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113A - Automatic dosage unit - Google Patents

Automatic dosag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113A
KR20070021113A KR1020067012799A KR20067012799A KR20070021113A KR 20070021113 A KR20070021113 A KR 20070021113A KR 1020067012799 A KR1020067012799 A KR 1020067012799A KR 20067012799 A KR20067012799 A KR 20067012799A KR 20070021113 A KR20070021113 A KR 2007002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ispensing
coffee
dispensing apparatus
automatic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벤 말리케
Original Assignee
토벤 말리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벤 말리케 filed Critical 토벤 말리케
Priority to KR102006701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113A/en
Publication of KR2007002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1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8Beaters or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8Attachment of mil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자동분배장치(1)는 저장장치(2)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원추형상 분쇄기와, 식별장치와, 깔때기와, 체결장치와, 잠금장치를 구비하며, 주어진 물질의 미리 정해진 양을 분쇄하여 특정한 회수장치로 주입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커피콩이 채워진 저장장치(2)와 연결된 커피침출용기가 체결기구에 삽입되면, 분배장치가 커피침출용기의 크기를 자동적으로 기록하고 미리 정해진 양의 커피가 분쇄되어 커피침출용기로 직접 유입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부분은 회수장치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점과, 중공 구동 축을 통해 물질이 분쇄되어 회수장치로 직접 유입되는 점과, 저장장치가 설치 시에 개방되고 분리 시에 폐쇄되는 점과, 아울러 분쇄공정이 진행되는 전체 시간 동안 회수장치가 분배장치에 장착되는 점이다.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device 2, a conical grinder driven by a motor, an identification device, a funnel, a fastening device, and a locking device, and a predetermined material of a given material. The amount is crushed and arranged to inject into a specific recovery device. For example, when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connected to the storage device 2 filled with coffee beans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mechanism, the dispensing device automatically records the size of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is ground to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It comes in directly. The nove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dentifying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the fact that the material is crushed and introduced directly into the recovery device through the hollow drive shaft, and that the storage device is opened at installation and closed at separation. In addition, the recovery device is mounted on the distribution device for the entire time of the grinding process.

Description

자동분배장치{Automatic dosage unit}Automatic dosage unit

본 발명은 물질을 회수장치로 분배하기 위한 자동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자동분배장치를 위한 저장장치와 자동분배장치의 사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 to a recovery device.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 storage device and an automatic distribution device for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distribution device.

다양한 물질의 분배를 위한 분배장치들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장치에서 물질들은 미리 준비되거나 분배장치 자체와 관련하여 준비된다.Dispensing devices for the dispensing of various substances are known, in which substances are prepared in advance or in connection with the dispensing device itself.

예를 들어 물질이 커피와 같은 음식물인 경우에 대하여, 종래의 분배장치에서의 몇 가지 문제점이 특별히 알려져 있다. 이들 분배장치는 예를 들어 커피그라인더(coffee grinder)나 커피밀(coffee mill)일 수 있는데, 이들은 예로써 완제품의 커피 음료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커피콩의 가루를 준비하기 위해 조정된다.Some problems with conventional dispensing devices are particularly known for the case where the substance is food, such as coffee. These dispensing devices can be, for example, coffee grinders or coffee mills, which are adjusted, for example, to prepare powder of coffee bean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finished coffee beverages.

최근 커피와 커피음료에 대한 선호도가 갈수록 대중화 되어가며, 사람들은 카페나 또는 전문화된 '커피 하우스'에서 한잔의 커피를 종종 즐기곤 한다. 커피음료는 정말 식도락의 경험이 되고 있다.Recently, the preference for coffee and coffee drinks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and people often enjoy a cup of coffee in a cafe or specialized 'coffee house'. Coffee drinks are really a gourmet experience.

이와 같은 인기와 함께 카페와 가정에서 커피를 맛의 관점에서 최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주로 커피가 신선하지 않은 경우 쓴맛을 낼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With such popularit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process coffee in terms of taste in cafes and homes. This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coffee can be bitter if it is not fresh.

커피를 우려내기 바로 직전에 커피콩 가루를 제공하면 좋은 맛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특별히 증명된 장점이다.Providing a good taste just before brewing coffee is a particularly proven benefit.

커피콩은 에테르성 기름을 가지고 있어서 분쇄 이후에는 산화가 시작된다. 커피의 맛이 쓰게 변하는 것은 이와 같은 산화현상에 의한 것이다. 이는 커피콩의 분쇄로부터 커피콩을 사용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흐를수록 쓴맛이 생길 가능성이 더 커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분말커피가 진공포장된 상태로 종종 판매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Coffee beans have etheric oils, so oxidation begins after grinding. It is this oxidation that causes the coffee to taste bitter. This means that the more time passes from crushing coffee beans to using them,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bitterness. For this reason, it can be said that powdered coffee is often sold in a vacuum.

분말커피를 보관하면 커피의 맛을 떨어뜨린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커피콩 자체를 보관하면 에테르성 오일이 커피콩 안에 붙잡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맛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It has been explained that storing powdered coffee reduces the taste of coffee. In contrast, storage of the coffee beans themselves does not cause this deterioration of taste because ethereal oil is trapped in the coffee beans.

신선한 커피분말의 보관과 관련한 다른 문제점은 커피분말이 항상 기름기를 가지기 때문에 보관용기, 저장소 또는 저장장치가 쉽게 기름기 범벅이 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기름기 범벅의 표면에서의 에테르성 오일은 나머지 신선한 커피분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금방 산화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피 맛을 떨어뜨린다. 표면에 달라붙은 오래된 커피는 주변의 신선한 커피에 변질된 맛을 발한다.Another problem associated with the storage of fresh coffee powder is that the container, reservoir or storage device is easily greasy because the coffee powder is always greasy. The ethereal oil on the surface of the greasy bump is oxidized quickly for the remaining fresh coffee powder as well, and the coffee taste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 old coffee that sticks to the surface gives a fresh taste to the surrounding fresh coffee.

신선한 커피분말이 달라붙을 수도 있는(달라붙기가 쉽다) 모서리나 홈에 커피분말이 직접 접촉한다면 이후에 곧 방치되어 그 자체가 발효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커피의 심각한 변질을 초래할 것이다.If the coffee powde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corners or grooves where fresh coffee powder may stick (it is easy to stick), it may later be left to ferment itself. This will result in severe deterioration of the coffee provided to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은 인기로 인해 커피콩을 준비하고, 그 이후에 신선한 커피분말이 용기 또는 저장장치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지 않게 하여 이를 곧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었다.The popularity as described above has increased the need for the ability to prepare coffee beans, after which the fresh coffee powder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or storage device and can be used immediately.

