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287A -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287A
KR20070022287A KR1020067024855A KR20067024855A KR20070022287A KR 20070022287 A KR20070022287 A KR 20070022287A KR 1020067024855 A KR1020067024855 A KR 1020067024855A KR 20067024855 A KR20067024855 A KR 20067024855A KR 20070022287 A KR20070022287 A KR 2007002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display signal
predetermined
imag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비도 엠. 크루예저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to KR102006702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287A/en
Publication of KR2007002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2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Abstract

카메라 기능을 갖는 장치는 전자 뷰파인딩을 제공한다. 장면을 향해 손으로 이 장치의 촬상 센서(100, 102)가 향하게 된다. 촬상 센서(100, 102)에서 얻어진 시험 화상들이 전자적으로 처리되어, 시험 화상의 경계들 내에서의 소정의 종류의 물체의 촬상 여부를 시험하는 소정의 기준을 시험 화상들의 콘텐츠가 만족시키는지를 표시하는 표시신호를 발생한다. 표시신호가 시험 화상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표시할 때까지 손으로 촬상 센서(100, 102)의 방향을 바꾼다. 표시신호가 시험 화상이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표시하도록 촬상 센서(100, 102)의 방향을 바꾸었을 때 얻어지는 캡처된 화상에 대해 추가적인 처리연산을 선택적으로 적용한다.Devices with camera functionality provide electronic viewfinding. The imaging sensors 100 and 102 of the device are directed towards the scene. The test images obtained by the imaging sensors 100 and 102 are processed electronically to indicate whether the content of the test images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testing whether a certain kind of object is captur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test image. Generate a display signal. The direction of the imaging sensors 100 and 102 is changed by hand until the display signal indicates that the test image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An additional processing operation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captured image obtained when the imaging sensor 100, 102 is redirected so that the display signal indicates that the test image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전자 뷰파인딩, 카메라, 촬상 센서, 기준, 화상 캡처 Electronic Viewfinding, Camera, Imaging Sensor, Reference, Image Capture

Description

전자 뷰파인딩을 지원하는 장치{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Device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본 발명은, 전자 뷰파인딩(viewfinding)을 지원하는 촬상 센서를 갖는 장치와, 전자 뷰파인딩을 사용하여 화상을 캡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having an imaging sensor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and a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using electronic viewfinding.

사람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의 장치는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는 촬상 센서를 구비한다. 전통적으로 촬상 센서는 전용 비디오 카메라들, 또는 카메라가 레코더와 결합된 캠코더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촬상 센서가 현재에는 휴대폰, 스냅샷 카메라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론상, 촬상 센서들은 펜, 의복, 신발, 손가방 등의 인간이 휴대하는 어떤 형태의 "장치"에 카메라 기능을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Many devices operated by humans have an imaging sensor that supports a camera function. Traditionally, imaging sensors have been used in dedicated video cameras, or camcorders in which the camera is combined with a recorder. However, imaging sensors are now being applied to mobile phones, snapshot cameras and the like. In theory, imaging sensors can be used to impart camera functionality to any form of “device” that is carried by humans, such as pens, clothing, shoes, bags, and the like.

그러나, 카메라 기능을 갖는 사람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는 조작자가 보통 카메라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는 뷰파인더를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카메라와 정렬된 옵션의 접안경을 사용하여, 카메라 조작자가 이 접안경을 통해 상이 형성되는 장면을 보았다. 점점 더 많은 전자 화상 표시 화면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화상을 캡처하는 촬상 센서에서 유도된 화상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소형의 액정 표시 화면이 사용된다.However, a device operated by a person having a camera function requires a viewfinder that usually allows the operator to point the camera in the desired direction. Conventionally, for this purpose, using an optional eyepiece aligned with a camera, a camera operator has seen a scene in which an image is formed through this eyepiece. More and more electronic image display screens are being used, which display images derived from imaging sensors that capture images. Generally, a small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is used for this purpose.

