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415A -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415A
KR20070021415A KR1020050075646A KR20050075646A KR20070021415A KR 20070021415 A KR20070021415 A KR 20070021415A KR 1020050075646 A KR1020050075646 A KR 1020050075646A KR 20050075646 A KR20050075646 A KR 20050075646A KR 20070021415 A KR20070021415 A KR 20070021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home gateway
network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07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415A/ko
Publication of KR2007002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장비들이 접속된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것으로, 표준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와 다양한 원격 관리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확장 MIB를 사용하여 원격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망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원격으로 홈게이트웨이의 관리, 홈게이트웨이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파악, OSGi의 번들에 대한 정보와 OSGi 번들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 파악 및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신량 측정과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A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homegatewa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홈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망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
도 4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MIB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관리를 위한 SNMP 에이전트 구현시 SNMP 관련 표준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이하 MIB)와 홈게이트웨이용 확장 MIB를 이용한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의 폭발적인 증가와 2대 이상의 PC를 보유한 가정의 수가 늘어나고, 인터넷 연결 기능을 갖는 다양한 정보가전기기가 보급되면서 홈네 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의 도입은 이러한 네트워크 구축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도 1은 홈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홈네트워크는 크게 정보가전기기,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가정내 정보가전기기들이 접속되는 홈게이트웨이 및 홈게이트웨이의 SNMP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관리하는 망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홈네트워크는 홈게이트웨이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요구되는데 특히, 원격 감시를 통한 장애문제 발생시 초기에 문제를 해결의 필요가 있으며,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적인 홈네트워크 관리가 필요하다.
망관리 서버는 홈게이트웨이에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원격으로 홈게이트웨이의 SNMP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의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한 SNMP 매니저를 구비하고 있다.
홈게이트웨이는 망관리 서버의 관리 명령에 의해 홈게이트웨이에 접속된 장비들을 관리하기 위한 SNMP 에이전트를 구비하고 있다.
홈게이트웨이에 접속된 정보가전기기들은 SNMP 에이전트가 다른 기기들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표준 MIB을 통해 제공한다.
망관리 서버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이하 SNMP)를 이용하여 홈게이트웨이로 SNMP 매니저를 이용하여 통신을 시도하면, 홈게이트웨이는 망관리 서버가 관리를 위해 요구한 정보를 SNMP 에이전트는 표준 MIB에 의한 표준 정보만을 제공한다.
현재 홈게이트웨이는 웹기반의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망관리 서버에 의해 웹브라우져를 통해 홈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 및 네트워크 설정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들은 표준 MIB에 의한 정보만 이용하기 때문에 그 기능은 단순한 기능들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표준 MIB에 의한 정보 제공은 기본적인 관리만 가능하며, 보안 서버, 웹 서버 및 DHCP 서버 등의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홈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동 IP를 할당받는 홈게이트웨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표준 MIB 만으로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준 MIB 이외에 추가로 확장 MIB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관리기능 이외에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홈게이트웨이용 확장 MIB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 관리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이의 시스템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외부 인터페이스 정보,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 정보 및 장애 정보 관리 기능을 포함한 확장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참조하여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외부로 통보하는 망관리 에이전트; 상기 망관리 대행자와 통신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외부 인터페이스 정보, OSGi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 정보 및 장애 정보를 제공받아 망관 리 정보로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망관리 매니저; 및 상기 망관리 매니저로부터 상기 시스템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외부 인터페이스 정보, OSGi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 정보 및 장애 정보를 추출하여 망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운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 관리 방법은, 운영자 단말에서 관리할 대상 홈게이트웨이, 관리 정보 수집 주기 및 통신량 임계치의 설정이 입력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상기 관리 정보 수집 주기에 따라 홈게이트웨이로 상기 관리 정보를 요청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요청에 따라 홈게이트웨이가 확장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망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상기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통신량 임계치와 비교하는 제 4단계; 만약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관리 정보의 통신량이 상기 통신량 임계치보다 큰 경우, 홈게이트웨이로 통신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 5단계;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5단계의 상기 통신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설정을 적용하고 상기 확장 MIB에 그 결과를 반영하는 제 6단계; 및 만약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관리 정보의 통신량이 상기 통신량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 2단계로 우회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홈네트워크는 가정 내 정보가전기기, 홈게이트웨이(400), 네트워크(300) 및 망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정보가전기기는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기기들로 노트북, PC 및 PDA 등에 국한되지 않고 유비쿼터스 환경과 같이 모든 가전기기들이 연동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기가 될 수 있다. 가정 내 제어가 필요한 TV, 오디오 및 기타 가전기기를 포함한다.
