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698A - 봉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봉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698A
KR20070023698A KR1020067023828A KR20067023828A KR20070023698A KR 20070023698 A KR20070023698 A KR 20070023698A KR 1020067023828 A KR1020067023828 A KR 1020067023828A KR 20067023828 A KR20067023828 A KR 20067023828A KR 20070023698 A KR20070023698 A KR 20070023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tissue
movement
pointed
pointed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688B1 (ko
Inventor
그레고리 엘. 루프
제프리 씨. 렁
앤드류 카플란
매츄 에이. 메가로
스탄톤 디. 바트첼러
Original Assignee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5/017028 external-priority patent/WO2005112787A2/en
Publication of KR2007002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en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2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suture ancho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7T-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61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with features cooperating with special features on the suture, e.g. protrusions on the suture
    • A61B2017/0462One way system, i.e. also tensioning the su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7Double-armed sutures, i.e. sutures having a needle attached to each 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외주상에 가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뾰족한 단부 및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하나의 단부에 고정구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가 제공된다. 고정구상에 하나 이상의 가지부가 제공되며, 이는 아치형일 수 있고, 다양한 길이 및 봉합사 본체의 외주 둘레에서의 다양한 분포로 이루어진다. 다른 고정구 디자인이 제공된다. 환부의 각 측부상의 조직을 접근시키고, 환부가 없는 경우에도 미용 수술로서 조직을 위치설정 및 지지하기 위해 단방향 및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는 말단 J 스티치 또는 S 스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방법은 바늘일 수 있는 날카로운 뾰족한 단부 또는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봉합사의 결과적인 유지력에 실질적인 수직인 진폭을 가지는 봉합사의 시누소이드형 패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봉합 방법 및 장치{SUTURE METHODS AND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술 용도 및 환부 치료시 신체 조직을 결합 또는 위치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합사가 일 방향으로 조직을 통해 당겨질 수 있게 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저지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가지는 봉합사를 사용하여 신체 조직을 결합 또는 위치설정하는 수술 봉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는 복수의 가시를 가지며, 이는 일 방향으로 조직을 통해 봉합사가 당겨질 수 있게 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조직내에서의 봉합사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런 봉합사는 일 방향으로 조직을 관통 및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뾰족한 일 단부와, 일 방향으로의 추가 이동을 방지하도록 최초 삽입점에서 조직과 결합하는 고정구인 다른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는 일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시부와, 다른 단부의 대향 가시부를 가질 수 있으며, 두 뾰족한 단부 사이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조직내에 가시형 봉합사를 배치하는 방법은 직선, 지그재그 및 알파, 시누소이달 및 나선 같은 곡선 패턴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런 패턴은 패턴과 일치하는 정렬로 종결하며, 이는 예로서, 직선 패턴은 직선 경로를 따라 종결하고, 시누소이달 패턴은 시누소이달 경로를 따라 종결하는 등을 의미한다.
가시형 봉합사는 환부 또는 조직 분리부에 인접한 조직을 접근시키기 위해, 또는, 미용 수술 같은 절차에서, 환부가 없는 조직을 위치설정 및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 및 고정구를 가지는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가 제공된다.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고정구는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가지부를 포함하며,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본체 둘레에 균등 또는 비균등 이격 배치된 아치형 가지부를 가지며,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세그먼트가 부착되거나 부착되어 있지 않은 고정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다양한 고정구 디자인이 제공된다. 고정구는 예로서, 접혀질 수 있으며, 후크 형상, 클립 형상, “T"에 장착된 세그먼트를 갖는 “T" 형상, 작살 단부, 루프 단부, 반구체 형상, 콘플라워 형상 또는 ”M"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신체 조직내에 가시형 봉합사를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봉합사는 저어도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가시부를 갖는 중앙부를 포함하며,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방법은 조직내에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고, 그후, 중앙부가 제1 길이를 따라 배치되도록 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봉합사는 제2 경로를 따라 봉합사의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단부에 인접한 제1 경로로부터 이탈하고, 제2 경로는 제1 단부상에 남겨진 봉합사를 갖는 상태로, 돌출된 제1 경로와 적어도 약 30°의 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환부의 각 측부상의 조직을 접근시키도록 신체 조직내에 가시형 봉합사를 배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봉합사는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가시부를 가지는 중앙부를 포함하며,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방법은 조직내에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고, 그후, 제1 경로를 따라 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후,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환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제2 경로를 따르도록 제1 경로로부터 이탈한다. 봉합사는 제3 경로를 따라 봉합사의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단부에 인접한 제2 경로로부터 이탈하고, 제3 경로는 제2 경로상에 잔류하는 봉합사를 갖는 상태로, 돌출된 제2 경로와 적어도 약 30°의 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환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신체 조직내에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배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봉합사는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고정구는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한다.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 방법은 환부의 일 측면내로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고, 고정구가 조직내에 매설된 고정구를 남기고, 조직의 추가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조직내에서의 적절한 유지 강도를 달성할 때까지 조직을 통해 고정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단방향 봉합사를 배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봉합사는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고정구는 연장시,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한다.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삽입 장치는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가 선행 단부에 인접한 상태로, 내부에 개구를 구비하는 선행 및 추종 단부를 구비하며, 최초에 봉합사 본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배치되게 되는 관형 요소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와,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를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 및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는 종점에 도달할 때까지 조직을 통해 밀어넣어진다. 삽입 장치는 삽입 장치를 제거하도록 추종 단부에서 파지 및 당겨지게 된다. 조직은 필요에 따라 수작업으로 봉합사를 따라 그룹화 및 전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단방향 봉합사를 배치하는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봉합사는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고정구는 연장시,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신체의 외주 외부로 연장한다.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의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에 대향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삽입 장치는 선행 및 추종 단부를 가지는 관형 요소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삽입점에서, 조직을 통해 종점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를 삽입하고, 적어도 봉합사의 추종 단부가 삽입 장치내에 존재할 때까지 삽입 장치내로 봉합사의 선행 단부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봉합사의 추종 단부에 접하도록 삽입 장치의 추종 단부내에 플런저가 삽입된다. 플런저는 삽입 장치 외부로 봉합사의 선행 단부를 추진하도록 눌러진다. 삽입 장치는 봉합사를 적소에 남겨두고 삽입 장치를 제거하도록 추종 단부에서 파지 및 당겨진다. 조직은 필요에 따라,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사용하여 수술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가시형 봉합사는 세장형 본체, 조직을 관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본체상의 제1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1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1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제2 단부로부터 제1 축방향 위치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본체상의 제2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2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2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삽입 장치가 사용되며, 이는 선행 및 추종 단부와, 관형 요소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삽입점에서 조직내에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를 삽입하고, 그후, 선택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조직을 통해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봉합사의 제1 뾰족한 단부는 적어도 가시부가 삽입 장치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삽입 장치내에 삽입된다. 삽입 장치는 조직내의 적소에 봉합사의 전체 길이를 남겨두고, 삽입 장치를 제거하도록 추종 단부에서 파지 및 당겨진다. 조직은 필요에 따라,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사용하여, 수술 절차를 수행하는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가시형 봉합사는 세장형 본체, 조직을 관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본체상의 제2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1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1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제2 단부로부터 제1 축방향 단부 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본체상의 제2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2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2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 방법은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봉합사의 제1 단부를 삽입하고, 그후, 제2 축방향 위치가 봉합사의 제1 단부의 삽입점에 있고, 조직내에 봉합사의 제1 부분의 길이를 남겨두고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출구점에서 조직을 벗어날 때까지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봉합사의 제2 단부는 봉합사의 제1 단부의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삽입된다. 봉합사는 조직내에 봉합사의 제2 부분의 길이를 남겨두고, 출구점에서, 봉합사의 제2 단부가 조직을 벗어날 때까지, 봉합사의 제1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전진한다. 조직은 필요에 따라 수작업으로,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그룹화된다. 각 곡선 경로의 진폭은 조직상에 봉합사에 의해 작용되는 결과적인 유지력에 실질적인 수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신체 조직내에 제1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 및 제2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배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봉합사는 각각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및 하나의 추종 단부와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 방법은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제1 봉합사의 제1 부분을 삽입하고, 그후, 조직내에 제1 봉합사의 본체의 길이를 남겨두고, 출구점에서 제1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가 조직을 벗어날 때까지,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2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는 제1 봉합사의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삽입되고, 제2 봉합사는 조직내에 제2 봉합사의 본체의 길이를 남겨두고 제2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가 출구점에서 조직을 벗어날 때까지,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전진된다. 제1 및 제2 봉합사는 삽입점에서 함께 결속된다. 조직은 필요에 따라, 각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된다. 각 곡선 경로의 진폭은 조직상에 각 봉합사에 의해 작용되는 결과적인 유지력에 실질적인 수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신체 조직내에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배치하는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봉합사는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및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와,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고정구는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한다.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 방법은 조직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조직내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조직의 표면에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는 조직을 통해 출구점까지 전진된다. 고정구는 절개부에 배치된다.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는 조직내에 매설된 고정구를 남겨두고, 조직의 추가 이동을 저지하기에 적절한 유지 강도를 조직내에서 고정구가 달성할 때까지 조직을 통해 전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사용하여 생체내의 내부 조직의 두 단부의 병합 재성장 및 조직 치유를 가능하게 하도록 절단된 내부 조직의 두 단부를 결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봉합사는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한다. 고정구는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신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한다.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 방법은 내부 조직의 제1 단부내로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고, 곡선 경로를 따라 내부 조직을 통해 뾰족한 단부를 밀어 넣어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추가로 조직내로 진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는 조직의 제1 단부에 인접한 고정구를 견인하도록 파지 및 내부 조직 외부로 당겨진다.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는 출구점에 인접한 내부 조직의 외주를 따라 밀어넣어진다. 뽀족한 단부는 곡선 경로를 따라 밀어넣어지고, 그후, 경로를 따라 제1 단부로 복귀하며, 제1 단부로부터 조직을 벗어난다. 뾰족한 단부는 대향한, 조직의 제2 단부내로 삽입되고, 곡선 경로를 따라 밀어넣어져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직내로 추가로 진행하며, 그후, 제2 단부로 복귀하고, 제2 단부로부터 조직을 벗어난다. 뾰족한 단부는 조직이 제1 단부내로 삽입되고, 곡선 경로를 따라 뾰족한 단부를 밀어 넣어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추가로 조직내로 진행하며, 그후, 제2 단부를 향해 복귀하고, 조직을 벗어난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에 예시되고,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사용을 위해 고정구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의 실시예의 단부도.
