 제증명료 등의 기타수익으로 구분되어 집계되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후, 원가관리 서버(100)는 병원별 경영정보시스템(200)로부터 직접 인건비 및 직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직접비를 수신하여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s123)에 저장(s103)하고, 간접 인건비 및 간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간접비를 수신하여 역시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s123)에 저장(s104)하며, 지원부분 등에서 발생되는 공통비(s105)를 포함하는 비용정보를 수신하여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s123)에 저장(s124) 하게 된다. 전술한바와 같이 이러한 경영관리시스템(200)에는 인사급여 관리서버(210)와 구매 관리서버(220)와 재무회계 관리서버(230) 및 고정자산 관리서버(240)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원가관리 서버(100)는 상기 인사급여 관리서버(210)로부터 원가중심점별 인건비를 집계할 수 있는 인건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관리서버(220)로부터 원가중심점별 재료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재료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재무회계 관리서버(230)로부터 원 가중심점별 관리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관리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정자산 관리서버(240)로부터 원가중심점별 감가상각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감가상각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원가관리 서버(100)는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s123)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비용정보를 독출하여 비용 배분조건에 따라 원가중심점별로 비용을 배분(s106)하며 원가 데이터베이스(s125)를 구축하게 된다.
또한 원가관리 서버(100)는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200)로부터 수익정보를 수신하여 저장(s107)하며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s124)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한데, 수익정보는 경영정보시스템(200)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아니면 병원에서 별도로 운영하는 처방전달 관리서버(25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원가관리 서버(100)는 상기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s124)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수익정보를 독출하여 수익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수익중심점별로 수익을 배분(s108)하며 수익 데이터베이스(s126)를 구축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원가관리 서버(100)는 원가 데이터베이스(s125)와 수익 데이터베이스(s126)로부터 배분된 비용 및 수익을 독출하여 원가중심점이나 수익중심점 또는 각각의 병원별 등으로 원가 또는 손익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알 수 있는 형식 등으로 제공(s109)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는 조건 등록부(110)와 정보 수신부(120)와 정보 저장부(130)와 데이터 할당부(140)와 원가 분석부(150)와 처리결과 출력부(160) 및 시스템 제어부(170)등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조건 등록부(110)는 병원에서 발생된 비용을 최초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원가중심점과, 직접비와 간접비와 공통비 등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등을 포함하는 비용조건과, 수익을 최종적으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수익중심점과, 수익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등을 포함하는 수익조건을 등록받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정보 수신부(120)는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200)로부터 직접비와 간접비와 공통비 등을 포함하는 비용정보와, 상기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200)로부터 수익정보를 더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수익정보를 진찰료, 수기료, 처치료, 수술료, 마취료, 일반검사, 특수검사, 물리/이학검사, 핵의학검사, 진단방사선, 치료방사선, 건강진단 등의 행위수익과, 주사료, 투약료, 진료재료, 핵의학재료, 혈액료 등의 재료수익과, 입원료, 병실료차액, 식대, 제증명료 등의 기타수익으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조건 등록부(110)에서 등록받은 비용조건을 저장하며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비용정보를 저장하며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조건 등록부(110)에서 등록받은 수익조건과 상기 정보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수익정보를 저장하며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와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비용정보 중 상기 인건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200)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사급여 관리서버(2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재료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200)내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 관리서버(22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관리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200)내에 포함되어 있는 재무회계 관리서버(230)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감가상각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200)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정자산 관리서버(24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수익정보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200)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로 운영되어지는 처방전달 관리서버(250)로부터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할당부(140)는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한 비용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비용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원가중심점별로 비용을 배분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한 수익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수익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수익중심점별로 수익을 배분하며, 비용과 수익이 배분된 결과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에 제공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130)가 원가 데이터베이스와 수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비용정보 중 직접비는 비용이 집계된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고 간접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구분되어지거나 할당되어질 수 있는 직접인건비나 식사비나 입원 환자의 수나 점유면적이나 의료기기 가액 및 기타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수로 하여 설정되어진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고 공통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별 인과관계나 부담능력이나 수혜정도나 기타의 요인이 반영되어 설정되어진 가중치를 적용한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원가 분석부(150)는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원가 데이터베이스와 수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배분된 비용 및 수익을 독출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다양한 형식으로 변형하거나 분석하는 역할을 수 행하며, 상기 처리결과 출력부(160)는 상기 원가 분석부(150)에서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가 요청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 또는 출력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시스템 제어부(170)는 상기 조건 등록부(110)와 정보 수신부(120)와 정보 저장부(130)와 데이터 할당부(140)와 원가 분석부(150) 및 처리결과 출력부(160)가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가중심점 및 수익중심점을 설명하기 위한 병원 조직의 참고도표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지원부문 등에서 발생되는 공통비의 배분을 설명하는 참고도표이다. 예시한 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병원의 조직은 크게 직접진료부문과 간접진료부문과 진료지원부문과 행정부문 및 의료원부문 등 다섯 부문으로 나뉜다. 직접진료부문과 간접진료부문은 환자에게 진료행위가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수익과 비용이 동시에 발생한다. 이와 달리 진료지원 부문은 진료행위를 보조해주는 곳으로 비용만 발생시키는 특징이 있다. 일단 환자가 병원에 오면 응급환자가 아닌 이상, 외래에서 진료를 한 후 입원 치료를 받게 된다. 진료행위를 중심으로 조직을 보았을 때 간접진료부문과 진료 지원부문에서 대부분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직접진료부문을 만들어 놓은 것은 여기를 이익중심점으로 보기 때문이다.
부문별 또는 과별원가계산을 하기 위해서 최초로 해야 할 일은 배분대상으로서의 원가부문을 적절히 설정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원가를 최초로 집계하는 단위를 원가중심점이라 한다. 원가중심점의 설정은 원가분석을 위한 가장 기 초적인 작업인 동시에 중요한 부문의 하나이다. 모든 원가요소 중 어떤 특정부문 즉 하나의 원가중심점에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을 직접비라 하며, 두 가지 이상의 원가중심점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간접비라 한다. 원가중심점은 되도록 간접비는 적고, 직접비가 많도록 설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원가중심점을 세분화하는 것이 좋다.
