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217A -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217A
KR20070021217A KR1020067024585A KR20067024585A KR20070021217A KR 20070021217 A KR20070021217 A KR 20070021217A KR 1020067024585 A KR1020067024585 A KR 1020067024585A KR 20067024585 A KR20067024585 A KR 20067024585A KR 20070021217 A KR20070021217 A KR 2007002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luoropolymer
film
zeolit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렌스 와이노 맥킨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to KR102006702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217A/ko
Publication of KR2007002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2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03G15/2057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relat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eat element and lay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증가시키는 플루오로중합체 및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내마모성 오버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충분한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플루오로중합체로 된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정착 롤 상의 플루오로중합체 필름 코팅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제올라이트

Description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ABRASION RESISTANT FLUOR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ZEOLITE}
본 발명은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보조제를 함유하는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루오로중합체 수지는 빛, 열, 용매, 화학적 공격 및 전기적 스트레스에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물품 또는 중합체 필름으로 코팅된 기판에 바람직한 성질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지, 특히 퍼플루오로중합체 수지는 그들의 낮은 표면 에너지 및 박리/비점착 특징으로 공지되어 있다. 보조제를 이러한 수지에 혼입하면 기계적 성질, 예를 들면 내마모성을 개선시킴으로써 그들의 사용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첨가는 중합체의 박리 성질을 감소시킨다.
플루오로중합체의 한 중요한 적용분야로는, 정전기적으로 충전된 토너가 정전 잠상을 가시화시키는 리시버(receiver)(예를 들면, 종이 또는 필름)에 정착되는 정전사식 재생(electrostatographic reproduction)이 있다. 가열된 금속 정착 롤(fuser roll) 상의 플루오로중합체 수지 필름 코팅을 사용하면, 토너가 정착 롤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품질을 갖는 인화된 상의 생산을 위해 더 많은 토너가 리시버에 고정되게 하는 박리 표면을 갖는 내열성 중합체 필름을 제공한다. 가열된 정착 롤은 대개 약 200 ℃의 고온으로 가열되어 리시버에 정전기적으로 침착된 토너 입자를 용융시킨 다음, 리시버에 접착되면서 생성된 용융된 상을 박리시킨다. 용융된 토너 입자는 정착 롤에 접착되어 있는 경우, 추후 공급된 리시버에 침착되어 원치않는 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플루오로중합체 수지의 정착 롤 코팅 적용분야는, 용융 성질 및 리시버에 대한 접착 필요성에 의해 점착성 물질이 되는 용융된 토너를 굳게 박리시키기 위한 임계적 요건을 필요로 한다. 플루오로중합체 수지 코팅은 이 적용분야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정착 롤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리시버에 의해 및 훨씬 더 심하게는 정착 롤 표면과 마찰을 일으켜 정착 롤로부터 리시버를 제거하는 픽커 핑거(picker finger)에 의해 마모되는 결점을 갖는다. 문제는 코팅의 박리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코팅의 내마모성을 어떻게 증가시키는가 하는 점이다.
제올라이트를 보조제로 혼입시키는 것은 콘캐논(Concannon) 등의 미국 특허 4,425,448에 개시되어 있다. 제올라이트는 때때로 다른 금속 또는 수소로 이온 교환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가역가능하게 수화된 규산알루미늄이다. 콘캐논 등은 PTFE 수지의 산화성 분해를 저지하기 위해, 소량(건조 필름 중량을 기준으로 2.6 중량% 미만)의 제올라이트, 특히 군청(ultramarine blue)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코팅 조성물에 혼입한다. 또한, 얇은 프라이머 층을 도포한 다음, 투명한 탑코트 조성물로 오버코팅하는 경우 기판 결함을 감추기 위해 염색하는 데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플루오로중합체 프 라이머 조성물에 제올라이트, 예를 들면 군청(ultramarine blue)을 혼입시키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플루오로중합체에 제올라이트 보조제를 혼입함으로써 생기는 이점을 개시하는 상기 문헌들은 중합체의 박리 성질을 유지시키는 동안 플루오로중합체 수지의 내마모성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은 제시하지 않으며, 정착 롤 커버에 대한 적용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도 없다. 특히, 정전사식 재생 분야에서 내마모성 및 박리의 조합된 특질을 갖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이 우수한 박리 성질을 가지면서 개선된 내마모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정착 롤 상의 플루오로중합체 필름 코팅 조성물 형성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킨다. 정착 롤 상의 플루오로중합체 필름 코팅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증가시키기 충분한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필름 코팅 형성 전 플루오로중합체에 혼입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증가시키는 것인 플루오로중합체 및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오버코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올라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규산알루미늄, 더욱 바람직하게는 군청 안료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증가시키는 것인 플루오로중합체, 유효량의 전기도전성 미립자 물질 및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전기도전성 오버코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착 롤 코팅 적용분야에서, 본 조성물은 대개 정착 롤과의 접촉 및 이에 의한 정착 전 리시버로부터 토너 입자를 끌 수 있는 정착 롤 상의 전기적 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소량의 전기도전성 미립자 물질을 함유한다. 