카페와 레스토랑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침출용기의 커피를 대접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가정에서는 신선한 커피분말이 자주 사용되는데, 커피분말은 커피침출용기에 투입하기 바로 직전에 준비된다. 이와 같은 가정용 커피그라인더 또는 커피밀은 신선한 커피분말이 그라인더에 달라붙었을 때 사용자가 때때로 이를 정확하게 청소하지 않아 맛이 변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동일한 문제점을 갖는다. 더구나 이와 같은 커피침출용기를 위해 얼마나 많은 커피가 사용되어야 하는지, 다시 말해 완성된 커피가 얼마나 독한지에 대한 반복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It is becoming commonplace to serve leach containers at home as well as in cafes and restaurants. Fresh coffee powders are often used at home, which is prepared just before pouring into a coffee brew container. Such a home coffee grinder or coffee mill has the same problem with the phenomenon that when the fresh coffee powder sticks to the grinder, the user sometimes does not clean it correctly and the taste changes. Moreover, there is a repetitive problem of how much coffee should be used for such a coffee brew container, ie how toxic the finished coffee is.

요즘의 카페에는 에스프레소 커피에 적합한 커피그라인더가 있다. 이와 같은 커피그라인더는 분말이 너무 미세하므로 커피침출용기에 사용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카페들이 커피침출용기에 신선한 커피분말 대신에 미리 갈아둔 커피분말을 사용하므로, 분배의 문제점이 다시 발생한다.Today's cafes have a coffee grinder suitable for espresso coffee. Such coffee grinders cannot be used in coffee brewing containers because the powder is too fine. This causes the cafes to use the coffee powder ground in advance of the fresh coffee powder in the coffee leaching container, the problem of distribution occurs again.

그러므로 종래 존재하는 모든 커피그라인더는 커피그라인더를 사용하는 사람이 커피가 만들어질 커피침출용기의 크기를 먼저 확인한 이후에 고려 중인 커피침출용기를 위한 충분한 커피의 양을 얻기 위해 분쇄될 커피콩의 양을 수동으로 추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커피그라인더를 사용하는 사람이 분쇄된 커피분말을 커피침출용기로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all existing coffee grinders must first determine the size of the coffee leach container from which the coffee grinder is to be made before the amount of coffee beans to be ground to obtain sufficient coffee volume for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under consideration. In addition to manual estimation, a person using a coffee grinder had to transfer the ground coffee powder to a coffee brewing container.

또한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커피그라인더는 신선한 커피분말이 커피가 사용될 커피침출용기로 직접 주입되지 않는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어떠한 경우이든지 커피를 저장하는 형태가 존재하기 때문에 신선한 커피분말 내에 존재하 는 에테르성 오일이 산화하여 쓴맛으로 느껴진다. 그러므로 어떤 형태로든지 분말커피를 저장하는 것은 맛의 변질을 초래한다.In addition, all coffee grinders available on the market have a fundamental problem that fresh coffee powder is not directly injected into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in which coffee is to be used. In any case, since there is a form for storing coffee, the ethereal oil present in fresh coffee powder is oxidized and feels bitter. Therefore, storing powdered coffee in any form leads to a taste deteriora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한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distribution device that solves the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어진 용기의 크기를 식별함으로써 주어진 물질을 소정량 분배할 수 있는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ensing a given amount of a given substance by identifying the size of a given contai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질을 직접 준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를 분배할 수 있는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directly preparing a substance and dispensing 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짧고 직접적인 경로를 구비하므로 분배되는 동안 물질이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which has a short and direct path for dispensing the substance, thereby reducing the contact of the substance with the surface during dispen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쇄장치와 회수장치의 사이에 짧은 거리를 구비하는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short distance between the grinding apparatus and the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질의 소비량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sumption of a subst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장치를 분배장치에 고정할 수 있는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which can fix a storage device to a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배될 물질의 준비를 조정할수 있는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which can adjust the preparation of a substance to be dispen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질을 준비하는 동안의 소음이 현저히 감소된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in which noise during preparation of a material is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에 관한 자동분배장치는 회수장치의 크기를 식별하여 식별된 크기에 기초하여 소정 량의 물질을 분배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식별장치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는 신규한 것이다.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vel in that it has an identification device arranged to identify a size of the recovery device and to dispense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 based on the identified size.

이와 같은 식별을 통해 회수장치의 크기에 비례하는 정확한 양으로 분배가 실시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회수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실현된다.This identification enables the distribution to be carried out in an accurate amount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thereby realizing the possibility of using a plurality of recovery devices having various sizes.

본 발명은 서두에서 정의된 장치로서 회수장치의 크기를 인식하는 자동분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distribution device that recognizes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as a device defined at the beginning.

이하에서는 분배장치가 주로 커피의 분배 및 준비와 관련하여 서술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는 완제품을 만들기 위해 특정한 크기에 대해 소정량을 분배하는 것이 필수적인 기타 물질에 대하여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해 둔다.In the following the dispensing device will be described primarily in connection with the dispensing and preparation of coffee, but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equally used for other substances which are essential for dispensing a predetermined amount for a particular size in order to make a finished product. Note that you ca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장치는 물질의 분배량을 회수장치의 크기에 맞추어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회수장치를 위해 물질의 신속하고 정확한 분배를 용이하게 하며, 이를 통해 식별된 회수장치에 맞추어 정확한 분배량을 보조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compris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amount of the material to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The control facilitates the quick and accurate dispensing of the material for the recovery device, thereby assisting in the correct dispensing amount for the identified recovery device.

식별장치는 물질의 분배 도중에 회수장치를 수용하고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배장치의 사용자가 자동분배 도중에 회수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중간에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have a locking device for receiving and locking the recovery device during dispensing of the substance. This allows the user of the dispensing device to mount the recovery device during automatic dispensing. And you can do other things in the middle, for examp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르면, 분배장치는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분배장치가 용이하게 소정량의 물질을 담을 수 있어 재주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물질은 저장장치 내에 적절한 방법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콩은 밀봉 보관됨으로써 커피콩의 맛이 예를 들어 개방된 봉지에 보관되었을 때보다 더 오래 지속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장치에 예를 들어 다른 커피콩과 같이 다른 물질을 담은 복수 개의 저장장치들이 구비되어, 원하는 맛을 위해 쉽게 교체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ispensing device may comprise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the substance. This allows the dispensing device to easily contain a predetermined amount of material, thereby reducing the re-injection time. The material may also be stored in a storage device in a suitable manner. For example, the coffee beans are kept sealed so that the taste of the coffee beans lasts longer than when stored in an open bag, for example. Preferably one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containing different substances, for example other coffee beans, so that they can be easily replaced for the desired taste.