발생된 모든 원가는 설정된 원가중심점으로 집계되는데, 이 원가중심점이 1차적인 원가중심점인가 아니면 모든 원가가 최종적으로 집계되는 원가중심점인가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모든 원가가 최종적으로 집계되는 원가중심점, 즉 수익이 발생되는 부문을 수익중심점(Profit centers)이라 한다. 수익중심점의 설정방법에 따라 원가분석의 방향도 달리하게 되므로 원가중심점의 설정과 함께 과별원가 계산을 설계함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면서도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과별원가계산을 위한 수익중심점을 두 가지로 설정한다. 즉, 하나는 수익중심점을 직접진료부문의 각 진료과로 설정하여 "처방기준 원가계산"을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진료부문을 직접진료부문과 환자를 진료하는 독립된 진료과로 인식하여 직접진료부문 및 간접진료부문의 각 진료과와 검사실을 수익중심점으로 설정하여 "시행기준 원가계산"을 하는 것이다. 수익의 귀속에 관해 과별원가계산에서는 수익중심점을 직접진료부문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의사의 처방부서를 기준으로, 수익중심점을 진료부문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처방의 시행부서를 기준으로 수익을 귀속시킨다. 현행과 같은 행위별 보험수가체계 하에서는 의사의 처방이 곧 수익이므로 일반적으로 처방기준에 의한 원가계산을 실시하고 있다. 처방기준에 의한 원가 계산은 과별 원가계산뿐만 아니라 임상의사별 원가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화된 원가분석방법이다.
수익의 집계는, 처방기준으로 수익을 집계할 경우 해당 진료과는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일반외과, 정형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등의 직접진료부문에 속하는 진료과이다. 발생수익을 수익중심점으로 집계할 때 수익전체를 행위별 구분 없이 집계 한다면, 과별 발생수익은 알 수 있지만, 진료지원부문을 수익중심점으로 배분할 경우 그 배분기준의 선택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과별 수익을 집계할 경우 행위별 수익으로 집계해야 한다. 행위별 수익이란 진료비의 계산을 위해서 진료를 행위별로 구분하고, 그 진료행위(상대가치점수)에 의료보험수가를 곱하여 산출된 금액을 말한다. 시행기준으로 수익을 집계할 경우 해당 진료과는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일반외과, 정형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등의 직접진료부문에 속한 진료과와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근전도실 등의 간접진료부문에 속한 진료과 및 검사실이 된다. 정확한 원가계산을 위해서는 임상 각 과 소속 검사실의 발생수익을 각 검사실별로 집계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수익집계 방법은 병원의 현황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예컨대, 원무통계 기준의 수익집계 방법을 활용하는 것 등)이 가능할 것이다.
원가의 집계는, 간접인건비를 제외한 교원인건비, 직원인건비, 용역인건비등의 직접인건비를 원가 중심점별로 집계 한다. 전산시스템의 급속한 보급으로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인사급여시스템(또는 인사급여 관리서버)을 도입하고 있으므로 종업원에게 급여지급을 위한 본연의 업무 이외에 원가분석을 위한 원가중심점별 인건 비 집계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코드를 부여할 때 원가중심점별, 계정과목별, 직종별 인건비를 필요에 따라 집계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한 개인이 2~3개의 원가중심점에 노동을 제공하고 있는 경우를 대비해서 원가중심점별 인원수를 소수점 한자리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비와 관련하여 원가책임부서는 물품청구 및 불출단계에서 원가중심점을 확인한다. 즉 구매관리시스템(또는 구매 관리서버)에 의한 청구방식은 청구단계에서부터 원가중심점별 청구내역이 관리되며, 불출시점에서는 원가중심점을 입력함으로써 원가중심점별 재료비 집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병원에서 재료비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약품비의 경우 의사 처방에 의해 약품이 각 환자에게 전달되므로 처방전달시스템(또는 처방전달 관리서버)에 의해 약품비가 집계 되도록 했다. 이는 각 환자들로부터 받아야 할 약품비가 의료보험수가에 의해 계산되는 것과 같이 약품비 구입단가에 의해서 소비된 약품비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별, 주치의별, 과별 등의 원가중심점별 약품비 집계가 가능하다. 원가계산을 위한 인건비의 원가중심점별 집계는 인사급여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재료비의 원가중심점별 집계는 구매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관리비의 원가중심점별 집계는 재무회계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지출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세부적인 계정과목의 입력과 동시에 각 계정과목에 대한 원가중심점을 입력한다. 회계처리부서에서는 원가중심점별, 계정과목별 관리비를 집계한다.
직접비가 원가중심점별 집계가 가능한 비용이라면 간접비란 원가중심점별로 집계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한다. 간접비는 전력료, 수도료 등 관리비가 대부분을 차 지하지만 인건비, 재료비 중에서도 일부 발생한다. 이러한 간접비는 합리적인 배분기준을 선택하여 원가중심점별로 배분해야한다. 이러한 간접비에는 간접인건비, 간접재료비, 간접관리비 등이 있는데, 인건비 중 간접비로서는 의료보험 및 국민연금 기관부담금과 같은 지정인건비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모두 인사급여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각 원가중심점으로 집계된 직접인건비를 배분기준으로 각 원가중심점별로 배분한다. 재료비 중 간접비로서는 급식재료비, 환자피복침구비등을 들 수 있다. 급식재료비는 의료수익의 행위별 수익 중 식사료를 기준으로, 환자피복침구비는 입원환자수를 배분기준으로 하여 각 원가중심점으로 배분한다. 관리비 중 간접관리비로서는 수도광열비(전기료, 수도료, 연료비), 용역비(청소, 경비, 세탁용역비), 보험료(건물화재, 의료기기보험료), 감가상각비(건물, 비품감가상각비)등이 있다. 수도광열비, 청소, 경비용역비, 건물화재보험료, 건물감가상각비는 원가중심점별 점유면적과 관련이 있으므로 점유면적을 배분기준으로, 세탁용역비는 입원환자와 관련이 있으므로 입원환자수를 배분기준으로, 의료기기보험료는 의료기기가액을 배분기준으로 하여 각 원가중심점으로 배분한다.
