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830A -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830A
KR20070020830A KR1020050075141A KR20050075141A KR20070020830A KR 20070020830 A KR20070020830 A KR 20070020830A KR 1020050075141 A KR1020050075141 A KR 1020050075141A KR 20050075141 A KR20050075141 A KR 20050075141A KR 20070020830 A KR20070020830 A KR 20070020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otine
case
capsule
fiber materia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성
Original Assignee
김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성 filed Critical 김춘성
Priority to KR102005007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0830A/ko
Publication of KR2007002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281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 A24B15/283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by encapsula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솜뭉치 등의 섬유재를 내장하고 동시에 액상의 니코틴을 담은 용기를 더 내장한 후 상기 용기를 터트려 니코틴이 부직포 또는 솜뭉치에 적셔지도록 한 상태에서 니코틴을 흡수함으로서 흡연보조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니코틴 또는 아로마와 같은 휘발성 향 발산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섬유재를 탑재하고, 상기 섬유재의 일측에는 섬유재에 향 발산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캡슐형태로 감싼 향발산물질을 탑재하며, 전단에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공을 형성한 원통 형상의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 필터부재를 결합한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각종 향재료 또는 니코틴과 같은 휘발성 물질을 캡슐형태로 제작 후 섬유재와 함께 케이스에 봉합하고 필터를 통해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연욕구를 서서히 줄일 수 있으며, 아로마 향을 마시도록 하여 흡연욕구를 완전히 배제함은 물론 몸에 좋은 향기를 마심으로써 머리를 맑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담배, 케이스, 휘발성, 물질, 흡입장치

Description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A Nicotine Inhaler Having Toboco Case Fro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캡슐을 케이스의 중간에 설치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담배 케이스 본체와 필터를 접착제로 결합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담배 케이스 본체와 필터를 테이프로 결합하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케이스
110: 휘발성 물질이 함유된 섬유재
120: 본체 케이스 통공
130: 본체 케이스 나사부
200: 필터부
210: 필터부의 나사부
211: 필터부 암나사
220: 필터부재
230: 돌출핀
240: 필터부 통공
300, 300a: 캡슐
400: 접착제
500: 접착용 테이프
본 발명은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직포 또는 솜뭉치를 내장하고 동시에 액상의 니코틴을 담은 용기를 더 내장한 후 상기 용기를 터트려 니코틴이 부직포 또는 솜뭉치에 적셔지도록 한 상태에서 니코틴을 흡수함으로서 흡연보조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흡연은 익히 알려진 유해성 때문에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 이미 사회적 문제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흡연을 하는 사람들은 흡연을 하는데 있어서 점차 많은 제약을 받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서 금연을 원하는 흡연자들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서 여러 종류의 금연 보조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물론, 실험 데이터에 의하면 금연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금연을 원하는 사람의 정신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결과가 나와 있지만, 일반적으로 금연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갑작스런 니코틴 공급의 중단으로 인해서 신체적인 이상 증세 및 심리적인 불안감을 모두 느낀다고 한다.
즉, 담배 중독의 원인은 니코틴과 니코틴-금단현상 때문이다. 니코틴을 감소시키거나 중단하면 금단현상이 오는데 이는 니코틴의 감소로 말미암아 뇌나 신경계에서 일정지분 신경전달물질 역할을 하던 니코틴이 감소하거나 사라져 신경의 흥분 수준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니코틴 페치를 붙여 금단현상을 막아보려 하거나 커피나 녹차를 마시는 것도 담배를 끊는데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연기를 빤다는 무의식적인 욕구가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담대를 끊는 고통을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여기에는 담배를 피울 때 느끼는 코나 기관지에 대한 담배 연기의 자극이 한몫을 한다.