도 12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의 실시예의 입면도.
도 21은 부착부에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의 입면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에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입면도.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형 단부를 가지는 봉합사의 입면도.
도 26 및 도 27은 조직의 개방 환부의 두 측부를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28 및 도 29는 조직의 개방 환부의 두 측부를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30 및 도 31은 조직의 표면 환부를 반전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31 내지 도 39b는 조직의 개방 환부의 두 측부를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 실시예의 평면도.
도 40 및 도 41은 조직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의 평면도.
도 42 내지 도 45는 조직내에 배치된 가시형 봉합사에 대해 조직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46 내지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49 및 도 50은 조직내에 배치된 가시형 봉합사를 따라 조직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1a 내지 도 51c는 절단된 힘줄의 두 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2 내지 도 55는 문합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6은 가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세도.
도 57은 조직의 개방 환부의 두 측부를 결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예의 평면도.
도 58은 조직의 개방 환부의 두 측부를 결합하기 위해 종래의 방법에 따라 수행되는 예의 평면도.
여기서 사용될 때, 용어 "환부"는 수술 절개부, 절단부, 열상, 절단된 조직 또는 인간 피부나 다른 신체 조직의 사고 환부 또는 봉합, 스테이플링이나 다른 조직 연결 장치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는 기타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될 때, 용어 "조직"은 피부와, 뼈와, 근육과, 장기와, 힘줄, 인 대 및 근육 같은 기타 연성 조직을 포함한다.
특정 다른 용어는 여기서, 단지 편의상 사용될 뿐이며,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예로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수평", "수직", "내향", "외향", "상향" 및 "하향" 같은 단어는 단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구성요소는 임의의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용어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이런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사용에 적합한 가시형 봉합사 및 배치 방법은 발명의 명칭이 "Inserting Device for a Barbed Tissue Connector"인 미국 특허 제5,342,376호, 발명의 명칭이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인 미국 특허 제5,931,855호, 발명의 명칭이 "Barbed Bodily Tissue Connector"인 미국 특허 제6,241,747호, 발명의 명칭이 "Suture Method"인 미국 특허 제6,599,310호, 발명의 명칭이 "Suture Method"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065,256호, 발명의 명칭이 "Barbed Suture in Combination with Surgical Needle"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065,278호, 발명의 명칭이 "Barb Configurations for Barbed Suture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065,279호, 및 발명의 명칭이 "Barbed Suture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065,280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342,376호, 미국 특허 제5,931,855호, 미국 특허 제6,241,747호, 미국 특허 제6,599,310호, 미국 특허 출원 제10/065,256호, 미국 특허 출원 제10/065,278호, 미국 특허 출원 제10/065,279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10/065,280호는 여기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이제, 다수 도면 전반에 걸쳐 유사 번호가 대응 또는 유사 요소를 지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90)의 사시도이며, 이는 그 외주 둘레로 연장하는 가시부(94)를 갖는 봉합사 본체(92)와, 뾰족한 단부(96) 및 다른 단부의 고정구(98)를 갖는다. 고정구(98)는 봉합사 본체(92)의 종축에 실질적인 수직인 평면내에서, 봉합사 본체(92)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바아를 포함하고, 이는 총체적으로 가시형 봉합사(90)에 “T" 형상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11의 단부도(봉합사 본체가 지면에 수직이며, 지면내로 연장하는 상태)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다른 고정구의 형상 및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고정구 각각은 가시부(94) 보다 큰 거리로, 봉합사 본체(92)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연장하는 가지부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가시형 봉합사(100, 102, 104, 106)상의 고정구(98)는 각각 봉합사의 단부에서 외주 둘레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지부(108)를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가시형 봉합사(110, 112, 114)의 실시예는 봉합사 본체(92)의 단부에서 외주의 단지 일부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지부(108)를 포함하는 고정구(98)를 갖는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 가지부(122-123, 124-126, 127-130) 각각이 서로 다른 길이로 이루어지는 가시형 봉합사(116, 118, 120)의 실시예를 보여 준다.
도 12 내지 도 20은 일 단부에서의 가시형 봉합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2는 봉합사의 다른 단부를 향해 오목한 가지부(136)를 가지는 고정구(134)를 구비한 가시형 봉합사(132)를 보여 준다. 도 13은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가지부(142)를 구비한 고정구(140)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138) 를 보여준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구(146)를 구비한 가시형 봉합사(144)를 도시하며, 이는 봉합사의 다른 단부를 향해 바아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세그먼트(148)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5는 반구형 고정구(152)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150)를 도시한다. 도 16은 콘플라워와 유사한 고정구(156)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를 도시한다. 도 17은 클립을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교차하는 본체(92)의 루프에 의해 형성된 고정구(160)를 구비한 가시형 봉합사를 도시하며, 여기서, 조직은 클립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8은 봉합사 본체(92)의 후크에 의해 형성된 고정구(164)를 구비하는 가시형 봉합사(162)를 도시한다. 도 19는 "M"의 중간 다리부로부터 봉합사의 본체(92)가 연장하는, "M"과 유사한 고정구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166)를 도시한다. 도 20은 봉합사(170)의 다른 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대향 바아(94) 보다 큰 단일 바아(172)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170)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20의 다양한 고정구 디자인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가시형 봉합사와 함께 다수의 고정구 디자인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고정구는 가시형 봉합사의 본체(9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대안적으로, 봉합사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가시형 봉합사에 고정구가 고정될 수 있는 방식을 예시한다. 도 21은 도 20의 고정구(172)를 보여 준다. 고정구(172)의 단부는 축방향 보어(178)를 갖는다. 치형부(176)는 내향으로 각지게, 보어(178)의 내측에 제공된다. 봉합사 본체(92)는 보어(178)내로 삽입되며, 고정구(172)의 단부는 봉합사 본체(92) 둘레에 크림핑된다. 도 22는 봉합사 본체(92)의 단부상에 복수의 이격 배치된 링(182)을 포함하는 고정 구(172)를 도시한다. 봉합사 본체(92)의 단부는 링(182)을 통해 삽입된다. 바아(184)는 링(182)과 대향한 봉합사 본체(92)상에 제공되고, 링(183)과의 결합에 의해, 봉합사 본체(92)를 적소에 고정한다. 도 23은 예로서, 아교 또는 열로 형성되는 가시형 봉합사 본체(92)와 고정구(188) 사이의 연결부(186)를 보여 준다.
도 24는 하나의 단부에 루프(192)를 구비하는 봉합사(190)를 도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봉합사(190)는 조직(194)을 통해, 그리고, 그후, 루프(192)를 통해 봉합사(190)를 통과시킴으로써, 조직(194)내에 배치된다. 조직(194)은 봉합사(190)와 루프(192)의 결합에 의해 포획되고, 결과적으로, 봉합사(190)가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는 스탬핑 및 드릴링, 사출 성형 또는 레이저 절단 시스템이나, 본 기술의 숙련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는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본 기술의 숙련자에 의해 선택된 바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생체 흡수성 폴리머는 폴리디옥사논, 폴리악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그 공중합체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예는 폴리디옥사논(수술용 봉합사를 판매하는 Ethicon에 의해 사용되는 상표명인 PDSII하에 판매됨), 약 67% 글리콜라이드와 약 33%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의 공중합체(수술용 봉합사를 위한 American Cyanamid의 등록 상표인 MAXON(R)으로서 판매됨) 및 약 75%의 글리콜라이드와 약 25%의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봉합사 및 봉합 바늘을 위해 Johnson & Johnson에 등록된 상표인 MONOCRYL(R)로서 판매됨)이다. 이런 생체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진 가시형 봉합사는 광범위한 용도에서 유용 하다.
부가적으로, 고정구는 폴리머일 수 있는 비흡수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나일론이라고도 알려짐), 폴리에스터(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같은), 폴리테트라플루오레에틸렌(GORTEX(R)로서 Gore에 의해 판매되는 확장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같은)폴리에테르-에스터(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에스터 유닛(폴리글리콜라이드 같은)을 갖는 폴리머 및 1,4-부탄디올의 응축 중합체이면서, 수술 봉합사를 위한 American Cyanamid에 등록된 상표인 상표명 NOVAFIL(R)하에 Tyco에 의해 소유된 회사인 U.S. Surgical에 의해, 그리고, Davis & Geck에 의해 판매되는 폴리부테스터 같은) 또는 폴리우레탄 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비흡수성 재료는 금속(예로서, 강철), 금속 합금, 천연 섬유(예로서, 실크, 목화 등등)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시, 용어 환부는 수술 절개부, 절단부, 열상, 절단된 조직 또는 인간 피부나 다른 신체 조직의 사고 환부 또는 봉합, 스테이플링이나 다른 조직 연결 장치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는 기타 상태를 의미한다.
