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924A -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924A
KR20070024924A KR20050080565A KR20050080565A KR20070024924A KR 20070024924 A KR20070024924 A KR 20070024924A KR 20050080565 A KR20050080565 A KR 20050080565A KR 20050080565 A KR20050080565 A KR 20050080565A KR 20070024924 A KR20070024924 A KR 2007002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bb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8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8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4924A/ko
Publication of KR2007002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924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가입자 간에 자신의 음성이나 자신이 입력한 대사가 더빙된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은,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이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을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분에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더빙 동영상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더빙 처리부; 및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의 생성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파일 전송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번호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더빙 동영상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ubbing Ser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더빙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빙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빙 서비스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빙 서비스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 통신 단말 20 : 이동 통신망
40 : 위성 50 : 방송 센터
60 : 인터넷 70 : 인터넷 방송 서비스 서버
80 : 컨텐츠 제공 서버 100 : 더빙 서비스 시스템
110 : 컨텐츠 관리부 111 :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30 : 더빙 처리부 131 : 더빙 동영상 파일 데이터베이스
150 : 음성 합성부 170 : 더빙 동영상 파일 전송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CF, 영화, 드라마, 뮤직 비디오, 뉴스 등의 다양한 동영상에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가 편집한 대본으로 합성된 음성을 더빙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가입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또 이로 인한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현재 이동 통신 가입자들은 단순한 음성 통화 이외에도 단문 메시지 송수신, 메일 송수신,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대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 이동 통신 단말이 점차 다기능화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은 카메라, 게임기, MP3 플레이어 등의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말의 다기능화와 발맞추어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동 통신 단말은 사용자 간 단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개념을 벗어나 개개인의 휴대형 엔터테인먼트 수단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이동 통신 가입자 간 커뮤니케이션은 단지 그 통신 방법이 다양화되었을 뿐 사용자 간 의사 전달 자체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는 크게 제공되지는 않고 있으며, 동영상 컨텐츠, TV 방송,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사용 자가 혼자서 시청하거나 들으면서 즐길 수 있는 정도로만 서비스되고 있어, 이동 통신 가입자 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의 조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의 창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통신 가입자 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개개인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의 동시 활용을 통해 가입자들 간에 공유 가능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사용자의 음성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대사를 합성하여 더빙하고, 이를 사용자 간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이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을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분에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더빙 동영상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더빙 처리부; 및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의 생성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파일 전송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번호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더빙 동영상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에 대하여 더빙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컨텐츠 재생 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더빙 요청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로부터 텍스트와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재생을 중단한 시점의 해당 부분에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이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을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의 생성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파일 전송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해당 동영상에 대한 대본 파일과 함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에 대하여 더빙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대본 파일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제1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대본의 특정 대사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와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서 선택된 대사의 재생 부분에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이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을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의 생성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파일 전송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더빙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동 통신망(2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10)로 더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위성(4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10)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센터(50)나, 인 터넷(60)을 통해 공중파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 서버(70) 및 본 발명의 더빙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별도로 제작된 컨텐츠 제공 서버(80) 등으로부터 더빙 가능한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고, 이동 통신 가입자에게 복수의 더빙 가능한 동영상 컨텐츠 들을 제공하고, 가입자가 선택한 특정 동영상 컨텐츠에 가입자의 음성을 더빙하여 가입자가 요청한 