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600A - Power steering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stee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600A
KR20070022600A KR1020060078701A KR20060078701A KR20070022600A KR 20070022600 A KR20070022600 A KR 20070022600A KR 1020060078701 A KR1020060078701 A KR 1020060078701A KR 20060078701 A KR20060078701 A KR 20060078701A KR 20070022600 A KR20070022600 A KR 2007002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teering
power
circu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다하루 요꼬따
기요시 이노우에
도오루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6007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600A/en
Publication of KR2007002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6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62D5/064Pump driven independently from vehicle engine, e.g. electric driven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수압 파워 실린더, 모터 구동 펌프, 및 모터용 구동 전원을 채택하는 파워 조향 장치에 있어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모터의 구동 상태 및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그 명령 신호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터 제어 회로와,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 모터 각 가속도를 검출 또는 예측하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와, 모터 각 가속도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 power steering apparatus employing a hydraulic power cylinder, a motor driven pump, and a driving power source for the motor, where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power source to control the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power source. do.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through a power cylinder, 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motor angle. A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or predicting an acceleration and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파워 조향 장치, 모터, 모터 제어 회로, 부스터 회로,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 Power steering, motor, motor control circuit, booster circuit,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booster circuit control circuit

Description

파워 조향 장치 {POWER STEERING DEVICE}Power Steering Device {POWER STEERING DEVICE}

도1은 파워 조향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선도.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ower steering apparatus.

도2는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의 입력 섹션(입력 회로), 제어 섹션(제어 회로) 및 출력 섹션(출력 회로)을 나타내는 블록 선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put section (input circuit), control section (control circuit) and output section (output circuit)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도3은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기 내에서 실행되는 제어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routine executed in the controller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도4는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용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 및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and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도5는 기본 모터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선도.5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basic motor characteristics.

도6의 (a) 내지 도6의 (f)는 다른 조향 속도, 즉 고속 및 저속 조향 속도에서 얻어지는 모터 및 가역 펌프와 같은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시스템 요소 부품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타임 차트.6 (a) to 6 (f) are time charts illustrating the state change of the power steering system component parts of the first embodiment such as a motor and a reversible pump obtained at different steering speeds, that is, at high and low speed steering speeds.

도7은 제2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 내에 포함된 제어기의 입력 섹션, 제어 섹션 및 출력 섹션을 나타내는 블록 선도.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put section, a control section and an output section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8은 제2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를 위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 내에 포함된 조향 토크 변화비 예측 회로 및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io prediction circuit and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9는 파워 조향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선도.Fig. 9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도10은 제3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 내에 포함된 제어기의 입력 섹션, 제어 섹션 및 출력 섹션을 나타내는 블록 선도.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put section, a control section and an output section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도11은 제3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를 위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 내에 포함된 조향륜 각 가속도 산술 회로 및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arithmetic circuit and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도12는 제4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 내에 포함된 제어기의 입력 섹션, 제어 섹션 및 출력 섹션을 나타내는 블록 선도.Fig.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put section, a control section and an output section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device of the fourth embodiment.

도13은 제4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를 위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 내에 포함된 PWM 듀티 사이클 값 변화비 산술 회로 및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PWM duty cycle value change ratio arithmetic circuit and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도14는 제5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 내에 포함된 제어기의 입력 섹션, 제어 섹션 및 출력 섹션을 나타내는 블록 선도.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put section, a control section and an output section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도15는 제5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를 위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 내에 포함된 전류값 편차 산술 회로 및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urrent value deviation arithmetic circuit and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도16은 제6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를 위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 내에 포함된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 및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and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ixth embodiment;

도17은 제6 실시예의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위한 소정의 전원 전압(Ve) 대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n) 특성 맵.Fig. 17 is a map of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voltage Ve versus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n for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of the sixth embodiment.

도18은 파워 조향 장치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선도.18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도19는 제7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 내에 포함된 제어기의 입력 섹션, 제어 섹션 및 출력 섹션을 나타내는 블록 선도.Fig.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put section, a control section and an output section of a controller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ven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a1: 조향 휠a1: steering wheel

b1: 조향 샤프트b1: steering shaft

b2: 중간 샤프트b2: middle shaft

b3: 피니언 샤프트b3: pinion shaft

b4: 토크 센서b4: torque sensor

b5: 피니언b5: pinion

b6: 조향륜 각 센서b6: steering wheel angle sensor

c1: 래크-피니언 기구c1: rack-pinion mechanism

1: 모터1: motor

2: 가역 펌프2: reversible pump

2a, 2b: 제1 및 제2 포트2a, 2b: first and second ports

3, 4: 제1 및 제2 체크 밸브3, 4: first and second check valve

5: 저장조 탱크5: reservoir tank

6: 모터 회전 각 센서6: motor rotation angle sensor

7: 차량 속도 센서7: vehicle speed sensor

8: 모터-전류 검출기(모터-전류 검출 회로)8: Motor-Current Detector (Motor-Current Detection Circuit)

10, 11: 제1 및 제2 유체 라인10, 11: first and second fluid lines

10a, 11a: 제 및 제2 브랜치 라인10a, 11a: first and second branch lines

20: 파워 실린더20: power cylinder

21, 22: 제1 및 제2 실린더 챔버21, 22: first and second cylinder chamber

23: 래크 샤프트23: rack shaft

23a: 래크23a: rack

24: 피스톤24: piston

30: 제어기30: controller

31: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조향-지원 토크 연산 회로 또는 조향-지원 토크 연산 수단)31: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section (steering-assisted torque calculating circuit or steering-assisted torque calculating means)

32: 모터 제어 회로(모터 제어 수단)32: motor control circuit (motor control means)

34: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부스터-회로 제어 회로 또는 부스터 회로 제어 수단)34: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or booster circuit control means)

50: 부스터 회로50: booster circuit

51: 모터 구동 회로51: motor drive circuit

52: 자동차 배터리52: car battery

331: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37117호[Document 1]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137117

[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33077호[Document 2]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33077

본 발명은 파워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 구동 펌프의 수단에 의해 수압 파워 실린더를 작동함으로써 조향 지원력 인가를 가능하게 하는 수압 파워 실린더 장착 파워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teering apparatus with a hydraulic power cylinder that enables the application of steering support force by operating the hydraulic power cylinder by means of a motor driven pump.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37117호(이하에서는 "JP2003-137117호"로 참조됨)에 개시된 파워 조향 장치는 이러한 유형의 파워 조향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다. JP2003-137117호에 개시된 파워 조향 장치는 조향 샤프트의 하부 단부에 연결된 출력 샤프트와, 피조향 차륜을 조향하기 위한 출력 샤프트의 하부 단부 상에 설치된 래크-피니언 기구와, 래크-피니언 기구의 래크에 연결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의 좌측 절반부로서 배열된 제1 실린더 챔버 내부로 또는 파워 실린더의 우측 절반부로서 배열된 제2 실린더 챔버 내부로 작업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모터 구동 가역 펌프로 구성된다. 정상 조향 작동(normal steering operation)이 조향 지원력 인가를 목적으로 차량 구동 중에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위해 조향륜에 의해 수행될 때, 작업 유체(수압 압력 또는 작업 압력)는 모터 구동 가역 펌프의 정상 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제1 및 제2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조향 샤프트가 동일한 크기 및 유형의 전기 모터에 대한 액추에이터(전기 모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는 전기 파워 조향 장치와 비교할 때, 수압 파워 실린더 장착 파워 조향 장치는 비교적 큰 조향 지원력을 생성할 수 있다.The power steering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371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JP2003-137117") is generally known as this type of power steering device. The power steering device disclosed in JP2003-137117 has an output shaf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a rack-pinion mechanism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output shaft for steering the steered wheels, and a rack of the rack-pinion mechanism. With a hydraulic power cylinder and a motor driven reversible pump provided for selectively supplying working fluid into a first cylinder chamber arranged as the left half of the power cylinder or into a second cylinder chamber arranged as the right half of the power cylinder. It is composed. When a normal steer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teering wheel for left turn or right turn while driving a vehicle for the purpose of applying steering assistance, the working fluid (hydraulic pressure or working pressure) is normally rotated or reversed of the motor-driven reversible pump. Rotation is optionally supplied to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ylinder chambers. When compared to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in which the steering shaft is directly driven by an actuator (electric motor) for an electric motor of the same size and type, the hydraulic power cylinder mounted power steering device can produce relatively large steering support.

그러나 최근에 파워 조향 장치 장착 차량이 확대됨에 따라서, 보다 큰 조향 지원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모터 파워 출력에 있어서 추가 상승이 요구되었다. 추가적인 모터 파워 출력 상승에 대해, 미국특허출원 제6,987,371호에 대응하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33077호(이하에서는 "JP2003-33077호"로 참조)는 조향 시스템에 연결된 모터를 위한 구동 전원의 소스 전압을 부스트시키기 위한 부스터 회로의 사용을 교시한다. JP2003-33077호은 또한 모터의 회전 속도에 기초한 소스 전압 부스트 타이밍을 제어하는 조향 제어기를 교시한다. 모터 속도 의존 소스 전압 부스트 타이밍 제어는 부스트 작동의 실행 빈도에 있어서의 감소에 기여하고, 따라서 자동차 배터리의 감소된 전력 소비를 보장한다.However,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vehicles with power steering devices, greater steering assistance is required. Therefore, a further increase in the motor power output was required. For further motor power output increases,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33077 (hereinafter referred to as "JP2003-33077") corresponding to US Patent Application No. 6,987,371 is a source of drive power for a motor connected to a steering system. Teach the use of a booster circuit to boost the voltage. JP2003-33077 also teaches a steering controller that controls source voltage boost timing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Motor speed dependent source voltage boost timing control contributes to a reduction in the frequency of execution of the boost operation, thus ensuring a reduced power consumption of the car battery.

그러나 JP2003-137117호에 개시된 수압 파워 실린더 장착 파워 조향 장치가 구성되어, 작업 유체는 모터 구동 가역 펌프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파워 실린더가 펌프에 의해 생성된 작업 유체 압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JP2003-137117호의 파워 조향 장치는 작업 유체 압력이 소정의 압력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 속도는 빠르고 소정의 압력 레벨에 도달된 후에는 모터 속도가 하강하는 모터 속도 대 작업 유체 압력 특성을 갖는다. 전술한 모터 속도 대 작업 유체 압력 특성의 경우에 있어서, 모터 속도의 시간 변화율은 작업 유체 압력이 소정 압력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매우 높다. 소정 압력 레벨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동안에는 모 터 속도의 실제 변화율이 원하는 값보다 작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나서, 작업 유체 압력 상승의 응답 지연은 모터 속도 역치값이 아직 도달되지 않는 동안에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부스트 작동이 모터 속도가 그 역치값에 도달할 때인 부스트 타이밍에서 개시하더라도, 소정의 유체 압력 제어 응답성(즉, 소정의 조향 지원 제어 응답성)을 보장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따라서 실제 작업 유체 압력을 소정 값에 더욱 가깝도록 신속하고 정밀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부스트 작동 개시 후 필요한 모터 속도 변경은 모터 속도 역치값에 도달될 때 생성된 작업 유체 압력의 압력 레벨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급속 모터 속도 상승의 경우에 있어서, 소스 전압에 대한 불충분한 부스트 작동 및/또는 부스트 작동의 불필요한 시행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해, 부스트 작동이 개시된 시점에서 모터 속도 역치값을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부스트 작동은 모터 속도 역치값을 낮은 값에 설정하는 것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시행될 수 있고, 따라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빈도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자동차 배터리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이끈다.However, the hydraulic power cylinder mounted power steering apparatus disclosed in JP2003-137117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orking fluid is pressuriz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driven reversible pump so that the power cylinder is operated by the working fluid pressure generated by the pump. Thus, the power steering device of JP2003-137117 has a motor speed versus working fluid pressure characteristic in which the motor speed is fast until the working fluid pressure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level and the motor speed decreases after reaching the predetermined pressure level. In the case of the motor speed versus working fluid pressur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 rate of change of the motor speed is very high until the working fluid pressure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level. While the predetermined pressure level has not yet been reached, it is assumed that the actual rate of change of the motor speed is less than the desired value. Then, the response delay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rise occurs while the motor speed threshold value is not yet reached. In such a case, even if the boost operation starts at the boost timing when the motor speed reaches its threshold value, it is impossible to guarantee the predetermined fluid pressure control responsiveness (ie, the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 control responsivenes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quickly and precisely bring the actual working fluid pressure closer to a given value. In addition, the required motor speed change after the start of boost operation depends on the pressure level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generated when the motor speed threshold value is reached. Therefore, in the case of a rapid motor speed increase, there is a possibility of insufficient boost operation and / or unnecessary implementation of the boost operation on the source voltage. To avoid this, it is possible to set the motor speed threshold value to a low value at the time when the boost operation is started. However, boost operation can be over-executed due to setting the motor speed threshold value to a low value, thus increasing the frequency of 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undesirably.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car battery load.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전술된 단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구동 펌프의 작동 중에 작업 유체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조향 지원력을 수압 파워 실린더의 한 쌍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인가할 때 배터리 부하를 증가시키기 않으면서 양호한 조향감을 달성할 수 있는 파워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the afor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pply steering support to any one of a pair of hydraulic cylinder chambers of a hydraulic power cylinder by selectively supplying working fluid pressure during operation of the motor driven pump. It is to provide a power steering apparatus that can achieve a good steering feeling without increasing the battery load.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파워 조향 장치는 피 조향 차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명령 신호 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 모터 각 가속도를 검출하거나 예측하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와, 모터 각 가속도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를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es 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a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a steered wheel, and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pressure, a motor for driving the pump, and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ing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ource;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tor control circuit that generates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through a power cylinder, and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at detects or predicts motor angular acceleration. A detection circuit and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that controls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motor angular acceleration.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파워 조향 장치는 또한 피조향 차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제1 및 제2 유체 라인을 통해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각각의 수압 실린더 챔버로 수압 압력이 공급되는 한 쌍을 포트를 갖는 펌프와, 정상 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으로 펌프를 구동할 수 있는 모터와, 전력을 모터에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명령 신호 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 모터 각 가속도를 검출하거나 예측하는 모 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와, 모터 각 가속도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teering device also includes 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ed wheels, and each hydraulic cylinder chamber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via first and second fluid lines. A pump having a pair of ports supplied with hydraulic pressure, a motor capable of driving the pump in a normal rotational direction and a reverse rotational direction, a driving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motor, a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a power supply of the driving power supply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motor and a drive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voltage;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ing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through a power cylinder, and 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upply; And a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or predicting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and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between actuating and non-operating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파워 조향 장치는 피조향 차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명령 신호 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 모터 각 가속도를 검출하거나 예측하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와, 모터 각 가속도가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 이상이 될 때 부스터 회로에 스위치를 넣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wer steering device selectively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a steered wheel, and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motor and a driving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pump, a motor driving the pump, a driving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ource. It includes;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ing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through a power cylinder, and 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upply; And a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ing circuit for detecting or predicting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and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파워 조향 장치는 피조향 차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조향 기구에 작용하는 조향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센서와, 명령 신 호 값이 조향 토크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 시간에 대하여 조향 토크의 변화율로서 조향 토크 변화율을 연산하거나 예측하는 조향 토크 변화율 예측 회로와, 조향 토크 변화율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wer steering device selectively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a steered wheel, and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motor and a driving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pump, a motor driving the pump, a driving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ource.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torque sensor for detecting steering torque ac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ing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eering torque, and a driving power supply. The booster circuit boosts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adjusts as the rate of change of the steering torque over time. A steering torque change rate predicting circuit for calculating or predict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torque torque, and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파워 조향 장치는 조향륜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조향 샤프트와, 조향 샤프트를 피조향 차륜에 연결하는 조향 기구에 설치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명령 신호 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 바로 앞의 위치로부터 측정된 조향 륜의 각 변위에 대응하는 조향 각을 검출하는 조향 각 센서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 조향 각을 기초로 하여 조향륜 각 가속도를 연산하거나 예측하는 조향륜 각 가속도 연산 회로와, 조향륜 각 가속도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es a steering shaft fixedly connected to a steering wheel, a hydraulic power cylinder installed in a steering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steering shaft to a steering wheel, and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the pumps, a motor for driving the pump, a driving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upply,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ing power supply.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teering system;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tor control circuit in which a command signal value generates a motor drive signal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a steered wheel through a power cylinder, and the angular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wheel measured from the immediately preceding position. A steering angle sensor for detecting a steer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steering wheel; 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ource; a steering wheel angle acceleration calculation circuit for calculating or predicting a steering wheel angle acceleration based on the steering angle;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which controls the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each accel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파워 조향 장치는 피조향 차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모터에 대하여 듀티 사이클 값의 펄스-폭 변조 (PWM) 듀티 사이클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 시간에 대하여 PWM 듀티 사이클 신호의 듀티 사이클 값의 변화율로서 PWM 듀티 사이클 신호 변화율을 연산하거나 예측하는 PWM 듀티 사이클 신호 변화율 연산 회로와, PWM 듀티 사이클 신호 변화율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PWM 듀티 사이클 신호는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wer steering device selectively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a steered wheel, and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motor and a driving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pump, a motor driving the pump, a driving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ource. It includes;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pulse-width modulation (PWM) duty cycle signal of a duty cycle value for the motor, 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upply, and a PWM duty cycle signal with respect to time. A PWM duty cycle signal change rate calculating circuit that calculates or predicts a PWM duty cycle signal change rate as a change rate of the duty cycle value of the control circuit, and controls the switching between the operating and non-operating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the PWM duty cycle signal change rate.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The PWM duty cycle sig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eering support applied to the steered wheels through the power cylinder.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파워 조향 장치는 피조향 차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명령 신호 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 모터를 가로질러 흐르는 실제 전류 값을 검출하는 모터 전류 검출 회로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 명령 신호 값 및 실제 전류 값 사이의 편차를 연산하는 전류값 편차 연산 회로와, 편차가 편차 역치값 이상이 될 때 부스터 회로에 스위치를 넣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wer steering device selectively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a steered wheel, and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motor and a driving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pump, a motor driving the pump, a driving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ource. Where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steered wheel through the power cylinder, and an actual current value flowing across the motor. The motor current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the voltage Includes a booster circuit, a 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ng circuit for calculating a deviation between the command signal value and the actual current value, and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deviation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eviation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파워 조향 장치는 피조향 차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 명령 신호 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펌프로부터 파워 실린더에 공급된 수압 압력의 응답 지연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때 부스터 회로에 스위치를 넣는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wer steering device selectively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a steered wheel, and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a motor and a driving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pump, a motor driving the pump, a driving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ource. It includes;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through a power cylinder, 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switches the booster circu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delay in response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pump to the power cylind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동봉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First 실시예Example