광학 접안경과 표시 화면으로서의 뷰파인더의 구현은 장치에 다양한 제약을 부과한다. 이러한 뷰파인더는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는 일이 많으며, 장치의 비용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표시 화면의 경우에는, 표시 화면에 의해 장치에 의한 소 비 전력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Implementation of the optical eyepiece and the viewfinder as a display screen impose various constraints on the device. Such viewfinders often take up a significant amount of space and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cost of the device. In the case of the display screen, the power consumption by the device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display screen.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표시 화면 등의 화상 표시장치 또는 접안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뷰파인딩을 지원하는, 사람에 의해 작동되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having a camera function operated by a person that supports view finding without requiring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display screen or an eyepiece.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센서와, 화상 내부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에 해당하는 기준 등의 소정의 기준을 촬상 센서에서 얻어진 화상이 만족시키는 여부를 검사하는 화상처리회로를 구비한 장치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장치를 작동시켜 카메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그후 화상처리회로가 화상이 기준을 만족시킨다는 것을 검출하였을 때, 화상처리회로는 예를 들면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신호(예를 들면 음향 또는 지시기의 점등)일 수도 있는 표시신호를 기동하여, 조작자에게 이 장치가 적절히 물체를 향하고 있다고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 표시신호는 디스플레이가 화상의 표시를 할 때 제어하는 화상신호가 아니며, 보통 표시신호는 이와 같은 화상신호보다 적은 정보를 포함한다. 이의 대안으로, 기동된 표시신호는 화상의 자동 캡처 및 저장 또는 전송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화면이나 접안경에 의지하지 않고서도 카메라를 어떤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별적인 화상이 신호에 응답하여 캡처되는 스냅샷 기능과, 신호가 카메라가 물체를 향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비디오 촬영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described in clai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having an imaging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circuit for inspecting whether an image obtained from the imaging sensor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such as a reference corresponding to detecting whether a face is present in an image. Is provid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device to function as a camera and then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detects that the image satisfies the criterion,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may, for example, detect a human perceptible signal (e.g. lighting a sound or indicator). A display signal, which may be), is activated to alert the operator that the device is properly facing the object. This display signal is not an image signal which the display controls when displaying an image, and the normal display signal contains less information than such an image signal. Alternatively, the activated display signal may cause automatic capture and storage or transmission of the image. Thus, the user can point the camera in any direction without resorting to the display screen or the eyepiece. The invention may be applied both to a snapshot function in which individual pictures are captured in response to a signal, and to video shooting, which serves to allow the signal to be held towards the object.

모든 적절한 형태의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얼굴 검출기술은 예를 들면 IEEE Trans.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24, no. 5, pp. 696-706, May 2002에 발표된 Rein-Lien Hsu, Mohamed Abdel-Mottaleb and Anil K. Jain에 의한 논문 "Face Detection in Color Images"에 개시되어 있다. 화상처리회로는 이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 내부의 얼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l appropriate forms of criteria can be used. Face detection technique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IEEE Trans.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24, no. 5, pp. 696-706, May 2002, Rein-Lien Hsu, Mohamed Abdel-Mottaleb and Anil K. Jain, in the paper "Face Detection in Color Images".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esence of a face inside the image using such a technique.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 또는 물론 얼굴 검출의 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상처리회로가 화상 내부의 다양한 종류의 피사체들에 대해 복수의 다른 기준들 중에서 적절한 한가지 기준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카메라를 겨누어 카메라 화상이 선택된 종류의 물체를 포함한다는 신호를 기다리기 전에, 사용자가 먼저 화상의 물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such a technique or of course face detection.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is configured to apply one of a plurality of other criteria suitable for various kinds of subjects in the image. Thus, the user may first select an object of the image before aiming at the camera and waiting for a signal that the camera image contains a selected type of object.

일반적으로, 장치는 이 장치에 대해 소장의 방향에서 고정된 촬상 센서를 갖고 사람이 휴대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장치의 방향을 전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모든 물체에 촬상 센서를 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촬상 센서를 장치에 대해 방향을 바꿈으로써 촬상 센서가 물체를 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장치가 휴대형일 필요는 없다.In general, the device has an imaging sensor fixed in the direction of the small intestine relative to the device and is portable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point the imaging sensor to all objects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device as a whole.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ing sensor may be directed toward an object by changing the orientation of the imaging sensor relative to the device. In this case, the device need not be portable.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유리한 국면을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a device having a camera function.

