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217A -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217A
KR20070024217A KR1020050078914A KR20050078914A KR20070024217A KR 20070024217 A KR20070024217 A KR 20070024217A KR 1020050078914 A KR1020050078914 A KR 1020050078914A KR 20050078914 A KR20050078914 A KR 20050078914A KR 20070024217 A KR20070024217 A KR 20070024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ver part
cam
bush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4217A/en
Publication of KR2007002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2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Abstract

An image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to provide an open/close structure of an upper cover, thereby maintaining uniform locking force regardless of a use time and easily adjusting locking force according to use purpose.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on a print medium comprises a main body and a pivotable upper cover(204,206) mounted to the main body. A cam unit(215a) is installed around a pivotable axis of the upper cover(204,206). A cam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am unit(215a). A bushing unit(215b) on which the cam unit(215a) sits and is vertically moved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cam unit(215a). A spring unit(215d) installed to the main body closely adheres the bushing unit(215b) to the cam unit(215a). The spring unit(215d) shrinks or elongates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of the bushing unit(215b).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n upper cover part in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제2상단커버부가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upper cover part is open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5a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인쇄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FIG. 5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4, where a printing job is normally performed.

도 5b 및 도 5c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인쇄작업 중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여 제2상단커버부가 열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준다.5B and 5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4, and shows a step by step process in which the second upper cover part is opened due to a jam of a print medium during a printing operation.

도 6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제2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second upper cover par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FIG. 7 is a partial cutaway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화상형성장치 201: 본체200: image forming apparatus 201: main body

202: 배지대 204: 제1상단커버부 202: discharge tray 204: first upper cover portion

205a, 205b: 급지카세트 206: 제2상단커버부205a and 205b: Paper feed cassette 206: second upper cover part

207: 제1하단커버부 208: 제2하단커버부207: first lower cover portion 208: second lower cover portion

209: 가이드 클로 215: 제2상단커버부 개폐구조209: guide claw 215: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76: 히트롤러 277: 가압롤러276: heat roller 277: pressure roller

278: 디컬부, 배지롤러 280: 픽업부278: decal unit, discharge roller 280: pickup unit

298: 클리닝부298: cleaning uni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기간에 관계 없이 일정한 잠금력(locking force)을 유지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맞게 잠금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n upper cover part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locking force regardless of a period of use and easily adjusting the locking for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 image form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부, 노광부, 현상부, 전사부, 정착부 및 배지부를 구비한다.In general,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paper feeding unit, an exposure unit, a developing unit, a transfer unit, a fixing unit, and a discharge unit.

여기서, 급지부는 인쇄매체를 화성형성장치의 내부로 투입시키고, 노광부는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며, 현상부는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Here, the paper feeding unit feeds the print medium into the chemical conversion apparatus, the exposure unit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and the developing unit supplies a toner, which is a develop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conductor, thereby replac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with the toner image. Develop.

정착부는 히트롤러와 가압롤러를 구비하며 토너화상이 부착된 인쇄매체에 높은 열과 높은 압력을 가해 정착부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토너화상을 용융, 고착시킨다. 한편, 정착부에서는 토너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고온 및 고압을 사용하므로 인쇄매체가 유연해진다. 이와 같은 이유 또는 다른 이유들 때문에, 인쇄매체는 정착부 닙(fuser nip)을 통해 배출될 때 히트롤러에 엉겨 붙고 그 주위에 휘감기기 시작하여, 소위 아코디언 잼(accordion jam) 또는 아코디언 효과(accordion effect) 등의 인쇄매체 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e fixing unit includes a heat roller and a pressure roller, and applies high heat and high pressure to the printing medium to which the toner image is attached to melt and fix the toner image to the printing medium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unit uses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fix the toner image, so that the print medium is flexible. For this or other reasons, the print media is entangled in the hitler and begins to wind around when discharged through the fuser nip, so-called accordion jam or accordion effect. Print media jams).

상기와 같은 인쇄매체 걸림 현상을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정착부 닙과 후술하는 배지롤러 사이에 배출센서(exit sensor)가 설치되었다.In order to detect such a print media jam, an exit sensor has been generally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unit nip and the discharge roller described later.

배지부는 배지롤러를 구비하며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배출시킨다.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discharge roller and discharges the print medium on which the fixing is completed, ou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상단커버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상단커버부는 통상적으로 제1상단커버부(104)와 제2상단커버부(206)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상단커버부(206)는 제1상단커버부(104)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n upper cover part in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n upper cover part, and the upper cover part is typically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a first upper cover part 104 and a second upper cover part 206.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cover part 206 is coupled to the first upper cover part 10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able.

