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793A -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793A
KR20070019793A KR1020077001233A KR20077001233A KR20070019793A KR 20070019793 A KR20070019793 A KR 20070019793A KR 1020077001233 A KR1020077001233 A KR 1020077001233A KR 20077001233 A KR20077001233 A KR 20077001233A KR 20070019793 A KR20070019793 A KR 20070019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rain
cable
pair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스또시 가메다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to KR102007700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793A/en
Publication of KR2007001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793A/en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차동식 전송용 커넥터의 신호 특성의 열화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 맞추고 각각이 한 쌍의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드레인선을 구비한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2개 이상의 전기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테이블의 한 쌍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한 쌍의 인접한 신호선용 접촉자와, 상기 한 쌍의 신호선용 접촉자 및 상기 접지선용 접촉자를 동일면 상이며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교대로 일렬로 배열한 담체와, 상기 신호선용 접촉자 및 상기 접지선용 접촉자 및 상기 담체를 덮는 쉘을 구비하고, 상기 배열상 적어도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드레인선은 상기 쉘과 접속된다.The degradation of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is improved.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fitted with mating connectors, each having a pair of signal lines and at least one drain line, wherein the connector is a pair of the table. A pair of adjacent signal line contacts to which the signal lines are connected, the pair of signal line contacts and the ground line contacts on the same plane and alternately arranged in a row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ble; A drain line having a shell covering the signal line contactor, the ground line contactor, and the carrier, and positioned at at least one end in the arrangement, is connected to the shell.

신호선용 접촉자, 접지선용 접촉자, 담체, 금속제 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Contact for signal line, Contact for ground line, Carrier, Metal shell, Cable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전기 접속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유의 배열에 의해 양호한 고속 신호 특성을 제공하는 커넥터에 관련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and to a connector providing good high speed signal characteristics by a unique arrangement.

최근에는, 정보의 대용량화 및 정보 전송의 고속화에 수반하여 퍼스널 컴퓨터 등에 부속되는 디바이스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시리얼 ATA라 하는 데이터 전송 규격이 주류가 되고 있다. 시리얼 전송 방식은, 정보를 1개의 전송로를 이용하여 1비트씩 전송하는 방식을 가리키고 있고, 신호선의 개수가 적으므로 신호선간의 간섭이 발생하기 어려워 고속화에 유리한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신호 전압의 관점에서 보아도 ± 250 mV 정도로 낮게 설정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고, 또한 본래의 신호와, 상기 신호와 극성을 반전시킨 신호를 차동 쌍으로서 동시에 2개의 신호선으로 전송하는 차동 전송을 채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전송 방식에서는 2개 × 2세트 = 4개의 신호선이 필요해진다. 대표예로서는, USB 방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정보의 가일층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금후의 정보 통신에 있어서 신호 전송 속도의 고속화와 신호선 개수의 증가가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동시에, 그들에 기인하는 신호선간의 신호 특성의 열화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문헌 1 및 2 와 같은 대책이 강구되었다.In recent years, the data transmission standard called serial ATA has become mainstream as an interface between devices attached to a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with the increase in the capacity of information and the spee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serial transmission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one bit by one transmission path. Since the number of signal lines is small, interference between signal lines is unlikely to occur, which is advantageous for high speed. Also, from the viewpoint of signal voltag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set as low as ± 250 mV, and adopts differential transmission which simultaneously transmits the original signal and the signal inverted in polarity with the signal as two differential pairs at the same time. This improves the resistance to noise from the outside. Therefore, 2 x 2 sets = 4 signal lines are required in the above transmission metho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USB systems. However, with the further increase in the capacity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ignal transmission speed and increase the number of signal lines in futur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eterioration of sign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ignal lines due to th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easures such as Patent Documents 1 and 2 have been taken.

특허 문헌 1의 차동식 전송용 커넥터는, 한 쌍의 핀 형상의 신호 콘택트를 특허 문헌 1에 첨부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고, 수평 방향의 신호 콘택트에 대해 직교하도록 한 쌍의 접지용 콘택트를 배열하고, 수직 방향의 신호 콘택트의 중간에 1개의 접지용 콘택트를 배열함으로써, 수형측과 암형측의 커넥터 접속을 전체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행할 수 있고, 각 방향의 신호선간의 크로스 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전송용 커넥터이다.In the 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a pair of pin-shaped signal contact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attached to Patent Document 1, and the signal contac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By arranging a pair of grounding contacts so as to be orthogonal, and arranging one grounding contact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signal contact,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can be connected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dimensions. It is a connector for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that can reduce crosstalk between signal lines in a direction.

