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464A -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464A
KR20070020464A KR1020067024831A KR20067024831A KR20070020464A KR 20070020464 A KR20070020464 A KR 20070020464A KR 1020067024831 A KR1020067024831 A KR 1020067024831A KR 20067024831 A KR20067024831 A KR 20067024831A KR 20070020464 A KR20070020464 A KR 2007002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cation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우치무라
히로키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0464A/ko
Publication of KR2007002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6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7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Abstract

물품이 존재하는 장소를 정밀도 좋게 특정할 수 있고, 또한, 물품의 확인 누락이 없도록 물품의 위치 관리를 행할 수 있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조명부(11 내지 14)는, 특정한 영역(조광 범위(401 내지 404))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한다. 단말장치(31)는, 조명부(11 내지 14)로부터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물품(101 내지 106)에 붙은 RFID 태그(201 내지 206)로부터 물품 ID를 판독한다. 단말장치(31)는, 무선 LAN의 기지국(41)을 통하여, 서버(51)에 위치정보와 물품 ID를 송신한다. 서버(51)는, 단말장치(31)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와 물품 ID를 대응시켜서 기억한다.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Description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 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ARTICLE POSITION MANAGEMENT SYSTEM, ARTICLE POSITION MANAGEMENT METHOD, TERMINAL DEVICE, SERVER, AND ARTICLE POSITION MANAGEMENT PROGRAM}
본 발명은, 자산, 제품, 그 밖의 물품의 소재를 관리하기 위한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 물품위치 관리 서버 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물품의 소재 위치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창고에서의 각 선반에 바코드를 붙이고, 또한, 창고에 보관되는 물품에도 바코드를 붙이고, 물품을 선반에 보관하였을 때, 선반에 붙어 있는 바코드의 정보와 물품에 붙어 있는 바코드의 정보를 바코드 리더로 판독하는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단말장치가, 판독한 쌍방의 바코드의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관리장치에 송신한다. 관리장치는,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쌍방의 바코드의 정보를 기억한다.
바코드에 대신하여 무선 1C 태그(이하, RFID 태그라고 한다)를 이용하는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즉, 자산으로서의 물품에 자산 태그로서의 RFID 태그를 붙이고.기둥이나 벽 등에 장소 태그로서의 RFID 태그 를 붙인다. 그리고, RFID 태그 리더를 구비한 PDA에 의해 자산 태그의 정보와 장소 태그의 방법을 판독하고, PDA가, 판독한 쌍방의 RFID 태그의 정보를, 무선 LAN을 통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서버는, PDA로부터 송신된 쌍방의 RFID 태그의 정보를 기억한다.
이상과 같이, 물품에 붙은 태그의 정보와 물품의 소재 장소를 아는 위치정보(선반에 붙어 있는 바코드나 기둥이나 벽 등에 붙은 장소 태그)에 의거하여, 소정 영역에서의 물품의 소재 장소를 관리할 수 있으나, 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도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물품으로서의 컨테이너에 RFID 태그를 붙이고, GPS 수신기를 탑재한 포크리프트에 의해 컨테이너를 소정 위치에 두었을 때, 포크리프트가, 컨테이너에 붙어 있는 RFID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RFID 태그의 정보와 GPS에 의해 취득한 위치정보를, 무선 LAN을 통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서버는, 송신되어 온 정보를 기억한다.
RFID 태그로서, 전원을 내장하지 않은 패시브 태그 외에, 전지를 내장한 액티브 태그가 있다. 물품 등에 액티브 태그를 붙이고, 액티브 태그가 발신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여기저기에 설치하고,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의 설치 위치에 의거하여 물품 등의 위치 검출을 행하는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2의 도 3 참조).