이제 도면, 특히 도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는 좌우 피조향 차륜(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 자동차 내에서 예시된다. 도1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륜(a1)은 조향 샤프트(b1)의 상부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중간 샤프트(b2)의 상부 단부는 유니버설 조인트(도면부호 없음)를 통해 조향 샤프트(b1)의 하부 단부에 기계식으로 연결된다. 피니언 샤프트(b3)의 상부 단부는 유니버설 조인트(도면부호 없음)를 통해 중간 샤프트(b2)의 하부 단부에 기계식으로 연결된다. 토크 센서(b4)는 구동기(driver)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조향륜(a1)에 인가된 조향 토크(조향륜 토크)의 크기 및 방향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조향륜(a1) 및 각각의 피조향 차륜 사이에 작용하는 토크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피니언 샤프트(b3)에 설치 부착된다. 토크 센서(4b)에 의해 검출된 토크는 이하에서 "조향 토크(Ts)"로 참조된다. 피니언(b5)은 피니언 샤프트(b3)의 하부 단부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래크-피니언 기구(c1)는 래크 샤프트(23)(추후 설명됨)의 래크(23a)와 피니언(b5)으로 구성된다. 피니언(b5)은 조향 연동기(steering linkage)의 주 크로스 부재(major cross member)인 래크 샤프트(23)의 래크(23a)와 맞물린다. 래크-피니언 기구(c1)는 조향륜(a1)의 회전 운동을 래크 샤프트(23)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 대 선형 운동 컨버터로서의 역할을 한다. 래크-피니언 기구(c1)는 또한 피조향 차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일부를 구성한다.Referring now to the drawings and in particular to FIG. 1, the power steer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an automobile with left and right steered wheels (not shown). As clearly shown in Fig. 1, the steering wheel a1 is fixedly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teering shaft b1.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b2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shaft b1 via a universal joint (not shown). The upper end of the pinion shaft b3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b2 via a universal joint (not shown). The torque sensor b4 is a steering wheel a1 and each blood, which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steering torque (steering wheel torque)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a1 about the rotation axis by a driver. It is attached to the pinion shaft b3 to detect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torque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s. The torque detected by the torque sensor 4b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eering torque Ts". Pinion b5 is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pinion shaft b3. The rack-pinion mechanism c1 consists of the rack 23a and the pinion b5 of the rack shaft 23 (described later). The pinion b5 meshes with the rack 23a of the rack shaft 23, which is the major cross member of the steering linkage. The rack-pinion mechanism c1 serves as a rotational to linear motion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a1 in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rack shaft 23. The rack-pinion mechanism c1 also constitutes a part of the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래크 샤프트(23)의 양단부는 타이 로드(도시되지 않음) 및 조향 너클(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각각의 피조향 차륜(도시되지 않음)에 기계식으로 연결된다. 래크 샤프트(23)는 파워 실린더(2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수압 파워 실린 더(20) 내에 설치된다. 환언하면, 파워 실린더(20)는 래크-피니언 기구(c1)(조향 기구) 상에 설치된다. 피스톤(24)은 또한 파워 실린더(20) 내에 위치되고 사실상 래크 샤프트(23)의 중간점에 설치되어, 피스톤(24)이 래크 샤프트(23)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1의 시스템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워 실린더(20)의 내부 공간은 피스톤(24)(도1을 보라)의 좌측 면상에 형성된 제1 실린더 챔버(21) 및 피스톤(24)의 우측 면상에 형성된 제2 실린더 챔버(22)로 분할된다. 제1 실린더 챔버(21)는 제1 방향으로 래크 샤프트(3)의 축방향 이동, 즉 우측 방향 래크 샤프트 이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실린더 챔버(22)는 제2 방향으로 래크 샤프트(23)의 축방향 이동, 즉 좌측 방향 래크 샤프트 이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즉, 파워 실린더(20)는 피조향 차륜에 연결된 래크-피니언 기구(c1)를 포함하는 조향 기구를 통해 전달된 조향력을 지원한다.Both ends of the rack shaft 23 are mechanically connected to each steered wheel (not shown) via tie rods (not shown) and steering knuckles (not shown). The rack shaft 23 is installed in the hydraulic power cylinder 20 in a manner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ower cylinder 20. In other words, the power cylinder 20 is installed on the rack-pinion mechanism c1 (steering mechanism). The piston 24 is also located in the power cylinder 20 and is installed at virtually the midpoint of the rack shaft 23 so that the piston 24 is movable with the rack shaft 23. As can be seen from the system diagram of FIG. 1, the inner space of the power cylinder 20 is defined by the first cylinder chamber 21 and the right side of the piston 24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piston 24 (see FIG. 1). It is divided into a second cylinder chamber 22 formed on the face. The first cylinder chamber 21 serves to support the axial movement of the rack shaft 3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right shaft rack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ylinder chamber 22 serves to support the axial movement of the rack shaft 23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he left shaft shaft movement. That is, the power cylinder 20 supports steer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a steering mechanism including a rack-pinion mechanism c1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모터(1)는 역회전 방향 및 정상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무브러시 모터(a brushless motor)이다. 모터 회전각 센서(6)는 모터(1)의 모터 회전자의 회전각(θm), 다시 말해 무브러시 모터 회전자의 각 위치를 검출하고, 모터 회전각(θm)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모터(1)(정확하게는, 무브러시 모터의 회전자)에 부착된다. 모터(1)는 U 위상, V 위상 및 W 위상을 갖는 3상 회로로부터 작동된다. 3상 회로는 1 사이클의 1/3만큼의 위상 차이가 나는 전압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즉, 모터(1)는 절환 회로[추후 도2를 참조로 설명되는 모터 구동 회로(51) 내에 포함됨]를 통해 모터(1)의 회전각에 따라서 U, V, W 위상을 갖는 3상 회로에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구동된다. 회전각 센서(또는 회전 위치 센서), 즉 모터 회전각 센서(6)로서, 리졸버(resolver), 절대값 각 리졸버, 서로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모터의 자기장 내에 배치되어 홀 효과 원리로 작동하는 복수의 홀 소자, 회전 인코더(rotary encod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각 위치 센서[모터 회전 각 센서(6)]의 사용은 비싼 각 속도 센서 또는 비싼 각 가속도 센서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모터 샤프트, 즉 모터(1)의 출력 샤프트는 가압된 작업 유체의 배출 방향이 모터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역전되거나 절환될 수 있는 가역 펌프(2)에 연결된다. 가역 펌프(2)는 입구-출구 포트로 역할을 하는 제1 포트(2a)와 입구-출구 포트로 역할을 하는 제2 포트(2b)를 갖는다.The motor 1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is a brushless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ormal rotation direction. The motor rotation angle sensor 6 detects the rotation angle θm of the motor rotor of the motor 1, that i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brushless motor rotor, and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e motor rotation angle θm. To the motor 1 (exactly the rotor of the brushless motor). The motor 1 is operated from a three phase circuit having U phase, V phase and W phase. Three-phase circuits are powered by a voltage that is one third of the cycle out of phase. That is, the motor 1 is connected to a three-phase circuit having U, V, and W phas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1 through a switching circuit (included in the motor driving circuit 51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It is driven by supplying a voltage. As a rotation angle sensor (or rotation position sensor), that is, a motor rotation angle sensor 6, a resolver, an absolute angle resolver, a plurality of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ranged in a magnetic field of the motor to operate on the Hall effect principle Hall element, rotary encoder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use of the angular position sensor (motor rotation angle sensor 6) eliminates the need for expensive angular velocity sensors or expensive angular acceleration sensors. The motor shaft, ie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1, is connected to a reversible pump 2 in which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ressurized working fluid can be reversed or switch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shaft. The reversible pump 2 has a first port 2a which serves as an inlet-outlet port and a second port 2b which serves as an inlet-outlet port.

제1 포트(2a)는 제1 유체 라인(10)을 통해 제1 실린더 챔버(21)에 연결되는 반면에, 제2 포트(2b)는 제2 유체 라인(11)을 통해 제2 실린더 챔버(22)에 연결된다. 제1 브랜치 라인(10a)은 제1 유체 라인(10)에 연결된다. 제1 브랜치 라인(10a)은 또한 제1 체크 밸브(3)를 통해 저장조 탱크(5)에 연결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2 브랜치 라인(11a)은 제2 유체 라인(11)에 연결된다. 제2 브랜치 라인(11a)은 또한 제2 체크 밸브(4)를 통해 저장조 탱크(5)에 연결된다. 제1 체크 밸브(3)는 저장조 탱크(5)로부터 제1 유체 라인(10)으로 작업 유체의 자유 유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1 브랜치 라인(10a) 내에 배치된다. 제2 체크 밸브(4)는 저장조 탱크(5)로부터 제2 유체 라인(11)으로 작업 유체의 자유 유동만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브랜치 라인(11a) 내에 배치된다.The first port 2a is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chamber 21 via the first fluid line 10, while the second port 2b is connected to the second cylinder chamber (through the second fluid line 11). 22). The first branch line 10a is connected to the first fluid line 10. The first branch line 10a is also connected to the reservoir tank 5 via the first check valve 3. In a similar manner, the second branch line 11a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uid line 11. The second branch line 11a is also connected to the reservoir tank 5 via the second check valve 4. The first check valve 3 is arranged in the first branch line 10a to allow only free flow of the working fluid from the reservoir tank 5 to the first fluid line 10. The second check valve 4 is arranged in the second branch line 11a to allow only free flow of the working fluid from the reservoir tank 5 to the second fluid line 11.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 내에 포함된 모터(1)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 제어기(전자 제어 유닛)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컴퓨 터를 포함한다. 제어기(3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 메모리(RAM, ROM),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유닛(CPU)을 포함한다. 제어기(30)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I/O)는 다양한 엔진/차량 센서들, 즉 토크 센서(b4), 모터 회전각 센서(6), 차량 속도 센서(7) 및 모터-전류 검출기(모터-전류 검출 회로, 8)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 속도 센서(7)는 어떤 속도에서 차량이 이동하고 차량 속도(VSP)를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를 말한다. 모터-전류 검출기(8)는 가역 모터(1)에 인가된 전류(모터 구동 전류)의 전류값(Im)을 검출하도록 제공된다. 제어기(30) 내에서, 중앙 처리 장치(CPU)는 이전에 논의한 엔진/차량 센서(b4, 6, 7, 8)로부터의 입력 정보 데이터 신호의 I/O 인터페이스에 의한 접근을 허용한다. 제어기(30)의 CPU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담당하고, 부스트 제어(후술 됨) 및 모터 구동 제어(후술 됨)를 위해 필요한 산술 논리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연산 결과(산술적인 연산 결과), 즉 연산된 출력 신호는 제어기(30)의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부스터 회로(50) 및/또는 모터 구동 회로(51)를 거쳐 출력 단계, 즉 모터(1)로 중계된다. 부스터 회로(50) 및 모터 구동 회로(51)의 상세부는 도2의 블록 선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troller (electronic control unit)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motor 1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generally includes a microcomputer. The controller 30 includes an input / output interface (I / O), memory (RAM, ROM), and a microprocessor 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he input / output interface (I / O) of the controller 30 includes various engine / vehicle sensors, namely torque sensor b4, motor rotation angle sensor 6, vehicle speed sensor 7 and motor-current detector (motor). -Receive input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8). The vehicle speed sensor 7 refers to a controller that moves at a certain speed and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e vehicle speed VSP. The motor-current detector 8 is provided to detect the current value Im of the current (motor drive current) applied to the reversible motor 1. Within the controller 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llows access by the I / O interface of the input information data signal from the engine / vehicle sensors b4, 6, 7, 8 discussed previously. The CPU of the controller 30 is responsible for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nd can perform the arithmetic logic operations necessary for boost control (described later) and motor drive control (described later). The arithmetic result (arithmetic arithmetic result), i.e., the calculated output signal, passes through the booster circuit 50 and / or the motor drive circuit 51 through the output interface circuit of the controller 30 to the output stage, i.e., the motor 1; Is relayed. Details of the booster circuit 50 and the motor drive circuit 51 ar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이제 도2를 참조하면,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차량 속도 센서(7) 및 토크 센서(b4)를 기초로 하여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또는 소정의 조향 지원량)를 연산하는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조향-지원 토크 연산 회로 또는 조향-지원 토크 연산 수단, 31)을 포함한다.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얻고 따라서 실제 조향 지원 토크를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에 더욱 가깝게 하는 방식으로, 모터-전류 검출기(8)에 의해 검출된 실제 모터 전류값(Im) 및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에 의해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 양쪽을 기초로 하는 서보 제어(servo control)에 의해 모터 구동 회로(51)로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제어 섹션, 간단히는 모터 제어 회로(모터 제어 수단, 32)를 포함한다.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또한 모터 회전각 센서(6)로부터의 모터 회전각 지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터(1)의 모터 회전자의 각 가속도(αm)를 검출하거나 결정하거나 예측하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 331)를 포함한다. 게다가,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에 의해 검출된 모터 각 가속도(αm)를 기초로 하여 부스터 회로(50)의 구동(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부스터-회로 제어 회로 또는 부스터 회로 제어 수단, 34)을 포함한다.Referring now to FIG. 2, a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is a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that calculates a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 torque (or a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ance amount) based on the vehicle speed sensor 7 and the torque sensor b4. A calculation section (steering-assisted torque calculating circuit or steering-assisting torque calculating means 31).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also obtains the calculated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and thus brings the actual steering support torque closer to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so that the actual motor current detected by the motor-current detector 8 Outpu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motor drive circuit 51 by servo control based on both the value Im and the steering assist torque calculated by the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1. A motor drive control section, simply a motor control circuit (motor control means) 32.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also detects, determines or predicts the angular acceleration αm of the motor rotor of the motor 1 based on the motor rotation angle indication signal from the motor rotation angle sensor 6. Detector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331). In addition,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driving (switching between operating and non-operating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50 based o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detected by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331. A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or booster circuit control means) 34.

부스터 회로(50)는 가역 모터(1)용 자동차 배터리(52)와 같은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파워 공급 전압)을 부스트하거나 상승시키고, 모터 구동 회로(51)로 부스트-업 배터리 전압(boost-up battery voltage)을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터 회로(50)는 제어기의 외측에 제공된 주연 회로 또는 외부 회로로서 구성된다. 그 대신에, 부스터 회로(50)는 내부 회로로서 제어기 내에 일체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booster circuit 50 boosts or raises a power supply voltage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ource such as the car battery 52 for the reversible motor 1, and boosts the boost-up battery voltage to the motor driving circuit 51. up battery voltage). As shown in Fig. 2, the booster circuit 50 is configured as a peripheral circuit or an external circui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ntroller. Instead, the booster circuit 50 may be integrated into the controller as an internal circuit.

모터 구동 회로(51)는 소정의 모터 속도 및 소정의 모터 토크 양쪽을 얻기 위해 모터(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절환 회로로 구성된다. 절환 제어는 모터(1)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에 의해 모터 구동 회로(51)에 수행된다.The motor drive circuit 51 is composed of a switching circu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motor 1 to obtain both a predetermined motor speed and a predetermined motor torque. The switching control is performed to the motor drive circuit 51 by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to control the drive state of the motor 1.

도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 내에서 수행된 파워 조향 시스템 제어 루틴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 루틴은 10 밀리세컨드와 같은 소정의 매시간 간격마다 유발되는 시간 유발 차단 루틴으로서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3, there is shown a power steering system control routine performed within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 routine is performed as a time triggered interruption routine that is triggered every predetermined hourly interval, such as 10 milliseconds.

단계(101)에서, 조향 지원 제어 프로세싱(또는 조향 지원 토크 산술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단계(101)의 조향 지원 제어 프로세싱과 병렬적으로, 단계(102)에서 부스트 제어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단계(101)에서 수행된 조향 지원 제어 프로세싱(또는 조향 지원 토크 산술 프로세싱)은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에 의해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연산하거나 결정하기 위해 산술적인 작동을 포함한다.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는 구동기 인가 조향 토크가 소정값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적절하게 연산되거나 결정된다.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적절하게 연산하는 방법은 종래 기술이며 본 발명의 어떤 부분도 형성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연산하기 위한 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In step 101, steering assistance control processing (or steering assistance torque arithmetic processing)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steering assist control processing of step 101, boost control processing is performed in step 102. Steering assistance control processing (or steering assistance torque arithmetic processing) performed in step 101 includes an arithmetic operation to calculate or determine a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ance torque by the steering-assistance torqu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1. In the conventional manner,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is suitably calculated or determined such that the driver applied steering torque is closer to the predetermined value. The method of properly calculating a given steering support torque is conventional and does not form an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is omitted.

단계(103)에서, 모터 구동 제어 프로세싱이 수행된다. 모터 구동 제어 프로세싱은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에 의해 수행된 서보 제어 프로세싱(servo-control processing)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모터(1)용 소정의 모터 구동 전류값(또는 소정의 모터 구동 신호값)은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얻기 위한 방식으로 조향-지원 토크 연산 섹션(31)에 의해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거나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 명령 신호가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으로부 터 모터 구동 회로(51)까지 발생되어, 모터(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실제 전류값(Im)은 소정의 모터 구동 전류값에 더욱 가까워지게 된다.In step 103, motor drive control processing is performed. Motor drive control processing means servo-control processing performed by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motor drive current value (or the predetermined motor drive signal value) for the motor 1 is calculated by the steering-support torque calculation section 31 in a manner to obtain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It is set or determined based on the support torque. Then, a control command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to the motor drive circuit 51, so that the actual current value Im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otor 1 is at a predetermined motor drive current value. You get closer.

단계(104)에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차단 요구(system shutdown demand)가 존재 또는 부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시스템 차단 요구의 부재시, 단계(101, 102, 103)는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역으로 시스템 차단 요구가 존재할 때, 1 사이클의 제어 루틴이 종결된다. 예컨대,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시스템 차단 요구는 점화 스위치 꺼짐 상태(ignition-switch turned-OFF state)에 대응한다. 반대로, 신호 라인 고장과 같은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의 고장이 있으면,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시스템 고장 신호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시스템 차단 요구가 만족되는지를 결정한다.In step 104, a check is made to determine if a system shutdown demand for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s present or absent. In the absence of a system shutdown request, steps 101, 102, 103 are performed repeatedly. Conversely, when there is a system shutdown request, one cycle of control routine is terminated. For example, whe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is operating normally, the system shutdown request corresponds to an ignition-switch turned-OFF state. Conversely, if there is a failure of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such as a signal line failure,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system shutdown request is satisfied based on the output of the system failure signal.