홈게이트웨이(400)는 가정 내의 정보가전기기가 접속되고, 외부의 망과 연결되며 SNMP 에이전트(450)를 구비하여 정보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300)는 망관리 서버(200)와 홈게이트웨이(400)를 연결하기 위한 망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을 일예로 설명한다. 네트워크(300)를 통한 망관리 서버(200)와 홈게이트웨이(400)의 통신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한다.
망관리 서버(200)는 홈게이트웨이(400)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SNMP 매니저(250)를 구비하고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망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망관리 시스템은 크게 망관리 서버(200)와 홈게이트웨이(400)로 나누어진다.
운용자 단말(100)은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망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홈네트워크를 관리한다.
망관리 서버(200)는 웹 서버(210), 연동 기능부(220), DB(Database)(230), SNMP 송수신부(240) 및 사용자 관리 기능부(251), 구성 관리 기능부(252), 성능 관 리 기능부(253)와 장애 관리 기능부(254)로 이루어진 SNMP 매니저(250)를 포함한다.
웹 서버(210)는 운용자 단말(100)이 접속하는 서버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망 관리자가 SNMP 매니저(250)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연동 기능부(220)는 망에 구비된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기능부로 타 시스템 및 타 프로토콜에 대한 적응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 관리 기능부(251)는 망관리 시스템의 SNMP 매니저(250)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들에 대한 관리를 하는 기능부이다. 사용자 관리는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추가, 삭제, 암호 변경, 접속 이력 관리 및 명령 이력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구성 관리 기능부(252)는 홈게이트웨이(400)에 접속된 기기들에 대한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구성 관리부(252)는 관리 대상이 되는 홈게이트웨이(400)에 대한 정보 관리 및 추가와 삭제 기능 등이 있으며, 홈게이트웨이(40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조회와 OSGi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에 대한 정보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
장애 관리 기능부(254)는 홈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신된 장애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장애 관리는 필요하지 않은 장애 정보를 대상에서 제외하는 장애 필터링 기능과 저장된 장애 정보를 이용한 장애 통계 기능을 제공한다.
성능 관리부(253)는 특정 홈게이트웨이(400)에 대한 성능 정보를 수집, 제어 및 통계하는 기능의 관리를 수행하는 기능부이다. 성능 관리부(253)는 특정 홈게이트웨이(400)에 대한 외부 인터페이스의 통신량을 제어하고, 성능 정보를 수집하는 주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된 주기로 성능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기능을 제공한다.
DB(230)는 장애 관리 기능부(254)와 성능 관리부(253) 등의 기능부에서 동작 중에 생성된 정보를 저장한다.
SNMP 송수신부(240)는 SNMP 매니저(250)와 홈게이트웨이(400)에 탑재된 SNMP 에이전트(450)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부로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홈게이트웨이(400)는 SNMP 송수신부(451), 시스템 관리부(452), 어플리케이션 관리부(453), 하드웨어 관리부(454), OSGi 관리부(455), 성능 관리부(456), 장애 관리부(457) 및 MIB(458)를 포함한 SNMP 에이전트(450)와 그 밖에 어플리케이션으로 인증서버, DHCP 서버 및 보안 서버를 구비할 수 있으며, OSGi 스택과 운용체제/드라이버/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SNMP 송수신부(451)는 망관리 서버(200)의 SNMP 송수신부(240)과 동일한 것으로 SNMP 매니저(250)와 SNMP 에이전트(450) 간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망관리 서버(200)와 홈게이트웨이(400)의 통신은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SNMP 송수신부(450)는 전송할 데이터를 SNMP 형태로 변환하고 수신된 SNMP 형태의 정보를 번역하는 역할을 한다.
시스템 관리부(452)는 홈게이트웨이(400) 자체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부(453)는 홈게이트웨이(40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하드웨어 관리부(454)는 홈게이트웨이(400) 에서 동작하는 물리적 포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네트워크(300)에 속한 단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대한 연결 기술이 필요하며 좀 더 섬세한 조절과 장비 간의 상호 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 미들웨어가 사용된다. 미들웨어에 의한 장비의 연결 및 제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의 배포문제와 서비스가 작동하기 위한 제반 환경 제공을 하는 미들웨어로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이하 OSGi)가 홈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OSGi 서비스 플랫폼은 서비스들간, 서비스와 OSGi 프레임워크간 또는 OSGi 프레임워크와 외부 서비스 관리 시스템과의 연결 및 제어를 수행한다.
