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033A -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033A
KR20070024033A KR1020050078492A KR20050078492A KR20070024033A KR 20070024033 A KR20070024033 A KR 20070024033A KR 1020050078492 A KR1020050078492 A KR 1020050078492A KR 20050078492 A KR20050078492 A KR 20050078492A KR 20070024033 A KR20070024033 A KR 2007002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eed
connector
substrate
fee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8364B1 (ko
Inventor
정선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364B1/ko
Priority to CNA2006101036294A priority patent/CN1921214A/zh
Publication of KR2007002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를 기판에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기판에 손실없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테나 피딩장치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기판에 형성되어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연결부 및, 일단은 안테나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테나연결부에 고정되어 안테나와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종래 기판에 대한 탄성접촉을 위하여 피드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전력 손실분을 저감시키고, 접촉 면적이 크게 넓어지게 되며, 동일한 고정점이 적용되므로 제품마다의 피드 편차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 안테나, 피드

Description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ANTENNA FEED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외장형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로서, 외장형 안테나에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내장형 안테나에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안테나의 체결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케이스 112: 기판
113: 안테나연결부 120: 안테나
122: 피드(feed) 122a, 130a: 스크루체결홀
130: 연결부재 350,450: 납땜
본 발명은 안테나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기판에 손실없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인접 기지국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하여 안테나가 필수 요소로서 장착된다.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장착 위치에 따라 외장형(external)과 내장형(internal antenna; intenna)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일정 패턴을 형성하며 전파에 의하여 기전력이 발생함으로써 신호를 수용하거나 반대로 기전력에 의하여 전파를 방사하는 방사부와, 신호 처리를 위한 부품이 장착된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 및 접지를 위하여 급전선 또는 피드(feed)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피드의 종래 결합구조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외장형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로서, 안테나 (20)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안테나설치홀(11)이 상측에 형성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10)의 내측에는 기판(12)이 고정되어 있다.
안테나(20)의 내부에는 일정 패턴을 갖는 도전성의 방사부(21)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방사부(21)로부터 기판(12)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피드(22)가 마련된다.
기판(12)에는 피드(22)와의 접속을 위한 패드(pad)와 같은 안테나연결부(13)가 형성되고, 안테나설치홀(11)을 통하여 안테나(20)가 삽입고정시 피드(22)와 안테나연결부(13)의 접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피드(22)는 탄성적으로 안테나연결부(13)를 누를 수 있도록 판스프링 형상을 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로서, 안테나(40)는 일정 패턴을 갖는 도전성의 방사부(41)와, 이 방사부(41)를 단말기의 케이스프레임에 지지하는 몸체(44) 및, 방사부(41)를 기판(32)의 안테나연결부(33)에 연결하기 위한 피드(42)가 마련되어 있다.
안테나(40)를 기판(32)에 연결하기 위하여 피드(42)는 안테나연결부(3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과 같은 종래의 형태는 피드(22)(42)의 탄성이 시간과 사용 환경에 따라 자연히 떨어지게 되어 안테나연결부(13)(33)에 대한 접압력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피드(22)(42)가 각각 구부러진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피드(22)(42) 자체에서 기전력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피드(22)(42)의 안테나연결부(13)(33)에 대한 접촉면적이 좁기 때문에 손실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드(22)(42)는 늘여진 형태로 3차원적인 공간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안테나연결부(13)(33)상의 접촉점의 위치가 조립상태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어 균질의 제품 양산에 있어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를 기판과 연결시키기 위한 피드상의 기전력 손실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안정적인 안테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기판에 형성되어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연결부; 및 일단은 안테나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테나연결부에 고정되어 안테나와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피딩장치를 개시한다.
이 경우, 연결부재는 안테나연결부에 용접되고, 안테나와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테나의 피드(feed)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스크루체결홀이 형성되어, 안테나가 연결부재와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재에는 피드와 스크루체결시 체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안테나 피딩장치도 개시한다.