또한, 무선 LAN 단말 등의 물품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으로서, 무선 LAN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3 참조).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3개 이상의 기지국의 각각이 무선 LAN 단말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나 전반(傳搬) 지연 시간의 차이에 의거하여 3변(邊) 측량에 의해, 무선 LAN 단말 등의 물품의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비특허 문헌 2에는, 태그 리더를 여기저기에 설치하고, 3개의 태그 리더가, 물품에 붙은 액티브 태그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수신 강도의 차이에 의거하여 3변 측량에 의해 물품의 위치를 특정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2의 도 2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평2-163202호 공보(제 2페이지, 도 2)
비특허 문헌 1 : 「무선 IC 태그의 모든것」, 일경BP사, 2004년 4월 20일 발행, 제 70 내지 71페이지, 제 111항
비특허 문헌 2 : 「NTT 컴웨어·테크놀로지」, 제 8권, 제 12 내지 15페이지, 도 2, 도 3, [Online], 2004년, [평성 16년 6월 18일 검색], <URL:http://www.nttcom.co.jp/comtech/
비특허 문헌 3 : 「유비키타스 소프트웨어·서비스」, [Online], 2004년 11월, [평성 16년 6월 15일 검색], <URL:http://www.hitachi.co.jp/Prod/vims/solutions/ssup/airlocation/
그러나,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장소 태그로서 RFID 태그(패시브 태그)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적용하려고 하는 경우에, 기둥, 벽, 선반 등의 장소 태그를 붙이는 개소가 다수 존재하는 환경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장소 태그를 붙이는 개소가 적은 환경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장소 태그로서 액티브 태그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액티브 태그의 송신 전파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패시브 태그의 송신 전파의 강도와 비하여 높기 때문에, 장소 태그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장치가, 복수의 장소 태그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장소의 특정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장소 태그를 붙이는 개소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액티브 태그에는 가격이 높다는 문제와 전지의 소모라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고정적인 장소 태그로서 사용하는데는 부적합하다.
또한, 패시브 태그든지 액티브 태그든지, 장소 태그로서 RFID 태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말장치의 조작자는, 단말장치가 RFID 태그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다. 그러면, 넓은 영역에서의 복수의 개소에 각각 장소 태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영역 내의 물품의 소재를 확인할 때 등에, 확인 누락이 생기는 개소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또한, 위치정보로서 GPS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GPS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옥내 등의 환경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액티브 태그가 붙은 물품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안테나의 설치 위치에 의거하여 물품 등의 위치 검출을 행하는 시스템에서는, 안테나의 커버 에어리어중에 있는 물품 등은 전부 안테나의 설치 위치로부터 소청 범위 내에 존재하는 물품 등이라고 간주된다. 즉, 소정 범위가 동일 위치라고 간주된다. 따라서, 장소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상세한 위치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비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무선 LAN의 기지국이나 비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태그 리더를 이용하여 3변 측량에 의해 위치를 특정한 시스템에서는, 위치 검출의 정밀도는 고작 1m이고, 전파 전반 상황에 따라서는, 그보다도 더욱 정밀도가 저하하여 버린다. 따라서, 장소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상세한 위치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위치 검출 결과가 실제의 물품 등의 위치와 크게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그 것을 확인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물품이 존재하는 장소를 정밀도 좋게 특정할 수 있고, 또한, 물품의 확인 누락이 없도록 물품의 위치 관리를 할 수 있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 물품위치 관리 서버 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은, 특정한 영역(조광 범위에 상당)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과,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수단과,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과,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특정한 영역 내에서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양태의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은,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과,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수단과,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수단을 갖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와,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서버를 구비하고,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가, 특정한 영역 내에서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식별정보를,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서버가,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가,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식별정보를 판독한 후,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소정 시간 내에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가,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식별정보를 판독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조작부로부터의 위치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위치정보 입력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식별 태그는, 수신 전파를 전력으로 하여 식별정보를 발신하는 무선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신호 발신 수단은, 예를 들면, 적외선 LED를 포함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적외선 LED의 발광 강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위치정보를 발신하도록 구성된다.