즉, 제1상단커버부(104)에는 걸림턱(104a)이 형성되어 있고 제2상단커버부(106)에는 후크(10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상단커버부(106)를 닫으면 제2상단커버부의 후크(106a)는 제1상단커버부(104)의 걸림턱(104a) 아래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 후, 이 후크(106a)는 상방과 하방을 잇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걸림턱(104a)의 안 쪽으로 돌출되게 되고, 이로 인해, 제2상단커버부(106)를 상방으로 미는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내일 경우에는 제2상단커버부(106)는 열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2상단커버부(106)를 상방으로 미는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후크(106a)가 걸림턱(104a)을 비껴 넘어 걸림턱(104a) 위로 올라 가게 되며, 이로써 제2상단커버부(106)가 열리게 된다.That is, the hooking jaw 104a is formed in the first upper cover part 104, and the hook 106a is formed in the second upper cover part 106, and when the second upper cover part 106 is closed, the second upper cover part 104 is closed. The hook 106a of the upper cover portion is directed downwardly to the engaging jaw 104a of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104. Thereafter, the hook 106a protrudes into the locking jaw 104a on the basis of the vertical line connecting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hereby the pressure for pushing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106 upward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f it is within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106 is not opened. However, when the pressure for pushing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106 upwards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hook 106a may move beyond the locking jaw 104a and rise above the locking jaw 104a. The two upper cover parts 106 are opened.

그런데, 인쇄매체의 이송 경로가 C자 형태인 소위 C-패스(C-path) 급지구조를 갖는 경우 등에서와 같이, 정착부가 제2상단커버부 바로 아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정착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2상단커버부에 다량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화상형성장치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후크(106a)가 열변형되어 제1상단커버부(104)의 걸림턱(104a)에 걸리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이들 후크(106a)와 걸림턱(104a)의 결합에 의해 생기는 잠금력(locking force)도 저하되게 된다.However, as in the case where the conveying path of the print medium has a so-called C-path feeding structure having a C shape, such as when the fixing unit is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A large amount of heat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upper cover part. Therefore, in such a case,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used for a long time, the hook 106a illustrated in FIG. 1 is thermally deformed, thereby reducing a portion of the hooking jaw 104a of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104. Therefore, the locking force caused by the engagement of these hooks 106a and the locking step 104a is also reduced.

또한, 상기와 같이 후크(106a)가 열변형되는 경우 외에도 제2상단커버부(106)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이 반복되게 되면, 후크(106a)와 걸림턱(104a)이 마모되어 이들 후크(106a)와 걸림턱(104a)의 결합에 의한 잠금력(locking force)이 저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ok 106a is thermally de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106 is repeated, the hook 106a and the locking jaw 104a are worn and these hooks 106a are worn. And locking force due to the coupling of the locking step 104a may be lowered.

상기와 같이 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에서 잠금력이 저하되게 되면, 배출센서(exit sensor)가 없는 구조에서는 인쇄매체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예를 들어, 인쇄매체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제2상단커버부가 열리는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2상단커버부가 열리게 되면, 화상형성장치는 무조건 인쇄매체 걸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인쇄작업을 중단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게 된다. When the locking force is lower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upper cover part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print media jam does not occur in the structure without the exit sensor, for exampl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print media is thick, There is a problem that a malfunction occurs in opening the second upper cover. As such, when the second upper cover part is open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recognizes that a print media jam occurs unconditionally and stops the print job, thereby causing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기간에 관계 없이 일정한 잠금력(locking force)을 유지할 수 있는 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n upper cover portion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locking force regardless of a period of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목적에 맞게 잠금력(locking force)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n upper cover portion which can easily adjust a locking force according to an intended use.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며,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단커버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단커버부의 회동축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캠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캠부와, 상기 캠부가 안착되고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부싱부(bushing)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부싱부의 수직이동에 따라 수축되거나 탄성 복원되며 상기 부싱부를 상기 캠부에 밀착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상단커버부 개폐구조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formed on a printing medium and including a main body and an upper cover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wherein the cam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rotating shaft of the upper cover part. A cam portion, a bushing in which the cam portion is seated and vertically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portion, and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tracted or elastically restor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shing portion, and the bush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am por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upper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including a spring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커버부 개폐구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부싱부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며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부싱부 가이드를 더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bushing part guid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guide vertical movement of the bushing part and having guide ribs formed there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싱부에는 상기 캠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1홈, 상기 캠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턱, 및 상기 부싱부 가이드의 가이드 리브를 수용하는 제2홈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h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accommodating the cam protrusion, a locking jaw pressed by the cam protrusion, and a second groove accommodating the guide rib of the bushing portion guid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경로 상에서 인쇄매체에 걸림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인쇄매체와 접촉하며 상기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에 따른 인쇄매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방으로 열리도록 형성된 하단커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단커버부는 상기 하단커버부가 열리게 되면 상기 하단커버부와 접촉함으로써 열리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jamming phenomenon occurs in the print medium on the conveyance path, the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is opened upward when the pressure of the print medium increases due to the jamming phenomenon of the print medium. The lower cover part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upper cover part is opened to contact the lower cover part when the lower cover part is ope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커버부는 제1상단커버부와 제2상단커버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상단커버부는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2상단커버부만 개폐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part is formed to include a first upper cover part and a second upper cover part, and the first upper cover part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is formed to open and close only the second upper cover part.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제2상단커버부가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second upper cover part is open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본체(201), 상단커버부(204, 206), 배지대(202), 하단커버부(207, 208), 가압롤러(277), 히트롤러(276), 가이드 클로(guide claw, 209) 및 롤러들(278)을 구비한다.2 and 3, an image form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1, top cover portions 204 and 206, discharge stage 202, and bottom cover portion 207. 208, pressure roller 277, heat roller 276, guide claw 209 and rollers 278.