이제 도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 및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 내에서 수행된 서브루틴이 도시되어 있다. 서브루틴은 10밀리세컨드와 같은 소정의 매시간 간격마다 유발되는 시간 유발 차단 루틴으로서 수행된다.Referring now to FIG. 4, there is shown a subroutine performed withi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331 and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ubroutine is performed as a time-induced blocking routine that is triggered every predetermined hourly interval, such as 10 milliseconds.

단계(201)에서, 모터 회전각(θm)이 판독된다. 구체적으로, 모터 회전각(θm)은 모터 회전각 센서(6)로부터의 최신의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In step 201, the motor rotation angle [theta] m is read. Specifically, the motor rotation angle θm is determined based on the latest information data from the motor rotation angle sensor 6.

단계(202)에서, 모터 각 가속도(αm)는 모터 회전각(θm)을 기초로 하여 산술적으로 연산된다. 구체적으로, 모터 각 가속도(αm)는 모터 회전각(θm)의 2차 미분 d2θm/dt2[즉, 모터(1)의 모터 회전자의 각 변위의 2차 미분)으로서 산술적으 로 연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모터 각 속도(ωm)는 첫째로 단위 시간(t)에 대해 모터 회전자의 각 변위[즉, 모터 회전각(θm)]의 변화율로서 연산된다. 즉, 모터 각 속도(ωm)는 시간에 대해 모터 회전각(θm)의 변화율인 미분 dθm/dt로 표현된다. 둘째로, 모터 각 가속도(αm)는 시간에 대한 모터 각 속도(ωm)의 변화율(=dθm/dt)로서 연산된다. 즉, 모터 각 가속도(αm)는 방정식 αm=dωm/dt=d2θm/dt2으로 표현된다.In step 202,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alpha] m is arithmetically calculated based on the motor rotation angle [theta] m. Specifically,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is calculated arithmetic as the second derivative d 2 θ m / dt 2 of the motor rotation angle θ m (ie, the second derivative of the angular displacement of the motor rotor of the motor 1). do. More specifically, the motor angular speed ωm is first calculated as the rate of change of the angular displacement of the motor rotor (i.e., the motor rotational angle θm) with respect to the unit time t. In other words, the motor angular speed ωm is expressed as the derivative dθm / dt, which is the rate of change of the motor rotation angle θm with respect to time. Secondly,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alpha] m is calculated as the rate of change (= d [theta] m / dt) of the motor angular velocity [omega] m over time. That is,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is expressed by the equation αm = dωm / dt = d 2 θm / dt 2 .

단계(203)에서, 모터(1)용 구동 전원[베터리(52)]의 소스 전압이 부스트되고 부스트-업 배터리 전압이 모터 구동 회로(51)로 공급되는 부스트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지(개시되는지) 또는 불가능하게 되는지(해제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계(201-202)를 통해 연산된 모터 각 가속도(αm)의 절대값|αm|이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고정된 역치값, αmf) 이상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체크가 이루어진다. 단계(203)에 대한 응답이 긍적적(YES)일 때, 즉 |αm|<αmf인 경우에, 루틴은 단계(203)에서 단계(205)까지 진행한다. 모터 각 가속도(αm)의 절대값|αm|을 그 역치값(αmf)에 비교하는 것은 모터(1)의 정상 회전 및 역회전에 대응한다.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은 조향 지원의 부족으로 인해 소정값을 초과하도록 구동기 인가 조향 토크가 증가되는 경향이 있는 임계값을 의미한다.In step 203, whether the source voltage of the drive power source (battery 52) for the motor 1 is boosted and the boost control in which the boost-up battery voltage is supplied to the motor drive circuit 51 is enabled (started). O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disabled (disabled), the absolute value | αm |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calculated through steps 201-20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fixed threshold value, αmf). A check is made to determine the acknowledgment. When the response to step 203 is positive (YES), that is, | αm | <αm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203 to step 205. Comparing the absolute value | αm |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to its threshold value αmf corresponds to the normal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 means a threshold value in which the driver applied steering torque tends to increase to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lack of steering support.

단계(204)에서, 부스트 제어는 가능해진다(ON). 환언하면, 부스터 회로(50)는 부스트 작동을 개시하기 위해 스위치가 넣어진다.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Vd)은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고정된 전압값, Vdt)까지 상승 또는 부스트 업 되는데, 즉 Vd=Vdt가 된다.In step 204, boost control is enabled (ON). In other words, the booster circuit 50 is switched on to initiate the boost operation. The booster voltage Vd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is raised or boosted up to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fixed voltage value Vdt), that is, Vd = Vdt.

단계(205)에서, 부스트 제어는 불가능해지거나(OFF)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환언하면, 부스터 회로(50)는 부스트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를 끄거나 스위치를 끈 상태로 유지한다. 전원 전압(Ve)은 현상태로, 즉 Vd=Ve로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된다.In step 205, the boost control is either disabled (OFF) or left in an impossible state. In other words, the booster circuit 50 is switched off or kept switched off to disable the boost operation.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in the present state, that is, Vd = Ve.

[기본 파워 조향 제어 동작][Basic Power Steering Control Behavior]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 의해 실행된 기본 제어 동작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점화 스위치가 켜진 후, 토크 센서(b4)로부터의 적어도 센서 신호[조향 토크(Ts)]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 구동 전류(또는 모터 구동 신호)가 모터(1)로 공급된다. 모터(1)는 모터에 공급된 구동 전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토크[후술되는 모터 토크(Tm)]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나서 펌프(2)는 모터(1)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펌프(2)는 모터 속도에 대응하는 유속의 가압된 작업 유체를 배출한다.The basic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fter the ignition switch is turned on, the drive current (or motor drive signal)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the sensor signal (steering torque Ts) from the torque sensor b4 is supplied to the motor 1. The motor 1 generates a torque (motor torque Tm described later)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drive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and then the pump 2 is driven by the motor 1. The pump 2 thus discharges the pressurized working fluid of the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motor speed.

예컨대, 가압된 작업 유체가 펌프(2)로부터 제1 유체 라인(10)으로 배출된다고 가정하면, 가압된 작업 유체는 제1 유체 라인(10)을 통해 제1 실린더 챔버(21)로 도입되고, 따라서 제1 실린더 내에서 작업 유체의 수압 압력 상승이 야기된다. 제1 실린더 챔버(21) 내의 수압 압력은 구동기 인가 조향륜 토크(구동기 인가 조향 작용력 또는 구동기 인가 조향력)의 조향 지원 토크(조향 지원력)로서 작용을 한다. 구동기 인가 조향력 및 수압 파워 실린더(20)에 의해 생성된 조향 지원력의 합력은 각각의 피조향 차륜 및 도로 표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주로 생성된 하중 저 항에 대하여 제1 방향(도1에 도시됨)으로 래크 샤프트(23)의 우측 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조향 차륜이 조향될 수 있다. 조향 지원 작동중에, 피스톤(24)은 래크 샤프트(23)의 우측 방향 변위와 함께 이동하고, 결론적으로 제1 실린더 챔버(21)의 체적이 증가하는 반면에, 제2 실린더 챔버(22)의 체적이 감소한다. 제2 실린더 챔버(22)의 체적 감소에 의해 배출된 작업 유체는 제2 유체 라인(11)을 통해 펌프(2)의 제2 포트(2b)로 복귀한다. 펌프(2)로 복귀된 작업 유체는 체적이 증가하는 제1 실린더 챔버(21)로 다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는 조향륜(a1) 및 모터(1)가 작업 유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환언하면, 조향륜(a1) 및 모터(1)는 일체식 요소[수압 파워 실린더(20)]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된다. 파워 실린더(20)의 제1 및 제2 실린더 챔버(21, 22) 각각의 체적 변화가 모터(1)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작업 유체의 이동에 의해 얻어지기 때문에, 수압 파워 실린더(20)는 일체식 요소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소정의 조향 지원 특성은 조향륜(a1)의 회전보다 더 빨리 모터(1)를 회전시키면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ssuming that pressurized working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pump 2 into the first fluid line 10, the pressurized working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ylinder chamber 21 through the first fluid line 10, Thus, a hydraulic pressure increase of the working fluid is caused in the first cylinder.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first cylinder chamber 21 acts as a steering support torque (steering support force) of driver applied steering wheel torque (driver applied steering force or driver applied steering force). The combined force of the driver-applied steering force and the steering assistance force generated by the hydraulic power cylinder 20 is in a first direction (shown in FIG. 1) with respect to the load resistance generated primarily by friction between each steering wheel and the road surface. This allows the right side movement of the rack shaft 23. In this way, the steered wheels can be steered. During steering assist operation, the piston 24 moves with the rightward displacement of the rack shaft 23 and consequently increases the volume of the first cylinder chamber 21, while the volume of the second cylinder chamber 22 is increased. This decreases. The working fluid discharged by the volume reduction of the second cylinder chamber 22 returns to the second port 2b of the pump 2 via the second fluid line 11. The working fluid returned to the pump 2 is fed back to the first cylinder chamber 21 in which the volume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eering wheel a1 and the motor 1 are connected or coupled to each other via a working fluid. In other words, the steering wheel a1 and the motor 1 are connected or coupled to each other via an integral element (hydraulic power cylinder 20). Since the volume chang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chambers 21, 22 of the power cylinder 20 is obtained by the movement of the working fluid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1, the hydraulic power cylinder 20 is It serves as an integral element. Therefore,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characteristic may be provided while rotating the motor 1 faster than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a1.

[기본 모터 특성][Basic Motor Characteristics]

도5을 참조하면, 모터(1)의 기본 모터 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5에서, 횡축은 모터 토크(Tm)를 나타내고, 좌측의 종축은 모터 속도(Nm)를 나타내며, 우측의 종축은 모터 전류[실제 모터 전류(Im)]를 나타낸다. VM1, VM2 및 VM3는 모터(1)에 인가된 3개의 상이한 전압을 표시한다. 도5에서, 3개의 전압 VM1, VM2 및 VM3의 크기 관계는 부등식 VM1 > VM2 > VM3에 의해 정의된다. 임의의 인가된 전압값에 대해 3개의 상이한 인가된 모터 전압 VM1, VM2 및 VM3와 관련된 도5의 모터 특성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 속도(Nm) 및 모터 토크(Tm)는 역기전력(counter electromotive force)의 발생에 의해 서로 반비례 상태에 있다. 따라서, 모터에 인가된 일정한 전압하에서, 모터 속도(Nm)는 모터 토크(Tm)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동일한 인가 전압에 대해, 역으로 모터 속도(Nm)가 증가할 때, 모터 토크(Tm)는 강하하는 경향이 있다.5, the basic motor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1 are shown. In Fig. 5,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motor torque Tm, the left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motor speed Nm, and the right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motor current (actual motor current Im). V M1 , V M2 and V M3 represent three different voltages applied to the motor 1. In Fig. 5, the magnitude relationship of the three voltages V M1 , V M2 and V M3 is inequality V M1. > V M2 > V M3 . As can be seen from the motor characteristics of FIG. 5 associated with three different applied motor voltages V M1 , V M2 and V M3 for any applied voltage value, the motor speed Nm and the motor torque Tm are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are in inverse states to each other due to the generation of counter electromotive force. Therefore, under a constant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the motor speed Nm tends to decrease as the motor torque Tm increases. For the same applied voltage, when the motor speed Nm increases inversely, the motor torque Tm tends to fall.

모터 속도(Nm)가 인가된 전압(VM2)하에서 속도값 N2일 때, 모터 토크(Tm)는 토크값 T2가 되는 반면에, 모터 전류(Im)는 전류값 T2가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속도값 N2에서 속도값 N1까지 모터 속도(Nm)가 증가할 때, 역기전력의 증가에 의해 모터 전류(Im)는 전류값 I2에서 전류값 I1까지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모터 토크(Tm)는 또한 토크값 T2에서 토크값 T1까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즉, 모터 속도(Nm)는 토크값 T2에 대응하는 조향 지원력이 요구될 때 상승된다고 가정하면, 모터 토크(Tm)는 토크값 T2에서 유지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모터 토크(Tm)는 토크값 T2보다 작은 레벨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술한 이유로, 모터 토크(Tm)가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Tm=T2)에 모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모터 속도(Nm)가 속도값 N2이고 모터 토크(Tm)가 토크값 T2인 특정 조건하에서, 모터(1)에 인가된 모터 전압은 전압값 VM2에서 전압값 VM1까지 상승되거나 부스 트-업된다. 역기전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VM2에서 VM1까지의 부스트-업 모터 전압에 의하여, 모터 전류(Im)를 전류값 I2에서 전류값 I1까지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터 토크(Tm)를 토크값(T2)으로 유지시키는 동안, 모터 속도(Nm)를 속도값 N1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 전압이 전압값 VM2에서 전압값 VM3까지 강하할 때, 모터 속도(Nm)를 속도값 N2로 유지한다면, 모터 토크(Tm)는 토크값 T1까지 떨어질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모터 전압, 환언하면 소스 전압(배터리 전압)을 상승시키거나 부스트-업 함으로써 모터 속도(Nm) 및 모터 토크(Tm) 모두를 속도값 N2 및 토크값 T2로 각각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motor speed Nm is the speed value N2 under the applied voltage V M2 , the motor torque Tm becomes the torque value T2, while the motor current Im becomes the current value T2. Under these conditions, when the motor speed Nm increases from the speed value N2 to the speed value N1, the motor current Im tends to decrease from the current value I2 to the current value I1 by the increase in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whereas the motor Torque Tm also tends to decrease from torque value T2 to torque value T1. That is, assuming that the motor speed Nm is raised when the steering support force corresponding to the torque value T2 is required, the motor torque Tm cannot be maintained at the torque value T2. In this case, the motor torque Tm tends to fall to a level smaller than the torque value T2. For the reason mentioned above, in order to increase the motor speed while the motor torque Tm remains unchanged (Tm = T2), the motor speed Nm is the speed value N2 and the motor torque Tm is the torque value T2.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motor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1 is raised or boosted up from the voltage value V M2 to the voltage value V M1 . Even when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ccur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tor current Im from the current value I2 to the current value I1 by the boost-up motor voltage from V M2 to V M1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aise the motor speed Nm to the speed value N1 while maintaining the motor torque Tm at the torque value T2. When the motor voltage drops from the voltage value V M2 to the voltage value V M3 , if the motor speed Nm is kept at the speed value N2, the motor torque Tm will drop to the torque value T1. Even in such a case, it is possible to maintain both the motor speed Nm and the motor torque Tm at the speed value N2 and the torque value T2 by increasing or boosting the motor voltage, in other words, the source voltage (battery voltage). .

[상이한 조향 속도에서의 파워 조향 시스템 요소 부품의 작동][Operation of Power Steering System Components at Different Steering Speeds]

상술한 모터 특성을 기초로 하여,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는 이하에서 도6의 (a) 내지 도6의 (f)에서 도시된 타임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서로 상이한 조향 속도에서 작동한다.On the basis of the motor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operates at different steering speed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time charts shown in Figs. 6A to 6F.

이제 도6의 (a) 및 도6의 (b)를 참조하면, 고속 및 저속 조향 속도에서 얻어진 모터(1) 및 가역 펌프(2)와 같은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시스템 요소 부품의 상태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조향 속도는 시간에 대하여 조향륜 각, 간단히 조향각(θ)[직전 위치로부터 측정된 조향륜(a1)의 각 변위]의 변화율로 정의된다. 도6의 (a) 내지 도6의 (d)에서 파선에 의해 표시된 파워 조향 시스템 요소 부품의 상태 변화는, 조향 속도가 고속이고 부스트 제어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지 않아서 전원 전압(Ve)이 전원 전압을 부스트-업 하지 않은 상태, 즉 Vd = Ve인 상태로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하에서 얻은 특성을 나타낸다. 도6의 (a) 내지 도6의 (f)에서 실선에 의해 표시된 파워 조향 시스템 요소 부품의 상태 변화는, 조향 속도가 고속이고 부스터 제어가 추가로 수행되어서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Vd)이 소정ω의 부스트-업 전압(Vdt)까지 상승되는, 즉 Vd = Vdt인, 상태하에서 얻어진 특성을 나타낸다. 도6의 (a) 내지 도6의 (e)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파워 조향 시스템 요소 부품의 상태 변화는, 조향 속도가 저속이고 부스터 제어가 추가로 수행되지 않아서 전원 전압(Ve)이 전원 전압을 부스트-업 하지 않은 상태, 즉 Vd = Ve인 상태로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하에서 얻은 특성을 나타낸다.Referring now to FIGS. 6A and 6B, the state change of the power steering system component parts of the first embodiment, such as the motor 1 and the reversible pump 2, obtained at high and low speed steering speeds, Is shown. The steering speed is defined as the rate of change of the steering wheel angle, simply steering angle θ (angular displacement of steering wheel a1 measured from the previous position), with respect to time. In the state change of the power steering system component part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Figs. 6A to 6D, the power supply voltage Ve boosts the power supply voltage because the steering speed is high and the boost control is not additionally performed. The characteristic obtained under the state which is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in the state which is not up, ie, Vd = Ve is shown. The state change of the power steering system component parts indicated by solid lines in Figs. 6A to 6F shows that the booster voltag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due to the high steering speed and further booster control being performed. The characteristic obtained under the state where (Vd) is raised to the boost-up voltage Vdt of predetermined ω, that is, Vd = Vdt is shown. In the state change of the power steering system component parts indicated by dashed-dotted lines in Figs. 6A to 6E,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the power supply voltage because the steering speed is low and no booster control is additionally performed. Is a characteristic obtained under the stat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without boosting up, that is, Vd = Ve.