광신호 발신 수단은, 백색 LED를 포함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백색 LED의 발광 강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위치정보를 발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신호 발신 수단은, 조명을 겸하도록(예를 들면 발광부(151)를 포함한다)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광신호 발신 수단은, 위치정보로서 예를 들면, 위치식별정보 또는 좌표치를 발신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위치 관리방법은,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판독한 식별정보와, 물품이 존재하는 위치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고,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특정한 영역 내에서 수신된 위치정보라고 판독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수단과,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과,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특정한 영역 내에서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양태의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는,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수광 수단이 수광한 광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 수단과,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과,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위치정보 추출 수단이 추출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식별정보를,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버는,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로서,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은,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에 탑재된 컴퓨터에, 수광 수단이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수광한 광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처리와,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처리와, 추출된 위치정보와 판독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양태의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은,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에 탑재된 컴퓨터에,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수광 수단이 수광한 광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처리와,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처리와,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추출된 위치정보와 판독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양태의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은,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 서버에 탑재된 컴퓨터에,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을 이용함에 의해, 물품이 존재하는 장소를 정밀도 좋게 특정할 수 있고, 또한, 물품의 확인 누락이 없는 물품의 위치 관리를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의 제 1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조명부의 조광 범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조명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발광부 및 발신부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느 신호 합성부의 제어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단말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단말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발신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조명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지 14 : 조명부 101 내지 106, 111 내지 113 : 물품
201 내지 216, 211 내지 213 : RFID 태그
21 : 전원부
31 : 단말장치 41 : 기지국
51 : 서버 151 : 발광부
152 : 고유정보 기억부 153 : 신호 합성부
154 : 발신부 301 : 제어부
302 : 무선 LAN 기능부 303 : 수광부
304 : 광량 판정 회로 305 : 태그 리더부
306 : 표시부 307 : 조작부
308 : 기억부 400 내지 404 : 조광 범위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에 의한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의 제 1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시스템에서, 소정 영역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11 내지 14)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부(11 내지 14)는, 예를 들면, 각각의 방의 천장에 설치된다. 또한, 조명부(11 내지 14)는, 형광등이나 전구에 대신하여, 일반적인 조명 장치로서의 역할도 다한다.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면, 각각의 방 등의 영역에 하나의 조명부가 설치되지만, 하나의 영역에 복수의 조명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복수의 조명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명부(11 내지 14)의 각각의 조광 범위(401 내지 404)는, 중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조명부(11 내지 14)는, 유니크한 위치정보를 광신호로서 반복하여 발신한다. 또한, 조명부(11 내지 14)에는, 전원부(21)로부터 직류 전력이 공급된다.
도 1에는, RFID 태그(201)가 붙은 물품(101)이 조광 범위(401)에 존재하고, RFID 태그(202)가 붙은 물품(102)이 조광 범위(402)에 존재하고, RFID 태그(203 내지 205)가 붙은 물품(103 내지 105)이 조광 범위(403)에 존재하고, RFID 태그(206)가 붙은 물품(106)이 조광 범위(404)에 존재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물품(101 내지 106)에 붙어 있는 RFID 태그(201 내지 206)에는, 유니크한 물품 식별정보(물품 ID)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물품에 붙어 있는 RFID 태그는, 수신 전파를 전력으로 하여 물품 ID를 발신하는 패시브 태그이다.
시스템 내에는, 무선 LAN의 기지국(41)이 설치되어 있다. 기지국(41)은, 무선 LAN 단말인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서의 단말장치(31)가, 어느 조광 범위(401 내지 404)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단말장치(31)와 통신 가능한 위치에 설치 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41)은, 물품의 위치 관리를 행하는 서버(51)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기지국(41)이 도시되어 있지만, 시스템 내의 모든 조광 범위를 커버하기 위해(모든 조광 범위에서 단말장치(31)l가 무선 LAN 통신 가능하데 되도록), 시스템 내에 복수의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방마다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한 예로서, 자산으로서의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는 자산관리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도 2는, 조광 범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에는, 조광 범위(400)에, RFID 태그(211 내지 213)가 붙은 물품(111 내지 113)이 존재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물품(111 내지 113)에 붙어 있는 RFID 태그(211 내지 213)에는, 유니크한 물품 ID가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조명부(10)는, 도 1에 도시된 조명부(11 내지 14)의 각각에 상당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조광 범위(400)는, 도 1에 도시된 조광 범위(401 내지 404)의 각각에 상당한다. 단말장치(31)가 조광 범위(400)에 들어가면, 단말장치(31)는, 조명부(10)가 발신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장치(31)가, RFID 태그(211 내지 213)와의 통신 가능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RFID 태그(211 내지 213)로부터 물품 ID를 판독할 수 있다. 단말장치(31)에는, 무선 LAN 통신 기능 외에, 조명부(10)가 발신하는 위치정보의 수신 기능, 및 FID 태그(211 내지 213)의 물품 ID를 판독하는 태그 리더 기능이 실장되어 있다.