본 발명의 금연보조재는 흡연의 과정 중에 인체 내에 유입되어 인체에 유해한 다이옥신 및 일산화탄소를 체내에 흡수 억제시키고 니코틴만을 흡수토록 하여 서서히 담배를 끊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배 형태의 케이스를 이용하되 휘발성 물질이 외부 공기와 쉽게 반응하는 것을 차단하고 유통기간을 널리 확보하기 위해 캡슐형태로 보관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니코틴 또는 아로마와 같은 휘발성 향 발산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섬유재를 탑재하고, 상기 섬유재의 일측에는 섬유재에 향 발산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캡슐형태로 감싼 향발산물질을 탑재하며, 전단에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통공을 형성한 원통 형상의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 필터부재를 결합한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캡슐은 물풍선 형태 또는 막대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캡슐은 섬유재의 일측 끝단 또는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와 필터부는 나사산이나, 접착제 또는 접착용 테이프로 접합지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에는 캡슐을 터트리기 위한 돌출핀을 더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나타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캡슐을 케이스의 중간에 설치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담배 케이스 본체와 필터를 접착제로 결합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담배 케이스 본체와 필터를 테이프로 결합하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휘발성 물질이 장착된 본체 케이스(100)와, 상기 본체 케이스(100)와 결합되며 휘발성 물질의 흡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필터부(200)로 구분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에 섬유재(110)를 적절히 탑재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타원형이나 기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필터부(200)는 본체 케이스(100)와의 결합을 위해서 나사형성구간(210)을 구비하여 그 내주연에 암나사(211)를 형성하고 그 뒷쪽에 필터부재(220)를 구비하였다.
물론, 상기에서 필터부(200)와 본체 케이스(100)를 나사로 결합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산을 사용하지 않고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서 필터부와 본체케이스를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00)와 필터부(200)는 도 7과 같이 접착제(400)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도 8과 같이 접착용 테이프(600)로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재(220)는 필터부(200)의 후단에 형성되어 흡입하는 동작에 의해 필터부 통공(230)을 통해 필터부재(220)로 니코틴과 같은 휘발성 물질을 전달받으며, 상기 필터부(200)는 담배의 필터 형상과 거의 유사하게 제작하여 담배를 피우는 느낌을 갖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는 담배형상과 가장 비슷하게 제조하기 위해서, 본체 케이스(100)를 담배길이 정도이고 동시에 그 외관을 원통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공간부에는 휘발성 물질을 탑재하는 캡슐(300)을 구비하는바, 상기 캡슐(300) 내부에 니코틴과 같은 휘발성 물질을 탑재하게 되면 공기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00) 및 필터부(200)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00)에 내장되는 캡슐(300) 역시 수지재 또는 유리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캡슐(300)을 손으로 깨트리거나 핀으로 터트리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00)의 내부는 공기 통공 공간과, 휘발성 물질이 흡입되는 부직포 저장공간과, 상기 부직포에 휘발성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캡슐 저장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용 통공(120)은 본체 케이스(100)의 전단부에 일개만 형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 휘발성 물질을 임시로 흡입하기 위한 부직포를 탑재하는바, 상기 휘발성 물질은 공기와의 접촉이 많을 경우 공기중으로 빠른속도로 퍼져나갈 수 있어 인체로 흡입되는 양이 적어지게 되며, 특히 니코틴 등의 휘발성 물질을 탑재할 경우 빛과 반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빛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미세한 통공(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휘발성 물질의 외부유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캡슐형태로 니코틴과 같은 휘발성 물질을 탑재하며 필요시 사용자가 상기 캡슐(300)을 터트려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110)에 휘발성 물질이 도포되도록 하였으며, 이후 필터를 통해 휘발성 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캡슐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 바, 물풍선 형태로 제작하여 외부에서 날카로운 핀(230)에 의해 터트려 사용할 수도 있고, 일부구간의 테두리에 흠집을 낸 수지재로 제작하여 살짝 부러트려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풍선 형태의 캡슐(300)은 본체 케이스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여 외부핀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막대 형상의 캡슐(300a)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하고 동시에 홈(310)을 형성하여 상기 홈(310)이 형성된 부분이 상부 압력에 의해 쉽게 부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섬유재(110)는 휘발성 물질을 쉽게 흡착할 수 있는 구성수단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섬유재(110)로는 스펀지나 솜 또는 실뭉치 등이 적합하며, 상기 휘발성 물질은 니코틴이나 아로마 또는 솔잎향 등이 적합하다.