여기서, 상단커버부(204, 206)는 본체(20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상단커버부(204) 및 제2상단커버부(206)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제1상단커버부(204)는 본체(201)에 고정되고 제2상단커버부(206)는 제1상단커버부(204)와 적어도 두 부분이 결합되며, 구체적으로는 그 일단부의 일부분 및 이에 대응되는 타단부의 일부분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상단커버부(206)의 단부들의 나머지 부분들은 제1상단커버부(204)와 결합되지 않고 그 위에 단순히 얹혀지게 된다.Here, the upper cover parts 204 and 206 are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201 and include a first upper cover part 204 and a second upper cover part 206. At this time,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204 is fixed to the main body 201 and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is coupled to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204 and at least two parts, specifically one end of the A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hereto are rotatably couple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ends of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are not coupled with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204 and are simply placed thereon.

상기 배지대(202)는 제1상단커버부(204) 상에 배치되어 있다.The discharge stage 202 is disposed on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204.

상기 가압롤러(277)와 히트롤러(276)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히트롤러(276)의 일 외주면 위에는 가이드 클로(209)가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The pressure roller 277 and the heat roller 276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guide claw 209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roller 27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배지대(202)와 가이드 클로(209)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discharge stage 202 and the guide claw 209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이드 클로(209)의 위쪽에는 롤러들(278)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롤러들(278)은 후술하는 디컬부와 배지롤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Rollers 278 are disposed above the guide claw 209, and these rollers 278 simultaneously serve as a decal unit and a discharge roll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상단커버부(204, 206)의 아래쪽에는 가압롤러(277), 히트롤러(276) 및 가이드 클로(209)를 덮도록 하단커버부(207, 208)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단커버부(207, 208)는 제1하단커버부(207)와 제2하단커버부(208)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제2하단커버부(208)는 제1하단커버부(207)와 적어도 두 부분이 결합되며, 구체적으로는 그 일단부의 일부분 및 이에 대응되는 타단부의 일부분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하단커버부(207, 208)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하단커버부(208)의 단부들의 나머 지 부분들은 제1하단커버부(207)와 후크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제1하단커버부(207)에 결합되지 않고 그 위에 단순히 얹혀져 있을 수도 있다.Lower cover parts 207 and 208 are disposed below the upper cover parts 204 and 206 to cover the pressure roller 277, the heat roller 276 and the guide claw 209. Here, the lower cover parts 207 and 208 are formed to include the first lower cover part 207 and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and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is the first lower cover part 207. ) And at least two portions are combined, and specifically, a portion of one end and a portion of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hereto are rotatably coupl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wer cover parts 207 and 208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ends of the second lower cover portion 208 may be coupled to the first lower cover portion 207 by a hook method or the like, and are not simply coupled to the first lower cover portion 207, but thereon. It may be on the floor.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본체(201)와, 이 본체(201) 내부에 마련되는 노광부(210), 현상부(220), 감광체(230), 클리닝부재(238) 및 대전롤러(239)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 an image form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1, an exposure part 210, a developing part 220, and a photosensitive memb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01. 230, a cleaning member 238, and a charging roller 239.

여기서, 노광부(21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화상 신호에 따라 후술할 감광체(230)에 주사하여 감광체(230)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노광부(210)는 레이저빔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Here, the exposure unit 210 scans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so that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In addition, the exposure unit 210 includes a light source (not shown) for scanning the laser beam, and a beam deflector for deflecting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현상부(220)는 본체(2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외장을 이루는 현상부 하우징(222)과, 그 내부의 현상롤러(240), 토너층 규제부(250), 공급롤러(260) 및 교반기(agitator, 262)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현상부 하우징(222)의 내부에는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공급부(225)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201)의 상측부에는 본체(201) 내부로 현상부(220)가 출입될 수 있도록 도어(203)가 마련된다.The developing unit 220 is a cartridge typ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201, and includes a developing unit housing 222 forming an exterior, a developing roller 240, a toner layer restricting unit 250, and a supply therein. The roller 260 and an agitator 262 are installed. Also, a toner supply unit 225 for accommodating toner as a developer is provided inside the developing unit housing 222. In addition, a door 203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1 to allow the developing unit 220 to enter and exit the main body 201.