단말장치(31)는, 조명부(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RFID 태그(211 내지 213)로부터 수신한 물품 ID를, 무선 LAN의 기지국(41)을 통하여 서버(51)에 송신한 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조명부(10)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조명 장치로서 기능하는 발광부(151)는, 백색 LE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발신부(154)는, 적외선 LED 또는 백색 LED로 구성되어 있다. 조명부(10)는, 유니크한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고유정보 기억부(152)를 구비하고, 신호 합성부(153)는, 고유정보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에 응하여, 발신부(154)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도 4는, 발광부(151) 및 발신부(154)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발광부(151)를 구성하는 백색 LED(601, 602)가 평면형상으로 배치되고, 발신부(154)를 구성하는 적외선 LED 또는 백색 LED(도 4에서 사선 부분)(603, 604)가, 평량의 일부에서 열(列)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적외선 LED 또는 백색 LED의 일부에만 부호가 붙어 있다. 또한, 발광부(151)를 구성하는 백색 LED(601, 602)를, 반원 통형상이나 반원 구형상, 그 밖의 형상으로 배치하여도 좋다. 적외선 LED 또는 백색 LED(603, 604)에 의한 발신부(154)의 광이 도달하는 범위(커버 에어리어)가 조광 범위(101)에 상당한다.
또한, 발신부(154)의 커버 에어리어는, 발광부(151)의 커버 에어리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151)의 커버 에어리어를 포함하고 있으면, 조명부(10)에 의해 조광되고 밝게 되어 있는 장소가 반드시 발신부(154)의 커버 에어리어가 되기 때문에, 단말장치(31)의 조작자는, 용이하게 발신부(154)의 커버 에어리어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구성에 있어서, 발신부(154)의 외 측에 렌즈 등을 설치하여 조사각(照射角)을 넓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5는, 신호 합성부(153)의 제어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신호 합성부(153)는, 위치정보의 데이터중 「1」을 발신할 때에는 발신부(154)에 전력을 공급하고, 위치정보의 데이터중 「0」을 발신할 때에는 발신부(154)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정보의 데이터 내의 「1」을 발신할 때에는, 발신부(154)는 발광하고, 위치정보의 데이터중 「0」을 발신할 때에는, 발신부(154)는 발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신호 합성부(153)는, 적외선 LED 또는 백색 LED의 발광 강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제어를 행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예는 한 예이고, 광의 강도에 의해 「1」, 「0」의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제어 방법에 의해 위치정보의 데이터를 발신하여도 좋다.
도 6은, 단말장치(3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구성예에서는, 단말장치(31)는,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부(301)와, 고주파 신호의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부를 가지고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기지국(41)과 통신을 행하는 무선 LAN 기능부(302)와, 조명부(10)로부터 광을 수광하여 수광량에 응한 진폭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303)와, 수광부(303)가 출력하는 전기 신호의 레벨 판정을 행하여 2치화 신호를 출력하는 광량 판정 회로(304)와, RFID 태그에 전파를 주어 RFID 태그로부터 발신되는 물품 ID를 수신하는 태그 리더부(305)와, LCD 등에 의한 표시부(306)와, 키보드 등을 갖는 조작부(307)를 포함한다.
발신부(154)로서, 발광부(151)와 마찬가지로 백색 LED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수광부(303)로서, 가시광의 스펙트럼 범위의 광을 수광하는 소자가 이용된다. 또한, 발신부(154)로서, 적외선 LED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수광부(303)로서, 적외선을 수광하는 소자가 이용된다.
또한, 발신부(154)로서 적외선 LED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발광부(151)로부터의 가시광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단말장치(31)는,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발신부(154)로서 백색 LED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단말장치(31)가 발신부(154)로서의 백색 LED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때에, 발광부(151)로서의 백색 LED로부터의 가시광의 영향을 받지만, 발신부(154)가 「1」의 데이터를 발신할 때와 「0」의 데이터를 발신할 때에서, 조명부(10) 전체(발신부(154)와 발광부(151)를 포함한다)로서의 광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단말장치(31)는, 위치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발신부(154)로서 적외선 LED가 이용되는 경우는, 적외선 LED의 지향성을, 발광부(151)의 가시광의 지향성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LED의 조사 범위와 조명으로서의 발광부(151)의 조사 범위를 일치시킴에 의해, 조작자가, 발광부(151)에 의한 가시광의 조명 범위에 의거하여, 적외선 LED의 조사 범위 즉 위치정보의 수신 가능 범위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발신부(154)로부터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수광부(303), 광량 판정 회로(304) 및 제어부(301)(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로 실현되고, RFID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로서의 물품 ID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태그 리더부(305) 및 제어 부(301)(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로 실현되고,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무선 통신 매체(이 예에서는 무선 LAN)를 통하여 서버(51)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이 무선 LAN 기능부(302) 및 제어부(301)(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로 실현되고 있다. 또한,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소정 시간 내에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수단은, 제어부(301)(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와 표시부(306) 등으로 실현된다. 또한, 소정 시간 내에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조작부로부터의 위치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위치정보 입력 수단은, 제어부(301)(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로 실현된다. 또한, 수광 수단이 수광한 광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 수단은, 제어부(301)(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로 실현된다.