도 26 내지 도 39b는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조직 또는 환부의 측부를 접근시키기 위한 조직내에서의 다양한 봉합사 배치 방법을 보여 준다. 봉합사 배치 방법은 하나 이상의 J-스티치, S-스티치 등을 포함한다. 말단 J-스티치, S-스티치 증은 봉합사의 단부의 일부가 봉합사의 인접 부분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봉합사 배치 방법을 포함한다. 봉합사의 단부 부분의 상대적 방향 은 예로서, 봉합사의 인접 부분의 돌출된 경로로부터 적어도 약 30°일 수 있다. 여기서, 편의상, J-스티치 및 S-스티치를 참조하지만,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봉합사 배치는 J-스티치 또는 S-스티치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봉합사의 배치는 후술된 바와 같이, 바늘 또는 삽입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패턴의 배치는 봉합사의 날카로운 뾰족한 단부의 조작 대신 또는 그에 부가한 조직의 조작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조직은 여기에 예시 및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를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언급한다.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는 직선 또는 곡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는 본체가 두 개의 바늘의 생크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봉합사의 본체의 각 단부에 고정된 수술 바늘일 수 있다. 바늘은 스테인레스 강 또는 기타 수술 등급 금속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은 접착제, 크림핑, 스웨이징 등에 의해, 봉합사 본체에 고정되거나, 열 수축형 관에 의해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절단에 의해 또는 견인이나 당김에 의해, 봉합사의 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바늘의 길이는 바늘이 조직내에 원하는 위치에 봉합사 본체를 남겨두고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치료되는 조직의 유형에 따라 선택된다.
도 26에서, 조직(252)내의 환부(250)의 측부는 가시부(94)를 갖는 두개의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 256)를 사용하여 접근된다. 도면 전반에 걸쳐, 실선 봉합사는 봉합사가 가시적인 것을 나타내고, 쇄선 봉합사는 봉합사가 조직내에 배설되 어 있는 것을 나타내며, 점선 봉합사는 봉합사를 위한 대안 매설 위치를 나타낸다. 제1 봉합사(254)는 두 단부가 말단 J-스티치(260, 262)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되는 봉합 방법을 사용하여 배치된다. 제3 봉합사(256)는 두 단부가 말단 S-스티치(264, 266)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되는 봉합 방법을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된다. J 스티치(260, 262) 및 S-스티치(264, 266)는 다른 봉합사의 방향 또는 "내향"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본 기술의 숙련자의 선호도 및 용례에 따라, 대안적 위치(260a, 262a, 264a, 266a)에서 외향 지향될 수도 있다. J 스티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예로서, A를 따라 정렬된 제1 봉합사(254)의 J 스티치(262)의 단부 부분은 봉합사(254B)의 인접 부분의 돌출된 경로로부터 각도 θ로 배치되며, 이는 약 90°로 예시되어 있다. S 스치티의 배치를 보여주는 예로서, C를 따라 정렬된 제2 봉합사(256)의 S 스티치(266)의 단부 부분은 봉합사(256)의 인접 부분의 돌출된 경로(D)로부터 각도 α로 배치되며, 이는 약 45°로 예시되어 있다. J 스티치 및 S 스티치 각도(θ, α)는 도시된 것 보다 작거나 클 수 있으며, 봉합사는 여전히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 간주된다.
도 27은 환부(250)의 측부를 접근시키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 272)를 보여 준다. 각 봉합사(270, 272)는 고정구(274, 276)를 가지며, 대향 단부에 말단 J 스티치(278) 또는 S 스티치(280)로 종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조직(252)내에 배치된다. 대안적 J 스티치 또는 S 스티치 위치(278a, 280a)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구는 작은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 봉합사(270)의 고정구(274)에서와 같이, 조직(252)내에 배설되거나, 제2 봉합사(272)의 고정구(276)에서와 같이 조직 위에 존 재할 수 있다. 봉합사(270, 272)는 고정구(274, 276)로부터 대향한 봉합사의 선행 단부에서 바늘 같은 날카로운 뾰족한 단부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고정구(274, 276)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고정구가 전술된 바와 같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편의상 여기에 설명된 잔여 실시예에서, 대부분 J 스티치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바늘로 배치되는 봉합사를 갖는 모든 실시예에서, S 스티치가 임의의 예시된 J 스티치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봉합사 본체를 따른 조직의 그룹화 및 전진의 일 방법에서, 봉합사의 날카로운 뾰족한 단부는 예로서, J 스티치 완성 이전에 조직을 벗어난다. 그후, 조직은 봉합사 본체를 따라 그룹화 및 전진되고, 그후, 봉합사 뾰족한 단부가 J 스티치를 완성하도록 조직에 들어간다.
도 28 및 도 29는 각각 환부(250)를 닫도록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 및 단방향 봉합사(270)를 사용하는 알파 스티치 패턴을 사용하는 봉합 방법을 보여준다. 도 29의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를 사용하는 봉합 방법은 하향(284, 286), 상향(284a, 286a) 또는 그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각 단부에 J 스티치를 갖는다. 도 29의 단방향 봉합사를 사용하는 봉합 방법은 하향(288) 또는 상향(288a)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그 선행 단부에 도시된 J 스티치를 갖는다. 퍼스 스트링 스티치는 충수절제에서와 같이 적출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술 봉합 방법이며, 여기서, 잔여 조직을 반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스 스트링 스티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각각 도 30 및 도 3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가시형 봉합 사(254) 또는 단방향 봉합사(27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8의 설명은 도 30에 적용되며, 도 29의 설명은 도 31에 적용된다.
도 32 및 도 33은 각각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 및 고정구(274)를 갖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로 환부(250)의 측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지그재그 패턴을 사용하는 봉합 방법을 도시한다. 도 26에 이전에 도시되고,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J 스티치(262)내의 봉합사(254)의 단부 부분의 말단 단부 경로(A)는 봉합사의 인접 부분의 돌출된 봉합사 경로(B)로부터 소정 각도에 있다. 도시된 J 스티치 각도는 약 135°이다. 각도는 변할 수 있으며, 여전히 J 스티치인 것으로 간주된다.
도 34 및 도 35는 각각 시누소이드 패턴으로 조직(252)내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구(274)를 가지는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 및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를 사용하여 환부의 측부를 접근시키기 위한 봉합 방법을 보여준다.
도 36 및 도 37은 각각 나선형 패턴으로 조직(252)내에 배치된 고정구(274)를 갖는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 및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를 도시한다.
도 32, 도 34 및 도 36의 양방향 봉합사(254)에 관하여, 봉합은 환부의 단부 사이의 중간점에서 시작하고, 양 방향으로 진행한다. 각각 도 32 및 도 34의 지그재그 및 시누소이드형 패턴에서, 가시부(94)가 방향을 변경하는 봉합사(254)의 중앙부도 봉합사의 양 단부가 하나의 고정구와 경면 대칭 이미지인 별개의 패턴으로 환부를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상태로, 환부의 하나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2, 도 34 및 도 36의 J 스티치는 내향(260, 262), 외향(260a, 262a) 또 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도 33, 도 35 및 도 37의 J 스티치는 내향(278) 또는 외향(278a)일 수 있다. 또한, 도 33 및 도 35에 도시된 봉합사(270)는 고정구(274) 부근에 선행 단부를 배치하는 환부의 단부에 대한 경면 대칭 이미지 패턴으로 이중으로 역행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서 J 스티치 또는 S 스티치를 가질 수 있다.
도 33, 도 35, 도 37의 고정구(274)는 조직(252)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법은 도 38a 및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의 표면 아래에 고정구(274)를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270)의 날카로운 뾰족한 단부, 예로서, 바늘(280)은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의 선행 단부이며, 환부(250)의 표면(288)내로 삽입된다. 봉합사(270)가 바늘(280)에 의해 조직을 통해 당겨질 때, 고정구(274)는 환부(288)의 표면에 접한다. 봉합사가 환부를 접근시키도록 당겨질 때, 고정구(274)는 조직(252)내의 저항을 받게될 때까지 이동한다. 조직(252)은 일반적으로 조직의 표면에 평행한 층을 포함한다. 고정구(274)의 형상에 따라서, 고정구(274)는 층 사이로 이동하고, 환부(250)의 표면(288)을 지나치며, 인접 조직내에 매설되고,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250)의 표면(288)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도 38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본 기술의 숙련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구(74)에 대한 환부의 단부로부터의 거리(E)는 "바이트"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거나, 패턴의 피크(291)에 대한 환부의 표면(288)으로부터의 거리(F)와 동일할 수 있다.
고정구가 조직내에 배설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사용하는 다른 봉합 방 법은 도 39a 및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환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39a에서,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의 선행 단부의 바늘(280)은 환부(250)의 표면(288)내로 삽입된다. 도 38a 및 도 38b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봉합사(270)가 바늘(280)에 의해 당겨질 때, 고정구(274)는 환부(250)의 표면(288)에 접한다. 봉합사가 환부(250)의 측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당겨질 때, 고정구는 조직(252)내의 저항을 받게 될 때까지 조직(252)내로 이동한다. 도 38b에서, 고정구는 환부 표면(288)으로부터 이격된 최종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봉합사(270)의 배치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선행 단부는 대안적 구성(278, 278a)을 갖는 J 스티치로서 배치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50은 가시형 봉합사가 환부가 없는 조직을 위치설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방법을 보여 주며, 봉합사는 미용 수술 같이 조직의 표면 아래에 있다. 도 40 및 도 41은 거상을 제공하기 위한, 조직내의 종래의 비가시형 봉합사의 배치를 보여 준다. 도 40의 방법은 상단에 하나의 매듭(302)과, 저면에 출구/도입점(304)을 가지는 하나의 봉합사(300)를 사용한다. 매듭은 원하는 거상량을 위해 조직(252)을 조절하도록 죄어진다. 도 41의 방법은 상단에 하나의 매듭(310)과 저면에 다른 매듭(132)을 가지는 두개의 봉합사(306, 308)를 사용한다. 봉합사는 조직(252)에 원하는 거상량을 제공하도록 죄어진다. 조직 거상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힘이 매듭(302, 310, 312)에 인가되고, 조직(252)상의 부하는 상단 매듭(302, 310) 및 저면 매듭(312)이나 봉합사의 저점(304)에 집중된다.