조향륜(a1)의 조향 속도가 저속이거나 느릴 때, 피스톤(24)의 이동 속도가 느려서, 각각의 제1 및 제2 실린더 챔버(21, 22)의 체적 변화 속도도 느리다. 작업 유체는 각각의 제1 및 제2 실린더 챔버(21, 22)의 체적 변화 속도를 적절하게 추종하는 펌프(2)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작업 유체 압력의 발생이 지연되는 경향이 덜하다. 이것은 최고 조향 토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원활한 조향 지원력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When the steering speed of the steering wheel a1 is low or slow, the moving speed of the piston 24 is slow, so that the volume change rat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chambers 21 and 22 is also slow. The working fluid can be withdrawn from the pump 2 which suitably follows the rate of volume chang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chambers 21, 22. Under these conditions, the development of working fluid pressure is less prone to delay. This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the highest steering torque, making it possible to generate smooth steering support.

역으로, 조향륜(a1)의 조향 속도가 고속이거나 빠를 때, 피스톤(24)의 이동 속도가 빨라서, 각각의 제1 및 제2 실린더 챔버(21, 22)의 체적 변화 속도도 빠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펌프(2)로부터 배출된 작업 유체가 각각의 제1 및 제2 실린더 챔버(21, 22)의 체적 변화 속도를 적절하게 추종하지 못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작업 유체 압력의 발생이 지연되는 경향이 증가한 다. 이것은 조향 지원력의 부족을 초래한다. 불충분한 조향 지원력으로 인하여, 큰 크기의 구동기 인가 조향륜 토크가 반드시 요구된다.Conversely, when the steering speed of the steering wheel a1 is high or fast, the moving speed of the piston 24 is high, so that the volume change spee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chambers 21 and 22 is also fast.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ork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pump 2 may not properly follow the volume change rat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chambers 21, 22. Under these conditions, the tendency to delay the generation of working fluid pressure increases. This results in a lack of steering support. Due to insufficient steering support, a large amount of driver applied steering wheel torque is required.

모터(1)의 회전 운동은 하기의 운동 방정식 (1)에 의해 결정된다. 환언하면, 모터(1)의 각속도(ωm)는 하기의 방정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1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of motion (1). In other words, the angular velocity ωm of the motor 1 can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Tm = J × dωm/dt + D × ωm + Tp ····(1)Tm = J × dωm / dt + D × ωm + Tp (1)

여기서, Tm은 모터 토크를 나타내고, J는 모터(1)의 관성 모멘트를 나타내고, D는 댐핑 계수를 나타내고, ωm은 모터 각속도를 나타내고, dωm/dt는 모터 각 가속도 αm을 나타내고, Tp는 펌프(2)에 작용하고 펌프(2)에 의해 발생된 작업 유체 압력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펌프 부하 토크를 나타낸다.Where Tm represents the motor torque, J represents the moment of inertia of the motor 1, D represents the damping coefficient, ωm represents the motor angular velocity, dωm / dt represents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and Tp represents the pump ( And pump load torque which tends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working fluid pressure generated by the pump 2.

상기 논의된 방정식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전류가 모터(1)에 인가되어서 모터 토크(Tm)가 인가된 구동 전류에 의해 증가하기 시작할 때, 임의의 수압 압력이 모터 구동 전류의 인가와 동시에 펌프(2)에 의해 아직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는 커지게 되고 각 각 속도(ωm)도 또한 커지게 된다. 그 후, 수압 압력의 상승에 따라서 펌프 부하 토크(Tp)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모터 토크(Tm) 및 펌프 부하 토크(Tp) 사이의 차이(편차)가 작아질 때, 모터 각속도(ωm)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즉, 모터 각속도(ωm)(즉, 모터 속도)는 모터 토크(Tm) 및 펌프 부하 토크(Tp) 사이의 편차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As can be seen from equation (1) discussed above, when a drive current is applied to the motor 1 so that the motor torque Tm starts to increase by the applied drive current, any hydraulic pressure is generated by the motor drive current. Since it is not yet generated by the pump 2 at the same time of applicatio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becomes large and the angular velocity [omega m] also becomes large. Thereafter, the pump load torque Tp tends to increase as the hydraulic pressure increases. When the difference (deviation) between the motor torque Tm and the pump load torque Tp becomes small, the motor angular velocity ωm tends to decrease gradually. That is, the motor angular speed ωm (ie motor spe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viation between the motor torque Tm and the pump load torque Tp.

도6의 (a) 내지 도6의 (e)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조향 속도가 저속이고 부스트 제어가 실행되지 않은 상태하에서, 모터 구동 전류의 상승이 완화되고(도6의 (c)를 보라), 그러므로 모터 토크(Tm)는 적절하게 상승한다. 동시에, 피스톤(24)의 이동 속도가 느려서, 수압 압력이 모터 토크(Tm)의 변화로 인해 발생될 위험이 적다. 따라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는 작아지고, 이로써 구동기 인가 조향 토크를 적절하게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s in Figs. 6A to 6E, the increase in the motor drive current is alleviated while the steering speed is low and the boost control is not executed (Fig. 6C). ), Therefore the motor torque Tm rises appropriately. At the same time, the moving speed of the piston 24 is low, so that there is little risk that the hydraulic pressure is generated due to the change in the motor torque Tm. Therefore,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becomes small, whereby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upport the driver applied steering torque.

도6의 (a) 내지 도6의 (d)에서 파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조향 속도가 고속이고 부스트 제어가 실행되지 않은 상태하에서, 모터(1)에 인가된 모터 구동 전류의 상승 및 모터 토크(Tm)의 상승이 빨라진다. 동시에, 피스톤(24)의 이동 속도가 느려서, 수압 압력 발생의 지연이 생긴다. 모터 토크(Tm) 및 펌프 부하 토크(Tp) 사이의 편차가 커지게 되고,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가 커지게 되며, 추가로 모터 각속도(ωm)의 피크값(최대값)이 커지게 된다. 증가된 모터 속도(증가된 모터 각속도)로 인하여, 모터(1)의 유도 회로 내에서 발생된 역기전력(유도 전압)도 또한 커지게 된다. 유도 전압의 극성이 매순간 마다 모터(1)의 인가 전압의 극성과 반대이기 때문에, 이것은 모터(1)를 가로지르는 구동 전류를 흐르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모터 전압의 부족을 초래한다. 빠른 조향 중에, 모터 구동 전류의 부족은 모터 속도의 상승[모터 각속도(ωm)의 상승]으로부터 생기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모터 토크(Tm)의 부족을 초래하고, 따라서 모터 속도의 감소가 발생한다. 이것은 펌프(2)에 의해 발생된 수압 압력의 부족을 이끈다. 결과적으로, 조향 지원력이 불충분해진다.As shown by broken lines in Figs. 6A to 6D, the motor driv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1 and the motor torque (in the state where the steering speed is high and the boost control is not performed) Tm) rises faster. At the same time, the moving speed of the piston 24 is slow, resulting in a delay in the generation of hydraulic pressure. The deviation between the motor torque Tm and the pump load torque Tp becomes large,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ωm / dt (= αm) becomes large, and further, the peak value (maximum value of the motor angular velocity ωm) is increased. ) Becomes large. Due to the increased motor speed (increased motor angular speed),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induction voltage) generated in the induction circuit of the motor 1 also becomes large. Since the polarity of the induced voltage is opposite to the polarity of the applied voltage of the motor 1 at every moment, this results in a shortage of the motor voltage necessary for flowing the drive current across the motor 1. During fast steering, the lack of motor drive current tends to arise from the increase in motor speed (rise of motor angular speed? M). This results in a lack of motor torque Tm, and thus a reduction in motor speed occurs. This leads to a lack of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he pump 2. As a result, steering support is insufficient.

상기 논의된 이유에 대해, 조향 지원력의 부족이 발생하려고 할 때, 전원 전압(Ve)은 부스트 제어에 의해 소정값(Vdt)까지 부스트 업 되고(도4의 단계 204를 보라), 결론적으로 모터(1)로의 인가 전압은 모터 속도의 부족[모터 각속도(ωm)의 부족]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비례하여 증가된다.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용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조향 지원력의 부족이 발생하려는 경우의 측정으로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 및 그 역치값(threshold value)(αmf)에 대한 최신 정보 데이터의 비교 결과(|αm|≥αmf 또는 |αm|<αmf)가 사용되고, 모터 각 가속도(αm)의 절대값(|αm|)이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 이상일 때,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조향 지원력의 부족이 발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러므로 도6의 (a) 내지 도6의 (f)에서 실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 각 가속도(αm)의 절대값(|αm|)이 그 역치값(αmf)를 초과할 때의 시점(t1)에서,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용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 의해, 부스트 제어가 착수 되어지고(가능하게 되어지고) 부스터 회로(50)에 전력이 공급되고(ON), 따라서 모터 속도[모터 각속도(ωm)]를 높은 값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결과로, 구동기 인가 조향 토크는 작아지게 되고, 작업 유체 압력 제어의 응답 지연, 다시 말해 악화된 조향 지원 제어 응답성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용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서, 조향 지원력이 발생하려는 경우의 측정으로서, 보다 최신의 모터 각속도(ωm) 및 그 역치값(ωmf) 사이의 비교 결과를 사용하는 대신에 보다 최신의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 및 그 역치값(αmf)의 비교 결과(|αm|≥αmf 또는 |αm|<αmf)가 사용된다. 즉 부스트 제어가 높은 모터 각속도(ωm)에 의해서만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 따르면, 불필요한 부스트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스터 회로(50)의 내구 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과, 또한 배터리(52)의 감소된 전력 소모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the reasons discussed above, when a lack of steering support is about to occur,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boosted up to a predetermined value Vdt by boost control (see step 204 in FIG. 4), and consequently the motor ( The voltage applied to 1) is proportionally increased in such a way as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motor speed (lack of motor angular velocity ωm).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M / dt (=? M)] and its threshold value ?? When a comparison result (| αm | ≥αmf or | αm | <αmf) of the latest information data for is used, and the absolute value (| αm |)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a lack of steering support will occur. Therefore, as shown by solid lines in Figs. 6A to 6F, the time point t1 when the absolute value | αm |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exceeds its threshold value αmf. ), By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boost control is started (enabled)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booster circuit 50 (ON), and thus the motor speed (motor angular speed) It is possible to raise (ωm)] to a high value. As a result, the driver applied steering torque becomes small, and it is possible to avoid the response delay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control, that is, the deteriorated steering assist control response. As described above,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as a measurement when steering assist force is to be generated,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more recent motor angular velocity ω m and its threshold value ω mf is used. Instead, a comparison result (| αm | ≥αmf or | αm | <αmf) of a more recent motor angular acceleration [dωm / dt (= αm) and its threshold value αmf is used. In other words, the boost control is not only performed by the high motor angular velocity? M. Thus,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durability degradation of the booster circuit 50 caused by unnecessary boost operation, and also to ensure the reduced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52.

또한, 모터(1)에 대한 전원 공급 작동이 비조향 작동 중에는 정지되고, 모터(1)의 구동 상태, 즉 모터(1)의 회전 방향, 모터 토크 및 모터 속도는 조향 도중에 조향 지원에 대한 요구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있어서, 모터 속도[모터 각속도(ωm)]를 제로 모터 속도(zero motor speed)(ωm=0)로부터 최대 모터 속도값까지 단번에 상승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모터 속도가 단번에 상승되어야만 할 때, 초기 시기에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를 기초로 하여 모터 속도 상승에 대한 요구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operation to the motor 1 is stopped during the non-steering operation, and the driving state of the motor 1, that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tor 1, the motor torque, and the motor speed are adapted to the demand for steering support during steering.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motor speed (motor angular velocity ωm) at once from zero motor speed (ωm = 0) to the maximum motor speed value. . When the motor speed must be raised at once, it is very advantageous to be able to detect the demand for motor speed rise based o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at an early time.

제2 2nd 실시예Example

이제 도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2 및 도7에 도시된 블록 선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기본적으로는 유사하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사용된 대응 도면 부호에 두 개의 상이한 실시예를 비교하기 위해 적용될 것이다. 도면 부호 332로 지시된 회로는 이하에서 동봉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도면 부호 1, 6, 7, 8, b4, 31, 32, 50, 51 및 52의 상세한 설명은 이에 대한 상기 설명이 자명한 것처럼 보이므로 생략된다.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부스터 회로(50)는 파라미터로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 를 사용하여 제어된다[도2에 도시된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를 보라]. 역으로, 제2 실시예에서, 부스터 회로(50)는 파라미터로서 조향 토크 변화율(△Ts)[정확하게는, 시간에 대한 조향 토크(Ts)의 변화율]을 사용하여 제어된다[도7에 도시된 조향 토크 변화율 예측 회로 또는 조향 토크 변화율 예측 섹션(332)을 보라].Referring now to FIG. 7,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hown.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the block diagrams shown in Figs. 2 and 7,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is bas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u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o designate the elements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2 represent tw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bers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Will be applied for comparison. The circuitr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3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 6, 7, 8, b4, 31, 32, 50, 51 and 52 will be described above. This seems obvious and is omitted. In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50 is controlled using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as a parameter (se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331 shown in FIG. 2). Conversely,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50 is controlled using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DELTA Ts (exactly, the change rate of the steering torque Ts over time) as a parameter (shown in FIG. 7). Se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prediction circuit or steering torque change rate prediction section 332].

제2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제어기(30)의 구성을 주로 도시하는 도7의 블록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향 토크 변화율 예측 섹션(332)은 토크 센서(b4)로부터의 센서 신호[조향 토크(Ts)]를 기초로 하여 조향 토크 변화율(△Ts)을 예측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조향 토크 변화율 예측 섹션(332)에 의해 예측된 조향 토크 변화율(△Ts)을 기초로 하여 부스터 회로(50)의 구동(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를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이 제공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block diagram of Fig. 7, which main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predicting section 332 is obtained from the torque sensor b4. Is provided to predict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DELTA Ts on the basis of the sensor signal (steering torque Ts). Further, a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witching between operating and non-operating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50 based on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ΔTs predicted by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prediction section 332 ( 34) is provided.

이제 도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의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과 조향 토크 변화율 예측 섹션(332) 내에서 실행되는 서브루틴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now to FIG. 8, there is shown a subroutine executed within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and steering torque change rate prediction section 332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단계(301)에서, 조향 토크(Ts)가 판독된다. 구체적으로, 조향 토크(Ts)는 토크 센서(b4)로부터의 최신의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In step 301, the steering torque Ts is read. Specifically, the steering torque Ts is determined based on the latest information data from the torque sensor b4.

단계(302)에서, 조향 토크 변화율(△Ts)은 조향 토크(Ts)를 기초로 하여 산술적으로 연산되어 예측된다. 구체적으로는, 조향 토크 변화율(△Ts)은 단위 시간(t)에 대하여 이전의 조향 토크값(Ts(old))으로부터 보다 최근의 조향 토크 값(Ts(new))의 변화율로서 연산된다. 즉, 조향 토크 변화율(△Ts)은 조향 토크(Ts)의 시간 변화율인 미분 dTs/dt로 표현된다.In step 302,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DELTA Ts is arithmetic calculated and predicted based on the steering torque Ts. Specifically,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DELTA Ts is calculated as the change rate of the more recent steering torque value Ts (new) from the previous steering torque value Ts (old) with respect to the unit time t. That is,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DELTA Ts is represented by the differential dTs / dt which is the time change rate of the steering torque Ts.

단계(303)에서, 부스트 제어가 가능한지(착수되는지) 또는 불가능한지(해제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계(301) 및 단계(302)를 통해 연산 또는 예측된 조향 토크 변화율(△Ts)의 절대값(|△Ts|)이 조향 토크 변화율 역치값(Tsf) 이상인지를 결정하도록 체크가 이루어진다. 단계(303)에 대한 대답(answer)이 긍정적(YES)일 때, 즉 |△Ts|≥Tsf인 경우, 루틴은 단계(303)에서 단계(304)로 진행한다. 역으로 단계(303)에 대한 대답이 부정적(NO)일 때, 즉 |△Ts|<Tsf인 경우, 루틴은 단계(303)에서 단계(305)로 진행한다. 조향 토크 변화율(△Ts)의 절대값(|△Ts|)을 그 역치값(Tsf)에 비교하는 것은 모터(1)의 정상 회전 및 역회전에 대응한다. 조향 토크 변화율 역치값(Tsf)는 조향 지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소정값을 초과하도록 구동기 인가 조향 토크가 증가되는 경향이 있는 임계값을 의미한다.In step 303, the absolute value of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ΔTs calculated or predicted through steps 301 and 302 to determine whether boost control is enabled (started) or not (released). A check is made to determine if the value | ΔTs |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threshold value Tsf. When the answer to step 303 is YES, ie | ΔTs | ≥Ts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303 to step 304. Conversely, when the answer to step 303 is negative (NO), that is | ΔTs | <Ts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303 to step 305. Comparing the absolute value | ΔTs | of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ΔTs to its threshold value Tsf corresponds to the normal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threshold value Tsf means a threshold value that tends to increase the driver applied steering torque to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lack of steering support.

단계(304)에서, 부스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ON).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Vd)은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까지 상승되거나 부스트 업 되는데, 즉 Vd = Vdt가 된다.In step 304, boost control is enabled (ON). The booster voltage Vd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is raised or boosted up to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Vdt, that is, Vd = Vdt.

단계(305)에서, 부스트 제어는 불가능하게 되거나(OFF) 또는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전원 전압(Ve)은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되는데, 즉 Vd = Ve가 된다.In step 305, boost control is either disabled (OFF) or disabled.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that is, Vd = Ve.

제2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에 의해 실행되는 도8에 도시된 제어 흐름에 의해 얻어진 작동 및 효과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기본적으로,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 내에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는 차량 속도 센서(7) 및 토크 센서(b4)로부터 센서 신호들[차량 속도(VSP) 및 조향 토크(Ts)]을 기초로 하여 연산된다. 이때 조향 토크 변화율(△Ts)에 대한 입력 정보 데이터 신호값이 크면,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의 변동이 커지게 된다. 이것은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도 또한 커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의 시스템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가속도[dωm/dt (=αm)]가 큰 경우에, 작업 유체 압력(수압 압력)의 발생이 지연되는 경향이 증가한다. 즉, 작업 유체 압력 제어의 응답 지연, 다시 말해 악화된 조향 지원 제어 응답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btained by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8 executed by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described below. Basically, within the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calculation section 31, the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 torque is obtained from the sensor signals (vehicle speed VSP and steering torque Ts)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7 and the torque sensor b4. ] Is calculated based on]. At this time, when the input information data signal value for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DELTA Ts is large, the calculated variation in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becomes large. This means that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ωm / dt (=? M)] also becomes large. As already explained with reference to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is large, the tendency of the occurrence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hydraulic pressure) is increased. That is,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response delay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control, that is, the deteriorated steering assist control responsiveness.