특허 문헌 2는 종래 기술의 차동식 전송용 커넥터에 있어서, 인접하는 드레인선이 구비된 차동 전송용 케이블로부터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신호선 및 드레인선의 합계 3개를 1세트로 하여 실드재로 실드하고, 한 쌍의 신호선을 세로 방향으로 병설하고,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신호선과의 사이에 드레인선에 접하도록 접지용 금속판 등을 배치하여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킨 구조에 대해, 그 구조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세로로 병렬한 한 쌍의 신호선간에 종방향으로 접지용 금속판에, 신호용 콘택트의 축심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된 드레인선을 접속시키는 실드 평판을, 상하 한 쌍의 신호용 콘택트의 대략 중간 위치에 오도록 상기 접지용 금속판에 계지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드판에 의해 케이블의 드레인선을 케이블 커버 등으로 소요 방향으로 정렬시켜 일괄하여 압접 작업을 할 수 있고, 또한 접지 콘택트판과 계지되어 일체화되므로, 고속 전송의 전송 특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것이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hield for a 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a total of three pairs of a pair of signal lines and a drain line are set as one set in order to prevent cross talk from a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having an adjacent drain line. Shielded with ash, a pair of signal lin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rounding metal plate or the lik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gnal lines adjacent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the drain line, thereby improving the high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a shield plate for connecting a drain wire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gnal contact is connected to the ground metal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a pair of signal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in length.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grounding metal plate is locked so as to be at approximately an intermediate position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signal contacts. As a result, the shielding plate can be used to align the drain wires of the cables in the required direction with a cable cover or the like, and can be collectively press-bonded, and are integrated with the ground contact plate, thereby improving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high-speed transmission. .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46121호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246121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57558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257558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 구조는, 다수개의 핀 형상의 신호 콘택트를 2차원적으로 배열한 것이며, 이 개념을 1차원 배열된 비교적 소수개의 신호 콘택트에 대해 이용할 수는 없다. 또한, 1차원 배열을 목적으로 하는 커넥터에는 통상 신호 콘택트의 주위를 둘러싸는 실드가 포함되므로, 그 점에 있어서도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신호 콘택트가 1차원 배열된 커넥터에는 적용할 수 없다.The connector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a two-dimensional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pin-shaped signal contacts, and this concept cannot be used for a relatively few signal contacts arranged in one dimension. In addition, since a shield for surrounding a signal contact is usually included in a connector for the purpose of a one-dimensional array,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cannot be applied to a connector in which a signal contact is one-dimensionally arranged.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커넥터 구조는 세로로 2개 1세트의 신호선을 횡방향으로 배열하고, 다른 신호선과의 사이에 드레인선과 접촉시킨 실드판을 개재시켜 드레인선을 상기 종방향의 신호선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도록 접지 콘택트가 되는 실드판에 접속하고 있지만, 1차원 배열의 신호선 및 드레인선을 둘러싸는 쉘을 구성함으로써 실드부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구조와는 다르며, 인용 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호 콘택트가 1차원 배열된 커넥터에는 적용할 수 없다.In addition, the connector structure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arranges two sets of signal lines verticall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terposes the drain lines with the other one of the signal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ia a shield plate in contact with the drain lines. It is connected to the shield plate which becomes a ground contact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but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which forms a shield part by forming the shell which surrounds the signal line and drain line of a one-dimensional array, and is similar to the case of the reference document 1 It is not applicable to a connector in which contacts are arranged one-dimensionally.

종래의 차동식 전송용 커넥터에서는,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내의 한 쌍의 신호선 및 1개 또는 복수의 드레인선을 신호선 및 접지선으로서 동일한 담체(擔體) 상에 일렬로 배열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소요의 신호선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전선간의 배치 간격은 어쩔 수 없이 축소하게 되어, 신호선간의 크로스 토크에 기인하는 신호 특성의 열화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커넥터 내의 전기 접촉자와 대응하는 각 전선과의 접속점을 덮는 쉘을 배치하는 동시에 실드 효과를 발휘시키고, 또한 드레인선을 접속함으로써 신호선의 임피던스 특성을 개선하고, 종래는 양단부의 드레인선에 접속되어 있었던 상기 드레인선에 대응하는 접지용 전기 접촉자를 제거하여 커넥터 폭을 축소하여 커넥터 전체의 치수를 소형화하고, 또한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 conventional 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signal lines and one or a plurality of drain lines in a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are arranged in a line on the same carrier as a signal line and a ground line is common. However, as the number of required signal lines increases, the arrangement intervals between the respective wires are inevitably reduc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signal characteristics due to cross talk between signal lines. 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shell covering a connection point between electrical contacts in a connector and corresponding wires, exhibits a shielding effect, and further improves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a signal line by connecting a drain lin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nnector width by reducing the electrical contact for ground corresponding to the drain wires connected to the drain wires at both ends, to reduce the size of the connector as a whole, and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 맞추고, 각각이 한 쌍의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드레인선을 구비한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2개 이상의 전기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fitting two or mor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each having a pair of signal lines and at least one drain line, fitted to the mating connector. ,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의 한 쌍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한 쌍의 인접한 신호선용 접촉자와,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1개의 드레인선이 접속되는 접지선용 접촉자와, 상기 한 쌍의 신호선용 접촉자 및 상기 접지선용 접촉자를 동일면 상이며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교대로 일렬로 배열한 담체와, 상기 신호선용 접촉자 및 상기 접지선용 접촉자 및 상기 담체를 덮는 쉘을 구비하고, The connector includes a pair of adjacent signal line contacts to which a pair of signal lines of the cable are connected, a ground wire contactor to which at least one drain line of the cable is connected, the pair of signal line contacts and the ground wire contactor. And a carrier on the same plane and arranged alternately in a row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ble, the contact for the signal line, the contact for the ground line, and a shell covering the carrier,