현상롤러(240)는 하우징(222)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그 외주에 부착시켜 감광체(230)로 공급한다. 또한, 현상롤러(240)는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230)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현상시킨다. 또한, 현상롤러(240)에는 이들 토너를 감광체(230)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The developing roller 240 attaches the toner contained in the housing 222 to its outer circumference and supplies the toner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In addition, the developing roller 240 accommodates the solid powder toner, and supplies these toners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to develop the toner image. In addition, a developing bias voltage is applied to the developing roller 240 for supplying these toners to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공급롤러(260)는 현상롤러(240)에 토너가 부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해준다. The supply roller 260 supplies the toner so that the toner is attached to the developing roller 240.

교반기(262)는 토너 공급부(225)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소정의 속도로 토너를 교반시키며, 토너를 공급롤러(260) 쪽으로 이송시킨다.The stirrer 262 agitates the toner at a predetermined speed so that the toner in the toner supply unit 225 does not harden, and transports the toner toward the feed roller 260.

토너층 규제부(250)는 일측은 하우징(222)에 고정되고 타측은 현상롤러(240)에 접촉하여 현상롤러(240)의 외주면에 부착된 토너의 높이를 규제하고, 토너를 소정의 극성으로 마찰 대전시킨다.The toner layer regulating unit 250 is fixed at one side to the housing 222 and at the other side to contact the developing roller 240 to regulate the height of the toner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240, and toner to a predetermined polarity. Triboelectrically charged.

감광체(230)는 대전롤러(239)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화상 신호에 따라 노광부(21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감광체(230)의 외주로 노출된 외주면은 전사롤러(270)와 대면된다.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is charged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by the charging roller 239, and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be printed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exposure unit 2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pos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faces the transfer roller 270.

대전롤러(239)에는 감광체(230)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239)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A charging bias voltage is applied to the charging roller 239 to charg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to a uniform potential. Instead of the charging roller 239, a corona discharger (not shown) may be employed.

클리닝부재(238)는 폐토너 저장부(236)가 마련된 하우징(232)에 설치되며 전사 후 감광체(230)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내도록 일단이 감광체(230)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된다. 클리닝부재(238)는 하우징(232)에 별도로 설치되는 지지부재(237)에 그 일측 가장자리 부분이 설치될 수도 있다. 클리닝부재(238)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은 감광체(230)에 접촉하여 전사후 감광체(230)에 남아있는 토너를 긁어내도록 감광체(230)에 소정의 압력을 갖고 접촉된다.The cleaning member 238 is installed in the housing 232 provided with the waste toner storage 236, and one end of the cleaning member 238 contacts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o scrape off the toner remaining in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238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member 237 that is separately installed in the housing 232.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238 contacts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o scrape the toner remaining in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after the transfer.

폐토너 저장부(236)에는 클리닝부재(238)에 의해 감광체(230)에서 분리된 토너가 저장된다.The toner separated from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by the cleaning member 238 is stored in the waste toner storage unit 236.

전사롤러(270)는 감광체(230)의 외주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감광체(230)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230)와 전사롤러(27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인쇄매체(P)로 옮겨진다. 여기서, 감광체(230)의 외주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은 감광체(230)와 전사롤러(270)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270)와 감광체(230)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P)에 전사될 수도 있다.The transfer roller 270 is installed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and a transfer bias voltag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toner image is applied so that the developed toner image is transferred to the print medium P.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to the print medium P by the electrostatic force acting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and the transfer roller 270. Here, the toner image develo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is transferred to the printing medium P passing between the transfer roller 270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by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and the transfer roller 270. It may be transferred.

정착부(275)는 히트롤러(276) 및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277)를 구비하며, 인쇄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여기서, 히트롤러(276)는 토너화상을 영구 고착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가압롤러(277)에 축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여기서, 가압롤러(277)는 히트롤러(276)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인쇄매체(P)에 높은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The fixing unit 275 includes a heat roller 276 and a pressure roller 277 installed to face the heat roller 276. The fixing unit 275 applies heat and pressure to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print medium P to print the toner image to the print medium P. To settle in. Here, the heat roller 276 is provided so as to be opposed to the pressure roller 277 in the axial direction as a heat source for permanently fixing the toner image. Here, the pressure roller 277 is installed to face the heat roller 276 to apply a high pressure to the print medium P to fix the toner image to the print medium P.

디컬부(278)는 정착부(275)를 통과하면서 열에 의해 컬(curl)이 발생된 인쇄매체(P)의 컬(curl)을 제거한다.The decal part 278 removes curl of the print medium P in which curl is generated by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275.

