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741A -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 및 상기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 및 상기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741A
KR20070021741A KR1020050076337A KR20050076337A KR20070021741A KR 20070021741 A KR20070021741 A KR 20070021741A KR 1020050076337 A KR1020050076337 A KR 1020050076337A KR 20050076337 A KR20050076337 A KR 20050076337A KR 20070021741 A KR20070021741 A KR 2007002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broadcast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7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741A/ko
Publication of KR2007002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수신 중 원하는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을 완료한 후 상기 저장수단에 기록된 상기 상품정보를 열람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의 시청 중 원하는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방송의 연속적인 시청이 가능하다.
장바구니, 핸드폰, DMB, 방송, 쇼핑

Description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METHOD FOR SCRAPPING GOODS INFORMATION BY USING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OF ENABL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방송국 시스템, 쇼핑몰 시스템, 및 WAP 서버의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사용자가 방송 시청 중에 소정의 메뉴를 통해 현재 방송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가 방송 시청 중에 소정의 메뉴를 통해 현재 방송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기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사용자가 방송 시청 중에 소정의 메뉴를 통해 장바구니에 기록된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1: 수신부 702: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703: 장바구니 보관함 704: 상품정보 독출부
705: 출력수단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방송신호의 수신 중 원하는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을 완료한 후 상기 저장수단에 기록된 상기 상품정보를 열람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부가 기능의 대표적인 일례로 방송신호의 수신이 있다. 방송신호는 소정의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인공위성 등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달되고,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 및 스피커 수단을 통해 상기 방송신호를 시청한다. 시청자는 방송신호 시청 도중에 방영되는 소정의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보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디지털 TV 방송 서비스에서는 이러한 방송신호 시청 중 방영되는 소정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시켜 시청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방송 중 원하는 상품이 등장하는 경우에 상기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소정의 화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상품 구매 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시청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한 방송 시청과 해당 상품정보의 확인을 동시에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디지털 TV 방송뿐만 아니라,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는 방송의 시청 중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문제점이다. 즉, 사용자는 관심 있는 상품이 방송에 등장하는 경우에 상기 방송의 시청과 상기 상품정보의 확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일례로, 시청자의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드라마의 중요한 장면을 시청하는 도중에 평소에 관심 갖은 의상 등의 상품이 등장하는 경우, 상기 시청자는 상기 드라마의 연속적인 시청 또는 상기 의상에 대한 정보 열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시청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며,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에 상기 연속적인 드라마의 시청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하여 드라마의 시청이 불가능한 경우에 시청이 불가능한 드라마의 일부분에 등장하는 상품정보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정의 방송을 시청함에 있어서, 집중도가 떨어지며, 중요한 상품정보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송의 시청 중 원하는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방송의 연속적인 시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 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상기 방송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송신호 시청 시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정보의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저장수단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의 로딩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장바구니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방송국 시스템, 쇼핑몰 시스템, 및 WAP 서버의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1)는 통신 네트워크(102)를 통해 방송국 시스템(103)으로부터 소정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사용자는 상기 방송신호를 통해 방송을 시청한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단말기(101)는 이동 통신 단말기,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통신 단말기(101)는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상품정보는 소정의 쇼핑몰 시스템(104)에서 방송국 시스템(103)으로 제공될 수 있고, 방송국 시스템(103)은 상기 방송신호와 상기 상품정보를 동기화시켜 통신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상기 상품정보는 현재 방송되는 의상, 액세서리, 신발, 안경, 및 스포츠 용품 등에 대한 식별정보, 상세 데이터 열람을 위한 주소 정보, 또는 상품의 간략 정보를 포함한다.