상기 배열 상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드레인선은 상기 쉘과 접속된다.A drain wire located at at least one end of the array is connected to the shell.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드레인선과 2개의 신호선을 갖는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2개 병렬하여, 인접하는 2개 1쌍의 신호선이 접지선의 양단부에 1쌍씩 배치되도록, 몰드 형성된 담체의 평면 상에 대응하는 전기 접촉자를 배열한다. 접지용 전기 접촉자에는 적어도 1개의 드레인선이 접속된다. 담체 및 각 전기 접촉자는, 예를 들어 실드 효과를 갖는 중공의 금속제 쉘로 덮인다. 상기 금속제 쉘에는 적어도 1개의 드레인선이 접속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안정된 신호 전송 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a typical embodiment, the plane of the molded carrier is formed such that, for example, two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having at least one drain line and two signal lines in parallel, so that two adjacent pairs of signal lines are arranged in pairs at both ends of the ground line. Arrange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ntacts on the phase. At least one drain wire is connected to the grounding electrical contactor. The carrier and each electrical contact are covered with a hollow metal shell, for example, having a shielding effect. At least one drain wire is connected to the metal shell. With the above structure, stable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담체 상에 배열된 신호선용 접촉자 및 접지선용 접촉자의 양단부에 드레인선이 위치하고, 쌍방의 드레인선이 상기 쉘에 접속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rain wires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ignal wire contactor and the ground wire contactor arranged on the carrier, and both drain wires are connected to the shell.

예를 들어, 듀얼 드레인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각 케이블의 양단부에는 드레인선이 위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2개의 케이블을 병렬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열된 신호선 및 접지선의 양 외측 단부에 드레인선이 위치하는 것이 되어, 이들을 금속제 쉘에 접속함으로써 소형화가 도모된다.For example, when a dual drain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is used, drain lines are generally located at both ends of each cable. Therefore, when two cables are connected in parallel, drain lines are positioned at both outer ends of the signal line and the ground lin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nd miniaturization is achieved by connecting them to the metal shel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의 상기 접지선용 접촉자는 상기 각 케이블의 드레인선이 1개씩 접속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wire contactor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with one drain wire of each cable.

전술한 바와 같이, 듀얼 드레인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2개의 케이블을 병렬하는 경우에는, 각 케이블의 한 쌍의 신호선의 사이에는 2개의 드레인선이 인접하는 것이 되어, 이들을 1개의 접지선용 접촉자에 동시에 접속하면 간격이 협소한 각 선의 배열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커넥터 전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wo cables are paralleled using a dual drain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two drain lin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between a pair of signal lines of each cable, and these are connected to one contactor for grounding wir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arrange each line with a narrow spacing, thereby minimizing the size of the entire connect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은 2개로 이루어지고, 각 케이블이 상기 배열면에 대해 한 쌍의 신호선의 양단부에 드레인선을 갖고, 상기 2개의 케이블을 배열하였을 때에 상기 양단부의 드레인선의 일부는 상기 쉘에 접속되고, 양측에 한 쌍의 신호선을 갖는 드레인선은 1개의 접지선용 접촉자에 접속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cables, each cable having drain lines at both ends of a pair of signal lines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surface, and the two cables arranged. A part of the drain line of the both ends is connected to the shell, and a drain line having a pair of signal lines on both sides is connected to one contactor for grounding wire.

한 쌍의 신호선의 양단부에 드레인선을 갖는 듀얼 드레인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2개 배열한 경우, 배열된 최외단부에 위치하는 드레인선을 쉘에 접속하고, 그 이외의 인접하는 한 쌍의 드레인선을 접지선으로서 1개의 접지선용 접촉자에 접속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는 최외단부에 위치하는 드레인선에 대해 각 접지선용 접촉자가 배열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쉘에 접속되므로 2개의 접촉자를 생략할 수 있고, 커넥터의 전체적인 크기의 축소화에 공헌한다.In the case where two dual-drain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having drain lines ar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ignal lines, the drain line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ends of the paired signals are connected to the shell, and a pair of adjacent drain lines other than that are connected. Connect to one grounding wire contactor as grounding wire. With this structure, in the prior art, the contacts for each ground wire ar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drain wire located at the outermost en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contacts can be omitted because they are connected to the shell,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in the overall size of the connector.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의 조합은 상기 기재된 어느 하나의 커넥터와,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쉘에 의해 둘러싸인 담체에 상기 커넥터의 각 접촉자에 대응하는 접촉자를 구비하여, 대응하는 쉘끼리의 끼워 맞춤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을 실현 가능한 상대측 커넥터로 구성된다.The carrier enclosed by a shell is provided with the contactor corresponding to each contactor of the said connector, Comprising: It is comprised by the mating connector which can implement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simultaneously with corresponding shells.

