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411A -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 Google Patents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411A
KR20070022411A KR1020050076586A KR20050076586A KR20070022411A KR 20070022411 A KR20070022411 A KR 20070022411A KR 1020050076586 A KR1020050076586 A KR 1020050076586A KR 20050076586 A KR20050076586 A KR 20050076586A KR 20070022411 A KR20070022411 A KR 20070022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internet
wlan
wireless la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태화
방효창
Original Assignee
장태화
방효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화, 방효창 filed Critical 장태화
Priority to KR102005007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411A/en
Publication of KR2007002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4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또는 개인휴대인터넷 망을 통하여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을 공유할 수 있는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모바일 게이트웨이)과 그 기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LAN service system (mobile gateway) capable of sharing the Internet by a plurality of Internet user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ersonal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a function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은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이동체 내부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별도의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통신 사업자의 관점에서도 이동통신 모뎀이나 개인휴대인터넷 단말기를 대규모로 보급하지 않고 무선 인터넷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으므로 이동형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조기 정착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mobile WLA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Internet service inside the mobile body while utilizing the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as i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use the service without purchasing a separate equipm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From a carrie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attract wireless Internet subscribers without distributing mobile modems or personal mobile Internet terminals on a large scale, which leads to early settlement of mobile wireless Internet services.

이동통신망, 개인휴대인터넷망, 와이브로, 유선랜, 무선랜, 게이트웨이, USB, 이더넷, 가변 대역폭 제한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ersonal mobile internet network, WiBro, wired LAN, wireless LAN, gateway, USB, Ethernet, variable bandwidth limit

Description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

도1은 위성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net service system using satellites.

도2는 이동통신망의 진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volu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3은 이동통신 및 개인휴대인터넷 망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net service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a personal mobile Internet network.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rne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WLA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게이트웨이 접속 장치의 안테나 구성도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tenna configuration of a mobile gateway acc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할당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9 is a control flowchart for bandwidth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또는 개인휴대인터넷 망을 통하여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가 인터넷을 공유할 수 있는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LAN servi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Internet users can share the Interne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ersonal portable Internet network.

인터넷의 이용이 급격히 활성화되면서 이동 환경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버스, 기차, 승용차, 고속철도 등과 같은 이동차량 내부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컴퓨터에 랜카드를 장착하여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는데 랜카드를 인터넷 망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 유선(wire), 무선(wireless) 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무선은 흔히들 무선 랜이라고 칭하는 IEEE 802.11b/g/a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Aceess Point(AP: 무선 허브라고도 불리움)를 거쳐 인터넷 망에 접속되고 있다. 그런데 무선랜은 서비스 반경이 20~30m 로 공간적인 제한(별도의 장치를 이용할 경우 수100m)이 있으며, 로밍(roaming) 서비스도 가능하지 않아 매우 제한적인 모바일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As the use of the Internet is rapidly activated, the demand for using the Internet in a mobile environment is greatly increased. The demand for using the Internet in mobile vehicles such as buses, trains, passenger cars, and high-speed railways is increasing.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you can attach a LAN card to your computer to connect to the Internet network. Depending on how the LAN card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it is divided into wired and wireless. A protocol such as IEEE 802.11b / g / a is used to connect to the Internet via Aceess Point (also called AP). By the way, the WLAN has a service radius of 20 to 30m, a spatial limitation (100m if using a separate device), roaming service is also not available, providing a very limited mobile Internet environment.