일례로,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101)를 통해 방송국 시스템(103)으로부터 전송되는 축구경기를 시청한다. 방송국 시스템(103)은 상기 축구경기에 대한 방송신호를 특정 축구선수가 착용한 축구화에 대한 상품정보와 동기화시켜 통신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101)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를 통해 상기 상품정보로서 상기 축구화에 대한 간략 정보를 확인하고, 상세 데이터 열람을 위하여 소정의 쇼핑몰 시스템의 주소 정보에 접속하여 상기 축구화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상세 데이터인 가격정보, 사용자 리뷰정보, 구입장소정보, 및 브랜드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축구경기의 시청 중, 등 번호 11번에 해당하는 선수가 현재 착용하고 있는 축구화에 대한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한다. 상기 저장수단은 통신 단말기(101)에 유지되며,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101)가 제공하는 소정의 메 뉴를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축구경기에 대한 방송의 시청을 완료하고, 상기 저장수단에 기록된 상품정보를 로딩하며, 상기 상품정보에 포함된 상기 주소 정보로부터 상기 기록한 축구화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확인한다.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확인은 통신 단말기(101)에서 제공되는 상기 메뉴를 통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소정의 메뉴로서 '장바구니 확인'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축구경기에 시청 중 기록한 상기 축구화에 대한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1)는 상기 주소 정보를 통해 쇼핑몰 시스템(104)에 접속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쇼핑몰 시스템(104)으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의 상세 데이터를 열람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일 수 있다.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국 시스템(103)은 통신 단말기(101)로 뷰(view)를 구현하기 위한 오브젝트, 장면 묘사정보, 및 오브젝트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전송한다. 즉, 화면을 구성하는 오브젝트가 장면 묘사정보를 통해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오브젝트 디스크립터를 통해 상기 오브젝트의 동적 움직임이 표현된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는 질감 정보, 밝기 수준 정보, 원근 정보, 및 오브젝트의 종류 등의 정보를 더 포함으로써 보다 실감나는 뷰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한 통신 단말기(101)는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를 통한 뷰(view)의 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방송신호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방송신호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국 시스템(103)은 상품정보를 상기 방송신호의 오브젝트와 연관시켜 전송한다. 즉, 뷰를 표현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는 각각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의 상세 데이터 또는 상기 상세 데이터를 유지하는 쇼핑몰 시스템(104)의 주소 정보 등의 정보와 동기화된다. 따라서, 방송의 시청 중에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소정의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와 연관된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함으로써 방송이 종료된 후 상품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입장소정보는 상기 축구화를 판매하는 쇼핑몰 시스템(104)에 대한 주소 정보를 소정의 콜백 URL로 포함하거나, 오프라인 쇼핑몰의 전화번호 정보, 지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쇼핑몰 시스템(104)에서 상기 축구화에 대한 사용자 리뷰정보, 가격정보 등의 상세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구매 등의 거래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관심 있는 상품정보를 축구경기의 시청 중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하여 축구경기의 연속적인 관람이 가능하다. 이로써, 축구경기의 시청에 대한 심적 부담으로 인해, 상기 축구화의 충동적인 구매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국 시스템(103)은 BIFS 신호를 통해 상기 상품정보를 전송한다. 방송신호의 뷰 디스크립션인 BIFS(Binary Format for Scene)는 방송신호의 뷰를 기술한다. 상기 BIFS는 종래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단일 미디어의 편집 개념을 확장하여 뷰를 구성하는 오브젝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보 교환은 물론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에 의한 대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BIFS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형태로 기술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와 같이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위해, 시각적으로 편집한 뷰에 대해서 자동 생성되고 스트리밍 방식의 방송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로 변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장바구니 서비스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20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상품정보는 식별정보, 상세 데이터 열람을 위한 주소 정보, 또는 상품의 간략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상세 데이터는 상기 방송신호와 연관된 특정 상품에 대한 데이터로서, 의상, 액세서리, 신발, 안경, 및 스포츠 용품 등에 대한 가격정보, 사용자 리뷰(review)정보, 및 구입장소정보 등을 포함하며, 상기 주소 정보에 따른 쇼핑몰 시스템에 유지된다.