도 42는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인접 봉합사를 향해 지향된 또는 내향하는 각 단부에서 J 스티치(260, 262, 264, 266)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방법을 보여 준다. 도 43은 외향 지향하는 J 스티치(260a, 262a, 264a, 266a)를 가지는 두개의 평행한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 256)를 사용하는 유사한 봉합 방법을 보여 준다. 도 44는 대향 방향으로 연장하는 말단 J 스티치(314, 316)를 가지는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를 도시한다. 봉합사(254, 256)가 배치되고 나면, 조직은 특정 조직 거상량을 위해 의사에 의해 필요에 따라 그룹화되어 각 봉합사를 따라 수작업으로 전진될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의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가시형 봉합사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은 봉합사의 길이를 따라 분포된다.
도 45는 고정구(274)와 조직(252)의 표면 아래에 배치된 뾰족한 단부(320)를 구비하고, J 스티치(278)에서 종결하는 매설된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를 보여 준다. 선택적으로, J 스티치(278)는 다르게 배향되거나 모두 생략될 수 있다.
조직(252)의 표면 아래에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를 배치하는 한가지 방법은 삽입 장치를 사용한다. 삽입 장치 디자인은 직선, 곡선 및 나선형을 포함한다. 삽입 장치(322)를 사용하는 한가지 이런 방법이 도 46에 도시되어 있다. 삽입 장치(322)는 직선 또는 곡선 튜브(324)와, 선행 단부(326)와, 추종 단부(328) 및 사용의 용이성을 위한 손잡이(330)를 포함한다. 소정의 비선형 봉합사 설치는 곡선 튜브가 아닌 조직의 조작에 의해 직선 튜브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봉합사(270)의 뾰족한 단부는 삽입 장치(322)의 선행 단부(326)로부터, 또는, 삽입 장치(322)의 측부내의 개구(미도시)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봉합사(270)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94)는 삽입 장치의 측부의 개구를 통해 또는 선행 단부(326)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여야 한다. 대안적으로, 고정구(274)는 선행 단부(326)의 개구를 통해, 또는, 삽입 장치의 측부의 개구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삽입 장치(322)는 표피를 통해 표피하 조직(334)내로 전진된다.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삽입 장치(322)는 추종 단부(328)에 의해 인출되고, 봉합사(270의 뾰족한 단부(320) 및 가시부(94)는 표피하 조직(334)내에 결합하며,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적소에 봉합사(270)가 남겨진다. 고정구(274)는 또한, 매설되어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삽입 장치를 사용한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의 다른 배치 방법이 도 48에 예시되어 있다. 삽입 장치(340)는 직선 또는 곡선 튜브(342), 선행 단부(344), 추종 단부(346) 및 왕복 플런저(348)를 포함한다. 고정구(274)는 삽입 장치(340)의 선행 단부(344)에 인접하게 튜브(342)내에 배치된다. 삽입 장치(340)는 표피(330)를 통해 표피하 조직(334)내로 전진된다.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고정구(274)가 튜브(342)로부터 표피하 조직(334)내로 축출될 때까지 플런저(348)가 눌러진다. 삽입 장치(340)가 추종 단부(346)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고정구(274)는 조직내에 결합하여,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가시부(94)도 표피하 조직(334)과 결합하여 대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고정구(274)는 삽입 장치내에 끼워지는 임의의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방출시 확장하고, 삽입 장치 튜브내에 있을 때는 접혀지는 절첩형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도면에 "T"형 디자인이 도시되어 있으며, 삽입 장치 튜브의 방향 을 따라 절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5 내지 도 48에 예시되고 상술된 방법도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부의 측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삽입 장치로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에 따른 눈썹, 이마 및 목을 위한 미용적 거상을 위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섯 개의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380, 400 내지 403)를 배치하는 방법을 보여 준다. 도시된 다섯 개의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380, 400 내지 403)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각 단부의 직선 바늘을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눈썹 거상을 위해, 반전 "U" 또는 "V" 형상 또는 그 변형을 형성하는 봉합사(380)의 단부는 일반적으로 두발선(또는 두발선이 예상되는 위치) 보다 상위의 동일 삽입점(382)에서 삽입된다. 봉합사(400 내지 403)는 예상 두발선 보다 일반적으로 상위일 수 있는 삽입점(404 - 407)으로부터 시작하여 실질적인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부를 사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원위에서 빼내진다. 모든 방법에서, 바늘의 사이드-투-사이드 이동이 사용되며, 일 실시예에서는 시누소이드형 패턴으로 봉합사를 배치하기 위해 종결시까지 조직을 벗어나지 않는다. 시누소이드형 패턴은 도 49에 도시된 것들보다 크거나 작은 진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다.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380, 400-403)에 대한 대안으로서,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가 각각의 봉합사의 각 부분(384, 386, 408, 410-416)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단부는 인접 구조체에 대해 삽입점(382, 404-407)에서 결속된다. 또한, 곡선 부분과 출구점 사이에서 배치된 봉합사에 실질적인 직선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봉합사의 배치에 이어, 거상 및 조직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봉합사의 본체 를 따라 조직이 전진 및 그룹화된다.
시누소이드형 패턴의 봉합사의 배치는 봉합사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며, 봉합사를 위한 신장 또는 직선화의 다수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동된 또는 재배치된 조직이 원상 복귀(그 원래 위치를 향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곡선 패턴의 진폭은 실질적으로, 봉합사의 결과적인 유지력의 방향에 수직이며, 이 유지력은 일반적으로 곡선 패턴의 축을 따르게 된다. 일 예시적 진폭은 도 49의 G에 예시되어 있으며, 예시적 결과적 유지력은 H에 도시되어 있다. 조직의 견인은 직선 배치 패턴 보다 많은 원상 복귀를 조직에 유발할 수 있지만, 시누소이드형 패턴에 의해 제공되는 굴곡으로 인해, 시누소이드형으로 배치된 봉합사에는 보다 적은 파괴가 존재한다. 시누소이드형 패턴은 선형으로 배치된 동일한 수 및 크기의 봉합사에 비해 보다 크거나 보다 견고한 거상을 가능하게 한다. 시누소이드형 패턴은 또한, 보다 작거나 보다 큰 봉합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환자가 온건한 것을 원치 않을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눈썹 거상 봉합사(380, 400) 및 기타 이마 거상을 위해, 이마의 봉합사의 부분(384, 386, 408)은 근육, 전두근 바로 위에서, 표피하 조직내에 결합한다. 표피하 조직은 유두진피, 망상진피 및 피하 조직을 포함한다. 두피내로 연장하는 봉합사(400-403)의 부분(410-413)은 두피 널힘줄 및 표피하 조직과 결합한다.
일반적으로, 안면 및 목내의 봉합사(401-403)에 대하여, 전방 부분(414-416)은 근육, 활경근 바로 위에 결합하지만, 볼내에서 또는 코 부근에서 미소하게 보다 얕으며, 표피하 조직내에 있다. 특히, 상부 얼굴의 이마거상 봉합사(401)의 전방 부분(414)은 코입술주름(418)을 향해 연장하며, 표피하 조직, 표층 근건막 시스템 또는 양자 모두와 결합한다.
특히, 볼내의 이마 거상 봉합사(402)에 관하여, 삽입점(406)은 대략 후방 하악각에 있다. 봉합사의 제1 단부(412)는 표피하 조직, 표층 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후방에서 하악 경계에 대략 평행한 경로를 따라 밀어넣어지고, 원위에서 빼내어진다. 봉합사의 제2 단부(415)는 표피하 조직, 표층 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전방에서 하악 경계에 대략 평행한 경로를 따라 밀어넣어지고, 역시 원위에서 빠져나온다.
목 거상을 포함하는 수술 절차를 위해, 가시형 봉합사(403)의 삽입점(407)은 대략 상부 흉돌유골근에 있다. 봉합사의 제1 단부(413)는 후방에서 표피하 조직, 표층 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하악 경계에 대략 평행한 경로를 따라 밀어넣어지고, 원위에서 빠져나온다. 봉합사의 제2 단부(416)는 표피하 조직, 표층 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하악 경계에 대략 평행한 경로를 따라 밀어넣어지고, 역시, 원위에서 빠져나온다.
부가적, 미용 수술 용례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넓적다리 거상 및 가슴 거상이 수행될 수 있다. 넓적다리 거상에서, 삽입점은 일반적으로, 서혜 주름에 있다. 봉합사의 제1 단부는 머리쪽에서 표피하 조직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조직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밀어넣어지고, 봉합사의 제2 단부는 꼬리쪽에서 표피하 조직을 통해 봉합사의 제2 단부가 넓적다리상의 조직의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밀어넣어진다. 넓적다리 조직은 그후, 거상 및 조직 지지를 제공 하기 위해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전진 및 그룹화된다.