지원부문(직접진료부문과 간접진료부문을 제외한 진료 지원부문, 행정관리부문 그리고 의료원부문을 포함한 총체적 지칭)의 배분기준을 살펴보면, 과별원가계산을 위하여 병원조직을 크게 진료부문과 지원부문으로 구분하고 있다. 지원부문은 진료부문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부문간에도 서로 서비스를 주고받으며, 지원부문 자체에서 만드는 서비스를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지원부문은 특수한 원가배분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렇지만 지원부문은 본질적으로 진료부 문의 환자진료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원부문에서 발생한 모든 원가는 진료부문으로 배분되어야 한다. 지원부문에서 발생한 원가, 즉 지원부문비를 진료부문에 배분하는 방법에는 직접배분법, 계제식배분법, 상호배분법, 준계제식배분법 등이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모델에서는 도 5와 같이 준계제식배분법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원가의 배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인과관계기준, 부담능력기준, 수혜기준, 공정성과 공평성 기준 등을 참고로 하여 병원의 형편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간접비인 연료비를 각 원가중심점으로 배분할 때, 병동부문은 외래부문보다 연료의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병동부문은 외래부문에 비하여 가중치를 더 둘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한 배분기준 중 이론적으로 합당하고, 경제적으로 선택 가능한 것을 선택한다. 지원부문비를 어떤 기준에 의하여 배분하느냐에 따라 진료과의 원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배분기준을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지원부문비를 진료부문에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원부문이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을 가장 잘 반영해 줄 수 있는 배분기준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가장 합리적인 배분기준은 지원부문비의 발생과 인과관계가 있어야 하며 사용하기 쉬운 것이라야 한다. 또한 지원부문비를 합리적인 배분기준에 따라 배분하게 되면, 지원부문 관련자는 지원부문비의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진료부문 관계자는 지원부문비가 인과관계에 따라 배분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지원부문의 서비스 사용을 절제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원부문은 우선 행정관리부문과 진료 지원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행정관리부문은 다시 총무팀, 재무팀, 관리팀, 보험심사팀, 고객서비스팀, 시설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총무팀은 직원관리를 주업무로 하고 있으므로 직원수를 배분기준으로, 관리팀은 직원수와 수리요청건수 등을 배분기준으로, 원무팀은 환자수를 배분기준으로, 시설팀은 점유면적 등을 배분기준으로 하여 각 원가중심점별로 배분한다. 진료지원부문은 약제부문(약제팀), 영양공급부문(영양팀), 의무기록부문(의료정보팀), 중환자실, 일반병실, 공통부문(수술실, 회복실)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약제부문비는 투약처방량을 배분기준으로, 의무기록부문비는 환자수를 배분기준으로, 중환자실 및 일반병실 부문비는 재원환자수를 배분기준으로, 공통부문 중 수술공통비는 수술시간을 배분기준으로, 회복실은 마취시간을 배분기준으로 각 원가중심점별로 배분한다. 한편 신생아실, 신생아집중치료실, 분만실, 산부인과병동, 정신과병동으로 집계된 원가는 단일 진료과로 전액 배분해야 한다. 왜냐하면 신생아실 및 신생아집중치료실의 발생수익은 소아과로, 분만실 및 산부인과병동의 발생수익은 산부인과로, 정신과병동의 발생수익은 전액 정신과로 귀속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전액배분부문은 지원부문 소속으로 할 수도 있으며, 진료부문 소속으로 할 수도 있다. 진료부문 소속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배분의 개념은 없어지게 된다. 간접진료부문비의 배분기준은 수익중심점을 직접진료부문으로 설정한 경우에 필요한 것이며, 수익중심점을 진료부문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간접진료부문은 진단방사선과, 핵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등으로 임상각과의 처방지시를 시행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처방을 할 수 있는 의사가 소속된 부문이다. 간접진료부문은 직접진료부문의 처방지시를 시행하지만, 그 수익은 처방을 지시한 직접진료부문의 임상각과로 귀속되므로 간접진료부문비의 배분기준은 임상각과로 집계된 행위별 수익을 기준으로 한다. 즉 진단방사선과로 집계된 원가는 임상각과의 진단방사선과 처방량을 배분기준으로, 핵의학과로 집계된 원가는 핵의학과 처방량을 배분기준으로, 마취과로 집계된 원가는 마취시간을 배분기준으로, 임상각과 소속검사실로 집계된 원가는 임상각과 소속검사실 처방량을 배분기준으로 하여 각 수익중심점별로 배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가관리 시스템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 예를 설명토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가 배분기준 정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원가배분은 크게 하위배분과 과별배분이 있는데, 하위배분 할 때 활동을 감안하여 배분한다. 하위부서로 비용을 내리는 이유는 각 실, 파트별 활동에 따라 독립된 배분기준을 사용해야 할 필요성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간접진료부문의 원가를 과별 배분할 때에도 활동이 가미된 상대가치 점수를 배분기준으로 하였다. 의사업무량과 진료비용을 감안하여 고안된 개념으로 단순한 수익을 배분기준으로 사용한 전통적 원가시스템보다 합리적인 배분기준인 상대가치란 미국 하버드대학의 Hsiao(샤오)교수의 투입자원에 근거한 행위별 수가산정 모형인 자원기준 상대가치 체계(RBRVS; Resource Based Relative Value Scale)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고안 한 것이다. 정부주도의 수가고시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1996년 연세대학교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에 연구를 의뢰하였다. 여기서 치협, 의협의 모든 분과학회, 보험자, 연구소가 함께 참여하여 각 진료행위를 세분화하고 각 항목의 행위별 상대 가치를 개발했다. 이를 근간으로 2000년 7월 수가계약제를 근간으로 하는 국민건강보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또한 간접비를 최대한 축소하여 전통적 원가에서 문제되었던 간접비 배분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인건비는 최소 기능단위까지 직접 집계하였고, 진료재료나 약품비도 처방전달 관리시스템(OCS)을 기반으로 처방을 내린 원가중심점별로 직접 귀속하였다. 또한 수도광열비는 시설과의 계산로직을 활용하여 원가중심점별로 직접 귀속하였다.