또한, 이와는 다른 이동환경에서의 인터넷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위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기존에 이동하는 물체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통신 위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차량에 위성안테나 및 송수신기를 설치하고 통신 위성을 통하여 인터넷을 서비스 받도록 하였다. 통신 위성을 이용하는 방식은 설치비용 및 통신 위성 채널을 임차하여 서비스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높으므로 대량 보급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터널이나 지하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통신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동하는 물체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는 이동통신망 및 개 인휴대 인터넷 망을 이용하는 방안이 있다.In addition, a service that provides the Internet in a different mobile environment uses satellites. In order to use the Internet from a moving object, it is possible to receive a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satellite. As shown in FIG. 1, a satellite antenna and a transceiver are installed in a moving vehicle to receive the Internet through a communication satellite. The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satellite has a limitation in mass distribution because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cost of renting and servicing a communication satellite channel are high. In addition, there is a drawback that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when operating a tunnel or underground. Another method for using the Internet in a moving object is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ersonal portable Internet network.

먼저, 이동통신망과 휴대 인터넷 망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1980년대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작한 이동통신은 그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90년대에 들어서 디지털 이동통신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이에 대표적인 기술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방식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있다. GSM 방식은 유럽과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퍼져 나갔으며, CDMA 방식은 북미와 한국을 중심으로 보급이 되었다. 기존의 음성 서비스 위주에서 데이터 서비스 위주로 진화하였는데 GSM 방식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로 진화하면서 데이터 서비스를 강화하였으며, CDMA 진영은 1xEVDO (1x EVolution Data Only)으로 진화하였다. 또한, WCDMA (Wideband CDMA) 이라고 불리우는 3세대 통신망으로 진화하면서 보다 빠른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발전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개인휴대인터넷(와이브로 : Wi-Bro)과 같은 이동형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이동하는 환경에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조만간 개시될 예정이다. 앞서 언급한 무선랜의 단점인 서비스 반경의 확대와 고속 이동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및 이동통신망의 단점인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개인휴대인터넷이 탄생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2006년부터 개인휴대인터넷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계획을 가지고 추진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의 진화를 도2에 나타내었다.First of all,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Internet network are briefly reviewe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ich started with the analog method in the 1980s, has been changed to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method in the 1990s with rapid development since then. Mobile and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s are available. The GSM system has been widely spread around Europe and Southeast Asia, and the CDMA system has spread to North America and Korea. It has evolved from voice service to data service, and GSM has evolved to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o strengthen data service. CDMA has evolved to 1x EVDO (1x EVolution Data Only).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evolving in the direction of providing a faster data rate by evolving into a third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called Wideband CDMA (WCDMA). Also, as mobile wireless Internet services such as personal mobile Internet (Wi-Bro)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wireless Internet services in a mobile environment will be launched soon. The personal mobile Internet was created to expand the service radius, the shortcomings of the aforementioned WLAN, to provide services in high-speed mobile environments, and to support high-speed data services, which are disadvantages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In Korea, since 2006, the plan is to introduce personal mobile Internet service in earnest. This evolution of mobile communication is shown in FIG.