도 1은 카메라 기능을 갖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는, 촬상 센서(10), 화상처리회로(12), 표시기(14) 및 캡처 제어 액추에이터(16)를 구비한다. 더구나, 추가적인 회로(18)가 설치된다. 촬상 센서(10)는 일반적으로, 센서의 전방에 떨어져 있는 공간으로부터의 장면의 상을 칩(100)에 형성하는 광학계(102)를 갖는 CCD 칩(100)을 구비한다. 보통 무한대에서 최소의 초점 거리로 피사체들의 초점을 맞추는 고정 초점 광학계가 사용되지만, 조정가능한 초점 거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표시기는 예를 들어 LED 점등 또는 음향 출력장치이다. 추가 회로(18)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기능 또는 화상 저장 기능 등을 구현하는 회로이다.1 shows a device having a camera function. The apparatus includes an imaging sensor 10, an image processing circuit 12, a display 14, and a capture control actuator 16. Moreover, additional circuitry 18 is provided. The imaging sensor 10 generally includes a CCD chip 100 having an optical system 102 for forming an image of the scene from the space separated in front of the sensor on the chip 100. Usually fixed focal optics are used that focus subjects at infinity to a minimum focal length, but an adjustable focal length may be used. Indicators are for example LED lighting or sound output devices. The additional circuit 18 is a circuit for implementing,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function or an image storage function.

촬상 센서(10)는 화상처리회로(12)에 접속된 화상신호 출력을 갖고, 이 화상처리회로는 표시기(14)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다. 액추에이터(16)는 화상처리회로(12)와 추가 회로(18)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다. 추가 회로(18)는 촬상 센서(10)의 화상신호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다.The imaging sensor 10 has an image signal output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and this image processing circuit has an output connected to the display 14. The actuator 16 has an output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and the additional circuit 18. The additional circuit 18 has an input connected to the image signal output of the imaging sensor 10.

동작시에, 사용자가 물체의 1개 이상의 화상을 얻기를 원하면, 예를 들면 장치에 있는 버튼으로 구현되는 액추에이터(16)를 사용자가 구동한다. 이에 응답하여, 화상처리회로(12)는 촬상 센서(10)에서 화상을 수신하고, 화상의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화상처리회로(12)가 표시기(14)를 기동하여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표시신호를 발생한다. 사용자가 다음에 액추에이터(16)를 구동하면, 추가 회로(18)가, 촬상 센서에서 화상을 캡처하고, 소정의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휴대전화망을 통한 전송이나 불휘발성 메모리에의 기억을 위해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응답한다.In operation, if the user wants to obtain one or more images of the object, he or she drives the actuator 16, which is embodied as a button on the device, for example. In response,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receives an image from the imaging sensor 10 and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criterion of the image is satisfied. If so,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activates the display 14 to generate a display signal that can be perceived by humans. The next time the user drives the actuator 16, the additional circuit 18 captures an image in the imaging sensor and for a predetermined purpose, for example for transmission over a cellular network or for storage in a nonvolatile memory. Respond by using the image.

이때,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화상처리회로(12)가 들어온 화상들에 대해 기준을 연속적으로 시험할 수도 있으며, 표시기(14)에 의한 신호의 발생이 액추에이터(16)의 구동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t this tim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may continuously test the reference on the entered images, and the generation of the signal by the indicator 14 may be operated by the driving of the actuator 16. It may be obvious.

화상처리회로(12)는 적절히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또는 전용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기준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에서의 얼굴을 검출하는 기술이 IEEE Trans.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24, no. 5, pp. 696-706, May 2002에 발표된 Rein-Lien Hsu, Mohamed Abdel-Mottaleb and Anil K. Jain에 의한 논문 "Face Detection in Color Images"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화상 내부의 피부 색을 갖는 패치(patch)들을 검출하고 이들 패키가 필요한 공간 배치로 발생되는 얼굴 후보들을 검출한다. 얼굴 후보와 관련된 패치들의 위치와 이들의 공간 분포의 정조에 기초하여 얼굴 후보에 화상의 영역이 할당된다. 화상처리회로(12)는, 이 기술을 구현하여, 화상 경계 내부,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상 내부의 소정의 또는 사용자 선택된 서브영역 내부에 놓인 관련된 영역을 갖는 얼굴 후보를 이 기술이 검출할 때, 표시기(14)로부터의 신호를 기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may be implemented with a suitably programmed processor or dedicated hardware. Any suitable criteria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a technique for detecting a face in an image is IEEE Trans.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24, no. 5, pp. 696-706, May 2002, Rein-Lien Hsu, Mohamed Abdel-Mottaleb and Anil K. Jain, in the paper "Face Detection in Color Images". This technique detects patches with skin color inside the image and detects face candidates resulting from the spatial arrangement where these packages are needed. An area of the image is assigned to the face candidat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atches related to the face candidate and the refinement of their spatial distribution.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implements this technique to enable the technique to detect face candidates having associated regions located within an image boundary, or in other embodiments, within a predetermined or user-selected sub-region within an image. May be configured to activate a signal from the indicator 14 at the time.