본 발명의 커넥터는, 고속 신호 전송용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접속하는 상대적인 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와 프린트 배선 기판 상의 중앙 연산 프로세서 등과의 복수의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와, 디바이스와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판 상에 배치된 보드 커넥터를 끼워 맞춤 접속한다. 상기 끼워 맞춤에는 상기 금속제 쉘의 외곽 형상이 상보적이며, 한쪽 중공 쉘에 다른 쪽 쉘을 삽입함으로써 한쪽 중공 쉘이 내면으로 다른 쪽 쉘의 외면을 덮도록 접촉한다. 각 쉘 내부에는 전기 접촉자가 배열된 담체가 구비되어 있고, 끼워 맞춤시에는 대응하는 접촉자끼리가 접촉함으로써 디바이스 사이의 전기 접속이 행해진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ative connector for connecting a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for high-speed signal transmission, for exampl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such as a hard disk built into a personal computer and a central computing processor on a printed wiring board. The cable connector for connection and the board connector arranged on the board | substrate for direct connection with a device are fitted and connected. The outer shape of the metal shell is complementary to the fitting, and by inserting the other shell into one hollow shell, one hollow shell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hell. Each shell is provided with a carrier in which electrical contacts are arranged, and at the time of fitting, corresponding contact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devices.

상기 퍼스널 컴퓨터에 적용 가능한 커넥터의 일예를 도9에 도시한다. 도9의 (b)는 일단부(b'측)에서 2개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과 15개 병렬된 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동일 커넥터, 이른바 콤보 타입의 커넥터에서 단말 처리 배선되고, 타단부(b"측)에서 별개로 독립한 커넥터에서 단말 처리 배선된 평면도이고, 도9의 (a)는 도9의 (b)에 있어서의 콤보 커넥터에서 단말 처리 배선된 커넥터측(b'측)의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상기 콤보 커넥터는, 또한 하드 디스크에 탑재되어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져 접속이 도모된다. 도9의 (a)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의 커넥터부를 보아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자는 합계 7개 존재하고 있다. 최외측 단부에 위치하는 접촉자는 드레인선용이고, 중앙의 1개의 접촉자는 인접하는 2개의 드레인선용이고, 그 밖의 접촉자는 상기 최외단부의 접촉자와 상기 중앙의 접촉자에 1쌍씩 끼워진 신호선용이다.9 shows an example of a connector applicable to the personal computer. In Fig. 9B, two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and 15 parallel power supply cables are terminated in the same connector, so-called combo-type connector at one end (b 'side), and the other end (b "). (A) is a plan view terminated by a connector separately independent from the side), and FIG. 9 (a) is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onnector side (b 'side) terminated by the combo connector in FIG. 9 (b). The combo connector is also mounted on a hard disk to be fitted with the connector to be connected in. As can be seen from the connector part of th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of Fig. 9A, the contactor is 7 in total. The contactor located at the outermost end is for the drain wire, the center contactor is for two adjacent drain wires, and the other contactors are fitted in pairs between the outermost contactor and the center contactor. Line is for.

본 발명의 대상은, 도9의 (c)측의 보드 커넥터와 대응하는 상기 타단부에서 별개로 독립한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의 커넥터이며, 도9의 (a)에서 도시된 상기 최외측 단부의 드레인선이 쉘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접촉자 수는 5개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of a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that is independent of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board connector on the side of (c) of FIG. 9, and the drain of the outermost end shown in (a) of FIG. Since the wires are connected to the shell, the number of contacts is five.