가슴 거상에서, 삽입점은 가슴 굴곡의 상부면에 있다. 봉합사의 제1 단부는 피하 조직, 표피 조직 및 대흉근을 통해 가슴의 상부 부분상의 출구점에서 조직의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밀어넣어진다. 봉합사의 제2 단부는 고리쪽에서, 섬유질 또는 지방 조직을 통해, 봉합사의 제2 단부가 가슴의 하부 굴곡부 또는 전방 표면을 따른 출구점에서 조직의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밀어넣어진다. 가슴 조직은 그후, 거상 및 조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전진 및 그룹화된다.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436-441)를 구비한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430-435)를 사용하는 미용 수술 용례를 위한 봉합 방법을 보여준다. 이들 봉합 방법은 선택적으로 말단 J 스티치 또는 S 스티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도 46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장치(322, 340)로 배치되거나, 니들로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턱 선을 따른 하나의 봉합사(434)는 S 스티치로 그 뾰족한 단부에서 종결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상부면의 다른 봉합사(433)는 도 49의 것들과 유사한 곡선 패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비록, 개략적 “T” 형상 고정구(436 - 441)가 예시되어 있지만, 고정구는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은, 그리고, 용례에 따라 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디자인일 수 있다. 고정구는 작은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또는 삽입 장치의 사용에 의해, 매설될 수 있다. 다른 봉합사(442)가 이마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마에서 단부(445)에 인접한 J 스티치를 포함하는, 단부(444, 445)에서 굴곡부를 갖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마, 얼굴, 목, 넓적다리 및 가슴에 대한 용례는 결합된 조직에 관하여 유사한 위치에서 양방 향 봉합사를 위해 상술한 것들과 유사하며, 그에 대응한다. 봉합사의 배치에 이어, 조직은 거상 및 조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그룹화 및 전진된다. J 스티치 같은, 원하는 패턴의 완성 이후의 봉합사를 따른 조직의 그룹화 및 전진에 대한 변형으로서, 봉합사 뾰족한 단부는 J 스티치의 완성 이전에 조직을 벗어나고, 그후, 조직이 그룹화 및 전진되고, 그후, J 스티치가 완성될 수 있다.
도 51a 내지 도 51c는 편의상 좌측 부분(450) 및 우측 부분(452)으로서 명명되는 절단된 힘줄의 두 부분을 치료하기 위한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의 용도를 도시한다. 도 5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는 좌측 부분(450)의 단부(454)에 진입하고, 출구점(456)으로 곡선 경로를 따른다. 고정구(274)는 좌측 부분(450)의 단부(454)에 접한다. 봉합사는 다시, 출구점(456)에 인접한 지점(458)에서 진입하고, 지점(460)에서 벗어날 때까지 곡선 경로상에 루프를 계속 형성하며, 그후, 지점(462)에 진입한다. 봉합사는 루프를 완성하고, 좌측 부분(450)의 단부(454)를 통해 벗어나며, 그후, 우측 부분(452)의 단부를 통과한다. 도 5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는 지점(466, 468, 470)에서 빠져나오고, 지점(472,474, 476)에서 들어감으로써, 단부(46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줄(252)을 통해 전진하면서 선택된 곡선 경로를 따르고, 그후, 지점(478, 480, 482)을 통해 힘줄을 벗어나고, 지점(484, 486, 488)을 통해 들어가는 것에 의해, 단부(464)로 복귀한다. 도 5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는 그후, 좌측 부분(450)의 단부(454)에 진입하고, 힘줄의 외주로부터 최종 출구(506)를 형성할 때까지, 선택된 곡선 경로를 따라 지점(490, 492, 494, 496)에서 힘줄을 벗어나고, 지점(498, 500, 502, 504)에서 진입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연결 절차에서 혈관의 단부 같은 가시형 봉합사를 사용하여 신체내의 도관, 관형 구조체 또는 중공 장기의 두 부분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시, 용어 “도관”은 혈관, 대장 및 소장, 덕트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도 52 내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의 단부는 보다 효과적인 부착을 촉진하기 위해 결합 이전에 소정 각도로 먼저 절단될 수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고정구(274)를 가지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270)를 사용하여 도관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바늘을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270)의 뾰죡한 단부(280)는 도관의 제1 단부(550)의 내부로, 벽을 통해 삽입된다. 봉합사(270)의 뾰족한 단부는 그후, 도관의 제2 단부(552)의 벽을 통해 도관의 내부로부터 삽입된다. 봉합사(270)는 고정구(274)가 도관의 두 단부(550, 552)를 함께 견인하기 위해 도관의 제1 단부(550)의 벽의 외부면에 접촉할 때까지, 도관의 벽을 통해 당겨진다. 봉합사(270)는 그후, 다시, 최초 삽입점(556)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지점(554)에서,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을 통해 삽입된다. 이 단계는 도관 둘레에서 봉합사(270)를 전진시키기 위해 반복된다. 최종 바이트 이후, 봉합사 패턴은 말단 J 스티치 또는 S 스티치로 완성된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한 봉합 패턴을 사용하여 도관의 단부(550, 552)를 결합하기 위해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 준다. 최초 삽입점(558)에서 시작하여,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단부는 벽을 통해, 도관의 제1 단부(552)의 내부로 삽입된다.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단부는 그후, 도관의 제2 단부(550)의 벽을 통해 도관의 내부로부터 삽입된다. 봉합사의 제1 부분(560)은 봉합사(254)의 제2 부분(562)상의 대향 가시부가 도관의 제1 단부(552)의 벽의 외부면에 접촉할 때까지, 튜브의 두 단부(550, 552)를 함께 견인하기 위해, 튜브의 벽을 통해 당겨진다.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단부는 최초 삽입점(558)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564)에서, 튜브의 제1 단부(552)의 내부로 벽을 통해 삽입된다. 봉합사(254)의 제2 부분(562)의 단부는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단부의 출구점(568)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566)에서 도관의 제2 단부(550)내부로 벽을 통해 삽입된다. 봉합사(254)의 제2 부분(562)의 단부는 그후, 최초 삽입점(558)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570)에서, 도관의 제1 단부(552)의 벽을 통해 튜브 내부로부터 삽입된다. 이들 단계는 도관 둘레에 가시형 봉합사(254)의 각 단부를 전진시키기 위해 반복된다. 최종 바이트 이후, 봉합사 패턴은 각 단부에서 말단 J 스티치 또는 S 스티치로 완성된다.
도 54는 신체 도관의 단부(550, 552)을 결합하기 위하여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254)를 사용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 준다. 최초 삽입점(572)에서 시작하여,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단부가 도관의 제1 단부(552)의 벽을 통해 삽입된다.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단부는 그후, 도관이 제2 단부(550)의 벽을 통해 도관의 내부로부터 삽입된다.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은 봉합사(254)의 제2 부분(562)상의 대향 가시부가 도관의 제1 단부(552)의 벽의 외부면과 접촉할 때까지, 도관의 두 단부(550, 552)를 함께 견인하기 위해 튜브의 벽을 통해 당겨진다.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단부는 최초 삽입점(572)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원주방향 이격 배치된 지점(574)에서 도관의 제1 단부(552)의 내부로 벽을 통해 삽입된다. 봉합사(254)의 제2 부분(562)의 단부는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최초 삽입점(572)에 인접한 지점(576)에서, 튜브의 제1 단부(552)의 벽을 통해 삽입되며, 이는 실제로 동일한 삽입점으로서 기능한다. 그후, 봉합사(254)의 제2 부분(562)의 단부는 봉합사(254)의 제1 부분(560)의 단부의 제1 출구점(580)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지점(578)에서, 도관의 제2 단부(550)의 벽을 통해 도관의 내부로부터 삽입된다. 봉합사(254)의 제2 부분(562)의 단부는 그후, 최초 삽입점(576)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지점(582)에서, 도관의 제1 단부(552)의 벽을 통해 삽입된다. 이들 단계는 도관 둘레에 가시형 봉합사(254)의 각 단부를 전진시키기 위해 반복된다. 최종 바이트 이후, 봉합사 패턴은 말단 J 스티치 또는 S 스티치로 각 단부에서 완성된다. 대안적으로, 봉합사 패턴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의 단부가 서로 교차할 때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계속될 수 있다. 심지어, 그후, 봉합사 패턴은 말단 J 스티치 또는 S 스티치로 필요에 따라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관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방법에서, 도관을 통한 봉합사의 단부의 삽입 경로는 봉합사가 도관의 조직을 통해 전진될 때, 종방향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사용하여, 봉합사의 보다 많은 길이가 도관의 조직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양호한 유지 강도를 초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신체내에서의 도관의 단부의 효과적인 결합은 자유 단부의 외주를 따라 도관에 가시형 봉합사가 도관에 진입하는 위치에 무관하게 여기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비록, 신체 도관의 두 단부를 결합하는 방법을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도관의 일부가 원래의 도관의 단부 사이에 이식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절차는 특히, 심장 동맥 우회 이식술 또는 CABG에 사용된다. 이식 절차는 그라프트의 단부가 상술한 봉합 방법을 사용하여 도관의 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면, 여기에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실시예]
종래의 매듭형 봉합사와 각 단부에 J 스티치를 가지는 조직내에 배치된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의 조직 유지 기능을 비교하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의 두 개의 서로 다른 가시부 형상 디자인(A 및 B)이 폴리디옥사논(PDO) 사이즈 0으로 제조되었다. 각 봉합사는 7인치 길이이며, 78 가시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중앙 3인치내에 두 개의 대향 세그먼트로 균등 분할되어 있다. 디자인 A의 나선도는 12.8°이며, 디자인 B의 나선도는 12.4°이다. 각 디자인의 평균 직선 견인 인장 강도가 10개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비디오 카메라가 부착된 Opetm Zoom 현미경(뉴욕주 페어포트의 Thales Optem에 의해 제조)을 사용하여, 가시 형상 이 4개의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 절단 각도(φ), 절단 깊이(Dc), 계산 절단 길이(LC) 및 절단부 사이의 거리(도 56).
가시형 봉합사의 직선 견인 인장 강도 및 가시부 형상이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정되었다.