도 7은,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는 데이터베이스(DB)의 한 예로서, 서버가 관리하는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위치정보와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명에 대해, 위치명이 나타내는 위치에 존재하는 물품의 물품 1D와 물품명이 대응시켜지고,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부라는 장소에 퍼스널 컴퓨터가 존재하고, △△부라는 장소에 스캐너가 존재하는 것이,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와는 별도로, 자산 데이터베이스가 있고, 자산 데이터베이스에는,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모든 물품의 물 품 ID와 물품명이 대응시켜져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단말장치(31)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은, 서버(51)의 CPU(보다 구체적으로는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로 실현된다.
다음에,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창고, 공장, 사업소 내 등의 시스템 내의 소정 개소에는, 복수의 조명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내에 신규 물품이 반입될 때에, 그 물품에, 다른 물품에 붙어 있는 물품 ID와는 다른 유니크한 물품 ID가 설정된 RFID 태그를 부속시킨다. 또한, 자산 데이터베이스에, 물품 ID와 물품명이 등록된다. 그리고, 부속이란, 부착, 인쇄 등 물품과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도 8은, 단말장치(31)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단말장치(31)의 조작자는, 예를 들면, 새로운 장소(새로운 조광 범위)에 들어갈 때 등에, 기억부(308)에서의 위치정보의 기억 영역을 초기화하는 조작을, 단말장치(31)의 조작부(307)에서 행한다. 단말장치(31)의 제어부(301)는, 조작에 응하여, 위치정보의 기억 영역을 초기화한다(스탭 S1). 또한, 여기서는,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조작에 응하여 초기화되지만, 제어부(301)가, 최후에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초기화하거나, 새로운 위치정보를 수신한 때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새롭게 수신한 위치정보로 치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301)는, RFID 태그의 판독 처리를 시작한다(스탭 S2). 구체적으로는, 태그 리더부(305)에 대해, 전파 발신과, RFID 태그로부터의 물품 ID를 수신하는 처리를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태그 리더부(305)는, 지시에 응하여, 전파 발 신과 물품 ID 수신 처리를 시작한다.
뒤이어, 제어부(301)는, 수광부(303) 및 광량 측정 회로(304)를 통하여, 조명부(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스탭 S3),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억부(308)에 기억한다(스탭 S4). 또한, 기억부(308)에, 미리 시스템 내의 모든 위치정보를 등록하여 두고, 수신한 위치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어느 위치정보와도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명부(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간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1)는, 태그 리더부(305)를 통하여, 물품에 붙어 있는 RFID 태그로부터 물품 ID를 수신하면(스탭 S5), 위치정보가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탭 S6). 위치정보가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으면,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물품 ID와,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무선 LAN 기능부(302)에 송신시킨다(스탭 S11). 무선 LAN 기능부(302)로부터 송신된 물품 ID와 위치정보는, 기지국(41)을 통하여 서버(51)에 전달된다.
위치정보가 기억부(308)에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정보의 수신을 감시하기 위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스탭 S7), 그 타이머가 타임 아웃하기 전에 조명부(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면(스탭 S8, S9),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억부(308)에 기억하고(스탭 S10), 스탭 S5에서 수신한 물품 ID와 기억부(308)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무선 LAN 기능부(302)에 송신시킨다(스탭 S11).
조명부(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기 전에 타이머가 타임 아웃하면, 제어부(301)는 알람을 낸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표시부(306)에,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는 취지의 표시를 행하거나, 단말장치(31)가 내장하는 스피커로부터 알람 음을 출력시킨다.
또한, 처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탭 S3으로 되돌아온다. 처리가 종료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단말장치(31)의 조작자가, 조명부(10)의 조광 범위(400) 내에 있는 모든 물품에 관해, 단말장치(31)를 접근하여 물품 ID를 판독하였다고 판단한 것과 같은 경우이다. 또한, 조작자가 처리의 종료를 판단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제어부(301)는, 물품 ID를 태그 리더부(305)로부터 입력한 때에, 그 취지를 표시부(306)에 표시시키거나, 스피커로부터 소정 음을 출력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조작자는, 조광 범위(400) 내에 있는 모든 물품에 단말장치(31)를 접근하면서, 조광 범위(400) 내를 한번 돌뿐, 조광 범위(400) 내에 있는 모든 물품의 물품 ID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이 온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은 용이하기 때문에, 단말장치(31)의 존재위치가 조광 범위(400) 내인지 여부의 판별은 용이하다.