최근 국내외에서 도입되고 있는 이동통신 방식은 최대 2Mbps 정도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 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와 이동통신 가입자의 휴대폰이 필요하다. 가입자의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이동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은 어려우며 무선 주파수 채널을 낭비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은 이동체에서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이동통신 모뎀을 구입하여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method introduced at home and abroad has been applied to provide a data service of up to about 2Mbps. In order to access the Internet using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portable computer and a mobile phone of a mobile subscriber are required a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a mobile Internet service using a subscriber's mobile phone and a portable computer, it is difficult for a large number of users to use the Internet and a waste of radio frequency channels may occur. In addition, such a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user who wants to use the Internet in a mobile device must purchase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modem.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게이트웨이 접속 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도 4에 본 발명의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모바일 게이트웨이)의 개념을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망과 기존의 네트웍 중간에 위치하여 유선랜 및 무선랜 사용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대 무선 변환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mobile gateway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solves this problem and enables a plurality of Internet users to use the Internet ser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4 illustrates the concept of a mobile WLAN service system (mobile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mobile WLAN service system is located in the middl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existing network, and performs a function of a wireless-to-wireless conversion apparatus that allows a user of a wired LAN and a wireless LAN to access the Interne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기존에도 이동하는 물체에서 무선랜을 서비스하기 위한 유사 제품이 개발된 사례가 있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모바일 게이트웨이 접속 장치는 다양한 방식의 이동통신 모뎀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새로운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때 마다 하드웨어를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조와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There is a case in which similar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to service a WLAN in a moving object. It is designed to us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most cases.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gateway access device should be able to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modem, and it is not desirable to change the hardware every time a new mobile communication method is applied, so it must have a general hardware structure and interfac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체에서 저렴하게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형 무선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LAN system that can use the wireless Internet at a low cost in a mobi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의 시스템에 관한 대폭적인 변경 없이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LAN service system which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a significant change to the current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 상이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wireless LAN service system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이용자 측면에서는 추가적인 장비의 구매없이 서비스 이용료의 추가 부담으로 다양한 이동환경에서도 인터넷의 이용이 가능하며, 둘째, 네트워크 접속의 다양한 수용을 위해 유선망, 무선망, 이동통신망, 휴대인터넷망(와이브로) 등의 접속을 모두 수용하도록 하였으며, 셋째, 이용자 서비스 측면에서 기본적인 엑세스 포인트(AP) 기능과 아울러 타 지역으로의 확장을 꾀하기 위해 무선 브릿지(중계기) 기능을 함께 수용하였으며, 넷째, 기존 이동통신 모뎀과 프로세서간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개선하여 통신 속도의 고속화를 꾀하고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the user can use the Internet in a variety of mobile environments with the additional burden of the service fee without the purchase of additional equipment, second, wired network, wireless for a variety of network connection acceptance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internet network (WiBro) to accept all connections. Third, in terms of user service, basic access point (AP) function and wireless bridge (repeater) function to expand to other areas. Fourth, it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interface method betwee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modem and the processor to increase the communication speed.

도 4는 본 발명에서 발명한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게이트웨이 접속 장치의 서비스 개념도이다. 이 장비는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는 무선랜을 이용하고 네트워크 접속은 이동통신망 및 개인휴대인터넷 망을 이용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이트웨이 접속 장치는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그대로 활 용하면서 이동체 내부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별도의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통신 사업자의 관점에서도 이동통신 모뎀이나 개인휴대인터넷 단말기를 대규모로 보급하지 않고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으므로 이동형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조기 정착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의 노트북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무선랜 및 유선랜 카드를 그대로 활용하여 이동하는 물체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은 이동통신 및 개인휴대인터넷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실제 가입자에 대한 수용은 기존의 무선랜 및 유선랜을 이용하는 방식이다.4 is a service conceptual diagram of a mobile gateway access device for a mobile wireless LA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quipment is a device that uses a wireless LAN for subscriber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ersonal mobile Internet network. Since the mobile gateway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ternet service inside a mobile body while using the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as it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use the service without having to purchase a separate equipme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From a carrie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attract subscribers without distributing mobile communication modems or personal mobile Internet terminals on a large scale, which leads to early settlement of mobile wireless Internet services. 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an use the Internet from a moving object utilizing the wireless LAN and wired LAN card that is basically mounted on the user's notebook. In other words, access to the Internet network is performed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personal mobile Internet, and actual acceptance of subscribers is based on the existing wireless LAN and wired LAN.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모뎀과 프로세서간의 경로를 기존의 시리얼 대신 USB 방식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통신 속도의 저하라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USB 호스트에서는 이동통신 모뎀을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를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의 경우 개인휴대인터넷과 같은 모뎀에서 USB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어떠한 종류의 모뎀이라도 범용성 있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하였다. As shown in FIG. 5, the path between the mobile modem and the processor is connected to the USB method and the Ethernet interface instead of the existing serial to solve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communication speed. The USB host recognize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as a slave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nd transfers the data to the processor. In case of a modem such as personal mobile Internet, if the Ethernet interface is provided without providing the USB interface, the hardware interface structure is set to provide the Ethernet interface as a countermeasure. Through this, the structure is designed to accept universally any kind of modem.