그러나, 본 발명이 이 기술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수많은 종류의 다른 얼굴 검출기술들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화상 내부의 다른 종류의 물체를 검출하는 다른 기술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머리, 몸통, 팔 및 다리를 갖는 인체의 형상의 윤곽선을 검출하는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화상 경계 내부의 인쇄된 텍스트를 갖는 페이지, 화상 경계 내부에 벽들, 지붕 등 을 갖는 건물, 화상 경계 내부에 줄기와 잎들을 갖는 식물, 차량 등을 검출하는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다.However,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echnique.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face detection techniques. Similarly, other techniques exist for detecting other kinds of objects within an image. For example, a technique may be used to detect the contour of the shape of the human body with head, torso, arms and legs. As another example, a technique for detecting a page having printed text inside the image boundary, a building having walls, a roof, etc. inside the image boundary, a plant having stems and leaves inside the image boundary, a vehicle, and the like may be used.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호를 기동하는데 다수의 가능한 기준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선택하기 위해 화상처리회로(12)에 접속된 선택 스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선택 스위치를 선택된 기준으로 설정한 다음에, 화상처리회로(12)가 선택된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의 신호를 기동한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촬영하기를 원하는 장면의 종류에 따라 기준을 선택한다.In another embodiment, a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may be provided to select which of a plurality of possible criteria should be used to activate the signal. In such a case, the user first sets the selection switch to the selected criterion, and then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starts a signal of whether the selected criterion is satisfied. The user selects a criter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cene that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일 실시예에서는 표시기(14)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전송이 사용되고 있지만, 예를 들어, 화상의 경계에 대한 검출된 물체의 위치에 따라 오디오 볼륨 및/또는 피치, 및/또는 빛의 색상 및/또는 강도를 변동함으로써, 더 많은 수의 단계를 갖는 신호전송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시신호는 경계에 대한 얼굴 후보의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얼굴 후보의 일부가 화상 경계 바깥에 놓이므로 얼굴 후보가 불완전한 경우에, 제 1 지각 신호가 출력되고, 얼굴 후보가 전체가 화상의 경계 내에 놓이는 경우에 이와 다른 제 2의 지각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달리, 이에 덧붙여, 지각 신호는 화상의 중심으로부터의 얼굴 후보의 위치의 함수로써 지각할 수 있게 변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촬상 센서를 겨누는 것을 돕는다.In one embodiment on / off signaling from the indicator 14 is used, bu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relative to the boundary of the image, for example, audio volume and / or pitch, and / or color of light and / or Or by varying the intensity, it is obvious that signaling with a greater number of steps may be used. Thus, for example, the display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ace candidate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For example, when a face candidate is incomplete because a part of the face candidate is outside the image boundary, the first perceptual signal is output, and when the face candidate is entirely within the boundary of the image, the second perceptual signal is different. Is output. Alternatively, in addition to this, the perceptual signal may be perceptibly changed as a function of the position of the face candidate from the center of the picture. This helps the user to aim the imaging sensor.