조명부(10)에 대신하여, 장소 태그로서 RFID 태그 그 밖의 무선 정보 발신 수단을 이용한 경우에는, 조명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정보 수신 가능 범위를 판별하기가 어렵다. 그 때문에, 방내 등의 소정 영역에서, 물품 ID의 수집 누락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정보 수신 가능 범위 외에 있는 물품이라고 판단하여 물품 ID의 수집을 하지 않았지만, 사실은, 정보 수신 가능 범위에 있는 경우에, 물품 ID의 수집 누락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단말장치(31)가, 등록되어 있는 어느 위치정보와도 수신한 위치정보가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명부(1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간주하도록 하였지만, 그와 같이 구성하지 않고, 단말장치(31)가 위치정보를 서버에 송신한 때에, 서버가, 수신한 위치정보가, 시스템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정보와도 합치하지 않은 것을 판정한 경우에, 단말장치(31)에 대해, 그 취지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말장치(301)의 조작자는, 다시 조광 범위(400) 내에 있는 물품의 물품 ID를 수집하는 작업을 행한다.
무선 LAN의 기지국이나 액티브 태그를 이용하는 3변 측량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위치 측량의 오차가 큰 때에, 오차가 큰 위치정보가 그대로 이용되어 버린다. 그러나,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일은 없고,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때에는, 그 위치정보의 신뢰성은 높다. 또한, 물품 ID를 수신할 수 있었지만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때에는, 알람이 나와진다. 따라서, 조작자는, 알람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안심하고 처리를 속행할 수 있다.
또한, 알람이 나와진 때에, 조작자가, 조작부(307)로부터, 수동으로 위치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에서, 스탭 S13의 처리의 후에, 제어부(301)는, 조작부(307)로부터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소정 시간 내에 위치정보가 입력되면, 스탭 S11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자동적으로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처리를 보완하기 위해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위치정보는, 유니크한 식별정보(위치식별정보)였지만, 소정 위치를 기준이라는 좌표치라도 좋다. 좌표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넓은 영역 내에서 복수의 조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위치의 관리가 하기 쉬워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명부(10)는, 일반적인 조명 장치로서 사용된다. 즉, 형광등이나 백열전구 등의 조명기구에 대신하여, 위치정보 발신 기능을 구비한 조명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발신부(154)만이 위치정보 발신 제어를 받는다. 즉, 신호 합성부(153)는, 조명부(10)에서의 발신부(154)에 대해서만, 전압을 인가한 상태와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발신부(154)를 적외선 LED로 구성한 경우에는, 발신부(154)가 식별정보를 발신하여도, 조명부(10)로부터의 가시광의 광량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발신부(154)를 백색 LED로 구성한 경우에도, 발신부(154)는 조명부(10)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발신부(154)가 식별정보를 발신하여도, 조명부(10)로부터의 가시광의 광량의 변화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사람에게는 광량 변화를 느끼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51)와 발신부(154)를 나누지 않고, 조명부(10)에서의 발광 수단을 전부, 신호 합성부(153)에 의한 제어를 받는 백색 LED로 하여도 좋다. 단, 그 경우에는, 신호 합성부(153)를, 데이터의 「0」을 발신한 때에는, 백색 LED의 광량을 내리기 위해 전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서버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서버(51)의 제어 부(CPU)는, 기지국(41)을 통하여 단말장치(31)로부터 위치정보와 물품 ID를 수신하면(스탭 S21), 수신한 물품 ID가,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스탭 S22).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물품 ID와 물품명을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거함과 함께, 수신한 물품 ID에 대응하는 물품명을 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물품 ID와 물품명을, 단말장치(31)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대응시켜서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스탭 S23). 이와 같은 처리는, 전회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때부터, 물품의 존재위치가 변경된 때에 생길 수 있다.