본 발명에 관한 편리한 형태로서, 분배장치는 물질을 준비하는, 예를 들어 갈거나 빻는 연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수장치로 분배하기 바로 직전에 물질을 준비할 수 있다. 연마장치는 물질을 분쇄함으로써 커피콩과 같은 분배되는 물질을 물과 섞기 위해 준비시키는 데 사용된다.As a convenient form of the invention, the dispensing device may comprise a polishing device for preparing, for example, grinding or grinding material. This allows the preparation of the substance immediately before dispensing to the recovery device. A grinding device is used to prepare a dispensing material, such as coffee beans, to mix with water by grinding the materi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마장치는 주로 깔때기 형상인 외측 칼날과, 주로 원추형상인 내측 칼날을 구비하는 한 쌍의 원추형 칼날을 구비할 수 있다. 원추형 칼날을 사용하면 예를 들어 커피콩을 아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으며, 이는 최종적인 맛의 경험에 대단히 중요하다. 경험에 의하면 이와 같은 형태의 연마장치는 커피콩을 빠르고 균일하게 분쇄하므로 커피콩의 맛을 별로 많이 제거하지는 않는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shing apparatus may include a pair of conical blades having an outer blade mainly having a funnel shape and an inner blade mainly having a conical shape. The use of conical blades makes it possible to grind coffee beans very effectively, for example, which i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final taste experience. Experience has shown that this type of grinding machine grinds coffee beans quickly and evenly, and does not remove much of the coffee beans' taste.

외측 칼날은 바람직하게는 내측 칼날의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수장치가 한 쌍의 칼날의 바로 밑에 배치될 수 있고 저장장치도 동일하게 내측 칼날의 구동축을 피하여 칼날의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장치에서는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물질의 최적 경로를 어렵게 하였던 점이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물질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예를 들어 저장장치로부터 칼날로 쉽게 이동하고, 칼날에서 분쇄된 이후에 회수장치로 이동한다. 더구나 물질은 분배되는 동안 분배장치의 표면과 가능한 최소한의 접촉을 갖는다. 종래 커피 그라인더에서 물질이 분배장치의 표면에 달라붙어 준비된 커피콩이 산화되어 맛이 쓰게 변할 수 있었지만, 이와 같은 최소한의 접촉으로 인해 이와 같은 위험이 최소화된다.The outer blade can preferably be arranged to rotate around the inner blade. The retrieval device can therefore be arranged directly below the pair of blades and the storage device can also be arranged directly above the blade, avoiding the drive shaft of the inner blade in the same way. This takes up too much space in the conventional device, making the optimal path of the material difficult. In thi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aterial is easily moved by its weight, for example from the reservoir to the blade, and then to the recovery device after being crushed at the blade. Moreover, the material has the smallest possibl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ispensing device during dispensing. In conventional coffee grinders the material could stick to the surface of the dispensing device and the prepared coffee beans could oxidize and become tasteful, but this minimal contact minimizes this risk.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칼날과 외측 칼날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고, 이 유격은 물질을 준비하는 동안 물질이 한쌍의 원추형 칼날을 통과하여 회수유닛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re is a play between the inner blade and the outer blade, which allows the material to pass through a pair of conical blades into the recovery unit while preparing the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수단이 물질의 준비 정도를 조정하도록, 즉 칼날들 사이의 유격을 조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유격을 변화시킴으로써 가공되는 물질 가루의 입자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djusting means may be arranged to adjust the degree of preparation of the material, ie to adjust the play between the blades. By changing the play, the particle size of the material powder to be processed can be changed.

바람직하게는 구동장치가 외측 칼날을 구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장치는 내측 칼날 둘레에서 외측 칼날을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모터는 한 쌍의 칼날의 중심에 대하여 벗어난 축에 배치되어, 예를 들어 벨트 구동과 같은 동력 전달에 의해 외측 칼날을 구동한다.Preferably the drive can be arranged to drive the outer bla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is a motor that rotates the outer blade around the inner blade. The motor is disposed on an axis off the center of the pair of blades, for example driving the outer blades by power transmission such as belt drive.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회전속도가 변화하여 물질의 준비 시간이 변하도록 구동장치와 연결되게 제어장치가 배치된다. 이는 특별히 커피콩의 분쇄와 관련하여 유용한데, 커피콩은 경도와, 형태와, 볶는 정도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커피의 최종 맛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분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가 대단히 중요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측 칼날의 회전 속도가 요구되는 소음 수준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is changed to change the preparation time of the material. This is particularly useful with regard to grinding coffee beans, since coffee beans differ in hardness, shape, and degree of roasting. Therefore, how the grinding is done is very important to experience the final taste of the coffee. More preferab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uter blade can be adjusted to the required noise level.

바람직하게는 저장장치가 회전 운동에 의해 자동으로 분배장치에 장착되고, 분배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저장장치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orage device is automatically mounted to the dispensing device by a rotary motion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dispensing device. This allows the storage device to be exchanged quickly and easily.

바람직하게는 저장장치를 분배장치에 잠그도록 잠금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분배장치가 공공장소에 설치되거나, 관리인이 저장장치의 내용물을 도난으로부터 보호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특별히 유용하다. 특별히 커피콩의 경우에, 3 리터의 저장장치 내의 내용물의 가격은 고가이다. 이로써,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를 설치한 카페 주인은 낭비되는 손실과 도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장치는 저장장치와 한 쌍의 원추형 칼날의 입구 사이에 잠금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컴팩트한 장치와 저장장치로부터 한 쌍의 칼날에 이르는 경로가 구현된다.Preferably the locking device can be arranged to lock the storage device to the dispensing device. This is particularly useful if the distribu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or if the manager wants to protect the contents of the storage device from theft. Especially in the case of coffee beans, the price of the contents in a three liter storage device is expensive. Thus, for example, a cafe owner who installs the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sk of wasted loss and the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devic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device and the inlet of the pair of conical blades. This arrangement results in a path from a compact device and storage to a pair of blad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저장장치가 분배장치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구동장치의 운동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안전장치는 분배장치의 저장장치가 일반 사용자에 의해 아주 안전하게 교환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Also preferably, when the storage device is removed from the dispensing device,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movement of the drive device is arranged. Such a safety device provides the convenience that the storage of the dispensing device can be exchanged very safely by the general user.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수장치의 크기의 식별은 스트레인 게이지, 마이크로 스위치, 광학 센서, 무게셀, 광식별기, 무선 계측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써 회수장치의 크기의 아주 정밀한 식별이 용이하고, 수동 계측에 의한 오차의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분배장치는 회수장치의 다양한 크기의 식별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is identified by strain gauges, micro switches, optical sensors, weight cells, optical identifiers, radio meters or the like. This facilitates a very precise identification of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and minimizes the risk of error by manual measurement. The dispensing device may also be set up to identify various sizes of recovery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폐쇄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적어도 하나의 차단장치를 구비하여, 차단장치에 의해 개구부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폐쇄장치가 다른 양의 물질을 분배할 수 있다. 개구부의 크기의 변화는 분배장치가 식별한 회수장치의 크기에 따른다. 이로써 주어진 회수장치를 위하여 정확한 소정의 적절한 양이 분배된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losure device has at least one opening and at least one blocking device, which allows the closing device to dispense different amounts of material by varying the size of the opening by the blocking device.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opening depends on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identified by the distribution device. This dispenses the correct, predetermined amount appropriate for a given recovery devi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차단장치는 폐쇄장치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차단하도록 배치된다.Also preferably, the blocking device is arranged to seal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closing device.