다음으로 기존의 모바일 게이트웨이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기존의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 모뎀과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를 단순히 물리적으로 결합한 형태였다. 즉,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를 이동통신 단말에 연결한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이동통신 방식이 도입되면 하드웨어를 완전히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개인 휴대인터넷 서비스가 도입되면 기존의 하드웨어를 폐기하고 신규 장비를 구입하여야 하는 부담이 생기게 되었다.Next, the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mobile gateway is as follows. Existing mobile gateways were simply physical combinations of mobile modems and WLAN access points. That is, the wireless LAN access point is configured in a simple form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when a new mobile communication method is introduce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hardware must be completely replaced. The introduction of personal mobile Internet service has created a burden of discarding the existing hardware and purchasing new equipment.

반면에 본 발명에서의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이동통신 방식이 도입되더라도 이동통신 모뎀부 만을 교체하여 신규 서비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gateway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cope with the new service by replacing onl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even when a new mobile communication method is introduced using the USB interface.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무선랜 카드를 수용하는 구조로 설계하여 하나의 무선랜 카드는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의 무선랜 카드는 무선랜 중계기로 동작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원거리에 떨어진 지점에 무선랜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이를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랜 중계기(무선랜 브리지)로 연결하여 무선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gned to accommodate two WLAN cards so that one WLAN card acts as a WLAN access point and the other WLAN card acts as a WLAN repeater. Therefore, when a wireless LAN service is required at a remote point, as shown in FIG. 6, the wireless LAN service is enabled by connecting to a wireless LAN repeater (wireless LAN bridge).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모뎀(10)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모뎀은 다양한 방식의 이동통신 모뎀이 적용이 가능하다. CDMA 1xRTT, GSM, GPRS, 1xEVDO, W-CDMA, 개인휴대인터넷 등 다양한 무선 방식에 따른 모뎀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뎀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시리얼 인터페이스 또는 USB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기존의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대부분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 개발한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USB 인터페이스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이용하였다. USB 인터페이스(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였으므로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다양한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10 connects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modems. Modem according to various wireless methods such as CDMA 1xRTT, GSM, GPRS, 1xEVDO, W-CDMA, personal mobile Internet can be applied. The mobile modem provides a serial interface or a USB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st mobile gateways use serial interfaces.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gateway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used the USB interface and the Ethernet interface. By using a USB interface (or Ethernet interfac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peed could be increased, and the structure can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모바일 게이트웨이에 비해 장비의 구성은 복잡해진다. 즉,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던 기존의 방식은 소프트웨어가 매우 단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USB를 이용하게 되면 운영체계에 맞도록 USB 드라이버를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이동통신 모뎀(10)은 USB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보면 슬레이브(Slave)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프로세서(20)에서는 호스트(Host)의 역할을 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USB 호스트(Host)의 역할은 USB Slave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이를 정상적으로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USB 호스트(40)를 이용한다. USB 호스트(40)는 이동통신 모뎀(10)을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인식하고 이를 프로세서(2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By using the USB interface,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is complicated compared to the existing mobile gateway. That is,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serial interface is very simple in software, but when using USB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B driver must be developed to fit the operating system. This is becaus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10 serves as a sla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B device, and therefore, the processor 20 should serve as a host. The role of the USB host is to recognize the USB slave device and drive it normally. To this end, the USB host 40 is used. The USB host 40 recognize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10 as a slave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processor 20.