상대방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더빙되는 음성은 가입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일 수 있고, 가입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도록 한 후 이를 가입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음성으로 합성한 음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로서 제공되는 파일은 CF, 영화, 드라마, 뮤직 비디오, 뉴스 등 다양한 동영상 파일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영상 컨텐츠는 방송 센터(50), 인터넷 방송 서비스 서버(70), 컨텐츠 제공 서버(80) 등에서 이미 제공되고 있는 동영상 파일들로부터 더빙 가능한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해내고 이를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제공함에 의해 수집되거나, 기 제공되고 있는 동영상 파일들을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이 수집하고 이로부터 직접 더빙 가능한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 또는 각 방송 센터(50), 인터넷 방송 서비스 서버(70), 컨텐츠 제공 서버(80) 등은 기 제공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들로부터 일정 부분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분리해내고 이를 동영상 컨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더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빙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컨텐츠 관리부(110), 더빙 처리부(130), 음성 합성부(150), 더빙 동영상 파일 전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텐츠 관리부(110)는 방송 센터(50), 인터넷 방송 서비스 서버(70), 컨텐츠 제공 서버(80) 등으로부터 더빙을 위한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각 동영상 컨텐츠들은 상기 컨텐츠 관리부(110)에 의해 더빙 가능하도록 일부 수정 또는 편집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대본을 이용하여 편집 및 더빙할 수 있도록 대본 파일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더빙 처리부(130)는 이동 통신망(20)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10)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이나, 사용자 입력한 텍스트를 합성하여 생성되는 음성을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분에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더빙 처리부(130)는 상기와 같이 각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더빙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일시적으로 또는 추후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더빙 동영상 파일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더빙 처리부(130)는 더빙을 위한 음성을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합성된 음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성 합성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 합성을 위한 텍스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음성 합성부(15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음성 합성부(150)는 상기 더빙 처리부(130)로부터 전달되는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상기 더빙 처리부(130)로 회신하며, 이때 각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음성 데이터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으로 합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더빙 처리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더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음성을 더빙하거나, 대본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더빙 처리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특정 동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을 통해 스트리밍 방식이나 다운로드 방식을 통해 재생하고, 컨텐츠 재생 중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더빙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재생을 중단한 시점의 해당 부분에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입력된 텍스트의 합성 음성을 더빙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상기 더빙 처리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특정 동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대본 파일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로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상기 제공된 대본의 특정 대사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음성과 텍스트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서 상기 선택된 대사의 재생 부분에 상기 사용자 음성 또는 입력된 텍스트의 합성 음성을 더빙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더빙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면, 더빙 동영상 파일 전송부(170)는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의 생성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파일 전송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번호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한다.
더빙 동영상 파일의 전송 방법은 URL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에서 확인키를 눌러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더빙 동영상 파일을 첨부하여 메일의 형태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해당 메일을 통해 첨부된 파일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에서의 더빙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더빙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 4는 대본을 이용하여 더빙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더빙하는 경우, 본 발명의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동 통신망(20)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특정 동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면, 이를 재생하고(S201), 재생 중 더빙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203)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S205), 음성 직접 입력 방식과 음 성 합성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S207).
이때, 사용자에 의해 음성 직접 입력 방식이 선택되면(S209),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며(S211-A), 음성 합성 방식이 선택되면 사용자 음성 대신 텍스트를 수신하고(S211-B1) 이를 음성 합성한다(S211-B2). 음성 합성 방식이 선택된 경우,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텍스트를 수신하기 이전 또는 음성 합성 이전에 다양한 음성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합성하고자 하는 음성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성이 수신되거나 텍스트의 음성 합성이 완료되면,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서 컨텐츠 재생을 중단한 시점의 해당 부분에 상기 사용자의 실제 음성 또는 입력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을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사용자 컨펌을 받기 위해 해당 부분을 재생한다(S213).
이후,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재생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하고(S215-1), 저장이 요청되면 더빙된 부분을 저장한 후, 다른 부분에 추가로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한다(S217). 만약, 더빙을 계속할 것이 요청되면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컨텐츠 재생 단계(S201)로 궤환하여 이전에 정지된 부분부터 다시 재생한다.