분배장치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분배장치는 진동을 저감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질의 준비와 관련한 소음의 수준을 사람의 귀에 적합한 수준에까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점은, 예를 들어, 선행기술과 관련한 커피그라인더의 소음 수준이 너무 높기 때문에 카페 고객의 불편함이 되었던 카페에서는 특별히 중요하다.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spensing apparatus, the dispens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This minimizes the level of noise associated with the preparation of the material to a level suitable for the human ear.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cafes, which, for example, were uncomfortable for cafe customers because the noise level of the coffee grinder in relation to the prior art is too hig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깔때기와 같은 안내장치가 물질을 회수장치로 안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깔때기는 물질을 안내하여 최대한 신속히 회수장치로 이르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분배를 보조한다. 또한 식별을 실시하기에 앞서 회수장치를 분배장치에 부착할 때에 깔때기가 회수장치의 방향 설정을 보조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guide device, such as a funnel, may be arranged to guide the material to the recovery device. This funnel assists in more accurate dispensing by guiding the material to the recovery device as quickly as possible. The funnel may also assist in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recovery device when attaching the recovery device to the distribution device prior to identifica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is described below.

또한 바람직하게는 분배장치는 물질이 대체로 장치에 달라붙지 않으며 분배되도록 하는 정전기 방지기능을 구비한다.Also preferably, the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antistatic function which allows the material to be dispensed without generally sticking to the devic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정전기 방지기능은 물질의 흐름이 확실하게 되도록 칼날의 출구에서 깔때기에 이르는 형상에 구비될 수 있어, 이를 통해 물질이 도중에 회수장치 측으로 배출되는 물질의 흐름이 확보된다. 커피가 마찰로 인해 대전되는 것은 분쇄 도중에 일어난다. 분쇄 이후의 전체 전하는 그대로 0 이지만 전자들이 고르지 않게 분산되므로 '고착'을 유발하는 많은 이온들이 존재한다. 커피를 적절히 '교반'시키기만 한다면 전자들은 다시 '잘' 분배되므로 커피는 더 이상 '달라붙지' 않는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antistatic function can be provided in the shape from the exit of the blade to the funnel so that the flow of the material is assured, thereby ensuring the flow of the material discharged to the recovery device side during the process. The charging of coffee due to friction occurs during grinding. The total charge after grinding remains zero, but there are many ions that cause 'sticking' because the electrons are unevenly dispersed. If the coffee is properly 'stirred', the electrons are 'well' distributed again so the coffee no longer 'sticks'.

정전기 방지기능은 물질이 접촉하는 영역에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처리는 연마(polishing), 아노다이징(eloxation) 또는 코팅 기술(coating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tatic function can be provided by surface treatment of areas in which the material is in contact. Such surface treatments may include polishing, anodizing or coating applic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준비된 물질이 분배되는 소정의 위치에 회수장치가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조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수장치의 크기를 식별하는 동안 회수장치가 정확하게 유지되지 않는 것과 같은 사람에 의한 오차가 최소화되며, 회수장치를 위치시키기가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 positioning device for the recovery device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 the prepared material is dispensed. This minimizes errors caused by humans such as the recovery device not being correctly maintained while identifying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and facilitates positioning of the recovery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장치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질의 새로운 분량을 추가해야할 필요가 있는 적절한 시간에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질의 소모량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는 식별장치 자체뿐만 아니라 구동장치도 제어할 수 있다. 물질이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얼마나 많은 양으로 분배되었는지를 감시하는 기능도 메모리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memory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ensing device may be arranged. This allows the consumption of the substance to be monitored to inform the user at the appropriate time that a new quantity of the substance needs to be added. In addition, the memory device may control not only the identification device itself but also the driving device. The memory device may also include the ability to monitor how often and in what amounts the material is distributed.

또한 본 발명은 폐쇄장치를 포함하는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카페 주인이 다수의 분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다른 종류의 커피를 다른 저장장치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하나의 저장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새로운 것을 장착한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torage device comprising a closure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a user to store different types of coffee in different storage devices so that the cafe owner can provide various types of coffee without using multiple dispensing devices. Here the user easily removes one storage device and mounts a new one.

본 발명은 이하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invention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s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배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n automatic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하우징의 부분이 제거하여 회수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는 분배장치의 도면이다.FIG. 2 is a view of a dispensing device showing that a portion of the housing has been removed and a recovery device is installed.

도 3은 분배장치의 일부를 하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dispensing device viewed diagonally from the lower surface.

도 4는 도 3의 부분을 상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of FIG. 3 viewed diagonally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장치와 칼날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from above of the closing device and th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의 단면도이다.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폐쇄장치의 전개도이다.7 is an exploded view of the closure device.

도 8 내지 도 11은 페쇄장치의 상세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8 to 11 show detailed embodiments of the closure device.

모든 도면들은 아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축적이 반드시 맞지는 않을 것 이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기 위해 필수적인 부분들만을 도시하였으며, 다른 부분들은 생략되거나 단순히 암시적으로 표현되었다.All drawings are very schematic and will not necessarily scale. Also, only the essential parts are shown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parts are omitted or simply implicitly expres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배장치(1)를 도시하는 것으로, 장착장치(20)에 의해 벽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장착하도록 준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분배장치는 테이블에 자유롭게 세워지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에 도시된 분배장치에는 분배를 위한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장치(2)가 장착된다.1 shows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is prepared for mounting on a wall or the like by the mounting device 20.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nsing device may be modified so as to stand freely on the table. The dispensing device shown here is equipped with a storage device 2 for storing the material for dispensing.

또한 도 2에서는 분배장치(1)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기 위해 커버 또는 하우징(3)이 제거된 위치에 회수장치(4)를 지지하는 자동분배장치가 도시된다. 분배장치는 식별장치(5)를 구비하는데, 식별장치(5)는 회수장치의 크기를 식별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다른 양의 물질을 분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분배되는 양은 회수장치(4)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Also shown in FIG. 2 is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which supports the retrieval device 4 in a position where the cover or housing 3 has been removed so that the interior of the dispensing device 1 is visible. The dispensing device has an identification device 5, which is arranged to identify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This makes it easier to dispense different amounts of material. The amount dispensed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4.

여기에서의 회수장치(4)는 커피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되는 잘 알려진 커피침출용기(4)의 형상으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식별장치(5)는 커피침출용기(4)의 지지를 보조하고, 이를 통해 물질의 분배 중에 회수장치를 수용하고 체결하는 체결장치(7)를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는 커피침출용기(4)의 프레임(22)은 식별장치(5)의 상면에 접하고 깔때기(8)의 테두리의 내측에 연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retrieval device 4 here is shown in the form of a well-known coffee leaching vessel 4 which is mainly used for making coffee. The identification device 5 of this embodiment is shown to assist the support of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4 and thereby surround the fastening device 7 for receiving and fastening the recovery device during dispensing of the material. The frame 22 of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4, which may be made of meta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5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edge of the funnel 8.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장치(7)는 여기에서 깔때기로 도시된 안내장치(6)도 구비한다. 안내장치는 물질을 회수장치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며, 식별장치(5)와 함 께 회수장치(4)를 고정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간단히 그리고 편리하게 커피침출용기를 설치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fastening device 7 also has a guide device 6, here shown as a funnel. The guide device is installed to guide the material to the recovery device, and fixes the recovery device 4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device 5. This allows the user to simply and conveniently install the coffee brew container.