상기 니코틴은 기존의 담배에 함유된 타르나 다이옥신 또는 일산화탄소 등과 같이 담배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물질이나, 본 발명에서는 다이옥신이나 일산화탄소등 몸에 해로운 물질을 모두 배제한 상태로 순수한 니코틴만을 섬유재에 도포하여 제작하므로 비교적 소량의 니코틴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몸에 피해를 줄이면서 흡연욕구를 대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아로마 또는 솔잎향 등으로 대체하여 완전히 담배를 끊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이유는 담배가 중독성이 강하여 갑자기 끊었을 경우에는 금단현상이 매우 강하므로 끊기가 힘드나, 니코틴만을 장착한 담배형상의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나쁜 물질을 배제한 상태에서 니코틴을 흡입하여 적절하게 흡연욕구를 채우면서 담배로부터 서서히 멀어질 수 있기 때문이며, 최종적으로는 아로마등 몸에 좋은 향기를 마실 수 있도록 하여 담배로부터 완전히 멀어지면서 동시에 몸에 좋은 향기 를 마음껏 들여 마실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로마향은 천연향으로서, 일반적으로 허브(Herb)이라고 일컷기도 하는바, 상기 허브향은 향이 있으면서 인간에게 유용한 식물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허브의 종류로서는 라벤더(Lavender), 레몬밤(Lemonbalm), 페파민트(Peppermint), 로즈마리(Rosemary), 타임, 쟈스민, 희솝 등 매우 다양하며, 우리 인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음식이나, 향기 몸의 컨디션 조절을 위해 폭넓게 사용해 왔다.
이러한 허브식물의 주된 성분은 탄수화물, 무기염류(칼륨, 칼슘), 지방산, 글리세롤, 사포닌, 탄닌, 비타민, 아미노산, 알카로이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배당체, 테르펜과 수지, 팩틴, 지방유이다.
상기의 성분 중에서 에센셜 오일은 방향유로서 식물의 세포안에 들어 있고 향기와 흡수력이 좋아 피부에 발랐을 때 2 ~ 3초 안에 스며들어 깊이 흡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화학적 함유 성분은 테르페노이드와 복합성분으로 독특한 향을 내어 고대로부터 향신료, 방향제, 향수의 원료로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음식에 넣어 섭취하였다. 또한 에센셜 오일은 인체의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방부제, 소독살균제, 소화제,강장제, 구풍제, 거담제, 류머티즘, 소엽제, 항암제로 인체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허브식물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 중에서 샌달우드 오일은 집중력 강화는 물론 가려움증과 화상에도 효과적. 업무능력을 향상시키며, 레몬 오일은 무겁거나 어지러운 머리를 맑게 해주고 집중력이 필요할 때 오후의 졸음을 쫓는데 이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로즈마리 오일는 활기를 주며 집중력을 키워주고 의욕고취. 정신적인 피로를 없애고 머리를 맑게하며, 페퍼민트 오일은 침착성과 명쾌함을 주고 생각의 명확성과 조심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공기 청향제로도 활용되며, 베로가못 오일은 마음을 진정시킴과 동시에 고양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불안증, 우울증, 신경의 긴장 해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 방향요법, 향치료법, 향기요법(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으로 불리는 자연요법은 향의 입자가 코 점막을 통해 후각신경을 자극하고, 다시 뇌의 변연계(감정과 행동, 식욕, 기억력을 촉발하는 뇌의 한 부분)에 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질병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의료학계에 이미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효과를 갖는 아로마를 본체 케이스에 탑재하여 인체에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머리를 맑게 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활성탄의 제조방법은 나무원료를 가공성형하여, 약제처리한 다음, 탄화시키고, 활성화시키고,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활성탄 섬유를 제조하며, 상기에서 탄화온도는 180 내지 400℃내외이며 활성화는 이염화탄소나 수증기에서 600 내지 1000℃ 온도로 진행하면 된다.