배지롤러(278)는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200)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배지된 인쇄매체(P)는 배지대(202)에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지롤러(278)가 디컬부(278)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배지롤러(278)와 디컬부(278)가 통합되어 있다.The discharge roller 278 discharges the print medium P on which the fixing is completed, ou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200. The print medium P discharg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200 is loaded on the discharge table 202.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roller 278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ole of the decal unit 278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discharge roller 278 and the decal part 278 are integrated.

또한, 화상형성장치(200)는 본체(201)의 하부에 마련되어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제1 및 제2 급지카세트(205a, 205b)를 구비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200)는 제1급지카세트(205a) 및 제2급지카세트(205b)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200 includes first and second paper feed cassettes 205a and 205b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201 and on which the print medium P is loaded. Her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only one of the first paper feed cassette 205a and the second paper feed cassette 205b.

픽업부(280, 282)는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The pickup units 280 and 282 pick up the loaded print media P one by one and take out them.

이송롤러(281)는 픽업된 인쇄매체(P)를 인쇄매체정렬기(290)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인쇄매체정렬기(290)는 인쇄매체(P)가 감광체(230)와 전사롤러(270)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인쇄매체(P)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P)를 정렬한다.The conveying roller 281 provides a conveying force for conveying the picked up print medium P to the print media aligner 290 side. Here, the print media aligner 290 may print the toner image on the desired portion of the print medium P before the print medium P passes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mber 230 and the transfer roller 270. Align (P).

도 5a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인쇄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고, 도 5b 및 도 5c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인쇄작업 중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여 제2상단커버부가 열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며, 도 6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제2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5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4, and a printing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FIGS. 5B and 5C are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4. A process of jamming the print media occurs during operation to show the step of opening the second upper cover part step by step.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second upper cover par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FIG. 1. Fig. 6 is a partial cutaway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먼저, 도 5a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배치구조 및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rst, look at the arrangement and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ure 5a as follows.

가압롤러(277)와 히트롤러(276)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고, 히트롤러(276)의 일 외주면 위에는 가이드 클로(209)가 접촉가능하게 배 치되어 있다.The pressure roller 277 and the heat roller 276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and the guide claw 209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roller 27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가이드 클로(209)의 위쪽에는 롤러들(278)이 배치되어 있고, 이 롤러들(278)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에 제2하단커버부(208)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하단커버부(208)는 제1하단커버부(20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하단커버부(207)는 측단면을 기준으로 가압롤러(277) 전부와 히트롤러(276) 및 제2하단커버부(208)의 대부분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제2하단커버부(208)는 인쇄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닫혀 있는 상태이다.In addition, rollers 278 are disposed above the guide claw 209, and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is disposed at the same or similar height as the rollers 278. Here, the second lower cover portion 20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ower cover portion 207, the first lower cover portion 207 is the pressure roller 277 and all the rollers on the side end surface 276 and most of the second lower cover portion 208 are disposed to cover. In addition,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is closed because the printing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또한, 제2하단커버부(208)의 상방에는 제1상단커버부(204)와 제2상단커버부(206)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first upper cover part 204 and a second upper cover part 206 are disposed above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또한, 제2상단커버부(206)의 아래에는 제2상단커버부 개폐구조(215)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2상단커버부 개폐구조(215)는 캠부(215a), 부싱부(bushing, 215b), 부싱부 가이드(215c) 및 스프링부(215d)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상단커버부 개폐구조(215)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upper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215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upper cover part 206. The second upper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215 includes a cam part 215a, a bushing part, and a bushing part. 215b), the bushing part guide 215c and the spring part 215d are preferably includ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upper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215 may be variously modified.

여기서, 캠부(215a)는 제2상단커버부(206)에 설치되며, 캠부(215a)의 외주면에는 캠부(215a)의 회전방향과 나란하게 캠 돌출부(215a′)가 형성되어 있다.Here, the cam portion 215a is provided in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and the cam protrusion 215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portion 215a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am portion 215a.

또한 여기서, 부싱부(215b)는 캠부(215a)가 안착되는 장소로서 캠부(215a)가 회전됨에 따라 캠 돌출부(215a′)의 작용에 의해 상하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부싱부(215b)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돌출부(215a′)를 수용하는 제1홈(A), 캠 돌출부(215a′)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턱(B), 후술하는 부싱부 가이드(215c)의 가이드 리브(215c′)를 수용하는 제2홈(C) 및 스프링부(215d)의 중심 공간에 삽입되는 돌출부(D)가 형성되어 있다. 도 5a에서 캠 돌출부(215a′)는, 인쇄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제2상단커버부(206)가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부싱부(215b)의 걸림턱(B)에 수평으로 걸쳐져 있다.In addition, the bushing part 215b is a place where the cam part 215a is seated and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by the action of the cam protrusion 215a 'as the cam part 215a is rotated. As illustrated in FIG. 6, the bushing part 215b includes a first groove A for accommodating the cam protrusion 215a ', a locking jaw B pressed by the cam protrusion 215a', and a bushing described later. The second groove C receiving the guide rib 215c 'of the sub guide 215c and the protrusion D inserted into the center space of the spring portion 215d are formed. In FIG. 5A, the cam protrusion 215a ′ is horizontally covered with the latching jaw B of the bushing portion 215b since the printing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and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is closed.