또한 웹(Web)화면에서 프로그램적으로 수익 및 손익의 포트폴리오 분석(도 7)을 하게 하여 과별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는 원가분석시 단순 작업을 전산이 해결해 줌으로써 담당부서는 고차원적인 분석을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도 8은 임상과별 하위검사실 예시한 것으로, 원가대상으로 규정된 과의 하위 검사실이더라도 타과처방이 있는 경우는 해당과로 비용배분을 하여 원가의 왜곡을 최대한 축소시켰다.
또한 공통비는 과별, 계정별을 모두 감안하여 최대한 세분화하여 배분하였다. 감가상각비/비품의 경우 원가대상에 집계된 경우는 직접비로 처리하였으며, 그 외의 부문에서 발생한 감가상각비/비품은 공통비로 처리하였다.
도 9는 임상과별 수익집계화면과 부서별 인건비현황 조회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수익의 집계; 수익의 집계는 직접진료부문의 외래환자 접수과를 원가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원무통계 기준 수익집계를 사용한다. 따라서 원가대상이 아닌 간접진료부문의 진단방사선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핵의학과의 수익은 원가수익에서 배제시켰다. 또한 사정감액과 약정감액을 집계하여 감액이 끝난 후의 수익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익항목을 행위수익과 재료수익 및 기타수익으로 집계하였는데, 행위수익은 원무통계 총수가의 종별개념에서 진찰료, 수기료, 처치료, 수술료, 마취료, 일반검사, 특수검사, 물리/이학검사, 핵의학검사, 진단방사선, SONO, CT, MRI, 치료방사선, 건강진단으로 정의하였고, 재료수익은 주사료, 투약료, 진료재료, 핵의학재료, 혈액료로 그리고 기타수익으로는 입원료, 병실료차액, 식대, 제증명료, 기타로 정의하였다. 집계된 수익에 대한 배분기준은 원무통계 총수가의 배분기준과 동일하며 이는 처방기준수익배분기준을 기본개념으로 외래수익의 경우 외래환자의 접수과를 우선 적용하는 배분기준이고 입원수입의 경우는 입원환자의 재원소속과를 우선 적용하는 배분기준이다. 이러한 수익집계 및 배분기준은 향후 각각의 항목을 보다 세분화 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원가분석에서 비용은 특정제품 또는 용역을 생산하기 위하여 소비된 경제가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용은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사급여 관리시스템, 구매재고 관리시스템, 재무회계 관리시스템, 고정자산 관리시스템 등에서 각각 집계하고 있다. 재무회계는 재무상태의 보고가 주목적이 있는 반면, 원가회계는 경영을 위한 내부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므로 재무시스템과는 별도의 기준으로 비용을 집계하였다.
인건비 집계; 원가시스템은 최하 기능부서단위로 급여일(25일)기준으로 인원 및 인건비를 집계하므로 인사과의 발령일자, 발령근무지 집계방식과는 구별된다. 전체 원가비용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인건비를 최대한 직접비화 함으로써 정확한 원가계산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가시스템의 인원, 인건비 집계는 실제 근무하고 있는 최하 기능부서단위로 집계하며, 인사급여 관리시스템(PDSS)에 실 근무 부서관리를 위한 별도의 입력란(C/C 입력란)을 만들어 집계하였다. C/C는 Cost Center의 약어로 인사시스템에서 관리되어지고 있지 않는 비용접점을 만들어 놓은 실제 근무부서를 Cost Center라 한다. 이것은 인사관리상의 부서개념과 원가분석상의 부서개념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원가분석에서만 사용하는 부서코드라 할 수 있다. 이는 인사과의 실제 근무부서 인력관리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과의 인건비는 물론이고, 최소 기능단위까지 직종별, 계정별 인건비 집계가 가능하여 과실기능부서별로 계정별 직종별 인건비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과 하위의 기능단위인 각 실 및 파트단위로 인건비를 집계하였으며, 하위 기능단위에 공통으로 기여하는 인원의 경우는 상위 단위로 인건비 집계한다. 예로 소화기내과 상부소화관실과 하부소화관실의 업무를 동시에 담당하는 인력은 상위 기능부서인 내시경실 인원으로 카운트 한다. 인건비의 집계일자는 급여가 지급되는 25일로 하며, 원가시스템의 인원과 인사상의 인원은 차이(예컨대, 퇴직했으나 잔여 정산금액이 나가는 경우 인사급여 관리시스템의 인원은 0명, 원가시스템은 1명으로 집계되는 등)가 있을 수 있다. 전임교원, 임상교원의 인건비는 의과대학에서 지급되므로 재무시스템에서는 비용처리가 되지 않는다. 이들의 인건비에는 병원의 전출금과 의과대학 의 등록금 수입이 포함되어 있는데, 병원원가계산을 위해서는 등록금 수입분을 제외시켜야 한다. 다만 임상교원은 병원에서 전액 지급하므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전임교원이다. 전임의, 레지던트, 인턴은 병원에서 지급되므로 인사급여 관리시스템(PDSS)의 데이터를 가져오며, 레지던트 및 인턴은 배치 순환표를 기준으로 과별 인건비를 집계하였다. 또한 일반직은 인사급여 관리시스템(PDSS)의 인건비를 각 기능실별로 집계하였다.