그리고, 상기 S215-1 단계에서 비저장이 요청되면,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수정 여부를 질의하고(S215-2), 수정이 요청되면 입력 방식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207)로 궤환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 의하는 단계(S217)를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수정이 요청된 경우 입력 방식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207)로 궤환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S211-A)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S211-B1)로 궤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한 결과(S217), 사용자가 더빙을 계속하지 않을 것을 요청한 경우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더빙 과정을 종료하고, 이전까지 더빙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할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를 수신하여(S219), 해당 이동 통신 단말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한다(S221). 만약, 더빙이 이루어진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더빙 서비스 과정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본을 이용하여 더빙하는 경우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미리 보기 방식으로 재생하고(S301) 재생된 컨텐츠에 대하여 더빙이 요청되면(S303), 해당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로 이루어진 대본을 제공한다(S305).
상기 대본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1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이동 통신 단말(10)로부터 대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대사 중 특정 부분이 선택되면(S307),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선택된 부분을 인식한 후 앞서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성 직접 입력 방식과 음성 합성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S309).
이때, 사용자에 의해 음성 직접 입력 방식이 선택되면(S311),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며(S313-A), 음성 합성 방식이 선택되면 사용자 음성 대신 텍스트를 수신하고(S313-B1) 이를 음성 합성한다(S313-B2). 음성 합성 방식이 선택된 경우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텍스트를 수신하기 이전 또는 음성 합성 이전에 다양한 음성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합성하고자 하는 음성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실제 음성이 수신되거나 텍스트의 음성 합성이 완료되면,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서 선택된 대사의 재생 부분에 상기 사용자 음성 또는 입력된 텍스트 합성한 음성을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사용자 컨펌을 받기 위해 해당 부분을 재생한다(S315).
이후,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재생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하고(S317-1), 저장이 요청되면 더빙된 부분을 저장한 후, 다른 부분에 추가로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한다(S319). 만약, 더빙을 계속할 것이 요청되면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대본 제공 단계(S305)로 궤환하며, 사용자가 다른 부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S317-1 단계에서 비저장이 요청되면,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수정 여부를 질의하고(S317-2), 수정이 요청되면 입력 방식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309)로 궤환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S319)를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수정이 요청된 경우 입력 방식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S309)로 궤환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S313-A)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S313-B1)로 궤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한 결과(S319), 사용자가 더빙을 계속하지 않을 것을 요청한 경우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100)은 더빙 과정을 종료하고, 이전까지 더빙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할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를 수신하여(S321), 해당 이동 통신 단말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한다(S323).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대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더빙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부분을 재생하고 다시 더빙을 수행하도록 하지 않고, 더빙할 각 부분에 대한 텍스트를 일괄적으로 수신하고, 한번에 음성 합성하여 더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경우,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S319)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사용자의 음성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대사를 합성하여 더빙하고, 이를 사용자 간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가입자 간에 흥미로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지며, 동영상 컨텐츠 및 메시지 전송에 대한 과금이나, 음성 녹음 및 합성을 위한 음성 제공을 통해 수익 증대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4)

  1.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이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을 사용자가 요청하는 부분에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더빙 동영상 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더빙 처리부; 및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의 생성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파일 전송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번호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더빙 동영상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합성하여 상기 더빙 처리부로 전달하는 음성 합성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 처리부는,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특정 동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재생하고, 컨텐츠 재생 중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더빙 요청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사용자로부터 텍스트와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재생을 중단한 시점의 해당 부분에 상기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 또는 사용자 입력 음성을 더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각 동영상 컨텐츠를 해당 동영상에 대한 대본 파일과 함께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더빙 처리부는,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특정 동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대본 파일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대본의 특정 대사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와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서 상기 선택된 대사의 재생 부분에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 또는 사용자 입력 음성을 더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5.