이 경우 위치결정부는 안테나의 피드가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본체에 장착되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단말기본체에 장착된 기판에 형성되어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연결부; 및 일단은 안테나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테나연결부에 고정되어 안테나와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 경우 안테나는 단말기본체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것 또는 단말기본체의 내부로 수용 형성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는 안테나연결부에 용접되고, 안테나와 체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의 피드 및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스크루체결홀이 형성되어, 안테나가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형성된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는 피드와 스크루체결시 체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위치결정부는 안테나의 피드가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부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로서, 외장형 안테나에 적용된 휴대 단말기 의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 안테나(120)의 삽입 및 고정을 위한 안테나설치홀(111)이 형성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기판(112)이 고정되어 있다.
안테나(120)의 내부에는 일정 패턴을 가지며 전파를 송수신하는 도전성의 방사부(121)가 장착되어 있으며, 안테나(120)가 케이스(110)에 삽입되는 단부에는 방사부(121)로부터 기판(112)과의 전기적 연결 및 고정을 위하여 단부에 스크루체결홀(122a)이 형성된 피드(122)가 형성된다.
안테나(120)의 안테나설치홀(111)에 대한 삽입 부위는 단말기의 케이스(110)와의 고정을 위하여 후크(123)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시예와 다른 안테나 장착구조-예를 들어, 스크루(screw) 타입, 마운트(mount) 타입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드(122)의 스크루체결홀(122a)에 대응하는 기판(112)의 해당 부위에는 피드(122)와의 연결을 위한 안테나연결부(113)가 형성되며, 안테나연결부(113)에는 상면에 스크루체결홀(130a)이 형성되며 일단은 안테나(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테나연결부(113)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연결부재(130)가 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130)는 조립의 용이성과 생산 단가를 줄이기 위하여 기판(112)에 용접되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안테나(120)의 조립시 피드(122)의 스크루체결홀(122a)은 연결부재(130)의 스크루체결홀(130a)에 맞추어져 스크루(150)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기 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아울러, 스크루(150)에 의한 체결은 안테나(120)의 단말기의 케이스(110)에 대한 후크(123) 고정 외에 또다른 고정점을 제공하게 되어 더욱 안정적인 안테나(120)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내장형 안테나에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230)의 내부에 기판(232)이 고정되어 있으며, 기판(232)과 이격되게 내장형의 안테나(240)가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240)는 일정 패턴을 가지며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사부(241)와, 방사부(241)를 단말기의 케이스(230)에 고정하는 몸체부(244)와, 몸체부(244)의 일측에는 방사부(241)로부터 기판(232)과의 전기적 연결 및 고정을 위하여 단부에 스크루체결홀(242a)이 형성된 피드(242)가 구비된다.
피드(242)의 스크루체결홀(242a)에 대응하는 기판(232)의 해당 부위에는 피드(242)와의 연결을 위한 안테나연결부(233)가 형성되며, 안테나연결부(233)에는 상면에 스크루체결홀(260a)가 형성되며 일단은 안테나(2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테나연결부(233)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연결부재(260)가 고정되어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260)는 조립의 용이성과 생산 단가를 줄이기 위하여 기판(232)에 납땜(250) 등에 의한 방식으로 용접되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안테나(240)의 조립시 피드(242)의 스크루체결홀(242a)은 연결부 재(260)의 스크루체결홀(260a)에 맞추어져 스크루(270)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기판(2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안테나의 체결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안테나 피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340)는, 일정 패턴을 가지며 전파를 송수신하는 방사부(341)와 이를 지지하는 몸체부(344) 및 방사부(341)로부터 연결되어 기판(332)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단부에 스크루체결홀(342a)이 형성된 피드(342)를 구비한다.