약품비 집계; 처방전달 관리시스템(OCS)에서 처방 낸 데이터와 주물품 청구분을 기초로 약품비를 각 과별로 산정한다. 처방전달 관리시스템(OCS)처방 및 주물품 집계에는 병동 조제내역 집계, 병동 반납 집계, 병동 검사처방 중 약품사용량 집계(병동에서 사용한 총량 데이터 산출), 외래 조제내역 집계, 외래 반납집계, 외래 검사처방 중 약품사용량 집계(외래에서 사용한 총량 데이터 산출), 약품 청구출고 집계, 재고조정 집계, 약품별 단가 계상(이동평균단가 이며 소급 수정됨), 시약 수불 내역 집계 원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품비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실제 전산상의 처방과 약제팀에서 불출한 수량간은 일치하지 않으며, 매달 마감때 약제팀에서 재고조정을 통하여 전산상의 이론상 재고를 실재고에 맞추게 한다. ① 원료약품 : 중간단계에서 소비되는 약품, 증류수 ② 백신 : 처방개수와 불출량이 불일치 ③ 시험약 : 처방은 나지 않지만, 불출은 발생 ④ 환산단위 처방 : 주사약의 경우 1개 앰플로 불출하지만, 처방은 0.3 혹은 0.1로도 나오기도 하며, 소아과의 경우 3명의 환자에게 0.1, 0.5, 0.2 총 0.8앰플 처방이면 1개를 불출하거나 또는 3개를 불출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즉, 약제팀의 이론상 재고(OCS 처방기준)는 0.8로 카운트되나, 실재고와 차이가 있게 된다.(실재고는 1개 2개로 불출되었으므로)이론상의 재고를 수정하여 실재고와 맞추는 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소아과의 경우는 진료재료 수익보다 재고조정 된 진료재료비용이 크게 집계된다.
진료재료비 집계; 진료재료비 산정 기준은 비용의 취합 방법에 따라 전표발생 기준, 부서입고(구매관리팀 불출)기준, 현장사용량기준, OCS 처방량 기준 등 크게 4부분으로 나뉘어 질 수 있으나 OCS 처방량 기준으로 집계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이다. OCS 처방량 기준의 집계는 진료재료를 처방성과 비처방성으로 나누어, 처방성 진료재료는 OCS 처방량 자료를 가지고 오며, 비처방성은 구매팀과 관리팀 출고 금액기준으로 산출하는 방법이다. 진료재료비를 직접비로 처리가능하며, 현업에서 원가산정을 위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
산출방식은 다음과 같다.
각 부서의 사용금액 = 처방성 금액 + 비처방성 금액
처방성 진료재료 = 부서의 월 OCS 처방개수 ㅧ 구매관리과 단가
비처방성 진료재료 = 부서의 월 입고개수 ㅧ 구매관리과 단가
비처방성금액은 1년 중 OCS 처방량이 한건도 발생되지 않은 물품으로 정의하여 집계하였다. 하지만 비처방성 재료를 구분하기가 다소 어렵다는 것과 환산단위가 필요한 물품의 정리가 선행되어지고 계속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실제 사용되어지는 양과 오차가 있을 것이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선 충분한 고찰과 실사를 통해 명확한 프로세스를 정립해야 할 것이다.
진료재료비기타 집계; 진료재료비기타는 의료기재비, 의업리스료, 의료보상 비, 급식비로 구분된다. 의료기재비는 부서입고금액을 집계하므로 재무회계와는 시점차이가 발생한다. 의료보상비는 구분기준이 없어 공통비로 처리한다. 영양팀 비용(급식비)은 공통비 처리하고, 건진센터에서 환자들에게 서비스로 지급하는 급식비용은 건진센터 비용으로 처리한다.
관리비 집계; 관리비에는 귀속부서에 따라 직접비화 할 수 있는 계정과목과 그렇지 않은 공통비 계정과목으로 나눈다. 공통비성 경비는 지원부문의 계정별로 전표발생을 시키고 있으나, 각 과로 집계된 비용 중에도 공통비성 경비는 존재한다(예컨대, 감가상각비/비품의 경우 해당과로 직접 집계되지만, 공통비성 경비로 계정별 배분기준에 따라 각 과로 배분된다). 종류로는 복리후생비, 여비교통비, 통신비, 수도광열비, 사무용품비, 소모품비, 피복세탁비, 도서인쇄비, 홍보비, 세금과 공과금, 감가상각비, 수선유지비, 차량유지비, 보험료, 용역비, 수수료, 교육연수비, 의료사회사업비, 일반리스료, 행사비, 지급임차료, 회의비, 접대비, 조사비, 대손상각비, 잡비 등 현재 총26항목이 있다. 대부분 지원부문으로 전표 발생된 공통비 계정과목들이며, 일부분은 각 과로 집계된다(예: 감가상각비/비품, 의료기기).
도 10은 하위부서 및 타 부서 비용 배분 로직 화면을 예시한 것이며 도 11은 병원의 부문 구분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12는 공통비의 배분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의료원 부문의 배분화면 및 배분기준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4는 진료지원부문 내 팀의 배분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집계된 비용의 배분은 계정별 공통비 배분이 끝난 후에 집계된 비용을 설정된 원가대상으로 배분한다. 1차적으로 하위부서배분을 하며, 각 실 및 파트별로 내린 금액을 타 과로 배분한다. 또한 공통비는 도 11과 같이 의료원부문 행정지원부문 진료지원부문 간접진료부문 직접진료부문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배분한다.
공통비 배분; 계정 성격상 또는 현재 집계 로직상 한 과의 비용으로 볼 수 없으며, 병원 전체의 비용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일정한 배분기준을 가지고 각 과로 배분해 준다. 형식적으로는 간접비적인 배분절차가 일어나지만, 실질은 직접비 집계가 불가능한 계정 과목이므로 실질적인 직접비에 포함된다(예: 인턴인건비, 용역비). 이러한 공통비에는 인턴인건비, 잡급, 부담금(사학연금,의료보험료,재해보상금,국민연금)과 관리비(복리후생비, 여비교통비, 통신비, 수도광열비, 사무용품비, 소모품비, 피복세탁비, 도서인쇄비, 홍보비, 세금과 공과, 원가대상 외로 집계된 감가상각비, 수선유지비, 차량유지비, 보험료, 용역비, 수수료, 교육연수비, 의료사회사업비, 일반리스료, 행사비, 지급임차료, 회의비, 접대비, 조사비-의국비, 대손상각비, 잡비 등)가 있다. 이러한 공통비의 배분기준은 비중이 큰 계정과목은 직접비화를 하였으며, 그 외는 계정성격에 따라 배분하였다. 감가상각비는 고정자산 관리시스템과 연동하여 배분하였고, 수도광열비는 시설팀 로직으로 직접 집계(면적을 기초로 전기 및 수도사용량이 많은 실에 가중치를 두어 직접집계)하였다. 향후 직접비화가 가능한 공통비의 계정과목들은 계속 적으로 직접비화 하여야 할 것이다.