이 보조제는 플루오로중합체 수지 코팅의 내마모성에는 무시 가능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플루오로중합체 자체의 내마모성을 결정하는 마모성 시험에서 플루오로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우수한 내마모성 및 우수한 박리 양쪽 모두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개선된 방법 및 조성물은 이 조성물을 복사기 및 레이저 프린터에서 정착 롤에 대한 필름 코팅으로 사용함으로써 가장 잘 예시된다. 예를 들면, 복사기에서 정전사식 재생시, 균일하게 하전된 영상 롤(imaging roll)을 레이저에 노출시켜 일련의 정전 상을 생성시킨다. 이어서, 토너를 영상 롤 상의 각각의 상에 가하여 정전 상에 대응하는 일련의 토너 상을 생성시킨다. 토너 상을 리시버, 예를 들면 종이 또는 필름에 옮긴다. 토너 상을 갖는 리시버를 영상 롤로부터 분리시키고, 정착 장치에 공급한다. 통상, 정착 장치는 리시버가 통과하면서 니프를 형성하는 두 롤로 구성된다. 상부 롤은 이하 "정착 롤"로 지칭하는 일반적으로 플루오로중합체 코팅 금속 롤이다. 제2 롤은 이하 "지지 롤"로 지칭되며, 정착 롤과 협동하여 니프를 형성하고, 통상 유연성 엘라스토머성 물질,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된다. 정착 롤은 종종 정착 롤의 코어에 배치된 내부 열원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금속 정착 롤에 플루오로중합체 수지 필름 코팅을 사용하면 토너가 정착 롤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품질로 인쇄된 상의 생산을 위해 더 많은 토너가 리시버에 고정되게 하는 박리 표면을 갖는 내열성 중합체 필름을 제공한다. 그러나, 복사기를 통과하는 많은 부피의 종이 및 정착 롤 표면 상의 픽커 핑거의 압력은 선행 기술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에 코팅이 마모되게 하는 마모 효과를 일으켜 박리 표면으로서의 유효성을 잃게 한다. 하기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플루오로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놀랍게도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개선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기치않게도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플루오로중합체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00 %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제올라이트 보조제의 혼입을 증가시켜도 플루오로중합체 필름 코팅의 박리 성질은 보유된다.
플루오로중합체
본 발명의 필름으로 된 조성물 중의 플루오로중합체는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모노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디클로로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부틸 에틸렌, 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 비닐리덴 플루오리드 및 비닐 플루오리드 및 그들의 블렌드로 된 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와 비플루오로중합체의 블렌드의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루오로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용융 가공성이다. 용융 가공성은 중합체가 용융된 상태에서 가공될 수 있는(즉, 용융물로부터 그들의 의도하는 목적에 유용한 충분한 강도 및 인성을 나타내는 성형품, 예를 들면 필름, 섬유, 및 튜브 등으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용융 가공성 플루오로중합체의 예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및 중합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불소화된 공중합가능한 단량체(공단량체)로 된 공중합체를 공중합체의 융점을 실질적으로 TFE 단일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융점보다 낮게, 예를 들면, 315 ℃ 이하의 융점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인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또는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TFE를 갖는 바람직한 공단량체로는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올레핀, 예를 들면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및(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가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PAVE)가 있다. 바람직한 PAVE 단량체로는 알킬기가 1, 2, 3 또는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있고, 그 공중합체는 몇몇 PAVE 단량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TFE 공중합체는 FEP(TFE/HFP 공중합체), PFA(TFE/PAVE 공중합체), PAVE가 PEVE 및(또는) PPVE 및 MFA인 TFE/HFP/PAVE(PAVE의 알킬기가 2 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TFE/PMVE/PAVE)를 포함한다. 용융 가공성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 특수 공중합체에 대해 표준인 온도에서 ASTM D-1238에 따라 측정시 약 1-100 g/10 min의 용융 유량을 갖는 공중합체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양의 공단량체를 공중합체에 혼입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전형적으로, 용융 점도는 미국 특허 4,380,61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된 ASTM D-1238 방법에 의해 372 ℃에서 측정시 102 Pa·s 내지 약 106 Pa·s,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약 105 Pa·s 범위이다. 추가의 용융 가공성 플루오로중합체로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TFE 또는 CTFE, 특히 ETFE, ECTFE 및 PCTFE의 공중합체가 있다. 추가로 유용한 중합체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PVDF)의 필름 형성 중합체 및 비닐리덴 플루오리드,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 플루오리드(PVF)의 공중합체 및 비닐 플루오리드의 공중합체가 있다.