이것을 피하기 위해, 조향 토크 변화율(△Ts)의 절대값(|△Ts|)이 큰 특정 조건(즉, |△Ts| ≥ Tsf)하에서 부스터 회로(5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2 실시예의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토크 센서(b4)에 의해 검출된 조향 토크(Ts)를 기초로 하여 예측된 조향 토크 변화율(△Ts)의 검출 타이밍(예측 타이밍)은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d2θm/dt2)]의 검출 타이밍(연산 타이밍)과 비교하여 위상에 있어서 다소 진행한다. 즉,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d2θm/dt2)] 보다 오히려 이른 단계에서 조향 토크 변화율(△Ts)을 검출 또는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d2 θm/dt2)]를 이용하는 대신에 조향 토크 변화율(△Ts)을 이용하는 제2 실시예의 시스템의 경우에, 잡음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지만, 조향 토크 변화율(△Ts)의 사용은 조향 지원 제어 응답성에 있어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d2θm/dt2)]의 사용보다 우월하다.In order to avoid this, by supplying power to the booster circuit 50 under a specific condition where the absolute value | ΔTs | of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ΔTs is large (that is, | ΔTs | ≧ Tsf), The system can provide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the detection timing (prediction timing) of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ΔTs predicted based on the steering torque Ts detected by the torque sensor b4 is determined by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M / dt (=? M = d 2). as compared with the detection timing (operation timing) of θm / dt 2)] and some progress in the phase.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ct or predict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DELTA Ts at an earlier stage rather tha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ωm / dt (=? M = d 2 ? M / dt 2 ). In the case of the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using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ΔTs instead of using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ωm / dt (= αm = d 2 θm / dt 2 )], a countermeasure against noise is required, but steering is required. The use of the torque change rate ΔTs is superior to the use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M / dt (=? M = d 2 ? M / dt 2 )] in steering assist control responsiveness.

제3 The third 실시예Example

이제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시스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1 및 도9에 도시된 시스템 선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도2 및 도10의 블록 선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도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두 실시예를 비교하기 위해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사용된 대응 도면 부호에 적용될 것이다. 도면 부호 333으로 지시된 회로 및 조향륜 각 센서(간단히 조향각 센서, b6)는 이하에서 동봉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도면 부호의 상세한 설명은 이에 대한 상기 설명이 자명한 것처럼 보이므로 생략된다.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부스터 회로(50)는 파라미터로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를 사용하여 제어된다[도2에 도시된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를 보라]. 역으로, 제3 실시예에서, 부스터 회로(50)는 파라미터로서 조향륜 각, 간단히 조향각(θ)[조향륜(a1)의 각 변위]의 2차 미분 d2θ/dt2를 사용하여 제어된다[도10에 도시된 조향륜 각 가속도 산술 연산 회로 또는 조향륜 각 가 속도 산술 연산 섹션(333)을 보라].Referring now to Figures 9 and 10,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is shown.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the system diagrams shown in Figs. 1 and 9, and also from the comparison of the block diagrams of Figs. 2 and 10,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Fig. 1 embodiment. similar.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o designate the elements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are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S. 9 and 10 to compare the two embodiments. Will be applied to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The circuit and steering wheel angle sensor (simply steering angle sensor, b6)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3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low,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reference numerals appears to be self-explanatory. It is omitted. In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50 is controlled using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as a parameter (se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331 shown in FIG. 2). Conversely, in the third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50 is controlled using the second derivative d 2 θ / dt 2 of the steering wheel angle, simply the steering angle θ (angular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wheel a1) as a parameter. (See steering wheel angle acceleration arithmetic circuit or steering wheel angle acceleration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33 shown in FIG. 10).

도9의 제3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시스템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향륜 각 센서(b6)는 조향륜 각(θ)[직전 위치로부터 측정된 조향륜(a1)의 각 변위]을 검출하기 위해 조향 샤프트(b1)에 부착된다. 제3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부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부와 동일하다.As can be seen from the system diagra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9, the steering wheel angle sensor b6 determines the steering wheel angle θ (angular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wheel a1 measured from the previous position). It is attached to the steering shaft b1 for detection. The other component parts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 parts of the first embodiment.

제3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제어기(30)의 구성을 주로 도시하는 도10의 블록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향륜 각 가속도 산술 연산 섹션(333)은 조향륜 각 센서(b6)로부터 센서 신호[조향륜 각(θ)]를 기초로 하여 조향륜 각 가속도[vθ(=d2θ/dt2)]를 산술적으로 연산하거나 예측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조향륜 각 가속도 산술 연산 섹션(333)에 의해 연산된 조향륜 각 가속도[vθ(=d2θ/dt2)]를 기초로 하여 부스터 회로(50)의 구동(작동 및 비작동 사이를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이 제공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block diagram of Fig. 10 main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the steering wheel angle acceleration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33 is a steering wheel angle sensor. from (b6) is provided for arithmetically calculating or predicting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 d 2 θ / dt 2 ) based on the sensor signal (steering wheel angle θ). Further, the driving of the booster circuit 50 (between operating and non-operating) is based on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 d 2 θ / dt 2 )] calculated by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arithmetic calculation section 333. A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이제 도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의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 및 조향륜 각 가속도 산술 연산 섹션(333) 내에 수행된 서브루틴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now to FIG. 11, there is shown a subroutine performed within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and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33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단계(401)에서, 조향륜 각(θ)이 판독된다. 구체적으로, 조향륜 각(θ)은 조향륜 각 센서(b6)로부터의 최신의 정보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In step 401, the steering wheel angle θ is read. Specifically, the steering wheel angle θ is determined based on the latest information data signal from the steering wheel angle sensor b6.

단계(402)에서, 조향륜 각 가속도(vθ)는 조향륜 각(θ)을 기초로 하여 산술적으로 연산된다. 구체적으로, 조향륜 각 가속도(vθ)는 조향륜 각(θ)[직전 위치 로부터 측정된 조향륜(a1)의 각 변위]의 2차 미분(d2θ/dt2)으로 연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향륜 각 속도(ω)는 우선 단위 시간(t)에 대한 조향륜(a1)의 각 변위[즉, 조향각(θ)의 변화율]로 연산된다. 즉, 조향륜 각 속도(ω)는 시간에 대하여 조향륜 각(θ)의 변화율인 미분(dθ/dt)에 의해 나타낸다. 둘째로, 조향륜 각 가속도(vθ)는 시간에 대한 조향륜 각 속도[ω(=dθ/dt)]의 변화율로 연산된다. 즉, 조향륜 각 가속도(vθ)는 방정식 vθ = dω/dt = d2θ/dt2로 나타낸다.In step 402,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is calculated arithmetically based on the steering wheel angle θ. Specifically,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is calculated as the second derivative d 2 θ / dt 2 of the steering wheel angle θ (angular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wheel a1 measured from the previous position). More specifically,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ω is first calculated as the angular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wheel a1 (ie, the rate of change of the steering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unit time t. That is,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ω is represented by a derivative (dθ / dt) which is the rate of change of the steering wheel angle θ with respect to time. Secondly,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is calculated as the rate of change of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omega] (= d [theta] / dt) with respect to time. That is,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is represented by the equation vθ = dω / dt = d 2 θ / dt 2 .

단계(403)에서, 부스트 제어가 가능한지(시작되는지) 또는 불가능한지(해제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계(401) 및 단계(402)를 통해 연산된 조향륜 각 가속도(vθ)의 절대값(|vθ|)이 조향륜각 가속도 역치값(vθf) 이상인지를 결정하도록 체크가 행해진다. 단계(403)에 대한 대답이 긍정적(YES)일 때, 즉 |vθ| ≥ vθf인 경우에, 루틴은 단계(403)에서 단계(404)로 진행한다. 역으로, 단계(403)에 대한 대답이 부정적(NO)일 때, 즉 |vθ| < vθf인 경우에, 루틴은 단계(403)에서 단계(405)로 진행한다. 조향륜 각 가속도(vθ)의 절대값(|vθ|)을 그 역치값(vθf)과 비교하는 것은 모터(1)의 정상 회전 및 역회전에 대응한다. 조향륜 각 가속도 역치값(vθf)은 구동기 인가 조향 토크가 조향 지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임계값을 의미한다.In step 403, the absolute value of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calculated through steps 401 and 402 to determine whether boost control is enabled (started) or not (disabled) A check is made to determine whether | v [theta] |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eering wheel angle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v [theta] f. When the answer to step 403 is positive (YES), that is, | vθ | If ≧ vθ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403 to step 404. Conversely, when the answer to step 403 is negative (NO), that is, | vθ | If <vθ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403 to step 405. Comparing the absolute value | vθ | of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with its threshold value vθf corresponds to the normal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vθf means a threshold value in which the tendency for the driver applied steering torque to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lack of steering support increases.

단계(404)에서, 부스트 제어가 가능해진다(ON).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Vd)은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까지 상승 또는 부스트 업 되는데, 즉 Vd = Vdt가 된다.In step 404, boost control is enabled (ON). The booster voltage Vd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is raised or boosted up to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Vdt, that is, Vd = Vdt.

단계(405)에서, 부스트 제어는 불가능해지거나(OFF) 또는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원 전압(Ve)은 실제의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되는데, 즉 Vd = Ve가 된다.In step 405, boost control is either disabled (OFF) or disabled.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output from the actual booster circuit 50, that is, Vd = Ve.

제3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에 의해 실행된 도11에 도시된 제어 흐름에 의해 얻어진 작동 및 효과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기본적으로,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 내에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는 차량 속도 센서(7) 및 토크 센서(b4)로부터의 센서 신호[차량 속도(VSP) 및 조향 토크(Ts)]를 기초로 하여 연산된다. 이때, 조향륜 각 가속도(vθ)에 대하여 입력 정보 데이터 신호값이 크면,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의 변동이 커진다. 이것은 조향 토크(Ts)가 조향륜 각(θ)의 2차 미분(d2θ/dt2), 즉 조향륜 각 가속도(vθ)에 실질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이다. 큰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는 모터 각 가속도[dωm/dt(=αm)]가 또한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의 시스템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큰 각 가속도[dωm/dt(=αm)]의 경우에 있어서, 작업 유체 압력(수압 압력)의 발생이 지연되는 경향이 증가한다. 즉, 작업 유체 압력 제어의 응답 지연, 다시 말해 악화된 조향 지원 제어 응답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btained by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11 executed by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are described below. Basically, in the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calculation section 31, the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 torque is obtained from the sensor signals (vehicle speed VSP and steering torque Ts)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7 and the torque sensor b4. ] Is calculated based on]. At this time, if the input information data signal value is large for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the calculated variation in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becomes large. This is because the steering torque Ts is substantially proportional to the second derivative d2θ / dt2 of the steering wheel angle θ, that is,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A larg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means that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also becomes large. As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of a large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the tendency of the generation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hydraulic pressure) is increased. That is,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response delay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control, that is, the deteriorated steering assist control responsiveness.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조향륜 각 가속도(vθ)의 절대값(|vθ|)이 큰 특정 조건(즉, |vθ| ≥ vθf)하에서 부스터 회로(5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3 실시예의 시스템은 제1 시스템과 동일한 작동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void this, by supplying power to the booster circuit 50 under a specific condition where the absolute value | vθ | of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is large (that is, | vθ | ≧ vθf), the system of the third embodiment provides It can provide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e first system.

제4 4th 실시예Example

이제 도12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상세 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2 및 도12에서 도시된 블록 선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두 실시예를 비교하기 위해 도12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사용된 대응 도면 부호에 적용될 것이다. 도면 부호 334로 지시된 회로는 이하에서 동봉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도면 부호의 상세한 설명은 이에 대한 상기 설명이 자명한 것처럼 보이므로 생략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부스터 회로(50)는 파라미터로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를 사용하여 제어된다[도2에 도시된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를 보라]. 역으로, 제4 실시예에서, 부스터 회로(50)는 파라미터로서 시간에 대한 모터(1)에 인가된 펄스-폭 변조(PWM) 신호(PWM 듀티-사이클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의 변화율(△Duty)[이하에서는, "PWM 듀티 변화율(△Duty)"로 참조됨)을 사용하여 제어된다[도12에 도시된 PWM 듀티 변화율 연산 회로 또는 PWM 듀티 변화율 연산 섹션(334)을 보라].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은 모터 명령 전류값(Imo)(즉, 소정의 모터 구동 전류값 또는 모터 제어 명령 신호값)에 대응한다.Referring now to FIG. 12,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is shown.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the block diagrams shown in Figs. 2 and 12,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is bas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o designate the elements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2 ar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 12 to compare the two embodiments. Will be applied to. The circuitr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3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since the above description seems obvious. In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50 is controlled using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as a parameter (se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331 shown in FIG. 2). Conversely,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50 is a parameter of the duty cycle value Duty of the pulse-width modulation (PWM) signal (PWM duty-cycle signal) applied to the motor 1 with respect to time. Controlled using the change rate ΔDu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WM duty change rate ΔDuty ") (see PWM duty change rate calculating circuit or PWM duty change rate calculating section 334 shown in FIG. 12). . The duty cycle value Duty of the PWM signal corresponds to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that is, a predetermined motor drive current value or motor control command signal value).

제4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제어기(30)의 구성을 주로 도시하는 도12의 블록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 내에서, 모터 명령 전류값(Imo)은 우선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에 의해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기초로 하여 연산되거나 계산된다. 그리 고 나서,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은 모터 구동 회로(51)의 절환 회로에 모터-전류 검출기(8)에 의해 검출된 실제 모터 전류값(Im)과 연산된 모터 명령 전류값(Imo) 사이의 편차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듀티 사이클값(Duty)의 PWM 신호를 출력한다. PWM 듀티 변화율 연산 섹션(334)은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으로부터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에 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PWM 신호의 수신된 PWM 사이클값(Duty)을 기초로 하여 PWM 듀티 변화율(△Duty)을 산술적으로 연산하거나 예측한다. 또한, PWM 듀티 변화율 연산 섹션(334)에 의해 연산된 PWM 듀티 변화율(△Duty)을 기초로 하여 부스터 회로(50)의 구동(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이 제공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block diagram of FIG. 12 main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 Imo) is first calculated or calcula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calculated by the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1. The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enters into the switching circuit of the motor drive circuit 51 an actual motor current value Im detected by the motor-current detector 8 and a calculated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A PWM signal having a duty cycle value Duty determined based on the deviation therebetween is output. The PWM duty change rate calculating section 334 receives input information regarding the duty cycle value Duty of the PWM signal from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and based on the received PWM cycle value Duty of the PWM signal, Calculate or predict the duty change rate ΔDuty. Further, a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witching between operating and non-operating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50 based on the PWM duty change rate ΔDuty calculated by the PWM duty change rate calculating section 334 ( 34) is provided.

이제 도13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의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 및 PWM 변화율 연산 섹션(334) 내에서 실행되는 서브루틴을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now to FIG. 13, there is shown a subroutine executed within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and the PWM change rate calculation section 334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단계(501)에서,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이 판독된다. 구체적으로,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은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으로부터의 최신 정보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In step 501, the duty cycle value Duty of the PWM signal is read. Specifically, the duty cycle value Duty of the PWM sig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latest information data signal from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단계(502)에서, PWM 듀티 변화율(△Duty)은 듀티 사이클값(Duty)을 기초로 하여 산술적으로 연산된다. 구체적으로, PWM 듀티 변화율(△Duty)은 단위 시간(t)에 대한 이전 듀티 사이클값(Duty(old))으로부터 보다 최근의 듀티 사이클값(Duty( new ))의 변화율로 연산된다. 보다 최근의 듀티 사이클값(Duty(new))은 현재 실행 사이클에서 계산되는 반면에, 이전 듀티 사이클값(Duty(old))은 한 사이클 전에 계산된다. 즉, PWM 듀티 변화율(△Duty)은 듀티 사이클값(Duty)의 시간 변화율인 미분(dDuty/dt)으로 나타낸다.In step 502, the PWM duty change rate ΔDuty is arithmetic calculated based on the duty cycle value Duty. Specifically, the PWM duty change rate ΔDuty is calculated as the rate of change of the more recent duty cycle value Duty ( new ) from the previous duty cycle value Duty (old) for the unit time t. The more recent duty cycle value (Duty (new) ) is calculated in the current execution cycle, while the previous duty cycle value (Duty (old) ) is calculated one cycle before. That is, the PWM duty change rate ΔDuty is represented by a derivative dDuty / dt, which is a time change rate of the duty cycle value Duty.

단계(503)에서, 부스트 제어가 가능한지(시작되는지) 또는 불가능한지(해제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단계(501) 및 단계(502)를 통해 연산된 PWM 듀티 변화율(△Duty)이 PWM 듀티 변화율 역치값(Pd) 이상인지를 결정하도록 체크가 행해진다. 단계(503)에 대한 대답이 긍정적(YES)일 때, 즉 △Duty ≥ Pd인 경우에, 루틴은 단계(503)에서 단계(504)로 진행한다. 역으로, 단계(503)에 대한 대답이 부정적(NO)일 때, 즉 △Duty < Pd일 때, 루틴은 단계(503)에서 단계(505)로 진행한다.In step 503, the PWM duty change rate ΔDuty calculated through steps 501 and 502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boost control is enabled (started) or not (disabled). A check is made to determine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Pd. When the answer to step 503 is affirmative (YES), ie ΔDuty ≧ Pd,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503 to step 504. Conversely, when the answer to step 503 is negative (NO), that is, ΔDuty <Pd,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503 to step 505.

단계(504)에서, 부스트 제어는 가능해진다(ON).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Vd)은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까지 상승 또는 부스트 업 되는데, 즉 Vd = Vdt가 된다.In step 504, boost control is enabled (ON). The booster voltage Vd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is raised or boosted up to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Vdt, that is, Vd = Vdt.

단계(505)에서, 부스트 제어가 불가능해지거나(OFF) 또는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원 전압(Ve)은 실제의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되는데, 즉 Vd = Ve가 된다.In step 505, boost control is either disabled (OFF) or disabled.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output from the actual booster circuit 50, that is, Vd = Ve.