파라미터 디자인 A 디자인 B
인장 강도(lb.) 7.12 ± 0.25 9.89 ± 0.34
절단 각도 φ(°) 152.3 ± 0.8 162.2 ± 2.2
절단 깊이 Dc(mm) 0.25 ± 0.01 0.12 ± 0.02
절단 길이 LC(mm) 0.54 ± 0.02 0.38 ± 0.04
절단부 사이의 거리(mm) 0.82 ± 0.01 0.91 ± 0.04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면, 전체 두께 3cm 절개부가 그 길이에 수직인 해부 돼지의 말단 공장(530)내에 생성되었다. 공장 세그먼트는 외주가 약 10cm 두께가 5mm로 측정되었다. 각 환부(538)가 조직의 4cm X 15cm 단편상에 중심설정되도록 절제되었다. 환부(538)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개의 디자인 A 및 B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254) 또는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조 PDSII(폴리디옥사논) 봉합사(54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폐쇄되었으며, 이들 모두는 크기 0이고, 러닝 "오버-앤드-오버" 기술을 사용한다. 세로사(serosa)(542) 및 점막(544)에서 봉합사 가닥은 결합되었지만, 점막층을 관통하지는 않는다. 매듭(5 쓰로(throw))이 대조 봉합사의 각 단부를 고정하는 반면, 가시형 봉합사(254)는 인접 조직을 통한 J 스티치를 갖거나 갖지 않는 상태로 마감되었다. 바이트 크기(4mm), 바이트 사이의 거리(5mm) 및 절개부(11) 교차 횟수는 모든 봉합사 유형에 대해 동일하다. 환부 에지는 단지 봉합사만이 두개의 반부를 함께 유지하도록 절단되었다. 각 봉합사 유형의 10개 봉합된 조직 시편이 Test Resources Universal Tester 모델 200Q(미네소타주 에덴 프레어리의 DDL 제조)를 사용하여, 250lb. 부하 셀, 5cm 게이지 길이 및 5cm/sec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테스트되었다. 각 시편은 봉합사가 조직을 통해 환부까지 조직을 찢고 조직의 두개의 단편이 분리되는 파괴시까지 신장되고, 최대 부하가 기록되었다.
돼지 내장 환부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평균 피크 힘이 표 2에 나타나 있다.
봉합사, 사이즈 0 조직 유지 성능(lb.)
가시형 PDO, A, 말단 J 스티치 보유 7.64 ± 1.35
가시형 PDO, A, 말단 J 스티치 미보유 4.53 ± 1.07
가시형 PDO, B, 말단 J 스티치 보유 8.40 ± 1.83
대조 PDSII 6.61 ± 2.02
사이즈 0 흡수성 봉합사의 미국 약전 최소 매듭 견인 인장 강도 8.60lb.와의 비교시, 가시형 PDO 디자인 A의 인장 강도는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말단 J 스티치를 사용한 디자인 A 환부 유지 성능은 돼지 내장 모델의 동일 크기 대조예의 것(P=0.19)에 비해 양호하다. 또한, 말단 J 스티치를 갖는 디자인 B는 미국 약전 요구를 초과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봉합사 보다 높은 기계적 성능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J 스티치를 생략한 디자인 A를 사용한 환부 유지 강도는 J 스티치를 갖는 디자인 A의 유지 성능에 비해 열악하였다. 이 감소 중 일부는 J 스티치가 생략된 조직내의 봉합사의 보다 짧은 길이의 결과일 수 있지만, 이 편차의 대부분은 J 스티치 구조의 생략의 결과인 것으로 믿어진다.
비록, 본 발명을 단지 그 소수의 예시적 실시예에 관하여 매우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의 숙련자는 특히, 상술한 교지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신규한 교지 및 장점으로부터 본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생략 및 추가가 이루어질 수 있기 대문에, 본 발명이 예시 및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로서, 하나 이상의 J 스티치 및 S 스티치를 갖는 가시형 봉합사 및 고정구를 갖는 단방향 봉합사는 니센 펀도플리케이션(Nissen fundoplication), 복강경 수술 동안의 장 구조체의 안정화, 충수절제, 젠커 게실 수술, 방광 창냄술, 교체 심장 판막 고정, 조직에 대한 외부 장치의 고정 및 혈관내 축방향 환부의 폐쇄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다양한 용례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내에 이런 모든 변형, 생략 및 추가와 등가체가 포함된다.

Claims (111)

  1. 가시형 봉합사에 있어서,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로서, 상기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의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가시부, 및
    상기 본체의 외주 외측에서 상기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가지부를 포함하면서,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구는 봉합사의 본체 둘레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아치형 가지부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구는 봉합사의 본체 둘레에 비균등하게 이격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아치형 가지부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지부 각각은 서로 다른 길이인 가시형 봉합사.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아치형 가지부는 봉합사의 본체에 대해 오목 방향으로 굴곡되는 가시형 봉합사.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아치형 가지부는 봉합사의 본체에 대해 볼록 방향으로 굴곡되는 가시형 봉합사.
  7.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구의 아치형 가지부에 세그먼트가 부착되는 가시형 봉합사.
  8.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구는 삽입 장치내에 끼워지도록 접혀지고, 삽입 장치는 고정구의 연장된 길이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봉합사가 내부에 배치되는 관형 요소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
  9. 제 1 항에 있어서, 봉합사 본체를 향한 개방 단부를 구비하는 고리를 형성하는 하나의 아치형 가지부가 존재하는 가시형 봉합사.
  10. 제 1 항에 있어서, 아치형 가지부는 루프를 형성하고, 가지부는 자체적으로 교차하며, 교차부에는 조직이 매설될 수 있는 개구가 존재하는 가시형 봉합사.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가시형 봉합사.
  12. 가시형 봉합사에 있어서,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로서, 상기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의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가시부, 및
    상기 본체의 외주 외측에서 상기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연장하는 T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봉합사의 본체에 대해 수직인 바아를 포함하면서, 상기 바아에 장착된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뾰족한 단부의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가시형 봉합사.
  14. 가시형 봉합사에 있어서,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로서, 상기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의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가시부, 및
    작살 단부와 유사하게 구성되고,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상기 본체의 외주 외측에서 연장하며,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가지는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가시형 봉합사.
  16. 가시형 봉합사에 있어서,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로서, 상기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의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가시부, 및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구로서 조직을 고정하도록 세장형 본체가 통과하는 루프를 가지는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
  17. 제 16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가시형 봉합사.
  18. 가시형 봉합사에 있어서,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로서, 상기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의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가시부, 및
    우산, 콘플라워 및 "M"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대상물과 유사형상으로 구성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가지는 하나의 단부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
  19. 제 16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가시형 봉합사.
  20.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가시부를 구비한 중앙부를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저지하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직내에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1 경로를 따라 중앙부가 배치되도록 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봉합사의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단부에 인접한 제1 경로로부터 제2 경로를 따라 이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경로는 제1 경로상에 잔류하는 봉합사를 갖는 상태로 돌출된 제1 경로와 적어도 약 30°의 각도를 형성하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1 경로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제1 경로는 실질적으로 알파 스티치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제1 경로는 실질적으로 퍼스-스트링 스티치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돌출된 제1 경로와 제2 경로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적어도 약 60°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돌출된 제1 경로와 제2 경로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적어도 약 90°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6. 제 20 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단방향 봉합사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8. 제 20 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양방향 봉합사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양방향 봉합사는 바늘인 두 개의 뾰족한 단부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0. 제 20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경로의 조합 경로는 J-스티치 및 반전 J-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1. 제 20 항에 있어서, 제2 경로는 S-스티치 및 반전 S-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2.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가시부를 구비한 중앙부를 포함하는 봉합사로서,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저지하는 가시형 봉합사를 환부의 각 측부상의 조직을 접근시키기 위해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 법에 있어서,
    조직내에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1 경로를 따라 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실질적으로 환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2 경로를 따르도록 제1 경로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
    봉합사의 적어도 하나의 뾰족한 단부에 인접한 제2 경로로부터 제3 경로를 따라 이탈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3 경로는 제2 경로상에 잔류하는 봉합사를 갖는 상태로 돌출된 제1 경로와 적어도 약 30°의 각도를 형성하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제1 경로는 실질적인 직선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제1 경로는 실질적인 곡선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제1 경로는 실질적으로 시누소드형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6. 제 32 항에 있어서, 제1 경로는 실질적으로 나선 패턴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 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7. 제 32 항에 있어서, 돌출된 제2 경로와 제3 경로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적어도 약 60°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8. 제 32 항에 있어서, 돌출된 제2 경로와 제3 경로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적어도 약 90°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39. 제 32 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단방향 봉합사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1. 제 32 항에 있어서, 봉합사는 양방향 봉합사인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양방향 봉합사는 바늘인 두 개의 뾰족한 단부를 가지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3. 제 32 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경로의 조합 경로는 J-스티치 및 반전 J-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4. 제 32 항에 있어서, 제3 경로는 S-스티치 및 반전 S-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5.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며, 고정구가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부로 연장하고,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고정구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환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부의 일 측면내로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및
    고정구가 조직내에서의 추가 이동을 저지하도도록 적절한 유지 강도를 달성할 때까지 조직을 통해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고정구는 조직내에 매설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7.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와,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고, 고정구는 연장시,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하고,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최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합사 본체가 내부에 배치되게 되는 관형 요소를 포함하면서 선행 단부와 추종 단부를 구비하는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와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종점에 도달할 때까지 조직을 통해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와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밀어넣는 단계와,
    (c) 삽입 장치를 제거하도록 추종 단부에서 삽입 장치를 파지하고 당기는 단계와,
    (d) 필요에 따라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조직을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봉합사 고정구, 본체 및 뾰족한 단부는 조직내에 매설되는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49. 제 47 항에 있어서, 봉합사 뾰족한 단부는 종점에서 조직의 외부로 연장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0. 제 47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는 최초에 삽입 장치 선행 단부 외부로 연장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1. 제 47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는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로부터 이격된 삽입 장치의 측부의 개구 외측으로 연장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2. 제 47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3.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고, 고정구는 연장시, 가시부 보 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하고,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선행 및 추종 단부를 가지는 관형 요소를 포함하는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종점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점에서 조직을 통해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적어도 봉합사의 추종 단부가 삽입 장치내에 존재할 때까지 봉합사의 선행 단부를 삽입 장치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c) 봉합사의 추종 단부에 접하도록 삽입 장치의 추종 단부내로 플런저를 삽입하는 단계와,
    (d) 삽입 장치 외부로 봉합사의 선행 단부를 추진하도록 플런저를 누르는 단계와,
    (e) 봉합사를 적소에 남겨두고, 삽입 장치를 제거하도록 추종 단부에서 삽입 장치를 파지하고 당기는 단계, 및
    (f) 필요에 따라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조직을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선행 단부는 뾰족한 단부이고, 봉합사의 추종 단부는 고정구인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6. 제 53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선행 단부는 고정구이고, 봉합사의 추종 단부는 뾰족한 단부인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7. 제 53 항에 있어서, 봉합사를 삽입 장치내로 삽입한 이후,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가 삽입 장치 선행 단부의 외부로 연장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8. 제 53 항에 있어서, 봉합사를 삽입 장치내로 삽입한 이후,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는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로부터 삽입 장치의 측부의 개구 외부로 연장하는 단방향 봉합사를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59. 세장형 본체, 조직을 관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와, 관형 요소를 포함하고 선행 및 추종 단부를 가지는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수술 절차를 수 행하는 방법이며, 봉합사의 제1 단부와 본체상의 제1 축방향 위치 사이의 본체의 제1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제2 단부로부터 제1 축방향 위치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본체상의 제2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2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2 부분은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에 있어서,
    (a) 조직내의 삽입 점에서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선택된 지점에 도달할때까지 조직을 통해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c)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가 삽입 장치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삽입 장치내로 봉합사의 제1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d) 조직내의 적소에 봉합사의 전체 길이를 남겨두고, 삽입 장치를 제거하도록 추종 단부에서 삽입 장치를 파지 및 당기는 단계, 및
    (e) 필요에 따라,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조직을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절차 진행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삽입 장치내로 봉합사를 삽입한 이후,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는 삽입 장치 선행 단부 외부로 연장하는 수술 절차 진행 방법.