플루오로중합체 성분은 용융 가공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융 가공성이 아닌 변형된 PTFE를 비롯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용융 가공성 플루오로중합체와 함께 또는 이러한 플루오로중합체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변형된 PTFE는 베이킹(정착) 동안 필름 형성 능력을 개선시키는 소량의 공단량체 변형제를 함유하는 PTFE,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올레핀, 특히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비닐) 에테르(PAVE)(여기서, 알킬기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를 의미하며, 퍼플루오로(에틸 비닐) 에테르(PEVE) 및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PPVE)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0.5 몰 % 이하인 이러한 변형제의 양은 PTFE에 용융 제작성(melt fabricability)을 제공하기에 불충분하다. 또한, PTFE는 단순히, 대개 1×109 Pa·s 이상의 단일 용융 점도를 가질 수 있지만, 상이한 용융 점도를 갖는 PTFE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플루오로중합체 성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용융 점도는 PTFE가 용융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음에 따라 용융 가공성이 아님을 시사한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타입의 플루오로중합체로 된 혼합물을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착 롤에 도포되어 그 위에 커버를 형성하는 조성물 및 커버, 또는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 정착 롤의 표면에 형성된 것과 같은 필름으로 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커버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조성물의 경우, 본 발명에 사용된 이러한 플루오로중합체는 1 ㎛ 미만 내지 약 100 ㎛ 이하의 평균 입도를 갖는 입자 형태로 존재한다. 많은 플루오로중합체들은 수성 분산 중합에 의해 제조되며, 여기서 중합된 플루오로중합체 입자는 전형적으로 직경이 0.01 내지 0.3 ㎛ 범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입도는 평균 입도이다. 또한, 플루오로중합체 성분은 직경이 예를 들면, 5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의 큰 입도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큰 입도는 원하는 입도를 얻기 위한 임의적 분쇄 단계를 사용하여 미국 특허 6,518,349 B1(Felix et al.)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산물로부터의 응집 또는 분사 건조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미크론 이하 입자(분산물 입자) 및 큰 입자(분말 입자) 양쪽 모두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루오로중합체는 용융 가공성이지만, 플루오로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된 필름은, 일반적으로 먼저 조성물을 플루오로중합체 입자가 유기 용매 또는 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분산된 액체 매질로서 제공하고, 이 액체 조성물을 코팅될 기판에 도포한 후, 이 코팅을 건조시키고 베이킹하여 기판에 박리 코팅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분산물은 앞서 언급한 양쪽 모두의 입도 군, 예를 들면, 약 1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미크론 이하 크기 입자와 약 10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큰 크기 입자로부터의 플루오로중합체 입자를 함유한다.
액체 매질은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그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유기 용매의 예는 N-메틸피롤리돈, 부티롤락톤을 포함하고, 고비등 방향족 용매는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t-부탄올,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및 메틸 에틸 케톤(MEK)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면, 예를 들면 정착 롤 표면을 분말 코팅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분말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분말 코팅 및 액체 매질로부터의 코팅 양쪽 모두의 실시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의 용융 가공성은 베이킹 동안 플루오로중합체 입자를 함께 정착시켜 연속 필름(코팅)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제올라이트
본 발명은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이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증가된 내마모성을 나타내는 것인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루오로중합체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은 25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증가된다.
조성물이 필름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올라이트의 총량은 필름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25 중량%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12 중량%이다.