미도시된 실시예에서, 카피침출용기는 자석에 의해 장착되거나, 커피침출용기를 둘러싸는 브라켓이나, 커피침출용기가 두 개의 막대 사이의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나, 수직방향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선반이나, 커피침출용기 프레임에 걸려 커피침출용기 자체의 무게나 스프링의 힘에 의해 용기를 내리 눌러 잠그는 복수 개의 걸림쇠나, 또는 다른 비슷한 방법들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In a non-illustrated embodiment, the copy brewing vessel is mounted by a magnet, a bracket surrounding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or an apparatus which allows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to be held in a position between two rods, or vertically up and down. It may be mounted by a removable shelf or by a plurality of braces that are hung on the coffee brew container frame to lock the container down by the weight of the coffee brew container itself or the force of the spring, or other similar methods.

자동분배장치는 연마장치(10)를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장치(9)를 체결장치의 옆에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여기에 도시된 연마장치(10)는 회수장치(4)와 폐쇄장치(6)의 사이에 설치된다.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is shown having a drive device 9 installed next to the fasten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to drive the polishing device 10. The polishing apparatus 10 shown here is provided between the recovery apparatus 4 and the closing apparatus 6.

도 2에는 진동을 저감하는 수단(35)이 도시된다. 진동저감수단은, 예를 들어 소음 수준을 낮추도록 작동 중인 칼날들 및 구동장치의 진동을 흡수하는 고무 와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이 커버와 연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은 진동을 줄이는 주된 수단들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고무인 와셔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장소와 커버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공기로 전달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구동수단을 밀봉시킬 수 있다.2 shows a means 35 for reducing vibration. The vibration reducing means may, for example, consist of blades in operation to lower the noise level and rubber washers which absorb vibrations of the driv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main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such as allowing the drive means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cover, which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washer, which is preferably rubbe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over and the place where the driving means is installed to seal the driving means to reduce noise transmitted to the air.

도 3은 커피침출용기(4)의 크기의 식별이 무게셀(11)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도시하며, 이는 다른 실시예로서 마이크로 스위치, 광학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광 식별기, 무선 계측기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 될 수 있다. 도 2는 커피침출용기가 설치되는 형태와, 식별장치를 위한 고정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깔때기(8)가 커피침출용기 내에서 어디까지 미치는지와, 그리고 커피침출용기가 식별장치(5)에 의해 어디에서 지지되는지를 도시한다. 커피침출용기가 분배장치에 장착된 이후에는, 커피침출용기가 식별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다. 커피침출용기는 식별장치(5)를 내리누르는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식별되고, 이를 통해 전자적으로 변환되는 신호를 전송하여 회수장치의 크기에 기초하여 적절한 분배량이 되도록 제어한다.3 shows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size of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4 is implemented by the weight cell 11,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a micro switch, an optical sensor, a strain gauge, an optical identifier, a radio meter or the like. Can be. 2 shows how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is installed, how far the funnel 8 is in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to provide a fixed criterion for the identification device, and where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is provided by the identification device 5. It shows if it is supported. After the coffee brewing vessel is mounted on the dispensing device, it is separated by the user after the coffee brewing vessel has been identified. The coffee brewing container is identified by its own weight depressing the identification device 5 and transmits an electronically converted signal through it to control the appropriate dispensing amount based on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도 4 및 도 5에서는 통로로도 기능할 수 있는 중공구동축을 통해 전기모터(9)에 의해 구동되는 원추형 칼날들의 하나를 도시한다.4 and 5 show one of the conical blades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9 via a hollow drive shaft which can also function as a passage.

원추형 칼날들 밑에는 회수장치의 위치결정, 체결, 식별을 동시에 수행하는 체결조립체가 있다. 식별은 무게셀에 의한 무게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Under the conical blades is a fastening assembly which simultaneously performs positioning, fast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recovery device. Identification is based on weight by weight cell.

예를 들어, 커피침출용기와 같은 회수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체결구조에서의 무게셀의 신호의 변화는 회수장치의 식별의 기초를 형성하며 물질이 분쇄되어 회수장치로 유입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구간 동안 모터를 구동한다.For example, by mounting a retrieval device, such as a coffee brew container, the change in the signal of the weight cell in the fastening structure forms the ba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retrieval device and the motor for the period of time necessary for the material to be crushed and introduced into the retrieval device. To drive.

이와 동시에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장착되어 있는 지정 회수장치를 위해 정확한 양의 물질만이 분쇄된다.At the same time, only the correct amount of material is ground for the designated recovery device installed during the process.

통로는 중공축에 의해 최소화되며, 개방/폐쇄 기구는 저장장치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passage is minimized by the hollow shaft and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orage device.

적어도 일단에 무게셀이 장착되는 두 개의 고정 막대들의 사이에 회수장치를 장착함으로써, 디지털로 기록되는 무게셀의 신호 변화의 함수로서 회수장치의 무게 가 결정된다.By mounting the retrieval device between at least one of the two fixed rods on which the weight cell is mounted, the weight of the retrieval device is determined as a function of the signal change of the digitally recorded weight cell.

도 6은 회수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며, 연마장치(10)는 주로 깔때기 형상인 외측 칼날(15)과 주로 원추형상인 내측 원추형상 칼날(16)을 포함한다. 외측 칼날(15)은 연마장치(10)의 중심에 대하여 다른 축에 배치되는 모터(9)에 의해 내측 칼날(16)의 둘레에서 회전한다. 이를 통해 회수장치(4)는 연마장치(10)의 바로 밑에 장착될 수 있고, 저장장치(2)도 연마장치(10)의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질이 저장장치(2)로부터 연마장치(10)까지 자중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하고, 분쇄장치(10)에서 분쇄가 완료된 이후에 회수장치(4)로 곧장 유입된다. 또한 이와 같이 물질은 저장장치로부터 회수장치에 이르는 데 가능한 최단 거리를 따라 이동하므로, 분배가 이루어지는 동안 표면과 최대한 적게 접촉하여 종래 장치에서처럼 분배장치(1)의 내측 표면에 물질이 달라붙는 위험을 최소화한다.6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recovery device, wherein the polishing apparatus 10 includes an outer blade 15 that is primarily funnel-shaped and an inner cone blade 16 that is primarily conical. The outer blade 15 is rotated around the inner blade 16 by a motor 9 arranged on a different axi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olishing apparatus 10. Through this, the recovery device 4 can be mounted directly under the polishing device 10, and the storage device 2 can also be mounted on the polishing device 10. Through this, the substance easily moves from the storage device 2 to the polishing device 10 by its own weight and flows straight into the recovery device 4 after the grinding is completed in the grinding device 10. The material also moves along the shortest possible distance from the reservoir to the recovery device, minimizing the risk of material stick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ensing device 1 as in a conventional device by making as little contact with the surface as possible during dispensing. do.