여기서, 본 발명의 독립된 커넥터측(b"측)도 전력 공급용 커넥터와 겸용시켜 버리는 것도 가능하고,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배선과 상기 전력 공급용 케이블 배선의 쌍방 전체를 쉘로 덮을 경우, 상기 최외측 단부의 드레인선을 쉘에 접속할 수 있다. 도9의 변형예로서 도10을 그 일예로서 도시한다. 도10은 본원 발명을 기초로 하는 커넥터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배선을, 예를 들어 4개의 케이블에 대해 배치 가능한 1세트 5개로 합계 20개의 접촉자를 갖는 일체형 커넥터(b"측)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치 가능한 4개분의 케이블 중, 차동식 전송용의 4심(芯) 케이블(42)을 2개 배치하고, 나머지 2개분을 전력선용으로서 겸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복수 심의 전력선(50)을 5개 배치하고 있다. (b")측의 상기 커넥터에서는, 상기 2개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에 관해서는 도9와 동일 배선(양단부의 드레인선을 쉘에 접속)으로 해도 좋고, 최외측 단부의 드레인선 1개만을 쉘에 접속하고, 전력선과 인접하는 측의 드레인선을 다른 세트의 임의의 접촉자에 접속하여 접지선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접촉자는 10개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접촉자는 11개이다. 또한, 상기 5개의 전력선(50)에 관해서는 전력선마다 1세트분의 접촉자와 접속할 수 있다. 전력선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여러 심을 합쳐 각 접촉자에 적절하게 접속하여 전력 공급시킬 수 있다. (b')측의 콤보 커넥터측의 전력선은 각 심선이 소정의 접촉자에 접속되지만, 본 발명과 직접 관계되지 않으므로 상세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이하에, 도9의 (c)의 보드 커넥터측과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배선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 the independent connector side (b "side) of this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power supply connector, and when it covers both th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wiring and the said power supply cable wiring with a shell, the said outermost end part The drain wi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shell .. As a modification of Fig. 9, Fig. 10 is shown as an example, Fig. 10 shows a cable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o four cables. The integrated connector (b "side) which has a total of 20 contacts in one set which can be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FIG. 5 is shown. In this figure, the case where two 4-core cables 42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are arrange | positioned out of four cables which can be arrange | positioned, and the other two are used also as a power line, shows the power line 50 of multiple cores. 5) are placed. In the connector on the (b ") side, the two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may have the same wiring as in Fig. 9 (connecting the drain wires at both ends to the shell), and only one drain wire at the outermost end is connected to the shell. The drain wire on the side adjacent to the power line may be connected to any other set of contacts, and may be used as the ground wire.In the former case, 10 contacts are used, and in the latter case, 11 contacts are used. Further, the five power lines 50 can be connected to one set of contacts for each power line, and in the case of arranging power lines, various cores can be suitably connected to each contactor and supplied with power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power line on the side of the combo connector on the side (b ')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contact, but the details are omitted because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figuration of a wiring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board side of the connector (c) of FI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와 상기 보드 커넥터와 상보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외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view of a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ble connector complementary to the board connector.

도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상방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 고, 도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하방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A is a view showing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view showing a downward perspective view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도4의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ble connector of FIG.

도6의 (a) 내지 도6의 (d)는 도5의 각 구성 요소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6A to 6D are views show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components of FIG.

도7은 도6의 최종 공정에서 제2 몰드 부재를 덮기 직전의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n embodiment immediately before covering the second mold member in the final process of FIG.

도8은 3개 이상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사용한 경우의 배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wiring when three or mor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are used.

도9는 퍼스널 컴퓨터에 적용 가능한 커넥터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9의 (a)는 삽입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9의 (b)는 평면도이고, 도9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커넥터와 상보하는 보드 커넥터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or applicable to a personal computer, in which Fig. 9A is a view seen from the insertion side, Fig. 9B is a plan view, and Fig. 9C is the present invention. Board connector complementary to the differential cable connector for transmission.

도10은 본원 발명을 기초로 하는 커넥터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배선용 접촉자를, 예를 들어 전력용 케이블에 대해서도 이용 가능한 일체형 커넥터(b"측)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integrated connector (b " side) which can be used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wiring contacts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for power cables.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20 : 다리부20: leg

22, 46 : 신호선용 접촉자22, 46: contactor for signal line

24, 44 : 접지선용 접촉자24, 44: contactor for ground wire

26 : 하우징26: housing

27, 40 : 금속제 쉘27, 40: metal shell

28 : 담체28: carrier

41 : 제1 몰드 부재41: first mold member

42 :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42: cable for differential transmission