제올라이트는 때때로 다른 금속 또는 수소로 이온 교환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가역가능하게 수화된 규산알루미늄이다. 일반적 구조 정의는 다음과 같다.
Mx /n[(AlO2)x(SiO2)y]mH2O
상기 식 중, M은 원자가 n의 양이온이고, n은 1 또는 2이다. x 대 y의 비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1 내지 큰 수로 변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많은 천연 발생 광물 및 합성 물질을 포함한다. 준장석으로 공지된 부류의 광물은 제올라이트와 밀접하게 관련되고,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제올라이트의 의미에 포함된다. 개방 구조 및 큰 공동을 갖는 방조달석(sodalite) 및 군청을 비롯한 준장석은 제올라이트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바람직한 제올라이트는 알칼리 금속 규산알루미늄인 군청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의 입도는 일반적으로 5 ㎛ 미만, 전형적으로 0.5 내지 3 ㎛ 범위이다.
군청을 조성물에 첨가하면 평활한 코팅 및 눈에 띄고 용이하게 식별가능한 청색 필름 코팅을 제공한다.
염색은 도포 동안 조성물의 열 흡수 증가를 추가로 제공하여 가공 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는 이하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행 기술 투명한 코트에 비해 유리하다.
전기도전성 입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플루오로중합체 및 제올라이트 외에 다른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착 롤에 사용된 코팅 조성물이 정적 축적의 소산을 보조하는 전기도전성 미립자 물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전기도전성 미립자 물질, 예를 들면 운모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다. 운모는 운모 조각, 예를 들면 안티몬 또는 주석 산화물 상의 코팅에 의해 도전성이 된다. 별법으로, 조성물은 전기도전성 보조제로서 그래파이트 또는 케트젠 블랙(Ketjen Black)을 함유할 수 있다. 전기도전성은, 미립자 물질의 표면 저항성이 피니온 계측기(Pinion meter)에 의해 측정시 108 ohms/square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정적 축적 방지에 유효한 양의 전기도전성 미립자 물질은 사용되는 특정 물질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면, 미립자 물질이 도전성 탄소인 경우, 오직 약 1 내지 2 중량%만을 필요로 한다. 상기 물질이 전기도전성 운모(전기도전성 물질로 코팅된 운모)인 경우, 일반적으로 약 3 내지 8 중량%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중량은 베이킹된 중량과 동일한,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전기도전성 탄소 및 전기도전성 운모 양쪽 모두를 동일한 조성물에 사용하여 전기도전성 탄소의 양을 감소시키고 조성물의 색상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운모는 판형 입자의 형태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판형 입자는 약 10 내지 200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20-100 미크론의 평균 입도를 가지며, 입자 조각 중 50 % 이하가 약 300 미크론 초과의 평균 입도를 갖는다. 산화물 층으로 코팅된 운모 입자는 미국 특허 3,087,827(클렌케(Klenke) 및 스트라톤(Stratton)), 3,087,828(린톤(Linton)) 및 3,087,829(린톤)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플루오로중합체, 제올라이트 및 전기도전성 입자로 된 액체 분산물이다. 조성물이 필름으로 형성된 경우, 제올라이트 및 전기도전성 미립자 물질의 총량은 이러한 성분들과 플루오로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제올라이트 및 전기도전성 물질은 플루오로중합체에 비해 밀도가 낮으므로 조성물은 이와 같이 다량의 제올라이트 및 전기도전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보조제의 양이 훨씬 적은 부피%가 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85 중량% 내지 약 92 중량%의 플루오로중합체를 함유하지만, 이 성분의 부피%는 훨씬 높게 된다.
필름 형성
본 발명은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증가시키기 충분한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필름 코팅 형성 전 플루오로중합체에 혼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정착 롤 상의 플루오로중합체 필름 코팅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 된 필름은 통상적인 수단, 예를 들면 분사 코팅, 침지, 롤러 코팅 또는 커튼-코팅에 의해 조성물을 액체 분산물로서 기판에 직접 도포한 후, 310 ℃ 내지 430 ℃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정착시켜 0.3 mils(7.6 ㎛) 내지 2 mils(50 ㎛), 바람직하게는 0.7 mils(18 ㎛) 내지 1.4 mils(36 ㎛) 범위의 두께의 필름 코팅을 생성함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그 존재로서 프라이머 층이 기판에 접착될 수 있게 하는 내열성 중합체 결합제를 함유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판을 먼저 프라이밍한 후, 본 발명의 분산물을 도포한다. 임의적으로, 이러한 결합제 조성물은 플루오로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결합제 성분은 정착을 위해 가열시 필름을 형성하는 중합체로 구성되고, 또한 열적으로 안정하다. 이 성분은 비점착 피니쉬, 기판에 플루오로중합체 함유 프라이머 층 접착 및 프라이머 층 내 및 이의 일부로서 필름 형성에 대한 프라이머 적용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결합제는 불소를 함유하지 않지만 플루오로중합체에 접착된다.