  61. 제 59 항에 있어서, 삽입 장치내로 봉합사를 삽입한 이후,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가시부는 삽입 장치의 선행 단부로부터 이격된 삽입 장치의 측부상의 개구 외부로 연장하는 수술 절차 진행 방법.
  62. 제 59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진행 방법.
  63. 세장형 본체, 조직을 관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는 가시형 봉합사를 사용하여 수술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이며, 봉합사의 제1 단부와 본체상의 제1 축방향 위치 사이의 본체의 제1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제2 단부로부터 제1 축방향 위치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본체상의 제2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2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2 부분은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에 있어서,
    (a)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봉합사의 제1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조직내에 봉합사의 제1 부분의 길이를 남겨두고, 제1 축방향 위치가 봉 합사의 제1 단부의 삽입점에 있고,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출구점에서 조직을 벗어날때까지,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c) 봉합사의 제1 단부의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봉합사의 제2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d) 조직내에 봉합사의 제2 부분의 길이를 남겨두고, 봉합사의 제2 단부가 출구점에서 조직을 벗어날 때까지 봉합사의 제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단계, 및
    (e) 필요에 따라 수작업으로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조직을 그룹화 및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곡선 경로의 진폭은 조직상에 봉합사에 의해 작용되는 결과적인 유지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64. 제 63 항에 있어서, 곡선 경로는 실질적으로 시누소이드형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65. 제 63 항에 있어서, 경로는 곡선 경로와 각 출구점 사이에 배치된, 곡선 경로에 이어지는 실질적인 직선 경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66. 제 63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67. 제 63 항에 있어서, 바늘은 직선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68. 제 63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뾰족한 단부는 그 각 경로가 완료될 때까지 조직을 벗어나지 않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69. 제 6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경로는 J-스티치, 반전 J-스티치, S-스티치 및 반전 S-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패턴으로 종결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0. 제 63 항에 있어서,
    (a) 수술 절차는 이마거상술이고, 삽입점은 대략 전방 두발선 보다 상위의 사람의 안면상에 있으며,
    (b) 봉합사의 제1 단부는 표피하 조직, 두피 널힘줄 또는 그 조합을 통해 두피 아래로 밀어넣어지며, 봉합사의 제1 단부의 출구점은 두피이고,
    (c) 봉합사의 제2 단부는 표피하 조직을 통해 밀어넣어지고, 봉합사의 제2 단부의 출구점은 눈썹 인근이고,
    (d) 조직은 원하는 거상량을 제공하도록 봉합사의 제2 부분을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1. 제 70 항에 있어서, 삽입점은 대략 전방 두발선 보다 상위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2. 제 70 항에 있어서, 삽입점은 대략 전방 두발선과 눈썹 사이의 중앙점에 있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3. 제 70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4. 제 63 항에 있어서,
    (a) 수술 절차는 이마거상술이고, 삽입점은 대략 전방 두발선 보다 상위의 사람의 안면상에 있으며,
    (b) 봉합사의 제1 단부는 표피하 조직을 통해 밀어넣어지며, 봉합사의 제1 단부의 출구점은 눈썹에 인접하고,
    (c) 봉합사의 제2 단부는 표피하 조직을 통해 밀어넣어지고, 봉합사의 제2 단부의 출구점은 봉합사의 제1 단부의 출구점으로부터 이격되며 눈썹에 인접하고,
    (d) 조직은 원하는 거상량을 제공하도록 봉합사의 제2 부분을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5. 제 74 항에 있어서, 삽입점은 대략 전방 두발선 보다 상위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6. 제 74 항에 있어서, 삽입점은 대략 전방 두발선과 눈썹 사이의 중앙점에 있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7. 제 74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8. 제 63 항에 있어서,
    (a) 수술 절차는 이마거상술이고, 삽입점은 대략 임시 두발선 보다 상위에 있으며,
    (b) 봉합사의 제1 단부는 표피하 조직, 두피 널힘줄 또는 그 조합을 통해 두피상의 출구점까지 밀어넣어지며,
    (c) 봉합사의 제2 단부는 표피하 조직, 표층 근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코입술 주름에 인접한 출구점까지 밀어넣어지고,
    (d) 조직은 원하는 거상량을 제공하도록 봉합사의 제2 부분을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79. 제 78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0. 제 63 항에 있어서,
    (a) 수술 절차는 이마거상술이고, 삽입점은 대략 후방 하악각에 있으며,
    (b) 봉합사의 제1 단부는 표피하 조직, 표층 근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후방으로, 하악 경계에 대략 평행한 경로를 따라 후방으로 밀어넣어지고 원위에서 벗어나며,
    (c) 봉합사의 제2 단부는 표피하 조직, 표층 근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하악 경계에 대략 평행한 경로를 따라 전방으로 밀어넣어지고 원위에서 벗어나며,
    (d) 조직은 원하는 거상량을 제공하도록 봉합사의 제2 부분을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1. 제 80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2. 제 63 항에 있어서,
    (a) 수술 절차는 목 거상술이며, 삽입점은 상부흉골유돌근이고,
    (b) 봉합사의 제1 단부는 표피하 조직, 표층 근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하악 경계에 대략 평행한 경로를 따라 후방으로 밀어넣어지고, 원위에서 벗어나며,
    (c) 봉합사의 제2 단부는 표피하 조직, 표층 근건막 시스템 또는 그 조합을 통해, 하악 경계에 대략 평행한 경로를 따라 전방으로 밀어 넣어지고, 원위에서 벗어나며,
    (d) 조직은 원하는 거상량을 제공하도록 봉합사의 제2 부분을 따라 수작업으로 그룹화 및 전진되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3. 제 82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4. 제 63 항에 있어서,
    (a) 수술 절차는 넓적다리 거상술이고, 삽입 지점은 일반적으로, 서혜 주름에 있으며,
    (b) 봉합사의 제1 단부는 봉합사의 제1 단부가 조직의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표피하 조직을 통해 머리쪽에서 밀어넣어지고,
    (c) 봉합사의 제2 단부는 넓적다리상의 조직의 외부로 봉합사의 제2 단부가 연장할 때까지 표피하 조직을 통해 꼬리쪽에서 밀어넣어지는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5. 제 84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6. 제 63 항에 있어서,
    (a) 수술 절차는 가슴 거상술이며, 삽입점은 가슴 곡면의 상부면에 있으며,
    (b) 봉합사의 제1 단부는 피하 조직, 표피 조직 및 가슴 근육을 통해, 가슴의 상부 부분상의 출구점에서 조직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밀어넣어지고,
    (c) 봉합사의 제2 단부는 섬유성 및 지방 조직을 통해 꼬리쪽에서 봉합사의 제2 단부가 가슴의 하부 굴곡 또는 전방면을 따라 출구점에서 조직 외부로 연장할 때까지 밀어넣어지며,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7. 제 86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수술 절차 수행 방법.