단계(202)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특정 방송신호 시청 시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정보의 저장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는 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메뉴를 통해 현재 방송에 포함된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스포츠 경기를 수행하는 도중에 특정 선수가 착용하고 있는 축구화의 정보를 확인하려는 경우, 상기 특정 선수가 화면에 등장하면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축구화에 대한 상품정보를 확인요청하고, 확인한 상품정보에 대하여 저장요청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은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음성인식 모 듈 등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는 축구경기의 시청 중 별도의 쇼핑몰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축구화에 대한 상품정보 만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저장수단에 기록한다. 즉, 방송신호는 뷰를 표현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는 사전에 쇼핑몰 시스템으로부터 등록 요청된 소정의 상품정보와 대응된다. 일례로, 축구화에 대한 오브젝트는 축구화를 판매하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으로부터 등록 요청된 상기 축구화의 간략 정보 및 상기 쇼핑몰 시스템의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방송신호를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축구화에 대한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통신 단말기로 상기 축구화에 대한 저장요청신호를 입력한다. 현재 방송에 포함된 상기 상품정보의 확인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가 방송 시청 중에 소정의 메뉴를 통해 현재 방송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방송을 시청하고, 상기 방송의 시청 중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확인하려는 경우에 메뉴(301)에 해당하는 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인 키패드를 푸쉬(push)한다. 이에, 통신 단말기는 메뉴(301)에 대응하는 하위메뉴(302)를 사용자로 제공한다. 하위메뉴(302)에는 '1. 상품정보 확인'과 '2. 장바구니 보기'의 선택필드가 있다. '1. 상품정보 확인'의 선택필드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화면에 사전에 소정의 쇼핑몰 시스템으로부터 등록 요청된 상품정보 가 포함되며, 현 시점에서 방송신호와 연관된 상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선택필드이다. '2. 장바구니 보기'의 선택필드는 사용자가 기존에 선택한 상품정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선택필드이다.
사용자는 현재 방송되는 남자 주인공의 티셔츠에 대한 상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1. 상품정보 확인'의 선택필드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필드의 선택은 상기 선택필드 '1. 상품정보 확인'에 대응되는 숫자 '1'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인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거나, 네비게이션 키패드(방향키)를 통해 '1. 상품정보 확인'의 선택필드를 활성화시켜 '확인' 키패드를 푸쉬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도 2의 단계(203)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저장수단에 기록한다.
상기 저장요청신호는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의 상품정보 저장에 대한 요청이며, 소정의 시간정보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상기 오브젝트 및 상기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상기 오브젝트와 동기화된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기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품정보는 복수 개이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상품정보 중에서 특정 상품정보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시점에서의 방송신호는 복수 개의 상품정보와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상품정보 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정보를 선택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품정보는 각각 소정의 번호정보 등의 식별정보로 구분된다. 즉,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상품정보와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번호정보를 사용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키패드를 푸쉬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상품정보 중에서 자신이 기록하려는 상품정보 만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는 상기 상품에 대한 간략 정보가 아니라 해당 상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품정보의 기록 요청을 수신한 통신 단말기는 상기 상품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또는 사용자 리뷰정보 등의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에 기록한다. 상기 상품정보의 기록 관련 구성은 아래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사용자가 방송 시청 중에 소정의 메뉴를 통해 현재 방송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기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 선택된 상기 '1. 상품정보 확인'의 선택필드에 대한 하위 선택필드는 '1. 티셔츠', '2. 목걸이', 및 '3. 헤어'의 하위 선택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1. 티셔츠', '2. 목걸이', 및 '3. 헤어'는 사전에 소정의 쇼핑몰 시스템으로부터 등록 요청된 품목이며, 현 시점에서 시청하는 방송신호와 연관된 상품정보이다. 상기 방송국 시스템은 상기 품목이 등장하는 소정의 시점에서 상기 품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상품정보로서 상기 방송신호와 더불어 사용자로 제공한다. 즉, 남자가 노란색 티셔츠를 입고 등장하는 시점에서 상기 방송국 시스템은 상기 티셔츠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는 '1. 티셔츠'의 선택필드(303)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1. 티셔츠'를 상기 저장수단에 기록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1. 티셔츠'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1. 티셔츠'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정의 쇼핑몰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고, 상기 '1. 티셔츠'에 대한 상세 데이터 또는 상기 상세 데이터를 유지하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의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저장수단(장바구니)에 기록하고, 방송의 시청을 종료한 후 확인한다. 상기 선택필드(303)에 대한 선택은 상기 키패드 버튼 또는 네비게이션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 티셔츠'의 기록에 대한 확인을 위해 선택된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품목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사용자는 선택된 상기 '1. 티셔츠'에 대응되는 소정의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한다. 따라서, 상기 상품정보는 상기 '1. 티셔츠'를 판매하는 쇼핑몰 시스템의 주소 정보 또는 상기 '1. 티셔츠'의 상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쇼핑몰 시스템 등의 주소 정보가 될 수 있다.