비불소화된 열안정 중합체의 예는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술피드(PPS), 폴리에테르 술폰(PES), 폴리아릴렌-에테르케톤, 및 통상 폴리페닐렌 산화물(PPO)로 공지된 폴리(1,4(2,6-디메틸페닐)옥시드)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중합체도 불소를 함유하지 않으며, 열가소성이다. 이러한 수지 모두는 140 ℃ 이상의 온도에서 열 안정적이다.
별법의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본 발명의 분말 조성물을 기판, 바람직하게는 정착 롤 또는 프라이밍된 기판에 직접 정전 도포하며, 뒤이어 310 ℃ 내지 430 ℃ 범위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오버코트로서 프라이머에 도포하는 경우, 프라이머 층은 일반적으로 약 4 ㎛ 내지 약 15 ㎛의 두께를 가지며, 오버코트는 일반적으로 약 12 ㎛ 내지 약 50 ㎛의 두께를 갖는다. 다중 오버코트를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조성물은 베이크 온도에 저항할 수 있는 임의의 기판 물질, 금속(예를 들면, 정착 롤 및 세라믹의 경우) 상에서 형성될 수 있고, 이의 예는 알루미늄, 아노드화된 알루미늄, 냉연강, 스테인레스강, 에나멜, 유리 및 파이로세럼을 포함한다. 기판은 평활하거나 에칭되거나 그릿 블라스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플루오로중합체의 분산물을 금속 정착 롤에 가하고, IR 히터를 사용하여 베이킹한다. 조성물 중 제올라이트의 존재는 투명한 플루오로중합체 코팅에 비해 증가된 코팅 열 흡수를 제공한다. 증가된 열 흡수는 코팅이 더 신속하게 경화되고, 완성된 정착 롤이 더 빠른 속도로 생산되도록 베이킹 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는 상업적 생산에 중요한 조건이다.
정착 롤 적용분야에 사용되는 전기도전성 오버코트 조성물의 우수한 박리 성질은 미세한 그릿, 예를 들면 600 그릿을 사용하여 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표면을 호닝(honing)하는 추가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필름이 롤, 예를 들면 정착 롤의 표면을 형성하는 경우, 롤은 회전하고, 혼(hone)은 이러한 회전 동안 그의 표면을 따라 통과하여 원하는 평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호닝은 제올라이트 및 놓여진 플루오로중합체의 "피크"를 제거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함으로써 필름의 박리 성질을 손상시키는 경도를 감소시킨다. 생성된 호닝된 필름은 개선된 내마모성 및 우수한 박리 성질 양쪽 모두를 제공한다. 원하는 필름 표면의 평활성은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결정되며, 즉 필름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지세가 없는 평활한 표면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표면 필름을 갖는 바람직한 제품은 탱크, 슈트, 롤 표면, 절단용 블레이드, 철 솔 플레이트(iron sole plate), 조리 기구, 구이기 등을 비롯한 정착 롤 및 벨트, 파이프, 컨베이어, 화학적 가공 장치를 포함한다.
시험 방법
마모성 시험 - 트러스트 방법
일리노이주 슈거 그로브 소재의 팔렉스 코퍼레이션(Falex cope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하고 ASTM D3072로 지정된 팔렉스 마찰 및 마모 시험기를 사용하여 코팅의 마모 지수를 결정하였다. 고정식 알루미늄 세척기 견본을 하부 견본 홀더에 위치시킨다. 세척기 구조는 ASTM D3072에 지정되어 있다. 코팅된 회전 웨이퍼 견본을 하부 고정식 알루미늄 세척기 견본과 접촉하는 회전 스핀들에 장착한다. 그 다음, 21.8 킬로그램의 하중을 가한다. 견본 회전 속도를 500 rpm으로 설정한다. 매 000 주기 후, 시험을 중단하고, 중량 손실을 기록한다. 시험을 30,000 주기까지 또는 기판이 나타나기 시작할(기판이 보임) 때까지 계속한다. 마모 지수를 밀리그램 단위의 총 중량 손실 당 마모성의 총 주기 단위(마모의 주기/밀리그램)로 결정한다.