액추에이터(16)를 사용하여 표시기(14)에 의한 신호와 그후의 캡처 및 추가 회로(18)에 의한 추가적인 이용 모두를 가능하게 하는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Although an embodiment has been shown that uses the actuator 16 to enable both the signal by the indicator 14 and subsequent capture and further use by the additional circuitry 18,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It is self-evident.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가 회로(18)가, 연속적인 화상들을 캡처하여, 예를 들면 비디오 신호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표시기(14)에서 발생된 신호는 사용자가 촬상 센서를 소정의 물체에 향하도록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물체의 검출은 표시기(14)로부터의 신호를 기동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기준이, 선택된 화상, 예를 들면 일련의 연속적인 화상들 중에서 첫 번째 화상에 대해 소정의 거리보다 멀리 캡처된 화상이 변위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상처리회로(12)는 다양한 변위들에서 선택된 화상의 부분들과 촬상 센서(10)에서 얻어진 화상들의 부분의 차이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최소의 차이를 제공하는 변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화상처리회로(12)가 표시기(14)에 신호를 보내어 촬상 센서의 적절한 목표의 겨냥을 확인하는 제 1 표시를 출력하고, 및/또는 이 변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목표 겨냥 에러를 표시하는 제 2 표시가 출력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additional circuit 18 captures successive pictures and uses them, for example, as a video signal. In such a cas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indicator 14 serves to keep the user pointing the imaging sensor to a predetermined object. Detection of an object such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s may be used to trigger a signal from the indicator 14.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that the captured image should not be displaced furth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image, for example the first of a series of consecutive images. For this purpose,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rtions of the image selected at various displacements and the portions of the images obtained by the imaging sensor 10. If the displacement that provides the minimum differen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signals the indicator 14 to output a first indication that confirms the aiming of an appropriate target of the imaging sensor, and / or When this displacement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a second display indicating a target error is output.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16)의 구동에 응답하여 단지 1개의 화상에 대해 표시기(14)로부터의 신호가 발생된다. 사용자가 촬상 센서를 원하는 장면으로 향하게 할 때마다, 사용자가 액추에이터(16)를 구동하여, 화상을 캡처하고, 이 화상이 필요한 물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시험한다. 화상이 필요한 물체를 포함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사용자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수도 있다. 후자의 화상만이 예를 들어 그것을 기억하거나 전송함으로써 추가 회로(18)에 의해 처리될 필요가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from the indicator 14 is generated for only one image in response to the drive of the actuator 16. Each time the user points the imaging sensor to the desired scene, the user drives the actuator 16 to capture an image and test whether the image contains the required object. The user may repeat this process until a signal is obtained indicating that the image contains the required object. Only the latter image needs to be processed by the additional circuit 18, for example by storing or transmitting it.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로부터의 특정한 구동신호가 그렇게 하도록 할 때에만, 예를 들면, 촬상 센서(10)가 적절히 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표시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가 사람이 웃는 것을 기다릴 수 있도록 할 때에만 화상이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기준이 만족된다는 신호를 화상처리회로(12)가 보내면, 추가 회로(18)가 화상을 자동으로 캡처하여 이것을 더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상 센서(10)의 방향을 적절히 변화시키면 화상이 캡처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신호가 엄밀하게 필요하지 않으며(그리고 사실상 표시기(14)도 필요하지 않으며), 내부의 전자 기동신호만이 필요하다. 그러나, 화상이 캡처되었다는 확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표시기(14)가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Preferably, only when a particular drive signal from the user causes it to do so, for example, only when the user can wait for a person to smile after receiving an indication that the imaging sensor 10 is properly directed in the desired direction. An image is additionally used.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sends a signal that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satisfied, the additional circuit 18 automatically captures the image and uses it further. Therefore, if the user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imaging sensor 10 appropriately, an image is captured. In such a case, no human perceptible signal is strictly needed (and virtually no indicator 14 is needed), and only an internal electronic start signal is needed. However, it is more desirable for the indicator 14 to be present to provide the user with confirmation that the image has been captured.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기(14)에 의한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의 구동후, 예를 들면, 1/2초 내지 5초 사이의 소정의 지연 내에서 추가 회로(18)가 자동으로 화상을 캡처하여 화상을 더 이용한다. 이에 따르면, 표시기(14)의 안내하에서, 촬상 센서(10)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소정의 기간이 사용자에게 주어진다.In another embodiment, after driving of the actuator to enable display by the indicator 14, the additional circuit 18 automatically displays the image within a predetermined delay, for example, between 1/2 and 5 seconds. Capture and use more of the image. According to this, under the guidance of the indicator 14, the user is giv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orient the imaging sensor 10 in the desired direction.

추가 회로(18)는 임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형적인 기능으로는, (예를 들면 나중에 보거나 인쇄하기 위해) 촬상 센서로부터의 1개 이상의 선택된 화상을 기억하는 것, 또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캡처된 화상을 전송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추가 회로(18)는, 예를 들면, 음성 신호들을 입출력하고, 이들 신호를 무선 전화망과 교환하도록 구성된 무선전화회로일 수도 있 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휴대전화의 음향 출력이 표시기(14)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는 표시 화면을 구비할 수 있지만, 이 화면이 사용될 필요가 없거나, 예를 들어, 이 화면이 화상의 물체를 향하고 있으므로, 뷰파인딩용으로 적합하다는 것이 자명하다.Additional circuitry 18 may perform any function. Typical functions include storing one or more selected images from an imaging sensor (e.g. for later viewing or printing), or transferring captured images, for example via a cellular network or the Internet. . This additional circuit 18 may be, for example, a radiotelephone circuit configured to input and output voice signals and exchange these signals with a radiotelephone network. In such a case, the acoustic output of the cellular phone may be used for the indicator 14. Such a mobile phone may have a display screen, but it is obvious that this screen does not need to be used, or is suitable for view-finding, for example, since this screen is directed to an object of an image.