OSGi 관리부(455)는 이러한 OSGi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성능 관리부(456)는 홈게이트웨이(400)의 외부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망과 통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통신량의 임계치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장애 관리부(457)는 홈게이트웨이(400)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실시간으로 망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내용을 MIB(458)에 반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IB(458)는 관리 정보 베이스로 SNMP 또는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되거나 관리되는 네트워크 관리 정보 베이스로 데이터베이스와 유사하다. MIB(458) 객체의 값은 SNMP 명령이나 CMIP 명령을 사용해 변경하거나 검색할 수 있으며, 보통 GUI(Graphic User Interface)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다. MIB(458) 객체는 공공 또는 사설 브랜치를 포함하는 트리구조로 조직되어 있다.
본 발명은 MIB(458)에 확장된 정보 형식을 추가하여 홈게이트웨이(400)를 보다 효율적으로 원격관리 하는 것으로 확장 MIB(458)의 정보 형식은 아래와 같다.
확장 MIB(458)은 시스템 관리 MIB, 어플리케이션 MIB, OSGi 관리 MIB, 성능관리 MIB, 진단관리 MIB 및 트랩관리 MIB 등의 관리 정보 형식이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관리 MIB의 정의를 예시한 도이다.
시스템 관리 MIB는 홈게이트웨이(400) 장비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객체를 정의한 것이다. 장비가 갖는 고유한 정보나 장비를 운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정보들이 시스템 관리 MIB의 관리 대상이다. 망관리 시스템에서 해당 에이전트에 대한 시스템 환경을 보다 더 정확히 알 수 있게 하며, 에이전트와 통신이 되지 않을 때 해당 에이전트와 관련된 여러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에이전트까지의 통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항목 중 DHCP IP는 홈게이트웨이(400)가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는 DHCP 서버의 IP 주소값을 저장한 항목이다. 홈게이트웨이(400)가 유동 공인 IP를 할당받고자 하는 경우, IP 주소를 할당하는 DHCP 서버의 IP 주소를 알고 있으면 IP 할당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홈게이트웨이(400)가 IP 주소를 할당받지 못한 경우, DHCP 서버로 홈게이트웨이(400)가 직접 문제를 확인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MIB의 정의를 예시한 도이다.
어플리케이션 MIB는 홈게이트웨이(400)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버들을 관리하기 위한 객체를 정의한 것으로, 관리 가능한 서버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를 통해 에이전트의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알 수 있다. 현재 홈게이트웨이(400)에서 어떤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는지 알수 있으며,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되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홈게이트웨이(400)에서 특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OSGi 관리 MIB의 정의를 예시한 도이다.
OSGi 관리 MIB는 홈게이트웨이(400)에서 사용되는 미들웨어인 OSGi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객체를 정의한 것이다. 홈게이트웨이(400)에서 대부분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는 OSGi를 통해서 하게 되므로 홈게이트웨이(400)의 망관리 측면에서는 OSGi에서 동작하는 번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발생한다. OSGi 관리 MIB는 이러한 번들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관리한다. OSGi의 번들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홈게이트웨이(400)와 연결되어 관리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번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능관리 MIB의 정의를 예시한 도이다.
성능관리 MIB는 특정 포트에 대한 성능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성능 정보가 사용자가 지정한 임계치 즉, threshold 값을 초과하면 에이전트가 특별한 사건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트랩을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객체를 정의 한 것이다. 감시 대상이 되는 포트는 홈게이트웨이(400)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포트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지정할 임계치 값은 이 포트에 대한 통신량을 의미한다. 홈게이트웨이(400)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신량을 측정하고 제어함으로써,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신량을 예측하고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관리 MIB의 정의를 예시한 도이다.
진단관리 MIB는 홈게이트웨이(400)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문제의 진단을 위한 MIB로 본 실시예에서는 홈게이트웨이(400)가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할당받는 과정에서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DHCP 서버와의 연결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관리 MIB는 홈게이트웨이(400)가 IP를 받기 위한 DHCP 서버로 해당 DHCP 서버와의 연결이 제대로 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본 진단관리 MIB는 Ping을 통해 DHCP 서버와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객체를 정의한 것으로, 홈게이트웨이(400)에서 외부와의 통신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른 시스템과의 통신 상태를 점검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의 문제인지 또는 홈게이트웨이(400)의 문제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관리 MIB의 정의를 예시한 도이다.
트랩관리 MIB는 홈게이트웨이(4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트랩 중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이벤트 통보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객체를 정의한 것으로, 기존의 표준 MIB에 정의되지 않은 해당 시스템만의 고유한 이상 발생 상황의 파악을 가능하게 한다.