마모성 시험 - 롤러 마모성
복사기에서 종이에 의해 정착 롤에 대한 마모성을 자극하기 위한 내마모성 시험을 사용하여 코팅의 마모율을 결정한다. 시험 롤러의 직경을 신중하게 정확히 측정한다. 시험 롤러를 회전 구조체에 장착한다. 0.25 인치(0.64 cm) 접촉 경로를 따라 610 g 추를 종이에 가함으로써 2.25 인치(5.7 cm) 폭의 표준 종이 금전 등록기 테입을 롤러에 가압한다. 롤러는 60 rpm으로 회전한다. 매 10 회전 후, 종이 테입이 0.29 인치(0.74 cm) 움직여 새로운 종이를 마모될 표면에 가한다. 온도는 공기 컨디셔닝된 대략 75 ℉(24 ℃)의 실온이다. 10,000 주기 후 또는 기판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시험을 중단하고 회전수를 기록한다. 마모된 구역에서의 롤러의 직경을 측정한다. 마모율을 마모 미크론 당 주기로 계산한다.
박리 시험
정착 롤 상에서 코팅 조성물의 박리를 시판되는 복사기, 리코(Ricoh) AF 350에서 시험하였다. 코팅을 토너 오염 없이 생성되는 카피의 수에 의해 판단하였다. 토너 오염은 토너가 롤에 축적되어 열등한 품질의 카피를 형성하도록 정착 롤로부터 토너가 열등하게 박리된 결과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코팅에 대한 기판을 30 분 동안 800 ℉(427 ℃)에서 베이킹하고, 대략 70-125 마이크로인치 Ra의 경도로 40 그릿 산화알루미늄으로 그릿 블라스팅함으로써 세척하였다. 액체 코팅을 일리노이주 글렌달 하이츠 소재의 데빌비스(DeVilbiss)로부터 모델 번호 MSA-510의 스프레이 건을 사용함으로써 도포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프라이머 층을 회전 웨이퍼 강 견본에 도포한 후, 66 ℃에서 5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회전 웨이퍼 구조는 ASTM D3072에 지정되어 있다. 프 라이머 층의 건조 필름 두께(DFT)는 약 10 ㎛였다. 오버코트를 2회 도포한 후, 66 ℃에서 5분 동안 베이킹한 다음, 149 ℃에서 10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마지막으로, 코팅된 디스크를 399 ℃에서 5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코팅의 총 건조 필름 두께(DFT)는 대략 100 ㎛였다. 이 코팅된 견본을 트러스트 마모성 중량 손실 방법에 의해 시험하였다.
실시예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예비-베이킹(pre-bake) 조성물을 갖는다.