43 : 드레인선43: drain wire

45 : 신호선45: signal line

48 : 제2 몰드 부재48: second mold member

49 : 동제 테이프49: copper tape

50 : 전력선50: power lin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측에 고정하는 보드 커넥터와, 상기 보드 커넥터와 상보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보드 커넥터는 내부에 케이블 커넥터의 금속제 쉘을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 커넥터와의 접속시에는 내부의 담체에 형성된 전기 접촉자가 대응하는 전기 접촉자와 접촉함으로써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1 show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board connector fixed to the board side and a cable connector complementary to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rd connector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metal shell of the cable connector therein. When the cabl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or, the electrical contact is formed by contacting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lectrical contact formed on the carrier therei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상방 사시도이다. 하우징(26)은 케이블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개방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판에 고정하기 위해 4개의 다리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6)의 내부에는 2쌍의 차동식 전송 신호선용 접촉자(22) 및 1개의 접지선용 접촉자(24)가 동일면 상이며 끼워 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담체(28)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는 각 접촉자는 대응하는 접촉자와 걸어 맞추어진다. 도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하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외곽은, 기판과의 고정시에 접지부와 접촉하는 바닥판의 금속제 쉘(27)과 하우징(26)을 계지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가 삽입되는 면의 배면으로부터는 상기 각 접촉자(22, 24)의 다리부가 적절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기판과의 고정시에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서 접속 배선된다.2 show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6 is open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ble connector, and four leg portions 20 are provided for fixing to the substrate (not shown). Inside the housing 26, the carrier 28 is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wo pairs of differential transmission signal line contacts 22 and one ground line contactor 24 are on the same plane and are arranged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tting direction. The contactor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contactor when fitted with the cable connector. Figure 2 (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locking the metal shell 27 and the housing 26 of the bottom plate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portion when the board connector is fixed. Further, the leg portions of the contactors 22 and 24 are machined into suitable shap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urface into which the cable connector is inserted, and are connected and wir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substrate at the time of fixing with the substrate.

도3은 도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각 접촉자(22, 24)는 케이블 커넥터가 삽입되는 면의 배면으로부터 담체(28)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해 소정 간격으로 동일 평면 형상으로 병렬된 상태에서 담체(28)와의 조립이 종료한다. 이어서, 상기 조립 담체(28)는 마찬가지로 케이블 커넥터가 삽입되는 면의 배면으로부터 하우징(26)과 금속제 쉘(27)과의 걸어 맞춤체에 삽입되어 본 발명에 따른 보드 커넥터의 조립이 완성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Each contactor 22, 24 is inserted into the carrier 28 from the back of the surface into which the cable connector is inserted, and the assembly with the carrier 28 is terminated in parallel with the same plane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 Subsequently, the assembly carrier 28 is similarly inserted into the fitting body between the housing 26 and the metal shell 27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urface into which the cable connector is inserted, thereby completing the assembly of th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4의 (a)는 보드 커넥터와 접속되는 플러스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각 접촉자(44, 46)를 담지한 담체(47)가 금속제 쉘(40)의 천장판측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 몰드 부재(48)는 각 접촉자(44, 46)와 담체(47)를 전체적으로 덮는 금속제 쉘(40)의 일부 분과 케이블(42)의 일부분을 덮고, 보드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접속시에는 대향하는 소정 부분이 상기 보드 커넥터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접촉하여, 그에 의해 금속제 쉘(40)이 보드 커넥터의 내부의 소정 위치보다 내측에 가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4의 (b)는 도4의 (a)의 위치를 180도 반전시키고 있고, 담체(47) 상에는 각 케이블(42) 내의 한 쌍의 신호선과 접속된 합계 2쌍의 신호선용 접촉자(46)와, 각 케이블 내의 1개의 드레인선끼리가 접속된 접지선용 접촉자(44)가 배치되어 있다. 보드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접속시에는 대응하는 접촉자끼리(22와 46 ; 24와 44)가 걸어 맞추어진다.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us position connected to the board connector, in which a carrier 47 carrying each of the contacts 44 and 46 is arranged on the top plate side of the metal shell 40. As shown in Figs. The insulating mold member 48 covers a part of the metal shell 40 and a part of the cable 42 covering the contacts 44 and 46 and the carrier 47 as a whole and opposes the fittings with the board connector. A predetermine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pening edge of the board connector, thereby preventing the metal shell 40 from being weighted inwar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oard connector. 4 (b) inverts the position of FIG. 4 (a) by 180 degrees, and on the carrier 47, a pair of signal line contacts 46 in total connected with a pair of signal lines in each cable 42 And a contactor 44 for a ground wire to which one drain wire in each cable is connected. At the time of fitting connection with a board connector, corresponding contactors 22 and 46; 24 and 44 are engaged.

도5는 도4의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블(42)은 2개 병렬되고, 각 케이블의 내부에는 한 쌍의 신호선(45)과 상기 한 쌍의 신호선(45)의 양측에 1개씩 드레인선(43)이 배열되어 있다. 접촉자군은 2개의 드레인선이 동시에 접속되는 1개의 접지선용 접촉자(44)와, 그 양측에 한 쌍씩 합계 2쌍의 신호선용 접촉자(46)로 구성되어, 1개의 커넥터에 대해 합계 5개의 접촉자를 갖는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자(44, 46), 담체(47) 및 금속제 쉘(40)이 순차 조립되고, 이어서 제1 몰드 부재(41), 동제 테이프(49) 및 제2 몰드(48) 부재로 덮여 완성된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ble connector of FIG. 4 and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FIG. Two cables 42 are parallel, and a pair of signal lines 45 and one drain line 43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pair of signal lines 45 inside each cable. The contact group is composed of one contactor 44 for ground wire to which two drain wires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and two pairs of contactors for signal lines 46, one pair on each side thereof, and a total of five contacts for one connector. Have As shown in Fig. 4, the contacts 44 and 46, the carrier 47 and the metal shell 40 are sequentially assembled, followed by the first mold member 41, the copper tape 49 and the second mold 48. ) Is completed by covering with a member.