또한 여기서, 부싱부 가이드(215c)는 본체(20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 리브(215c′)가 형성되어 있어 부싱부(215b)의 수직이동을 안내한다.In this case, the bushing part guide 215c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1, and guide ribs 215c 'are formed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shing part 215b.

또한 여기서, 스프링부(215d)는 본체(201)에 설치되고 부싱부(215b)의 수직이동에 따라 수축되거나 탄성 복원되며 부싱부(215b)를 캠부(215a)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a에서 스프링부(215a)는 수축되거나 신장되지 않은 초기상태에 있다.In addition, the spring portion 215d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1 and contracted or elastically restor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shing portion 215b, and serves to bring the bushing portion 215b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m portion 215a. In FIG. 5A, the spring portion 215a is in an initial state not contracted or extended.

한편, 인쇄매체(P)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277)와 히트롤러(276) 사이의 정착부(275) 닙(nip)을 빠져 나온 다음 가이드 클로(209)에 의해 히트롤러(276)로부터 분리되어 롤러(27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inting medium P exits the nip of the fixing unit 275 between the pressure roller 277 and the heat roller 276, and then is driven by the guide claw 209. It is separated from the 27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oller 278.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다른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s long as the same purpose can be achieved.

다음으로,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배치구조 및 그 작용을 살펴 보기로 한다. Next,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5B and 5C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도면들에는 이송경로 상에서 아코디언 효과(accordion effect)등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작동하여 인쇄작업을 어떻게 중단하게 되는지가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아코디언 효과란 화상형성장치에 서 인쇄매체(P)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여 인쇄매체(P)가 아코디언처럼 접혀서 주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히트롤러(276)와 가압롤러(277)를 포함하는 정착부(275) 및 제2하단커버부(208)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In the drawings, when the print media jams such as the accordion effect occurs on the transport path, it is shown schematically how the components work to stop the print job. In this case, the accordion effect means that the jamming phenomenon of the print medium P occurs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o that the print medium P is folded and wrinkled like an accordion, and the heat roller 276 and the pressure roller 27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usually occurs in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unit 275 and the second lower cover portion 208 including.

소정의 인쇄매체(P)에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이 일단 발생하게 되면, 뒤이어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나온 다른 인쇄매체들(P)에도 연쇄적으로 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Once the print media is jammed in the predetermined print media P, the print media may be sequentially jammed in other print media P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ath.

상기와 같이 인쇄매체 걸림 현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특히 배출센서(exit sensor)가 없는 배지구조에서는 인쇄매체(P)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이 되면, 제2하단커버부(208)가 열리고, 제2하단커버부(208)에 의해 차례로 제2상단커버부(206)가 열려서 인쇄를 중단시킬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경우, 종래에 제2하단커버부 및 제2상단커버부는 각각 제1하단커버부 및 제1상단커버부와 개폐가능하게 결합될 때, 그 결합부들이 인쇄매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이 되면 열릴 정도의 잠금력(locking force)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커버부들의 바로 아래에 정착부가 설치된 구조에서는 정착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상기 결합부들이 열변형되거나, 개폐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마모되어 그 결합력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인쇄매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 보다 낮을 때에도 이들 결합부들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인쇄작업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the print media jam occurs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n the discharge structure without the exit sensor, when the pressure of the print media P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econd lower cover portion 208 is opened. Then, the second lower cover portion 208 is opened by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in order to stop printing.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lower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are conventionally coupled to the first lower cover portion and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d, the coupling portions may have a pressu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designed to have a locking force to open.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unit is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cover parts, the coupling units are heat-deformed by heat generated in the fixing unit, or wear and tear as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is repeated, thereby weakening the bonding force. Even when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of these coupling parts are released by the combination is a problem that the printing operation is stopped.

한편,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에 다수의 인쇄매체들(P)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엉켜 쌓이게 되면 이러한 인쇄매체들(P)이 히트롤러(276)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클로(209)를 누르게 되고, 가이드 클로(209)는 잇달아 히트롤러(276)를 압박하게 되어 히트롤러(276)에 긁힘 등의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이 다수의 인쇄매체(P)에 연이어 발생하게 되면, 히트롤러(276)가 손상되는 문제점 이외에도 인쇄매체들(P)이 서로 단단히 엉키게 되어 이들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제거되기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인쇄매체의 압력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커버부들의 개폐가능한 결합이 해제되도록 결합부의 잠금력(locking force)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print media (P) is tangled in the area where the jamming phenomenon of the print media occurs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guide claw (P)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heat roller 276 ( 209 is pressed, the guide claw 209 in succession to press the heat roller 276 causes damage to the heat roller 276, such as scratches. In addition, when the jamming phenomenon of the print media occurs in succession to the plurality of print media P as described above, the print media P is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o the problem that the heat roller 276 is damaged.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being very difficult to remove from the system. Therefore, when the pressure of the print medium reaches an appropriate level, it is an important problem to properly set the locking force (locking force) of the coupling portion to release the openable coupling of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변형되거나 마모되지 않는 제2상단커버부 개폐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기간에 관계없이 일정한 잠금력(locking force)을 유지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맞게 스프링부를 변경함으로써 잠금력(locking force)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a second top cove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that is not heat deformation or wea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locking force (regardless of the period of u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adjust a locking force by changing a spring portion accordingly.