표 1 -액체 프라이머
성분 중량%
플루오로중합체
PTFE 분산물 12.8
PFA 분산물 8.8
FEP 분산물 9.5
중합체 결합제
폴리아미드이미드 4.6
콜로이드성 실리카 2.9
용매
50.4
다른 유기물* 7.3
안료 3.4
분산제 0.3
총계 100
*다른 유기물은 용매,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 MIBK(메틸 이소부틸 케톤), 탄화수소, 예를 들면 중 나프타, 크실렌 등, 푸르푸릴 알코올, 트리에탄올 아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PTFE 분산물: 59-61 % 고체 PTFE, 입도 170-210 nm, 융점(제1) 337 ℃, (제2) 317 ℃ PFA 분산물: 58-62 % 고체 PFA, 입도 185-245 nm, PPVE 함량 2.9-3.6 중량%, MFR 1.3-2.7 g/10 min @ 372 ℃ FEP 분산물: 54.5-55.5 % 고체 FEP, 입도 160-220 nm, HFP 함량 9.3-12.4 중량%, MFR 11.8-21.3 g/10 min @ 372 ℃
실시예 1- 플루오로중합체 UMB 의 내마모성
세척하고 프라이머로 코팅한 일련의 웨이퍼 기판을 상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오버코트를 프라이밍된 기판에 도포하였다. 실시예 1에서 형성된 오버코트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물을 가졌다. 군청(UMB) 충전비를 건조 필름 중 0 중량% 내지 20.0 중량% 범위로 변화시켰다. 샘플에 대해 상기한 트러스트 마모성 중량 손실 방법에 의해 시험된 마모성 시험 결과를 상이한 UMB 충전량에 대해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표 2- 군청에 의해 변형된 탑코트 조성물
건조 필름 중 군청 충전비 중량% 0.0 4.0 8.0 12.0 16.0 20.0
플루오로중합체
PFA 분산물 37.9 37.9 37.9 37.9 37.9 37.9
PFA 분말 12.3 12.3 12.3 12.3 12.3 12.3
용매
24.5 23.0 21.3 19.5 17.5 15.3
유기물* 17.4 17.4 17.4 17.4 17.4 17.4
보조제
도전성 운모 1.89 1.89 1.89 1.89 1.89 1.89
군청*** 0.00 1.55 3.22 5.06 7.06 9.27
다른 보조제** 0.203 0.203 0.203 0.203 0.203 0.203
분산제 5.49 5.49 5.49 5.49 5.49 5.49
총 중량% 100 100 100 100 100 100
*다른 유기물은 용매,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탄화수소, 예를 들면 중 나프타, 크실렌 등, 올레산, 트리에탄올 아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보조제는 비도전성 운모,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군청 및 물은 분산물로 합쳐진다. PFA 분산물: 58-62 % 고체 PFA, 입도 185-245 nm, PPVE 함량 2.9-3.6 중량%, MFR 1.3-2.7 g/10 min @ 372 ℃ PFA 분말: 9.7-17.7 g/10 min의 용융 유량 및 20 ㎛의 평균 입도를 갖는 3.5-4.6 중량% PPVE를 함유하는 TFE/PPVE 플루오로중합체 수지.
표 3 -트러스트 마모성 시험 결과
필름 중 군청 충전비 중량% 0(대조군) 4.0 8.0 12.0 16.0 20.0
마모 지수(1 mg 마모 당 주기) 263.2 444.7 416.2 681.8 909.1 937.5
하기 비교예 A 및 2에서 형성된 오버코트 층은 하기 예비-베이킹 조성물을 갖는다.
표 4 -실시예 A, 2에 대한 오버코트 조성물
건조 필름 중 군청 충전비 중량% 0(대조군) 6.4
A 2
성분 중량% 중량%
플루오로중합체
PFA 분산물 37.9 36.3
PFA 분말 12.3 11.7
용매
24.8 25.7
다른 유기물* 17.4 16.7
안료
도전성 운모 1.9 1.8
군청 - 2.4
다른 안료** 0.2 -
분산제 5.5 5.4
총계 100.0 100.0
*다른 유기물은 용매, 예를 들면 N-메틸-2-피롤리돈,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탄화수소, 예를 들면 중 나프타, 크실렌 등, 올레산, 트리에탄올 아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안료는 비도전성 운모,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PFA 분산물: 58-62 % 고체 PFA, 입도 185-245 nm, PPVE 함량 2.9-3.6 중량%, MFR 1.3-2.7 g/10 min @ 372 ℃. PFA 분말: 9.7-17.7 g/10 min의 용융 유량 및 20 ㎛의 평균 입도를 갖는 3.5-4.6 중량% PPVE를 함유하는 TFE/PPVE 플루오로중합체 수지.
비교예 A - 대조군 코팅
상기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 층을 알루미늄 시험 롤러(10.5 in, 26.7 cm 길이; 1.125 in, 2.9 cm 직경)에 도포한 후, 150 ℃에서 5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프라이머 층의 건조 필름 두께(DFT)는 8-12 ㎛였다. 군청 및 미세펄프를 함유하지 않는 오버코트 A를 도포한 후, 800 ℉(427 ℃)에서 10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코팅의 총 건조 필름 두께(DFT)는 35-45 ㎛였다. 이 코팅은 상기한 롤러 마모성 시험으로 시험한 경우 1068 주기/미크론 마모를 제공하였다. 코팅을 시판되는 복사기, 리코 AF 350으로 시험함으로써 상기한 박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코팅 마모로 인해 약 35,000 카피 후 토너 오염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2 - 군청 변형
상기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 층을 알루미늄 시험 롤러(10.5 in, 26.7 cm 길이; 1.125 in, 2.9 cm 직경)에 도포한 후, 150 ℃에서 5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프라이머 층의 건조 필름 두께(DFT)는 8-12 ㎛였다. 군청을 함유하는 오버코트 2를 도포한 후, 800 ℉(427 ℃)에서 10분 동안 베이킹하였다. 코팅의 총 건조 필름 두께(DFT)는 35-45 ㎛였다. 이 코팅은 상기한 롤러 마모성 시험으로 시험한 경우 3814 주기/미크론 마모를 제공하였다. 코팅을 시판되는 복사기, 리코 AF 350으로 시험함으로써 상기한 박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코팅 마모로 인해 약 50,000 카피 후 토너 오염이 발생하였다.