제4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에 의해 실행된 도13에 도시된 제어 흐름에 의해 얻어진 작동 및 효과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기본적으로,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 내에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는 차량 속도 센서(7) 및 토크 센서(b4)로부터의 센서 신호[차량 속도(VSP) 및 조향 토크(Ts)]를 기초로 하여 계산된다. 그리고 나서,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 내에서, 모터 명령 전류값(Imo)은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에 의해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기초로 하여 연산된다. 그리고 나서,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은 모터 구동 회로(51)의 절환 회로에 연산된 모터 명령 전류값(Imo) 및 실제의 모터 전류값(Im) 사이의 편차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 듀티 사이클값(Duty)의 PWM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PWM 듀티 변화율(△Duty)에 대하여 입력 정보 데이터 신호값이 크다면,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이 조향 토크(Ts)의 변화에 응답식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가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의 시스템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큰 각 가속도[dωm/dt (=αm)]의 경우에 있어서, 작업 유체 압력(수압 압력)의 발생이 지연되는 경향이 증가한다. 즉, 작업 유체 압력 제어의 응답 지연, 다시 말해 악화된 조향 지원 제어 응답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btained by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13 executed by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ourth embodiment are described below. Basically, in the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calculation section 31, the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 torque is obtained from the sensor signals (vehicle speed VSP and steering torque Ts)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7 and the torque sensor b4. ] Is calculated based on. Then, i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is calcula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calculated by the steering-support torqu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1. The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has a duty cycle valu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eviation between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and the actual motor current value Im calculated on the switching circuit of the motor drive circuit 51. Outputs the PWM signal of (Duty). At this time, if the input information data signal value is large with respect to the PWM duty change rate ΔDuty, the duty cycle value of the PWM signal fluctuates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steering torque Ts. / dt (= alpha m)] becomes large. Therefore, as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of a large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the tendency of the occurrence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hydraulic pressure) is increased. That is,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response delay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control, that is, the deteriorated steering assist control responsiveness.

이것을 피하기 위해, PWM 듀티 변화율(△Duty)이 큰 특정 조건(즉, △Duty ≥ Pd)하에서 부스터 회로(5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4 실시예의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연산된 듀티 사이클값(Duty)의 PWM 신호는 전기적 명령 신호이고, 따라서 어떤 추가적인 센서들이 없어도 소스-전압 부스트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rder to avoid this, by supplying power to the booster circuit 50 under certain conditions where the PWM duty change ratio ΔDuty is large (that is, ΔDuty ≥ Pd), the system of the fourth embodiment has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PWM signal of the calculated duty cycle value Duty is an electrical command signal, and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ource-voltage boost timing without any additional sensors.

제5 5th 실시예Example

이제 도14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2 및 도14에서 도시된 블록 선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두 실시예를 비교하기 위해 도14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사용된 대응 도면 부호에 적용될 것이다. 도면 부호 335로 지시된 회로는 이하에서 동봉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도면 부호의 상세한 설명은 이에 대한 상기 설명이 자명한 것처럼 보이므로 생략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부스터 회로(50)는 파라미터로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를 사용하여 제어된다[도2에 도시된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를 보라]. 역으로, 제5 실시예에서, 부스터 회로(50)는 파라미터로서 모터-전류 검출기(8)에 의해 검출된 실제 모터 전류값(Im) 및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에 의해 연산된 모터 명령 전류값(Imo) 사이의 편차(△Im)를 사용하여 제어된다[도14에 도시된 전기-전류값 편차 연산 회로 또는 전기-전류값 편차 연산 섹션(335)을 보라].Referring now to FIG. 14,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is shown.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the block diagrams shown in Figs. 2 and 14,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is bas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u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o indicate the elements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2 ar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14 to compare the two embodiments. Will be applied to. The circuitr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3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since the above description seems obvious. In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50 is controlled using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as a parameter (se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331 shown in FIG. 2). Conversely, in the fifth embodiment, the booster circuit 50 is a motor command current calculated by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and the actual motor current value Im detected by the motor-current detector 8 as a parameter. The deviation [Delta] Im between the values Imo is controlled (see the electric-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ng circuit or the electric-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ng section 335 shown in FIG. 14).

제5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제어기(30)의 구성을 주로 도시하는 도14의 블록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 내에서, 모터 명령 전류값(Imo)은 우선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에 의해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기초로 하여 연산되거나 계산된다. 그리고 나서,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은 모터 구동 회로(51)의 절환 회로에 실제 모터 전류값(Im) 및 연산된 모터 명령 전류값(Imo) 사이의 편차(△Im)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듀티 사이클값(Duty)의 PWM 신호를 출력한다. 전류값 편차 연산 섹션(335) 은 모터 구동 회로(51)로부터 인가된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에 대응하는 모터 명령 전류값(Imo)에 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연산된 모터 명령 전류값(Imo) 및 실제 모터 전류값(Im) 사이의 편차[△Im (=Imo - Im)]를 산술적으로 연산한다. 또한, 전류값 편차 연산 섹션(335)에 의해 연산된 편차(△Im)를 기초로 하여 부스터 회로(50)의 구동(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이 제공된다. 도14에 도시된 제5 실시예의 제어 시스템에서,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 및 전류값 편차 연산 섹션(335) 내에서, 전류값 편차(Im)는 개별적으로 연산된다. 그 대신에,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 내에서 연산된 편차(△Im)는 분기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block diagram of FIG. 14 main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i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 Imo) is first calculated or calcula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calculated by the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1. The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determines on the switching circuit of the motor drive circuit 51 based on the deviation ΔIm between the actual motor current value Im and the calculated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A PWM signal having a duty cycle value Duty is outputted. The 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on section 335 receives input information regarding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corresponding to the duty cycle value Duty of the PWM signal applied from the motor driving circuit 51,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motor command current. The deviation [ΔIm (= Imo−Im)] between the value Imo and the actual motor current value Im is arithmetically calculated. In addition,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witching between operating and non-operating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50 based on the deviation ΔIm calculated by the 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ng section 335. This is provide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14, withi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and the 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on section 335, the current value deviation Im is calculated separately. Instead, the deviation? Im calculated i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can be branched.

이제 도15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의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 및 전류값 편차 연산 섹션(335) 내에서 실행되는 서브루틴을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now to FIG. 15, there is shown a subroutine executed within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and the 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on section 335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단계(601)에서, 모터 구동 회로 섹션(32)으로부터 모터 명령 전류값(Imo)이 판독된다.In step 601,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is read from the motor drive circuit section 32.

단계(602)에서, 모터-전류 검출기(8)에 의해 검출된 실제 전류값(Im)이 판독된다.In step 602, the actual current value Im detected by the motor-current detector 8 is read.

단계(603)에서, 모터 명령 전류값(Imo) 및 실제 전류값(Im) 사이의 편차(△Im)는 방정식 △Im = Imo - Im으로부터 연산된다.In step 603, the deviation [Delta] Im between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and the actual current value Im i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Delta] Im = Imo-Im.

단계(604)에서, 부스트 제어가 가능한지(시작되는지) 또는 불가능한지(해제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단계(601) 내지 단계(603)를 통해 연산된 편차(△Im)가 전류값 편차 역치값(Imf) 이상인지를 결정하도록 체크가 행해진다. 단계(604)에 대한 대답이 긍정적(YES)일 때, 즉 △Im ≥ Imf인 경우에, 루틴은 단계(604)에서 단계(605)로 진행한다. 역으로, 단계(604)에 대한 대답이 부정적(NO)일 때, 즉 △Im < Imf일 때, 루틴은 단계(604)에서 단계(606)로 진행한다.In step 604, the deviation? Im calculated through steps 601 to 603 is the current value deviation threshold value to determine whether boost control is enabled (started) or not (turned off). A check is made to determine if (Imf) or more. When the answer to step 604 is affirmative (YES), that is, ΔIm ≧ Im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604 to step 605. Conversely, when the answer to step 604 is negative (NO), that is, ΔIm <Im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604 to step 606.

단계(605)에서, 부스트 제어는 가능해진다(ON).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Vd)은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까지 상승 또는 부스트 업 되는데, 즉 Vd = Vdt가 된다.In step 605, boost control is enabled (ON). The booster voltage Vd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is raised or boosted up to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Vdt, that is, Vd = Vdt.

단계(606)에서, 부스트 제어가 불가능해지거나(OFF) 또는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전원 전압(Ve)은 실제의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되는데, 즉 Vd = Ve가 된다.In step 606, boost control is either disabled (OFF) or disabled.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output from the actual booster circuit 50, that is, Vd = Ve.

제5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에 포함된 제어기(30)에 의해 실행된 도15에 도시된 제어 흐름에 의해 얻어진 작동 및 효과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기본적으로,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 내에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는 차량 속도 센서(7) 및 토크 센서(b4)로부터의 센서 신호[차량 속도(VSP) 및 조향 토크(Ts)]를 기초로 하여 계산된다. 그리고 나서,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 내에서, 모터 명령 전류값(Imo)은 조향-지원 토크 산술 연산 섹션(31)에 의해 연산된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기초로 하여 연산된다. 그리고 나서,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은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 모터 명령 전류값(Imo)을 출력한다. 조향 토크(Ts)의 변화가 크면, 실제 전류값(Im)보다 큰 모터 명령 전류값(Imo)이 출력되고, 따라서 모터 명령 전류값(Imo) 및 실제 전류값(Im) 사이의 편차(△Im)는 커지게 된다. 이때, 높은 전류값의 구동 전류는 큰 편차(△Im)가 뒤따르는 방식으로 모터 구동 회로(51)를 통해 모터(1)에 공급된다. 이러한 결과로, 모터 각 가속도[dωm/dt (=αm)]가 커지게 되는 것 같다. 그러므로 제1 실시예의 시스템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큰 각 가속도[dωm/dt (=αm)]의 경우에 있어서, 작업 유체 압력(수압 압력)의 발생이 지연되는 경향이 증가한다. 즉, 작업 유체 압력 제어의 응답 지연, 다시 말해 악화된 조향 지원 제어 응답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btained by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15 executed by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fth embodiment are described below. Basically, in the steering-assisted torque arithmetic calculation section 31, the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 torque is obtained from the sensor signals (vehicle speed VSP and steering torque Ts)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7 and the torque sensor b4. ] Is calculated based on. Then, in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is calcula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calculated by the steering-support torqu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1. The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then outputs a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determin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If the change in the steering torque Ts is large, a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that is larger than the actual current value Im is output, and thus a deviation ΔIm between the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and the actual current value Im ) Becomes large. At this time, the driving current of the high current value is supplied to the motor 1 through the motor driving circuit 51 in a manner followed by a large deviation? Im. As a result,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ωm / dt (=? M)] is likely to increase. Therefore, as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of a large angular acceleration [d [omega] m / dt (= [alpha] m)], the tendency of the occurrence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hydraulic pressure) is increased. That is,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response delay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control, that is, the deteriorated steering assist control responsiveness.

이것을 피하기 위해, 전류값 편차(△Im)가 큰 특정 조건(즉, △Im ≥ Imf)하에서 부스터 회로(5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제5 실시예의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o avoid this, by supplying power to the booster circuit 50 under certain conditions (ie,? Im? Imf) with a large current value deviation? Im, the system of the fifth embodiment has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Can be provided.

제6 6th 실시예Example

이제 도16을 참조하면, 도4의 서브루틴으로부터 다소 수정되어, 제6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 내에 포함된 제어기(30)의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 및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 내에서 실행되는 서브루틴이 도시되어 있다. 도4 및 도16에 도시된 서브루틴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제1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부스트 제어는 모터 각 가속도[αm (=dωm/dt)]의 절대값(|αm|)이 하나의 소정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 이상인 특정 조건하에서 가능해진다. 즉, 모터 각 가속도(αm)는 고정된 단일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와 비교된다. 역으로, 제6 실시예의 시스템은 전원 전압(Ve)에 따라 변하는 가변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n)을 사용한다[도17에 도시된 미리 프로그램된 전원 전압(Ve) 대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n) 특성 맵을 보라]. 가변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n)에 있어서, n은 양의 정수이다. 즉, 전원 전압(Ve)의 전압 레벨에 따라서, 복수의 역치값(αmf1, αmf2, αmf3, ..., αmfn)가 설정된다. 도16의 제6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제어기(3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제6 실시예의 시스템은, (i) 전원 전압(Ve)의 전압 레벨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판독될 수 있는 신호 라인이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에 부착되고, 게다가 (ii) 도17에 도시된 미리 프로그램된 전원 전압(Ve) 대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n) 특성 맵이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에 내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시스템과 상이하다.Referring now to FIG. 16, modified somewhat from the subroutine of FIG. 4, executed within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and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331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ixth embodiment. The subroutine is shown.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the subroutines shown in Figs. 4 and 16,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ixth embodiment is bas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boost control is made possible under certain conditions in which the absolute value |? M |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 M (= d? M / d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one predetermined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Mf. That is,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is compared with a fixed singl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 Conversely, the system of the sixth embodiment uses the variabl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n which varies with the power supply voltage Ve (the pre-programmed power supply voltage Ve versus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shown in Fig. 17). αmfn) property map]. In the variabl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n, n is a positive integer. That is, a plurality of threshold values αmf1, αmf2, αmf3, ..., αmfn are set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ixth embodiment of Fig. 16 is basically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ystem of the sixth embodiment, (i) a signal line to which information data on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e can be read is attached to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and (ii) shown in FIG. The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in that a preprogrammed power supply voltage Ve versus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n characteristic map is embedded in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도4(제1 실시예)와 유사한 도16(제6 실시예)의 수정된 서브 루틴에 있어서, 단 두 개의 단계(202a 및 202b)만 부가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서브루틴의 단계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단계 번호들은 두 개의 상이한 차단 서브 루틴을 비교하기 위해 도16에 도시된 수정된 서브 루틴에 사용된 대응 단계 숫자들에 적용될 것이다. 단계(202a) 및 단계(202b)는 이하에서 동봉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단계(201) 내지 단계(205)는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In the modified subroutine of FIG. 16 (Sixth Embodiment) similar to that of FIG. 4 (First Embodiment), only two steps 202a and 202b are added. Thus, the same step numbers used to indicate the steps of the subroutine shown in FIG. 4 will apply to the corresponding step numbers used in the modified subroutine shown in FIG. 16 to compare two different blocking subroutines. Steps 202a and 202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teps 201 to 205 will be briefly described.

단계(201)에서, 모터 회전각(θm)이 판독된다.In step 201, the motor rotation angle [theta] m is read.

단계(202)에서, 모터 각 가속도(αm)는 모터 회전각(θm)의 2차 미분(d2θm/dt2)으로 산술적으로 연산된다.In step 202,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alpha] m is arithmetically computed as the second derivative d 2 [ theta] m / dt 2 of the motor rotation angle [theta] m.

단계(202a)에서, 전원 전압(Ve)이 판독된다.In step 202a,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read.

단계(202b)에서,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은 도17에 도시된 미리 프로그램된 전원 전압(Ve) 대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n) 특성 맵으로부터 단계(202a)를 통해 판독된 전원 전압(Ve)의 전압 레벨을 기초로 하여 계산되거나 검색된다.In step 202b,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 is the power supply voltage read through step 202a from the pre-programmed power supply voltage Ve vs.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n characteristic map shown in FIG. It is calculated or retrieved based on the voltage level of Ve.

단계(203)에서, 부스트 제어가 가능한지(시작되는지) 또는 불가능한지(해제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단계(201) 및 단계(202)를 통해 연산된 모터 각 가속도(αm)의 절대값(|αm|)이 맵-검색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 이상인지를 결정하도록 체크가 행해진다. 단계(203)에 대한 대답이 긍정적(YES)일 때, 즉 |αm| ≥ αmf인 경우에, 루틴은 단계(203)에서 단계(204)로 진행한다. 역으로, 단계(203)에 대한 대답이 부정적(NO)일 때, 즉 |αm| < αmf일 때, 루틴은 단계(203)에서 단계(205)로 진행한다. 모터 각 가속도(αm)의 절대값(|αm|)을 그 역치값(αmf)과 비교하는 것은 모터(1)의 정상 회전 및 역회전에 대응한다.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는 조향 지원의 부족으로 인해 소정값을 초과하도록 구동기 인가 조향 토크가 증가되는 경향이 있는 임계값을 의미한다.In step 203, the absolute value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alpha] m computed through steps 201 and 202 to determine whether boost control is enabled (started) or not (disabled) | A check is made to determine whether alpha m |)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p-search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alphamf. When the answer to step 203 is YES, that is, | αm | If ≧ αm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203 to step 204. Conversely, when the answer to step 203 is negative (NO), that is, | αm | When <αmf, the routine proceeds from step 203 to step 205. Comparing the absolute value | αm |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with its threshold value αmf corresponds to the normal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 means a threshold value in which the driver applied steering torque tends to increase to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the lack of steering support.

단계(204)에서, 부스트 제어는 가능해진다(ON).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Vd)은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까지 상승 또는 부스트 업 되는데, 즉 Vd=Vdt가 된다.In step 204, boost control is enabled (ON). The booster voltage Vd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50 is raised or boosted up to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Vdt, that is, Vd = Vdt.

단계(205)에서, 부스트 제어는 불가능해지거나(OFF)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전원 전압(Ve)은 현재의 부스터 회로(50)로부터 출력되는데, 즉 Vd=Ve가 된다.In step 205, the boost control is either disabled (OFF) or left in an impossible state.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output from the current booster circuit 50, i.e., Vd = Ve.

제6 실시예의 시스템의 기본 작동 및 효과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제6 실시예의 시스템의 상이한 작동 및 효과만을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The basic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system of the sixth embodiment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only different operations and effects of the system of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도17에 도시된 Ve-αmfn 특성 맵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전압(Ve)의 전압 레벨은 실질적으로 다섯 개의 전압(VE1, VE2, VE3, VE4, VE5)로 분할되고, 그 전압 레벨은 부등식 VE1 < VE2 < VE3 < VE4 < VE5로 정의된다. 제1, 제2, 제3, 제4, 제5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1, αmf2, αmf3, αmf4, αmf5)가 각 전압(VE1, VE2, VE3, VE4, VE5)에 대응한다. 전원 전압(Ve)이 낮을 때, 부스트 제어는 소정의 모터 속도 및 소정의 모터 토크를 보장하도록 가능한 한 조속히 개시되어야 된다. 역으로, 전원 전압(Ve)이 높을 때, 그 경우에 의한 부스트 제어에 대한 필요성이 적다. 즉, 부스트 제어가 진실로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그러한 상태를 특정함으로써, 전원 전압(Ve)의 전압 레벨을 전적으로 고려하는 동안에, 부스트 제어의 실행 빈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따라서 부스터 회로(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the Ve-αmfn characteristic map shown in Fig. 17,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substantially divided into five voltages V E1 , V E2 , V E3 , V E4 , V E5 . The voltage level is defined by the inequality V E1 <V E2 <V E3 <V E4 <V E5 .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moto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s αmf1, αmf2, αmf3, αmf4, and αmf5 are applied to the voltages V E1 , V E2 , V E3 , V E4 , and V E5 . Corresponds.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low, the boost control should be initiated as soon as possible to ensure the desired motor speed and the desired motor torque. Conversely,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high, there is less need for boost control in that case. In other words, by specifying such a state in which boost control is truly substantially required, the frequency of execution of boost control is effectively reduced while fully considering the voltage level of the supply voltage Ve, thus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booster circuit 50. It is possible to let.