  88. 각각 세장형 본체, 하나의 뾰족한 단부 및 하나의 추종 단부와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고, 가시부가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1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와 제2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제1 봉합사의 제1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조직내에 제1 봉합사의 본체의 길이를 남겨두고, 출구점에서 제1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가 조직을 벗어날 때까지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봉합사를 전진 시키는 단계와,
    (c) 제 봉합사의 삽입점에서 조직내로 제2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d) 조직내에 제2 봉합사의 본체의 길이를 남겨두고, 제2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가 출구점에서 조직을 벗어날 때까지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제2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e) 삽입점에서 제1 및 제2 봉합사를 함께 결속하는 단계, 및
    (f) 필요에 따라 각 봉합사의 본체를 따라 수작업으로 조직을 그룹화 및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곡선 경로의 진폭은 조직상에 각 봉합사에 의해 작용되는 결과적인 유지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89. 제 88 항에 있어서,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90. 제 88 항에 있어서, 바늘은 직선 바늘인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91.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 및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며, 고정구가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하며,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조직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조직내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b)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조직의 표면내에 삽입하는 단계와,
    (c) 조직을 통해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출구점까지 전진시키는 단계와,
    (d) 절개부에 고정구를 배치하는 단계, 및
    (e) 고정구가 조직내에서의 추가 이동을 저지하기에 적합한 유지 강도를 달성할 때까지 조직을 통해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고정구는 조직내에 매설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92. 제 91 항에 있어서,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93. 제 91 항에 있어서,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단계는 실질적인 곡선 경로내에서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각 곡선 경로의 진폭은 조직상에 각 봉합사에 의해 작용되는 결과적인 유지력에 실질적인 수직인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94. 제 93 항에 있어서, 경로는 시누소이드형인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95. 제 91 항에 있어서,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96. 제 95 항에 있어서, 바늘은 직선 바늘인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97.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와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며, 고정구는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하고,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며,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고,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사용하여, 생체 내부 조직의 두 단부의 조직 치유 및 병합 재성장을 가능하게 하도록 절단된 내부 조직의 두 단부를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내부 조직의 제1 단부내로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고, 곡선 경로를 따라 내부 조직을 통해 뾰족한 단부를 밀어넣어 제1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으로 조직내로 추가로 진행시키는 단계와,
    (b)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파지하고 조직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고정구를 견인하기 위해 내부 조직의 외부로 뾰족한 단부를 당기는 단계와,
    (c) 곡선 경로를 따라 뾰족한 단부를 밀어 넣고, 그후, 경로를 따라 제1 단부까지 복귀시키고, 조직의 제1 단부로부터 빼내는 단계와,
    (d) 조직의 대향한 제2 단부내로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e) 곡선 경로를 따라 뾰족한 단부를 밀어 넣어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추가로 조직내로 진행시키고, 그후, 제2 단부로 복귀시키며, 조직의 제2 단부로부터 빼내는 단계, 및
    (f) 조직의 제1 단부내로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고, 곡선 경로를 따라 뾰족한 단부를 밀어넣어 제2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추가로 조직내로 진행시키고, 그후, 제1 단부를 향해 복귀시키며, 조직으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단된 내부 조직의 두 단부를 결합하는 방법.
  98. 제 97 항에 있어서,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절단된 내부 조직의 두 단부를 결합하는 방법.
  99. 세장형 본체와, 하나의 뾰족한 단부와, 고정구에서 종결하는 하나의 단부와,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고, 고정구는 가시부 보다 큰 정도로 본체의 외주 외측으로 연장하고, 가시부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 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고정구는 뾰족한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의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도관의 제1 및 제2 단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신체 도관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벽을 통해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도관의 제1 단부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와,
    (b) 도관의 제2 단부의 벽을 통해 튜브의 내부로부터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c) 도관의 두 단부를 함께 견인하기 위해,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의 외부면과 고정구가 접촉할 때까지 도관의 벽을 통해 봉합사를 전진시키는 단계와,
    (d) 이전 삽입점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을 통해 봉합사의 뾰족한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및
    (e) 도관 둘레로 봉합사를 전진시키기 위해, 단계 (b) 내지 단계 (d)를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도관내에 배치하는 방법.
  100. 제 99 항에 있어서, 가시형 봉합사의 하나의 뾰족한 단부는 바늘인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도관내에 배치하는 방법.
  101. 제 99 항에 있어서, 봉합사 패턴은 J 스티치 및 반전 J 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경로내에서 종결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도관내 에 배치하는 방법.
  102. 제 99 항에 있어서, 봉합사 패턴은 S 스티치 및 반전 S 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경로내에서 종결하는 단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신체 도관내에 배치하는 방법.
  103. 세장형 본체와, 조직을 관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와,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도관의 제1 및 제2 단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신체 도관내에 배치하는 방법이며, 본체상의 제1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1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1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1 단부의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제2 단부로부터 제1 축방향 위치 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본체상의 제2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2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2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도관의 제1 및 제2 단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신체 도관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부분의 단부를 도관의 제1 단부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와,
    (b) 도관의 내부로부터 도관의 제2 단부의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c) 도관의 두 단부를 함께 견인하기 위해,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의 외부면과 봉합사의 제2 부분의 대향 가시부가 접촉할 때까지 도관의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부분을 전진시키는 단계와,
    (d) 봉합사의 제1 단부의 이전 삽입점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에서, 도관의 제1 단부의 내부로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e) 조직의 제1 부분의 단부의 출구점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에서, 도관의 제2 단부의 내부로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2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f) 봉합사의 제2 부분의 최초 삽입점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에서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을 통해 도관의 내부로부터 봉합사의 제2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및
    (g) 도관 둘레로 가시형 봉합사의 각 단부를 전진시키기 위해 단계 (a) 내지 단계 (f)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104. 제 103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는 바늘인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105. 제 103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단부의 봉합사 패턴은 J 스티치 및 반전 J 스 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경로내에서 종결되는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106. 제 103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단부의 봉합사 패턴은 S 스티치 및 반전 S 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경로내에서 종결되는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107. 세장형 본체와, 조직을 관통하기 위한 제1 및 제2 날카로운 뾰족한 말단부와, 본체의 외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가시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도관의 제1 및 제2 단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신체 도관내에 배치하는 방법이며, 본체상의 제1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1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1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1 단부의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며, 제2 단부로부터 제1 축방향 위치 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본체상의 제2 축방향 위치와 봉합사의 제2 단부 사이의 본체의 제2 부분상의 가시부는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으로 조직을 통한 봉합사의 이동을 허용하고, 제2 단부의 이동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조직에 대한 봉합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양방향 가시형 봉합사를 도관의 제1 및 제2 단부를 접근시키기 위해 신체 도관내에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도관의 내부로부터 도관의 제2 단부의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c) 도관의 두 단부를 함께 견인하기 위해,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의 외부면과 봉합사의 제2 부분의 대향 가시부가 접촉할 때까지 도관의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부분을 전진시키는 단계와,
    (d) 봉합사의 제1 단부의 이전 삽입점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에서, 도관의 제1 단부의 내부로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1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e) 봉합사의 제1 부분의 최초 삽입점에 인접한 지점에서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을 통해 봉합사의 제2 부분을 삽입하는 단계와,
    (f) 조직의 제1 부분의 단부의 출구점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에서, 도관의 제2 단부의 벽을 통해 도관의 내부로부터 봉합사의 제2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g) 봉합사의 제2 부분의 이전 삽입점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지점에서 도관의 제1 단부의 벽을 통해 도관의 내부로부터 봉합사의 제2 부분의 단부를 삽입하는 단계, 및
    (g) 도관 둘레로 가시형 봉합사의 각 단부를 전진시키기 위해 단계 (b) 내지 단계 (g)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108. 제 107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제1 및 제2 날카로운 말단부는 바늘인 봉합사 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109. 제 107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단부에서 봉합사 패턴은 J 스티치 및 반전 J 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경로에서 종결하는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110. 제 107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단부에서 봉합사 패턴은 S 스티치 및 반전 S 스티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경로에서 종결하는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111. 제 107 항에 있어서, 봉합사의 단부에서 봉합사 패턴은 봉합사의 교차 단부에서 종결하는 봉합사를 신체 조직내에 배치하는 방법.
KR1020067023828A 2004-05-14 2005-05-16 봉합 방법 및 장치 KR101201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21,528 2004-05-14
PCT/US2005/017028 WO2005112787A2 (en) 2004-05-14 2005-05-16 Suture methods and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98A true KR20070023698A (ko) 2007-02-28
KR101201688B1 KR101201688B1 (ko) 2012-11-15

Family

ID=4365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828A KR101201688B1 (ko) 2004-05-14 2005-05-16 봉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6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278A3 (ko) * 2009-11-13 2011-10-13 Yoon Sang Jin 지시 기능을 갖는 의료용 바늘 모듈과 수술용 장치
WO2012011791A2 (en) * 2010-07-23 2012-01-26 Hyunjin Yang Fixing method of living tissue, tube-type needle package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1500275B1 (ko) * 2014-06-24 2015-03-06 민웅재 성형시술용 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9447A1 (en) * 2002-02-01 2003-08-07 Morency Steven David Barbed surgical su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278A3 (ko) * 2009-11-13 2011-10-13 Yoon Sang Jin 지시 기능을 갖는 의료용 바늘 모듈과 수술용 장치
CN102740780A (zh) * 2009-11-13 2012-10-17 瑞恩科技有限公司 具有指示功能的外科手术装置及医疗针组件
WO2012011791A2 (en) * 2010-07-23 2012-01-26 Hyunjin Yang Fixing method of living tissue, tube-type needle package and using method thereof
WO2012011791A3 (en) * 2010-07-23 2012-05-31 Hyunjin Yang Fixing method of living tissue, tube-type needle package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1250527B1 (ko) * 2010-07-23 2013-04-03 이희영 생체 조직의 탄성 고정방법, 튜브형 바늘 패키지 및 튜브형 바늘 패키지의 사용방법
KR101500275B1 (ko) * 2014-06-24 2015-03-06 민웅재 성형시술용 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688B1 (ko)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7431A1 (en) Suture methods and devices
US20170348090A1 (en) Minimally invasive tissue support
US7056331B2 (en) Suture method
KR101201688B1 (ko) 봉합 방법 및 장치
AU2012201433B2 (en) Suture methods an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