이하, 인쇄매체(P)에 걸림 현상이 발생하여 인쇄매체(P)의 압력이 가중됨으로써, 제2상단커버부 개폐구조(215)가 작동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upper cover part opening / closing structure 215 is opera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causing a jam phenomenon in the print medium P and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print medium P. FIG.

정착부(275)와 롤러들(278) 사이의 공간에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단커버부(208)의 일단부가 상방으로 열리게 된다. 이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When a print medium is caught in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unit 275 and the rollers 278, one end of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is opened upward as shown in FIG. 5B. Let's look at this process in more detail.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이 심화되게 되면, 인쇄매체(P)가 제2하단커버부(208)를 상방으로 미는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여 제2하단커버부(208)가 열리게 된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치가 되는 압력이란 가이드 클로(209)가 히트롤 러(276)를 가압하여 히트롤러(276)에 긁힘 등의 손상을 주지 않는 정도의 압력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jamming of the print medium is intensified, the pressure pushing the print medium P upward on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rises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open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Here, the pressure which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a pressure such that the guide claw 209 presses the heat roller 276 and does not damage the heat roller 276 such as scratching.

제2하단커버부(208)가 열리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단커버부(208)의 일부분이 제2상단커버부(206)와 맞닿아 제2상단커버부(206)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When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is opened, as shown in FIG. 5B, a portion of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contacts the second upper cover part 206 so as to contact the second upper cover part 206. Will be pushed upwards.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제2하단커버부(208)가 제2상단커버부(206)를 밀어 올리게 되면, 제2상단커버부(206)에 설치되어 있는 캠부(215a)도 제2상단커버부(206)가 이동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5b에서 캠부(215a)는 부싱부(215b)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후, 캠 돌출부(215a′)는 부싱부(215b)의 걸림턱(B)을 가압하여 이를 하방으로 밀게 된다. 다음에, 부싱부(215b)는 스프링부(215d)가 수축되면서 부싱부 가이드(215c)의 가이드 리브(215c′)를 타고 하방으로 수직이동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인쇄매체(P), 제2하단커버부(208)에 의해 제2상단커버부(206)가 열리기 시작한다.When the second lower cover portion 208 pushes up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also moves to the cam portion 215a installed in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Will move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in FIG. 5B, the cam part 215a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ushing part 215b. Thereafter, the cam protrusion 215a 'presses the locking projection B of the bushing portion 215b and pushes it downward. Next, the bushing portion 215b vertically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rib 215c 'of the bushing portion guide 215c while the spring portion 215d is contracted. By doing in this way, the 2nd upper cover part 206 starts to open by the printing medium P and the 2nd lower cover part 208 sequentially.

제2상단커버부(206)가 더 열리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돌출부(215a′)는 어느 순간부터 부싱부(215b)의 걸림턱(B) 위를 슬라이딩하여 도 6에 도시된 부싱부(215b)의 제1홈(A)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제1홈(A)속에서 제1홈(A)의 바닥면을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제2상단커버부(206)가 완전히 열릴 때 까지 지속된다. 이 때, 본체(201)의 소정의 위치에 스위치부(미도시)가 설치되고 이것이 제2상단커버부 개폐구조(215)에 연결되어 작동됨으로써 인쇄작업이 중단되게 된다.When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is further opened, as shown in FIG. 5C, the cam protrusion 215a ′ slides on the engaging jaw B of the bushing portion 215b from a moment and is shown in FIG. 6. Into the first groove (A) of the bushing portion 215b, and pus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roove (A) in the first groove (A). This state continues until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is completely opened. At this time, a switch unit (not shown)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201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cover part opening / closing structure 215 to operate so that the printing operation is stopped.

다음에, 제2상단커버부(206)가 닫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걸림 현상이 발생한 인쇄매체(P)를 제거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제2하단커버부(208), 제2상단커버부(206)가 닫히게 된다. 이 과정을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Next, an operation when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is closed will be described. When the print medium P having the jammed phenomenon is removed,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and the second upper cover part 206 are sequentially closed.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C and 6.