확장 MIB의 정의 형식은 시스템 관리 MIB, 어플리케이션 MIB, OSGi 관리 MIB, 성능관리 MIB, 진단관리 MIB 및 트랩관리 MIB 이외의 당업자의 필요에 의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른 관리 항목을 포함한 MI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홈게이트웨이(400)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망관리자가 제어하고자하는 특정 홈게이트웨이(400)를 선택하고 홈게이트웨이(400)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신량을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해 통신량 정보를 수집하는 폴링(Polling) 주기 및 통신량 임계치를 설정한다(S2).
SNMP 매니저(250)는 폴링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SNMP 에이전트(450)에게 외부 인터페이스의 통신량 정보를 요구하는 SNMP 명령어를 전송하여 홈게이트웨이(400)의 외부 인터페이스 통신량 정보를 요청한다(S4).
SNMP 매니저(250)로부터 외부 인터페이스 통신량 정보 제공이 요청되면, SNMP 에이전트(450)는 홈게이트웨이(400)의 외부 인터페이스 통신량 정보 제공을 위하여 확장 MIB(458)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SNMP 송수신부(451)를 이용하여 SNMP 매니저(251)로 전송한다(S6).
SNMP 매니저(250)가 SNMP 에이전트(450)로부터 외부 인터페이스 통신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DB에 저장하고(S8), SNMP 매니저(250)는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다(S10).
단계 S10에서 통신량 정보가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SNMP 매니저(250)는 통신량 제어 명령을 SNMP 에이전트(450)로 전송한다(S12). SNMP 매니저(250)로부터 통신량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SNMP 에이전트(450)는 홈게이트웨이(400)의 외 부 인터페이스의 설정 값을 변경하고 확장 MIB(458)에 그 결과를 반영한다.
단계 S10에서 통신량 정보가 설정된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SNMP 매니저(250)는 단계 S4로 우회하여 외부 인터페이스 통신량 정보를 다시 요구하여 지속적으로 홈게이트웨이(400)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홈게이트웨이의 망관리 서버를 통해 원격으로 홈게이트웨이를 관리할 수 있게 하며, 확장 MIB를 사용하여 홈게이트웨이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정보 파악이나, OSGi의 번들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홈게이트웨와 연결되어 관리되는 디바이스의 상태 파악 및 홈게이트웨이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신량 측정과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신량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등의 기존의 MIB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홈게이트웨이의 시스템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외부 인터페이스 정보,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 정보 및 장애 정보 관리 기능을 포함한 확장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참조하여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외부로 통보하는 망관리 에이전트;
    상기 망관리 대행자와 통신하여 상기 시스템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외부 인터페이스 정보, OSGi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 정보 및 장애 정보를 제공받아 망관리 정보로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망관리 매니저; 및
    상기 망관리 매니저로부터 상기 시스템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외부 인터페이스 정보, OSGi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 정보 및 장애 정보를 추출하여 망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운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홈게이트웨이의 아이디(ID), 아이피(IP) 주소, 서브넷마스크 값, DNS 아이피 주소, 홈게이트웨이의 vendor 정보, 버전 정보, 운영체제 정보, 부가정보, DHCP 서버의 IP 주소 및 트랩(trap) 발생시 트랩을 수신할 관리자 IP 주소를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관리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수, 테이블, 정보 항목들에 대한 시퀀스, 인덱스, 형태, 포트, 동작 상태, 버전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정보는 홈게이트웨이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포트의 인덱스, 해당 포트의 수신 임계치 및 전송 임계치와 만약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설정이 MIB에서만 성공하고 홈게이트웨이에서 실패한 경우, 설정 파라미터, 포트 인덱스, 실패된 어플리케이션 및 임계치 초과 알람을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외부와 연결된 망과 통신하는 대역폭에 대한 임계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SGi상에서 동작하는 번들 정보는 OSGi의 표준 버전 정보, OSGi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의 개수 정보, 번들의 관리 테이블, 번들의 정보 항목 시퀀스 정보, 번들의 인덱스 정보, 번들의 아이디. 번들의 제어 디바이스 정보, 번들의 동작 상태, 번들의 버전 정보 및 번들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OSGi 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정보는 핑테스트 관리 테이블 정보, 관리 정보 항목들의 시퀀스 정보, 핑테스트 인덱스 정보, 핑테스트 대상의 IP 주소 정보, 핑테스트의 데이터 크기 정보, 핑테스트 최대 시도 횟수 정보, 핑테스트 응답 도달의 최대 지연 시간 정보, 성공 여부 정보 및 테스트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장애 진단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7. 운영자 단말에서 관리할 대상 홈게이트웨이, 관리 정보 수집 주기 및 통신량 임계치의 설정이 입력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의 상기 관리 정보 수집 주기에 따라 홈게이트웨이로 상기 관리 정보를 요청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의 요청에 따라 홈게이트웨이가 확장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망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상기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통신량 임계치와 비교하는 제 4단계;
    만약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관리 정보의 통신량이 상기 통신량 임계치보다 큰 경우, 홈게이트웨이로 통신량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 5단계;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제 5단계의 상기 통신량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설정을 적용하고 상기 확장 MIB에 그 결과를 반영하는 제 6단계; 및