도6은 도5의 각 구성 요소의 조립 공정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6의 (a)는, 우선 접지선용 접촉자(44)와 신호선용 접촉자(46)를 포함하는 접촉자군을 상기 담체(47) 상에 배열하고, 각 케이블(42) 내에 배열된 각 전선을 대응하는 각 접촉자와 땜납 접속하고, 또한 신호선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드레인선을 1개의 접 지선용 접촉자에 땜납 접속하고, 이어서 상기 담체(47)를 금속제 쉘(40)로 덮는 동시에 최외부에 위치하는 각 드레인선(43)을 상기 금속제 쉘(40)에 땜납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어서, 도6의 (b)는 상기 금속제 쉘(40)과 케이블(42)의 단말부와의 사이에서 노출된 부분을 제1 몰드 부재(41)로 덮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어서, 도6의 (c)는 몰드 부재(41) 상을 동제 테이프(49)로 덮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6의 (d)는 상기 동제 테이프(49) 상을 제2 몰드 부재(48)로 덮어 최종적으로 완성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6 illustrates in detail the assembling process of each component of FIG. 5. FIG. 6A first shows a contact group including a contactor 44 for a ground wire and a contactor 46 for a signal line, arranged on the carrier 47, and corresponding wires arranged in each cable 42. FIG. Sold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ontacts, and two drain wires located between the signal lines are solder-connected to one contactor for contact, and then the carrier 47 is covered with the metal shell 40 and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art. The state in which each drain line 43 is solder-connected to the said metal shell 40 is shown. Next,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posed portion between the metal shell 40 an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able 42 is covered with the first mold member 41. Next, FIG. 6C shows a state where the mold member 41 is covered with the copper tape 49. Finally, FIG. 6 (d) shows a drawing of the final completed covering the copper tape 49 on the second mold member 48. FIG.

도7은 도6의 제1 몰드 부재(41), 동제 테이프(49) 처리 및 제2 몰드 부재(48)에 의한 성형을 종료한 커버에 의해 금속제 쉘 및 케이블의 단말부를 덮도록 조립하기 직전의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합계 4개의 전선(43, 45)을 수용하는 케이블이 2개 병렬되고, 한 쌍의 신호선(45)의 양단부에 2개의 드레인선(43)이 위치하도록 케이블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합계 8개의 전선이 배열되어 있다. 최외측 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드레인선(43)은 금속제 쉘(40)에 땜납 접속된다. 또한, 합계 2쌍의 신호선(45)은 각 대응하는 신호선용 접촉자(46)에 각각 땜납 접속된다. 또한, 양단부에 한 쌍의 신호선을 갖는 각 케이블로부터 1개씩 연장된 한 쌍의 드레인선(43)은 동일한 접지선용 접촉자(44)에 땜납 접속된다. 이들의 배열 구성에 의해, 실드 효과를 갖는 금속제 쉘(40)이 2쌍의 신호선(45) 및 1쌍의 접지용 드레인선(43)을 덮고, 이에 의해 접촉자군과 전선과의 접속에 의한 임피던스 부정합이나 신호선 사이의 크로스 토크에 기인하는 신호 잡음은 경감된다.FIG. 7 is just before assembling so as to cover the terminal portions of the metal shell and the cable by the cover which has finished the molding by the first mold member 41, the copper tape 49, and the second mold member 48 of FIG. The aspect is enlarged and shown. As described above, two cables accommodating a total of four wires 43 and 45 are parallel and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ble so that two drain lines 43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ignal lines 45. In total, eight wires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two drain wires 43 located at the outermost end are soldered to the metal shell 40. In addition, a total of two pairs of signal lines 45 are soldered to each corresponding signal line contact 46, respectively. In addition, a pair of drain lines 43 extending one by one from each cable having a pair of signal lines at both ends are soldered to the same grounding contact 44. With this arrangement configuration, the metal shell 40 having the shielding effect covers the two pairs of signal lines 45 and one pair of ground drain lines 43, whereby the impedance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group and the electric wires. Signal noise due to mismatch or cross talk between signal lines is reduced.

도7에서는, 2개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사용한 경우의 배선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8은 3개 이상의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을 사용한 경우의 배선을 도시하고 있고, 양단부의 드레인선은 실드(40)에 접속되고, 그 이외의 인접하는 한 쌍의 드레인선(43)은 1개의 접지용 전기 접촉자에 접속된다.In FIG. 7, the wiring in the case of using two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has been described. Fig. 8 shows wiring in the case where three or mor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are used, drain lines 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shield 40, and a pair of adjacent drain lines 43 are connected to one ground.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tactor.