수신한 물품 ID가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한 물품 ID에 대응하는 물품명을 자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새롭게, 물품 ID와 물품명을, 단말장치(31)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대응시켜서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스탭 S24).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물품의 소재 위치가 등록된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단말장치(31)는, 물품 ID를 수신한 때에, 물품 ID와 함께 위치정보를 서버(51)에 송신하도록 하였지만, 최초에 위치정보를 수신한 때에만 위치정보를 서버(51)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단말장치(31)는, 물품 ID를 수신한 때에, 물품 ID만 송신한다. 그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서버(51)는, 다음에 위치정보를 수신하기까지의 동안, 수신한 물품 ID를, 최후에 수신하고 있는 위치정보에 관련시킬 수 있다. 즉, 단말장치(31)가 최초에 위치 정보를 수신한 때에만 위치정보를 서버(51)에 송신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단말장치(31)는, 실질적으로, 위치정보와 물품 ID를 관련시켜서 서버(51)에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실시의 형태 2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명부(10)는, 조명 장치를 겸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전구 등의 조명 장치를 활용하고, 발신부(154)만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0은, 발신부(154)만이 설치되는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발신부(154)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발신부(154)는, 복수의 적외선 LED 또는 백색 LED(603 내지 607)로 구성된다. 발신부(154)는, 예를 들면, 방의 천장에 설치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구성은 한 예이고,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발신부(154)의 구성은, 그와 같은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제 2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조명부(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조명부(10)와 비교하면, 발광부(151)는 없지만, 그 밖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구성과 같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조명부(10)를 이용하여도, 단말장치(31) 및 서버(51)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자산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자산관리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자산관리를 행하는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창고에 보관되는 제품 관리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창고 내의 여기저기에 조명부(1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의 단말장치(31) 그 자체, 또는 단말장치(31)의 기능을 탑재한 포크리프트 등의 운반 수단을 이용한다. 그리고, 미리, 운반 수단에 의해 운반되는 제품 등의 물품의 각각에, 유니크한 물품 ID가 설정된 RDID 태그를 붙인다.
포크리프트가, 물품을 창고 내의 소정 위치에 재치한 때에, 단말장치(31)가, 조명부(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짐을 부린 물품의 물품 ID를 판독한다. 단말장치(31)는, 위치정보와 물품 ID를 무선 LAN의 기지국(41)을 통하여 서버(51)에 송신한다. 서버는, 단말장치(31)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물품 ID를 대응시켜서 기억한다. 창고로부터 제품을 출고할 때는, 서버는, 기지국(41)을 통하여, 출고 제품과 출고 제품의 존재위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단말장치(31)에 송신한다. 운반 수단의 조작자는, 곧바로, 출고 제품과 출고 제품의 존재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단말장치(31)는, 무선 LAN의 기지국(41)을 통하여 서버(51)와 통신을 행하였다. 그러나, 단말장치(31)를, 휴대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51)와 통신을 행하는 단말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기)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 단말장치(31)의 수광부(303)로서,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기의 카메라부를 유용(流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에 태그 리더부(305)와 광량 판정 회로(304)를 부가하고, 카메라부에서의 CCD 등의 수광 소자로부터 촬영용의 전기회 로에 신호를 내는 경로에 더하여, 수광 소자로부터 광량 판정 회로(304)에 신호를 내는 경로를 부가함에 의해 단말장치(31)를 실현할 수 있다.
단말장치(31)를 휴대전화기로 한 경우에는, 통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품 관리 등에 적용한 경우에, 서버측에 있는 관리자와 운반 수단의 조작자가 통화함에 의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서버(51)의 측에, 물품의 위치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예를 들면 자산관리 데이터베이스)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단말장치(31)가 물품의 위치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도 7 참조)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에는, 단말장치(31)는, 발신부(154)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RFID 태그로부터 판독한 물품 ID를 서버(51)에 송신할 필요는 없고, 도 9에 예시된 스탭 S22 내지 S24의 처리, 즉 발신부(154)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 태그로부터 판독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는, 단말장치(31)의 제어부(301)(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스탭 S22 내지 S24의 처리를 간략화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물품명까지는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지 않고, 단말장치(31)에서는, 위치정보 및 물품 ID만을 관련시켜서 기억하도록 하여, 각각의 물품에 관한 위치정보 및 물품 ID의 수집이 완료된 후에, 최종적으로 자산 등의 물품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장치에 단말장치(31)를 접속하여, 단말장치(3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기억 내용을 관리장치에 업 로드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창고, 공장, 사업소 등에서, 자산관리나 제품 관리를 행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판독한 식별정보와, 물품이 존재하는 위치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과,
    상기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수단과,
    상기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과,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특정한 영역 내에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2.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판독한 식별정보와, 물품이 존재하는 위치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과,
    상기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수단과,
    상기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을 갖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와,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는, 상기 특정한 영역 내에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식별정보를,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상기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식별정보를 판독한 후,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소정 시간 내에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식별정보를 판독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조작부로 부터의 위치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위치정보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별 태그는, 수신 전파를 전력으로 하여 식별정보를 발신하는 무선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신호 발신 수단은, 적외선 LED를 포함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적외선 LED의 발광 강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신호 발신 수단은, 백색 LED를 포함하는 발신부를 구비하고, 백색 LED의 발광 강도를 변화시킴에 의해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광신호 발신 수단은 조명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신호 발신 수단은, 위치정보로서, 위치식별정보 또는 좌표치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10.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판독한 식별정보와, 물품이 존재하는 위치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는 물품위치 관리방법에 있어서,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고,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특정한 영역 내에서 수신된 위치정보와 판독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방법.