피드(342)의 스크루체결홀(342a)에 대응하는 기판(332)의 해당 부위에는 피드(342)와의 연결을 위한 안테나연결부(333)가 형성되며, 안테나연결부(333)에는 상면에 스크루체결홀(360a)이 형성되며 일단은 안테나(3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테나연결부(333)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된 연결부재(360)가 고정되어 있다.
특히, 연결부재(360)에는 안테나(340)와 스크루(370) 체결시 체결위치를 결정하도록 단차가 형성된 위치결정부(361)가 구비되며, 피드(342)의 스크루체결홀(342a)은 연결부재(360)의 외측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에 부합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 피드(342)의 연결부재(360)에 대한 체결력을 확보하기 위해 단차의 깊이는 피드(342)의 두께보다 크지 않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조시 피드(342)의 기판(332)에 대한 체결 위치를 잡기가 용이해지고, 접촉 면적이 더욱 넓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기판에 형성되어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연결부 및 일단은 안테나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테나연결부에 고정되어 안테나와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두었으므로, 종래 기판에 대한 탄성접촉을 위하여 피드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전력 손실분을 저감시키고, 접촉 면적이 크게 넓어지게 되며, 동일한 고정점이 적용되므로 제품마다의 피드 편차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안테나의 단말기에 대한 고정점이 늘어나게 되어 더욱 안정적인 고정력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2)

  1.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안테나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테나연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안테나와 상기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피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안테나연결부에 용접되고, 상기 안테나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피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피드(feed)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스크루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가 상기 연결부재와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피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피드와 스크루체결시 체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피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안테나의 피드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피딩장치.
  6. 단말기본체에 장착되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본체에 장착된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는 안테나연결부; 및
    일단은 상기 안테나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테나연결부에 고정되어 상기 안테나와 상기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단말기본체의 내부로 수용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안테나연결부에 용접되고, 상기 안테나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피드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각각 스크루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가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피드와 스크루체결시 체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안테나의 피드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50078492A 2005-08-25 2005-08-25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77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492A KR100778364B1 (ko) 2005-08-25 2005-08-25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A2006101036294A CN1921214A (zh) 2005-08-25 2006-07-26 天线进给装置及设置天线进给装置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492A KR100778364B1 (ko) 2005-08-25 2005-08-25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33A true KR20070024033A (ko) 2007-03-02
KR100778364B1 KR100778364B1 (ko) 2007-11-22

Family

ID=3777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492A KR100778364B1 (ko) 2005-08-25 2005-08-25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8364B1 (ko)
CN (1) CN19212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517B1 (ko) * 2006-11-06 2008-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5007A (zh) * 2009-05-22 2010-11-24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包括天线模块的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95A (ko) * 2003-04-24 200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517B1 (ko) * 2006-11-06 2008-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1214A (zh) 2007-02-28
KR100778364B1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5655B (zh) 天线模块
JP6320783B2 (ja) アンテナ装置
KR100809249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조립체
US7317422B2 (en) Built-in antenna assembl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N106532275B (zh) 天线装置
JPH0693635B2 (ja) 小型無線機
JP4294659B2 (ja) 給電クリップ
KR20090032450A (ko) 리셉터클이 실장된 내장형 안테나
KR100778364B1 (ko) 안테나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788943B1 (ko) 안테나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통신장비의 단편
JP5165602B2 (ja) アンテナ保持構造およびアンテナ装置
WO2002001670A1 (en) Unitary antenna device
KR101185230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US20220376382A1 (en) Antenna module for small device
KR100856236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조립체
JP2004215149A (ja) アンテナ
TWI509876B (zh) Antenna module
TW20092968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tenna function
JP4524964B2 (ja) 無線回路
KR101295052B1 (ko) 휴대 단말기
JP6534472B2 (ja) アンテナ装置
JPH08321714A (ja) ガラスアンテナのフィーダー線コネクタ装置
KR100583738B1 (ko) 안테나와 이동 단말기의 인쇄회로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커넥터
KR101609115B1 (ko) 안테나 장치
JP2002111364A (ja) 無線機用平面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