이 구성에 의해, 종래에는 최외부에 위치한 드레인선에 대해 접지용 전기 접촉자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최외부의 드레인선을 실드(40)에 직접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종래에는 최외부에 위치하고 있었던 2개의 접지용 전기 접촉자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져, 케이블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가 축소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의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has conventionally provided an electrical contactor for grounding to the drain wire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nect the outermost drain wire directly to the shield 40, it is conventionally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It becomes possible to omit the two grounding electrical contacts which existed, and the length of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a cable is reduce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connector can be reduced.

또한, 케이블 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사용하는 케이블의 성능을 신중하게 선정하고, 본 발명의 커넥터를 채용함으로써 소형이고 또한 고성능의 커넥터를 달성할 수 있었다.In addition to improving the cable technology, by carefully sel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cable to be used and adopting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act and high performance connector can be achieved.

Claims (5)

상대측 커넥터에 끼워 맞추고, 각각이 한 쌍의 신호선과 적어도 1개의 드레인선을 구비한 차동식 전송용 케이블 2개 이상의 전기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A connector for mating to a mating connector an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or mor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s each having a pair of signal lines and at least one drain line,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의 한 쌍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한 쌍의 인접한 신호선용 접촉자와, 상기 케이블의 적어도 1개의 드레인선이 접속되는 접지선용 접촉자와, 상기 한 쌍의 신호선용 접촉자 및 상기 접지선용 접촉자를, 동일면 상이며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교대로 일렬로 배열한 담체와, 상기 신호선용 접촉자 및 상기 접지선용 접촉자 및 상기 담체를 덮는 쉘을 구비하고,The connector includes a pair of adjacent signal line contacts to which a pair of signal lines of the cable are connected, a ground wire contactor to which at least one drain line of the cable is connected, the pair of signal line contacts and the ground wire contactor. A carrier on the same plane and arranged alternately in a row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ble, the contact for the signal line, the contact for the ground line, and a shell covering the support; 상기 배열 상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드레인선은 상기 쉘과 접속되는 커넥터.And a drain wire positioned at at least one end of the array is connected to the sh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의 양단부에 드레인선이 위치하고, 쌍방의 드레인선이 상기 쉘에 접속된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rain wires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rrangement, and both drain wires are connected to the shel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용 접촉자는 상기 각 케이블의 드레인선이 1개씩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round wire contactor is connected with one drain wire of each of the cabl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2개로 이루어지 고, 각 케이블이 상기 배열면에 대해 한 쌍의 신호선의 양단부에 드레인선을 갖고, 상기 2개의 케이블을 배열하였을 때에 상기 양단부의 드레인선의 일부는 상기 쉘에 접속되고, 양측에 한 쌍의 신호선을 갖는 드레인선은 1개의 접지선용 접촉자에 접속되는 커넥터.The cab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able is composed of two, each cable having drain lines at both ends of a pair of signal lines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surface, and the two cables arranged. And a portion of the drain line at both ends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hell, and a drain line having a pair of signal lines at both sides thereof is connected to a contactor for one ground line.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쉘에 의해 둘러싸인 담체에 상기 커넥터의 각 접촉자에 대응하는 접촉자를 구비하여, 대응하는 쉘끼리의 끼워 맞춤과 동시에 전기 접속을 실현 가능한 상대측 커넥터로 구성되는 1세트의 커넥터.A set of connectors comprising a mating connector provided with a contactor corresponding to each contactor of the connector on a carrier surrounded by a shell, and capable of fitting the corresponding shells and at the same time, enabling electrical connection.
KR1020077001233A 2004-07-05 2005-07-04 Electric connector KR200700197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233A KR20070019793A (en) 2004-07-05 2005-07-04 Electric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8208 2004-07-05
KR1020077001233A KR20070019793A (en) 2004-07-05 2005-07-04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793A true KR20070019793A (en) 2007-02-15

Family

ID=4365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233A KR20070019793A (en) 2004-07-05 2005-07-04 Electric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979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0549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WO2006004092A1 (en) Electric connector
US10574003B2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reinforced structure
US9545040B2 (en) Cable retention housing
JP3491064B2 (en)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JP5459724B2 (en) Multiple coaxial connectors
US6244908B1 (en) Switch within a data connector jack
EP2270932B1 (en) Multipolar connector
EP1876675A1 (en) Electric connector
US7467969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member
US8128433B2 (en) Modular jack having a cross talk compensation circuit and robust receptacle terminals
JPH0154828B2 (en)
US8851906B2 (en) Cable assembly
US20100221933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US10193262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n insulator wafer
WO2008042656A1 (en) Connector assembly
US8858240B2 (en) Cable assembly
CN112186390B (en)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6028682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arrangement
JP2012114044A (en) Cable connector
KR20070019793A (en) Electric connector
WO2023243333A1 (en) Cable assembly structure and connector
CN218040078U (en) Electrical connector
CN115410768A (en) Cable shielding structure for electrical device
CN111755861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