소정의 종류의 화상 콘텐츠의 존재, 특히 경계 내부의 소정 종류의 물체의 존재를 표시하는 단일 형태의 기준에 대한 출력신호의 발생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충분한 품질을 갖는 화상을 캡처하는데 충분한 빛의 존재 또는 부재, 소정의 물체가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지 여부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상태의 신호전달을 상기 장치가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이들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서는, 이들 상태에 대한 신호들은 화상 경계 내부의 소정 종류의 화상 물체의 존재를 표시하는 신호의 추가 또는 증가라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Although the generation of an output signal for a single form of reference indicating the presence of some kind of image content,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some kind of object inside a boundary, has been described, it is possible to capture an image with sufficient quality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the device may provide other kinds of signaling,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fficient light to do so, whether or not a given object is in focus. Criteria for detecting these conditions are known.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pparatus, the signals for these states are the addition or increase of a signal indicating the presence of some kind of image object inside the image boundary.

촬상 센서(10)는 장치에 단단하게 체결되므로, 필요한 물체가 화상 경계 내에서 촬상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는, 장치 전체가 물체를 향해 3차원 방향으로 재배향되어야 한다. 이것은 휴대전화 등의 휴대형 장치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촬상 센서(10)가 심지어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최소한 소정의 범위의 방향에 걸쳐, 장치에 무관하게 재배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정한 방향을 갖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Since the imaging sensor 10 is securely fastened to the device, the entire device must be redirected in three-dimensional directions towards the object to ensure that the required object is imaged within the image boundary. This can be easily done for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In one embodiment, the imaging sensor 10 may even be rotatably mounted to the device so that it may be redirected independent of the device, at least over a range of directions. Thus, a device having a certain direction may be used.

Claims (11)