본 실시예에서, 외측 칼날은 외측 칼날의 주위에 있는 벨트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치차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통해 에너지의 전달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칼날은 공압, 유압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분배작업들 사이에 사용되지 않는 에너지들이 나중에 사용되기 위해 저장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가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outer blade is driven by a belt drive around the outer blade. However, as another embodiment, the transfer of energy may be implemented through gears or the like. The outer blade may also be driven by pneumatic, hydraulic or the like.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energy which is not used between distribution operations can be stored for later use.

중공의 구동축을 통해 물질을 분쇄하여 회수장치로 곧장 유입시킴으로써, 물질의 산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모터는 구동 벨트를 통해 외측 칼날을 구동한다.By crushing the material through the hollow drive shaft and flowing it directly into the recovery device, the oxidation of the material can be reduced. In other words, the motor drives the outer blade through the drive belt.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마장치(10)는 저장장치(2)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나게 배치되어 중심에서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저장장치(2)가 복수 개의 분배장치(1)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연마장치(10)는 회수장치(4)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나게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회수장치들(4)이 지지되어 동일한 회수장치(1)로부터 동일한 물질을 분배받아 분배장치(1)의 용량을 더욱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lishing apparatus 10 may be disposed off center with respect to the storage device 2 to allow storage at the center. This allows the same storage device 2 to be used by a plurality of distribution devices 1. In addition, the polishing apparatus 10 is disposed away from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recovering apparatus 4, so that the plurality of recovering apparatuses 4 are supported to receive the same material from the same recovering apparatus 1, so that the capacity of the distributing apparatus 1 is reduced. Can be used more fully.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동분배장치(1)는 챔버 내에 고정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연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블레이드에 대해 이동하므로, 블레이드가 분배될 물질을 통과하며 곱게 빻는다. 도 6b에 도시된 깔때기(8)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깔때기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 경사부(8a)는 깔때기 부분으로서 칼날에서 나온 물질이 부분(8b)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깔때기는 신선한 커피분말이 달라붙을 수도 있는 모서리나 홈을 갖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6b에 따른 깔때기(8)의 형상은 정전기로부터 커피를 보호한다. 이는 깔때기(8)의 형상이 커피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하여 커피가 깔때기를 통과하는 도중에 저절로 배출되는 곳인 회수장치로 유입되게 하기 때문이다.In yet another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nother type of polishing apparatus having a blade fixed in the chamber. The chamber moves relative to the blade, so the blade grinds finely through the material to be dispens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unnel 8 shown in FIG. 6B, the funnel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inclined portion 8a means to guide the material from the blade towards the portion 8b as a funnel portion. Through this funnel is formed so that the fresh coffee powder does not have corners or grooves that may stick. The shape of the funnel 8 according to FIG. 6b therefore protects the coffee from static electricity.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funnel 8 causes the coffee to slide and flow into the recovery device, which is the place where the coffee is spontaneously dischar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unnel.

도 6b에서 깔때기(8)의 부분(8b)은 45도 각도로 절단되며, 이를 통해 더 작은 회수장치들이 분배장치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분배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회수장치에 대해 더욱 유연하다.In FIG. 6B the portion 8b of the funnel 8 is cut at a 45 degree angle, which allows smaller recovery devices to be readily used in the dispensing device. The dispensing device is therefore more flexible for recovery devices of various sizes.

상술한 바와 같이, 회수장치는 주로 커피콩인 물질을 저장하도록 배치된다. 서두에서 언급한대로, 커피의 품질은 공기와 접촉함으로써만 서서히 감소되므로, 소정량만을 저장할 수 있다.As noted above, the recovery device is arranged to store material that is primarily coffee beans. As mentioned at the outset, the quality of the coffee is slowly reduced only by contact with air, so that only a predetermined amount can be stored.

그러나 품질이 떨어지기 이전에 커피콩이 보관될 수 있는 기간에 대한 제한들이 존재한다. 분말커피에 대해서, 커피콩은 봉지가 개봉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될 것이며, 따라서 맛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저장장치는 지나치게 자주 다시 채우지 않아도 될 만큼의 크기가 되어야 하며, 동시에 사용자가 신선한 커피콩을 저장장치에 주입하도록 하여 오래된 커피를 제공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 3 내지 4 리터의 양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n how long coffee beans can be stored before they have deteriorated. For powdered coffee, the coffee beans will oxidize over time when the bag is opened, thus reducing the taste. Therefore, the storage device must be sized so as not to be refilled too frequently,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user to inject fresh coffee beans into the storage device so as not to serve old coffee. The amount of 3 to 4 liters seems to be preferred.

바람직하게는 저장장치 내에 어떠한 형태의 정체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새로운 커피콩이 주입될 때 커피콩이 정지된 상태로 놓이는 지점이 저장장치 내에 하나도 없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저장장치는 재주입을 위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치를 청소하려는 경우 장치가 시각적으로 통제될 수 있음과 아울러 커피콩이 자동으로 혼합되기 때문이다.Preferably no form of congestion occurs in the storage device. This means that there is no point in the storage where coffee beans are stopped when new coffee beans are injected. The storage device is also preferably separated for reinjection. This is because if you want to clean the device, the device can be visually controlled and the coffee beans are automatically mixed.

저장장치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장치가 분배장치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나머지 커피콩들을 차단하도록 폐쇄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reservoir can be detached, it is preferred that the closure be arranged to block the remaining coffee beans when the reservoir is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저장장치는 유리나 플라스틱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device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glas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쇄장치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장치는 연결되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두 개의 플레이트들(50, 51)을 구비한다. 두 개의 플레이트들은 두 개의 플레이트들의 회전에 의해 서로 일치됨으로써 저장장치로부터 분배장치로 이어지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53)를 구비 한다. 이는 도 8에 명확하게 도시되며, 좌측의 동일한 도면에서 폐쇄장치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도시된다.7 shows an exploded view of a closur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evice shown in this embodiment has two plates 50, 51 which can be connected and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e two plates have openings 53 which coincide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two plates to form a passage from the reservoir to the distributor. This is clearly shown in FIG. 8, in the same figure on the left, with the closure device fully closed.

또한 폐쇄장치는 두 개의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되게 하는 손잡이(54)를 구비한다. 또한 설치된 깔때기를 지지하도록 세 개의 잠금 스프링들(55)이 배치된다.The closure also has a handle 54 which allows the two plates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ree locking springs 55 are also arranged to support the installed funnel.