의료원부문 배분; 조직 편제상 의료원의 부서이며, 다수개의 병원을 관할하는 부서이다. 주로 규모와 관련되므로 병원별 병상수를 배분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의료원 업무와 병원의 업무를 함께 수행하는 과는 기초비용에서 일정부분을 해당 병원으로 배분하고(시스템 내부적으로 비용을 나누어 일정부분을 해당 병원으로 직접 배분), 의료원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는 전체비용을 각각의 병원으로 분배하여 배분하였다.
행정관리부문 배분기준; 행정부서인 총무과, 원무과, 보험심사과, 고객서비스팀, 시설과의 비용을 배분한다. 배분화면은 의료원부문의 배분화면과 같고 부서만 서로 다르다. 배분기준은 업무 성향에 따라 총직원수, 전체환자수, 재원환자수, 입원환자수, 외래환자수, 보험청구건수, 면적 등이 있다.
진료지원부문 배분기준; 간호부, 약제과, 영양과, 감염관리실, 의무기록실, 적정진료관리팀의 비용을 배분한다. 배분화면은 의료원부문의 배분화면과 같고 부서만 서로 다르다. 배분기준은 업무 성향에 따라 간호직수, 공통주사건수, 공통 TPN + 항암제, 야간응급 접수 + 수납환자수, 식사건수 등이 있다. 배분기준에 대한 1차 검증은 각 과별로 했으나, 향후 진보된 배분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간접진료부문 배분기준; 처방을 수행하는 과(실시부서)와 원가대상의 하위검사실 중 타과 처방이 발생하는 검사실로 구성된다. 배분기준은 기본적으로 각 과 또는 검사실에서 발생하는 상대가치 점수를 활용하였으며, 상대가치 점수가 없는 검사실의 경우는 실시부서 수익을 배분기준으로 활용하였다. MRI실은 비급여이므로 상대가치가 없고, 실시부서 수익을 배분기준으로 하였다.
도 16은 병원별 원과 분석 총괄표를 예시한 것이며, 도 17은 진료과별 원과 분석 총괄표를 예시한 것이며, 도 18은 CVP(Cost Volume Profit) 분석화면 예시한 것이다. 또한 도 19는 수익 바 차트와 비용 라인 차트를 예시한 것이며, 도 20은 인건비 라인 차트와 예시손익 라인 차트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형태로 출력되는 원가분석 결과물을 설명하면, 원가분석 결과는 원가분석보고서군(群), 포트폴리오분석군, 바차트분석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가분석 보고서에는 병원별 원가분석 총괄표, 진료과별 원가분석보고서, 진료과별 CVP(Cost Volume Profit) 분석보고서 등이 있다. 병원별 원가분석 총괄표는 병원의 전 부서의 수익 및 비용과 감액이 반영된 손익을 계산하여 각 과의 손익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진료과별 원가분석보고서는 해당과의 손익, 유형별 수익과 유형별 비용, 인원현황, 공간, 환자수, 재원일수, 교원 1인당 수익 등등 각 과의 모든 지표를 나타내었다. 또한 진료과별 CVP분석보고서는 임상과의 손익분기점 분석을 통하여 각 과가 가지는 특성(예컨대, 고정비와 변동비의 규모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그 결과에 따라 다양한 전략(예컨대, 마이너스를 기록한 A과와 B과의 경우 A과는 환자수를 늘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는 반면, 환자수를 늘려야 하는 B과는 고수익을 올릴 상병개발이 우선되야 함 등을 전략화 하는 등)의 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도 7의 포트폴리오 분석표를 참조하면 1군는 수익과 순이익이 모두 높은 과이고, 2군은 수익은 평균보다 낮지만 순이익을 발생하는 과이고, 3군은 수익은 평균보다 높지만 손실이 발생하는 과이며, 4군 수익도 낮고 손실도 발생하는 과이다.
또한 바차트 분석에는 수익, 비용 바차트 분석표가 있으며, 추후 더 많은 지표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간별 라인차트 분석에는 기간별로 과별 수익, 비용, 손익 및 인건비, 재료비, 관리비등의 라인차트분석표가 있으며, 역시 추가지표를 개발하여 보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설명되지 않는 도 15는 전술된바 있는 상대가치 산출 방법 및 상대가치를 이용한 배분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상대가치의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이 4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되게 된다.
1) 1단계 - 의료행위 항목을 기술 : 의료적 행위와 그렇지 않은 행위를 구분하여 의료적 행위를 정의하였다. 의료행위는 최초 8,687개 이던 것이 최종적으로 8,445개 항목으로 조정되었고, 치과의료행위는 최초 2,032개 항목이 최종적으로 1,321개 항목으로 조정되었다.
2) 2단계 - 의사업무량 상대가치 : 의사업무량 측정은 Hsiao모형에 근거하였다. 업무량 시간은 실제 의료행위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업무량 강도에 해당되는 육체적노력, 정신적노력, 스트레스의 요소는 규모측정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3단계 - 진료비용 상대가치 : 총비용 중에서 의사인건비(전공의 인건비 제외)와 약품비, 직접 보상되는 재료비를 제외한 기초비용을 각 행위별로 원가계산하였다.
4) 4단계 - 상대가치 종합 및 조정 : 의사업무량과 진료비용 상대가치를 의료기관의 종별 차이와 각 과의 차이를 감안하여 가중치를 두어 최종적인 상대가치를 산출하였다.
상기의 단계를 거쳐 산출된 상대가치는 다음의 배분기준에 의해 배분되게 된다.
1) 상대가치는 수익에 가산되는 종별가산, 선택진료료, 진찰료가산, 간호등급가산(입원수익), 방사선과의 전문의 판독가산 등이 배제된 순수한 행위적인 배분기준이다. 따라서, 전통적 방식의 수가배분기준을 할 경우 왜곡될 수 있었던 부분을 과감히 혁파한 신 개념의 배분기준이다.
2) 상대가치는 의사의 기술, 숙련도 및 스트레스 등의 질적인 면을 고려한 개념으로 상대가치가 높은 행위는 인건비, 관리비가 높은 행위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는 정부와 민간에서 다년간 연구하여 산정한 수치이므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이다.