촬상 센서에 의해 촬상되는 공간에 있는 물체를 향해, 적어도 공간 내부의 방향들의 범위에 걸쳐, 자유롭게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화상신호 출력을 갖는 상기 촬상 센서(100, 102)와,The imaging sensors 100 and 102 configured to be freely oriented toward an object in the space to be picked up by the imaging sensor, at least over a range of directions in the space, and having an image signal output; 상기 화상신호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촬상 센서(100, 102)에 의해 검출된 화상의 콘텐츠가 화상의 경계들 내에서의 소정의 종류의 물체의 촬상 여부를 검사하는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검출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회로(12)와,Connected to the image signal output and detecting whether the content of the image detected by the imaging sensors 100, 102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inspecting whether or not a certain kind of object is captur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image An image processing circuit 12 configured to 상기 화상처리회로(12)에 접속되어, 화상이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킨 것을 화상처리회로(12)가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신호 발생부(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And a signal generator 14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display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has detected that an image satisfies the predetermined criterion. Apparatus having a camera enabl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신호는 사람이 지각할 수 있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And the display signal is a signal that can be perceived by a pers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신호 발생부(14)는, 상기 화상의 상기 경계들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경계, 또는 화상의 소정의 또는 사용자 선택된 서브영역과, 상기 소정의 종류의 물체가 검출되는 화상의 영역 사이의 검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표시신호를 변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The signal generator 14 detects a detected distance between at least one of the boundaries of the image, or a predetermined or user-selected sub-region of the image, and a region of the image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determined type is detected. And a camera capable of modifying said display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상 센서(100, 102)로부터의 선택된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화상이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검출시에 또는 검출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And a memory for storing the selected image from the imaging sensors (100, 102), wherein 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select the selected image upon or after detection that the image satisfies the criterion. Device having the capabilit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상 센서(100, 102)로부터의 선택된 화상을 송신하는 송신회로(18)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화상이 상기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검출시에 또는 검출후에 상기 선택된 화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And a transmitting circuit 18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image from the imaging sensors 100, 102, wherein 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lected image upon or after detection that the image satisfies the criterion. Apparatus having a camera enabl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상처리회로(12)는, 상기 촬상 센서(100, 102)에 의해 검출된 화상의 콘텐츠 가 화상의 경계들 내에서의 개별적인 소정의 종류들의 물체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복수의 소정의 기준들 중에서 선택가능한 1개의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표시신호를 발생사기 위해 상기 기준들 중에서 어느 기준이 사용되는데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The image processing circuit 12 include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criteria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contents of the image detected by the imaging sensors 100 and 102 are present in individual predetermined kinds of objects within boundaries of the image. And a user selectable input to select which of the criteria is used to generate and generate the display signal. Hav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2 구동이 뒤따를 때 제 1 구동을 사용하여 화상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인간 제어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구동은 상기 표시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고, 제 2 구동 신호는 상기 촬상 센서로부터의 선택된 화상의 소정의 사용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A human control interface configured to control an image using a first drive when a second drive follows, wherein the first drive enables generation of the display signal, and a second drive signal from the imaging sensor A device having a camera capable of activating predetermined use of a selected im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상처리회로가 시험하도록 구성된 상기 소정 종류의 물체는 사람의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And said predetermined type of object configured to be tested by said image processing circuit is a human f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상 센서로부터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구비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And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from the imaging sens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치는 손으로 들고 촬영하는 휴대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가능을 갖는 장치.And said device is a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nd photographing by hand. 카메라 기능을 갖는 장치를 사용하여 화상을 캡처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capturing images using a device having a camera function, 장면을 향해 상기 장치의 촬상 센서(100, 102)를 손으로 향하게 하는 단계와,Directing the imaging sensor (100, 102) of the device towards the scene by hand; 상기 촬상 센서(100, 102)에서 얻어진 시험(exploratory) 화상들을 전자적으로 처리하여, 시험 화상의 경계들 내에서의 소정의 종류의 물체의 촬상 여부를 시험하는 소정의 기준을 상기 시험 화상들의 콘텐츠가 만족시키는지를 표시하는 표시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The content of the test images is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lectronically processing the test images obtained by the imaging sensors 100 and 102 to test whether a certain kind of object is captur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test image. Generating a display signal indicative of satisfaction; 상기 표시신호가 상기 시험 화상이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표시할 때까지 손으로 상기 촬상 센서(100, 102)의 방향을 바꾸는 단계와,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imaging sensors 100 and 102 by hand until the display signal indicates that the test image satisfies the predetermined criterion; 상기 표시신호가 상기 시험 화상이 상기 소정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표시하도록 상기 촬상 센서(100, 102)의 방향을 바꾸었을 때 얻어지는 캡처된 화상에 대해 추가적인 처리연산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 상의 캡처 방법.And selectively applying additional processing operations to the captured image obtained when the imaging sensor 100, 102 is reorientated such that the display signal indicates that the test image meets the predetermined criteria. Capturing an imag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67024855A 2004-04-29 2005-04-26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KR200700222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4855A KR20070022287A (en) 2004-04-29 2005-04-26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1845.8 2004-04-29
KR1020067024855A KR20070022287A (en) 2004-04-29 2005-04-26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287A true KR20070022287A (en) 2007-02-26

Family

ID=4365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855A KR20070022287A (en) 2004-04-29 2005-04-26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28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67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urst modes of camera operation
KR101237673B1 (en) A method in relation to acquiring digital images
US7672580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8593534B2 (en) Auto-triggered camera self-timer based on recognition of subject's presence in scene
JP4732299B2 (en) Method for detecting specific subject image and digital camera
CN106575027A (en) Image pickup device and tracking method for subject thereof
JP2003344891A (en) Automatic photographing mode setting camera
JP2001223932A (en) Image pickup device and digital camera
JP2008299784A (en) Object determination device and program therefor
CN10852186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shots
JP2014068081A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5246590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JP6102138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5448868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JP2008054031A (en) Digital camera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080239085A1 (en)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CN116095478A (en) Image capturing system and focus adjusting method
KR20070022287A (en) Apparatus that supports electronic viewfinding
JP2008199443A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4204249A (en) Imaging apparatus
JP2011035882A (en) Imaging apparatus
JP2000227542A (en) Image pickup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425971Y1 (en) Imaging System For Hi-Speed Object With Sound
JP2004158905A (en) Photographing method with digital camera
KR200393224Y1 (en) Imaging System For Hi-Speed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