프로세서(20)는 모바일 게이트웨이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는 네트웍 관리 기능 및 무선랜 관리 기능, 이동통신 모뎀 관리 기능 등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의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 또는 개인휴대인터넷을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와 가입자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무선랜 인터페이스, 무선랜 중계기를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The processor 2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mobile gateway. This includes network management, wireless LAN management, and mobile modem manag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gateway is provided with a wireless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 or personal mobile Internet, a wireless LAN interface for subscriber wireless LAN service, and a wireless interface for wireless LAN repeater.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및 개인휴대인터넷의 경우는 고속 주행에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한다. 따라서 2개의 무선 안테나가 장착된다. 이때 2 안테나의 이격 거리는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800~900MHz 이동통신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15cm 정도를 이격시켜야 한다. 개인 휴대인터넷의 경우는 2.3GHz를 이용하므로 8cm 정도를 이격시 켜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또는 개인 휴대인터넷에 대한 다이버시티를 위하여 2개의 안테나가 필요하다.In general, in the case of mobile communication and personal mobile Internet, space diversity is used to prevent performance deterioration even at high speeds. Thus, two wireless antennas are mounted.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two antennas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frequency band used. If using 800 ~ 900MHz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should be separated by 15cm. Personal mobile Internet uses 2.3GHz, so it should be about 8cm apart. As such, two antennas are required for diversity for mobile communication or personal portable Internet.

다음으로는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하여 2개의 안테나가 필요하다. 무선랜 안테나의 경우는 6 cm 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선랜 중계기를 위한 1개(또는 2개)의 무선랜 안테나 포트가 필요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발명한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최소한 5개 이상의 안테나 포트가 필요하다. 도 8은 모바일 게이트웨이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구성도이다.Next, when operating as a WLAN access point, two antennas are required to provide diversity. In case of WLAN antenna, it should be spaced more than 6 cm. Finally, one (or two) WLAN antenna ports for the WLAN repeater are required.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t least five antenna ports.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ntenna port of a mobile gateway.

본 발명에서 발명한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망(개인휴대인터넷 포함)을 통하여 무선랜 및 유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무선랜을 사용하는 가입자의 입장에서는 이동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경유하는 것이 중요치 않다. 하지만 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무선랜 사용자와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무선랜 사용자를 구분하여 과금할 필요가 있다. 즉, 고정된 지역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하는 차량에서 무선랜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별도의 과금 체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발명한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랜 및 유선랜 서비스 장치이므로 가장 많은 응용분야가 이동하는 물체이다. 즉, 열차나 버스에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선랜 사용자와 유선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랜 사용자를 구분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CDMA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를 무선랜 인증을 위한 사용 자 식별자로 사용하게 하여 모바일 게이트웨이를 통한 무선랜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7은 무선랜 사용자에 대한 과금 방식 및 인증을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The mobile gateway in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wireless LAN and wired LAN ser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personal mobile Internet). From the point of view of a subscriber using a wireless LAN, it is not important to pas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it is necessary for a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o separately charge a WLAN user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LAN user connecte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eparate charging system for a user who uses the WLAN in a moving vehicle instead of using the WLAN service in a fixed area. Since the mobile gatew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LAN and wired LAN service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st mobile applications are objects that move. That is,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wireless LAN service in a train or a bus. Therefore, there should be a function of distinguishing between a wireless LAN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less LAN user using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WLAN user through a mobile gateway by using an Electronic Serial Number (ESN) of CDMA as a user identifier for WLAN authentication. 7 shows a charging method and a process for authentication for a WLAN user.

무선랜 사용자는 자신의 무선랜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랜 접속을 시도한다(200). 프로세서는 무선랜 가입자의 접속 시도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통화로를 개통하려고 시도한다(201). 이에 따라 이동통신망 인증 서버에서는 ESN 번호를 확인하여 통화로를 개통하게 된다. The WLAN user attempts to access the WLAN using his WLAN terminal (200). The processor detects an access attempt of the WLAN subscriber and attempts to open a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201).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uthentication server checks the ESN number and opens the call path.