그러므로 폐쇄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스프링들에 위에 배치되는 세 개의 가압편들(56)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 하측 플레이트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가압편들(56)은 플레이트의 구멍이 폐쇄되거나 개방되는 위치의 사이에서 60도 범위 내에 플레이트(51)가 위치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using the closing device, the lower plate can be fre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three pressing pieces 56 disposed above the springs. The pressing pieces 56 allow the plate 51 to be positioned within a 60 degree range between positions where the holes of the plate are closed or opened.

플레이트들이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플레이트의 둘레의 구멍들(58)은 서로 접한다. 이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연결된 폐쇄장치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스프링들에 의해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n the plates are in the open position, the holes 58 around the plate abut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 closure device provided with the plate can be accurately mounted by the locking springs as shown in FIG. 11.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들이 수동으로 폐쇄되도록 손잡이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가 폐쇄되는 이유는 잠금 스프링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잠기는 바닥 플레이트 때문에 두 개의 플레이트들이 상호 회전하기 때문이다. 상측 플레이트는 잠금 스프링의 요홈 내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측 플레이트는 바닥 플레이트에 대하여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폐쇄장치는 분배장치에 잠길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can be rotated so that the plates are manually closed. The reason why the plates are closed is because the two plates rotate together because of the bottom plate being locked against rotation by the locking spring. Since the upper plate rotates in the recess of the locking spring, the upper plate can freely rotat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This allows the closure device to be locked to the distribution device.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폐쇄기구 내에서 두 개의 플레이트들이 상호 회전할 수 있다. 두 개의 플레이트들에는 플레이트들이 서로를 잠금 위치로 덮을 수 있도록 하는 홈들이 존재한다. 플레이트들 가운데 하나는 저장장치에 대하여 고정되고, 다른 플레이트는 분배장치 자체에 대한 회전과 관련하여 고정된다. 회전은 정지스프링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로 한정된다. 그러므로 저장장치는 분리되었을 때에는 폐쇄되고, 장착되었을 때에 개방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two plates can rotate with each other in the closing mechanism. There are grooves in the two plates that allow the plates to cover each other in the locked position. One of the plates is fixed relative to the reservoir and the other plate is fixed in relation to the rotation about the dispensing device itself. Rotation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by the stop spring. The storage device is therefore closed when detached and opened when mounted.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장치는 저장장치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저장장치와 칼날들 사이에 위치하는 독립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폐쇄장치와 연결되는 키(steering)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레이트들의 개구부의 크기, 즉 플레이트들이 서로에 대해 다르게 회전할 때의 개구부의 면적이 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칼날들로 내려가는 커피콩의 분배(흐름)가 개구부의 면적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losure device may be an integral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storage device or located between the storage device and the blades. A steering may also be arranged that is in connection with the closure device. This may change the size of the openings of the plates, ie the area of the openings when the plates rotate different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is allows the distribution (flow) of the coffee beans down to the blades to be controlled based on the area of the openin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쇄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장착된 위치에서의 세 개의 잠금 스프링들 중의 하나를 도시한다.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sur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10 shows one of the three locking springs in the mounted posi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에 의한 분배장치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컴퓨터와 같이, 분배장치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는 메모리 장치(31)를 구비할 수 있다. 회수장치(4)를 계측 브리지(11)와 깔때기(8)의 사이의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회수장치(4)의 크기가 식별되고, 전기모터(9)가 주어진 시간동안 물질을 분쇄하도록 소프트웨어로부터 지시를 받는다.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청소를 하는 동안 회수장치로부터 나온 것이 아닌 물질들을 분류한다. 이로써 컴퓨터(31)는 예를 들어 3 컵이나 8 컵의 다른 크기의 커피침출용기들을 각각 식별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되어, 분쇄장치에 분배될 커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커피의 품질이나 종류가 변하는 진행상황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may have a memory device 31 arranged to store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ensing apparatus, such as a computer with software. By fixing the recovery device 4 at a position between the metering bridge 11 and the funnel 8,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4 is identified and the software allows the electric motor 9 to grind the material for a given time. Receive instructions. The software sorts out materials that do not come from the recovery device, for example during cleaning. This allows the computer 31 to be pre-set to identify, for example, three or eight cups of coffee brew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coffee to be dispensed to the grinder. Such a setting may be selectively changed based on the progress of changing the quality or type of coffee.

또한 컴퓨터는 저장장치가 지난번에 분리된 이후로 얼마나 많은 시간이 흘러서 얼마나 오랫동안 커피가 저장장치 내에 저장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컴퓨터는 커피의 소모량과 가장 자주 분배되는 커피의 양을 기록할 수 있다. 분배장치의 청소도 동일하게 기록될 수 있으며, 또는 컴퓨터가 사용자에게 분배장치를 청소해야 함을 알릴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30)에서 컴퓨터의 상술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식별장치(5) 내에 기능이 구비된다.The computer can also collect data about how much time has passed since the storage was last removed and for how long coffee was stored in the storage. By doing so, the computer can record the amount of coffee consumed and the amount of coffee dispensed most often. The cleaning of the dispensing device may also be recorded the same, or the computer may inform the user that the dispensing device should be cleaned. In order to confirm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of the computer on the display 30, a function is provided in the identification device 5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은 커피의 준비와 분배를 위한 상술한 자동분배장치의 사용법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the preparation and dispensing of coffee.

본 발명의 상술한 설명은, 바람직하게는 물질로서 커피콩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자동분배장치가 커피 분말, 차, 다양한 부드러운 음료 농축액 등과 같이 분말 상 및 액체 상의 다양한 기타 물질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preferably relates to coffee beans as a substance, but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is directed to various other substances in the powder and liquid phases, such as coffee powder, tea, various soft beverage concentrates and the like. It can be seen that also can be used in the same way.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이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본 발명은 물질을 회수장치로 분배하기 위한 자동분배장치와, 자동분배장치를 위한 저장장치와, 자동분배장치의 사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 to a recovery device, a storage device for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Claims (29)