  11.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기 위해,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서,
    상기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발신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 수단과,
    상기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과,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특정한 영역 내에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 수단이 수신한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
  12.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기 위해,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서,
    상기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과,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한 광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 수단과,
    상기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식별정보 판독 수단과,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상기 위치정보 추출 수단이 추출한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정보 판독 수단이 판독한 식별정보를,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
  13.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기 위해,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 서버로서,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상기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물품위치 관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서버.
  14.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기 위해,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에 탑재된 컴퓨터에,
    수광 수단이 상기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수광한 광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처리와,
    상기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처리와,
    추출된 위치정보와 판독된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15.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기 위해,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에 탑재된 컴퓨터에,
    수광 수단이 상기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수광한 광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처리와,
    상기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처리와,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추출된 위치정보와 판독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16. 물품의 존재위치를 관리하기 위해, 물품에 부속하고 물품을 식별 가능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식별 태그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특정한 영역에만 위치정보를 광에 의해 발신하는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광신호 발신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상기 식별 태그로부터 판독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물품위치 관리 서버에 탑재된 컴퓨터에,
    상기 물품위치 관리용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관련시켜서, 물품의 존재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KR1020067024831A 2004-06-25 2005-06-20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KR20070020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4831A KR20070020464A (ko) 2004-06-25 2005-06-20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8012 2004-06-25
KR1020067024831A KR20070020464A (ko) 2004-06-25 2005-06-20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464A true KR20070020464A (ko) 2007-02-21

Family

ID=4365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831A KR20070020464A (ko) 2004-06-25 2005-06-20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04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386A (ko) * 2016-01-12 2018-09-12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단쌓기 컨테이너의 이상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386A (ko) * 2016-01-12 2018-09-12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단쌓기 컨테이너의 이상 검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6001237A1 (ja) 物品位置管理システム、物品位置管理方法、端末装置、サーバおよび物品位置管理プログラム
US63544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a specific RFID tagged article located in a plurality of RFID tagged articles
JP2017045440A (ja) 物品を発見し位置特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291865B (zh) 电梯监视系统和电梯监视装置
US20060022038A1 (en) Mobile terminal finding system and method
EP15859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location system
US9245160B2 (en) Method for setting up a beacon network inside a retail environment
US20080288357A1 (en) Restaurant patron location tracking and table turn monitoring system
WO2004100093A3 (en) Radio frequency object locator system
US2021000454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animal with an implanted microchip
KR20070074016A (ko) 바코더 리더와 rfid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US20150053758A1 (en) Fib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088481A (ko)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이용한물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19870B2 (ja)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および情報提供サービスプログラム
KR101872373B1 (ko) 비콘을 이용한 물류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US9949080B2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finding and recovering lost mobile devices in a venue
KR20070020464A (ko) 물품위치 관리 시스템, 물품위치 관리방법, 단말장치, 서버및 물품위치 관리 프로그램
JP2006273511A (ja) 物品宅配システム、物品宅配方法および物品宅配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US9693431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JP2008145355A (ja) 無線タグの位置標定装置
JP4583950B2 (ja) 荷物管理装置およびrfタグ
WO2015187005A1 (en) A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KR20070117341A (ko) Rfid를 이용하여 물품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및 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JP5776154B2 (ja) 端末装置、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843527A (ja) 非接触式個体識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