제7 7th 실시예Example

이제 도18 및 도19을 참조하면, 제7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시스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1 및 도18에 도시된 시스템 선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도2 및 도19의 블록 선도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도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두 실시예를 비교하기 위해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제7 실시예에 사용된 대응 도면 부호에 적용될 것이다. 도면 부호 31'로 지시된 회로는 이하에서 동봉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도면 부호의 상세한 설명은 이에 대한 상기 설명이 자명한 것처럼 보이므로 생략된다.Referring now to Figures 18 and 19,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venth embodiment is shown.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the system diagrams shown in Figs. 1 and 18, and also from the comparison of the block diagrams of Figs. 2 and 19,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Fig. 1 embodiment. similar.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o indicate the elements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are used in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S. 18 and 19 to compare the two embodiments. Will be applied to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The circuit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3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other reference numerals is omitted because the above description seems obvious.

도18의 제7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시스템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향륜 각 센서(b6)는 조향륜 각(θ)[직전 위치로부터 측정된 조향륜(a1)의 각 변위]을 검출하기 위해 조향 샤프트(b1)에 부착된다. 4방향 3위치 회전 밸브(four-way three-position rotary valve)와 같은 회전 방향 제어 밸브(간단히, 회전 밸브, b4')는 일방향 펌프(2')에 의해 생성된 작업 압역의 공급을 제1 및 제2 실린더 챔버(21, 22)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절환하기 위해 피니언 샤프트(b3) 상의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밸브(b4')는 밸브 본체 및 그 밸브 본체에 기밀식으로 고정된 회전자로 구성되어, 회전자 내의 통로들이 4개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밸브 본체 내의 포트와 연결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도18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회전 밸브(b4')는 4개의 포트, 즉 펌프 포트, 두 개의 출구 포트 및 탱크 포트(배수 포트)를 구비한다. 회전 밸브(b4')의 펌프 포트는 유체 라인(2α)을 통해 작업 유체가 오직 일방향으로만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일방향 펌프(2')의 배출 포트(2a')에 연결된다. 회전 밸브(b4')의 제1 출구 포트는 유체 라인(10')을 통해 제1 실린더 챔버(21)에 연결되는 반면에, 회전 밸브(21)의 제2 출구 포트는 유체 라인(11')을 통해 제2 실린더 챔버(22)에 연결된다. 회전 밸브(b4')의 탱크 포트(배수 포트)는 저장조 탱크(5)에 연결된다. 이전에 논의된 엔 진/차량 센서들(b6, 6, 7, 8)로부터의 센서 신호들은 부스터 회로(50)의 구동(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고 모터(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기(30)의 입력 인터페이스 회로로 입력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system diagra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venth embodiment of Fig. 18, the steering wheel angle sensor b6 determines the steering wheel angle θ (angular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wheel a1 measured from the previous position). It is attached to the steering shaft b1 for detection. Rotational direction control valves (simply, rotary valves b4 '), such as four-way three-position rotary valves, provide for supply of the working pressure zone generated by the one-way pump 2' to the first and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al valves. On the pinion shaft b3 for switching from one of the second cylinder chambers 21, 22 to the other. Specifically, the rotary valve b4 'consists of a valve body and a rotor hermetically fixed to the valve body such that the passages in the rotor connect or disconnect with ports in the valve body to provide four flow paths. do.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18, the rotary valve b4 'has four ports, that is, a pump port, two outlet ports, and a tank port (drainage port). The pump port of the rotary valve b4 'is connected via a fluid line 2α to the discharge port 2a' of the one-way pump 2 'which allows the working fluid to be discharged in only one direction. The first outlet port of the rotary valve b4 'is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chamber 21 via the fluid line 10', while the second outlet port of the rotary valve 21 is the fluid line 11 '.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ylinder chamber 22 through. The tank port (drainage port) of the rotary valve b4 'is connected to the reservoir tank 5. Sensor signals from the engine / vehicle sensors b6, 6, 7, 8 discussed previous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booster circuit 50 (switching between operating and non-operating states) and driving the motor 1. It is input to the input interface circuit of the controller 30 to control.

제7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제어기(30)의 구성을 주로 도시하는 도19의 블록 선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차량 속도 센서(7) 및 조향륜각 센서(b6)로부터의 센서 신호[차량 속도(VSP) 및 조향륜각(θ)]를 기초로 하여 일방향 펌프(2')에 의해 발생되거나 생성되도록 소정의 수압 압력을 연산하는 수압 압력 산술 연산 섹션(수압 압력 연산 회로 또는 수압 압력 연산 수단, 31')을 포함한다.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된 소정 수압 압력을 얻어서 펌프(2')로부터의 실제의 수압 압력을 소정의 수압 압력에 보다 가깝워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모터-전류 검출기(8)에 의해 검출된 실제 모터 구동 전류값(Im)과 수압 압력 산술 연산 섹션(31')에 의해 연산된 소정의 수압 압력 양쪽을 기초로 하여 서보 제어(servo control)에 의해 제어 명령 신호를 모터 구동 회로(51)로 출력하는 모터 구동 제어 섹션(32)을 포함한다. 제어기(30)의 센서 프로세서는 또한 모터 회전각 센서(6)에 의해 검출된 모터 회전각(θm)을 기초로 하여 모터 각 가속도(αm)를 검출하거나 결정하거나 예측하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를 포함한다. 또한, 모터 각 가속도 검출기(331)에 의해 검출된 모터 각 가속도(αm)를 기초로 하여 부스터 회로(50)의 구동(작동 및 비작동 사이클 사이를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이 제공된다. 수압 압력 산술 연산 섹션(31') 내에서, 최대 작업 압력에 대응하고 실질적으로 구동기 필 요 조향 지원에 대응하는 소정의 수압 압력은 차량 속도(VSP) 및 조향륜각(θ)을 기초로 하여 연산된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수압 압력은 차량 속도(VSP) 및 조향륜각(θ)의 변동을 기초로 하여 연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속도(VSP)가 저속이고 조향륜각(θ)의 변동이 큰 상태하에서, 소정의 수압 압력은 높은 압력값으로 설정된다. 차량 속도(VSP)가 저속이고 조향륜각(θ)의 변동이 작은 상태하에서는, 소정의 수압 압력은 낮은 압력값으로 설정된다. 차량 속도(VSP)가 고속인 상태하에서는, 소정의 수압 압력은 저속에서의 차량 이동 상태와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7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는 또한 조향륜(a1) 및 모터(1)가 작업 유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환언하면, 조향륜(a1) 및 모터(1)는 일체식 요소[수압 파워 실린더(2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파워 실린더(20)의 제1 및 제2 실린더 챔버(21, 22) 각각의 체적 변화가 모터(1)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작업 유체의 이동에 의해 얻어지기 때문에, 수압 파워 실린더(20)는 일체식 요소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소정의 조향 지원 특성은 조향륜(a1)의 회전보다 더 빨리 모터(1)를 회전시키면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the block diagram of Fig. 19, which main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30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venth embodiment,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includes the vehicle speed sensor 7 and the steering. Hydraulic pressur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for calculating a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to be generated or generated by the one-way pump 2 'based on the sensor signals (vehicle speed VSP and steering wheel angle θ) from the wheel angle sensor b6. (Hydraulic pressure calculating circuit or hydraulic pressure calculating means 31 ').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also detects by the motor-current detector 8 in such a way that it obtains the calculated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to bring the actual hydraulic pressure from the pump 2 'closer to the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The motor drive circuit 51 sends a control command signal by servo control on the basis of both the actual motor drive current value Im and the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pressure calcula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1 '. And a motor drive control section 32 for outputting. The sensor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also detects, determines or predicts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based on the motor rotation angle θm detected by the motor rotation angle sensor 6. It includes. In addition, a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witching between operating and non-operating cycles) of the booster circuit 50 based o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detected by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or 331. This is provided. Within the hydraulic pressure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1 ′, the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working pressure and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driver required steering support is calculated based on the vehicle speed VSP and the steering wheel angle θ. . 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variation of the vehicle speed VSP and the steering wheel angle θ. More specifically, under the condition where the vehicle speed VSP is low and the vari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gle θ is large, the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is set to a high pressure value. Under a condition where the vehicle speed VSP is low and the variation in the steering wheel angle θ is small, the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is set to a low pressure valu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hicle speed VSP is high speed, the predetermined hydraulic pressure is set at a relatively low pressure as compared with the vehicle moving state at low speed. As described abo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venth embodiment is also configured such that the steering wheel a1 and the motor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orking fluid. In other words, the steering wheel a1 and the motor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integral element (hydraulic power cylinder 20). Since the volume chang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chambers 21, 22 of the power cylinder 20 is obtained by the movement of the working fluid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1, the hydraulic power cylinder 20 is It serves as an integral element. Therefore,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characteristic may be provided while rotating the motor 1 faster than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a1.

차량 속도(VSP)가 저속이고 조향륜각(θ)의 변동이 큰 상태하에서, 예컨대 주차 또는 코너링 주행 중에, 일반적으로 필요 수압 압력은 높고 급속한 모터 속도 상승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전류의 부종은 급속한 모토 속도 상승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것은 모터 토크(Tm)의 부족을 초래하고, 따라서 모터 속도의 강하가 발생한다. 이것은 펌프에 의해 발생된 수압 압력의 부족을 이끈다. 결론적으로, 조향 지원력이 불충분하게 된다.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ehicle speed VSP is low and the steering wheel angle θ is large, for example during parking or cornering driving, the required hydraulic pressure is generally high and a rapid motor speed increase is required. In this case, edema of the motor drive current occurs due to rapid moto speed rise. This results in a shortage of the motor torque Tm, and thus a drop in motor speed occurs. This leads to a lack of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he pump. As a result, steering support is insufficient.

이것을 피하기 위해, 조향 지원력의 부족이 발생하려고 할 때, 전원 전압(Ve)은 부스트 제어에 의해 소정값(Vdt)까지 부스트 업 되고, 결과로서 모터(1)에 인가된 전압은 모터 속도의 부족[모터 각속도(ωm)의 부족]을 보상하기 위한 방식으로 비례하여 증가된다. 제7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용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조향 지원력의 부족이 발생하려고 하는 경우의 측정으로서, 모터 각 가속도(αm) 및 그 역치값(αmf)에 대한 최신 정보 데이터의 비교 결과(|αm|≥αmf 또는 |αm|<αmf)가 사용되고, 모터 각 가속도(αm)의 절대값(|αm|)이 모터 각 가속도 역치값(αmf) 이상일 때, 제어기(30)의 프로세서는 조향 지원력의 부족이 발생하려 하는지를 결정한다. 제7 실시예의 파워 조향 장치용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부스터 제어 기능은 착수 되어지고(가능하게 되어지고), 모터 각 가속도(αm)의 절대값(|αm|)이 그 역치값(αmf)을 초과할 때 부스터 회로(50)에 즉시 전력이 공급되고(ON), 따라서 모터 속도[모터 각속도(ωm)]를 더욱 높은 값까지 적시에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결과로, 구동기 인가 조향 토크는 작아지게 되고, 작업 유체 압력 제어의 응답 지연, 다시 말해 악화된 조향 지원 제어 응답성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제7 실시예에서, 소스 전압 부스트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파라미터로서, 모터 각 가속도(331)에 의해 검출된 모터 각 가속도(αm)가 이용된다. 그 대신에, 제7 실시예의 시스템은 조향 토크 변화율 예측 섹션(332)에 의해 예측된 조향 토크 변화율(△Ts), 조향륜 각 가속도 산술 연산 섹션(333)에 의해 연산된 조향륜 각 가속도(vθ), PWM 듀티 변화율 연산 섹션(334)에 의해 연산된 PWM 듀티 변화율(△Duty), 또는 전류값 편차 연산 섹션(335)에 의해 연산된 전류값 편차[△Im (=Imo-Im)]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order to avoid this, when a lack of steering support force is about to occur,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s boosted up to a predetermined value Vdt by boost control, and as a result, the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1 is insufficient in motor speed [ [The lack of motor angular velocity [omega] m] is increased proportionally.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venth embodiment, as a measurement when a lack of steering support force is to occur, a comparison result of the latest information data with respect to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and its threshold value αmf ( When | αm | ≥αmf or | αm | <αmf are used, and when the absolute value | αm |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threshold value αmf, the processor of the controller 30 is capable of steering assistance. Determine if lack of power is likely to occur. By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for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seventh embodiment, the booster control function is started (enabled), and the absolute value | αm | of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is the threshold value αmf. When is exceeded, power is immediately supplied to the booster circuit 50 (ON), and thus it is possible to raise the motor speed (motor angular speed? M) in a timely manner to a higher value. As a result, the driver applied steering torque becomes small, and it is possible to avoid the response delay of the working fluid pressure control, that is, the deteriorated steering assist control response. In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s. 18 and 19, as the parameter used to determine the source voltage boost timing,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alpha] m detected by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331 is used. Instead, the system of the seventh embodiment has a steering torque change rate DELTA Ts predicted by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prediction section 332, a steering wheel angle acceleration vθ calculated by the steering wheel angle acceleration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333. ), The PWM duty change rate ΔDuty calculated by the PWM duty change rate calculation section 334, or the current value deviation [ΔIm (= Imo-Im)] calculated by the 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on section 335 is used. It may be.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각각의 시스템들은, 차량 속도(VSP)가 큰 크기의 조향 지원 토크(조향 지원력)가 필요하지 않은 소정의 속도 밸브(VSPf) 이상인 특정 조건(VSP≥VSPf)하에서 부스트 제어를 억제하는 차량 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섹션(차량 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회로 또는 차량 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고속도로 주행과 같은 고속 구동 중에, 급속 조향 지원으로 인한 차량 동적 거동(차량 안정성)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역으로 코너링 또는 주차와 같은 저속으로 차량 이동 중에, 양호한 운전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조향 지원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저속으로 코너링 또는 주차 도중에서와 같이, VSP≥VSPf로 정의되는 특정 조건하에서, 부스트 작동을 억제함으로써 차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저속 이동 중에서만 부스트 작동을 실행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작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Each of the systems shown in embodiments implements boost control under certain conditions (VSP ≧ VSPf) where the vehicle speed VSP is above a predetermined speed valve VSPf that does not require a large amount of steering support torque (steering support force). And a vehicle 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section (vehicle 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circuit or vehicle 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means) for suppressing. Basically, during high speed driving such as highway driv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ehicle dynamic behavior (vehicle stability) due to the quick steering support decreases. Conversely, during vehicle movement at low speeds such as cornering or parking, relatively large steering assistance is required to provide good driving. Thus, it is possible to improve vehicle stability by suppressing boost operation under certain conditions defined as VSP ≧ VSPf, such as during cornering or parking at low speed. By executing the boost operation only during the low speed movement, it is possible to suppress unnecessary operation.

각각의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에 의하여, 부스터 회로(50)에 의해 출력된 부스터 전압(Vd)은 전원 전압(Ve)에서 고정된 전압값인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까지 상승된다. 이를 대신하여,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은 조향륜(a1)의 조향 상태, 차량 속도(VSP), 모터 각 가속도(αm) 및/또는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과 같은 차량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단계식( 2 이상의 단계로) 또는 무단식으로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은 조향륜(a1)의 조향 상태[예컨대, 조향륜각(θ), 조향륜 각속도(ω) 및/또는 조향륜 각 가속도(vθ=dω/dt=d2θ/dt2)], 차량 속도(VSP), 모터 각 가속도(αm) 및/또는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Duty)과 같은 차량의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다단계 제어 또는 다단계 조정에 의해 가변적으로 결정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Vdt)을 더욱 정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럼으로써 배터리(52)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each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y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the booster voltage Vd output by the booster circuit 50 is a predetermined boost-up which is a fixed voltage value at the power supply voltage Ve. It rises to the voltage Vdt. Instead, the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Vdt is determined by a vehicle such as the steering state of the steering wheel a1, the vehicle speed VSP,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and / or the duty cycle value Duty of the PWM signal. It can be set variable stepwise (in two or more steps) or steplessly based on the movement state. That is, the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Vdt is determined by the steering state of the steering wheel a1 (for example, the steering wheel angle θ,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ω and / or the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 dω / dt = d). 2 θ / dt 2 )], vehicle speed (VSP),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and / or duty cycle value (Duty) of the PWM signal based on the state of movement of the vehicle Can be determined or se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t the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Vdt more precisely, and thereb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52.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부스트 제어가 개시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로서, 다시 말해 조향 지원력의 부족이 발생하려는 경우의 측정(또는 기준)으로서, 모터 각 가속도(αm), 조향 토크 변화율(△Ts), 조향륜 각 가속도(vθ), PWM 듀티 변화율(△Duty), 및 연산된 모터 명령 전류값(Imo)과 실제의 모터 전류값(Im) 사이의 전류값 편차(△Im)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된다. 이와 달리, 이들 파라미터(αm, △Ts, vθ, △Duty 및 △Im)들의 조합된 파라미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불필요한 부스트 작동을 더욱 정밀하게 억제하기 위하여, 차량 속도(VSP)가 조합된 파라미터로서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조합된 파라미터가 그 역치값을 초과할 때, 시스템은 부스트 제어 기능을 연결시키도록(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parameter used to determine if boost control should be initiated, that is, the measurement (or reference) when a lack of steering support force is to occur,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αm, the steering torque change rate ( ΔTs,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vθ), PWM duty change rate (ΔDuty), and current value deviation (ΔIm) between the calculated motor command current value (Imo) and actual motor current value (Im) One is used. Alternatively, a combination of these parameters αm, ΔTs, vθ, ΔDuty and ΔIm may be used. In addition, in order to suppress unnecessary boost operation more precisely, the vehicle speed VSP can be further considered as a combined parameter. In this case, when the combined parameter exceeds its threshold value, the system is configured to connect (enable) the boost control function.