간접진료부문에서 발생한 비용을 원가대상의 상대가치 비율에 따라 각각 배분한다. 상대가치점수가 없는 비급여의 경우는 과별 발생수익을 기준으로 비용을 배분(예컨대, MRI실의 비용 배분시 MRI의 처방과별 수익으로 비용 배분하는 등)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경우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병원의 진료행위를 중심으로 하여, 원가를 구성하는 요소인 인건 비, 약품비와 진료재료비 및 진료재료비 등의 재료비, 그리고 관리비 및 감가상각비 등을 원가의 집계 및 배분단위인 단위인 원가중심점(Cost Center) 별로 분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병원이 구비되어 운영되는 병원 그룹 등에서 원가 또는 손익 분석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것이다.
처방부서나 부속실 등으로 약품이나 재료 등의 물품이 불출 될 때마다 작성되는 전표만을 집계하여 전체 비용을 파악하는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원가분석을 통해 병원 내부 구성원들에게 원가절감의식을 고양시키기 위한 기본정보로 활용될 수 있어서, 아무런 계획이나 제제 없이 자원을 낭비하여 왔던 과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정확한 원가분석에 따른 합리적인 예산의 책정 및 자원의 배분이 가능하며, 사용된 예산 및 자원에 대한 실적평가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구성원들의 비용에 대한 명확한 목표의식 고양과 아울러, 자발적인 책임경영에의 참여를 유인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과거에는 책정된 예산이나 재고관리에 대한 기준이 없어서 부족분을 대비하여 다량으로 물품을 구매하였던 문제점 등을, 비용구조의 분석을 통해 예산을 책정할 수 있음으로써 재고가 감소하는 효과와 아울러 실직적인 비용절감의 효과도 있어서,
의료분야의 무한경쟁 시대에 병원의 경쟁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궁극적이며 거시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18)

  1. 각기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다수의 병원을 포함하는 병원 그룹의 원가관리 및 손익분석 방법으로서,
    (a) 소정 원가관리 서버가 병원에서 발생된 비용을 최초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원가중심점(Cost Center)과, 상기 다수의 원가중심점 중 하나의 원가중심점에서 단독으로 발생되는 직접비와 두 개의 원가중심점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간접비와, 상기 직접비와 간접비 이외에 발생되는 공통비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병원 그룹에서 정의한 비용조건을 등록(s101)받아 단위병원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s121)를 구축하는 단계; 와
    (b)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MIS)로부터 직접 인건비 및 직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직접비(s103)와, 간접 인건비 및 간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간접비(s104)와, 지원부분에서 발생되는 공통비(s105)를 포함하는 비용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s123)를 구축하는 단계; 와
    (c)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상기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s123)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비용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s121)에 저장되어 있는 비용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원가중심점별로 비용을 배분(s106)하며 원가 데이터베이스(s125)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원가관리 방법은
    (d)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원가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을 최종적으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수익중심점(Profit Center)과, 상기 다수의 수익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병원 그룹에서 정의한 수익조건을 등록(s102)받아 단위병원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s122)를 구축하는 단계; 와
    (e)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MIS)로부터 수익정보를 수신하여 저장(s107)하며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s124)를 구축하는 단계; 와
    (f)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상기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s124)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수익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s122)에 저장되어 있는 수익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수익중심점별로 수익을 배분(s108)하며 수익 데이터베이스(s126)를 구축하는 단계; 및
    (g) 상기 원가관리 서버는 상기 원가 데이터베이스(s125)와 수익 데이터베이스(s126)로부터 배분된 비용 및 수익을 독출하여 병원 그룹 및 단위병원의 원가 및 손익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는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하거나 출력(s109) 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중심점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중심점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및 기타의 과나 실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간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검사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정보 중,
    상기 인건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사급여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 과,
    재료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 과,
    상기 관리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재무회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 및
    상기 감가상각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정자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배분조건은
    직접비는 비용이 집계된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되어지는 것; 과,
    간접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구분되어지거나 할당되어질 수 있는 "직접인건비"나 "식사비"나 "입원 환자의 수"나 "점유면적"이나 "의료기기 가액" 및 기타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수로 하여 설정되어진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되어지는 것; 과,
    공통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별 "인과관계"나 "부담능력"이나 "수혜정도"나 기타의 요인이 반영되어 설정되어진 "가중치"를 적용한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중심점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중심점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및 기타의 과나 실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간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검사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정보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로 운영되어지는 처방전달 관리(OCS)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집계조건은
    진찰료, 수기료, 처치료, 수술료, 마취료, 일반검사, 특수검사, 물리/이학검사, 핵의학검사, 진단방사선, 치료방사선, 건강진단 및 가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행위수익과,
    주사료, 투약료, 진료재료, 핵의학재료, 혈액료 및 기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수익과,
    입원료, 병실료차액, 식대, 제증명료 및 기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타수익으로 구분되어 집계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다수의 병원이 별도로 운영되는 병원 그룹의 원가관리 및 손익분석 서버장치로서,
    소정 병원에서 발생된 비용을 최초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원가중심점(Cost Center)과, 상기 다수의 원가중심점 중 하나의 원가중심점에서 단독으로 발생되는 직접비와 두 개의 원가중심점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간접비와, 상기 직접비와 간접비 이외에 발생되는 공통비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용조건과,
    하나 이상의 상기 원가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을 최종적으로 집계하는 단위인 다수의 수익중심점(Profit Center)과, 상기 다수의 수익중심점에서 발생되는 수익의 집계조건 및 배분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익조건을 등록받는 조건 등록부(110); 와
    상기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MIS)로부터 직접 인건비 및 직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직접비와, 간접 인건비 및 간접 재료비를 포함하는 간접비와, 지원부분에서 발생되는 공통비를 포함하는 비용정보와,
    상기 병원의 경영정보 시스템(MIS)로부터 수익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20); 와
    상기 조건 등록부(110)에서 등록받은 비용조건을 저장하며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비용정보를 저장하며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조건 등록부(110)에서 등록받은 수익조건과 상기 정보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수익정보를 저장하며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와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정보 저장부(130); 와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비용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한 비용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비용조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비용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원가중심점별로 비용을 배분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수익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한 수익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수익조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수익 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수익중심점별로 수익을 배분하며,