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에 대하여 더빙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컨텐츠 재생 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더빙 요청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로부터 텍스트와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재생을 중단한 시점의 해당 부분에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이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을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의 생성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파일 전송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음성 직접 입력 방식과 음성 합성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방식의 선택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직접 입력 방식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재생 중단 시점의 해당 부분에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더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음성 직접 입력 방식과 음성 합성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방식의 선택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합성 방식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중단 시점의 해당 부분에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더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 제4단계 이전에,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재생하고, 저장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저장이 요청되면, 다른 부분에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더빙을 계속할 것이 요청되면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여 상기 재생 중단된 시점부터 다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더빙을 계속하지 않을 것이 요청되면 상기 제4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 제4단계 이전에,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재생하고, 저장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비저장이 요청되면, 수정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수정이 요청되면 상기 제3단계로 궤환하고, 비수정이 요청되면 다른 부분에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비수정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더빙을 계속할 것이 요청되면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여 상기 재생 중단된 시점부터 다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10. 동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해당 동영상에 대한 대본 파일과 함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이동 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에 대하여 더빙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으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대본 파일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제공하는 제1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대본의 특정 대사가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텍스트와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서 상기 선택된 대사의 재생 부분에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합성한 음성이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음성을 더빙하여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의 생성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파일 전송 대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더빙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대본의 특정 대사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음성 직접 입력 방식과 음성 합성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방식의 선택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직접 입력 방식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해당 부분에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더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대본의 특정 대사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음성 직접 입력 방식과 음성 합성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방식의 선택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음성 합성 방식이 선택되면, 사용자로부터 텍스 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텍스트를 음성 합성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해당 부분에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더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제3단계 이전에,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재생하고, 저장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저장이 요청되면, 다른 부분에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더빙을 계속할 것이 요청되면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고, 더빙을 계속하지 않을 것이 요청되면 상기 제3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제3단계 이전에,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더빙 동영상 파일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재생하고, 저장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비저장이 요청되면, 수정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수정이 요청되면 상기 제2단계로 궤환하고, 비수정이 요청되면 다른 부분에 더빙을 계속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비수정을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더빙을 계속할 것이 요청되면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방법.
KR20050080565A 2005-08-31 2005-08-31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4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0565A KR20070024924A (ko) 2005-08-31 2005-08-31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0565A KR20070024924A (ko) 2005-08-31 2005-08-31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924A true KR20070024924A (ko) 2007-03-08

Family

ID=3809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80565A KR20070024924A (ko) 2005-08-31 2005-08-31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49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8106B2 (en) Tele-karaoke
KR100841026B1 (ko) 사용자 신청에 응답하는 동적 내용 전달
CN101272478B (zh) 内容分发系统及方法、服务器装置及接收装置
US7761293B2 (en) Spoken mobile engine
JP5467031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製作伝送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00425072C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
JP2009112000A6 (ja) 実時間対話型コンテンツを無線交信ネットワーク及びインターネット上に形成及び分配する方法及び装置
CN104869467A (zh) 媒体播放中的信息输出方法、装置和系统
JP2009112000A (ja) 実時間対話型コンテンツを無線交信ネットワーク及びインターネット上に形成及び分配する方法及び装置
CN112261416A (zh) 基于云的视频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JP4038081B2 (ja) 楽曲選択型コンテンツ再生装置、そのプログラム
JP2010507997A (ja) フォーンキャスティング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038772B (zh) 生成铃声文件的方法及装置
CN1972447A (zh) 基于流媒体技术的多画面播放器及其播放方法
JP5160439B2 (ja) 要求に応じて、通信ネットワークに結合された端末に対話型メニューを提供する方法
KR20070024924A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더빙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91264B1 (ko) 전자 단말기의 음원 재생 배포 방법 및 그 시스템
GB2362486A (en) Purchasing programs over the Internet
JP2011193372A (ja) 情報管理装置、情報端末、および情報コンテンツ視聴方法
KR102307639B1 (ko) 핸드폰 영상밴드 노래반주 시스템
JP2004045624A (ja) コラボレーション方法、コラボレーション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67097B1 (ko) 음악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
KR100432938B1 (ko) 개인별로 구분된 음성 사서함 배경 음악 구성 방법 및 장치
JP4114344B2 (ja) カラオケデータ再生装置
JP2009017417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