    만약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관리 정보의 통신량이 상기 통신량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 2단계로 우회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MIB는 시스템 관리 기능, 어플리케이션 정보 관리 기능,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정보 관리 기능, 외부와 연결된 망과 통신하는 대역폭에 대한 임계치 관리 기능 및 장애 진단 관리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기능은 홈게이트웨이의 아이디(ID), 아이피(IP) 주소, 서브넷마스크 값, DNS 아이피 주소, 홈게이트웨이의 vendor 정보, 버전 정보, 운영체제 정보, 부가정보, DHCP 서버의 IP 주소 및 트랩(trap) 발생시 트랩을 수신할 관리자 IP 주소를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관리 기능은,
    관리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수, 테이블, 정보 항목들에 대한 시퀀스, 인덱스, 형태, 포트, 동작 상태, 버전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OSGi 정보 관리 기능은 OSGi의 표준 버전 정보, OSGi 상에서 동작하는 번들의 개수 정보, 번들의 관리 테이블, 번들의 정보 항목 시퀀스 정보, 번들의 인덱스 정보, 번들의 아이디. 번들의 제어 디바이스 정보, 번들의 동작 상태, 번들의 버전 정보 및 번들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OSGi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와 연결된 망과 통신하는 대역폭에 대한 임계치 관리 기능은 홈게이트웨이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포트의 인덱스, 해당 포트의 수신 임계치 및 전송 임계치와 만약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설정이 MIB에서만 성공하고 홈게이트웨이에서 실패한 경우, 설정 파라미터, 포트 인덱스, 실패된 어플리케이션 및 임계치 초과 알람을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외부와 연결된 망과 통신하는 대 역폭에 대한 임계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진단 관리 기능은 핑테스트 관리 테이블 정보, 관리 정보 항목들의 시퀀스 정보, 핑테스트 인덱스 정보, 핑테스트 대상의 IP 주소 정보, 핑테스트의 데이터 크기 정보, 핑테스트 최대 시도 횟수 정보, 핑테스트 응답 도달의 최대 지연 시간 정보, 성공 여부 정보 및 테스트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항목을 이용하여 장애 진단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방법.
KR1020050075646A 2005-08-18 2005-08-18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21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646A KR20070021415A (ko) 2005-08-18 2005-08-18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646A KR20070021415A (ko) 2005-08-18 2005-08-18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415A true KR20070021415A (ko) 2007-02-23

Family

ID=4365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646A KR20070021415A (ko) 2005-08-18 2005-08-18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4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97B1 (ko) * 2006-09-29 2007-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097B1 (ko) * 2006-09-29 2007-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3598B2 (ja) 制御中継プログラム、制御中継装置および制御中継方法
US7689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console ports
US10887160B2 (en) Management method for home network device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US20180124168A1 (en) Load balancing server for forwarding prioritized traffic from and to one or more prioritized auto-configuration servers
KR20100044966A (ko) 세션 관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설망을 원격관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661006B1 (ko) 홈네트워크 단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97782A2 (zh) 一种服务端口管理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946464B (zh) 用于在原地配置装置的方法
US20060071684A1 (en) Active storage area network discovery system and method
KR101158092B1 (ko) 네트워크 장치 제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38721A2 (en) Network camera management
WO2004017199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an information system
KR100706955B1 (ko) 망 구성 요소에 대해 독립적인 에이전트를 이용한 망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1415A (ko) 홈게이트웨이의 원격관리를 위한 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5715B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3912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physical location information for networked devices
KR100371328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주소할당방법
KR20030060598A (ko) 상이한 프로토콜로 동작하는 네트워크의 관리방법 및 장치
Cisco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KR20070079860A (ko)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하나의 공인 ip를 통해 관리하는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684352B (zh) 属于私用网络的装置、管理装置的设备和方法以及介质
EP2033112B1 (en) Improved network management
KR20030080539A (ko) 네트워크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보안통제 관리방법
KR100534619B1 (ko)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79441A (ko) 간이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이용한 케이블 모뎀네트워크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