도시된 실시예들의 파워 조향 장치의 기본 개념이 이하에서 종래 기술과 대조하여 요약된다.The basic concept of the power steering apparatus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s summarized below in contrast to the prior art.

(1) 기본 모터 특성으로 인하여, 모터 토크(Tm)는 모터 속도(Nm)가 증가함에 따라서 역기전력의 발생으로 인해 불충분하게 된다.(1) Due to the basic motor characteristics, the motor torque Tm becomes insufficient due to the generation of counter electromotive force as the motor speed Nm increases.

(2)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모터 속도(Nm)가 소정의 역치값 이상이 될 때, 모터 토크(Tm)는 전원 전압(배터리 전압)을 부스트 업 또는 상승함으로써 얻어졌다.(2)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when the motor speed Nm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motor torque Tm is obtained by boosting or raising the power supply voltage (battery voltage).

(3) 그러나 모터 구동 펌프에 의해 발생된 작업 유체 압력을 통해 조향 지원력을 생성하는 수압 파워 실린더 장착 파워 조향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모터 속도가 소정의 역치값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부스트 작동이 불충분한 모터 토크를 보상하기 위해 개시됨에도 불구하고, 작업 유체 압력 상승의 응답 지연이 발생한다.(3) However, in the case of a hydraulic power cylinder-mounted power steering device that generates steering assistance through the working fluid pressure generated by the motor driven pump, the boost operation is insufficient when the motor speed becomes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lthough disclosed to compensate for motor torque, a response delay of working fluid pressure rise occurs.

(4) 즉, 파워 실린더는 조향륜(a1)의 회전 및 모터(1)의 회전이 서로 연결된 일체식 요소로서 역할을 한다.(4) In other words, the power cylinder serves as an integral element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a1 and the rotation of the motor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5) 이것은, 파워 실린더에 필요한 소정의 작업 유체 압력에 대응하는 모터 속도(Nm) 및 모터 토크(Tm)를 생성하기 위하여, 모터 속도(Nm)는 일체식 요소(예컨대, 파워 실린더)의 응답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방식으로 조향륜각(θ)의 변동보다 더 높은 속도값까지 단번에 상승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5) This means that the motor speed Nm is the response of the integral element (e.g., power cylinder) in order to produce a motor speed Nm and a motor torque Tm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working fluid pressure required for the power cylinder. This means that it must be raised at a time up to a speed value higher than the vari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gle θ in a manner to compensate for the delay.

(6) 일체식 요소의 응답 지연은 조향륜 각속도(ω)가 빠르고 실제 작업 유체 압력 및 소정의 유체 압력 사이의 편차가 큰 특정 상태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6) The response delay of the integral element is remarkable in certain conditions where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ω is fast and the deviation between the actual working fluid pressure and the predetermined fluid pressure is large.

(7) 상기 논의된 이유에 대해, 도시된 실시예들의 향상된 시스템들은 실제 조향 지원력 및 소정의 조향 지원력 사이의 편차가 커지게 된다고 예측될 때, 부스트 제어를 적시에 개시함으로써 일체식 요소(예컨대, 파워 실린더)의 응답 지연을 보상한다.(7) For the reasons discussed above, the improved systems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s provide an integrated element (e.g., by initiating a boost control in a timely manner when it is expected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actual steering assistance and the predetermined steering assistance will become large. Compensation of the response delay of the power cylinder).

제1 및 제7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부스터 회로 제어 섹션(34)은, 펌프에서 파워 실린더로 공급된 수압 압력의 응답 지연의 가능성이 있는지가 결정될 때, 부스터 회로(50)를 절환하도록 작동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first and seventh embodiments, when the booster circuit control section 34 included in 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determin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response delay of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pump to the power cylinder, Operate to switch booster circuit 50.

일체식 요소(예컨대, 파워 실린더)의 응답 지연을 예측하도록 사용된 파라미터는, 차량 속도(VSP) 및 조향 토크(Ts)와 같은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를 연산하도록 사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소정의 조향 지원 토크의 연산 결과로부터 적절하게 유도될 수 있다. 환언하면, 조향륜측이 조향 제어 시스템의 상류측으로서 정의되고 피조향 차륜측이 하류측으로 정의된다고 가정하면, αm[모터 회전각(θm)의 2차 미분(d2θm/dt2)에 대응], △Ts[조향 토크(Ts)의 미분(dTs/dt)에 대응], vθ[조향륜각(θ)의 2차 미분(d2θ/dt2)에 대응], △Duty[PWM 듀티 사이클 신호값(Duty)의 미분(dDuty/dt)에 대응], 및 △Im[실제 모터 전류값(Im)의 비분에 실질적으로 대응]의 파라미터와 같은, 조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파워 실린더의 상류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의 미분에 의해 소스 전압 부스트 타이밍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설정하거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arameters used to predict the response delay of the integral element (eg, power cylinde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the parameters used to calculate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such as vehicle speed VSP and steering torque Ts. And appropriately derived from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predetermined steering support torque. In other words, assuming that the steering wheel side is defined as the upstream side of the steering control system and the steering wheel side is defined as the downstream side, α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rivative (d 2 θm / dt 2 ) of the motor rotation angle θm) , ΔTs (corresponding to derivative (dTs / dt) of steering torque Ts), vθ (corresponding to second derivative (d 2 θ / dt 2 ) of steering wheel angle θ), ΔDuty [PWM duty cycle signal Detection upstream of the power cylinder included in the steering control system, such as the derivative of the value Duty (corresponding to dDuty / dt), and the parameter of ΔIm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the actual motor current value Im). By differentiating the at least one parameter, it is possible to set or determine the source voltage boost timing appropriately and accurately.

일본특허출원 제2005-239335호(2005년 8월 22일에 출원됨)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The entir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5-239335 (filed August 22, 2005)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전술한 것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이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행 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is a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and described herei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defined in the scope or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done without departing from.

본 발명은 시스템들은 실제 조향 지원력 및 소정의 조향 지원력 사이의 편차가 커지게 된다고 예측될 때, 부스트 제어를 적시에 개시함으로써 일체식 요소(예컨대, 파워 실린더)의 응답 지연을 보상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ensates for the response delay of an integral element (eg, a power cylinder) by initiating timely boost control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actual steering assistance and a given steering assistance will be large.

Claims (26)

피조향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이며,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ed wheel, 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motor driving the pump, and 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driv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d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e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drive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e power source,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명령 신호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steered wheel through the power cylinder;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모터 각 가속도를 검출하거나 예측하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와,A motor angle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or predicting motor angle acceleration, 모터 각 가속도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that controls the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motor angular accel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센서와,The vehicle speed senso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차량 속도가 소정의 속도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의 부스트 작동을 억제하는 차량-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vehicle-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circuit for suppressing a boost 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부스터 회로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부터 부스트되는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을 차량의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무단식 또는 단계식으로 가변 설정하는 파워 조향 장치.The power supply of claim 1, wherein 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is configured to variably set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at which the booster voltag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is boos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a moving state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모터는 무브러시 모터 회전자의 각 위치를 검출하는 각 위치 센서를 구비하는 무브러시 모터를 포함하고,The motor of claim 1, wherein the motor comprises a brushless motor having an angular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ngular position of the brushless motor rotor,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는 각 위치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터 각 가속도를 예측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predicts motor angular acceleration based on sensor signals from each position sensor. 피조향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수압 압력이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각각의 수압 실린더 챔버에 제1 및 제2 유체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한 쌍의 포트를 구비한 펌프와, 펌프를 정상 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이며,A pump having 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ed wheel and a pair of ports through which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luid lines to respective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motor capable of driving the pump in the normal and reverse rotation directions, a driv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at least a motor and a power supply for controlling the drive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e power supply. 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명령 신호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steered wheel through the power cylinder;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모터 각 가속도를 검출하거나 예측하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와,A motor angle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or predicting motor angle acceleration, 모터 각 가속도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that controls the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motor angular accel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센서와,The vehicle speed sensor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차량 속도가 소정의 속도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의 부스트 작동을 억제하는 차량-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vehicle-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circuit for suppressing a boost 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value. 제5항에 있어서,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부스터 회로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부터 부스트되는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을 차량의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무단식 또는 단계식으로 가변 설정하는 파워 조향 장치.The power supply of claim 5, wherein 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is configured to variably set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at which the booster voltag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is boos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a moving state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모터는 무브러시 모터 회전자의 각 위치를 검출하는 각 위치 센서를 구비하는 무브러시 모터를 포함하고,6. The motor of claim 5, wherein the motor comprises a brushless motor having an angle sensor for detecting each position of the brushless motor rotor,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는 각 위치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터 각 가속도를 예측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predicts motor angular acceleration based on sensor signals from each position sensor. 피조향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 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이며,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ed wheel, 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motor driving the pump, and A power steering device including a driving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d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ing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ing power supply,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명령 신호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steered wheel through the power cylinder;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모터 각 가속도를 검출하거나 예측하는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와,A motor angle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or predicting motor angle acceleration, 모터 각 가속도가 모터-각-가속도 역치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를 절환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motor angular acceler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otor-angle-acceleration threshold. 제9항에 있어서,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센서와,The vehicle speed sensor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차량 속도가 소정의 속도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의 부스트 작동을 억제하는 차량-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vehicle-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circuit for suppressing a boost 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value. 제9항에 있어서,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부스터 회로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부터 부스트되는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을 차량의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무단식 또는 단계식으로 가변 설정하는 파워 조향 장치.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variably sets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at which the booster voltag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is boos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a moving state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제9항에 있어서, 모터는 무브러시 모터 회전자의 각 위치를 검출하는 각 위 치 센서를 구비하는 무브러시 모터를 포함하고,10. The motor of claim 9, wherein the motor comprises a brushless motor having an angular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ngular position of the brushless motor rotor, 모터 각 가속도 검출 회로는 각 위치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터 각 가속도를 예측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motor angular acceleration detection circuit predicts motor angular acceleration based on sensor signals from each position sensor. 제9항에 있어서,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전압 검출 회로를 더 포함하고,10. The apparatus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voltage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e power supply,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전원-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전원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서 모터-각-가속도 역치값을 저하시키는 방식으로 모터-각-가속도 역치값을 보상하는 파워 조향 장치.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compensates for the motor-angle-acceleration threshold in such a manner as to lower the motor-angle-acceleration threshold as the power supply voltage detected by the power-voltage detection circuit decreases. 피조향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이며,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ed wheel, 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motor driving the pump, and 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driv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d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e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drive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e power source,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명령 신호값이 조향 토크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eering torque;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시간에 대한 조향 토크의 변화율로서의 조향 토크 변화율을 연산하거나 예측하는 조향 토크 변화율 예측 회로와,A steering torque change rate predicting circuit for calculating or predicting a steering torque change rate as a change rate of steering torque with respect to time; 조향 토크 변화율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the rate of steering torque change. 제14항에 있어서,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센서와,The vehicle speed sensor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차량 속도가 소정의 속도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의 부스트 작동을 억제하는 차량-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vehicle-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circuit for suppressing a boost 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value. 제14항에 있어서,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부스터 회로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부터 부스트되는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을 차량의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무단식 또는 단계식으로 가변 설정하는 파워 조향 장치.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variably sets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at which the booster voltag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is boos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the moving state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조향륜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조향 샤프트와, 피조향륜에 조향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조향 기구에 설치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이며,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a steering shaft fixedly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 hydraulic power cylinder installed in a steering mechanism connecting the steering shaft to the steered wheel, and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nd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e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motor driving the pump, the drive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the drive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e source. Power steering,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명령 신호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steered wheel through the power cylinder; 직전 위치로부터 측정된 조향륜의 각 변위에 대응하는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 각 센서와,A steering angle sensor for detecting a steer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angular displacement of the steering wheel measured from the immediately preceding position;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조향각을 기초로 하여 조향륜 각 가속도를 연산하거나 예측하는 조향륜 각 가속도 연산 회로와,A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calculation circuit for calculating or predicting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based on the steering angle, 조향륜 각 가속도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that controls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steering wheel angular accele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센서와,18. The vehicle speed sensor of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차량 속도가 소정의 속도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의 부스트 작동을 억제하는 차량-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vehicle-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circuit for suppressing a boost 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value. 제17항에 있어서,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부스터 회로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부터 부스트되는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을 차량의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무단식 또는 단계식으로 가변 설정하는 파워 조향 장치.18. The power supply of claim 17, wherein 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variably sets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at which the booster voltag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is boos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a moving state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피조향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 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이며,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a steering force of a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ed wheel, 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motor driving the pump, and a motor. A power steering device including a driv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and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e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e power source,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PWM 듀티-사이클 신호가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에 대한 듀티 사이클값의 펄스-폭 변조된(PWM) 듀티-사이클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pulse-width modulated (PWM) duty-cycle signal of duty cycle value for the motor, wherein the PWM duty-cycle sign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eering support applied to the steered wheel through the power cylinder; ,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시간에 대한 PWM 듀티-사이클 신호의 듀티 사이클값의 변화율로서 PWM 듀티-사이클 신호 변화율을 연산하거나 예측하는 PWM 듀티-사이클 신호 변화율 연산 회로와,A PWM duty-cycle signal change rate calculating circuit for calculating or predicting the PWM duty-cycle signal change rate as a rate of change of the duty cycle value of the PWM duty-cycle signal with respect to time; PWM 듀티-사이클 신호 변화율에 대해 응답식으로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that controls switching between actuation and non-operational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in response to a PWM duty-cycle signal rate of change. 제20항에 있어서,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센서와,21. The vehicle speed sensor of claim 20,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차량 속도가 소정의 속도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의 부스트 작동을 억제하는 차량-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vehicle-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circuit for suppressing a boost 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value. 제20항에 있어서,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부스터 회로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부터 부스트되는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을 차량의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무단식 또는 단계식으로 가변 설정하는 파워 조향 장치.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variably sets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at which the booster voltag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is boos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a moving state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피조향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이며,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ed wheel, 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motor driving the pump, and 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driv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d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e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drive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e power source,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명령 신호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steered wheel through the power cylinder; 모터를 가로질러 흐르는 실제 전류값을 검출하는 모터-전류 검출 회로와,Motor-current detection circuitry for detecting the actual current value flowing across the motor;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명령 신호값 및 실제 전류값 사이의 편차를 연산하는 전류값 편차 연산 회로와,A current value deviation calculation circuit for calculating a deviation between the command signal value and the actual current value; 상기 편차가 편차 역치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를 절환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booster circuit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a booster circuit when the devi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eviation threshold value. 제23항에 있어서,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센서와,24. The vehicle speed sensor of claim 23,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차량 속도가 소정의 속도값 이상일 때 부스터 회로의 부스트 작동을 억제하는 차량-속도 의존 부스트 제어 억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And a vehicle-speed dependent boost control suppression circuit for suppressing a boost operation of the booster circuit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value. 제23항에 있어서,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는 부스터 회로로부터 출력된 부스터 전압이 전원 전압으로부터 부스트되는 소정의 부스트-업 전압을 차량의 이동 상태를 기초로 하여 무단식 또는 단계식으로 가변 설정하는 파워 조향 장치.24. The power supply of claim 23, wherein the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is configured to variably set a predetermined boost-up voltage at which the booster voltage output from the booster circuit is boos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based on a moving state of the vehicle. Steering device. 피조향륜에 연결된 조향 기구의 조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수압 파워 실린더와, 파워 실린더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수압 실린더 챔버 중 어느 하나에 수압 압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과, 모터의 구동 상태 및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모터 및 구동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이며,A hydraulic power cylind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steered wheel, a pump for selectively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y one of two hydraulic cylinder chambers formed in the power cylinder, a motor driving the pump, and A power steering device comprising a driv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nd a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he motor and the drive power source for controlling the drive state of the motor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of the drive power source, 상기 파워 조향 제어 시스템은,The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명령 신호값이 파워 실린더를 통해 피조향 차륜에 인가된 조향 지원력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모터 제어 회로와,A motor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a motor drive signal whose command signal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a steering support force applied to the steered wheel through the power cylinder; 구동 전원의 전원 전압을 부스트하는 부스터 회로와,A booster circuit for boosting a power supply voltage of a driving power supply; 부스터 회로의 작동 및 비작동 상태 사이의 절환을 제어하고, 펌프에서 파워 실린더로 공급된 수압 압력의 응답 지연의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될 때, 부스터 회 로를 절환하는 부스터-회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 조향 장치.Power steering including a booster-circuit control circuit that controls the switching between the operating and non-operating states of the booster circuit and switches the booster circu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delay in response of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pump to the power cylinder. Device.
KR1020060078701A 2005-08-22 2006-08-21 Power steering device KR200700226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701A KR20070022600A (en) 2005-08-22 2006-08-21 Power stee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9335 2005-08-22
KR1020060078701A KR20070022600A (en) 2005-08-22 2006-08-21 Power steer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00A true KR20070022600A (en) 2007-02-27

Family

ID=4365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701A KR20070022600A (en) 2005-08-22 2006-08-21 Power stee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6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25B1 (en) * 2016-07-26 2018-07-0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teering system using a hydraulic 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25B1 (en) * 2016-07-26 2018-07-0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teering system using a hydraulic mo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441B2 (en) Power steering device
US7584816B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233872B1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
US7631722B2 (en) Power steering system
US7157870B2 (en) Drive method for brushless motor and drive control apparatus therefor
US7730993B2 (en) Power steering device
JP4022552B2 (en) Brushless motor drive method and drive control apparatus thereof
JP2011148408A (en) Electric hydraulic power steering control device
US11075599B2 (en) Brushless motor
US20130079992A1 (en) Power steering system
JP4115156B2 (en) Power steering system control method
US8813902B2 (en)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JP4485802B2 (en) Hydraulic servo steering device
US20090120085A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8260329A (en) Power steering device
JP2005532218A (en)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US20090125189A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6248395A (en) Power steering device
KR20070022600A (en) Power steering device
US20090125190A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06001368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pump drive motor of a power steering device
JP3873006B2 (en) Brushless motor control device
JP4604642B2 (en) Vehicle steering system
CN111824252A (en) Steering system
JP2005184966A (en) Drive controller for dc commutatorless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