제2하단커버부(208)가 닫히게 되면, 제2하단커버부(208)가 제2상단커버부(206)를 밀어올리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제2상단커버부(206)는 자체 하중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 때, 제2상단커버부(206)에 결합되어 있는 캠부(215a)도 제2상단커버부(206)가 이동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캠부(215a)는 부싱부(215b)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부싱부(215b)에 형성되어 있는 제1홈(A)의 바닥면을 밀어주는 힘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부(215d)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고, 스프링부(215d)가 복원됨에 따라 이에 삽입되어 있는 부싱부(215b)도 상방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이 때, 캠 돌출부(215a′)는 부싱부(215b)의 제1홈(A)을 벗어나 도 5a에서와 같이 부싱부(215b)의 걸림턱(B) 위에 놓이게 된다.When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is closed, the force pushing up the second upper cover part 206 by the second lower cover part 208 is removed. Therefore,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is closed by its own load. At this time, the cam portion 215a coupled to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also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upper cover portion 206 moves.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cam portion 215a rotates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ushing portion 215b, and loses the force for push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roove A formed in the bushing portion 215b. Done. Therefore, the spring portion 215d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and as the spring portion 215d is restored, the bushing portion 215b inserted thereto is also vertically moved upward. At this time, the cam protrusion 215a 'is placed on the locking projection B of the bushing portion 215b, as shown in FIG. 5A, out of the first groove A of the bushing portion 215b.

한편, 부싱부(215b)가 부싱부 가이드(215c)의 가이드 리브(215c′)에 의해 안내되어 원활하게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리브(215c′)와 부싱부(215b)의 제2홈(C) 사이에는 일정한 갭(d)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7, the bushing part 215b is guided by the guide ribs 215c 'of the bushing part guide 215c to smoothly move vertically. It is preferable that a constant gap 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grooves C of 215b.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기간에 관계 없이 일정한 잠금력(locking force)을 유지할 수 있는 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can be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n upper cover portion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locking force regardless of the period of u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목적에 맞게 잠금력(locking force)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상단커버부의 개폐구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can be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top cover portion that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locking force (locking for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Claims (5)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며,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단커버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formed on a printing mediu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and an upper cover part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상기 상단커버부의 회동축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캠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캠부; A cam portion installed around the rotational shaft of the upper cover portion, the cam portion having a cam protrusion; 상기 캠부가 안착되고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하는 부싱부(bushing); 및 A bushing part in which the cam part is seated and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part; And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부싱부의 수직이동에 따라 수축되거나 탄성 복원되며 상기 부싱부를 상기 캠부에 밀착시키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상단커버부 개폐구조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n upper cover part opening / closing structure installed on the main body, the top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including a spring part contracted or elastically restor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shing part and closely contacting the bushing part to the cam par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단커버부 개폐구조는,The upper cover par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부싱부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며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부싱부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bushing part guid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bushing part and having a guide rib form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싱부에는 상기 캠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1홈, 상기 캠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턱, 및 상기 부싱부 가이드의 가이드 리브를 수용하는 제2홈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second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guide rib of the bushing part guide and a first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am protrusion, a latching jaw pressed by the cam protrusion, and a guide rib of the bushing part gu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송경로 상에서 인쇄매체에 걸림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인쇄매체와 접촉하며 상기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에 따른 인쇄매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방으로 열리도록 형성된 하단커버부를 더 구비하고,The lower cover part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rint medium when the print medium is jammed on the transport path, and to open upward when the pressure of the print medium according to the jammed print medium rises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상기 상단커버부는 상기 하단커버부가 열리게 되면 상기 하단커버부와 접촉함으로써 열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upper cover portion is formed to open by contacting the lower cover portion when the lower cover portion is open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상단커버부는 제1상단커버부와 제2상단커버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상단커버부는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2상단커버부만 개폐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the upper cover part includes a first upper cover part and a second upper cover part, wherein the first upper cover part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only the second upper cover part.
KR1020050078914A 2005-08-26 2005-08-26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242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914A KR20070024217A (en) 2005-08-26 2005-08-26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914A KR20070024217A (en) 2005-08-26 2005-08-26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217A true KR20070024217A (en) 2007-03-02

Family

ID=3809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914A KR20070024217A (en) 2005-08-26 2005-08-26 Image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421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339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first and second frames and separating member moving the second frame to a separated posi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tachably mounting the cartridge
US8682212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428506B2 (en) Assist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289749B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7369789B2 (en) Door status switch operation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7076187B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20150192890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016741A1 (en) Roller separ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324146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486906B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removable photosensitive drum unit
KR10073974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1198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JP200605350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unit
KR10064471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feeding printable medium
JP201115851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3041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3064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7760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2421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059629B2 (en) Image forming device
KR10080360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printing medium jam therein
JP7471945B2 (en) Image forming device
JP7463189B2 (en) Image forming device
KR20060009208A (en) Developing catridge
WO2021080637A1 (en) Waste toner container mounting structure of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