물질을 회수장치에 분배하는 자동분배장치로서, 회수장치의 크기를 식별하고, 식별된 크기에 기초하여 소정량의 물질을 분배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식별장치를 구비하는 자동분배장치.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distributing a substance to a collecting device, 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device arranged to identify a size of the collecting device and to dispens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material based on the identified siz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장치는 상기 회수장치의 크기에 맞추어 물질의 분배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자동분배장치.2.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identification device has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ensing amount of the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said recovery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장치는 물질이 분배되는 동안에 상기 회수장치를 수용하고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자동분배장치.3.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identification device comprises a fastening device for receiving and fastening said recovery device while material is being dispensed.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장치는, 물질을 준비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갈거나 빻기 위해 배치되는 연마장치를 구비하는 자동분배장치.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ensing apparatus comprises a polishing apparatus arranged to prepare, for example, grind or grind the material.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장치는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자동분배장치.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ensing apparatus includes a storage apparatus for storing a substan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장치는 주로 깔때기 형상인 외측 칼날과, 주로 원추형상인 내측 칼날을 구비하는 한 쌍의 원추형 칼날들을 구비하는 자동분배장 치.5. 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polishing apparatus includes a pair of conical blades having an outer blade that is mainly funnel-shaped and an inner blade that is mainly conic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원추형 칼날은 내측 칼날의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7.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uter conical blade is disposed to rotate around the inner blad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칼날과 상기 외측 칼날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하며, 상기 유격은 물질을 준비하는 동안 물질이 상기 한 쌍의 원추형 칼날을 통과하여 회수장치로 들어가게 하는 자동분배장치.8.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s defined in claim 6 or 7, wherein there is a play between the inner blade and the outer blade, wherein the play allows the material to pass through the pair of conical blades and enter the recovery device while preparing the material.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물질을 준비하는 정도를 조정하는, 즉 칼날들 사이의 유격을 조정하는 조정수단이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9.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n adjusting means is arranged for adjusting the degree of preparation of the substance, i. 제 6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연마장치를 구동하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장치가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10.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polishing device, preferably for driving an outer blade, is arranged. 제 10 항에 있어서, 회전속도가 변화하여 물질을 준비하는 시간이 변하도록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어장치가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is arranged such that a rotation speed changes to change a time for preparing a materi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가 회전 운동에 의해 자동으로 분배장치에 장착, 분리되는 자동분배장치.6.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said storage device is automatic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ispensing device by a rotational movement. 제 5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를 상기 분배장치에 잠그도록 잠금장치가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13.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r 12, wherein a locking device is arranged to lock the storage device to the dispensing device. 제 5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와 한 쌍의 원추형 칼날들의 입구 사이에 폐쇄장치가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14.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12 or 13, wherein a closing device is arranged between the storage device and the inlet of the pair of conical blades. 제 5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장치는 상기 저장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분배장치.10.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or 9, wherein said closing device is formed integrally with said storage device. 제 5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가 상기 분배장치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구동장치의 운동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10.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or 9, wherein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movement of a driving device is arranged when the storage device is removed from the dispensing device. 제 1 항 내지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의 크기의 식별은 스트레인 게이지, 마이크로 스위치, 광학 센서, 무게셀, 광식별기, 무선 계측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동분배장치.17. Th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ze of the recovery device is determined by a strain gauge, a micro switch, an optical sensor, a weight cell, an optical identifier, a radio meter, or the like.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적어도 하나의 차단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장치에 의해 개구부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폐쇄장치가 다른 양의 물질을 분배할 수 있는 자동분배장치.16. The closure device of claim 14 or 15, wherein the closur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pening and at least one blocking device, wherein the closing device dispenses different amounts of material by varying the size of the opening by the blocking devic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폐쇄장치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19.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8, wherein the blocking device is arranged to seal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closing device. 제 1 항 내지 제 19 항에 있어서, 자동분배장치는 진동을 저감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자동분배장치.20.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제 1 항 내지 제 20 항에 있어서, 물질을 상기 회수장치로 안내하는 깔때기와 같은 안내장치가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21.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device, such as a funnel, for guiding material to said recovery device is arranged. 제 1 항 내지 제 21 항에 있어서, 물질이 대체로 장치에 달라붙지 않으며 분배되도록 하는 정전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자동분배장치.22.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having an antistatic function that allows material to be dispensed and generally does not stick to the apparatus. 제 22 항에 있어서, 물질의 흐름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물질이 도중에 상기 회수장치 측으로 배출되도록, 칼날들과 깔때기의 출구의 구조에 정전기 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자동분배장치.23.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structure of the outlets of the blades and the funnel is provided with an antistatic function so that the flow of the material is ensured so that the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recovery device along the way. 제 22 항에 있어서, 정전기 방지기능은 물질이 접촉하는 영역의 표면처리에 의해 구현되는 자동분배장치.23. 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antistatic function is implemented by surface treatment of the area where the material is in contact. 제 24 항에 있어서, 표면처리는 연마, 아노다이징 또는 코팅 기술을 포함하는 자동분배장치.The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of claim 24 wherein the surface treatment comprises polishing, anodizing or coating techniques. 제 1 항 내지 제 25 항에 있어서, 준비된 물질이 분배되는 소정의 위치에 회수장치가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조정장치가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26.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5, wherein a positioning device is arranged so that a recovery device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 the prepared substance is dispensed. 제 1 항 내지 제 26 항에 있어서, 분배장치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가 배치되는 자동분배장치.27. An automatic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6, wherein a memory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ensing apparatus is arranged. 제 1 항 내지 제 27 항에 따른 자동분배장치용 저장장치로서, 폐쇄장치를 포함하는 저장장치.28. A storage device for an automatic distribu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s 1 to 27, comprising a closing device. 제 1 항 내지 제 27 항에 따른 자동분배장치의 커피콩의 준비와 분배를 위한 사용법.A method for the preparation and dispensing of coffee beans in a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KR1020067012799A 2003-12-27 2004-12-22 Automatic dosage unit KR200700211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2799A KR20070021113A (en) 2003-12-27 2004-12-22 Automatic dosag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301939 2003-12-27
DKPA200401217 2004-08-11
KR1020067012799A KR20070021113A (en) 2003-12-27 2004-12-22 Automatic dosage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113A true KR20070021113A (en) 2007-02-22

Family

ID=4365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799A KR20070021113A (en) 2003-12-27 2004-12-22 Automatic dosag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11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734A (en) * 2019-03-01 2020-09-09 조광영 Particulate matter fee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734A (en) * 2019-03-01 2020-09-09 조광영 Particulate matter fee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1727B2 (en)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rewing apparatus,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and method for preparing coffee beverage
US10512364B2 (en) Grinder for preparing brewing materials
JP5696255B2 (en) Drink container
US20090127363A1 (en) Automatic dosage unit
US7013795B2 (en) Grind and brew coffee apparatus
US9402406B2 (en) Beverage brewer with flavor base removal
AU2003210798B2 (en) Coffee and tea dispenser
US6837397B2 (en) Beverage ingredient powder mixing drink dispenser and method
ZA200701877B (en) Coffee and tea dispenser with removable pod turret wheel
US7464888B2 (en) Automatic dosage unit
US9038530B2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with pump dispensing system
CA2858015C (en) Automated hot beverage brewing machine
US2077980A (en) Coffee dispenser
US5671657A (en) Multiple hopper grinder
KR20070021113A (en) Automatic dosage unit
CN100544652C (en) Autoproportioner
US20200069106A1 (en) Coffee filter machine, and system which comprises the coffee filter machine
JP2004118680A (en) Tea drink supply device
EP3758563B1 (en) Device for dosing and pouring an amount of ground coffee powder into a coffee filter of a coffee-making apparatus
JP2020114501A (en) Stirring tool of cup type vending machine
JPS6136171Y2 (en)
KR20230083506A (en) Drip coffee machine
CN113412079A (en) Spice grinder with measuring cup
JPS62295622A (en) Automatic coffee extractor
JP2004118681A (en) Crushed tea leaf generator of tea drink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