    비용과 수익이 배분된 결과를 상기 정보 저장부(130)에 제공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130)가 원가 데이터베이스와 수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하는 데이터 할당부(140); 와
    상기 정보 저장부(130)의 원가 데이터베이스와 수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배분된 비용 및 수익을 독출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다양한 형식으로 변형하거나 분석하는 원가 분석부(150); 와
    상기 원가 분석부(150)에서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가 요청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 또는 출력 시키는 처리결과 출력부(160); 및
    상기 조건 등록부(110)와 정보 수신부(120)와 정보 저장부(130)와 데이터 할당부(140)와 원가 분석부(150) 및 처리결과 출력부(160)가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부(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중심점이나 수익 중심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중심점이나 수익 중심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정형외과 및 기타의 과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직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진단방사선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내시경실, 심장초음파검사실 및 기타의 과나 실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간접진료부문의 각 과와 검사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비용정보 중 상기 인건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사급여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재료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관리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재무회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감가상각비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는 고정자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 과
    상기 수익정보는 상기 경영정보시스템(MIS)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로 운영되어지는 처방전달 관리(OCS)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할당부(140)는
    상기 비용정보 중 직접비는 비용이 집계된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고, 상기 간접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 별로 구분되어지거나 할당되어질 수 있는 직접인건비나 식사비나 입원 환자의 수나 점유면적이나 의료기기 가액 및 기타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수로 하여 설정되어진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고, 상기 공통비는 상기 각각의 원가중심점별 인과관계나 부담능력이나 수혜정도나 기타의 요인이 반영되어 설정되어진 가중치를 적용한 배분기준에 따라 원가중심점 별로 배분하는 것; 과
    상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수익정보를 진찰료, 수기료, 처치료, 수술료, 마취료, 일반검사, 특수검사, 물리/이학검사, 핵의학검사, 진단방사선, 치료방사선, 건강진단 및 가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행위수익과, 주사료, 투약료, 진료재료, 핵의학재료, 혈액료 및 기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수익과, 입원료, 병실료차액, 식대, 제증명료 및 기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타수익으로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서버장치.
  17. 다수의 병원이 별도로 운영되는 병원 그룹의 원가관리 및 손익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병원 그룹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병원별로 구축되어진 다수의 경영관리시스템(MIS); 과
    상기 각각의 경영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원가중심점별 비용정보와 수익중심점별 수익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비용집계 및 배분조건과 수익집계 및 배분조건에 따라, 개별 병원의 원가중심점 또는 수익중심점별 원가(손익) 분석이나 각각의 병원별 원가(손익) 분석이나 아니면 병원 그룹의 종합 원가(손익) 분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가(손익) 분석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원가관리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경영관리시스템(MIS)은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원가중심점별 인건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인건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인사급여 관리서버와,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원가중심점별 재료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재료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구매 관리서버와,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원가중심점별 관리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관리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재무회계 관리서버와,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원가중심점별 감가상각비를 집계할 수 있도록 감가상각비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 공하는 고정자산 관리서버 및,
    상기 원가관리 서버가 수익중심점별 수익정보를 집계할 수 있도록 수익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는 처방전달 관리(OCS)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원가관리 시스템.
KR1020050080058A 2005-08-30 2005-08-30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071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058A KR100717997B1 (ko) 2005-08-30 2005-08-30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058A KR100717997B1 (ko) 2005-08-30 2005-08-30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013A true KR20070028013A (ko) 2007-03-12
KR100717997B1 KR100717997B1 (ko) 2007-05-15

Family

ID=3810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058A KR100717997B1 (ko) 2005-08-30 2005-08-30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9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3459A (ja) * 2017-03-24 2018-10-18 株式会社オービック 配賦装置、配賦方法および配賦プログラム
CN111816326A (zh) * 2020-07-22 2020-10-23 望海康信(北京)科技股份公司 医院运营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852B1 (ko) 2020-01-31 2020-11-11 임시원 정신건강의학의 병원용 자산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16885B1 (ko) 2020-01-31 2021-02-17 임시원 정신건강의학의 병원용 자산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3459A (ja) * 2017-03-24 2018-10-18 株式会社オービック 配賦装置、配賦方法および配賦プログラム
JP2021185534A (ja) * 2017-03-24 2021-12-09 株式会社オービック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816326A (zh) * 2020-07-22 2020-10-23 望海康信(北京)科技股份公司 医院运营系统
CN111816326B (zh) * 2020-07-22 2023-12-22 望海康信(北京)科技股份公司 医院运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997B1 (ko) 200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siao The Chinese health care system: lessons for other nations
Lewis et al. Measuring public hospital cost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Dominican Republic
Le Grand Further tales from the British national health service
McPake et al. Contracting out of clinical services in Zimbabwe
Thorlby et al. The English health care system
Stoermer et al. Review of community-based health insurance initiatives in Nepal
Donatini The Italian health care system
KR100717997B1 (ko) 병원 그룹 및 단위 병원 원가관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irk Using workload analysis and acuity systems to facilitate quality and productivity
Rutherford Nursing is the room rate.
Saloner et al. The availability of new patient appointments for primary care at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s: findings from an audit study
Rothbard et al. Philadelphia's capitation plan for mental health services
Butler et al. Case-mix reimbursement for nursing homes: Objectives and achievements
Poullier Health data file: overview and methodology
Flarey A methodology for costing nursing service
KR20220043710A (ko) 병원 및 요양기관의 원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Zakus et al. Organization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Hiromasa Healthcare system and hospital management in Japan: Focusing on the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quality of care
Gross et al. The influence of budget-holding on cost containment and work procedures in primary care clinics
Black Competitive alternatives to hospital inpatient care
MÁRQUEZ Containing health costs in the Americas
Rosoff Family planning, Medicaid and the private physician: survey of a failure
Zoidze et al. Hospital financing study for Georgia
Atasever Financing of Health Care Services and Analysis of Health Expenditures in Turkey-Between 2002 and 2013
England Experiences of contracting with the private s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