단계(204)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의 로딩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방송 중 또는 방송 종료 후에 상기 기록한 상품정보의 확인을 위하여, 통신 단말기로 상기 상품정보의 로딩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로딩신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 입력된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의 메뉴(301)를 선택하고, 사전에 기록한 상품 정보에 대한 '2. 장바구니 보기'의 하위 하위메뉴(302)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로딩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205)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로딩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을 검색하고,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사전에 기록된 상기 상품정보를 독출한다(단계(206)). 통신 단말기는 상품정보로써, 식별정보, 간략 정보, 또는 상세정보 열람을 위한 쇼핑몰 시스템의 주소 정보 등을 독출한다.
다음으로, 단계(207)에서 독출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장바구니에 기록된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는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사용자가 방송 시청 중에 소정의 메뉴를 통해 장바구니에 기록된 상품정보를 확인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중 또는 방송 종료 후 사용자는 메뉴(301)를 선택하고, 메뉴(301)에 대한 하위 메뉴(302)로서 '2. 장바구니 보기'의 하위 선택필드를 선택한다. 상기 '2. 장바구니 보기'의 하위 선택필드는 방송 중 상기 사용자가 기록한 상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하위 선택필드로서, 도 4에서 상품정보가 기록된 상품정보 리스트(501)를 제공한다. 상품정보 리스트(501)는 기록된 상품정보의 번호필드(NO), 상품명 필드, 상품번호 필드, 및 상세보기 필드를 포함한다. 상품명은 상기 쇼핑몰 시스템이 제공하는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고유 명칭이며, 상품번호 필드는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이다.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쇼핑몰 시 스템이 상기 상품정보에 따라 각각 부여하거나, 상품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통신 단말기(300)가 방송시간, 방송종류, 또는 상품종류 등을 참조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세보기 필드는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하여,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 대한 상기 주소 정보를 콜백 URL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메뉴(301)를 통해 상기 상세보기 필드에 유지되는 소정의 주소 정보로 접속하여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상세 데이터 또는 구매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5에서 사용자가 상품명 티셔츠(노란색)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상품정보로서 티셔츠(00)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로딩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저장수단에 기록되거나 또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는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한계의 문제로 인해, 쇼핑몰 시스템에 유지된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 5의 '확인(502)' 키패드의 푸쉬에 따라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왑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쇼핑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사용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저장요청신호를 입력한 시점에서의 화면을 이미지 데이터로 기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저장요청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저장요청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방송 화면을 캡쳐하고, 이를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상기 쇼핑몰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왑 서버를 통해 상기 쇼핑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가 바이트 단위의 메모리 수단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의 등장으로 인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쇼핑몰 시스템이 아닌 상기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수단에 기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방송 화면을 캡쳐하여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700)는 상품정보 수신부(701),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02), 장바구니 보관함(703), 상품정보 독출부(704), 및 출력수단(705)을 포함한다.
수신부(701)는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송신호는 DMB 신호이다. 이를 위하여, 수신부(701)는 소정의 DMB 에이전트(Agent) 및 DMB 핸들러(Hand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는 일례로, 방송 시작 후 11분부터 12분까지 전송되는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BIFS 정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02)은 상기 방송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송신호 시청 시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정보의 저장요청신호를 입력 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02)은 키패드 버튼, 네비게이션 버튼, 터 치 스크린, 또는 음성인식 모듈 등의 입력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장바구니 보관함(703)은 상기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기록한다. 장바구니 보관함(703)은 상기 상품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방송의 시청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02)을 통해 특정 상품의 상품정보에 대한 저장요청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장바구니 보관함(703)은 상기 상품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장바구니 보관함(703)에 기록한다. 장바구니 보관함(703)은 상기 저장수단에 대응되며, 상기 상품정보의 간략 정보 또는 상기 상품정보의 상세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한 쇼핑몰 시스템의 주소정보 등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품정보 독출부(7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702)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장바구니 보관함(703)에 기록된 상기 상품정보의 로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장바구니 보관함(703)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를 독출한다.