다음으로는 프로세서에서 이동통신 모뎀의 ESN 번호를 읽어 이를 무선랜 802.1x 인증 패킷의 dummy header에 ESN 번호를 삽입한다. 무선랜 사용자는 802.1x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랜 서버에 인증을 시도하게 된다(204). 이때 무선랜 인증 서버인 RADIUS 서버에서는 무선랜 사용자의 ID와 Password를 확인하여 인증을 하게 된다. 일단 인증이 이루어지면 무선랜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processor reads the ES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and inserts the ESN number into the dummy header of the WLAN 802.1x authentication packet. The WLAN user attempts to authenticate with the WLAN server using the 802.1x method (204). At this time, the RADIUS server, which is the WLAN authentication server, verifies the ID and password of the WLAN user. Once authentication is made, the WLAN user can use the WLAN normally.

이때 RADIUS 서버에 무선랜 사용자 인증 패킷에서 ESN 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현재 무선랜을 이용하고 있는 가입자가 모바일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접속한 상태인지 아니면 기존의 유선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인지를 구분하여 과금을 시도한다(207).At this time, the function of verifying the ESN number in the wireless LAN user authentication packet is added to the RADIUS server so that the subscriber using the wireless LAN is connected using the mobile gateway or accesses the wireless LAN connected to the existing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charge is attempted by distinguishing whether the user is connected through the point (207).

본 발명에서 발명한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이동하는 물체에서 무선랜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장치이다. 이동통신망의 경우는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1~2Mbps이고, 개인휴대인터넷의 경우 도 4~5Mbps 정도의 속도를 제공한다. 만일 한 명의 사용자가 모바일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한 후 다운로드 및 동영상 시청 등을 동시에 하게 되면 대역폭을 심각하게 독점적으로 점유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인터넷 접속 속도를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The mobile gateway in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allows a plurality of users to use the Internet using a wireless LAN in a moving object.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bandwidth actually available is 1 to 2 Mbps, and in the case of a personal mobile Internet, the speed is about 4 to 5 Mbps. If one user accesses the Internet through the mobile gateway and downloads and watches videos at the same time, the bandwidth is taken seriously and exclusively, which slows down other users' Internet access speed.

유선 인터넷에서는 대역폭 제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 대역폭을 독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유선 이더넷에서는 대역폭 제한(bandwidth limiting)이라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러나 무선랜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대역폭을 제한하는 알고리즘이 구현되어 있다. 이 방식은 사전에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에 가입자당 최대 할당 대역폭을 정의하고, 최대 할당 대역폭 이상을 사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는 방식이다.In the wired Internet, bandwidth limiting algorithms are used to prevent certain users from monopolizing the bandwidth of Internet services. To do this, wired Ethernet uses an algorithm called bandwidth limiting. However, similarly, in the case of WLAN, an algorithm for limiting bandwidth is implemented. In this method, the maximum allocation bandwidth per subscriber is defined in advance in the WLAN access point, and the subscriber who wants to use more than the maximum allocation bandwidth is restricted.

본 발명에서 발명한 모바일 게이트웨이의 경우는 이동하는 물체에서 무선랜을 통하여 인터넷을 서비스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많이 몰리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인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의 경우는 공공장소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이동하는 기차 및 버스, 차량에 장착되므로 동시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3~5명 정도로 예상된다. 사용자가 많지 않은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대역폭을 제한하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속도가 느리다는 불만을 가질 수 있다. 주행하는 차량 내부에서 혼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속도가 느리다면 이는 서비스 불만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obile gateway in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gateway is a device that services the Internet through a WLAN in a moving object. Therefore, it is very rare for a lot of users. In the case of a general wireless LAN access point, many users can be connected at the same time because it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or office, but the mobile gatewa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ving train, bus, and vehicle, so that three to five users can be connected at the same time. Is expected. Forcing a user to limit bandwidth while there are not many users can be frustrating for users. If you use the Internet alone inside a car you are driving slowly, this can cause service complaints.