표 5 - 롤러 마모성 시험의 요약
A 2
대조군 UMB
UMB 중량%, 필름 0 6.4
미크론 당 주기 1068 3814

Claims (15)

  1.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증가시키기 충분한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필름 코팅을 형성하기 전 플루오로중합체에 혼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정착 롤(fuser roll) 상의 플루오로중합체 필름 코팅의 내마모성 증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중합체 및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이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50 % 이상 증가된 것인 방법.
  3.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증가시키는 것인 플루오로중합체 및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오버코트 조성물.
  4.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을 플루오로중합체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에 비해 25 % 이상 증가시키는 것인 플루오로중합체, 유효량의 전기도전성 미립자 물질 및 유효량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전기도전성 오버코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하는 제올라이트의 양이 건조 필름 조성물 중 3 중량% 이상이고, 생성된 조성물이 정착 롤에 대한 필름 코팅으로 형성된 경우 복사기 토너에 대한 접착에 저항성을 갖는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하는 제올라이트의 양이 약 3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전기도전성 미립자 물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가 알칼리 금속 규산알루미늄인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물이 군청(ultramarine blue) 안료인 조성물.
  10. 제3항에 있어서, 정착 롤에 대한 필름 코팅 형태의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액체 매질 중에 분산된 조성물.
  12. 제3항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조성물.
  13. 제3항 기재의 조성물로 된 필름.
  14. 제12항에 있어서, 정착 롤 상의 필름 코팅으로서의 필름.
  15. 제3항 기재의 조성물의 정착 롤 상 필름 코팅 형성 용도.
KR1020067024585A 2004-05-28 2005-05-27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KR20070021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4585A KR20070021217A (ko) 2004-05-28 2005-05-27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75,321 2004-05-28
KR1020067024585A KR20070021217A (ko) 2004-05-28 2005-05-27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217A true KR20070021217A (ko) 2007-02-22

Family

ID=4365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585A KR20070021217A (ko) 2004-05-28 2005-05-27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2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6881A (en) Coated fuser members
EP000854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xergraphic fuser roll having an abhesive surface
US5547759A (en) Coated fuser members and methods of making coated fuser members
EP0561981B1 (en) Non-stick coating system with ptfe and pfa or fep for concentration gradient
KR100187385B1 (ko) 도전성 및 비점착성 롤러
US20050267246A1 (en) Abrasion resistant fluor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zeolite
US6225409B1 (en) Fluorosilicone interpenetrating network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CA2793758C (en) Fus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056586A1 (en) Multilayer fuser roll having fluoropolymer coating on a compliant baselayer and method of forming
EP2030089A1 (en) Fuser member
EP1749062B1 (en) Abrasion resistant fluor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pulp
US20110159276A1 (en) Fuser member with fluoropolymer outer layer
US7056578B2 (en) Layer comprising nonfibrillatable and autoadhesive plastic particles, and method of preparation
TW201936760A (zh) 積層體及其製造方法、以及成形體及其製造方法
US5720703A (en) Amorphous fluoropolymer coated fusing member
US8512840B2 (en) Thermoplastic polyimide/polybenzimidazole fuser member
JP4872172B2 (ja) フッ素樹脂被覆物製造方法及びフッ素樹脂被覆物
US7462395B2 (en) Fuser member
KR20070021217A (ko)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KR20070017387A (ko) 미세펄프를 함유하는 내마모성 플루오로중합체 조성물
WO1999007552A1 (fr) Article revetu de copolymere fluore
JPH11316515A (ja) 用紙分離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