사용자는 방송의 시청 중 장바구니 보관함(703)에 기록한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상품정보의 로딩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로딩신호는 상기 상품정보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품정보 독출부(704)는 장바구니 보관함(703)으로부터 상기 로딩신호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독출한다. 장바구니 보관함(703)에 기록된 상품정보가 복수 개인 경우에 독출부(704)는 상기 로딩신호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상품정보 중 에서 상기 식별정보로써 사용자가 로딩을 원하는 상품정보를 파악한다. 일례로, 번호정보 1번 내지 10번에 대응하는 열 개의 상품정보가 현재 장바구니 보관함(703)에 기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는 확인을 원하는 1번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키패드 '1'을 푸쉬함으로써, 상기 상품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다.
출력수단(705)은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스피커 수단을 포함하고, 독출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상기 스피커 수단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출력수단(705)을 통해 확인한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하여, 왑 브라우져를 통해 왑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왑 서버를 통해 상기 쇼핑몰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상기 상세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의 시청 중 원하는 상품정보를 소정의 저장수단에 기록하고,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방송의 연속적인 시청이 가능하다.

Claims (6)

  1. 소정의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상기 방송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송신호 시청 시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정보의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저장수단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의 로딩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는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쇼핑몰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열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는 복수 개이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상품정보 중에서 특정 상품정보를 선택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5. 소정의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방송신호 및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를 시청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방송신호 시청 시 상기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품정보의 저장요청신호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저장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방송국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기록하는 장바구니 보관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장바구니 보관함에 기록된 상기 상품정보의 로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장바구니 보관함을 참조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독출하는 상품정보 독출부; 및
    독출된 상기 상품정보를 상기 사용자로 제공하는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는 복수 개이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복수의 상품정보 중에서 특정 상품정보를 선택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 단말기.
KR1020050076337A 2005-08-19 2005-08-19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 및 상기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 KR20070021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337A KR20070021741A (ko) 2005-08-19 2005-08-19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 및 상기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337A KR20070021741A (ko) 2005-08-19 2005-08-19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 및 상기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741A true KR20070021741A (ko) 2007-02-23

Family

ID=4365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337A KR20070021741A (ko) 2005-08-19 2005-08-19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 및 상기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7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299A3 (en) * 2007-08-08 2009-04-09 Olaworks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products attached to person in image data
US8813106B2 (en) 2007-12-27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and mobile terminal
KR20190115839A (ko) 2018-04-04 2019-10-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콘텐츠 연동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299A3 (en) * 2007-08-08 2009-04-09 Olaworks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products attached to person in image data
US8209240B2 (en) 2007-08-08 2012-06-26 Olaworks,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products attached to person in image data
US8813106B2 (en) 2007-12-27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and mobile terminal
KR20190115839A (ko) 2018-04-04 2019-10-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콘텐츠 연동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5215B2 (en) Media processing methods and arrangements
US8516533B2 (en) Second screen methods and arrangements
JP4304185B2 (ja) ストリーム出力装置及び情報提供装置
US8737813B2 (en)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content
US106504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media content
CN101578862B (zh) 具有集成的内容搜索的媒体系统
AU2002312513B2 (en) Interactive television virtual shopping cart
US87392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for past current and future programming
JP2012508486A (ja) 携帯型デバイスを使用するコンテンツ連携方法及びシステム
EP2148507A1 (en) Commodity purchase system,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1301851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media content
KR20070021741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스크랩 방법 및 상기방법이 수행되는 통신 단말기
US20050200759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8155348A1 (fr) Procede de diffusion de television interactive et moyens pour la mise en œuvre de ce procede
CN101743744B (zh) 用于回放内容项的方法和设备
CN101516024A (zh) 流输出装置及信息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