따라서, 모바일 게이트웨이와 같이 이동형 무선랜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수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대역폭을 제한하는 방식이 적용되어야 한다. 즉, 모바일 게이트웨이에 접속한 사용자가 1명인 경우와 2명인 경우 그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 가변적으로 대역폭을 제한하여야 한다.Therefore, in a mobile WLAN device such as a mobile gateway, a method of restricting bandwidth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users should be applied. That is, bandwidth should be variably limited in case of one user and two or more users connected to the mobile gateway.

도 9는 가변적으로 대역폭을 할당하는 알고리즘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이동통신망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체 이동통신망 대역폭(Mobile Band Width : MBW)을 확인한다. 다음으로는 무선랜 쪽으로 접속된 사용자의 수를 점검한다. 만일 한 사람이 접속되어 있다면 전체 대역폭을 할당한다. 도중에 무선랜 접속 사용자(N)가 늘어나가 되면 MBW/N으로 나누어 대역폭을 할당한다. 이 과정은 지속적으로 이동통신망 대역폭과 무선랜 접속 사용자를 감시하여 이루어진다.9 is an algorithm for variably allocating bandwidth. As shown in FIG. 9, the mobile gateway checks the total mobile network bandwidth (MBW) that can be used by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ext, check the number of users connected to the WLAN. If one person is connected, allocate the full bandwidth. If the WLAN access user N increases in the middle, the bandwidth is allocated by dividing by MBW / N. This process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monitoring mobile network bandwidth and WLAN access user.

본 발명은 기존 모바일 게이트웨이의 단점인 속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와 동시에 서비스 지역의 확대를 위한 무선랜 중계기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으며, USB 인터페이스 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모뎀과 기존 네트웍을 연결하여 높은 속도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USB 인터페이스(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므로 추후 이동통신망에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더라도 데이터 속도의 제한이 없이 이용이 가능하며, 드라이버를 변경함으로써 새로운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무선랜을 지원하여 첫 번째 무선랜(30)은 실제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엑 세스 포인트로 동작하고, 두 번째 무선랜(50)은 다른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랜 중계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speed,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existing mobile gateway, and at the same time has a function of a wireless LAN repeater for expanding the service area, and connects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to an existing network using a USB interface or an Ethernet interface. High-speed service is possible, and because it uses USB interface (or Ethernet interface), even if a new method is introduced into the mobile network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without limiting the data rate. A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 the first WLAN 30 operates as a WLAN access point providing a service to an actual subscriber, and supports the second WLAN 50. ) Is a wireless LAN repeater for providing services in other areas. F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xpand the service area by to perform.

본 발명의 효과를 정리하면, 첫째, 다양한 이동 통신 방식을 수용할 수 있다. 기존의 방식은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1xEVDO 또는 GPRS, W-CDMA와 같은 고속의 이동통신 데이터 방식을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 발명한 모바일 게이트웨이 제품은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1xEVDO, GPRS, W-CDMA, 개인휴대인터넷 등을 범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o summariz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chemes.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uses a serial interface, there is a limit in accommodating high speed mobile communication data methods such as 1xEVDO, GPRS, and W-CDMA.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gateway product in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universally accommodating 1xEVDO, GPRS, W-CDMA, personal mobile Internet, etc. using a USB host interface and an Ethernet interface.

둘째, 본 발명에서 제안한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 기능 뿐 만 아니라 무선랜 중계기 기능이 제공된다. 무선랜 중계기 기능이 지원되므로 다소 떨어진 지역에도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ly, the mobile gatewa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a WLAN access point function but also a WLAN repeater function. Since the WLAN repeater function is support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WLAN service even in a somewhat remote area.