또한, 목탄은 참나무숯으로서 참나무를 100%원료로 하여 탄화처리하여 100% 목탄으로 만들고 1000 내지 1500℃의 고온에서 미분쇄하여 500 내지 1000℃의 고온스팀을 분사하면서 미분쇄 목탄을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롤러를 통과시켜 제조된 목탄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활성탄 원료를 필터부재에 투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향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향재료 또는 니코틴과 같은 휘발성 물질을 캡슐형태로 제작 후 섬유재와 함께 케이스에 봉합하고 필터를 통해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연욕구를 서서히 줄일 수 있으며, 아로마 향을 마시도록 하여 흡연욕구를 완전히 배제함은 물론 몸에 좋은 향기를 마심으로써 머리를 맑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내부에 니코틴 또는 아로마와 같은 휘발성 향 발산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섬유재를 탑재하고, 상기 섬유재의 일측에는 섬유재에 향 발산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캡슐형태로 감싼 향발산물질을 탑재하며, 전단에 공기가 통과하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며, 후단부에 통공을 형성한 원통 형상의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물풍선 형태 또는 막대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섬유재의 일측 끝단 또는 상부면 또는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에는 쉽게 부러뜨릴 수 있도록 하우징의 중앙에 홈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와 필터부는 나사산이나, 접착제 또는 접착용 테이프로 접합지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는 캡슐을 터트리기 위한 돌출핀을 더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KR1020050075141A 2005-08-17 2005-08-17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KR20070020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141A KR20070020830A (ko) 2005-08-17 2005-08-17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141A KR20070020830A (ko) 2005-08-17 2005-08-17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830A true KR20070020830A (ko) 2007-02-22

Family

ID=4365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141A KR20070020830A (ko) 2005-08-17 2005-08-17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08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690A1 (en) * 2007-12-04 2009-06-11 Umagination Labs, L.P. System and process for tobaccoless nicotine delivery
KR101412373B1 (ko) * 2013-03-05 2014-06-27 최선용 흡향 구조를 가진 담배 대용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690A1 (en) * 2007-12-04 2009-06-11 Umagination Labs, L.P. System and process for tobaccoless nicotine delivery
KR101412373B1 (ko) * 2013-03-05 2014-06-27 최선용 흡향 구조를 가진 담배 대용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864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coffee-derived volatiles
CA2866912C (en) Device and method for simulating chemosensation of smoking
RU72821U1 (ru) Бездымное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арианты)
CN101731750B (zh) 一种电子模拟香烟雾化液
KR101022546B1 (ko) 금연보조 흡입장치
WO2009105919A1 (zh) 电子模拟香烟及其雾化液和电子模拟香烟烟具及其烟液胶囊
ES2706740T3 (es) Sustituto del tabaco
KR20070020830A (ko) 담배 케이스 형태의 니코틴 흡입장치
KR100649552B1 (ko) 담배 형태의 휘발성 물질 흡입장치
KR102575957B1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89588A (ko) 2단 기어박스에 천연향수액을 내장한 볼펜
KR200384234Y1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 저장통을 내장한 볼펜 뚜껑
KR200384233Y1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 저장통을 내장한 볼펜
KR200388890Y1 (ko) 2단 기어박스에 천연향수액을 내장한 볼펜
KR200374833Y1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을 내장한 볼펜
KR200379490Y1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을 내장한 볼펜 뚜껑
KR200374973Y1 (ko) 천연향수액을 필심튜브 마개에 내장한 샤프펜슬
RU2294765C1 (ru) Способ ароматерапии
KR20050037931A (ko) 향기 흡입 기구
KR200379491Y1 (ko) 천연향수액을 내장한 샤프펜슬
KR20060089587A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 저장통을 내장한 볼펜 뚜껑
US2013032732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rect inhalation of scents and medicines
KR20060089586A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 저장통을 내장한 볼펜
KR20060045297A (ko) 케이스 상부면에 천연향수액을 내장한 볼펜
KR20060045299A (ko) 천연향수액을 필심튜브 마개에 내장한 샤프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