Claims (6)

이동체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service of the Internet, 이동통신망의 기지국;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망과 인터넷 통신을 위한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복조에 따른 신호를 무선랜 방식으로 변환을 수행하고 수신된 무선랜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터넷으로 전달하기 위한 변환을 수행하는 모바일게이트웨이; 및,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 a demodulation function for internet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vert the signal according to the demodulation to the WLAN method, and receive the received WLAN signal A mobile gateway for converting the data to the Intern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상기 모바일게이트웨이와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One or more terminals for performing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gateway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Mobile WLAN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모바일게이트웨이는,The mobile gateway, 상기 변복조를 위한 모뎀;A modem for the demodulation; 상기 무선랜 통신을 위한 억세스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랜 억세스포인트;A WLAN access point performing an access point function for the WLAN communication; 상기 모뎀과 상기 무선랜부를 연결시켜주기 위한 범용시리얼버스 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및,Universal serial bus or Ethernet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modem and the wireless LAN unit; And, 상기 무선랜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LAN unit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Mobile WLAN servic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모바일게이트웨이는,The mobile gateway, 또다른 모바일 게이트웨이와의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여 다수의 단말기에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기 우한 무선랜 중계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A mobile WLAN servic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LAN relay unit for providing wireless LAN service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by performing wireless LAN communication with another mobile gateway.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단말기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구별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이에스엔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The mobile WLAN service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UE is used to distinguis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of th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모바일게이트웨이는,The mobile gateway, 연결된 상기 단말기의 갯수에 따라 접속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Mobile WLAN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spe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ed terminal.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는,The mobile gateway, 상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2개의 안테나와,Two antennas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를 위한 2개의 안테나와,Two antennas for the WLAN access point; 상기 무선랜 중계부를 위한 한개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A mobile WLAN servic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antenna for the WLAN relay unit.
KR1020050076586A 2005-08-22 2005-08-22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KR200700224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586A KR20070022411A (en) 2005-08-22 2005-08-22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586A KR20070022411A (en) 2005-08-22 2005-08-22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654U Division KR200436804Y1 (en) 2007-04-23 2007-04-23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411A true KR20070022411A (en) 2007-02-27

Family

ID=4365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586A KR20070022411A (en) 2005-08-22 2005-08-22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41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30B1 (en) * 2010-11-26 2011-07-19 (주)현대페타텔 Mobile rout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 thereof
KR101397546B1 (en) * 2013-06-27 2014-05-27 (주)뉴온시스 A apparatus of trunk gateway contained wireless access module for l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30B1 (en) * 2010-11-26 2011-07-19 (주)현대페타텔 Mobile rout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service thereof
KR101397546B1 (en) * 2013-06-27 2014-05-27 (주)뉴온시스 A apparatus of trunk gateway contained wireless access module for l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6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reless access points
US8451816B2 (en) Multi-mode WLAN/PAN MAC
US7321578B2 (en) Multiprotocol WLAN access point devices
US7613160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157890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in pico networks
WO2004093348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25775A1 (en) Multiprotocol WLAN access point devices
CN102130716B (e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high-speed mobile communications and equipment
CN201278593Y (en) Multi-mode wireless data card
US20160021259A1 (en) Access point with controller for billing and generating income for access point owner
JP2003510897A (en) Dual-mode subscriber unit for narrow-area and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and wide-area and low-speed data communication
JP20045031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output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8078206A2 (en) Suspending existing wlan link before starting bluetooth device discovery
JP2006516376A (en) Dual mode unit for short range high speed and long range low speed data communication
EP2543213A2 (en) Interworking of networks with single radio handover
KR101668267B1 (en)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web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US200802322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ip address of terminal using multiple frequency allocations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76327A (en) Movement system for furnish wireless lan service for using wibr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653119B2 (en) Extend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complementary code keying
EP1964317B1 (en) Communication network and arrangement
CN101272296B (en) Multi-module wireless network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070022411A (en)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KR200436804Y1 (en) Mobile type Wireless LAN Service Systems
KR1010876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Terminal by Using WLAN AP in WiBro Network Interworking with WLAN Network
Kavas Comparative analysis of WLAN, WiMAX and UMTS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